KR20230025143A - 전기 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143A
KR20230025143A KR1020210107279A KR20210107279A KR20230025143A KR 20230025143 A KR20230025143 A KR 20230025143A KR 1020210107279 A KR1020210107279 A KR 1020210107279A KR 20210107279 A KR20210107279 A KR 20210107279A KR 20230025143 A KR20230025143 A KR 20230025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sing
supporter
electric range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학
조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7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143A/ko
Priority to PCT/KR2022/007536 priority patent/WO2022250486A1/ko
Priority to EP22811677.8A priority patent/EP4350220A1/en
Publication of KR20230025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 상기 가열부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들이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조작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가열하는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조리 기구는,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 레인지 및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 레인지를 포함한다.
전기 레인지는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저항 가열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 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방사하거나 전도시켜 피가열체(일례로, 냄비, 프라이팬 등의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하여 코일 주변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계에 의해 피가열체에 와전류(eddy current)가 생성되며, 생성된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의 기본적인 가열 원리는 다음과 같다.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 주변에 자계가 형성된다. 형성된 자계에 의해 피가열체가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되면서 열이 생성되고, 생성된 열에 의하여 피가열체 내부의 음식물이 가열된다.
전기 레인지는 전자 부품 등이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 사용자가 전기 레인지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 사용자에게 전기 레인지의 동작 상태 등을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및 발열체나 코일 등 많은 구성품들이 조립되어 제작된다. 따라서, 전기 레인지의 제작을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전기 레인지는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그런데,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내부 공간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된 피가열체(예를 들면,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의 열기에 의해 내부 공간의 온도가 올라갈 수도 있고,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전자 부품(예를 들면, 전력 소자나 고주파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내부 공간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내부 공간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할 경우, 전기 레인지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전기 레인지는 일반적으로 내부 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공기의 유로를 포함한다. 공기의 유로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해질수록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전기 레인지의 성능 향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공기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공정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립되는 구성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리 레인지의 내부 공간에 대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레인지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장착되며,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영역과 사용자에 의한 제어 입력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지지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의 하면과 케이스는 서로 이격되어 케이스 내부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는 제1 영역에 장착되는 에어가이드의 아웃릿에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 상기 가열부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들이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조작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는 상기 제1 지지부에 장착되고, 송풍 흡입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 배출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팬,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 배출부와 연결된 가이드 흡입부와, 가이드 배출부를 포함하는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터는 상기 송풍 흡입구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흡입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배출부와 연결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흡입홀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케이스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제2 케이싱, 및 상기 제2 케이싱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을 지지하는 제3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배출부는 상기 제1 케이싱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배출부 각각은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된 다공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이격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 상기 가열부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들이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에 장착되고, 송풍 흡입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 배출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송풍 흡입부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조작부의 아래에 형성된 케이스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 배출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는 상기 서포터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 배출부와 연결된 가이드 흡입부와 가이드 배출부를 포함하는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송풍 흡입부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흡입홀 및 가이드 배출부와 연결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상기 서포터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장착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방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와 상기 케이스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제작 공정 및 구성품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작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전자 부품 등이 장착되는 내부 공간에 대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에어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서포터 및 송풍팬의 분해 사시도로서, 상부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서포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상판부, 가열 모듈들, 및 상부 브라켓을 제외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는 본체부(10) 및 상판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케이스(100), 제1 상부 브라켓(210), 제2 상부 브라켓(220), 제1 가열부(310), 제2 가열부(320), 제3 가열부(330), 및 조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전기 레인지(1)의 조작부(400)가 배치된 부분을 전방 또는 전면으로 정의하고, 전방 또는 전면의 맞은편을 후방 또는 후면으로 정의하고, 전방에서 전기 레인지(1)를 바라봤을 때 우측을 우측방 또는 우측면으로 정의하고, 전방에서 전기 레인지(1)를 바라봤을 때 좌측을 좌측방 또는 좌측면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본체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부는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구동부는 조작부(400) 및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각종 부품이 장칙된 인쇄 회로 기판과 인쇄 회로 기판이 장착되는 서포터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대체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부품들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전기 레인지를 구성하는 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에에 따라, 케이스(100)는 가열부(310, 320, 및/또는 330)에 의해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단열처리될 수도 있다.
제1 상부 브라켓(210)은 제1 가열부(310)를 지지할 수 있고, 제2 상부 브라켓(220)은 제2 가열부(320) 및 제3 가열부(3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상부 브라켓(210) 및 제2 상부 브라켓(220)은 케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가열부(310), 제2 가열부(320), 및 제3 가열부(330)는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들(310, 320, 330)은 유도 가열 방식으로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도 있고, 저항 가열 방식으로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도 있다. 또는, 가열부들(310, 320, 330) 중 일부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피가열체를 가열하고, 나머지는 저항 가열 방식으로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도 있다. 유도 가열 방식으로 피가열체를 가열할 경우, 가열부(310, 320, 330)의 워킹 코일로 고주파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고주파 전력이 워킹 코일로 인가되면, 워킹 코일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피가열체에 와전류(eddy current)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와전류에 의해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가 가열될 수 있다.
제1 가열부(310), 제2 가열부(320), 및 제3 가열부(330)는 상판부(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열부(310)는 제1 상부 브라켓(210)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가열부(320) 및 제3 가열부는 제2 상부 브라켓(2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전기 레인지가 3개의 가열부들 및 2개의 상부 브라켓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가열부들의 개수 및 상부 브라켓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조작부(400)는 전기 레인지에 대한 작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전기 레인지에 대한 작동 명령은 가열부들(310, 320, 3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400)는 제1 상부 브라켓(2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00)는 상판부(20)와 케이스(100) 사이에 배치되되,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400)의 배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조작부(400)는 복수의 키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키 스위치를 통해 조작부(400)에 명령을 입력하여 전기 레인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400)의 상면은 커버 플레이트(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400)는 커버 플레이트(21)의 입력 인터페이스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400)와 입력 인터페이스는 터치 입력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판부(20)는 본체부(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피가열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는 본체부(10) 및 상판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의 본체부(10)는 케이스(100), 제1 상부 브라켓(210), 제2 상부 브라켓(220), 제1 가열부(310), 제2 가열부(320), 제3 가열부(330), 조작부(400), 서포터(500), 송풍팬(600), 에어 가이드(700), 인쇄 회로 기판(800), 및 히트 싱크(9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의 상판부(20)는 커버 플레이트(21) 및 커버 브라켓(2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1)는 케이스(100)에 의해 형성된 수납 공간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1)는 케이스(100)에 의해 형성된 수납 공간 내부의 부품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21)의 상면에는 피가열체가 배치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1)가 유도 가열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가열부들(310, 320, 및/또는 33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커버 플레이트(21)를 통과하여 피가열체에 도달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1)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플레이트(21)의 상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커버 플레이트(21)의 상면의 특정 영역에 배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전기 레인지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은 조작부(40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21)의 상면의 특정영역에는 전기 레인지의 구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플레이트(21)의 상면에는 광 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1)의 하부에는 광원유닛이 배치될 수 있고, 광원유닛에서 방사된 빛이 광 표시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광 표시 영역과 광원유닛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유닛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 표시 영역도 동일한 개수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2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 유닛은 제1 상부 브라켓(210) 및/또는 제2 상부 브라켓(220)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브라켓(22)은 커버 플레이트(20)를 지지할 수 있다.
커버 브라켓(22)은 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브라켓(22)과 상기 케이스(100)는 볼트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브라켓(22)은 대체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브라켓(22)의 각 변은 커버 플레이트(21)의 각 변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기본적인 형태 및 기능 등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판형의 재료를 가공하여 상자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제1 케이싱(110), 제2 케이싱(121, 122, 123, 124) 및 제3 케이싱(1311, 1312, 1313, 1314, 1331, 1332, 1333, 1334, 1341, 13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싱(110)은 케이스(1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케이싱(110)은 대체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싱(110)의 상면에 제1 서포터(450) 및 서포터(50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케이싱(110)에는,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800)과 인쇄 회로 기판(800)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의 냉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공기가 유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싱(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케이스 흡입부와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케이스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싱(121, 122, 123, 124)은 제1 케이싱(11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케이스(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1 케이싱(121)은 케이스(100)의 우측면을 형성하고, 제2-2 케이싱(122)은 케이스(100)의 전면을 형성하고, 제2-3 케이싱(123)은 케이스(100)의 좌측면을 형성하고, 제2-4 케이싱(124)은 케이스(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케이싱(121, 122, 123, 124)은 제1 케이싱(110)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케이스(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대체로 4각형으로 형성되는 제1 케이싱(110)의 각 변에 제2 케이싱(121, 122, 123, 124)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케이싱(121, 122, 123, 124)은 케이스(1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제1 케이싱(110)이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제1 케이싱(11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 케이싱(121, 122, 123, 124)이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1 케이싱(110)에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1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
제2 케이싱(121, 122, 123, 124)에는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는 배기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홀들은 케이스(100)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배기홀들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100) 내부에 수납되는 부품의 냉각에 기여할 수 있다.
제3 케이싱(1311, 1312, 1313, 1314, 1331, 1332, 1333, 1334, 1341, 1342)은 제1 상부 브라켓(210) 및 제2 상부 브라켓(220)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케이싱(1311, 1312, 1313, 1314, 1331, 1332, 1333, 1334, 1341, 1342)은 상기 제2 케이싱(121, 123, 124)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1 케이싱들(1311, 1312, 1313, 1314)은 제2-1 케이싱(121)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3-3 케이싱들(1331, 1332, 1333, 1334)은 제2-3 케이싱(123)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3-4 케이싱들(1341, 1342)은 제2-4 케이싱(124)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1 케이싱들(1311, 1312, 1313, 1314) 및 제3-42 케이싱(1342)에는 제1 상부 브라켓(210)과의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3-1 케이싱들(1311, 1312, 1313, 1314) 및 제3-42 케이싱(1342)의 상면에 제1 상부 브라켓(210)의 바닥면이 안착된 후, 제1 상부 브라겟(210)은 제3-1 케이싱들(1311, 1312, 1313, 1314) 및 제3-42 케이싱(1342)과 볼트 등의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3 케이싱들(1331, 1332, 1333, 1334) 및 제3-41 케이싱(1341)에는 제2 상부 브라켓(210)과의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케이싱들(1331, 1332, 1333, 1334) 및 제3-41 케이싱(1341)의 상면에 제2 상부 브라켓(220)의 바닥면이 안착된 후, 제2 상부 브라켓(210)은 제3 케이싱들(1331, 1332, 1333, 1334) 및 제3-41 케이싱(1341)과 볼트 등의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조작부(400)는 서포터(500)에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400)와 서포터(50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500)는 조작부(400), 인쇄 회로 기판(800) 및 송풍팬(600)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500)는 케이스(100)의 제1 케이싱(110)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800)에는 히트 싱크(900)와, 가열부(310, 320, 330) 등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800)은 서포터(500)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800)에 장착된 전자 부품들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가열부(310, 320, 330)로 고주파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800)에 장착된 전자 부품들은 조작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가열부(310, 320, 330)를 구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800)에 장착된 전자 부품들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즉, 인쇄 회로 기판(800)에 장착된 전자 부품들은 전기 레인지(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히트 싱크(900)에는 고주파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 등 발열이 심한 소자가 부착될 수 있다. 히트 싱크(900)는 부착된 소자를 냉각시킬 수 있다.
송풍팬(600)은 흡입구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송풍팬(600)은 제1 케이싱(110)에 형성된 케이스 흡입부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600)의 토출구로 배출된 공기는 케이스(100)에 의해 형성된 수납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팬(600)의 토출구로 배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에어가이드(700)에 의해 가이드되어 히트 싱크(9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에 의해 가이드된 공기는 제1 케이싱(110)에 형성된 케이스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팬(600)은 서포터(500)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팬(600)은 볼트 등의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서포터(500)에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송풍팬(600)은 볼트 등의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케이스(10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볼트는 송풍팬(600), 서포터(500)를 통과하여 케이스(100)의 제1 케이싱(110)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함으로써, 제1 케이싱(110) 등이 변형되더라도 송풍팬(600), 서포터(500), 및 케이스(100)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전기 레인지(1) 내부의 공기가 송풍팬(60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는 송풍팬(6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히트 싱크(900)를 거쳐 케이스(100)의 제1 케이싱(110)에 형성된 케이스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는 인쇄 회로 기판(800)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가이드(700)는 인쇄 회로 기판(800)에 장착된 히트 싱크(900)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인쇄 회로 기판(80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상부 브라켓(210) 및 제2 상부 브라켓(220)의 기본적인 기능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제1 상부 브라켓(210) 및 제2 상부 브라켓(220)은 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상부 브라켓(210) 및 제2 상부 브라켓(220)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상부 브라켓(210)은 제1 가열부(3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상부 브라켓(220)은 제2 가열부(320) 및 제3 가열부(3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브라켓(210) 및 제2 상부 브라켓(220)은 상판부와 인쇄 회로 기판 및 전자 부품들이 수납되는 공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 상부 브라켓(210) 및 제2 상부 브라켓(220)은 가열부들(310, 320, 33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 및/또는 전자기파가 인쇄 회로 기판 및 전자 부품들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상부 브라켓(210) 및 제2 상부 브라켓(220)은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하여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및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성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상부 브라켓(210) 및 제2 상부 브라켓(220) 각각은 제1 상부판 및 제2 상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판은 제1 상부 브라켓(210) 및 제2 상부 브라켓(220) 각각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부판에 가열부(310, 320, 330)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상부판은 제1 상부판으로부터 전기 레인지의 상하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상부판은 제1 상부판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체로 4각형으로 형성되는 제1 상부판의 각 변에 상기 제2 상부판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부판은 상기 제1 상부 브라켓(210) 및 제2 상부 브라켓(22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제1 상부판이 가열부(310, 320, 330)를 포함하는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제1 상부판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 상부판이 억제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기 레인지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모두 케이스(100)의 상부에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레인지의 제작 과정이 단순해지며, 결과적으로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에어가이드(700)의 사시도로서, 전방 우측 아래쪽에서 에어가이드(700)를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에어가이드(700)는 후방에 형성된 흡입구(710)와 전방 아래쪽에 형성된 배출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이가이드(700)의 흡입구(710)은 송풍팬(600)의 토출구(도 5의 610)와 연결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700)의 배출구(720)은 서포터(500)의 배출홀(도 5의 561)와 연결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의 하면 중 배출구(720)(즉, 배출홀(도 5의 561)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서포터(5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700)와 서포터(5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히트 싱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60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700)의 흡입구(710)를 통해 에어가이드(700)와 서포터(5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또한, 에어가이드(700)와 서포터(500) 사이의 공간의 공기는 에어가이드(700)의 배출구(720) 및 서포터(500)의 배출홀(561)로 배출된다.
도 5는 서포터(500) 및 송풍팬(6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서포터(500)의 평면도이다.
송풍팬(600)은 서포터(5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600)은 토출구(도 6의 610), 흡입구(도 7의 620), 및 고정부(도 6의 632, 63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500)는 제1 바닥판(510)과 측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판(510)은 서포터(5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닥판(510)의 상면에는 인쇄 회로 기판(800) 및 송풍팬(600)이 장착될 수 있다. 제1 바닥판(510)은 송풍팬(600)이 장착되는 제1 영역(511)과 인쇄 회로 기판(800)이 장착되는 제2 영역(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511)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홀(5111)이 형성될 수 있다.
측판(520)은 제1 바닥판(510)으로부터 전기 레인지의 상하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측판(520)은 제1 바닥판(510)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체로 4각형으로 형성되는 제1 바닥판(510)의 각 변에 측판(52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측판(520)은 제1 바닥판(510)의 우측면에 배치되는 제1 측판(521)과, 제1 바닥판(5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2 측판(522)과, 바닥판(510)의 좌측면에 배치되는 제3 측판(523)과, 제1 바닥판(5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4 측판(5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판(521)은 케이스(100)의 제2-1 케이싱(도 3의 121)과 맞닿을 수 있고, 제2 측판(522)은 케이스(100)의 제2-2 케이싱(도 3의 122)과 맞닿을 수 있고, 제4 측판(524)은 케이스(100)의 제2-4 케이싱(도 3의 124)과 맞닿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맞닿는다는 것은, 완전히 밀착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당히 가까이 배치되는 것도 포함한다.
측판(520)은 서포터(50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제1 바닥판(510)이 인쇄 회로 기판(800)과 송풍팬(600) 등의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제1 바닥판(51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측판(520)이 억제할 수 있다.
서포터(500)는 보스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530)는 복수개의 보스들(5311, 5312, 5313, 5314, 531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보스들(5311, 5312, 5313, 5314, 5315) 각각은 제1 상부 브라켓(210) 또는 제2 상부 브라켓(220)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보스(5315)는 제1 상부 브라켓(210)를 지지하고, 보스들(5311, 5313)은 제2 상부 브라켓(2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스(5315)와 제1 상부 브라켓(210)가 볼트 등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보스들(5311, 5313)과 제2 상부 브라켓(220)가 볼트 등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보스부(530)는 바닥판(5320) 및 측판(5331, 533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5320)은 보스부(53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판(5331, 5332)은 바닥판(5320)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판(5331, 5332)은 보스부(530)의 전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스부(530)는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500)는 조작부(400)를 지지하는 조작부 지지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 지지부(570)는 제1 바닥판(5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바닥판과, 제2 바닥판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스들(571, 572, 573, 574, 575, 576)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400)의 하면에는 보스들(571, 572, 573, 574, 575, 576) 각각으로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400)의 결합부는 조작부 지지부(570)의 보스들(571, 572, 573, 574, 575, 576)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바닥판은 제1 바닥판(510)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바닥판의 아래쪽으로 공기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도 3의 100) 중 제2 바닥판이 위치하는 영역에 케이스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500)에는 에어가이드(도 4의 700)의 배출구(720)와 결합되는 배출홀(561)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561)은 조작부 지지부(570)와 제1 바닥판(5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서포터(500)는 송풍팬(600) 및/또는 인쇄 회로 기판(800)이 장착되는 메인 지지부와, 조작부(400)를 지지하는 조작부 지지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지지부는 송풍팬(600)이 장착되는 제1 영역(511)과, 인쇄 회로 기판(800)이 장착되는 제2 영역(5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서포터(500)를 이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800) 및 조작부(400)를 모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가 감소될 수 있고, 조립 공정도 단순해질 수 있다.
제1 영역(511)은 송풍팬(60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흡입홀(5111)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홀(5111)의 크기는 송풍팬(600)의 크기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제1 영역(511)은 송풍팬(600)을 장착하기 위한 송풍팬 고정홀들(5112, 5113)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600)은 송풍팬(600)의 고정부들(632, 633) 각각과 송풍팬 고정홀들(5112, 5113) 각각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볼트 등의 결합 부재에 의해 서포터(500)에 고정될 수 있다.
서포터(500)가 케이스(100)와 결합되었을 때, 케이스(100)의 제1 케이싱(110)의 상면과 제1 영역(511)의 하면 사이의 거리는 제1 케이싱(110)의 상면과 제2 영역(512)의 하면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즉, 서포터(500)는 송풍팬(600)의 흡입구(620)가 제1 케이싱(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송풍팬(600)의 흡입 면적이 실질적으로 증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서포터(500)가 케이스(100)와 결합되었을 때, 케이스(100)의 제1 케이싱(110)의 상면과 조작부 지지부(570)의 하면 사이의 거리는 제1 케이싱(110)의 상면과 제2 영역(512)의 하면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조작부 지지부(570)의 하면과 제1 케이싱(110)의 상면 사이로 공기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의 케이스(100)의 평면도이다.
제2 케이싱(121, 122, 123, 124) 및 제3 케이싱(1311, 1312, 1313, 1314, 1331, 1332, 1333, 1334, 1341, 1342)의 구조 및 기능은 도 3 등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의 제1 케이싱(110)은 케이스 흡입부(111) 및 케이스 배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흡입부(111)는 송풍팬(600)이 구동될 때 송풍팬(600)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제공한다. 케이스 흡입부(111)는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된 다공부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흡입부(111)는 케이스(100)에 서포터(500)가 장착되었을 때, 제1 영역(51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흡입부(111)의 면적은 송풍팬(600)의 흡입구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케이스 흡입부(111)의 면적은 제1 영역(511)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케이스 배출부(112)는 에어가이드(도 3 및 도 4의 700)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케이스 배출부(112)는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된 다공부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배출부(112)는 서포터(500)가 케이스(100)에 장착될 때, 서포터(500)의 조작부 지지부(57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작부 지지부(570)의 아래 부분을 공기의 유로로 이용함과 동시에, 조작부 지지부(570)의 아래 부분에 케이스 배출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의 유로 면적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 공간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상판부, 가열 모듈들, 및 상부 브라켓을 제외한 부분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500)는 케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포터(500)는 케이스(100)의 제1 케이싱(도 3의 110)의 상면에 볼트 등의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다. 서포터(500)는 흡입홀과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500)의 흡입홀은 케이스(100)의 제1 케이싱(도 3의 110)의 케이스 흡입부(도 7의 111)와 맞닿을 수 있다.
송풍팬(600) 및 인쇄 회로 기판(800)은 서포터(500)에 장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800)의 상면에는 히트 싱크(도 3의 900)를 포함한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송풍팬(600)의 흡입구는 서포터(500)의 흡입홀과 맞닿을 수 있다. 송풍팬(600)의 토출구는 에어가이드(700)의 일단과 맞닿을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는 히트 싱크를 덮도록 인쇄 회로 기판(80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는 하면과 후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의 후면에 형성된 흡입구(도 4의 710)는 송풍팬(600)의 토출구와 맞닿을 수 있고, 에어가이드(700)의 전방 아래면에 형성된 배출구(도 4의 720)는 서포터(500)의 배출홀(도 5 및 도 6의 561)과 맞닿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단면도로서, 도 8의 A-A'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송풍팬(600)이 동작하면, 전기 레인지(1)의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케이스 흡입부(111)와 서포터(500)의 흡입홀(도 5 및 도 6의 5111)을 통과하여 송풍팬(600)의 흡입구로 흡입되고, 송풍팬(600)의 토출구(도 5의 61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송풍팬(600)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700)의 흡입구(710)를 통과한 후, 에어가이드(700)를 따라 이동한다. 공기가 에어가이드(700)를 따라 이동하면서, 히트싱크 등을 냉각시킬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를 따라 이동한 공기는 에어가이드(700)의 배출구(720) 및 서포터(500)의 배출홀(561)을 통과한 후, 서포터(500)의 조작부 지지부(570)와 제1 케이싱(110) 사이로 이동하고, 케이스 배출부(112)를 통과하여 전기 레인지(1)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포터(500)가 인쇄 회로 기판(800) 및 조작부(400)를 모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인쇄 회로 기판(800) 및 조작부(400) 모두 서포터(500)의 상부에서 조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800)은 볼트 등의 체결 기구를 이용하여 서포터(500)에 고정될 수 있고, 조작부(400)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서포터(5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구성품의 수가 감소하고 조립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포터(500) 중 조작부(400)를 지지하는 부분의 아래쪽을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로 이용할 수 있다. 도한, 서포터(500)가 장착되는 케이스 중 조작부를 지지하는 부분의 아래쪽에 케이스 배출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기레인지(1)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는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된 공기가 전기레인지의 하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공기로 인한 조작부의 과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 본체부 20 : 상판부
100 : 케이스 210, 220 : 상부 브라켓
310, 320, 330 : 가열부 400 : 조작부
500 : 서포터 600 : 송풍팬
700 : 에어가이드 800 : 인쇄 회로 기판
900 : 히트 싱크

Claims (13)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
    상기 가열부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들이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조작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이격되는 전기 레인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에 장착되고, 송풍 흡입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 배출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팬;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 배출부와 연결된 가이드 흡입부와, 가이드 배출부를 포함하는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송풍 흡입구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흡입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배출부와 연결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흡입홀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케이스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제2 케이싱; 및
    상기 제2 케이싱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을 지지하는 제3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배출부는 상기 제1 케이싱에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배출부 각각은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된 다공부 형상을 가지는 전기 레인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이격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스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8.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
    상기 가열부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들이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에 장착되고, 송풍 흡입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 배출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송풍 흡입부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조작부의 아래에 형성된 케이스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 배출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전기 레인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제2 케이싱; 및
    상기 제2 케이싱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을 지지하는 제3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배출부는 상기 제1 케이싱에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배출부 각각은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된 다공부 형상을 가지는 전기 레인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 배출부와 연결된 가이드 흡입부와 가이드 배출부를 포함하는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송풍 흡입부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흡입홀 및 가이드 배출부와 연결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장착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방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와 상기 케이스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서 이격되는 전기 레인지.
KR1020210107279A 2021-05-28 2021-08-13 전기 레인지 KR20230025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279A KR20230025143A (ko) 2021-08-13 2021-08-13 전기 레인지
PCT/KR2022/007536 WO2022250486A1 (ko) 2021-05-28 2022-05-27 전기 레인지
EP22811677.8A EP4350220A1 (en) 2021-05-28 2022-05-27 Electric r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279A KR20230025143A (ko) 2021-08-13 2021-08-13 전기 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143A true KR20230025143A (ko) 2023-02-21

Family

ID=8532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279A KR20230025143A (ko) 2021-05-28 2021-08-13 전기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51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2169B2 (en) Electrical apparatus having active heat-dissipating element and air circulating system having such electrical apparatus
US9241374B2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EP2531003A2 (en) Induction Cooktop Cooling Kit
JP2002221324A (ja) フード兼用電子レンジの電装部品の冷却装置
JP2017041334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30025143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0921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0922A (ko) 전기 레인지
JP201904672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6893196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4350220A1 (en) Electric range
EP4102936A1 (en) Electric range
US20220381437A1 (en) Electric range
EP4095442A1 (en) Electric range
US20220381438A1 (en) Electric range
EP4351276A1 (en) Microwave oven
EP4350219A1 (en) Electric range
EP4096363A1 (en) Electric range
US20220381443A1 (en) Electric range
KR20230023222A (ko) 전기 레인지
EP4096355A1 (en) Electric range
JP2012104246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30099250A (ko) 전기 레인지
JP2011023374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20161105A (ko) 전기 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