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889A -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889A
KR20220160889A KR1020210069094A KR20210069094A KR20220160889A KR 20220160889 A KR20220160889 A KR 20220160889A KR 1020210069094 A KR1020210069094 A KR 1020210069094A KR 20210069094 A KR20210069094 A KR 20210069094A KR 20220160889 A KR20220160889 A KR 20220160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lectronic device
light
ski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선
오영재
정지운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0889A/ko
Priority to PCT/KR2022/005050 priority patent/WO2022250284A1/ko
Priority to EP22811477.3A priority patent/EP4261527A1/en
Priority to US17/736,369 priority patent/US20220383605A1/en
Publication of KR2022016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33Handh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3Mechanical elements; Supports for optical elements; Scan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photometry standard sources, also using luminescent or radioactiv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9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easurement of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55Details, e.g. use of specially adapted sources, lighting or optical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원부를 통해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 SUNSCREEN APPLIED TO A USER'S SK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와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가전 기기들(smart devices)도 보급되고 있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자 장치 제조사들은 다른 가전 기기들과 연계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도 점점 고도화 되고 있다.
피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도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촬영 장치가 필요하다. 예컨대, 자외선 반사광을 인식할 수 있는 자외선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자외선 카메라는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싸 일반 사용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없었다. 즉, 일반 사용자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도포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도포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원부를 통해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광원부를 통해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상기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각각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제1광을 출력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1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가 제1광을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2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각각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도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부터 도 2d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광의 출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획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광의 출력을 제어하여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1광의 출력을 제어하여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의 밝기 차이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를 획득하고, 제3이미지를 시각화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화장품 정보에 기초하여 제1광 또는 제2광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자외선 차단 성분에 기초하여 제1광 또는 제2광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2광의 출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2광을 출력하여 제4이미지를 획득하고, 제4이미지를 시각화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부터 도 14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a부터 도 15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1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제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진 화장품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2a부터 도 2d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a부터 도 2d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 202)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4, 205)는, 도 1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 또는 202)는, 카메라(240 또는 24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예컨대, 사용자의 얼굴)를 촬영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 또는 202)는,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출력할 수 있는 광원부(250 또는 251)를 통해 광(예컨대,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출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광원부(250 또는 251)를 통해 자외선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여 제1이미지를 획득하고, 자외선을 출력하지 않은 상태(예컨대, 광원부(250 또는 251)를 통해 아무런 광도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여 제2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이미지는, 제1광이 출력된 상태에서 카메라(25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가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이미지는, 제1광이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25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가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1 또는 202)는,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에 기초하여 화장품,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차단 성분이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 또는 202)는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화장품,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2)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스마트 미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c와 도 2d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204 또는 205)에 포함된 광원부(252 또는 290)가 광을 출력하도록 외부 전자 장치(204 또는 205)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도 2c의 (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204)에 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전자 장치(204)는,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출력할 수 있는 광원부(252)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도 2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전자 장치(204)에 거치된 상태에서 홀(275) 사이로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도 2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전자 장치(204)의 후면부에 위치한 거치대(277) 상에 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도 2d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205)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외부 전자 장치(205)는, 외부 전자 장치(205)의 탈부착 수단(미수단)을 통해 전자 장치(201)에 부착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5)는,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전자 장치(205)는, 액세서리 형태의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1)는, 자체적인 광원부(25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c와 도 2d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204)에 거치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205)가 부착된 상태에서, 카메라(2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204 또는 205)에 포함된 광원부(252 또는 290)가 광(예컨대,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출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광원부(252 또는 290)가 자외선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여 제1이미지를 획득하고, 자외선을 출력하지 않은 상태(예컨대, 광원부(252 또는 290))가 아무런 광도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여 제2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에 기초하여 화장품,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차단 성분이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화장품,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1)는, 도 2의 전자 장치(201, 202)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프로세서(320), 메모리(330), 카메라(340)(예컨대,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또는 도 2의 카메라(240)), 발광부(350)(예컨대, 도 2의 발광부(250)), 디스플레이(360)(예컨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 및 통신 모듈(370)(예컨대,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3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20)는, 카메라(33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고,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화장품 또는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카메라(33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때, 광원부(350)의 광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광원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350)는, 자외선 및/또는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광원부(350)를 통해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카메라(34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제1이미지를 촬영한 후, 광원부(350)를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카메라(34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변환된 픽셀값을 이용하여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20)는,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화장품 내에 자외선 차단 성분이 포함된 경우, 자외선 차단 성분이 도포된 정도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3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광은, 자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자외선 차단제)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화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각화된 이미지는 명암비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피부에 자외선 차단 성분이 도포된 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통신 모듈(37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304 및/또는 305)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20)는, 카메라(33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때,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외부 전자 장치(304 또는 305)에 포함된 광원부(380 또는 390)의 광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광원부(380 또는 39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380 또는 390)는, 자외선 및/또는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304 또는 305)가 제1광을 출력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304 또는 305)로 제1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304 또는 305)가 제1광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카메라(34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제1이미지를 촬영한 후, 외부 전자 장치(304 또는 305)가 제1광을 출력하지 않도록 외부 전자 장치(304 또는 305)로 제2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카메라(34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변환된 픽셀값을 이용하여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36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304)에 포함된 디스플레이(385)에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외부 전자 장치(304)로 제3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20)는,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도 외부 전자 장치(304)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사용된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이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20)는, 카메라(340)를 통해 화장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와 메모리(330)에 저장된 화장품들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해당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이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20)는, 사용자로부터 화장품에 대한 정보(예컨대, 이름 또는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이나 종류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320)는 제1이미지 촬영 전에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고, 사용자의 피부에 백탁 현장이 확인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이나 종류를 확인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20)는, 확인 결과에 따라 광원부(350)로부터 제1광(예컨대, 자외선) 또는 제2광(예컨대, 가시광선) 중 어느 광을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2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광원부(350)로부터 제1광 또는 제2광 중 어느 광을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가 반사형 자외선 차단제(예컨대, 진콕사이드 성분이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인 경우에, 광원부(350)을 통해 제1광과 다른 제2광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304 또는 305)가 제2광을 출력하도록 외부 전자 장치(304 또는 305)로 제4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제2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카메라(34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4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제4이미지는, 제2광이 출력된 상태에서 카메라(34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가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제4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3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광은, 가시광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가 반사형 자외선 차단제(예컨대, 진콕사이드 성분이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인 경우에도, 광원부(350)을 통해 제1광을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제1광의 출력을 이용하는 방법은,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과 무관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의 전자 장치(301)가 수행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작의 주체는 전자 장치(301)로 가정하고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광의 출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획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401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제1광은, 광원부(350) 또는 외부 전자 장치(304 또는 305)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광은, 자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403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405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제3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3이미지에서,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영역은, 어둡게(또는 검은톤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제3이미지에서,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은, 밝게(또는 하얀톤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407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디스플레이(360) 또는, 외부 전자 장치(304)의 디스플레이(385)에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제3이미지에 컬러 스페이스를 변환(예컨대, RGB를 HSV로 변환)하여 시각화된 제5이미지를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301)는, 일반 사진과 같은 제2이미지에 제3이미지의 명암 특성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제6이미지를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5이미지 또는 제6이미지에서,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영역은 어둡게(또는 검은톤으로) 표시되고,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은 밝게(또는 하얀톤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광의 출력을 제어하여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카메라(340)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센싱된 빛의 밝기에 대응하는 신호를 픽셀값들로 변환하여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는 복수의 픽셀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밝기값과 픽셀값 사이의 관계식에 기초하여, 센싱된 빛의 밝기에 대응하는 신호를 픽셀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501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1이미지의 제1픽셀값들을 제1밝기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밝기값과 픽셀값 사이의 관계식에 기초하여 제1픽셀값들을 제1밝기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503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2이미지의 제2픽셀값들을 제2밝기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밝기값과 픽셀값 사이의 관계식에 기초하여 제2픽셀값들을 제2밝기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505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1밝기값들과 상기 제2밝기값들의 차이값들을 픽셀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제1밝기값들 각각과 제2밝기값들 각각의 차이값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밝기값과 픽셀값 사이의 관계식에서, 확인된 차이값을 밝기값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밝기값에 대응하는 픽셀값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301)는, 제1밝기값들과 상기 제2밝기값들의 차이값들을 밝기값과 픽셀값 사이의 관계식의 밝기값으로 결정하고, 밝기값과 픽셀값 사이의 관계식에 기초하여 결정된 밝기값을 다시 픽셀값들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507에서, 전자 장치(301)는, 변환된 픽셀값들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301)는,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시인성이 강화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301)는, 자외선 카메라가 아닌 일반 카메라(340)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1광의 출력을 제어하여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촬영할 때, 카메라(340)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센싱된 빛의 밝기에 대응하는 신호를 바로 확인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601에서, 전자 장치(301)는, 카메라(340)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센싱된 빛의 밝기에 대응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1이미지의 제1밝기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603에서, 전자 장치(301)는, 카메라(340)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센싱된 빛의 밝기에 대응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2이미지의 제2밝기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605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1밝기값들과 상기 제2밝기값들의 차이값들을 픽셀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제1밝기값들 각각과 제2밝기값들 각각의 차이값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밝기값과 픽셀값 사이의 관계식에서, 확인된 차이값을 밝기값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밝기값에 대응하는 픽셀값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301)는, 제1밝기값들과 상기 제2밝기값들의 차이값들을 밝기값과 픽셀값 사이의 관계식의 밝기값으로 결정하고, 밝기값과 픽셀값 사이의 관계식에 기초하여 결정된 밝기값을 다시 픽셀값들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607에서, 전자 장치(301)는, 변환된 픽셀값들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의 밝기 차이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메모리(330)에 밝기값과 픽셀값 사이의 관계식(710)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픽셀값은 밝기에 따라 0부터 255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관계식(710)에 기초하여 카메라(340)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에 센싱된 빛의 밝기에 대응하는 신호를 픽셀값들로 변환하고, 변환된 픽셀값들에 기초하여 제1이미지(IM1) 및 제2이미지(IM2)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관계식(710)에 기초하여 제1이미지(IM1)의 제1픽셀값(P1)을 제1밝기값(A1)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관계식(710)에 기초하여 제2이미지(IM2)의 제2픽셀값(P2)을 제2밝기값(A2)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제1밝기값(A1)과 제2밝기값(A2)의 차이값(D)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차이값(D)을 제3밝기값(A3)으로 결정하고, 관계식(710)에 기초하여 제3밝기값(A3)에 대응하는 제3픽셀값(P3)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제3픽셀값(P3)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IM3)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를 획득하고, 제3이미지를 시각화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제1광(예컨대, 자외선)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1이미지(IM1)를 촬영(또는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301)는,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2이미지(IM2)를 촬영(또는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이미지(IM1)와 제2이미지(IM2)의 밝기값들의 차이값을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제3이미지(IM3)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이미지(IM3)는, RGB(red, green, blue) 기반의 이미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제3이미지(IM3)를 시각화 처리하여 시인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제3이미지(IM3)의 컬러 스페이스 또는 색공간을 RGB에서 HSV(색조(hue), 명도(saturation), 채도(value))에 기반하여 변환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301)는, 제3이미지(IM3)를 색조(hue), 명도(saturation), 및 채도(value)에 기반한 이미지들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제5이미지(IM5)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301)가 제3이미지(IM3)의 컬러 스페이스를 RGB에서 HSV로 변환하는 것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제3이미지(IM3)의 컬러 스페이스를 HSV 외 CMYK(cyan magenta yellow key), CIE xyz로 변환할 수 있고, RGB에서 어느 하나의 색(예컨대, Blue)만 남기는 것과 같이 튜닝(tuning)된 시각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제5이미지(IM5)를 디스플레이(36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301)는, 제5이미지(IM5)를 외부 전자 장치(304)의 디스플레이(385)에 표시하도록, 외부 전자 장치(304)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5이미지(IM5)는 사용자의 피부(예컨대, 얼굴)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810)에 대한 시인성이 강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화장품 정보에 기초하여 제1광 또는 제2광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901에서,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카메라(340)를 통해 화장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장품과 메모리(330)에 저장된 화장품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화장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로부터 화장품 정보(예컨대, 이름이나 성분)를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903에서, 전자 장치(301)는,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성분(및/또는 차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자외선 차단 성분이 반사형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외부의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차단제)인지 흡수형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외부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차단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에 진콕사이드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반사형 자외선 차단 성분(또는 반사형 자외선 차단제)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905에서, 전자 장치(301)는, 자외선 차단 성분(및/또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에 기초하여 제1광(자외선) 또는 제2광(가시광선)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화장품이 흡수형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때 제1광을 출력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화장품이 반사형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때 제2광을 출력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301)는, 화장품이 반사형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2광 대신 제1광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907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1광(자외선) 또는 제2광(가시광선)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화장품에 반사형 자외선 차단 성분이 포함된 경우, 제1광 또는 제2광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때 제1광과 제2광 중 어떤 광을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프로세서(320)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화장품에 흡수형 자외선 차단 성분이 포함된 경우, 제1광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자외선 차단 성분에 기초하여 제1광 또는 제2광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1001에서,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1003에서, 전자 장치(301)는, 촬영된 사용자의 피부에서 백탁 현상이 확인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백탁 현상이 확인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촬영된 사용자의 피부에서 백탁 현상이 확인되면(동작 1003의 예), 동작 1005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2광(예컨대,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모드에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설정에 따라 제2광을 출력하지 않고 제1광(예컨대, 자외선)을 출력하는 모드에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301)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도 11과 도 12에서 설명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촬영된 사용자의 피부에서 백탁 현상이 확인되지 않으면(동작 1003의 아니오), 동작 1007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1광(예컨대, 자외선)을 출력하는 모드에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도 8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2광의 출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1101에서,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가 반사형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또는 반사형 자외선 차단제)을 사용한 경우, 제2광(예컨대, 가시광선(화이트 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카메라(34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4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 1103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4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제4이미지를 시각화 처리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도포 영역(예컨대, 백탁 현상이 발생된 영역)의 시인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301)는, 반사형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도포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시인성이 강화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2광을 출력하여 제4이미지를 획득하고, 제4이미지를 시각화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제2광(예컨대, 가시광선(화이트 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4이미지(IM4)를 촬영(또는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제4이미지(IM4)는, RGB(red, green, blue) 기반의 이미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제4이미지(IM4)를 시각화 처리하여 시인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제4이미지(IM4)의 컬러 스페이스 또는 색공간을 RGB에서 HSV(색조(hue), 명도(saturation), 채도(value))에 기반하여 변환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301)는, 제4이미지(IM4)를 색조(hue), 명도(saturation), 및 채도(value)에 기반한 이미지들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제7이미지(IM7)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301)가 제4이미지(IM4)의 컬러 스페이스를 RGB에서 HSV로 변환하는 것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제4이미지(IM4)의 컬러 스페이스를 HSV 외 CMYK(cyan magenta yellow key), CIE xyz로 변환할 수 있고, RGB에서 어느 하나의 색(예컨대, Blue)만 남기는 것과 같이 튜닝(tuning)된 시각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제7이미지(IM7)를 디스플레이(36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301)는, 제7이미지(IM7)를 외부 전자 장치(304)의 디스플레이(385)에 표시하도록, 외부 전자 장치(304)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7이미지(IM7)는 사용자의 피부(예컨대, 얼굴)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1210)에 대한 시인성이 강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에 기반한 제3이미지(또는 제4이미지) 또는 제4이미지에 기반한 제7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의 피부에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강도 평균과 강도 변화에 기초하여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강도 평균은, 사용자의 피부가 촬영된 이미지의 밝기 정도(예컨대, 밝기의 평균)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피부에 자외선 차단제가 평균적으로 덜 도포된 경우, 강도 평균은 높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자외선 차단제가 평균적으로 많이 도포될수록 강도 평균이 높을 수 있다. 강도 변화는 일 지점과 다른 지점 사이의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강도 평균이 높고, 강도 변화가 높다고 판단될 경우(1310), 사용자의 피부의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 자외선 차단제가 적게 도포되거나 거의 도포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강도 평균이 높고, 강도 변화가 중간이라고 판단될 경우(1320), 사용자의 피부에서 자외선 차단제가 전반적으로 거의 도포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강도 평균이 높고, 강도 변화가 낮다고 판단될 경우(1330), 사용자의 피부의 전체적인 영역에서 자외선 차단제가 매우 잘 세척되거나 전체적으로 도포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강도 평균이 중간이고, 강도 변화가 높다고 판단될 경우(1340), 사용자의 피부의 일부 영역에서 자외선 차단제가 지워지거나 잘 도포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강도 평균이 중간이고, 강도 변화가 중간이라고 판단될 경우(1350), 사용자의 피부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자외선 차단제가 지워지거나 잘 도포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강도 평균이 중간이고, 강도 변화가 낮다고 판단될 경우(1360), 사용자의 피부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고르게 도포되었으나, 자외선 차단 효과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강도 평균이 낮고, 강도 변화가 낮다고 판단될 경우(1370), 사용자의 피부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자외선 차단제가 잘 도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301)는, 강도 평균이 낮을 경우, 강도 변화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피부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자외선 차단제가 잘 도포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3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301)는,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304)의 디스플레이(385)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4a부터 도 14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401)(예컨대, 도 3의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세안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01)는,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3의 360 또는 385)에 세안 정도 확인 기능을 시작하는 제1객체(141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01)는, 제1객체(14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세안 정도 확인 기능을 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세안 정도 확인 기능은, 상술한 사용자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401)는, 사용자의 얼굴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의 강도 평균이 높고, 강도 변화가 낮다고 판단될 경우, 세안이 깨끗하게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01)는, 제3이미지(또는 제4이미지)를 시각화 처리한 제5이미지(또는 제7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화면(14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401)는, 세안 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142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401)는, 사용자의 얼굴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의 강도 평균이 중간(또는 낮음)이고, 강도 변화가 높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의 피부의 일부 영역에서 자외선 차단제가 지워지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01)는, 제3이미지(또는 제4이미지)를 시각화 처리한 제5이미지(또는 제7이미지)를 포함하는 제2화면(14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401)는, 세안 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143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a부터 도 15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501)(예컨대, 도 3의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화장품의 도포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501)는,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3의 360 또는 385)에 화장 정도 확인 기능을 시작하는 제2객체(151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501)는, 제2객체(15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화장 정도 확인 기능을 시작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장 정도 확인 기능은, 상술한 사용자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예컨대,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501)는, 사용자의 얼굴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의 강도 평균이 낮고, 강도 변화가 낮다고 판단될 경우, 화장이 고르게 도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501)는, 제3이미지(또는 제4이미지)를 시각화 처리한 제5이미지(또는 제7이미지)를 포함하는 제3화면(15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501)는, 화장 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152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501)는, 사용자의 얼굴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의 강도 평균이 중간이고, 강도 변화가 높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의 피부의 일부 영역에서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501)는, 제3이미지(또는 제4이미지)를 시각화 처리한 제5이미지(또는 제7이미지)를 포함하는 제4화면(15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401)는, 화장 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1535)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컨대, 도 3의 전자 장치(301))는,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원부를 통해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광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화장품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화장품에 포함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를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이 반사형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광원부를 통해 상기 제1광과 다른 제2광을 출력하고, 상기 제2광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4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4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에 도포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광은 자외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광은 가시광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3이미지에 컬러 스페이스를 변환하여 시각화된 제5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이미지에 상기 제3이미지의 명암 특성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제6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픽셀값들을 제1밝기값들로 변환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픽셀값들을 제2밝기값들로 변환하고, 상기 제1밝기값들과 상기 제2밝기값들의 차이값들을 상기 픽셀값들로 변환하고, 상기 픽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3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이미지의 제1밝기값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제2밝기값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1밝기값들과 상기 제2밝기값들의 차이값들을 상기 픽셀값들로 변환하고, 상기 픽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3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컨대, 도 3의 전자 장치(3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광원부를 통해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상기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각각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광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화장품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화장품에 포함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이 반사형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광원부를 통해 상기 제1광과 다른 제2광을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2광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4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및 상기 제4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에 도포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은 자외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광은 가시광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에 도포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3이미지에 컬러 스페이스를 변환하여 시각화된 제5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에 도포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이미지에 상기 제3이미지의 명암 특성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제6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픽셀값들을 제1밝기값들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픽셀값들을 제2밝기값들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제1밝기값들과 상기 제2밝기값들의 차이값들을 상기 픽셀값들로 변환하는 동작, 및 상기 픽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컨대, 도 3의 전자 장치(301))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제1광을 출력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1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가 제1광을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2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각각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3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스마트 미러로 구현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거치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악세서리 형태로 구현될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탈부착될 수 있다.
301: 전자 장치
320: 프로세서
330: 메모리
340: 카메라
350: 발광부
360: 디스플레이
370: 통신 모듈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원부를 통해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광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화장품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화장품에 포함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를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이 반사형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광원부를 통해 상기 제1광과 다른 제2광을 출력하고,
    상기 제2광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4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4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에 도포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은 자외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광은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3이미지에 컬러 스페이스를 변환하여 시각화된 제5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이미지에 상기 제3이미지의 명암 특성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제6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픽셀값들을 제1밝기값들로 변환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픽셀값들을 제2밝기값들로 변환하고,
    상기 제1밝기값들과 상기 제2밝기값들의 차이값들을 상기 픽셀값들로 변환하고,
    상기 픽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3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이미지의 제1밝기값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제2밝기값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1밝기값들과 상기 제2밝기값들의 차이값들을 상기 픽셀값들로 변환하고,
    상기 픽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3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광원부를 통해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상기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각각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화장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광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화장품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와 기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화장품에 포함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이 반사형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광원부를 통해 상기 제1광과 다른 제2광을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2광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4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및
    상기 제4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에 도포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은 자외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광은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에 도포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3이미지에 컬러 스페이스를 변환하여 시각화된 제5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에 도포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이미지에 상기 제3이미지의 명암 특성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제6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픽셀값들을 제1밝기값들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픽셀값들을 제2밝기값들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제1밝기값들과 상기 제2밝기값들의 차이값들을 상기 픽셀값들로 변환하는 동작; 및
    상기 픽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3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제1광을 출력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1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1광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가 제1광을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2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1광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각각의 밝기값들 사이의 차이를 픽셀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3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3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스마트 미러로 구현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거치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악세서리 형태로 구현될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탈부착되는 전자 장치.
KR1020210069094A 2021-05-28 2021-05-28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60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94A KR20220160889A (ko) 2021-05-28 2021-05-28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PCT/KR2022/005050 WO2022250284A1 (ko) 2021-05-28 2022-04-07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EP22811477.3A EP4261527A1 (en) 2021-05-28 2022-04-07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ultraviolet blocking component applied to user's ski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7/736,369 US20220383605A1 (en) 2021-05-28 2022-05-04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sunscreen applied to a user's sk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94A KR20220160889A (ko) 2021-05-28 2021-05-28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89A true KR20220160889A (ko) 2022-12-06

Family

ID=8422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094A KR20220160889A (ko) 2021-05-28 2021-05-28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60889A (ko)
WO (1) WO20222502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7332B2 (ja) * 2004-05-11 2011-06-22 株式会社資生堂 サンスクリーン化粧料の塗布状態判定方法及びサンスクリーン化粧料の洗浄性判定方法
US9173570B2 (en) * 2012-04-12 2015-11-03 Thomas Nathan Millikan Viewing and processing multispectral images
KR101923967B1 (ko) * 2012-09-28 2018-11-3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효능 평가 방법
KR20180107821A (ko) * 2017-03-23 2018-10-04 이동익 피부 관리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US20200107772A1 (en) * 2018-10-08 2020-04-09 HallStar Beauty and Personal Care Innovations Company Protection and skin damage detection devices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0284A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424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pop-up window using multi-window thereof
KR20220160889A (ko)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EP4261527A1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ultraviolet blocking component applied to user's ski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20118196A (ko) 통화 기능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2001728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KR2021015596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84387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under display camer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177802A1 (en) Electronic device for obtaining illuminance data using image sensor
US11829527B2 (en) Augmented reality device, electronic device interacting with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3018653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in theme content
US2023008240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301220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apturing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US20230412920A1 (en)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20220149193A (ko) 화면의 색상 반전을 통한 안면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230083190A (ko)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조도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30020328A (ko) 이미지를 보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65034A (ko) Hdr 이미지들을 촬영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3012893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
KR20230112303A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pip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
KR20230018957A (ko) 회절로 인한 이미지의 품질 열화를 개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11780A (ko) 외부 장치의 성능에 기반하여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20153305A (ko) 이미지 데이터와 모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40056364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30020701A (ko) 촬영된 영상에 시각 효과를 적용하고 태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85036A (ko) 전자 장치들 간의 공동 편집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