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741A - 화분 옆면에 두 개의 구멍이 뚫린 기능성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옆면에 두 개의 구멍이 뚫린 기능성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741A
KR20220160741A KR1020210068756A KR20210068756A KR20220160741A KR 20220160741 A KR20220160741 A KR 20220160741A KR 1020210068756 A KR1020210068756 A KR 1020210068756A KR 20210068756 A KR20210068756 A KR 20210068756A KR 20220160741 A KR20220160741 A KR 2022016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holes
hole
flowerp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해용
Original Assignee
윤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해용 filed Critical 윤해용
Priority to KR102021006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0741A/ko
Publication of KR2022016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화분과 이를 구현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분의 바닥에 뚫려 있는 물 빠짐 구멍을 없애고, 화분의 옆면 하단에 상,하로 2개의 구멍을 뚫어, 상단의 구멍으로는 바깥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게 하고, 하단의 구멍으로는 화분속의 물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기능성 화분과, 이를 구현하기 위해 화분의 바닥에 공간을 확보하여 화분의 무게를 줄이면서 식물을 잘 키울 수 있게 보조하는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분 옆면에 두 개의 구멍이 뚫린 기능성 화분{Functional flowerpot ingredient with holes in the side}
본 발명은 기능성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화분들, 즉 오픈된 위 상단부와 밑바닥에 물 빠짐 구멍이 있는 위와 아래가 개방된 형태가 아닌, 화분의 밑바닥을 막아버려 바닥으로 물이 흐르지 않는, 즉 윗부분만 개방된 화분의 하단부에 바깥과 직접 통할 수 있는 상, 하 2개의 구멍을 뚫어 바닥에 고여 있는 물을 밖에서 뺄 수도 있고, 또 바깥의 신선한 공기를 주입할 수도 있게 하여, 화분 주변도 깨끗하게 하고 물의 낭비도 방지하면서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기능성 화분 및 이를 구현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증대하고 생활환경이 나아지면 집안이나 주위를 각자의 기호에 맞게 꾸미고 가꾸려고 하는데, 여기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 식물을 키우는 것이고, 이 식물을 제한된 공간 내에서 키우기 위해 화분을 많이 사용한다.
화분에 식물을 키워서 예쁜 꽃을 키우거나, 나무를 분재하여 키우거나, 채소나 과실류를 키워서 만족해하는 것은 인간의 정서에 도움을 주는 행위이므로,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화분에 식물을 키우고 가꾸어 왔으며, 이 행위를 일생동안 반복해왔으므로 누구나 화분에 식물을 심고 물을 주고 가꾸는 행위는 보편화된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얼마나 정성을 들여 가꾸느냐에 따라 좋은 결과와 나쁜 결과가 나옴을 볼 수 있고, 이것이 종래에 행해지고 있는 행동이었으며, 특별히 식물을 재배하는 것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식물도 잘 키우고 주위도 깨끗하게 정리를 하지만 혹은 별로 식물을 키우는 것에 관심이 적은 사람은 물주는 시기도 자주 놓쳐 식물이 말라 죽거나 또는 너무 물을 자주 많아 주어 뿌리가 썩어버려 죽기도 하고 화분 바닥의 물 빠짐 구멍으로 화분 내부의 흙과 물이 섞여서 흘러나와 주위를 지저분하게 하는 경우도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화분의 밑바닥에 있는 물 빠짐 구멍을 없게 하여, 바닥이 새지 않는 물통과 같은 형태로 만들지만, 화분의 모양과 형태는 종전과 같은 아름다운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화분의 바닥에는 공간을 만들어, 이 공간만큼 흙을 적게 넣음으로 화분의 무게도 줄이고, 밖과 통하는 구멍을 만들어, 바깥의 공기와 직접 접촉하게 하여 화분의 내부를 신선하게 하며, 종래의 물 빠짐 구멍을 막음으로 인하여 바닥에 물이 흘러 주위가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 화분에 물을 너무 많이 주었을 경우 외부에서 물을 빨아내어 화분에 물이 너무 많아 뿌리가 썩는 경우를 방지하는 기능성 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은 식물이 식재되고 있는 내부의 밑바닥에 있는 물 빠짐 구멍을 막아서 외부와 차단시키고 화분의 옆면 하단부에 상, 하로 2개의 구멍을 뚫어 필요시 이 구멍을 열고 닫을 수 있게 하여 기존화분의 물 빠짐 구멍을 갈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바닥에 윗면은 평평하나, 옆면은 수많은 구멍을 뚫린 구조물을 화분 내부에 설치한다.
화분을 새롭게 제작할 때 미리 화분의 바닥에 요철을 만들어서 이 구조물을 끼우면 고정이 될 수 있게도 할 수 있고, 기존 화분을 사용하려면 화분의 내부를 깨끗이 닦고 물 빠짐 구멍을 테이프 등으로 막고 화분의 하단 옆면에 상하로 2개의 구멍을 뚫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구조물 위에 부직포 등 통기성은 좋으나 흙이 쉽게 빠지지 않는 막을 얹어서 상부의 화분 속의 흙과 하부의 구조물 공간을 분리시키면 화분의 흙이 바닥으로 빠져 나오지 않고, 화분 속의 흙과 구조물이 차지하는 공간이 분리되며, 화분의 바닥에 물이 많이 고인 경우에는 흡입기(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물을 밖으로 뽑아내어 내부의 물이 고여서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 있는 공기는 상부의 구멍을 통해 밖과 연결되므로 공기의 순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화분의 뿌리 성장을 도울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는 화분을 구성하는 구조에서 바닥의 물 빠짐 구멍을 없애고, 화분의 하단부 옆면에 상, 하로 2개의 구멍을 뚫어, 이 구멍을 통하여 필요시 물을 빼 줄 수 있으므로 주변을 깨끗하게 할 수 있고, 화분 바닥에 고여 있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혹은 적기에 물을 공급하는 시기를 놓치더라도 식물의 성장에는 아무른 지장이 없도록 고안된 기능성 화분 및 이를 구현하는 구조물 장치이다.
특히 시중에는 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적절한 높이를 무시하고 외형이 화려하고 높이가 긴 비싼 도자기 화분들이 많이 유통되고 있는데 이 화분들은 모양과 외형을 강조하는 경향이 많으므로 화분의 깊이가 지나치게 깊어 식물을 식재할 때 작은 돌이나 흙을 다 채우면 무게가 지나치게 무겁고 통기성이 부족하므로 화분의 뿌리가 얼마 후에는 썩어, 나무 같은 종류를 심을 때는 오래 가지 못하고 죽어버리는 수가 많다. 무게를 줄이기 위해 바닥에 스티로폴 등을 넣어 공간을 채우곤 하는데 이는 식물에게는 아주 해롭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은 바닥의 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하여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뿌리가 잘 성장할 수 있는 적절한 흙의 양과 흙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식재할 수 있고 바닥에 고여 있는 물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화분의 바닥에 물 빠짐 구멍이 없고 옆면 하단부에 상하고 2개의 구멍이 뚫린 화분과 이 화분 속에 들어가는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기능성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특징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자재나 용어들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화분에 식물을 키우는 것을 살펴보면, 식물의 뿌리가 화분의 바닥에 까지 길게 뻗어 있는 경우는 드물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바닥이 얕은 화분들은 예외이나 보통 도자기로 만들어진 가격이 고가인 화분들은, 화분 제작자들이 화분을 제조할 때 외형을 중요시하므로(상품성 때문에) 화분이 필요 이상으로 길게 되어 있다. 즉 화분이 식물이 뿌리를 내리는데 필요한 깊이 보다 훨씬 깊게 제작된다.
깊은 화분에 바닥에 잔 돌들을 채우고 그 위에 흙을 채우면 무게가 무거워져서 화분을 옮기기에 힘들고 흙이 너무 많이 들어간 화분은 배수가 더디고 이로 인해 화분 밑에는 물기가 너무 많으므로 식물에도 좋지 못하다.
화분의 무게를 줄이려고 스티로폴을 대량으로 화분에 넣는데 식물의 뿌리가 스티로폴에 닿으면 식물에 해롭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화분은 수많은 종류의 크기와 모양을 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새로이 제작되는 화분은 바닥의 물 빠짐 구멍을 없애버리고 화분의 옆면 하단부에 상,하로 2개의 구멍(11),(12)을 뚫고, 또 기존 물 빠짐 구멍이 있는 화분은 바닥을 깨끗이 닦은 후 테이프를 발라 바닥을 밀폐시킨 후 역시 화분의 옆면 하단부에 상, 하로 2개의 구멍(11),(12)을 뚫는다.
이 화분(10)의 밑바닥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19)를 놓으면 되는데, 우선 장치(19)의 구조 및 제작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원형의 PVC pipe(직경은 화분(10)의 직경보다 작은 것)나 사각형 혹은 육각형 등의 속이 빈 pipe에 상,하로 직경 7~10mm의 구멍(20)을 많이 뚫는다. 구멍의 수나 구멍의 직경은 딱히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고 화분(10)의 크기에 따라 장치(19)의 크기를 정할 수 있으므로 적당히 조절하면 된다.
이 장치(19)위에 받침대(17)를 놓는다. 받침대(17)의 크기는 화분(10) 보다는 작게, 장치(19)보다는 크게 만드는데, 재질은 PVC 판이나 이와 유사한 물에 썩지 않는 재질이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이 받침대(17)는 화분(10) 속의 흙을 받쳐주는 역할과 위에서 식물에 물을 줄 때 물이 밑으로 빠지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받침대(17)에 5~6개의 조금 큰(직경 10mm 정도) 구멍(18)을 뚫는다.
이 받침대(17)와 장치(19)는 접착제 등으로 붙여 고정 시킨다.
화분(10)의 옆면 하단에는 상, 하로 두 개의 구멍(11),(12)을 뚫는데, 상단에 있는 구멍(11)과 하단에 있는 구멍(12)을 이용하여 화분 밖의 외부와 직접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단의 구멍(11)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구멍으로 구멍을 열면 외부의 공기와 접촉되고, 하단의 구멍(12)은 화분(10) 하단에 고여 있는 물을 흡입기 등을 사용하여 밖으로 바로 배출하게 하여 화분 속의 물이 부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구멍(11),(12)을 개폐하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한 가지 방법을 택하면 된다. 첫째 방법은 밖의 구멍은 열어두고 화분 안쪽에 밸브(15), (16)를 부착시켜 화분 안에서 물이 빠져 나오려면 밸브가 닫혀 지므로 자동으로 밀폐가 되고 밖에서 흡입기 등을 사용하여 작동을 시킨다. 원리는 펌프의 밸브와 같은 원리다.
둘째 방법은 화분 안쪽의 구멍들은 오픈 시켜두고 밖에서 마개((13), (14)로 열고 닫는 작동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화분 속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공간을 만듦으로 이 공간의 부피만큼 흙을 적게 넣을 수 있어 화분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적절한 깊이로 흙을 넣을 수 있고, 화분의 옆면 하단에 2개의 구멍(11),(12)을 뚫어 임의대로 공기를 흐르게 하고 물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화분을 만들 수가 있다.
10 : 옆면 하단에 상, 하로 2개의 구멍이 뚫린 화분
11 : 상단에 뚫린 구멍
12 : 하단에 뚫린 구멍
13 : 상단 구멍을 외부에서 막는 마개
14 : 하단 구멍을 외부에서 막는 마개
15 : 상단 구멍을 내부에서 막는 밸브
16 : 하단 구멍을 내부에서 막는 밸브
17 : 받침대
18 : 받침대 구멍
19 : 구조물
20 ; 구조물에 뚫린 구멍
21 : 받침대 위에 놓는 통기성이 좋은 망

Claims (3)

  1. 식물이 식재되고 있는 화분의 바닥의 물빠짐 구멍을 막은 화분(10)에 있어서 화분(10)의 옆면 하단에 2개의 구멍(11), (12)을 뚫어 외부의 환경과 직접 접촉을 시킬 수 있게 하고, 상단의 구멍(11)은 외부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게 하고, 하단의 구멍(12)은 밑바닥에 고여 있는 물을 바깥으로 뽑아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분.
  2. 이 구멍(11), (12)들의 화분 속에 있는 끝 부분에는 밸브(15), (16)를 설치하여 밖에서는 구멍을 열 수 있으나, 화분 안에서는 자동으로 닫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는 마개(13), (14)를 만들어 밖에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화분.
  3. 화분(10) 하단에 구조물(19)을 설치하며, 이 구조물(19)의 윗면은 화분(10)의 모양에 따라 원형, 사각형, 혹은 육각형 등의 판으로 받침대(17)를 설치하고, 또 화분의 물이 밑으로 빠질 수 있는 5-6개의 구멍을 뚫고(18), 구조물의 옆면은 아래위로 많은 구멍(20)을 뚫어 화분 하단의 공기와 화분(10) 속에 고여 있는 물이 구조물로 인하여 차단되지 않고 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분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장치.
KR1020210068756A 2021-05-28 2021-05-28 화분 옆면에 두 개의 구멍이 뚫린 기능성 화분 KR20220160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56A KR20220160741A (ko) 2021-05-28 2021-05-28 화분 옆면에 두 개의 구멍이 뚫린 기능성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56A KR20220160741A (ko) 2021-05-28 2021-05-28 화분 옆면에 두 개의 구멍이 뚫린 기능성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741A true KR20220160741A (ko) 2022-12-06

Family

ID=8440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756A KR20220160741A (ko) 2021-05-28 2021-05-28 화분 옆면에 두 개의 구멍이 뚫린 기능성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07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171471A (ja) 花器を植木鉢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技術
CN107347604A (zh) 一种盆栽欧洲水仙矮化的栽培方法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101313866B1 (ko) 시스템 식재 포트
KR20220160741A (ko) 화분 옆면에 두 개의 구멍이 뚫린 기능성 화분
KR101031234B1 (ko) 화분장치
CN207284601U (zh) 一种双层花盆
CN115299266A (zh) 一种水气内循环花盆及其使用方法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CN104186227A (zh) 一种浮力花盆的使用方法
KR20220160742A (ko) 기능성 화분을 만드는 장치(구조물)
JP3351787B1 (ja) 多肉植物の栽培法
JP3003090B2 (ja) ラン類の栽培方法
JP2002058349A (ja) 植木鉢用内容器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CN203985222U (zh) 分节透气观湿可倒栽花盆
JP3198640U (ja) 省力的底潅水多品種容器栽培システム
CN211982807U (zh) 一种植物种植装置
CN107568042A (zh) 一种双层花盆
KR101360092B1 (ko) 코코피트 혼합물이 충진된 부직포 포트 및 그로우 백
KR200427161Y1 (ko) 참나무로 제작한 화분
CN208425249U (zh) 一种具有储水保湿防涝根功能的花盆
KR200313507Y1 (ko) 배수구가 없는 화분
KR200303993Y1 (ko) 수경화분
KR20230130332A (ko) 식물재배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