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692A - Optical laminate and peeling method - Google Patents

Optical laminate and peel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692A
KR20220160692A KR1020227038819A KR20227038819A KR20220160692A KR 20220160692 A KR20220160692 A KR 20220160692A KR 1020227038819 A KR1020227038819 A KR 1020227038819A KR 20227038819 A KR20227038819 A KR 20227038819A KR 20220160692 A KR20220160692 A KR 20220160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ptical
laminate
peeling
surfac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키라 다카츠키
다카유키 시라이시
다이스케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1860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67930A/en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0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6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 표면 보호 필름을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 및 박리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광학 적층체는, 표면 보호 필름과, 직선편광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갖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편광성 적층체와, 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표면 보호 필름은 편광성 적층체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편광성 적층체의 두께는 120 ㎛ 이하이다. 광학 적층체의 평면시 형상은, 사각형이 갖는 하나의 코너부가 절결된 절결부를 적어도 하나 갖는 형상이다. 절결부는, 코너부의 꼭지점을 구성하는 제1 변 및 제2 변 상에 각각 설정된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을 지나는 절결선을 따라서 절결된 형상을 갖는다.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은 꼭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각 0.1 mm 이상 0.5 mm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PROBLEMS] To provide an optical laminate and a peeling method capable of favorably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Solution] The optical layered body includes, in this order, a polarizing layered body includ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layer, and an adhesive layer.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disposed so that peeling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laminate, and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laminate is 120 μm or less.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is a shape having at least one cutout portion in which one corner portion of a quadrangle is cut. The cutout portion has a shape cut along a cutout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cutout start point P1 and the second cutout start point P2 set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constituting the vertex of the corner portion, respectively. The 1st notch start point P1 and the 2nd notch start point P2 are set so that the distance from a vertex may be 0.1 mm or more and 0.5 mm or less, respectively.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및 박리 방법Optical laminate and peeling method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 및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eling method for an optical laminate and a surface protection film.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편광의 공급 소자로서 또한 편광의 검출 소자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편광판은 종래부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접착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Polarizing plates are widely used as polarized light supplying elements and polarized light detecting elements in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 display devices. Conventionally, polarizing plates have been used in which a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olarizer.

이러한 편광판은, 그 표면의 오염물이나 상처를 억제하기 위해서, 편광판의 한쪽의 표면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표면 보호 필름(「프로텍트 필름」이라고도 불린다.)을 설치하고, 다른 쪽의 표면에 점착제층 및 박리 필름(「세퍼레이트 필름」이라고도 불린다.)을 설치하여 시장에 유통되는 경우가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등). 표면 보호 필름은 예컨대 화상 표시 소자 등의 부재에 편광판을 접합한 후에 박리되어 제거되고, 박리 필름은 예컨대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소자 등의 부재에 편광판을 부착할 때에 박리되어 제거된다. In order to suppress contaminants and scratches on the surface of such a polarizing plate, a peelable surface protection film (also called a "protective film")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an adhesive layer and a peeling film are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It is also called a "separate film".) There are cases where it is distributed in the market (for example, Patent Literature 1, etc.).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peeled off and removed after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to a member such as an image display element, for example, and the peeling film is peeled and removed when attaching the polarizing plate to a member such as an image display element of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9-19155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9-191551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 등에 이용되는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편광판에서는, 표면 보호 필름의 한 변에 박리용 테이프를 부착하고, 이 박리용 테이프를 파지하여 잡아 일으킴으로써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박리 방법에 의해 박리용 테이프를 잡아 일으킨 경우, 박리용 테이프가 표면 보호 필름으로부터 박리되어, 편광판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In a relatively small-sized polarizing plate used for smartphones, smart watches, etc., the surface protection film may be peeled by attaching a peeling tape to one sid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gripping the peeling tape to raise it up. When the tape for peeling was raised by such a peeling method, the tape for peeling peeled from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the surface protection film could not be peeled from the polarizing plate in some cases.

본 발명은 표면 보호 필름을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 및 박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optical laminated body and peeling method which can peel a surface protection film satisfactorily.

본 발명은 이하의 광학 적층체 및 박리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optical laminate and peeling method.

[1] 표면 보호 필름과, 직선편광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갖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편광성 적층체와, 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1] An optical laminate compris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linear polarization layer, and an adhesive layer in this order,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편광성 적층체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disposed so as to be peelable from the light-polarizing laminate,

상기 편광성 적층체의 두께는 120 ㎛ 이하이며,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laminate is 120 μm or less,

상기 광학 적층체의 평면시(平面視) 형상은, 사각형이 갖는 하나의 코너부가 절결된 절결부를 적어도 하나 갖는 형상이고,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minate is a shape having at least one cutout portion in which one corner portion of a quadrangle is cut,

상기 절결부는, 상기 코너부의 꼭지점을 구성하는 제1 변 및 제2 변 상에 각각 설정된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을 지나는 절결선을 따라 절결된 형상을 가지며, The cutout part has a shape cut along a cutout line passing through a first cutout start point P1 and a second cutout start point P2 set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constituting the vertex of the corner portion, respectively. have,

상기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상기 제2 절결 개시점(P2)은, 상기 꼭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각 0.1 mm 이상 0.5 mm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인 광학 적층체. The first cutting start point P1 and the second cutting start point P2 are set so that a distance from the vertex is 0.1 mm or more and 0.5 mm or less, respectively.

[2] 상기 사각형은 방형(方形)인 [1]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 [2]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1], wherein the square is a square.

[3] 상기 절결선은 직선 또는 원호형의 곡선인 [1] 또는 [2]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 [3]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cutting line is a straight line or an arc-shaped curve.

[4] 상기 광학 적층체의 상기 절결부에 있어서의 단부면은 회전 공구에 의한 절삭 가공면인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 [4]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an end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of the optical laminate is a surface cut by a rotary tool.

[5] 상기 사각형이 갖는 4개의 변의 길이는 각각 30 mm 이상 100 mm 이하의 범위 내인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 [5]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lengths of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le are within a range of 30 mm or more and 100 mm or less, respectively.

[6] 상기 절결부를 적어도 2개 갖고, [6] having at least two of the cutout portions,

상기 절결부는 상기 사각형의 이웃하는 2개의 코너부를 각각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so as to cut two adjacent corner portions of the quadrangle, respectively.

[7] 상기 편광성 적층체는 상기 편광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위상차층을 갖는 것인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 [7]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polarizing laminate has a retardation layer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plate.

[8]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성 적층체 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박리 필름을 추가로 갖는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 [8]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ich further includes a release film that can be peel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ght-polarizing laminat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9] [1]∼[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로부터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 방법으로서, [9] A peeling method for peel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rom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상기 광학 적층체를 상기 점착제층에 의해서 피착체에 접합하는 공정과, A step of bonding the optical laminate to an adheren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광학 적층체의 상기 표면 보호 필름 측의 표면에 박리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과, A step of attaching a peeling tape to the surfac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on the sid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상기 박리용 테이프를 잡아 일으킴으로써, 상기 피착체에 접합된 상기 광학 적층체로부터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The process of peeling the said surface protection film from the said optical laminated body bonded to the said adherend by grabbing and raising the said peeling tape

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하는 공정은, 상기 광학 적층체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단부에 상기 절결부가 형성된 한 변을 걸쳐 있도록 상기 박리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인 박리 방법. The peeling method includes, wherein the attaching step is to attach the peeling tape so as to span one side where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0] 상기 광학 적층체는 [6]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이며, [10] The optical layered body is the optical layered body described in [6],

상기 박리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상기 한 변은 양단부에 상기 절결부가 형성된 변인 [9]에 기재한 박리 방법. The peeling method according to [9], wherein the one side to which the peeling tape is attached is a side in which the cutout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 보호 필름을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can exfoliate a surface protection film satisfactorily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의 x-x’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또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또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optical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x-x' 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aminate shown in Fig. 1;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tep of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from the optical layer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optical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optical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tep of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from the optical layer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및 박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모든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시하는 것이며, 도면에 도시되는 각 구성 요소의 사이즈나 형상은 실제의 구성 요소의 사이즈나 형상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optical laminate and the pee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ll of the drawings below are show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ze or shap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does not necessarily match the size or shape of the actual component.

(광학 적층체)(optical laminate)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은 광학 적층체의 표면 보호 필름 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의 x-x’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optical layered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1 show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optical laminate as seen from the surface protection film side. Fig. 2 is an x-x' 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aminate shown in Fig. 1;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1a)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표면 보호 필름(41)과 편광성 적층체(20)와 점착제층(31)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편광성 적층체(20)는 편광판(21)을 구비한다. 이 편광판은 직선편광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구비한다. 표면 보호 필름(41)은 편광성 적층체(20)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편광성 적층체(20)의 두께는 120 ㎛ 이하이다. As shown in FIG. 2, the optical laminate 1a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the polarizing laminate 20, and the adhesive layer 31 in this order. The polarizing laminate 20 includes a polarizing plate 21 . This polarizing plate has a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s formed so that exfoliation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light-polarizing laminate 20 .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laminate 20 is 120 μm or less.

광학 적층체(1a)의 평면시 형상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사각형(15)이 갖는 하나의 코너부가 절결된 1개의 절결부(11b)를 갖는 형상이다. 절결부(11b)는, 사각형(15)이 갖는 코너부의 꼭지점(Pab)을 구성하는 2개의 변인 제1 변(15a) 및 제2 변(15b) 각각에 설정된 제1 절결 개시점(P1b)(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b)(제2 절결 개시점(P2))을 지나는 절결선(10eb)을 따라서 절결된 형상을 갖는다. 제1 변(15a) 및 제2 변(15b) 각각에 설정된 제1 절결 개시점(P1b) 및 제2 절결 개시점(P2b)은, 꼭지점(Pab)으로부터의 거리(Laa) 및 거리(Lab)가 각각 0.1 mm 이상 0.5 mm 이하가 되는 범위 내에 위치한다. As shown in FIG. 1,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a is a shape having one notch 11b in which one corner portion of the quadrangle 15 is cut. The cutout portion 11b has a first cutout starting point P1b set at each of the first side 15a and the second side 15b, which are two sides constituting the vertex Pab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rectangle 15 ( It has a cutout shape along the cutout line 10eb passing through the first cutout start point P1) and the second cutout start point P2b (the second cutout start point P2). The first cutting start point P1b and the second cutting start point P2b set on the first side 15a and the second side 15b, respectively, have a distance Laa and a distance Lab from the vertex Pab. are located within a range of 0.1 mm or more and 0.5 mm or less, respectively.

제1 절결 개시점(P1b) 및 제2 절결 개시점(P2b)을 지나는 절결선(10eb)의 평면시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절결선(10eb)은,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직선이라도 좋고, 원호형의 곡선이라도 좋다. 절결선(10eb)이 원호형의 곡선인 경우, 절결선(10eb)은 사각형(15)의 코너부의 꼭지점(Pab)으로 향하여 볼록한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선(10eb)의 길이는, 예컨대 1 mm 이하라도 좋으며, 0.9 mm 이하라도 좋고, 0.8 mm 이하라도 좋고, 0.7 mm 이하라도 좋다.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cut line 10eb passing through the first cut start point P1b and the second cut start point P2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notch line 10eb may be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or may be an arcuate curve. When the cutout line 10eb is an arc-shaped curv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out line 10eb is convex toward the vertex Pab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quadrangle 15 . The length of the notch line 10eb may be, for example, 1 mm or less, 0.9 mm or less, 0.8 mm or less, or 0.7 mm or less.

절결선(10eb)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적층체(1a)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제1 절결 개시점(P1b) 측에서 제2 절결 개시점(P2b) 방향으로 향하여 절결선(10eb)을 찾아간 경우에, 제1 절결 개시점(P1b)이 위치하는 제1 변(15a)으로부터의 최단 거리(α)가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또는 최단 거리(α)가 일정하게 되는 구간을 포함하면서 점차로 커지도록 절결선(10eb)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적층체(1a)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제1 절결 개시점(P1b) 측에서 제2 절결 개시점(P2b) 방향으로 향하여 절결선(10eb)을 찾아간 경우에, 제2 절결 개시점(P2b)이 위치하는 제2 변(15b)으로부터의 최단 거리(β)가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또는 최단 거리(β)가 일정하게 되는 구간을 포함하면서 점차로 작아지도록 절결선(10eb)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set the shape of the notch line 10eb as follows.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a, when the cutting line 10eb is found from the first cutting starting point P1b side toward the second cutting starting point P2b direction, the first cutting starting point P1b It is preferable to set the cutout line 10eb so that the shortest distance α from the first side 15a where ) is located increases continuously or gradually increases while including a section in which the shortest distance α becomes constant. . Further,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a, when the cutting line 10eb is found from the first cutting starting point P1b side toward the second cutting starting point P2b direction, the second cutting starting point It is preferable to set the cutout line 10eb so that the shortest distance β from the second side 15b where P2b is located decreases continuously or gradually decreases while including a section in which the shortest distance β becomes constant. desirable.

사각형(15)은, 광학 적층체(1a)의 평면시 형상의 변을 포함하도록 설정된 가상의 평면시 형상이다. 사각형(15)는,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변(15a), 제2 변(15b), 제3 변(15c) 및 제4 변(15d)을 갖는 장방형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사각형(15)이 갖는 제1 변(15a) 및 제2 변(15b)의 일부는, 각각 광학 적층체(1a)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의 변(10a) 및 변(10b)을 구성하고, 사각형(15)이 갖는 제3 변(15c) 및 제4 변(15d) 전체는, 각각 광학 적층체(1a)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의 변(10c) 및 변(10d)을 구성하고 있다.The quadrangle 15 is a virtual plan view shape set to include the sides of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a. The quadrangle 15 is a rectangle having a first side 15a, a second side 15b, a third side 15c, and a fourth side 15d, 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Part of the first side 15a and the second side 15b of the quadrangle 15 shown in FIG. 1 is the side 10a and the side 10b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a, respectively. ), and the entirety of the third side 15c and the fourth side 15d of the quadrangle 15 is the side 10c and the side 10d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minate 1a, respectively. constitutes

광학 적층체(1a)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변(10a)은 사각형(15)의 제1 변(15a) 중 제1 절결 개시점(P1b)에서 꼭지점(Pab)으로 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이고, 변(10b)은 사각형(15)의 제2 변(15b) 중 제2 절결 개시점(P2b)에서 꼭지점(Pab)으로 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이다. In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a, the side 10a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ide 15a of the quadrangle 15 toward the vertex Pab from the first cutout starting point P1b. portion, and the side 10b is a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side 15b of the quadrangle 15 toward the vertex Pab from the second cutout starting point P2b.

이와 같이, 광학 적층체(1a)의 평면시 형상에 대하여 설정되는 사각형(15)은, 광학 적층체(1a)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의 변(10a) 및 변(10b)을 연장하고, 이 두 변의 연장 부분의 교점을 꼭지점(Pab)으로서 포함하는 사각형이다. 또, 광학 적층체(1a)의 평면시 형상으로부터 사각형(15)을 설정할 때에 광학 적층체(1a)의 평면시 형상으로부터 연장하는 변은, 사각형(15)이 갖는 코너부를 절결하여 광학 적층체(1a)를 얻었다고 가정한 경우에 사각형(15)을 절결하는 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설정한다. In this way, the square 15 set with respect to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a extends the sides 10a and 10b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a, and this It is a quadrangle including the intersection of the extended parts of the two sides as the vertex Pab. In addition, when the square 15 is set from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stack 1a, the side extending from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stack 1a is cut off at the corner of the square 15 so that the optical stack ( When it is assumed that 1a) is obtained, the area where the square 15 is cut is set to be minimized.

꼭지점(Pab)에서부터 제1 절결 개시점(P1b)까지의 거리(Laa) 및 꼭지점(Pab)에서부터 제2 절결 개시점(P2b)까지의 거리(Lab)는, 각각 독립적으로 0.1 mm 이상이고, 0.2 mm 이상이라도 좋고, 0.3 mm 이상이라도 좋으며, 0.5 mm 이하이고, 0.4 mm 이하라도 좋다. 거리(Laa) 및 거리(Lab)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좋고 서로 다르더라도 좋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변(10a)에 박리용 테이프(35)(도 3)를 부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41)의 박리를 행하는 경우, 거리(Laa)가 거리(Lab)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Laa) 및 거리(Lab)가 0.1 mm 미만이면, 표면 보호 필름(41)의 양호한 박리가 이루어지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다. 거리(Laa) 및 거리(Lab)가 0.5 mm를 넘으면, 광학 적층체(1a)를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소자에 접합한 경우의 유효 면적이 작아지고,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영역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The distance Laa from the vertex Pab to the first notch starting point P1b and the distance Lab from the vertex Pab to the second notch starting point P2b are each independently 0.1 mm or more, and 0.2 mm or more. It may be mm or more, may be 0.3 mm or more, may be 0.5 mm or less, and may be 0.4 mm or less. The distance Laa and the distance Lab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peel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by attaching the peeling tape 35 (FIG. 3) to the side 10a,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Laa is larger than the distance Lab. When the distance Laa and the distance Lab are less than 0.1 mm, good peeling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tends to be difficult to achieve. When the distance Laa and the distance Lab exceed 0.5 mm, the effective area when the optical laminate 1a is bonded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of the display device decreases, and the image display area in the display device narrows. there is a tendency

제1 절결 개시점(P1b)과 제2 절결 개시점(P2b)을 잇는 절결선이 직선이라고 가정하여 사각형(15)으로부터 절결된 부분의 평면시 면적을 S1로 한 경우에, 광학 적층체(1a)가 실제로 갖는 절결선(10eb)에 의해서 사각형(15)으로부터 절결된 부분의 평면시 면적(Sa)은, 면적(S1)의 0.6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7배 이상이라도 좋고, 0.9배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1.6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배 이하라도 좋고, 1.2배 이하라도 좋다. Assuming that the cutting line connecting the first cutting starting point P1b and the second cutting starting point P2b is a straight line, when the plan view area of the portion cut from the square 15 is S1, the optical laminate 1a ) is preferably 0.6 times or more of the area S1, may be 0.7 times or more, or 0.9 times or more of the area S1. It is good,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6 times or less, 1.4 times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1.2 times or less may be sufficient.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광학 적층체(1a)는 절결부(11b)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박리용 테이프(35)를 이용한 표면 보호 필름(41)의 박리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박리용 테이프(35)를 이용한 표면 보호 필름(41)의 박리 방법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하지만, 광학 적층체(1a)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41)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박리할 수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광학 적층체(1a)의 표면 보호 필름(41) 측의 표면에, 절결부(11b)가 형성되어 있는 변(10a)을 걸쳐 있도록 박리용 테이프(35)의 일단(이하, 「부착 단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부착한다. 이어서, 박리용 테이프(35)의 부착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잡아 일으켜, 박리용 테이프(35)를 변(10a)에서 변(10c)으로 향하는 방향(도 3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이에 따라, 광학 적층체(1a)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1a)에서는, 박리용 테이프(35)가 부착된 변(10a)의 단부에 절결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변(10a)에 절결부(11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면, 박리용 테이프(35)를 잡아 일으켰을 때에, 표면 보호 필름(41)이 잡아 일으켜지기 쉽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광학 적층체(1a)에서는, 박리용 테이프(35)가 표면 보호 필름(41)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하여, 박리용 테이프(35)에 의해서 표면 보호 필름(41)을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다. 3 is a schematic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tep of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from the optical layered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optical layered body 1a has the notch 11b, peeling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using the peeling tape 35 shown in FIG. 3 can be performed satisfactorily. Although the details of the peeling method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using the peeling tape 35 are mentioned later,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can be peeled from the optical laminated body 1a as follows, for example. First, as shown in Fig. 3, the peeling tape 35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a on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side so as to span the side 10a where the notch 11b is formed. One end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ttachment end") is attached. Then, the end of the peeling tape 35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ticking end is lifted up, and the peeling tape 35 is pulled in a direction from side 10a to side 10c (direction of arrow in FIG. 3). . Thereby,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can be peeled from the optical laminated body 1a. In the optical layered body 1a, a cutout 11b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ide 10a to which the peeling tape 35 is attached. As a resul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notch 11b is not formed in the side 10a, it is considered that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s easily raised when the peeling tape 35 is raised up. Therefore, in the optical layered body 1a, peeling of the peeling tape 35 from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s suppressed, and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can be peeled satisfactorily by the peeling tape 35. can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1a)에서는 1개의 절결부(11b)를 갖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1b)와 같이, 2개의 절결부를 갖고 있어도 좋고, 3개 또는 4개의 절결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4 is a schematic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optical layered body 1a shown in FIG. 1, the case of having one notch 11b has been described, but you may have two notches like the optical layered body 1b shown in FIG. 4, for example. , You may have three or four notches.

도 4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1b)는,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1a)에서 설명한 절결부(11b)에 더하여 절결부(11d)를 추가로 갖는다. 광학 적층체(1b)의 평면시 형상은,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사각형(15)이 갖는 2개의 코너부가 절결된 형상을 갖는다. 절결부(11b)는 상기한 것과 같다. 절결부(11d)는, 사각형(15)이 갖는 코너부의 꼭지점(Pda)을 구성하는 2개의 변인 제1 변(15a) 및 제4 변(15d) 각각에 설정된 제1 절결 개시점(P1d)(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d)(제2 절결 개시점(P2))을 지나는 절결선(10ed)을 따라서 절결된 형상을 갖는다. 제1 변(15a) 및 제4 변(15d) 각각에 설정된 제1 절결 개시점(P1d) 및 제2 절결 개시점(P2d)은, 꼭지점(Pda)으로부터의 거리(Lba) 및 거리(Lbd)가 각각 0.1 mm 이상 0.5 mm 이하가 되는 범위 내에 위치한다. 거리(Lba)와 거리(Lbd)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좋고 서로 다르더라도 좋다. 변(10a)에 박리용 테이프(35)(도 3)를 부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41)의 박리를 행하는 경우, 거리(Lba)가 거리(Lbd)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Lba) 및 거리(Lbd)의 바람직한 범위는 거리(Laa) 및 거리(Lab)에 관해서 설명한 범위와 동일하다. The optical layered body 1b shown in FIG. 4 further has a notched portion 11d in addition to the cutout portion 11b described in the optical layered body 1a shown in FIG. 1 . As shown in FIG. 4 ,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b has a shape in which two corner portions of the quadrangle 15 are cut. The cutout 11b is as described above. The cutout portion 11d has a first cutout start point P1d (set at each of the first side 15a and the fourth side 15d, which are two sides constituting the vertex Pda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rectangle 15) ( It has a cutout shape along the cutout line 10ed passing through the first cutout start point P1) and the second cutout start point P2d (the second cutout start point P2). The first cutting start point P1d and the second cutting start point P2d set on the first side 15a and the fourth side 15d, respectively, have a distance Lba and a distance Lbd from the vertex Pda. are located within a range of 0.1 mm or more and 0.5 mm or less, respectively. The distance Lba and the distance Lb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When remov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by attaching the peeling tape 35 (FIG. 3) to the side 10a,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Lba is larger than the distance Lbd. Preferred ranges of the distance Lba and the distance Lbd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distance Laa and the distance Lab.

제1 절결 개시점(P1d) 및 제2 절결 개시점(P2d)을 지나는 절결선(10ed)의 평면시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절결선(10ed)은, 절결선(10eb)과 마찬가지로 직선 또는 원호형의 곡선이라도 좋다. 절결선(10ed)이 원호형의 곡선인 경우, 절결선(10ed)은 사각형(15)의 코너부의 꼭지점(Pda)을 향하여 볼록한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선(10ed)의 길이의 바람직한 범위는 절결선(10eb)에서 설명한 범위와 같게 할 수 있다. The plan view shape of the cutout line 10ed passing through the first cutout starting point P1d and the second cutout starting point P2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notch line 10ed may be a straight line or an arcuate curve similarly to the notch line 10eb. When the cut line 10ed is an arc-shaped curv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 line 10ed is convex toward the vertex Pda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quadrangle 15 . A preferred range of the length of the cut line 10ed may be the same as the range described for the cut line 10eb.

절결선(10ed)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적층체(1b)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제1 절결 개시점(P1d) 측에서 제2 절결 개시점(P2d) 방향으로 향하여 절결선(10ed)을 찾아간 경우에, 제1 절결 개시점(P1d)이 위치하는 제1 변(15a)으로부터의 최단 거리는,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또는 상기 최단 거리가 일정하게 되는 구간을 포함하면서 점차로 커지도록 절결선(10ed)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적층체(1b)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제1 절결 개시점(P1d) 측에서 제2 절결 개시점(P2d) 방향으로 향하여 절결선(10ed)을 찾아간 경우에, 제2 절결 개시점(P2d)이 위치하는 제4 변(15d)으로부터의 최단 거리는,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또는 상기 최단 거리가 일정하게 되는 구간을 포함하면서 점차로 작아지도록 절결선(10ed)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set the shape of the notch line 10ed as follows.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b, when the cutting line 10ed is found from the first cutting starting point P1d side toward the second cutting starting point P2d direction, the first cutting starting point P1d It is preferable to set the cutout line 10ed so th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first side 15a where ) is located is continuously increased or gradually increases while including a section in which the shortest distance is constant. Further,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b, when the cutting line 10ed is found from the first cutting starting point P1d side toward the second cutting starting point P2d direction, the second cutting starting point It is preferable to set the cutout line 10ed such th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fourth side 15d where P2d is located is continuously reduced or gradually decreases while including a section in which the shortest distance is constant.

광학 적층체(1b)의 평면시 형상에 대하여 설정되는 사각형(15)은, 상기에서 설명한 광학 적층체(1a)와 마찬가지로, 광학 적층체(1b)의 평면시 형상의 변을 포함하도록 설정된 가상의 평면 형상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사각형(15)이 갖는 제1 변(15a), 제2 변(15b) 및 제4 변(15d)의 일부가, 각각 광학 적층체(1b)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의 변(10a), 변(10b) 및 변(10d)을 구성하고, 사각형(15)이 갖는 제3 변(15c) 전체가, 광학 적층체(1b)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의 변(10c)을 구성하고 있다. 광학 적층체(1b)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변(10a)은 사각형(15)의 제1 변(15a) 중 제1 절결 개시점(P1b)과 제1 절결 개시점(P1d) 사이의선분 이며, 변(10b)은 사각형(15)의 제2 변(15b) 중 제2 절결 개시점(P2b)에서 꼭지점(Pab)으로 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이고, 변(10d)은 사각형(15)의 제4 변(15d) 중 제2 절결 개시점(P2d)에서 꼭지점(Pda)으로 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이다. The square 15 set with respect to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b is set to include the side of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b, similarly to the optical layered body 1a described above. It is a flat shape. Part of the first side 15a, the second side 15b, and the fourth side 15d of the quadrangle 15 shown in FIG. 4 are sides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b, respectively. (10a), the side 10b, and the side 10d, and the entirety of the third side 15c of the square 15 includes the side 10c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b. are making up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b, the side 10a is a line segment between the first cutting starting point P1b and the first cutting starting point P1d of the first side 15a of the square 15. , The side 10b is a part of the second side 15b of the quadrangle 15 opposite to the side from the second cutout starting point P2b toward the vertex Pab, and the side 10d is the quadrangle 15 It is a pa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toward the vertex Pda from the second notch start point P2d among the fourth sides 15d of ).

사각형(15)은, 광학 적층체(1b)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의 변(10a) 및 변(10b)을 연장하여 형성되는 교점을 꼭지점(Pab)으로서 포함하고, 변(10d) 및 변(10a)을 연장하여 형성되는 교점을 꼭지점(Pda)으로서 포함한다. 또, 광학 적층체(1b)의 평면시 형상으로부터 사각형(15)을 설정할 때에 광학 적층체(1b)의 평면시 형상으로부터 연장하는 변은, 광학 적층체(1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각형(15)이 갖는 코너부를 절결하여 광학 적층체(1b)를 얻었다고 가정한 경우에 사각형(15)을 절결하는 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광학 적층체(1b)에 대하여 설정되는 사각형의 형상은, 이 사각형이 갖는 2개의 코너부를 절결함으로써 광학 적층체(1b)가 얻어지도록 설정한다. The quadrangle 15 includes, as vertices Pab, sides 10a and an intersection formed by extending the sides 10b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b, and the sides 10d and the sides ( An intersection formed by extending 10a) is included as a vertex Pda. In addition, when setting the square 15 from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minate 1b, the side extending from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minate 1b is the square 15 as in the case of the optical laminate 1a. If it is assumed that the optical laminate 1b is obtained by cutting the corner portion of ), the area where the square 15 is cut is set to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rectangular shape set for the optical layered body 1b is set so that the optical layered body 1b can be obtained by cutting two corner portions of the rectangular shape.

제1 절결 개시점(P1d)과 제2 절결 개시점(P2d)을 잇는 절결선이 직선이라고 가정하여 사각형(15)으로부터 절결된 부분의 평면시 면적을 S2로 한 경우에, 광학 적층체(1b)가 갖는 실제의 절결선(10ed)에 의해서 사각형(15)으로부터 절결된 부분의 평면시 면적(Sb)은, 면적(S2)의 0.6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7배 이상이라도 좋고, 0.9배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1.6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배 이하라도 좋고, 1.2배 이하라도 좋다. Assuming that the cutting line connecting the first cutting starting point P1d and the second cutting starting point P2d is a straight line, when the plan view area of the portion cut from the quadrangle 15 is S2, the optical laminate 1b The planar view area Sb of the portion cut from the quadrangle 15 by the actual cutting line 10ed of ) is preferably 0.6 times or more, may be 0.7 times or more, or 0.9 times or more of the area S2. It may be,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6 times or less, 1.4 times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1.2 times or less may be sufficient.

광학 적층체(1b)에서는, 사각형(15)이 갖는 이웃하는 코너부에 절결부(11b) 및 절결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한 수순으로 박리용 테이프(35)를 이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41)을 잡아 일으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이, 광학 적층체(1a)에 있어서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하는 경우보다도 작아, 표면 보호 필름(41)이 잡이 일으켜지기 쉽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로써, 광학 적층체(1b)에서는, 박리용 테이프(35)에 의해서 표면 보호 필름(41)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다. In the optical layered body 1b, a cutout 11b and a cutout 11d are formed at adjacent corner portions of the square 15. Therefore, the force required to grab and raise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using the peeling tape 35 in the above procedure is smaller than that in the case of peel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n the optical layered body 1a. , it is considered that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became prone to occurrence of wrinkles. Thereby, in the optical laminated body 1b,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can be peeled more favorably with the tape 35 for peeling.

위에서는 하나 또는 2개의 절결부를 갖는 광학 적층체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3개 또는 4개의 절결부를 갖는 광학 적층체의 평면시 형상에 대하여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사각형을 설정할 수 있다. 또, 광학 적층체가 2 이상의 절결부를 갖는 경우, 사각형의 형상은, 이 사각형이 갖는 코너부를 광학 적층체가 갖는 절결부의 개수에 맞춰 절결했다고 가정한 경우에, 그 개수의 절결부를 갖는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 In the above, an optical layered body having one or two cutout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rectangle can be set similarly to the above for the plan view shape of an optical layered body having three or four cutouts. In the case where the optical layered body has two or more cutouts, the shape of the square is assumed to be c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utouts the optical layered body has, assuming that the corners of the rectangle are c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utouts the optical layered body has. Set up to get a sieve.

광학 적층체가 2 이상의 절결부를 갖는 경우, 절결부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더라도 좋고 서로 다르더라도 좋다. 광학 적층체가 2 이상의 절결부를 갖는 경우, 적어도 2개의 절결부는, 도 4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1b)의 절결부(11b, 11d)와 같이, 광학 적층체의 평면시 형상에 대하여 설정되는 사각형의 이웃하는 2개의 코너부를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optical laminate has two or more cutouts, the shapes of the cutou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When the optical laminate has two or more notches, at least two notches are set for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minate, like the notches 11b and 11d of the optical laminate 1b shown in FIG. 4 .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so as to cut two adjacent corner parts of the rectangle to be.

광학 적층체(1a, 1b)(이하, 양자를 포함하여 「광학 적층체(1)」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위에서 설명한 절결부를 갖고 있으면, 그 절결부와는 다른 형상으로 절결된 절결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광학 적층체(1)는, 위에서 설명한 절결부 이외에, 사각형(15)이 갖는 코너부를 상기한 거리(Laa, Lab, Lba, Lbd)에서 설명한 길이의 범위 밖에 있는 2점을 지나는 선에 의해서 절결한 절결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If the optical laminates 1a and 1b (hereinafter, both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optical laminate 1") have the above-described cutouts, they are cut in a shape different from the cutouts. It may have a notch shape. For example, in the optical laminate 1, in addition to the cutout described above, the corner portion of the square 15 is cut by a line passing through two points outside the range of the length described in the above distances (Laa, Lab, Lba, Lbd). It may have a broken notch shape.

광학 적층체(1)의 절결부(11)에 있어서의 단부면(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면)은 회전 공구에 의한 절삭 가공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부면이 회전 공구에 의한 절삭 가공면인 경우, 광학 적층체(1)에 포함되는 표면 보호 필름(41)이나 편광성 적층체(20)의 단부면이 회전 공구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약간 변형된 상태가 된다. 이 변형된 상태란, 표면 보호 필름(41)이나 편광성 적층체(20)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광학 적층체(1)의 평면 방향으로 평행하지 않고 적층 방향으로 약간 휘어져 올라가거나 아래로 드리워지거나 한 것을 말한다. 광학 적층체(1a)의 단부면에 상기한 변형이 생김으로써, 보다 한층 양호하게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face (end face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notch 11 of the optical laminate 1 is a cut surface by a rotary tool. When the end face is a cut surface by a rotary tool, the end 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or the polarizing laminate 20 included in the optical laminate 1 is slightly deform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tool. become a state In this deformed state, the end portion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or the polarizing laminate 20 is not partially parallel to the plane direction of the optical laminate 1, and is slightly bent in the lamination direction or droops downward. say one th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can be peeled much more favorably by the deformation mentioned above occurring in the end surface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1a.

광학 적층체(1)의 평면시 형상에 대하여 설정되는 사각형(15)은 방형(方形)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방형이란, 4개의 꼭지점이 직각(내각이 90°)인 사각형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을 말한다. 사각형(15)은 장방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quare 15 set with respect to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 is a square. In this specification, a quadrilateral refers to a quadrangle having four vertices at right angles (internal angles of 90°), and specifically refers to a square or rectangl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quare 15 is rectangular.

사각형(15)이 갖는 4개의 변의 길이는, 각각 독립적으로 3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50 mm 이상이라도 좋고, 140 mm 이상이라도 좋고, 150 mm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20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90 mm 이하라도 좋고, 180 mm 이하라도 좋고, 80 mm 이하라도 좋고, 70 mm 이하라도 좋다. The length of the four sides of the quadrangle 15 is preferably 30 mm or more independently, preferably 40 mm or more, 50 mm or more, 140 mm or more, or 150 mm or mor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00 mm or less, may be 190 mm or less, may be 180 mm or less, may be 80 mm or less, may be 70 mm or less.

표면 보호 필름(41)은, 편광성 적층체(20)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필름이며, 편광성 적층체(20)에 직접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 필름(41)은, 프로텍트 필름이라고도 불리며, 광학 적층체(1a)의 제조 공정이나, 광학 적층체(1a)를 적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등에 있어서, 편광성 적층체(20)의 표면을 피복 보호하여, 이 표면에 오염물이나 상처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41)은, 예컨대 점착제층(31)을 통해 광학 적층체(1)를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소자 등의 피착체에 접합한 후에,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s a film that can be peeled from the light-polarizing layered product 20, and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directly contact the light-polarizing layered product 20.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s also called a protection film, and is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laminate 20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ptical laminate 1a,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lay device to which the optical laminate 1a is applied, and the like. By covering and protecting the surface, stains and scratches on the surface can be suppressed.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can be peeled off and removed after bonding the optical layered body 1 to an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element of a display device via, for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

편광성 적층체(20)는 직선편광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갖는 편광판(21)을 포함하는 것이다. 편광성 적층체(20)의 두께는 120 ㎛ 이하이며, 110 ㎛ 이하라도 좋고, 100 ㎛ 이하라도 좋고, 80 ㎛ 이하라도 좋고, 40 ㎛ 이하라도 좋다. 편광성 적층체(20)의 두께는 통상 5 ㎛ 이상이며, 10 ㎛ 이상이라도 좋고, 20 ㎛ 이상이라도 좋고, 40 ㎛ 이상이라도 좋고, 50 ㎛ 이상이라도 좋다. 광학 적층체(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연마 등의 단부면 가공을 행한 경우에, 점착제층(31)을 구성하는 점착제가 비어져 나와 광학 적층체(1)의 단부면을 덮고, 이 점착제가 표면 보호 필름(41)의 단부면에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광학 적층체(1)의 단부면을 덮는 점착제에 의해서 표면 보호 필름(41)이 점착제층(31)에 고정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광학 적층체(1)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41)이 박리되기 어렵게 된다고 생각된다. 편광성 적층체(20)의 두께가 작아질수록 광학 적층체(1)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 필름(41)과 점착제층(31)의 거리가 작아지기 때문에, 점착제에 의한 광학 적층체(1)의 단부면의 피복에 의해,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 쉽다고 생각된다. 광학 적층체(1)는 상기한 것과 같이 절결부(11b, 11d)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편광성 적층체(20)의 두께가 작은 경우라도, 표면 보호 필름(41)을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laminate 20 includes a polarizing plate 21 hav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near polarizing layer.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laminate 20 is 120 μm or less, may be 110 μm or less, may be 100 μm or less, may be 80 μm or less, or may be 40 μm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laminate 20 is usually 5 μm or more, may be 10 μm or more, may be 20 μm or more, may be 40 μm or more, or may be 50 μm or more. When end surface processing such as polishing is per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ptical laminate 1, 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31 protrudes and covers the end surface of the optical laminate 1, and this adhesive is It may even reach the end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n this case, since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s fix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by the adhesive covering the end surface of the optical laminate 1,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s removed from the optical laminate 1. It is thought that this peeling becomes difficult.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and the adhesive layer 31 in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optical laminate 1 decreases a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laminate 20 decreases, the optical laminate using the adhesive It is thought that the coating of the end face of (1) makes it easy to be in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s difficult to peel. The optical layered body 1 has cutout portions 11b and 11d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layered product 20 is small,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can be peeled favorably.

편광성 적층체(20)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편광판(21) 그 자체라도 좋고, 편광판(21) 이외의 광학 기능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편광판(21) 이외의 광학 기능층으로서는, 예컨대 위상차층; 반사 필름; 반투과형 반사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방현 기능 구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The polarizing laminate 20 may be the polarizing plate 21 itself, as shown in FIG. 2 , or may have optical functional layers other than the polarizing plate 21 . As optical function layers other than the polarizing plate 21, for example, a retardation layer; reflective film; Transflective reflective film; brightness enhancing film; optical compensation film; A film with an anti-glare function, etc. are mentioned.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또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5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는, 편광성 적층체(20)가 편광판(21)과 위상차층(22)의 적층체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편광판(21)과 위상차층(22)은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 경화층 등의 접합층을 통해 적층할 수 있다. 편광성 적층체(20)가 위상차층(22)을 갖는 경우, 위상차층(22)은 편광판(21)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할 수 있다. 편광성 적층체(20)가 2층 이상의 위상차층(22)을 포함하는 경우, 편광판(21)의 양면에 위상차층(22)이 1층 이상씩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편광판(21)의 편면에만 2층 이상의 위상차층(22)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위상차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1/2 파장 위상차층, 1/4 파장 위상차층,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 위상차층,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The optical laminate shown in FIG. 5 shows an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polarizing laminate 20 is a laminate of the polarizing plate 21 and the retardation layer 22 . The polarizing plate 21 and the retardation layer 22 may be laminated through a bonding layer such as an adhesive layer or a cured adhesive layer. When the polarizing laminate 20 includes the retardation layer 22 , the retardation layer 22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plate 21 . When the polarizing laminate 20 includes two or more layers of retardation layers 22, one or more retardation layers 2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plate 21, or only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21. A retardation layer 22 of more than one layer may be provided. The retardatio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1/2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having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and a positive C plate.

위상차층(22)이 면내에 지상축을 갖는 경우, 지상축은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하여 평행(0°)하여도 좋고, 0°를 넘는 각도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위상차층(22)의 지상축은,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하여 15°, 30°, 45°, 60°, 75° 또는 90°의 각도를 갖고 있어도 좋다. When the retardation layer 22 has an in-plane slow axis, the slow axis may be parallel (0°)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or may have an angle exceeding 0°. For example,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layer 22 may have an angle of 15°, 30°, 45°, 60°, 75° or 90°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편광성 적층체(20)는 원편광판 또는 타원편광판이라도 좋다. 이 경우, 편광성 적층체(20)는 편광판(21)과 위상차층(22)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성 적층체(20)가 원편광판인 경우, 편광성 적층체(20)는, 표면 보호 필름(41) 측에서부터 [i] 편광판(21), 1/2 파장 위상차층, 1/4 파장 위상차층을 이 순서로 갖거나, [ii] 편광판(21),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 위상차층,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이 순서로 갖거나, 또는 [iii] 편광판(21), 포지티브 C 플레이트,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 위상차층을 이 순서로 갖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i]∼[iii]의 각 층의 사이에는 접합층을 둘 수 있다. The polarizing laminate 20 may be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or a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In this case, the polarizing laminate 20 may include a polarizing plate 21 and a retardation layer 22 . When the polarizing laminate 20 is a circular polarizing plate, the polarizing laminate 20 has [i] a polarizing plate 21, a half-wave retardation layer, and a 1/4-wave retardation layer from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side. have the layers in this order, [ii] have a polarizer 21,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with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a positive C plate in this order, or [iii] a polarizer 21, a positive C plate, It may have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of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in this order. A bonding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ayers of [i] to [iii].

점착제층(31)은, 광학 적층체(1)를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소자 등의 피착체에 접합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31)은 편광성 적층체(20)에 직접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성 적층체(20)에 있어서, 편광판과 광학 기능층의 접합 및/또는 위상차층끼리의 접합 등에 점착제층이 이용되고 있는 경우, 점착제층(31)은, 광학 적층체(1)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표면 보호 필름(41)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점착제층으로 된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can be used to bond the optical layered body 1 to an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element of a display devi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directly contact the polarizing laminate 20 . In the polarizing laminate 20, when the adhesive layer is used for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optical function layer and/or bonding the phase contrast layers to each other, the adhesive layer 31 is form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optical laminate 1. It becomes the adhesive layer in the most distant position from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n .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광학 적층체(1a)는, 점착제층(31)의 편광성 적층체(20)와는 반대측에, 점착제층(31)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박리 필름(32)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박리 필름(32)은 통상 점착제층(31)에 직접 접하도록 형성된다. 박리 필름(32)은 세퍼레이트 필름이라고도 불리며, 점착제층(31)에 이물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점착제층(31)의 표면을 피복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박리 필름(32)은, 점착제층(31)에 의해서 광학 적층체(1)를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소자 등의 피착체에 접합할 때에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6 is a schematic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 the optical layered body 1a further includes a release film 32 that can be peel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ing layered body 20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You may have it. The release film 32 is usually formed so as to directly contac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 The release film 32 is also called a separate film, and is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so that foreign matter or the like does not adher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 The release film 32 can be peeled and removed when bonding the optical layered body 1 to an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element of a display device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

광학 적층체(1)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 등의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적층체(1)는 점착제층(31)에 의해서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소자 등의 피착체에 접합된 후, 표면 보호 필름(41)이 박리된다. 이에 따라, 광학 적층체(1)에 포함되는 편광성 적층체(20)를 표시 장치에 집어 넣을 수 있다. The optical laminate 1 can be used for display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smart watches. As a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EL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tc. are mentioned. After the optical layered body 1 is bonded to an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element of a display device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s peeled off. Accordingly, the polarizing laminate 20 included in the optical laminate 1 can be incorporated into a display device.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광학 적층체(1)는, 예컨대 표면 보호 필름, 편광성 적층체, 점착제층 및 박리 필름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 및 치수로 재단한 원료 적층체에 대하여 절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원료 적층체에 절결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원료 적층체의 단부면(적층 방향에 평행한 단부면)에 대하여 연마를 행하는 방법, 그리고 원료 적층체를 톰슨 블레이드나 레이저 커터 등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재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중, 광학 적층체(1)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면에 발생하는 보풀 등을 억제하여, 광학 적층체(1)의 양호한 치수 정밀도를 얻기 위해서, 연마에 의해서 절결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연마나 재단은, 1장의 원료 적층체에 대하여 행하여도 좋고, 2장 이상의 원료 적층체를 적층하여 일제히 행하여도 좋다. The optical layered body 1 is formed, for example, by forming a notch with respect to a raw material layered product obtained by cutting a layered product hav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a polarizing layered product, an adhesive layer, and a release film in this order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can be manufactured As a method of forming a notch in the raw material laminate, for example, a method of polishing the end surface (end surface parallel to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and using one of Thomson blades, laser cutters, etc. for the raw material laminate, or The method of cutting by using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is mentioned. Among these, it is preferable to form notches by polishing in order to suppress fuzz and the like generated on the end face of the optical laminate 1 in the lamination direction and to obtain good dimensional accuracy of the optical laminate 1. do. The polishing and cutting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with respect to one sheet of raw material laminate, or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by laminating two or more raw material laminates.

원료 적층체의 평면시 형상은, 광학 적층체(1) 형상에 따라서 선정하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원료 적층체의 평면시 형상은, 연마에 의해서 절결부를 형성하는 경우는, 위에서 설명한 광학 적층체(1)의 평면시 형상에 대하여 설정되는 사각형(15)(도 1, 도 4)인 것이 바람직하고, 방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장방형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원료 적층체의 평면시 형상이 위에서 설명한 사각형(15)임으로써, 원료 적층체를 절결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raw material layered body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raw material layered body is preferably a rectangle 15 (FIGS. 1 and 4) set with respect to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forming cutouts by polishing.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squa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rectangular. When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is the quadrangle 15 described above, the cutting area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can be reduced.

도 1 및 도 4에서 설명한 사각형(15)의 평면시 형상을 갖는 원료 적층체로부터 광학 적층체(1)를 제조하는 경우, 사각형(15)의 코너부를, 꼭지점(Pab) 및/또는 꼭지점(Pda)을 포함하는 직각삼각형(예컨대 직각이등변삼각형)의 형상으로 절결하도록 연마 등을 행함으로써 절결부(11b, 11d)를 형성하면 된다.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laminate 1 from the raw material laminate having the plan view shape of the quadrangle 15 described in FIGS. 1 and 4, the corners of the quadrangle 15 are the vertex Pab and/or the vertex Pda. ) It is only necessary to form the cutout portions 11b and 11d by performing polishing or the like so as to be cut into a shape of a right triangle (for example, a right-angled isosceles triangle).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원료 적층체로부터 연마에 의해서 광학 적층체(1)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예컨대 하기 공정: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lamin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laminate 1 by polishing from a raw material laminate is, for example, the following steps:

[a] 원료 적층체를 여러 장 겹쳐 쌓아 적층물(W)을 얻는 제1 공정 및[a] First step of obtaining a laminate (W) by stacking a plurality of raw material laminates, and

[b] 적층물(W)의 단부면에 평행한 방향이며 적층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절삭날을 갖는 회전 공구(60)를, 적층물(W)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적층물(W)의 단부면을 절삭 가공하는 제2 공정[b] A rotary tool 60 having a cutting edge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R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nd face of the laminate W and orthogonal to the laminat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laminate W. 2nd process of cutting the end face of the laminated body W by relatively moving it with respect to

을 포함할 수 있다. can include

광학 적층체(1)의 제조 방법에서는, 예컨대 제1 공정(상기 [a])을 행한 후, 우선 평면시 형상이 사각형인 원료 적층체의 네 변에 대하여 제2 공정(상기 [b])에 의한 연마를 실시하고, 그 후, 사각형의 코너부에 대하여 제2 공정(상기 [b])에 의한 연마를 실시하여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 for example, after performing the first step (above [a]), first, the second step (above [b]) for the four sides of the raw material layered body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fter that, polishing by the second step (above [b]) is performed on the rectangular corner portion to form a notch.

제1 공정은,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된 원료 적층체를 여러 장 겹쳐 쌓아 적층물(W)을 얻는 공정이다. 적층물(W)에 포함되는 원료 적층체의 매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층물(W)은 예컨대 100∼500장의 원료 적층체를 적층한 것이라도 좋다. 원료 적층체는, 예컨대 원료 적층체의 층 구조를 갖는 장척형의 적층체로부터 재단하여 얻어진 것이라도 좋다. The first step is a step of obtaining a laminate W by stacking a plurality of raw material laminates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The number of raw material laminates included in the laminate W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laminate W may be, for example, a laminate of 100 to 500 raw material laminates. The raw material laminate may be obtained by cutting, for example, from a long laminate having a layer structure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제2 공정은, 제1 공정에서 얻어진 적층물(W)의 단부면을 회전 공구(60)에 의해 절삭 가공하고, 광학 적층체(1)의 절결부에 있어서의 단부면에 절삭 가공면을 형성하여, 광학 적층체(1)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In the second step, the end face of the laminate W obtained in the first step is cut with the rotary tool 60 to form a cut face on the end face in the cutout portion of the optical laminate 1. This is a step of forming the optical layered body 1 by doing so.

제2 공정에서 행하는 절삭 가공은, 예컨대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지지부(50) 및 2개의 회전 공구(60)를 구비한 장치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지지부(50)는, 적층물(W)을 위아래에서 압박하여, 절삭 가공 중에 적층물(W) 자체가 이동하지 않도록 그리고 겹쳐 쌓여진 원료 적층체가 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 공구(60)는, 적층물(W)의 단부면을 절삭 가공하기 위한 것이며,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cutting process performed in the 2nd process can be performed by the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upport part 50 and two rotary tools 6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The support portion 50 presses the laminate W from the top and bottom so that the laminate W itself does not move during cutting and is for fixing the stacked raw material laminates so that they do not warp. The rotary tool 60 is for cutting the end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W, and can be rotated around the rotational axis R.

지지부(50)는, 평판형의 기판(적층물(W)의 이동 수단)(51); 기판(51) 상에 배치되는 문 형태의 프레임(52); 기판(51) 상에 배치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테이블(53); 프레임(52)에 있어서의 회전 테이블(53)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실린더(54)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적층물(W)은 회전 테이블(53)과 실린더(54)에 의해서 지그(55)를 매개로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The support portion 50 includes a plate-like substrate (moving means for the laminate W) 51; a frame 52 in the form of a door disposed on the substrate 51; a rotary table 53 disposed on the substrate 51 and capable of rotating around a central axis; It may be provided with a cylinder 54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rotary table 53 in the frame 52 and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The multilayer body W is sandwiched and fixed by the rotary table 53 and the cylinder 54 via the jig 55.

회전 공구(60)는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반형의 회전체를 갖는다. 회전체의 회전 방향은 도 8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회전체의 반면(盤面)(적층물(W)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면이며, 상기 단부면에 평행한 면)에는,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예컨대 2∼10개, 바람직하게는 3∼7개)의 절삭날이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R)은 회전체의 반면의 중심을 지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삭날은, 회전체의 반면으로부터 적층물(W)의 단부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절삭날이 적층물(W)의 단부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체가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적층물(W)의 단부면을 절삭할 수 있다. The rotary tool 60 has a disc-shaped rotary body that rotates around the rotary shaft R.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is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8 . A plurality of (e.g., 2 to 10, preferably 2 to 10) are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ody (a surface facing the end face of the stacked product W and parallel to the end face). At least 3 to 7) cutting edges are arrang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shaft R is set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ody. The cutting edge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ody toward the end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W, and the rotating body rotates around the rotating shaft R in a state in which the cutting edge abuts against the end surface of the multilayer body W. By doing so, the end face of the multilayer body W can be cut.

기판(51)의 양측에는 2개의 회전 공구(60)가 서로 마주 보게 설치된다. 회전 공구(60)는 적층물(W)의 크기에 맞춰 회전축(R)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기판(51)은 2개의 회전 공구(60)들 사이를 통과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절삭 가공함에 있어서는, 적층물(W)을 지지부(50)에 고정하고, 회전 공구(60)의 회전축(R) 방향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한 다음에, 회전 공구(60)를 이들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적층물(W)이 마주 보는 회전 공구(60)들 사이를 통과하도록 기판(51)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적층물(W)의 단부면에 평행한 방향이며 적층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적층물(W)에 대하여 회전 공구(60)를 상대 이동시키면서, 회전 공구(60)가 갖는 절삭날을 적층물(W)의 마주 보는 노출된 단부면에 맞닿게 하여 이들의 단부면을 깎아내는 절삭 가공을 행할 수 있다.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51, two rotary tools 60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The rotary tool 60 i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aminated body W, and the substrate 51 is movable to pass between the two rotary tools 60 . In cutting, after fixing the multilayer body W to the support portion 50 and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otary tool 60 in the direction of the rotary axis R, the rotary tool 60 is moved to the rotary axis R While rotating around ), the substrate 51 is moved so that the laminated body W passes between the rotating tools 60 facing each other. Accordingly, while relatively moving the rotary tool 60 with respect to the laminate W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nd face of the laminate W and orthogonal to the laminate direction, the cutting edge of the rotary tool 6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utting process in which the end faces of the multilayer body W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acing exposed end faces of the multilayer body W, and the end faces thereof are shaved off.

적층물(W)과 회전 공구(60) 사이의 상대 이동 속도는 예컨대 200 mm/분 이상 5000 mm/분 이하의 범위(보다 전형적으로는 500 mm/분 이상 3000 mm/분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회전 공구(60)의 회전 속도는 예컨대 2000 rpm 이상 8000 rpm 이하의 범위(보다 전형적으로는 2500 rpm 이상 6000 rp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The relative moving speed between the stack W and the rotary tool 60 can be selected, for example, in the range of 200 mm/min or more and 5000 mm/min or less (more typically, 500 mm/min or more and 3000 mm/min or less). c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tool 60 can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a range of 2000 rpm or more and 8000 rpm or less (more typically, a range of 2500 rpm or more and 6000 rpm or less).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방법)(How to peel the surface protection film)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광학 적층체(1)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하는 박리 방법은, 광학 적층체(1)를 점착제층(31)에 의해서 화상 표시 소자(45)(피착체)에 접합하는 공정과(도 7), 광학 적층체(1)의 표면 보호 필름(41) 측의 표면에 박리용 테이프(35)를 부착하는 공정과(도 3, 도 7의 (a)), 박리용 테이프(35)를 잡아 일으킴으로써, 화상 표시 소자(45)에 접합된 광학 적층체(1)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하는 공정(도 7의 (b) 및 (c))을 포함한다.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tep of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from the optical layered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eling method of peel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from the optical laminated body 1 includes the steps of bonding the optical laminated body 1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45 (adhered body)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 7), the step of attaching the tape 35 for peeling to the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sid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1 (Fig. 3, Fig. 7(a)), and the tape 35 for peeling The process of peel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from the optical laminated body 1 bonded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45 by pulling up (FIG. 7(b) and (c)) is included.

박리용 테이프(35)를 부착하는 공정에서는, 광학 적층체(1)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단부에 절결부(11b) 또는 절결부(11d)가 형성된 한 변을 걸쳐 있도록 박리용 테이프(35)를 부착한다. 도 3에서는, 변(10a)을 걸쳐 있도록 박리용 테이프(35)를 부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단부에 절결부(11b 또는 11d)를 갖는 변(예컨대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변(10b), 도 4에 도시하는 변(10d))이라도 좋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변(10a)의 양단부에 절결부(11b) 및 절결부(11d)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박리용 테이프(35)를 잡아 일으킴으로써 표면 보호 필름(41)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박리하기 위해서, 박리용 테이프(35)는 변(10a)을 걸쳐 있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용 테이프(35)는 통상 표면 보호 필름(41)의 표면에 직접 부착된다.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peeling tape 35,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minate 1, the peeling tape 35 is formed so as to span one side in which the cutout 11b or the cutout 11d is formed at the end. attach In FIG. 3, an example of attaching the peeling tape 35 so as to span the side 10a is shown, but the side having the cutout 11b or 11d at the end (for example, the side shown in FIGS. 1 and 4 ( 10b) and the side 10d shown in FIG. 4) may be used. As shown in FIG. 4 , when the notch 11b and the notch 11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de 10a,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can be further removed by pulling up the peeling tape 35. In order to peel bet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 35 for peeling is affixed so that it spans the edge 10a. The peeling tape 35 is usually direct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

화상 표시 소자(45)에 접합하는 공정은, 광학 적층체(1)가 박리 필름(32)을 갖는 경우(도 6), 광학 적층체(1)로부터 박리 필름(32)을 박리한 후에 행한다. 화상 표시 소자(45)에 접합하는 공정은, 박리용 테이프(35)를 부착하는 공정보다 전에 행하여도 좋고, 후에 행하여도 좋다. The process of bonding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45 is performed after peeling the peeling film 32 from the optical laminated body 1, when the optical laminated body 1 has the peeling film 32 (FIG. 6). The process of bonding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45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tape 35 for peeling.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하는 공정에서는, 박리용 테이프(35) 중, 표면 보호 필름(41) 측의 표면에 부착된 단부인 부착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이하, 「파지 측의 단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파지하여, 화상 표시 소자(45) 측과는 반대측(도 7(a)에서의 오른쪽 상측 방향, 도 7(a)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박리용 테이프(35)를 잡아 일으킨다. 박리용 테이프(35)의 파지 측의 단부를 부착 단부 측으로 되꺾고(도 7(b)에서의 화살표 방향), 이때 되꺾는 방향(도 7(c)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향하도록 잡아 당김으로써, 광학 적층체(1)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하여, 편광성 적층체(20) 표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In the step of peel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the en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attachment end, which is the end attached to the surface on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side, among the peeling tapes 35 (hereinafter, "gripping side end") ) is held, and the peeling tape 35 is appli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45 side (in the upper right direction in Fig. 7(a),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7(a)). catch and raise By bending the end of the peeling tape 35 on the holding side back to the attaching end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7(b)) and then pulling it toward the bending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7(c)) ,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laminate 20 can be exposed by peel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from the optical laminate 1 .

표면 보호 필름(41)의 박리는, 사람손에 의해서 행하여도 좋지만, 박리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화할 수 있다. 박리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박리용 테이프(35)의 파지 측의 단부를 박리 장치의 척에 파지하고, 척과 광학 적층체(1)를 상대 이동시켜 박리용 테이프(35)를 잡아 일으킴으로써,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할 수 있다. Although peeling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may be performed by hand, it can be automated using a peeling device. In the case of using a peeling device, surface protection is achieved by gripping the gripping side end of the peeling tape 35 with a chuck of the peeling device, moving the chuck and the optical laminate 1 relative to each other, and holding the peeling tape 35 up. The film 41 can be peeled off.

상기한 것과 같이, 광학 적층체(1)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단부에 절결부(11b) 및/또는 절결부(11d)가 형성된 변에 박리용 테이프(35)를 부착함으로써, 박리용 테이프(35)를 이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41)을 잡아 일으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박리 방법에 의하면, 절결부를 갖고 있지 않은 광학 적층체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1b)와 같이, 변(10b)의 양단부에 절결부(11b) 및 절결부(11d)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변(10b)에 박리용 테이프(35)를 부착함으로써 보다 한층 양호하게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attaching the peeling tape 35 to the side where the cutout 11b and/or the cutout 11d are formed at the end in the plan view shape of the optical laminate 1, the peeling tape ( 35),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orce necessary for gripping and rais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Therefore, according to the peel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surface protection film is peeled from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does not have a notch, a surface protection film can be peeled favorably. In particular, as in the optical layered body 1b shown in FIG. 4, when the cutout 11b and the cutout 11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de 10b, the tape 35 for peeling is formed on the side 10b.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can be peeled off more satisfactorily by attaching.

이하,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 및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방법에서 이용한 각 부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member used in the peeling method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and surface protection film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detail.

(표면 보호 필름)(surface protection film)

표면 보호 필름은 편광성 적층체의 표면에 형성된다. 편광성 적층체의 최표면이 편광판인 경우, 표면 보호 필름은 편광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용 수지 필름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것이라도 좋고, 자기 점착성 필름 단독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30∼20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15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20 ㎛이다. A surface protection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 light-polarizing laminate. Whe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polarizing laminate is a polarizing plate,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polarizing plate. The surface protection film may be one in which an adhesive layer was formed on the resin film for surface protection films, or may be formed of a self-adhesive film alone.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may be, for example, 30 to 200 μm, preferably 30 to 150 μm, and more preferably 30 to 120 μm.

표면 보호 필름용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 필름용 수지 필름은, 1층 구조라도 좋지만,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표면 보호 필름용 수지 필름은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 등의 연신 처리가 실시된 필름이라도 좋다. Example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resin film for surface protection films include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based resins and polypropylene-based resins; Cyclic polyolefin resin;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carbonate-based resin; (meth)acrylic-type resin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polyester-type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re preferable. The resin film for surface protection films may have a single layer structure, but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The resin film for surface protection films may be a film subjected to stretching treatment such as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 stretching.

표면 보호 필름의 온도 23℃, 상대습도 55%에 있어서의 편광성 적층체(20)에 대한 밀착력(Fp)은, 0.01 N/2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 N/25 mm 이상이라도 좋고, 0.08 N/25 mm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0.5 N/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N/25 mm 이하라도 좋고, 0.3 N/25 mm 이하라도 좋다. The adhesion (Fp)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to the light-polarizing laminate 20 at a temperature of 23°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is preferably 0.01 N/25 mm or more, may be 0.03 N/25 mm or more, and may be 0.08 N/25 mm or more. It may be N/25 mm or more, and preferably 0.5 N/25 mm or less, 0.4 N/25 mm or less, or 0.3 N/25 mm or less.

상기 밀착력(Fp)은 다음의 수순으로 측정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1)를 150 mm×25 mm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한 것을, 점착제층(31)에 의해 무알칼리 유리 기판(두께 0.7 mm, 코닝사 제조 「Eagle XG」)에 접합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이 시험편을 내부 온도 50℃, 내부 압력 490.3 kPa(게이지압)의 오토크레이브 중에 20분간 투입하여 가열 가압 환경 하에 노출한 후, 온도 23℃, 상대습도 55% RH의 분위기 하에 24시간 보관하여 평가용 샘플로 한다. 이 평가용 샘플에 관해서, JIS K6854-2:1999 「접착제-박리 접착 강도 시험 방법-제2부: 180° 박리」에 준거하여, 박리 장치(시마즈세이사쿠쇼사 제조 「오토그라프 AGS-50NX」)를 이용하여, 이동 속도 300 mm/분으로 180° 박리 시험을 행하여 측정된 박리력을 밀착력(Fp)으로 한다. The adhesion (Fp) can be measur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What cut the optical laminated body 1 into a rectangle of 150 mm x 25 mm is bonded to an alkali-free glass substrate (thickness 0.7 mm, "Eagle XG" by Corning) with the adhesive layer 31, and it is set as a test piece. This test piece was put into an autoclave at an internal temperature of 50 ° C and an internal pressure of 490.3 kPa (gauge pressure) for 20 minutes, exposed to a heated and pressurized environment, and then stored for 24 hours in an atmosphere with a temperature of 23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RH for evaluation. do as a sample. Regarding this evaluation sample, in accordance with JIS K6854-2: 1999 “Adhesives-Peel Adhesion Strength Test Method-Part 2: 180° Peeling”, a peeling device (“Autograph AGS-50NX”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Using, a 180° peel test is performed at a moving speed of 300 mm/min, and the measured peel force is referred to as the adhesion force (Fp).

표면 보호 필름이 표면 보호 필름용 수지 필름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것인 경우, 이 점착제층의 두께는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이라도 좋고, 15 ㎛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 이하라도 좋고, 20 ㎛ 이하라도 좋다. When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one in which an adhesive layer is formed on a resin film for surface protection film,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5 μm or more, may be 10 μm or more, may be 15 μm or more, and may be 30 μm or less. Preferably, it may be 25 μm or less, and may be 20 μm or less.

상기한 표면 보호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용 수지 필름면 상에, 점착제를 도포, 건조하거나 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표면 보호 필름용 수지 필름의 점착제의 도포면에는, 밀착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표면 처리(예컨대 코로나 처리 등)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고, 프라이머층(밑칠층이라고도 한다) 등의 박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표면 보호 필름이 점착제층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 보호 필름용 수지 필름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을 피복하여 보호하기 위한 박리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박리층은 편광성 적층체와 맞붙일 때의 적절한 타이밍에 박리할 수 있다. The surface protection film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by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resin film for surface protection films by applying and drying the adhesive. As needed, surface treatment (e.g., corona treatment, etc.) may be performed on the coated surface of the adhesive of the resin film for surface protection films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even if a thin layer such as a primer layer (also referred to as an undercoating layer) is formed. good night. Moreover, as needed, when a surface protection film has an adhesive layer, you may have a peeling layer for coat|covering and protecting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esin film side for surface protection films of the said adhesive layer. This peeling layer can be peeled at an appropriate timing when bonding to the polarizing laminate.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자기 점착성 필름은, 점착제층 등의 부착을 위한 수단을 마련하지 않고서 그 자신으로 부착되며 또한 그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필름이다. 자기 점착성 필름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A self-adhesive film that can be used as a surface protection film is a film that is attached by itself without providing a means for attaching an adhesive layer or the like and can maintain the attached state. The self-adhesive film can be formed using, for example, a polypropylene-based resin or a polyethylene-based resin.

(편광성 적층체)(Polarizing laminate)

편광성 적층체는 직선편광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갖는 편광판을 적어도 포함한다. 편광성 적층체는, 편광판만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고, 편광판과 편광판 이외의 광학 기능층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광학 기능층으로서는 상기한 것을 들 수 있다. 광학 기능층은 1층이라도 좋고 2층 이상이라도 좋다. 직선편광층과 보호층의 사이, 편광판과 광학 기능층의 사이 및 광학 기능층이 2층 이상적층되어 있는 경우의 광학 기능층의 사이는,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 경화층 등의 접합층을 통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The polarizing laminate includes at least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near polarizing layer. The polarizing laminate may contain only a polarizing plate, or may contain a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functional layers other than the polarizing plate. As this optical function layer, the above is mentioned. One layer may be sufficient as an optical function layer, and two or more layers may be sufficient as it. Between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between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optical function layer, and between the optical function layers in the case where the optical function layer is ideally layered in two layers are bonded through a bonding layer such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 cured adhesive layer, may be

(직선편광층)(linear polarization layer)

직선편광층은, 무편광의 빛을 입사시켰을 때, 흡수축에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편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직선편광층은, 폴리비닐알코올(이하, 「PVA」라고 약칭하는 경우도 있다.)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2색성 색소를 배향시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킨 경화막이라도 좋다. The linearly polarized layer has a property of transmit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 plane of vibration orthogonal to the absorption axis when unpolarized light is incident therethrough.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may include a polyvinyl alcohol (hereinafter sometimes abbreviated as "PVA")-based resin film, orienting a dichroic dye in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o polymerize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 cured film may be used.

PVA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직선편광층으로서는, 예컨대 PVA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PVA 계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특성이 우수하므로, PVA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일축 연신하여 얻어진 직선편광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linearly polarizing layer comprising a PVA-based resin film, for example, a hydrophilic polymer film such as a PVA-based film, a partially formalized PVA-based film,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based partially saponified film, and a dichroic substance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and those to which dyeing treatment and stretching treatment were performed by . Since the optical properties are excellent, it is preferable to use a linear polarization layer obtained by dyeing a PVA-based resin film with iodine and uniaxially stretching it.

PVA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The PVA-based resin can be produc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The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may be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an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other than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and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PVA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몰%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PVA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 가능하다.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5,000 정도이다.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평균 중합도가 1000 미만이면 바람직한 편광 성능을 얻기가 어렵고, 10000을 넘으면 필름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VA-based resin is usually about 85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or more. The PVA-based resin may be modified, an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or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can be used.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based resin is usually about 1,000 to 10,000, preferably about 1,500 to 5,000.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based resin can be obtained in accordance with JIS K 6726 (1994). Whe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less than 1000, it is difficult to obtain desirable polarization performance, and when it exceeds 10000, film workability may be poor.

그 밖의 PVA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직선편광층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우선 기재 필름을 준비하고, 기재 필름 상에 PVA계 수지 등의 수지의 용액을 도포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건조 등을 행하여 기재 필름 상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for producing a linear polarization layer containing another PVA-based resin film, first, a base film is prepared, a solution of a resin such as a PVA-based resin is applied on the base film, and drying to remove the solvent is performed to remove the base film. What includes the process of forming a resin layer on it is mentioned.

또한, 기재 필름의 수지층이 형성되는 면에는 미리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PET 등의 수지 필름이나, 후술하는 보호층에 이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재료로서는, 직선편광층에 이용되는 친수성 수지를 가교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In addition, a primer layer can be formed in advance on the surface on which the resin layer of the base film is formed. As the base film, a resin film such as PET or a film using a thermoplastic resin that can be used for a protective layer described later can be used. Examples of the material for the primer layer include a resin obtained by crosslinking a hydrophilic resin used in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이어서, 필요에 따라서 수지층의 수분 등의 용매량을 조정하고, 그 후,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을 일축 연신하고, 이어서, 수지층을 요오드 등의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2색성 색소를 수지층에 흡착 배향시킨다. 이어서, 필요에 따라서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한 수지층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붕산 수용액을 씻어내는 세정 공정을 행한다. 이에 따라,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수지층, 즉, 직선편광층의 필름이 제조된다. 각 공정에는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amount of solvent such as water in the resin layer is adjusted as necessary, and then the base film and the resin layer are uniaxially stretched, and then the resin layer is dyed with a dichroic dye such as iodine to form the dichroic dye into the resin layer. is adsorbed to orient. Then, if necessary, a washing step is performed in which the resin layer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is tre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is washed off. In this way, a resin layer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that is, a film of a linearly polarized light layer is produced. A well-known method can be employ|adopted for each process.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의 일축 연신은, 염색 전에 행하여도 좋고, 염색 중에 행하여도 좋고, 염색 후의 붕산 처리 중에 행하여도 좋고, 이들의 복수의 단계에서 각각 일축 연신을 행하여도 좋다.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은, MD 방향(필름 반송 방향)으로 일축 연신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 원주 속도가 다른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고, 열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다. 또한,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은 TD 방향(필름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일축 연신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 소위 텐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의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라도 좋고, 용제로 수지층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라도 좋다. 직선편광층의 성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연신 배율은 4배 이상이며, 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5배 이상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파단 등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8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Uniaxial stretching of the base film and the resin layer may be performed before dyeing, may be performed during dyeing, may be performed during boric acid treatment after dyeing, or may be uniaxially stretched in a plurality of these steps. The base film and the resin layer may be uniaxially stretched in the MD direction (film transport direction). In this case, they may be uniaxially stretched between rolls having different circumferential speeds, or uniaxially stretched using a hot roll. In addition, the base film and the resin layer may be uniaxially stretched in the TD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lm transport direction), and in this case, a so-called tenter method can be used. Further, the stretching of the base film and the resin layer may be dry stretching performed in air or wet stretching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resin layer is swollen with a solvent. In order to express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the draw ratio is 4 times or more, preferably 5 time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5 times or more. Although there is no upper limit in particular of the draw ratio, it is preferably 8 times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breakage or the like.

상기 방법으로 제작한 직선편광층은 후술하는 보호층을 적층한 후에 기재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직선편광층의 한층 더한 박막화가 가능하게 된다.The linearly polarized light layer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can be obtained by laminating the protective layer described later and then peeling off the base film. According to this method, further thinning of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is possible.

PVA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직선편광층의 두께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상이라도 좋고, 5 ㎛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하라도 좋고, 10 ㎛ 이하라도 좋다.The thickness of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comprising the PVA-based resin film is preferably 1 μm or more, may be 2 μm or more, may be 5 μm or more, and is preferably 30 μm or less, may be 15 μm or less, or may be 10 μm or less. good night.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2색성 색소를 배향시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킨 경화막인 직선편광층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기재 필름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2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액정 상태를 유지한 채로 중합하여 경화시켜 직선편광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직선편광층은, 기재 필름에 적층된 상태에 있으며, 기재 필름 구비 직선편광층을 후술하는 편광판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PET 등의 수지 필름이나, 후술하는 보호층에 이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As a method for producing a linear polarizing layer, which is a cured film obtained by orienting a dichroic dye in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polymeriz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layer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chroic dye on a base film. and a method of forming a linear polarization layer by apply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polymerizing and cur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while maintaining the liquid crystal state.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obtained in this way is in a laminated state on a base film, and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with a base film may be used as a polarizing plate described later. As the base film, a resin film such as PET or a film using a thermoplastic resin that can be used for a protective layer described later can be used.

2색성 색소로서는, 분자의 장축 방향에 있어서의 흡광도와 단축 방향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다른 성질을 갖는 색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30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 파장(λmax)을 갖는 색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2색성 색소로서는, 예컨대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안트라퀴논 색소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아조 색소가 바람직하다. 아조 색소로서는, 모노아조 색소,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 테트라키스아조 색소, 스틸벤아조 색소 등을 들 수 있고,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가 보다 바람직하다. As the dichroic dye, a dye having a property in which absorbance in the long-axis direction and absorbance in the short-axis direction of the molecule are different can be used, and for example, a dye having a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λmax) in the range of 300 to 700 nm is preferable. do. Examples of such dichroic dyes include acridine dyes, oxazine dyes, cyanine dyes, naphthalene dyes, azo dyes, anthraquinone dyes, and the like, and among these, azo dyes are preferable. As an azo dye, a monoazo dye, a bisazo dye, a trisazo dye, a tetrakisazo dye, a stilbenazo dye, etc. are mentioned, A bisazo dye and a trisazo dye are more preferable.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제, 광중합개시제 등의 중합개시제, 광증감제, 중합금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2색성 색소, 용제, 중합개시제, 광증감제, 중합금지제 등에 관해서는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17-10247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7-83843호 공보에 예시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후술하는 위상차층으로서의 경화물층을 얻기 위해서 이용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 예시한 화합물을 이용하여도 좋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직선편광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도 상기 공보에 예시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layer may include a solvent, a polymerization initiator such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photosensitizer, and a polymerization inhibitor.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dichroic dyes, solvents, polymerization initiators, photosensitizers, polymerization inhibitors, etc.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layer may be know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7-102479, What is illustrat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7-83843 can be used. In addition, as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compounds exemplified as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used in order to obtain a cured product layer as a retardation layer described later may be used. As for the method of forming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olarization layer, the method exemplified in the above publication can also be employed.

(편광판)(Polarizer)

직선편광층은 그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적층하여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이 편광판은 소위 직선편광판이다. 직선편광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할 수 있는 보호층으로서는, 예컨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필름이 이용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시클로계 및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라고도 한다);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직선편광층의 양면에 보호층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 2개의 보호층의 수지 조성은 동일하더라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도 같은 의미이다.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can be made into a polarizing plate by laminat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thereof. This polarizing plate is a so-called linear polarizing plate. As the protective layer that can be lamin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for example, a film formed of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water barrier properties, isotropy, and stretchability is used. Specific examples of such a thermoplastic resin include cellulosic resins such as triacetyl cellulos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ersulfone resin; polysulfone resin; polycarbonate resin; polyamide resins such as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polyimide resin;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a polypropylene, and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cyclic polyolefin resins (also referred to as norbornene-based resins) having a cyclo-based and norbornene structure; (meth)acrylic resin; polyarylat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vinyl alcohol resins, and mixtures thereof. When protective layers a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the resin compositions of the two protective layer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 means that either acryl or methacryl may be sufficient. "(meth)", such as (meth)acrylate, has the same meaning.

보호층은, 위상차 특성을 갖는 것이라도 좋고, 하드코트층이나 반사방지층 등의 기능층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보호층의 두께는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층의 두께는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상한치 및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may have retardation characteristics, or may have a functional layer such as a hard coat layer or an antireflection lay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3 micrometers or more, and, as for the thickness of a protective lay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 micrometers or more.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is preferably 50 μ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0 μm or less.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upper limit and lower limit can be combined arbitrarily.

(위상차층)(phase difference layer)

편광성 적층체는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고, 연신된 수지 필름이라도 좋다. The polarizing laminate may contain a retardation layer. The retardation layer may contain a layer of a cured material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or may be a stretched resin film.

위상차층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을 포함하는 경우,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 막대형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원반형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한쪽을 이용하여도 좋고, 이들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도 좋다. 막대형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기재층에 대하여 수평 배향 또는 수직 배향한 경우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장축 방향과 일치한다. 원반형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배향한 경우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원반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존재한다. 막대형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표 평11-513019호 공보(청구항 1 등)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원반형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2007-108732호 공보(단락 [0020]∼[0067] 등), 일본 특허공개 2010-244038호 공보(단락 [0013]∼[0108] 등)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cured material layer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s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 rod-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sk-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used, either of which may be used, A mixture containing both of these may be used. When the rod-lik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horizontally aligned or vertic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layer,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oincides with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When the discoi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aligned,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exist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sc surfac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s the rod-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ose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1-513019 (Claim 1 and the like) can be suitably used. As the discoi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os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108732 (paragraphs [0020] to [0067], etc.)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44038 (paragraphs [0013] to [0108], etc.) are preferred. available.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경화물층이 면내 위상차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알맞은 방향으로 배향시키면 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막대형인 경우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기재층 평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되고, 이 경우, 광축 방향과 지상축 방향은 일치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원반형인 경우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기재층 평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되고, 이 경우, 광축과 지상축은 직교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는 배향층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조합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orientate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an appropriate direction in order for the hardened|cured material layer formed by polymeriz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o express an in-plane retardation.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rod-shaped, in-plane retardation is developed by orienting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substrate layer, and in this case,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slow axis direction coincide.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discoid, in-plane retardation is developed by orienting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substrate layer, and in this case, the optical axis and the slow axis are orthogonal. The alignment stat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adjusted by a combination of the alignment layer and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기를 가지며 또한 액정성을 갖는 화합물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두 종류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 적어도 한 종류가 분자 내에 2 이상의 중합성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란,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의미하며, 광중합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중합성기란, 후술하는 광중합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서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중합성기로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액정성은 서모트로픽성 액정이라도 리오트로픽 액정이라도 좋으며, 서모트로픽 액정을 질서도로 분류하면, 네마틱 액정이라도 스멕틱 액정이라도 좋다.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polymerizable group and having liquid crystallinity. When two or more types of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are used togethe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type has two or more polymerizable groups in the molecule. A polymerizable group means a group involved in a polymerization reaction, and is preferably a photopolymerizable group. Here, the photopolymerizable group refers to a group capable of participating in a polymerization reaction by an active radical or an acid generated from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described later. 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group include a vinyl group, a vinyloxy group, a 1-chlorovinyl group, an isopropenyl group, a 4-vinylphenyl group, an acryloyloxy group, a methacryloyloxy group, an oxiranyl group, an oxetanyl group, a styryl group, and an allyl group. etc. can be mentioned. Especially, an acryloyloxy group, a methacryloyloxy group, a vinyloxy group, an oxiranyl group, and an oxetanyl group are preferable, and an acryloyloxy group is more preferable. The liquid crystal propertie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thermotropic liquid crystals or lyotropic liquid crystals. If thermotropic liquid crystals are classified by degree of order, they may be either nematic liquid crystals or smectic liquid crystals.

위상차층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을 포함하는 경우, 위상차층은 배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배향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갖는다. 배향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층에 대하여 수직 배향한 수직 배향층이라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층에 대하여 수평 배향한 수평 배향층이라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층에 대하여 경사 배향시키는 경사 배향층이라도 좋다. 제1 배향층과 제2 배향층은, 동일한 배향층이라도 좋고, 다른 배향층이라도 좋다. When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cured layer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retardation layer may include an alignment layer. The alignment layer has an alignment regulating force for orient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a desired direction. The alignment layer may be a vertical alignment layer in which the molecular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vertic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layer, or a horizontal alignment layer in which the molecular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layer may be used, or the molecule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 inclination orientation layer in which an axis is obliquely orient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layer may be used. The first orientation layer and the second orientation layer may be the same orientation layer or different orientation layers.

배향층으로서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공 등에 의해 용해하지 않는 용매 내성을 갖고, 용매의 제거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대한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층으로서는, 배향성 폴리머로 형성된 배향성 폴리머층, 광배향 폴리머로 형성된 광배향성 폴리머층, 층 표면에 요철 패턴이나 복수의 그루브(홈)를 갖는 그루브 배향층을 들 수 있다. As the alignment layer, it is preferable to have resistance to solvents that do not dissolve whe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is applied or the like, and has heat resistance to removal of solvents or heat treatment for alignment of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Examples of the orientation layer include an orientation polymer layer formed of an orientation polymer, an optical orientation polymer layer formed of an optical orientation polymer, and a groove orientation layer having a concave-convex pattern and a plurality of grooves on the surface of the layer.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은, 기재층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건조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은 기재층 상에 형성된 배향층 상에 도포하여도 좋다. The cured layer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formed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contain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onto the substrate layer, drying the composition, and polymeriz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may be applied onto an alignment layer formed on a substrate layer.

기재층으로서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필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한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설명한 수지 재료를 이용한 필름을 들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의 점에서 1∼3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2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12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과 함께 위상차층으로서 편광성 적층체에 삽입되어 있어도 좋고, 기재층을 박리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만, 또는 상기 경화물층 및 배향층이 위상차층으로서 편광성 적층체에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As the substrate layer, a film formed of a resin material can be used, and for example, a film using a resin material described as a thermoplastic resin used fo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described above can be exemplified.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preferably 1 to 300 μm, more preferably 20 to 200 μm, and still more preferably 30 to 120 μm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such as strength and handling. desirable. The base material layer may be inserted into the polarizing laminate as a retardation layer together with the cured material layer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base material layer is peeled off to align only the cured material layer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or the cured material layer and the alignment layer. The layer may be inserted into the polarizing laminate as a retardation layer.

연신된 수지 필름에 이용되는 수지 필름으로서는,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을 들 수 있다. 연신 처리로서는, 일축 연신이나 이축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처리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은, 미연신 수지의 길이 방향이라도 좋고, 길이 방향에 직교(直交)하는 방향이라도 좋고,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사교(斜交)하는 방향이라도 좋다. 일축 연신의 경우는, 이들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연신 수지를 연신하면 된다. 이축 연신은, 이들 방향 중 2개의 연신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동시 이축 연신이라도 좋고, 원하는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다른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이축 연신이라도 좋다. Examples of the resin film used for the stretched resin film include a film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that can be used to form a protective layer. Examples of the stretching treatment include uniaxial stretching and biaxial stretching. The stretching direction in the stretching treatment may b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stretched res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ase of uniaxial stretching, unstretched resin may be stretched in any one of these directions. Biaxial stretching may be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in which the film is simultaneously stretched in two of these directions, or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in which the film is stretched in a desired direction and then in another direction.

위상차층의 두께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상이라도 좋고, 5 ㎛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하라도 좋고, 10 ㎛ 이하라도 좋다.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layer is preferably 1 μm or more, may be 2 μm or more, may be 5 μm or more, and preferably 100 μm or less, may be 50 μm or less, or may be 10 μm or less.

(접합층)(bonding layer)

편광성 적층체에 포함되는 각 층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층으로서는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 경화층을 들 수 있다. 접합층이 점착제층인 경우, 후술하는 점착제층(31)에서 설명하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접합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의 온도 23℃, 상대습도 55%에 있어서의 무알칼리 유리 기판(두께 0.7 mm, 코닝사 제조 「Eagle XG」)에 대한 밀착력은, 1 N/2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N/25 mm 이상이라도 좋고, 10 N/25 mm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50 N/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N/25 mm 이하라도 좋고, 30 N/25 mm 이하라도 좋다. 밀착력은, JIS K 6854-2:1999 「접착제-박리 접착 강도 시험 방법-제2부: 180° 박리」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무알칼리 유리 기판(두께 0.7 mm, 코닝사 제조 「Eagle XG」) 이외의 피착체에 대한 밀착력에 관해서도, 일반적인 상기 무알칼리 유리 기판에 대한 밀착력과 같은 정도라고 간주할 수 있다. As a bonding layer for bonding each layer included in the polarizing laminat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 cured adhesive layer is exemplified. When the bonding layer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can be forme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describ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to be described later. The ad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s the bonding layer to the alkali-free glass substrate (thickness 0.7 mm, manufactured by Corning "Eagle XG") at a temperature of 23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is preferably 1 N / 25 mm or more, and 3 N /25 mm or more, may be 10 N/25 mm or more, and preferably 50 N/25 mm or less, 40 N/25 mm or less, or 30 N/25 mm or less. Adhesion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 6854-2:1999 “Adhesives-Peel Adhesion Strength Test Method-Part 2: 180° Peel”. Also, the adhesion to adherends other than the alkali-free glass substrate (thickness: 0.7 mm, manufactured by Corning, "Eagle XG") can be regarded as the same as the adhesion to the general alkali-free glass substrate.

편광성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층을 접합하는 접합층과 이것에 접합되는 각 층 사이의 밀착력(Fb)은, 각각 통상 표면 보호 필름(41)의 편광성 적층체(20)에 대한 밀착력(Fp)보다도 크다. 밀착력(Fb)과 밀착력(Fp)의 차는 예컨대 0.1 N/25 m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5 N/25 mm 이상이고, 통상 50 N/25 mm 이하이다. 또한, 후술하는 점착제층(31)의 화상 표시 소자(45)(피착체)에 대한 밀착력(Fa)은, 통상 밀착력(Fb)과 마찬가지로, 표면 보호 필름(41)의 편광성 적층체(20)에 대한 밀착력(Fp)보다도 크다. 밀착력(Fa)과 밀착력(Fp)의 차는 예컨대 1 N/25 m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 N/25 mm 이상이고, 통상 50 N/25 mm 이하이다. The adhesion (Fb) between the bonding layer bonding each layer constituting the polarizing laminate and each layer bonded thereto is the bonding strength (Fp)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to the polarizing laminate 20, respectively. ) i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hesion force Fb and the adhesion force Fp is, for example, 0.1 N/25 mm or more, preferably 0.5 N/25 mm or more, and usually 50 N/25 mm or less. In addition, the adhesion (Fa)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described later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45 (adhered body) is similar to the normal adhesion (Fb), and the polarizing laminate 20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It is greater than the adhesion (Fp)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hesion Fa and the adhesion Fp is, for example, 1 N/25 mm or more, preferably 3 N/25 mm or more, and usually 50 N/25 mm or less.

밀착력(Fb)이 밀착력(Fp)보다도 작은 경우, 점착제층(31)에 의해 화상 표시 소자(45)에 광학 적층체(1)를 접합한 후,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할 때에, 편광성 적층체(20)를 구성하는 각 층이 서로 벗겨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밀착력(Fa)이 밀착력(Fp)보다도 작은 경우, 점착제층(31)에 의해 화상 표시 소자(45)에 광학 적층체(1)를 접합한 후, 표면 보호 필름(41)을 박리할 때에, 점착제층(31)과 화상 표시 소자(45)의 층 사이로부터 박리가 일어날 경우가 있다. When the adhesive force Fb is smaller than the adhesive force Fp, after bonding the optical laminated body 1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45 with the adhesive layer 31, when peel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41,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spective layers constituting the optical laminate 20 peel off from each other. In addition, when adhesive force Fa is smaller than adhesive force Fp, after bonding optical laminated body 1 to image display element 45 with adhesive layer 31, when peeling surface protection film 41 , Separation may occur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and the layer of the image display element 45.

밀착력(Fa)은, 밀착력(Fb)보다도 크더라도 좋고, 작더라도 좋고, 동일하더라도 좋다. 밀착력(Fa)이 밀착력(Fb)보다도 작은 경우, 화상 표시 소자(45)에 접합된 편광성 적층체(20)를 화상 표시 소자(45)로부터 벗겨내어 새로운 광학 적층체(1)를 접합하는 재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The adhesion Fa may be larger than, smaller than, or the same as the adhesion Fb. When the adhesion Fa is smaller than the adhesion Fb, the polarizing laminate 20 bonded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45 is peeled off from the image display element 45 to bond a new optical laminate 1. work etc. can be performed easily.

접합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의 온도 8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은, 0.01 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MPa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0.3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 MPa 이하라도 좋고, 0.2 MPa 이하라도 좋다. 상기 저장 탄성률은, 점착제층을 복수 적층하여 제작한 두께 0.2 mm의 점착제층 적층체를, 직경 8 mm의 원주체에 펀칭한 것을 측정 샘플로 하고, JIS K7244-6에 준거하여, 시판되는 점탄성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다.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s a bonding layer at a temperature of 80 ° C. is preferably 0.01 MPa or more, may be 0.02 MPa or more, and is preferably 0.3 MPa or less, may be 0.25 MPa or less, or may be 0.2 MPa or less.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s obtained by punch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 having a thickness of 0.2 mm produc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into a cylinder having a diameter of 8 mm as a measurement sample, and in accordance with JIS K7244-6, commercially available viscoelasticity measurement It can be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an apparatus.

노멀 포스 FN: 1 N Normal force FN: 1 N

왜곡 γ: 1% Distortion γ: 1%

주파수: 1 Hz Frequency: 1Hz

온도: 80℃Temperature: 80℃

접합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이라도 좋고, 15 ㎛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 이하라도 좋고, 20 ㎛ 이하라도 좋다.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s the bonding layer is preferably 5 μm or more, may be 10 μm or more, may be 15 μm or more, and preferably 50 μm or less, may be 25 μm or less, or may be 20 μm or less.

접합층이 접착제 경화층인 경우, 접착제 경화층은 접착제 조성물 내의 경화성 성분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 경화층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로서는, 감압형 접착제(점착제) 이외의 접착제이며, 예컨대 수계 접착제,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들 수 있다. When the bonding layer is a cured adhesive layer, the cured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curing a curable component in the adhesive composition. Examples of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cured adhesive layer include adhesives other tha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such as water-based adhesives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s.

수계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수계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의 건조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열풍 건조기나 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water-based adhesives include adhesives obtain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water. The drying method in the case of using a water-based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method of drying using, for example, a hot air dryer or an infrared dryer can be employed.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는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무용제형의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무용제형의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층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Examples of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s include solvent-fre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s containing a curable compound that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electron beams, and X-rays. Adhesion between layers can be improved by using a non-solvent typ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양호한 접착성을 보이므로,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 반응을 시작하게 하기 위한 양이온 중합개시제 또는 라디칼 중합개시제를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Since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exhibits good adhesivenes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either one or both of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and a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may further include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or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initiating a curing reaction of the curable compound.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에폭시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옥세탄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옥세탄환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As the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for example, an epoxy-based compound (a compound having one or two or more epoxy groups in a molecule), an oxetane-based compound (a compound having one or two or more oxetane rings in a molecule), or a combination thereof. can be heard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 라디칼 중합성의 이중 결합을 갖는 그 밖의 비닐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radical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include (meth)acrylic compounds (compounds having one or two or more (meth)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other vinyl compounds having radically polymerizable double bonds, or combinations thereof. can be heard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증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증감제를 사용함으로써, 반응성이 향상되고, 접착제 경화층의 기계 강도나 접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증감제로서는 공지된 것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증감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20 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may contain a sensitizer as needed. By using a sensitizer, the reactivity is improv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and adhesive strength of the cured adhesive layer can be further improved. As the sensitizer, known ones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When blending a sensitizer, the blending amou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2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이온트랩제, 산화방지제, 연쇄이동제, 점착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대전방지제, 레벨링제, 용매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ion trapping agents, antioxidants, chain transfer agents, tackifiers, thermoplastic resins, fillers, flow regulators, plasticizers, antifoaming agents, antistatic agents, leveling agents, solvents, etc., if necessary. have.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는,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에너지선을 조사하고, 접착제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활성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의 광원으로서는 저압수은등, 중압수은등, 고압수은등, 초고압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n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y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electron beams, and X-rays. As the active energy ray, ultraviolet rays are preferable, and as the light source in this case,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n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chemical lamp, a black light lamp, a microwave excited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etc. can be used.

(점착제층)(Adhesive layer)

광학 적층체가 갖는 점착제층(31)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층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란, 그 자체를 화상 표시 소자 등의 피착체에 붙임으로써 접착성을 발현하는 것이며, 소위 감압형 접착제라고 불리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도나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of the optical laminate is a layer forme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this specification, "adhesive" expresses adhesiveness by sticking itself to an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element, and is called a so-call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addition, the degree of crosslinking and adhesive strength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escribed later can be adjusted by irradiating energy rays.

점착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광학적인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특별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 등의 베이스 폴리머를 갖는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열 경화형 점착제 등이라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점착력, 재박리성(이하, 재작업성(reworkability)이라고도 한다.),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한 점착제가 적합하다.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가교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ventionally know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having excellent optical transparency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nd for exampl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having a base polymer such as acrylic, urethane, silicone, or polyvinyl ether may be used. In addition,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heat-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the like may be used. Among these, an adhesive having an acrylic resin as a base polymer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dhesiveness, re-peelability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reworkability),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is suitab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composed of a reaction product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meth)acrylic resin, a crosslinking agent, and a silane compound, and may contain other components.

점착제층(31)은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점착제 조성물에, 다작용성 아크릴레이트 등의 자외선경화성 화합물을 배합하고,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보다 단단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활성화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에너지선 조사 전에 있어서도 점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 소자 등의 피착체에 밀착하고,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여 밀착력을 조정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점착제이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may be formed us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form a hard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y mixing an ultraviolet curable compound such as a multifunctional acrylate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n irradiating and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ultraviolet rays.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s a property of being cured by being irradiated with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and electron beams. An activated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s adhesiveness even before energy ray irradiation, and therefore adheres to an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element and is cured by energy ray irradiation to adjust adhesion.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일반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와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통상은 추가로 가교제가 배합되어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generally contains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n energy ray-polymerizable compound as main components. Usually, a crosslinking agent is further blended,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photosensitizer, or the like can also be blended as needed.

점착제층(31)은, 화상 표시 소자(45)(피착체)에 대한 밀착력(Fa)이, 상기한 표면 보호 필름의 편광성 적층체에 대한 밀착력(Fp)보다도 상대적으로 큰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31)의 저장 탄성률 또는 두께는, 각각 상기한 편광성 적층체에 포함되는 접합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또는 두께보다도 상대적으로 큰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that has a relatively larger adhesive force (Fa) to the image display element 45 (adherent) than the adhesive force (Fp) to the polarizing laminat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described above.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storage modulus or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storage modulus or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s a bonding layer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polarizing laminate.

점착제층(31)의 온도 23℃, 상대습도 55%에 있어서의 무알칼리 유리 기판(두께 0.7 mm, 코닝사 제조 「Eagle XG」)에 대한 밀착력은, 5 N/2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 N/25 mm 이상이라도 좋고, 10 N/25 mm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50 N/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N/25 mm 이하라도 좋고, 30 N/25 mm 이하라도 좋다. 점착제층(31)의 온도 8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은, 0.01 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MPa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0.3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 MPa 이하라도 좋고, 0.2 MPa 이하라도 좋다. 밀착력 및 저장 탄성률의 측정 방법은 상기한 접합층에서 설명한 밀착력 및 저장 탄성률의 측정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31)의 두께는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상이라도 좋고, 20 ㎛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 이하라도 좋고, 30 ㎛ 이하라도 좋다. 또한, 무알칼리 유리 기판(두께 0.7 mm, 코닝사 제조 「Eagle XG」) 이외의 피착체에 대한 밀착력에 관해서도 일반적인 상기 무알칼리 유리 기판에 대한 밀착력과 같은 정도라고 간주할 수 있다. The ad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to the alkali-free glass substrate (thickness 0.7 mm, manufactured by Corning "Eagle XG") at a temperature of 23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is preferably 5 N / 25 mm or more, and 8 N /25 mm or more, may be 10 N/25 mm or more, preferably 50 N/25 mm or less, 40 N/25 mm or less, or 30 N/25 mm or less.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at a temperature of 80°C is preferably 0.01 MPa or more, may be 0.02 MPa or more, and is preferably 0.3 MPa or less, may be 0.25 MPa or less, or may be 0.2 MPa or less. The method for measuring adhesion and storage modulus may use the method for measuring adhesion and storage modulus described in the bonding layer.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is preferably 10 μm or more, may be 15 μm or more, may be 20 μm or more, and preferably 40 μm or less, may be 35 μm or less, or may be 30 μm or less. In addition, the adhesion to adherends other than the alkali-free glass substrate (thickness: 0.7 mm, manufactured by Corning Co., Ltd. "Eagle XG") can be regarded as the same as the adhesion to the general alkali-free glass substrate.

(박리 필름)(release film)

박리 필름은, 점착제층을 피복 보호하거나 또는 점착제층을 지지하는 것이며, 점착제층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세퍼레이터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박리 필름으로서는,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 측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등의 이형 처리가 실시된 필름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을 이루는 수지 재료로서는 상기한 보호층을 이루는 수지 재료와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은 1층 구조라도 좋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의 다층 수지 필름이라도 좋다. The peeling film covers and protect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support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has a function as a separator that can be peeled off with respect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s a peeling film, the film by which release processing, such as silicone treatment, was given to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side of the base film is mentioned. Examples of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base film include the same resin materials constituting the protective layer described above. The resin film may have a one-layer structure or may have a multilayer resin film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박리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10 ㎛ 이상 200 ㎛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15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120 ㎛ 이하이다.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may be, for example, 1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preferably 20 μm or more and 150 μ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0 μm or more and 120 μm or less.

박리 필름에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정보가 인쇄 등에 의해 표시되어 있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에 관한 정보로서는,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는 편광성 적층체의 종류에 관한 표시, 편광성 적층체에 포함되는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 등을 들 수 있다. Information regarding the optical layered body may be displayed on the release film by printing or the like. As the information on the optical layered body, a display relating to the type of the polarizing layered body included in the optical layered body, a display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included in the polarizing layered body, and the like are exemplified.

(박리용 테이프)(tape for peeling)

박리용 테이프는 수지 필름의 편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표면 보호 필름의 표면 보호 필름용 수지 필름으로서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점착제층(31)에서 설명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As the peeling tape, an adhesive tap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ide of a resin film can be used. As a resin film, what was illustrated as the resin film for surface protection films of a surface protection film can be us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escrib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

(피착체)(substrate)

광학 적층체가 점착제층(31)에 의해서 접합되는 피착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소자를 들 수 있다. 화상 표시 소자는 표시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소자는 예컨대 액정 셀 또는 유기 EL 표시 소자 등의 표시 소자 등을 들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n adherend to which an optical laminated body is bonded by the adhesive layer 31, For example, the image display element of a display device is mentioned. The image display elemen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play device. The image display element includes, for example, a display element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or an organic EL display element.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y sh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박리 평가][Peel evaluation]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광학 적층체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에 의해서 광학 적층체를 유리판(유지대)에 접합하여 시험용 샘플을 제작했다. 시험용 샘플의 광학 적층체의 표면에 있는 표면 보호 필름에, 박리용 테이프(스카치테이프(등록상표)(CT405-AP24), 니치반사 제조)를 접합하여 부착했다. 박리용 테이프는, 폭 24 mm, 길이 100 mm의 크기를 갖고, 시험용 샘플의 광학 적층체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절결부가 형성된 단변의 중앙의 위치(절결부를 갖지 않는 사각형을 가정했을 때의 단변에 있어서 중앙이 되는 위치)에, 상기 단변을 걸쳐 있고, 박리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한쪽 끝에서부터 10 mm 길이의 범위를 부착 단부로 하여 표면 보호 필름 표면 상에 배치되도록 부착했다(도 3을 참조.). 비교예에서는 한쪽의 단변의 중앙 위치에 상기와 같은 식으로 박리용 테이프를 부착했다. A release film was peeled off from the optical laminate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optical laminate was bonded to a glass plate (holding table) with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prepare a test sample. A tape for peeling (Scotch Tape (registered trademark) (CT405-AP24), manufactured by Nichiban Co., Ltd.) was bonded and attached to the surface protection film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of the test sample. The peeling tape has a size of 24 mm in width and 100 mm in length, and in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minate of the test sample,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short side where the cutout is formed (assuming a square with no cutout) It was attached so as to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ig. 3 see.).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peeling tape was affixed to the central position of one short sid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박리용 테이프 중 광학 적층체의 부착 단부와는 반대측의 파지 측의 단부를 박리 장치(오토그라프 AGS-50 NX, 시마즈사 제조)의 척으로 파지하고, 광학 적층체의 면 방향에 대한 각도(박리 각도)를 180°, 박리 속도를 300 mm/분으로 하여, 박리용 테이프를 부착한 단변에 대향하는 또 한쪽의 단변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박리용 테이프를 잡아 당기는 박리 시험을 실시했다. 박리 시험 결과, 시험용 샘플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이 박리된 경우를 A라고 평가하고, 박리용 테이프가 표면 보호 필름으로부터 박리되고, 시험용 샘플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이 박리되지 않은 경우를 B라고 평가했다. 이 박리 시험을 10장 또는 20장의 시험용 샘플에 대하여 실시하여, 박리 불량율을 하기 식: Of the peeling tape, the end on the gripping side opposite to the attaching end of the optical layered body is gripped with a chuck of a peeling device (Autograph AGS-50 NX,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and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optical layered body (peeling angle) was 180°, and the peeling speed was 300 mm/min, and a peeling test was conducted in which the peeling tape was pulled in a direction toward the other short side opposite to the short side to which the peeling tape was attached. As a result of the peeling test, the case where the surface protection film was peeled from the test sample was evaluated as A, and the case where the peeling tape was peeled from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the surface protection film was not peeled from the test sample was evaluated as B. This peeling test was performed on 10 or 20 test samples, and the peeling defect rate w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박리 불량율[%]=(평가 B의 횟수/박리 시험의 횟수)×100Peeling defect rate [%] = (number of times of evaluation B/number of peeling tests) × 100

에 기초하여 산출했다. was calculated based on

〔실시예 1〕[Example 1]

(원료 적층체의 제작)(Manufacture of raw material laminate)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한 직선편광층(두께 8 ㎛)을 준비했다. 이 직선편광층의 한쪽의 면에, 수계 접착제를 통해 보호층으로서의 하드코트(HC)층이 형성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COP) 필름(두께 25 ㎛)(이하 「25HC-COP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COP 필름 측(HC층 측과는 반대측)을 접합했다. 이 보호층의 HC층 상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두께 38 ㎛)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층(두께 15 ㎛)을 형성한 표면 보호 필름(두께 53 ㎛)의 아크릴계 점착제층 측을 접합했다. 직선편광층의 다른 쪽의 면에, 수계 접착제를 통해 보호층으로서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두께 20 ㎛)을 접합했다. 이에 따라, 표면 보호 필름 구비 편광판(1)을 얻었다. 표면 보호 필름 구비 편광판(1)은, 표면 보호 필름(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점착제층), 25HC-COP 필름(HC층, COP 필름), 직선편광층 및 TAC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었다. A linear polarization layer (8 μm in thickness)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oriented was prepar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 cyclic olefin resin (COP) film (thickness: 25 μm) in which a hard coat (HC) layer as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through a water-based adhesi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25HC-COP film”) ) was bonded to the COP film side (opposite side to the HC layer side). On the HC layer of this protective layer, the acrylic adhesive layer side of a surface protection film (thickness: 53 μm) in which an acrylic adhesive layer (thickness: 15 μm) was formed on a polyester resin film (thickness: 38 μm) was bonded. A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thickness: 20 µm) as a protective layer was bo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via a water-based adhesive. Thus, a polarizing plate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1) was obtained. The polarizing plate 1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was obtained by stack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polyester resin film,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25HC-COP film (HC layer, COP film), a linear polarization layer, and a TAC film in this order. .

이어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인 λ/4판(두께 2 ㎛), 자외선경화성 접착제의 접착제 경화층(두께 2 ㎛)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층인 포지티브 C 플레이트(두께 3 ㎛)가 이 순서로 적층된 위상차층을 준비했다. 표면 보호 필름 구비 편광판(1)의 TAC 필름과 위상차층의 λ/4판을, 점착제층인 접합층(두께 17 ㎛)에 의해서 접합했다. 이어서, 박리 필름(두께 38 ㎛)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제층(두께 25 ㎛)을 형성한 박리 필름 구비 점착제층(1)을 준비했다. 표면 보호 필름 구비 편광판(1)에 접합된 위상차층의 포지티브 C 플레이트 측에, 박리 필름 구비 점착제층(1)의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장변의 길이가 37 mm, 단변의 길이가 35 mm인 장방형으로 재단하여 원료 적층체(1)를 얻었다. 원료 적층체(1)는, 표면 보호 필름 구비 편광판(1)(표면 보호 필름, 25HC-COP 필름, 직선편광층 및 TAC 필름), 점착제층인 접합층, 위상차층(λ/4판, 접합층,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및 박리 필름 구비 점착제층(1)(점착제층, 박리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었다. 원료 적층체(1)에 있어서의, 편광판(25HC-COP 필름, 직선편광층, TAC 필름)에서부터 위상차층(λ/4판, 접합층, 포지티브 C 플레이트)까지의 적층 부분의 두께는 77 ㎛였다. 또한, 원료 적층체(1)의 장변의 방향은 직선편광층의 흡수축에 평행했다. Subsequently, a λ/4 plate (thickness: 2 μm), which is a cured layer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 adhesive cured layer (thickness: 2 μm) of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and a positive C plate (thickness: 3 μm), which is a cured layer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 prepared a retardation layer in which retardation layers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The TAC film of the polarizing plate 1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and the λ/4 plate of the retardation layer were bonded together by a bonding layer (thickness: 17 µm) serving as an adhesive layer. Subsequentl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with a release film was prepared in which an adhesive layer (thickness: 25 μm) formed using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formed on a release film (thickness: 38 μ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release film (1) was bonded to the positive C plate side of the retardation layer bonded to the polarizing plate (1)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was 37 mm, and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was 35 mm. was cut to obtain a raw material laminate (1). The raw material laminate 1 includes a polarizing plate 1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a surface protection film, a 25HC-COP film, a linear polarization layer and a TAC film), a bonding layer as an adhesive layer, a retardation layer (λ/4 plate, bonding layer) , positive C plat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with release film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elease film)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In the raw material laminate (1),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portion from the polarizing plate (25HC-COP film, linear polarization layer, TAC film) to the retardation layer (λ/4 plate, bonding layer, positive C plate) was 77 μm. .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of the raw material layered product 1 was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광학 적층체의 제작)(Manufacture of optical laminate)

도 8에 도시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제1 공정(상기 [a])의 수순을 따라서 원료 적층체를 적층한 적층물(W)을 준비하고, 위에서 설명한 제2 공정(상기 [b])의 수순에 따라서 원료 적층체의 4개의 변에 대응하는 단부면에 대하여 연마를 실시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제2 공정(상기 [b])의 수순에 따라서, 원료 적층체의 한쪽의 단변의 일단에 있는 코너부 하나에 대하여 연마를 실시하여, 1개의 절결부를 갖는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코너부의 연마는, 4개의 변에 대응하는 단부면에 대한 연마 후의 원료 적층체의 코너부의 꼭지점에서부터 단변 방향 및 장변 방향 각각으로 0.3 mm(도 1의 거리(Laa) 및 거리(Lab))의 위치에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을 설정하고(도 1의 제1 절결 개시점(P1b), 제2 절결 개시점(P2b)를 참조.),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을 잇는 직선형의 절결선을 따라서 연마했다. 상기한 연마는 모두 적층물(W)과 회전 공구(60)의 상대 이동 속도를 2100 mm/분, 회전 공구의 회전 속도를 5400 rpm으로 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관해서 박리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Using the apparatus shown in FIG. 8, a laminate W obtained by laminating raw material laminates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first step (above [a])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step (above [b] above) is prepared. ), the end faces corresponding to the four sides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were polish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second step (above [b]) described above, one corner portion at one end of one short side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was polished to obtain an optical laminate having one notch. . The corner portion is polished at a position of 0.3 mm (distance Laa and distance Lab in FIG. 1 ) in the short side direction and the long side direction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after polishing with respect to the end faces corresponding to the four sides. Set the first cutting start point (P1) and the second cutting start point (P2) in (refer to the first cutting start point (P1b) and the second cutting start point (P2b) in FIG. 1), the first cutting start point It grind|polished along the straight notch line which connects the start point P1 and the 2nd notch start point P2. In all of the above polishing, the relative movement speed of the multilayer body W and the rotary tool 60 was 2100 mm/mi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tool was 5400 rpm. Peeling evaluation was performed about the obtained optical layered bod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표면 보호 필름과 박리용 테이프 사이의 밀착력을 다음의 수순으로 측정했다. 위에서 얻은 광학 적층체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키고, 노출한 점착제층에 의해, 박리 필름을 제거한 광학 적층체를 유리판(유지대)에 접합하여 시험용 샘플로 했다. 이 시험용 샘플의 표면 보호 필름의 표면의 면내에, 상기 박리 평가의 항에서 설명한 박리용 테이프를 접합하여, 상기 박리 평가의 항에서 설명한 박리 장치를 이용한 180° 박리 시험(박리 각도 180°, 박리 속도 300 mm/분)에 의해, 표면 보호 필름과 박리용 테이프 사이의 밀착력을 측정했다. 이 밀착력은 9 N/25 mm였다. 또, 박리용 테이프를 박리할 때에, 표면 보호 필름은 편광성 적층체로부터 박리하지 않았다. The adhesion between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the peeling tape was measur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The release film was peeled off from the optical laminate obtained above to expose the adhesive layer, and the optical laminate from which the release film was removed was bonded to a glass plate (holding table) using the exposed adhesive layer to obtain a test sample.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of this test sample, the peeling tape described in the section of peeling evaluation was bonded, and a 180 ° peeling test using the peeling device described in the section of peeling evaluation (peeling angle 180 °, peeling speed) 300 mm/min), the adhesion between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the peeling tape was measured. This adhesion was 9 N/25 mm. Moreover, when peeling the tape for peel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did not peel from the light-polarizing laminate.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 측과 25HC-COP 필름의 HC층 측 사이의 밀착력은, 상기 박리 평가의 항에서 설명한 박리 장치를 이용한 180° 박리 시험(박리 각도 180°, 박리 속도 300 mm/분)에 의해 측정한 바, 0.03 N/25 mm였다. In addition, the adhesion between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id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the HC layer side of the 25HC-COP film was measured by a 180° peel test using the peeling device described in the section of peel evaluation (peeling angle 180°, peeling speed 300 mm / minutes), it was 0.03 N/25 mm.

〔실시예 2〕[Example 2]

원료 적층체(1)의 한쪽의 단변의 양단에 있는 코너부 2개에 대하여 각각 연마를 실시하여 2개의 절결부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2개의 절결부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4개의 변에 대응하는 단부면의 연마 후의 원료 적층체(1)의 코너부의 꼭지점에서부터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까지의 거리는 각각 0.3 mm로 하고,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을 잇는 절결선은 모두 직선으로 했다. 광학 적층체에 관해서 박리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n optical lami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wo corner portions at both ends of one short side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1 were polished, respectively, and two notches were formed. As in Example 1, both of the two notches are the first notch start point P1 and the second notch start point P2 from the apex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1 after polishing of the end faces corresponding to the four sides. The distance to ) was 0.3 mm, respectively, and all cut lines connecting the first notch start point P1 and the second notch start point P2 were straight lines. Peel evaluation was performed about the optical layered bod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3〕[Example 3]

원료 적층체(4개의 변에 대응하는 단부면의 연마 후의 원료 적층체)의 코너부의 꼭지점에서부터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까지의 거리를 각각 0.2 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식으로 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광학 적층체에 관해서 박리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The distances from the vertices of the corners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raw material laminate after polishing of the end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four sides) to the first cutting start point P1 and the second cutting start point P2 were each set to 0.2 mm. Other than that, an optical lami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Peel evaluation was performed about the optical layered bod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4〕[Example 4]

원료 적층체(4개의 변에 대응하는 단부면의 연마 후의 원료 적층체)의 코너부의 꼭지점에서부터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까지의 거리를 각각 0.1 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식으로 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광학 적층체에 관해서 박리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The distances from the vertices of the corners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raw material laminate after polishing of the end faces corresponding to the four sides) to the first cutting start point P1 and the second cutting start point P2 were each set to 0.1 mm. Other than that, an optical lami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Peel evaluation was performed about the optical layered bod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5〕[Example 5]

(원료 적층체의 제작)(Manufacture of raw material laminate)

보호층으로서의 하드코트(HC)층이 형성된 COP 필름으로서 두께 16 ㎛인 것(이하 「16HC-COP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이용하고, 보호층으로서의 TAC 필름을 접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수순으로 표면 보호 필름 구비 편광판(2)을 얻었다. 표면 보호 필름 구비 편광판(2)은, 표면 보호 필름(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점착제층), 16HC-COP 필름(HC층, COP 필름), 직선편광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었다. Except for using a COP film having a thickness of 16 μm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16HC-COP film”) with a hard coat (HC) layer as a protective layer and not bonding a TAC film as a protective layer, A polarizing plate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2) was obtained in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In the polarizing plate 2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a surface protection film (polyester-based resin film,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16HC-COP film (HC layer, COP film), and a linear polarization layer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박리 필름(두께 38 ㎛)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제층(두께 10 ㎛)을 형성한 박리 필름 구비 점착제층(2)을 준비했다. 표면 보호 필름 구비 편광판(1) 대신에 표면 보호 필름 구비 편광판(2)을 이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 구비 편광판(2)의 직선편광층 측과 위상차층의 λ/4판을, 점착제층인 접합층(두께 5 ㎛)에 의해서 접합하고, 위상차층의 포지티브 C 플레이트 측에, 박리 필름 구비 점착제층(1) 대신에 박리 필름 구비 점착제층(2)의 점착제층을 접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수순으로 원료 적층체(2)를 얻었다.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with a release film was prepared in which an adhesive layer (thickness: 10 μm) formed using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formed on a release film (thickness: 38 μm). By using the polarizing plate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2) instead of the polarizing plate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1),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2) and the λ/4 plate of the retardation layer are connected to a bonding layer that is an adhesive layer. (thickness: 5 µm), and instea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a release film (1) on the positive C plate side of the retardation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a release film (2) is bonded to Example 1 and A raw material laminate (2)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원료 적층체(2)는, 표면 보호 필름 구비 편광판(2)(표면 보호 필름, 16HC-COP 필름, 직선편광층), 점착제층인 접합층, 위상차층(λ/4판, 접합층,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및 박리 필름 구비 점착제층(2)(점착제층, 박리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었다. 원료 적층체(2)에 있어서의, 편광판(16HC-COP 필름, 직선편광층)에서부터 위상차층(λ/4판, 접합층, 포지티브 C 플레이트)까지의 적층 부분의 두께는 36 ㎛였다. 또한, 원료 적층체(2)의 장변의 방향은 직선편광층의 흡수축에 평행했다. The raw material laminate 2 includes a polarizing plate 2 with a surface protection film (surface protection film, 16HC-COP film, linear polarization layer), a bonding layer as an adhesive layer, and a retardation layer (λ/4 plate, bonding layer, positive C plat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elease film) with release film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In the raw material laminate 2,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portion from the polarizing plate (16HC-COP film, linear polarization layer) to the retardation layer (λ/4 plate, bonding layer, positive C plate) was 36 μm.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of the raw material layered body 2 was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광학 적층체의 제작)(Manufacture of optical laminate)

원료 적층체(2)를 이용하고, 적층물(W)과 회전 공구(60)의 상대 이동 속도를 700 mm/분, 회전 공구(60)의 회전 속도를 4800 rpm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수순으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수순으로, 표면 보호 필름과 박리용 테이프 사이의 밀착력 및 표면 보호 필름의 아크릴계 점착제층 측과 16HC-COP 필름의 HC층 측 사이의 밀착력을 측정한 바, 각각 9 N/25 mm 및 0.03 N/25 mm였다. Example 2, except that the raw material laminate 2 was used, the relative movement speed of the laminate W and the rotary tool 60 was 700 mm/mi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tool 60 was 4800 rpm. An optical lami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the adhesion between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the peeling tape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id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the HC layer side of the 16HC-COP film were measured, respectively, 9 N / 25 mm and 0.03 N/25 mm.

〔실시예 6〕[Example 6]

원료 적층체(2)의 한쪽의 단변의 일단에 있는 코너부 하나에 대해서만 연마를 행하여 1개의 절결부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수순으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광학 적층체에 관해서 박리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n optical lami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5, except that only one corner portion at one end of one short side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2 was polished to form one notch. Peel evaluation was performed about the optical layered bod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원료 적층체의 코너부에 대하여 연마를 행하지 않고,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광학 적층체에 관해서 박리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n optical lami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not polishing the corners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and not forming cutouts. Peel evaluation was performed about the optical layered bod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원료 적층체의 코너부에 대하여 연마를 행하지 않고,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식으로 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광학 적층체에 관해서 박리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n optical lami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corners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were not polished and no cuts were formed. Peel evaluation was performed about the optical layered bod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는, 박리 시험 시에,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층(25HC-COP 필름 또는 16HC-COP 필름, 직선편광층, TAC 필름, 점착제층, λ/4판, 접합층, 포지티브 C 플레이트, 점착제층) 및 유리판(유지대) 사이의 박리는 인정되지 않았다. In each example and each comparative example, at the time of the peeling test, each layer constituting the optical laminate (25HC-COP film or 16HC-COP film, linear polarization layer, TAC film, adhesive layer, λ / 4 plate, bonding layer , Positive C pl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glass plate (holding table), no peeling was observed.

1, 1a, 1b: 광학 적층체, 10a, 10b, 10c, 10d: 변, 10eb, 10ed: 선, 11b, 11d: 절결부, 15: 사각형, 15a: 제1 변, 15b: 제2 변, 15c: 제3 변, 15d: 제4 변, 20: 편광성 적층체, 21: 편광판, 22: 위상차층, 31: 점착제층, 32: 박리 필름, 35: 박리용 테이프, 41: 표면 보호 필름, 50: 지지부, 51: 기판, 52: 프레임, 53: 회전 테이블, 54: 실린더, 55: 지그, 60: 회전 공구, Laa, Lab, Lba, Lbd: 거리, Pab, Pda: 꼭지점, P1b, P1d(P1): 제1 절결 개시점, P2b, P2d(P2): 제2 절결 개시점, W: 적층물. 1, 1a, 1b: optical laminate, 10a, 10b, 10c, 10d: side, 10eb, 10ed: line, 11b, 11d: cutout, 15: rectangle, 15a: first side, 15b: second side, 15c : 3rd side, 15d: 4th side, 20: polarizing laminate, 21: polarizing plate, 22: retardation layer, 31: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2: peeling film, 35: peeling tape, 41: surface protection film, 50 : support, 51: board, 52: frame, 53: rotary table, 54: cylinder, 55: jig, 60: rotary tool, Laa, Lab, Lba, Lbd: distance, Pab, Pda: vertex, P1b, P1d (P1 ): first cutout start point, P2b, P2d (P2): second cutout start point, W: laminate.

Claims (10)

표면 보호 필름과, 직선편광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갖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편광성 적층체와, 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편광성 적층체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편광성 적층체의 두께는 120 ㎛ 이하이며,
상기 광학 적층체의 평면시(平面視) 형상은, 사각형이 갖는 하나의 코너부가 절결된 절결부를 적어도 하나 갖는 형상이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코너부의 꼭지점을 구성하는 제1 변 및 제2 변 상에 각각 설정된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제2 절결 개시점(P2)을 지나는 절결선을 따라서 절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절결 개시점(P1) 및 상기 제2 절결 개시점(P2)은, 상기 꼭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각 0.1 mm 이상 0.5 mm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인 광학 적층체.
An optical laminate comprising a surface protection film,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linear polarization lay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is order,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disposed so as to be peelable from the light-polarizing laminat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laminate is 120 μm or less,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minate is a shape having at least one cutout portion in which one corner portion of a quadrangle is cut,
The cutout portion has a shape cut along a cutout line passing through a first cutout start point P1 and a second cutout start point P2 set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constituting the vertex of the corner portion, respectively. have,
The first cutting start point P1 and the second cutting start point P2 are set so that a distance from the vertex is 0.1 mm or more and 0.5 mm or les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은 방형(方形)인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stack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quadrangle is a quadrang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선은 직선 또는 원호형의 곡선인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utting line is a straight line or an arc-shaped curv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의 상기 절결부에 있어서의 단부면은 회전 공구에 의한 절삭 가공면인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n end face in the cutout portion of the optical laminate is a cutting surface by a rotary tool.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이 갖는 4개의 변의 길이는 각각 30 mm 이상 100 mm 이하의 범위 내인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quadrangle has a length of 30 mm or more and 100 mm or les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적어도 2개 갖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사각형의 이웃하는 2개의 코너부를 각각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광학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t least two of the notches are provided,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so as to cut two adjacent corner portions of the quadrangle,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성 적층체는 상기 편광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위상차층을 갖는 것인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polarizing laminate has a retardation layer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plat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성 적층체 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박리 필름을 추가로 갖는 광학 적층체.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further comprising a release film that can be peel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ght-polarizing laminat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로부터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 방법으로서,
상기 광학 적층체를 상기 점착제층에 의해서 피착체에 접합하는 공정과,
상기 광학 적층체의 상기 표면 보호 필름 측의 표면에 박리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박리용 테이프를 잡아 일으킴으로써, 상기 피착체에 접합된 상기 광학 적층체로부터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하는 공정은, 상기 광학 적층체의 평면시 형상에 있어서, 단부에 상기 절결부가 형성된 한 변을 걸쳐 있도록 상기 박리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인 박리 방법.
A peeling method of peeling the surface protection film from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step of bonding the optical laminate to an adheren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step of attaching a peeling tape to the surfac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on the side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The process of peeling the said surface protection film from the said optical laminated body bonded to the said adherend by grabbing and raising the said peeling tape
The peeling method includes, wherein the attaching step is to attach the peeling tape so as to span one side where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planar view shape of the optical layered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제6항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이며,
상기 박리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상기 한 변은 양단부에 상기 절결부가 형성된 변인 박리 방법.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optical laminate is the optical laminate according to claim 6,
The peeling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ne side to which the peeling tape is attached is a side on which the cutout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KR1020227038819A 2020-04-09 2021-02-03 Optical laminate and peeling method KR2022016069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0537 2020-04-09
JPJP-P-2020-070537 2020-04-09
JP2020118608A JP2021167930A (en) 2020-04-09 2020-07-09 Optical laminate and peeling method
JPJP-P-2020-118608 2020-07-09
PCT/JP2021/003881 WO2021205727A1 (en) 2020-04-09 2021-02-03 Optical laminate and peel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692A true KR20220160692A (en) 2022-12-06

Family

ID=7802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819A KR20220160692A (en) 2020-04-09 2021-02-03 Optical laminate and peeling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20160692A (en)
CN (1) CN115362393A (en)
TW (1) TW202138192A (en)
WO (1) WO2021205727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1551A (en) 2017-10-31 2019-10-31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bod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5964B2 (en) * 1999-12-09 2009-11-18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film
JP2008083210A (en) * 2006-09-26 2008-04-10 Epson Imaging Devices Corp Liquid crystal device, method of peeling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TW201302960A (en) * 2011-04-08 2013-01-16 Sumitomo Chemical Co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4224963A (en) * 2012-09-13 2014-12-04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member, polarizing plate s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577174B2 (en) * 2014-09-19 2019-09-18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er
KR102301554B1 (en) * 2015-08-07 2021-09-1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7181597A (en) * 2016-03-28 2017-10-05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film and polarizing plate
JP6457053B2 (en) * 2017-04-04 2019-01-23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with prot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panel
JP7018339B2 (en) * 2018-03-22 2022-02-10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non-linearly processed resin sheet
JP6680347B2 (en) * 2018-04-24 2020-04-15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JP6721645B2 (en) * 2018-09-03 2020-07-15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fil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1551A (en) 2017-10-31 2019-10-31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62393A (en) 2022-11-18
WO2021205727A1 (en) 2021-10-14
TW202138192A (en) 202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750B1 (en) Polarizing plate with prot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panel
JP6680347B2 (en) Laminate
KR10244368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KR20190049493A (en) Laminate
JP2019199081A (en) Laminate
KR20220150283A (en) Circular Polarizer and Optical Laminate
JP2019035966A (en) Polarizing plate with protect film and liquid crystal panel
JP2017156398A (en) Set of polarizing plates and liquid crystal panel
KR20200080174A (en)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767017B (en) Polarizing plate with protective film
TW201734515A (en) Set of polarizing plates and liquid crystal panel
KR20200099482A (en) Layere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1167930A (en) Optical laminate and peeling method
KR20200047378A (en) Laminate of liquid crystal layer
KR20220160692A (en) Optical laminate and peeling method
KR20210102851A (en) Optical laminate having an adhesive layer and display device
CN110275237B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with adhesive layer
KR20220157367A (en) laminate
KR20220006528A (en)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WO2022224921A1 (en) Stacked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417546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2023037967A (en) Adhesive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6893463A (en) polarizing plate
JP2023159077A (en)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3037965A (en) Adhesive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