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158A - 전기 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158A
KR20230123158A KR1020220019948A KR20220019948A KR20230123158A KR 20230123158 A KR20230123158 A KR 20230123158A KR 1020220019948 A KR1020220019948 A KR 1020220019948A KR 20220019948 A KR20220019948 A KR 20220019948A KR 20230123158 A KR20230123158 A KR 20230123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acking
packing part
heating uni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158A/ko
Publication of KR2023012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전기 레인지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 레인지에 따르면, 탄성 재질의 패킹부를 이용하여 가열부와 브라켓이 결합됨으로써,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브라켓에 덜 전달될 수 있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패킹부가 이동되어 브라켓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패킹부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패킹부를 브라켓에 체결할 수 있고, 패킹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가열부의 보스부가 삽입됨으로써, 브라켓 상에서의 가열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조리 기구는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 레인지 및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 레인지를 포함한다.
전기 레인지는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 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방사하거나 전도시켜 피가열체(일례로, 냄비, 프라이팬 등의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하여 코일 주변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계에서 생성된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의 기본적인 가열 원리를 살펴보면,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피가열체가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되면서 열이 생성되고, 생성된 열에 의하여 피가열체가 가열된다.
종래의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는 가열부 및 브라켓을 포함한다. 가열부는 코어 프레임 및 워킹 코일을 구비하며, 코어 프레임의 상면에 워킹 코일이 나선형으로 권선된다. 가열부는 브라켓에 장착되며, 브라켓은 가열부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가열부는 나사 결합을 통해 브라켓과 결합한다.
이 때, 워킹 코일이 구동되는 경우, 전자기 유도 현상에 따라 진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가열부와 브라켓이 나사 결합되는 경우 워킹 코일에서 발생된 진동이 브라켓으로 전달되며, 전기 레인지 전체가 흔들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EP 2,775,785 B1 EP 3,413,688 B1, EP 3,413,689 B1에서는, 워킹 코일(가열부)와 캐리어 플레이트(브라켓) 사이에 탄성 재질 부재를 배치하여 진동을 저감하는 전기 레인지의 구조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경우, 탄성 재질 부재를 워킹 코일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켜 체결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탄성 재질 부재가 워킹 코일에 체결되는 경우, 사용자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재질 부재의 일 부분이 비어 있어서 워킹 코일이 캐리어 플레이트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 재질의 패킹부를 이용하여 가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패킹부를 가열부 및 브라켓에 체결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켓 상에서의 가열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부의 진동 발생 저감 및 가열부와 브라켓의 결합을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할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하측에서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가열부와 상기 브라켓를 결합하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가열부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에 삽입되는 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열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가 삽입된 상기 패킹부는 상기 결합 홀에 하방으로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는, 코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스부는 상기 코어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부는, 상기 코어 프레임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스부는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라켓과 상기 가열부의 결합 시, 상기 브라켓의 상면과 상기 결합부의 하면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과 상기 코어 프레임의 하면 사이의 제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는 관통 형성된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삽입홀에 상기 보스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삽입홀의 높이는 상기 보스부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스부의 높이는 상기 삽입홀의 높이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보스부의 하단은 상기 패킹부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는 제1, 제2 및 제3 부분으로 구성되되, 상기 패킹부의 제1 부분은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패킹부의 제2 부분은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패킹부의 제3 부분은, 상기 패킹부의 제1 및 제2 부분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 홀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은 상기 패킹부의 제1, 제2 및 제3 부분 각각의 중심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패킹부의 제3 부분의 길이는 상기 패킹부의 제1 및 제2 부분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패킹부의 제1 부분의 길이는 상기 패킹부의 제2 부분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의 제1 및 제2 부분 각각의 크기는 상기 결합 홀의 크기보다 클 수 있고, 상기 패킹부의 제3 부분의 크기는 상기 결합 홀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패킹부의 제2 부분의 길이는 하방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의 하면이 상기 브라켓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패킹부의 제1 부분은 제1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의 하면이 상기 브라켓의 상면과 미리 설정된 간격 이상 떨어지도록 상기 패킹부의 제1 부분은 제2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부가 삽입된 상기 패킹부의 일 부분은 상기 브라켓의 상측에서 상기 브라켓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결합 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재질의 패킹부를 이용하여 가열부와 브라켓이 결합됨으로써,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브라켓에 덜 전달될 수 있다. 결국, 전기 레인지 자체의 진동이 저감될 수 있고 전기 레인지의 흔들림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패킹부가 이동되어 브라켓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패킹부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패킹부를 브라켓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킹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가열부의 보스부가 삽입됨으로써, 브라켓 상에서의 가열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보스부가 삽입된 패킹부가 브라켓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가열부의 진동 발생 저감 및 가열부와 브라켓의 결합을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할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일부 부품이 생략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일부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일부 부품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일부 부품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패킹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패킹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열부와 상부 브라켓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 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 방향"은 전기 레인지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 레인지의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좌우 방향"은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 방향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 방향" 또는 "측 방향"은 좌우 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좌표 축에서, x축 및 -x축 방향을 전방 및 후방으로, y축 및 -y축 방향을 우측방 및 좌측방으로, z축 및 -z축 방향을 상방 및 하방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일부 부품이 생략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일부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피가열체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철 등의 금속 재질을 함유하는 식기일 수 있다.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워킹 코일(31)에 인가하여 워킹 코일(31) 주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생성된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즉, 워킹 코일(31)이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와 인접한 구조를 가진 가열부(30)에 고주파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워킹 코일(31)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된다. 발생된 자기장의 영역 내에 피가열체가 놓이면, 피가열체에는 자기장에 의해 와전류가 유도되고, 와전류에 의해 줄열(Joule's heat)이 발생하여 피가열체가 가열될 수 있다. 피가열체가 가열됨으로써, 피가열체에 담긴 음식물이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케이스(10), 커버 플레이트(20), 가열부(30), 상부 브라켓(40) 및 베이스 브라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기 레인지를 구성하는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0)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케이스(10)는 워킹 코일(31)에 의해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단열 처리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가열부(30), 상부 브라켓(40), 제어 보드(90) 등의 전기 레인지를 이루는 부품이 수납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부는 개방되지만, 이러한 개방 부위는 커버 플레이트(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판형의 재료를 가공하여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제1 케이싱(110), 제2 케이싱(120) 및 제3 케이싱(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싱(110)은 케이스(1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케이싱(110)은 전술한 전기 레인지의 내장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케이싱(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111a, 111b)가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111a, 111b)는 제1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 및 인쇄 회로 기판(70)에 장착되는 회로 소자 또는 전자 소자의 냉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제2 케이싱(120)은 제1 케이싱(11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케이스(1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케이싱(120)은 제1 케이싱(110)의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전기 레인지의 측벽이 될 수 있다.
대체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케이싱(110)의 각 변에 제2 케이싱(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케이싱(120)은 케이스(1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제1 케이싱(110)이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2 케이싱(120)이 제1 케이싱(110)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싱(120)은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는 배기홀(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홀(121)은 케이스(10)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기홀(12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으며, 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는 부품이 냉각될 수 있다.
제3 케이싱(130)은 제2 케이싱(120)의 일부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케이싱(130)은 후술할 보스부(513)와 함께 상부 브라켓(40)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케이싱(130)은 제1 케이싱(110)의 적어도 일부의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케이싱(130)의 상면에는 상부 브라켓(4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상부판(41)이 안착할 수 있고, 제1 상부판(41)과 제3 케이싱(130)은 볼트 등의 결합 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는 케이스(10)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는 케이스(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여 케이스(10)에 수납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피가열체가 놓이고, 가열부(3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커버 플레이트(20)를 통과하여 피가열체에 도달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는 예를 들어, 세라믹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의 특정 영역 설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전기 레인지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강도나 가열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입력 인터페이스는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부에는 전기 레인지에 작동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 보드(9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 보드(90)는 복수의 키 스위치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키 스위치를 통해 제어 보드(90)에 명령을 입력하여 전기 레인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보드(90)는 제어 보드 브라켓(91)에 안착될 수 있고, 제어 보드 브라켓(91)은 제1 케이싱(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보드(90)의 상면은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어 보드(90)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보드(90)와 입력 인터페이스는 정전식 터치 입력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 명령은 제어 보드(90)에 입력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의 특정 영역에는 전기 레인지의 구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광 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부에는 광원 유닛(95)이 배치될 수 있고, 광원 유닛(95)에서 방사된 빛이 광 표시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광 표시 영역과 광원 유닛(95)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 유닛(95)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광 표시 영역도 동일한 개수로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30)는 복수로 구비되고, 커버 플레이트(20)의 하측에 배치되며,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레인지는 제1, 제2 및 제3 가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열부(30)는 전기 레인지의 제1 측, 즉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출력의 가열부일 수 있다. 제2 및 제3 가열부(30)는 전기 레인지의 제2 측, 즉 좌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저출력의 가열부일 수 있다. 제2 및 제3 가열부(30)는 전기 레인지의 좌측에서 전후방으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열부(30)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가열부(30) 중 일부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구현되고, 나머지는 전기 저항 가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하이라이트 가열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 레인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가열부(30)가 모두 유도 가열 방식으로 구비되는 전기 레인지를 기준으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온도 센서(60)는 커버 플레이트(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60)에서 감지된 온도는 가열부(30)의 온도의 추정에 사용될 수 있다. 온도 센서(60)는 가열부(30)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60)는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는 온도 센서(60)를 가열부(30)의 중앙부에 장착하기 위한 센서 브라켓(61)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브라켓(61)은 가열부(30)의 중앙부에 장착되고, 센서 브라켓(61)의 내부에 온도 센서(60)가 장착될 수 있다.
가열부(30)는 상부 브라켓(4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상부 브라켓(40)이 전기 레인지에 구비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의 제1 측에 구비된 상부 브라켓(40)은 고출력의 가열부(30)를 지지할 수 있고, 전기 레인지의 제2 측에 구비된 상부 브라켓(40)은 저출력의 가열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물론, 가열부(30) 및 상부 브라켓(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부(3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가열부(30)를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40)도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30)은 워킹 코일(31), 코어 프레임(32)을 포함하며, 코어 프레임(32)의 하면에 페라이트 코어가 설치될 수 있다. 워킹 코일(31)은 코어 프레임(32)의 상면에 나선형으로 권선될 수 있다. 워킹 코일(31)에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면, 페라이트 코어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기장을 피가열체에 와전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은 가열부(30)의 하측에 배치되어 가열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은 제1 브라켓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부 브라켓(40)은 제1 상부판(41) 및 제2 상부판(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은 상부 브라켓(4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가열부(3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은 하부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을 상하 방향으로 가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이 복수인 경우, 인쇄 회로 기판(70)의 면적에 따라, 하나의 제1 상부판(41)이 또는 복수의 제1 상부판(41)들이 서로 결합하여 인쇄 회로 기판(70)을 가릴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은, 가열부(30)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장 및 전자기파가 인쇄 회로 기판(70) 및 이에 설치된 전자 소자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행할 수 있다. 즉, 상부 브라켓(40)은 인쇄 회로 기판(70)에 대하여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및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상부판(42)은 제1 상부판(41)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상부판(42)은 전기 레인지의 상하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제2 상부판(42)은 제1 상부판(41)의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체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상부판(41)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 제2 상부판(4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부판(42)은 상부 브라켓(4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제1 상부판(41)이 가열부(30)를 포함하는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2 상부판(42)이 제1 상부판(41)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에는 광원 유닛(95)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유닛(95)은 상부 브라켓(40)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70)에 구비되고, 상부 브라켓(40)에는 광원 유닛(9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브라켓 상에 광원 유닛(95)이 배치되고, 광원 유닛(95)은 하부의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0)에는 광원 유닛(95)에 대응하는 부위에 광 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유닛(95)은, 예를 들어, 복수의 LED가 일렬로 정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광원 유닛(95)은 가열부(30)가 작동하는 경우에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가열부(30)의 작동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또는, 광원 유닛(95)은 복수의 LED의 점등 모양, 색깔 등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전기 레인지의 작동 상태를 알려줄 수도 있다.
광원 유닛(95)의 개수는 가열부(30)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3개의 가열부(30)에 대하여 3개의 광원 유닛(95)이 구비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광원 유닛(95)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브라켓(50)은 제2 브라켓으로 호칭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50)은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배치되고, 인쇄 회로 기판(70)이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50)은 바닥판(51a, 51b)과 측판(5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51a, 51b)은 베이스 브라켓(5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일부의 바닥판(51a)의 상면에 인쇄 회로 기판(70)이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일부의 바닥판(51b)에는 보스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513)는 앞서 설명한 제3 케이싱(130)과 함께 상부 브라켓(40)를 지지할 수 있다
측판(52)은 바닥판(51a, 51b)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판(52)은 전기 레인지의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판(52)은 바닥판(51)의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체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판(51)의 각 변에 측판(52)이 배치될 수 있다.
측판(52)은 베이스 브라켓(5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바닥판(51)이 회로 기판 등의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측판(52)이 바닥판(51)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0)은 제어부를 구성할 수 있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0)은 제어 보드(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 보드(9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0)은 광원 유닛(95)과 워킹 코일(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0)에는 복수의 전자 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소자는 구동 회로부를 구성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는 가열부(30)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0)에는 히트 싱크(71)가 장착될 수 있다.
히트 싱크(71)는 케이스(10) 내부의 열을 냉각할 수 있으며, 특히 인쇄 회로 기판(70)에 설치된 일부의 전자 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할 수 있다. 더욱이, 히트 싱크(71)는 케이스(10)에 수납되는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히트 싱크(7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방열 부재에 의해 냉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송풍 팬(80)은 베이스 브라켓(5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케이스(10)를 냉각시키는 외부 공기를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브라켓(50)의 특정 영역, 일례로 후측 영역에는 제1 관통홀(511)이 형성될 수 있고, 송풍 팬(80)은 제1 관통홀(5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관통홀(511)은 제1 통풍구(111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제1 통풍구(111a) 및 제1 관통홀(511)을 통해 송풍 팬(80)으로 유입될 수 있고, 송풍 팬(80)으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 팬(80)의 토출구에서 강제 유동하여 토출될 수 있다.
송풍 팬(80)에서 제공된 공기는 인쇄 회로 기판(7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송풍 팬(80)은 히트 싱크(71)와 특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송풍 팬(80)에서 토출된 공기의 일부는 히트 싱크(71)로 제공될 수 있다. 송풍 팬(80)에서 토출된 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히트 싱크(71)의 외부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5)는 송풍 팬(80)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5)는 히트 싱크(71)를 감싸도록 인쇄 회로 기판(7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가이드(85)는 송풍 팬(80)에서 토출된 공기를 히트 싱크(71)로 전달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5)의 제1 측, 일례로 후방 측은 송풍 팬(80)의 토출구와 연결될 수 있고, 에어 가이드(85)의 제2 측, 일례로 전방 측은 베이스 브라켓(50)의 전방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 브라켓(50)의 전측에는 제2 관통홀(5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관통홀(512)은 제2 통풍구(111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히트 싱크(71)를 냉각한 공기는 에어 가이드(85)의 제2 측으로 유동한 후 제2 관통홀(512) 및 제2 통풍구(111b)를 통해 케이스(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상부 브라켓(40)에 의해 지지되는 가열부(30)의 형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일부 부품을 일 방향(즉, 상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일부 부품을 다른 방향(즉,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5 및 도 6에서는 전좌측 가열부(즉, 제2 가열부)(30)가 좌측 상부 브라켓(40)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는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 간의 결합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후좌측 가열부(즉, 제3 가열부)(30)를 도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후좌측 가열부(30)가 좌측 상부 브라켓(40)에 결합된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었으므로,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더불어, 도 5 및 도 6에 설명되는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 간의 결합 구조는 우측 가열부(즉, 제1 가열부)(30)가 우측 상부 브라켓(40)에 결합되는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패킹부(34)를 이용하여 가열부(30) 및 상부 브라켓(4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먼저, 가열부(3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열부(30)는 워킹 코일(31), 코어 프레임(32) 및 페라이트 코어(33)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프레임(32)은 가열부(30)의 전체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코어 프레임(32)의 상면에는 워킹 코일(31)이 나선형으로 권선될 수 있다. 코어 프레임(32)의 하면에는 페라이트 코어(33)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워킹 코일(31)에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면, 페라이트 코어(33)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기장이 피가열체에 와전류를 형성하여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워킹 코일(31)은 코어 프레임(32)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후,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코어 프레임(3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워킹 코일(31)은 제1 측(31a) 및 제2 측(31b)을 포함할 수 있다. 워킹 코일(31)의 제1 측(31a)은 코어 프레임(320)으로 인입되는 워킹 코일(31)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워킹 코일(31)의 제2 측(31b)은 코어 프레임(320)으로부터 인출되는 워킹 코일(31)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워킹 코일(31)의 제1 및 제2 측(31a, 31b)은 코어 프레임(32)의 하방에서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워킹 코일(31)의 제1 측(31a) 및 제2 측(31b)은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워킹 코일(31)의 제1 측(31a) 및 제2 측(31b)은 상부 브라켓(40)을 관통하여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는 코어 프레임(32)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온도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어 프레임(3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온도 센서(60)가 장착될 수 있다. 온도 센서(60)는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선(6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온도 센서(60)의 전선(63)은 상부 브라켓(40)을 관통하여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는 온도 센서(60)를 코어 프레임(32)에 장착하기 위한 센서 브라켓(61)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브라켓(61)은 코어 프레임(32)의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센서 브라켓(61)의 내부에 온도 센서(6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센서 브라켓(61)에는 퓨즈가 장착될 수 있다.
온도 센서(60)는 전기 레인지의 구동 시 커버 플레이트(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부(30)의 온도가 추정될 수 있다. 가열부(30)에서 발생하는 열은 가열부(30)뿐만 아니라, 가열부(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70) 및 이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 소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가열부(30)의 온도가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전기 레인지의 작동을 중단시키거나, 송풍 팬(80)을 제어하여 냉각 용량을 증가시키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브라켓(40)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321)는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에 서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321) 각각은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21)의 하면 및 코어 프레임(32)의 하면은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결합부(321)의 하면은 코어 프레임(32)의 하면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 브라켓(40)과 가열부(30)가 결합되는 경우, 상부 브라켓(40)의 상면과 결합부(30)의 하면 사이의 제1 거리는 상부 브라켓(40)의 상면과 코어 프레임(32)의 하면 사이의 제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321) 각각의 하면에는 보스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스부(322)는 코어 프레임(32)에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322)는 결합부(32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보스부(322)가 원기둥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다. 즉, 보스부(322)는 사각 기둥 형상 또는 기타 다양한 형상일 수도 있다.
보스부(322)는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과 가열부(30)가 결합되는 경우, 보스부(322)는 상부 브라켓(40)을 관통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브라켓(4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브라켓(40)은 가열부(30)의 하측에 배치되어 가열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은 제1 상부판(41) 및 제2 상부판(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은 상부 브라켓(40)의 바닥면을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은 하부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을 상하 방향으로 가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자리는, 제3 케이싱(130)에 안착되고, 나사 등을 통해 제3 케이싱(13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상부판(42)은 제1 상부판(41)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자리에서 전기 레인지의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제2 상부판(42)은 제1 상부판(41)의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및 후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 중 제1 상부판(41)에는 함몰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43)는 제1 상부판(41)에서 하방 포밍(forming)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몰부(43)는 제1 상부판(41)의 상방에서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43)는 코어 프레임(32)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43)는 코어 프레임(32)의 지름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43)는 제1 및 제2 측(43a, 43b)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3)의 제1 측(43a)은 코어 프레임(32)의 중심부와 대응되는 제1 상부판(43a)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브라켓(61)과 함몰부(43)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함몰부(43)의 제1 측(43a)은 센서 브라켓(61)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함몰부(43b)의 제2 측(43b)은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43)는 온도 센서(60)의 전선(63) 및 가열부(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워킹 코일(31)의 제1 측(31a)과 연결되는 워킹 코일(31)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즉, 함몰부(43)가 형성됨으로써, 온도 센서(60)의 전선(63) 및 워킹 코일(31)의 일부분과 가열부(30)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43)의 가장자리(431)는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절곡된 함몰부(43)의 가장자리(431)는 제1 상부판(41)과 연결될 수 있다. 절곡된 함몰부(43)의 가장자리(431)로 인해 상부 브라켓(4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에는 복수의 관통홀(44a, 44b, 44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44a, 44b, 44c)은 제1 상부판(41)의 상측에 위치한 전선(63) 및 워킹 코일(31)의 제1 및 제2 측(31a, 31b)을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시킬 수 있다.
제1 관통홀(44a)은 가열부(30)에 장착된 온도 센서(60)의 전선(63)을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 또는 삽입시키기 위해 제1 상부판(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된 온도 센서(60)의 전선(63)은 제1 관통홀(44a)을 통해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관통홀(44b)은 워킹 코일(31)의 제1 측(31a)을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 또는 삽입시키기 위해 제1 상부판(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관통홀(44c)은 워킹 코일(31)의 제3 측(31c)을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 또는 삽입시키기 위해 제1 상부판(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된 워킹 코일(31)의 제1 및 제2 측(31a, 31b)은 제2 및 제3 관통홀(44b, 44c)을 통해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에는 복수의 결합홀(44d)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홀(44d)은 가열부(30)와의 결합을 위해 제1 상부판(41)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홀(44d), 복수의 결합부(321) 및 복수의 보스부(322) 각각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과 가열부(30)가 결합되는 경우, 복수의 결합홀(44d) 각각으로 대응되는 보스부(322)가 관통될 수 있다.
계속하여, 패킹부(34)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패킹부(34) 각각은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을 결합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복수의 패킹부(34), 복수의 결합홀(44d), 복수의 결합부(321), 복수의 보스부(322) 각각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34)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34)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패킹부(34)를 통한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패킹부(34) 내에는 보스부(32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킹부(34)에는 관통 형성된 삽입홀(344)이 포함될 수 있다.
패킹부(34)는 탄성 및 절연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패킹부(34)는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패킹부(34)가 탄성 재질로 구현됨으로써 가열부(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부 브라켓(40)에 전달되는 것이 저감 또는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킹부(34)는 제1 부분(341), 제2 부분(342) 및 제3 부분(3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킹부(34)의 제1 부분(341)은 패킹부(34)의 상부 부분일 수 있다. 패킹부(34)의 제2 부분(342)은 패킹부(34)의 하부 부분일 수 있다. 패킹부(34)의 제3 부분(343)은 패킹부(34)의 제1 및 제2 부분(341, 34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패킹부(3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패킹부(34)의 제3 부분(343)의 길이는 패킹부(34)의 제1 및 제2 부분(341, 342)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패킹부(3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패킹부(34)의 제1 부분(341)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패킹부(34)의 제2 부분(342)의 길이는 하방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패킹부(34)의 제1 부분(341)의 길이는 패킹부(342)의 제2 부분(342)의 길이(즉, 패킹부(342)의 제2 부분(342)의 평균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도 8의 (a)은 패킹부(34)의 제1 실시예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고, 도 8의 (b)는 패킹부(34)의 제2 실시예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34)의 제2 부분(342)의 길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34)의 제2 부분(342)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패킹부(34)의 제1 부분(341)은 상부 브라켓(4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패킹부(34)의 제1 부분(341)의 하면은 상부 브라켓(4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패킹부(34)의 제2 부분(342)은 상부 브라켓(4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패킹부(34)의 제2 부분(342)의 상면은 상부 브라켓(4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패킹부(34)의 제3 부분(343)은 결합홀(44d)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삽입홀(344)은 패킹부(34)의 제1, 제2 및 제3 부분(341, 342, 343) 각각의 중심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홀(344)의 높이는 보스부(322)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고, 보스부(322)의 외측면은 삽입홀(344)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보스부(322)가 패킹부(34)에 삽입되는 경우, 삽입부(344)의 전체 영역이 보스부(322)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보스부(322)가 삽입된 패킹부(34)는 결합홀(44d)에 하방으로 끼워질 수 있다.
세부적으로, 패킹부(34)의 제1 및 제2 부분(341, 342)의 크기는 결합홀(44d)의 크기보다 클 수 있고, 패킹부(34)의 제3 부분(343)의 크기는 결합홀(44d)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킹부(34)는 탄성 재질일 수 있고, 패킹부(34)의 제2 부분(342)의 길이는 하방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킹부(34)의 형상으로 인해, 보스부(322)가 삽입된 패킹부(34)의 제2 부분(342)는 결합홀(44d)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여(즉, 하방 이동하여) 결합홀(44d)에 끼워질 수 있다. 즉, 보스부(322)가 삽입된 패킹부(34)의 일 부분(즉, 제2 부분(342))은 상부 브라켓(32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결합홀(3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은 패킹부(3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34)의 제1 부분(341)의 높이는 제1 높이(d1)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부(30)의 하면, 즉 코어 프레임(32)의 하면(32a)은 상부 브라켓(4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34)의 제1 부분(341)의 높이는 제2 높이(d2)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부(30)의 하면, 즉 코어 프레임(32)의 하면(32a)은 상부 브라켓(40)의 상면과 미리 설정된 간격 이상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부(322)의 높이는 삽입홀(344)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즉, 삽입홀(344)에 삽입된 보스부(322)의 하단은 패킹부(34)의 하면, 즉 패킹부(34)의 제3 부분(343)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를 전체적으로 참조하면, 보스부(322)가 삽입홀(344)에 삽입된 경우, 보스부(322)의 하단은 상부 브라켓(40)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보스부(322)의 최소 높이는, 삽입홀(344)에 삽입된 보스부(322)의 하단이 상부 브라켓(40)의 상면의 아래로 배치되는 높이 또는 삽입홀(344)에 삽입된 보스부(322)의 하단이 결합홀(44d)로 관통되도록 하는 높이일 수 있다.
이하, 패킹부(34)를 이용한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의 결합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풀 브릿지 소자를 적용한 워킹 코일(31)로 가열부(30)를 구현하는 경우, 워킹 코일(31)의 질량이 증가하고 워킹 코일(31)에 가해지는 에너지 역시 증가한다. 따라서, 가열부(30)의 구동 시, 워킹 코일(31)에서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나사 결합으로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을 결합하는 경우, 워킹 코일(31)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부 브라켓(40)으로 전달되어 전기 레인지 전체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재질(일례로, 실리콘 재질)의 패킹부(34)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보스부(322)가 가열부(30)에 구비되고, 삽입홀(344)이 형성된 패킹부(34)에 보스부(322)가 삽입되며, 보스부(322)가 삽입된 패킹부(34)는 상부 브라켓(40)에 형성된 결합홀(44d)에 하방으로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패킹부(34)에 의해 가열부(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부 브라켓(40)에 덜 전달될 수 있다. 결국, 전기 레인지 자체의 진동이 저감될 수 있고 전기 레인지의 흔들림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프레임(32)의 하면(32a)이 상부 브라켓(40)의 상면과 미리 설정된 간격 이상 떨어져서 배치됨으로써 코어 프레임(32)의 하면(32a)이 상부 브라켓(40)의 상면과 접촉하지 않아 전기 레인지 자체의 진동 및 흔들림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패킹부(34)가 이동되어, 즉 하방 이동되어 상부 브라켓(4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패킹부(34)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패킹부(34)를 상부 브라켓(40)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킹부(34)에 형성된 삽입홀(344)에 가열부(30)의 보스부(322)가 삽입되고, 삽입부(344)의 전체 영역이 보스부(322)에 의해 채워짐으로써, 상부 브라켓(40) 상에서의 가열부(30)의 수평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보스부(322)가 삽입된 패킹부(34)가 상부 브라켓(4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가열부(30)의 진동 발생 저감 및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의 결합을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할 있다.
특히, 삽입홀(344)에 삽입된 보스부(322)의 하단이 상부 브라켓(40)의 상면의 아래로 배치되도록 보스부(322)의 최소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2개의 강체인 상부 브라켓(40)과 보스부(322) 사이에 탄성 재질의 패킹부(34)가 위치하여 패킹부(34)의 비틀림을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가열부(30)가 상부 브라켓(4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하측에서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가열부와 상기 브라켓를 결합하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에 삽입되는 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열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가 삽입된 상기 패킹부는 상기 결합홀에 하방으로 끼움 결합되는,
    전기 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코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는 상기 코어 프레임에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상기 코어 프레임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는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가열부가 결합된 경우, 상기 브라켓의 상면과 상기 결합부의 하면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과 상기 코어 프레임의 하면 사이의 제2 거리보다 큰,
    전기 레인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관통 형성된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에 상기 보스부가 삽입되는,
    전기 레인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높이는 상기 삽입홀의 높이 이상인,
    전기 레인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최소 높이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보스부의 하단이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의 아래로 배치되는 높이인,
    전기 레인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제1, 제2 및 제3 부분으로 구성되되,
    상기 패킹부의 제1 부분은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패킹부의 제2 부분은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접촉하고,
    상기 패킹부의 제3 부분은, 상기 패킹부의 제1 및 제2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전기 레인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패킹부의 제1, 제2 및 제3 부분 각각의 중심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패킹부의 제3 부분의 길이는 상기 패킹부의 제1 및 제2 부분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패킹부의 제1 부분의 길이는 상기 패킹부의 제2 부분의 길이보다 큰,
    전기 레인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의 제1 및 제2 부분 각각의 크기는 상기 결합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패킹부의 제3 부분의 크기는 상기 결합홀의 크기와 동일한,
    전기 레인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패킹부의 제2 부분의 길이는 하방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전기 레인지.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하면이 상기 브라켓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패킹부의 제1 부분은 제1 높이를 가지는,
    전기 레인지.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하면이 상기 브라켓의 상면과 미리 설정된 간격 이상 떨어지도록 상기 패킹부의 제1 부분은 제2 높이를 가지는,
    전기 레인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가 삽입된 상기 패킹부의 일 부분은 상기 브라켓의 상측에서 상기 브라켓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결합홀에 끼움 결합되는,
    전기 레인지.
KR1020220019948A 2022-02-16 2022-02-16 전기 레인지 KR20230123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948A KR20230123158A (ko) 2022-02-16 2022-02-16 전기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948A KR20230123158A (ko) 2022-02-16 2022-02-16 전기 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158A true KR20230123158A (ko) 2023-08-23

Family

ID=8784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948A KR20230123158A (ko) 2022-02-16 2022-02-16 전기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31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3158A (ko) 전기 레인지
KR20220080379A (ko) 전기 레인지
EP4096358A1 (en) Electric range
KR20220161026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027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032A (ko) 가전 기기 및 이에 설치되는 히트 싱크
KR20220165594A (ko) 전기 레인지
KR102419666B1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031A (ko) 가전 기기
KR20220161029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028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030A (ko) 전기 레인지
US11774106B2 (en) Electric range
KR20220160921A (ko) 전기 레인지
KR20220072207A (ko) 전기 레인지
JP2019220338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20080380A (ko) 전기 레인지
EP3792554A1 (en) Embossed feature for cooktop assembly
KR20220060669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105A (ko) 전기 레인지
KR20230023222A (ko) 전기 레인지
KR20230099250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106A (ko) 전기 레인지
KR20220072208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8066A (ko) 전기 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