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957A - 퀵 릴리스를 갖는 부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퀵 릴리스를 갖는 부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957A
KR20220159957A KR1020227028965A KR20227028965A KR20220159957A KR 20220159957 A KR20220159957 A KR 20220159957A KR 1020227028965 A KR1020227028965 A KR 1020227028965A KR 20227028965 A KR20227028965 A KR 20227028965A KR 20220159957 A KR20220159957 A KR 20220159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portion
strap
actuating
attachment
lock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익 페이 찬
포 츄 린
Original Assignee
듀라플렉스 홍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라플렉스 홍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듀라플렉스 홍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5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hooks engaging end-pieces on the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9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Landscapes

  • Buckl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웨빙에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10)은 서로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는 부착 부분(20) 및 작동 부분(30)을 갖는다. 부착 부분은 공동(218)을 갖는 베이스 본체(21), 가로 바(24), 및 2개의 로킹 후크(35, 36)를 갖는다. 작동 부분은 2개의 측면 레그(31, 32), 측면 레그에 연결된 상단 섹션, 상단 섹션 사이의 갭(38) 및 상단 섹션 각각의 로킹 후크를 갖는다. 작동 부분은 레그를 함께 가압하고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를 베이스 본체에 삽입한 다음 레그를 해제하여 부착 부분의 로킹 후크와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부착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가 부착 부분의 로킹 후크를 빠져나올 때까지 레그를 함께 스퀴징함으로써 작동 부분은 부착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퀵 릴리스를 갖는 부착 시스템
본 발명은 버클, D-링 또는 다른 구조를 웨빙 또는 스트랩의 길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웨빙을 조정하지 않고 웨빙으로부터 구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로부터 빠르고 용이하게 부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부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패스너는 장력을 견디는 웨빙의 두 부분을 연결하는 데 자주 사용되며, 레이싱 및 조정과 같은 목적을 갖고, 가방 및 여행 가방에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인 패스너는 종종 수형 부분과 암형 부분을 갖는 2-피스 측면 해제 버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암형 및 수형 부분과 웨빙 사이의 연결에 대해, 웨빙은 일반적으로 폐쇄 크로스바 주위에 재봉되고, 폐쇄 크로스바는 패스너와 일체로 형성되어, 저비용 및 높은 내구성의 이점을 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폐쇄형 크로스바는 교체될 수 없기 때문에, 생산 시 재작업 탄력성이 부족하고, 소비자 측에서 수리 시장의 발전을 가로막는다. 따라서, 패스너 또는 웨빙의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패스너를 제거할 수 있는 퀵 릴리스 기능이 있는 패스너가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일부 버클에는 크로스바에 슬롯이 장착되어, 바를 빠져나올 때까지 웨빙을 슬롯을 통해 슬라이딩시켜 버클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슬롯으로 인해, 이러한 상황에서 크로스바의 강도가 크게 감소하여, 큰 장력 하에서 장치가 파손되기 쉽다. Ansch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06,56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다른 솔루션에서, 웨빙 부착 바는 웨빙을 해제하기 위해 일 단부에서 버클로부터 클립이 풀릴 수 있다. 이것도 역시 두 단부 상의 불균형한 응력으로 인해 단일 피스 폐쇄형 크로스바에 비해 강도가 감소하여, 약한 에지가 먼저 파손된다. 이러한 장치가 유용할 수 있지만, 웨빙과 완전히 독립적인 빠른 부착 시스템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랩 또는 웨빙으로부터 빠르고 쉽게 분리될 수 있지만 장치의 강도 또는 무결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부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서로 쉽게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는 부착 부분 및 작동 부분을 포함하는, 웨빙 또는 스트랩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부착 부분은 그 사이에 공동을 갖는 전방 및 후방 벽을 갖는 베이스 본체, 베이스 본체에 연결되고 갭에 의해 베이스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바, 및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바의 반대 방향으로 공동 내로 연장하는 2개의 로킹 후크를 포함한다.
작동 부분은 두 개의 측면 레그, 측면 레그에 연결된 상단 섹션들 및 상단 섹션들 사이의 갭을 갖는다. 측면 레그를 함께 스퀴징하면 갭이 좁아지도록 작동 부분이 유연하다. 작동 부분의 각각의 상단 섹션은 이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후크를 갖는다. 작동 부분은 측면 레그를 함께 누르고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를 부착 부분의 공동에 삽입하고 그리고 나서 부착 부분의 로킹 후크가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와 맞물리도록 측면 레그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부착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가 부착 부분의 로킹 후크를 빠져나올 때까지 측면 레그를 함께 스퀴징하고 작동 부분을 부착 부분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킴으로써 작동 부분은 부착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바에 대향하게 부착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프롱이 있을 수 있다. 프롱은 작동 부분이 부착 부분에 부착될 때 작동 부분의 상단 섹션들 사이의 갭에 배치되고, 두 부분을 함께 연결하는 동안에 작동 부분이 부착 부분과 정렬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돕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는 어떤 프롱도 가지지 않는다.
사용 시, 스트랩은 부착 부분에 연결되어 가로 바와 베이스 본체 사이의 공간을 통해 그리고 부착 부분의 바닥 둘레로 연장되며, 그런 다음 루프 형태로 폐쇄되어, 베이스 본체는 루프 내에 수용된다. 부착 부분이 작동 부분에 연결되면, 스트랩은 작동 부분의 상단 섹션의 바닥 둘레로도 연장된다. 실제 사용에서, 부착 부분은 먼저 웨빙 루프에 배치되고, 작동 부분의 레그는 웨빙 루프의 왼쪽과 오른쪽에 걸쳐 있다. 작동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 부분에 고정되어, 각각의 부분의 대응하는 로킹 후크가 서로 맞물린다. 작동 부분의 다른 단부는 웨빙의 제2 스트랩 또는 루프에도 부착될 수 있다.
연결되면, 부착 부분과 작동 부분의 조립체가 웨빙 루프에 단단히 고정된다. 작동 부분에 외부 장력이 가해지고 부착 부분과 작동 부분의 조립체를 웨빙 루프로부터 멀어지게 잡아당기려고 시도하면, 작동 부분의 상단 섹션의 아래쪽은 웨빙 루프의 내부 측면에 대해 지속적으로 가압된다. 장력이 부착 부분의 재료가 유지할 수 있는 형태 이상으로 계속 증가하면, 레그는 점차적으로 변형되어 갭을 향해 탈출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를 부착 부분에 더 깊숙이 밀어 넣어, 연결을 강화할 뿐이다. 따라서, 레그가 웨빙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상쇄되고 방지된다. 장력이 높을수록, 웨빙이 제공하는 반작용력이 더 강해진다. 본 발명의 구조는 조립이 용이하고 재봉된 웨빙 루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임의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조립된 상태에서, 장력 및 일반 패스너는 퀵 릴리스 기능이 없는 기존 시스템과 강도가 동일하다.
웨빙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천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 또는 벨트, 스트랩, 테이프 등의 형태의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착 부분의 후방 벽은 작동 부분이 부착 부분에 연결될 때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를 볼 수 있도록 내부에 구멍을 갖는다.
작동 부분은 임의의 적절한 기능적 물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부분은 D-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부분은 2-피스 측면 해제 버클의 암형 부분이며, 여기서 작동 부분은 측면 레그에 연결된 메인 본체를 갖고, 측면 해제 버클의 수형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메인 본체 내의 공동을 갖는다. 작동 부분은 또한 측면 해제 버클의 수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물체는 슬라이딩 버클의 수형 버클 또는 암형 버클, 회전 후크 버클, 회전 사각 링, 가압 해제 버클, 사다리 버클, 트라이 글라이드 버클, O-링, 정사각 링, 삼각 링, 스냅 후크 또는 로프 조절 버클이다. 이것은 또한 모든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발광 장치, 비디오 스크린, 전화기, 원격 접촉 도구, 비디오 카메라, 비디오 레코더, 마이크, 증폭기, 팬 쿨러, 팬 히터, 절연 장치, 휴대용 전원, 전자 보호 케이스, 장력 측정기 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면 레그는 작동 부분이 부착 부분에 연결될 때 전체가 베이스 본체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것은, 로킹 후크가 있는 상단 섹션의 단부만이 베이스 본체의 공동으로 들어가고 측면 레그가 웨빙 루프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작동 부분을 부착 부분에 더 쉽게 부착할 수 있다. 측면 레그에는 사용자의 그립을 증가시키기 위해 릿지가 장착될 수 있다. 다른 그리핑 구조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는 Molle(Modular Lightweight Load-carrying Equipment)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장치는 부착 부분 주위로 연장되는 스트랩의 2개의 단부를 재봉함으로써 전술 조끼 상의 제자리에 재봉된다. 그런 다음 작동 부분은 부착 부분을 제자리에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본 발명의 한계를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서 설계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문자는 여러 도면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분해된 상태의 부착 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조립된 부착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웨빙 루프와 연결된 부착 부분의 도면이다.
도 5는 웨빙 루프와 연결된 전체 부착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웨빙 루프가 부착된 부착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부착 시스템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분해된 상태인 도 9의 부착 시스템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웨빙 루프가 부착된 도 9의 부착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Moll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도 9의 부착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이제 도면을 상세히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시스템(10)은 부착 부분(20)와 작동 부분(30)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간단한 동작으로 서로 부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부착 부분(20)은 전방 벽(22)과 후방 벽(23)으로 형성된 베이스 본체(21)를 가지며, 전방 벽(22)과 후방 벽(23) 사이에는 공동(218)이 있다. 가로 바(24)는 베이스 본체(21)에 연결되고, 제2 가로 바(25)가 위치하는 갭에 의해 분리된다. 가로 바(25)는 사용 중에 웨빙 부착을 허용하도록 슬롯에 의해 분리된다. 2개의 프롱(28, 29)이 공동(218) 내에서 베이스 본체로부터 아래로 연장된다. 도 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후크(201, 202)는 프롱(28, 29)의 양 측면에서 공동(218) 내에서 베이스 본체(21)로부터 연장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롱은 제거될 수 있다. 로킹 후크(201, 202)는 서로 마주한다.
작동 부분(30)은 D-링의 형태이고, 2개의 측면 레그(31, 32)로 형성되며, 이들은 각각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단 섹션(33, 34)에 연결된다. 상단 섹션(33, 34)은 갭(38)에 의해 분리된다. 상단 섹션(33)은 이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로킹 후크(35)를 갖고, 상단 섹션(34)은 이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로킹 후크(36)를 갖는다. 로킹 후크는 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한다. 작동 부분(30)은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레그(31, 32)를 함께 누르면 갭이 좁아지고 로킹 후크(35, 36)가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도 3은 부착 부분(20) 및 작동 부분(30)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분(30)이 스트랩(40)에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부착 부분(2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해, 스트랩(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내에 부착 부분(20)을 부착하기 위해 부착 바(25)에 대한 강성 지점으로서 역할을 하는 루프에 먼저 재봉된다. 루프의 폐쇄 단부는 도시되지 않았는데, 이는 부착 부분(20)으로부터 임의의 거리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착 바(25)가 갭에 의해 분리된 가로 바이기 때문에, 스트랩(40)의 루프의 양 단부는 갭을 통해 부착 바(25)로 들어갈 수 있다. 부착될 때, 부착 부분(20)은 스트랩(40)의 루프 내부에서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된다. 부착 부분은 원상태로 돌릴 수 있고, 스트랩(40)의 다른 루프 또는 임의의 다른 스트랩 내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작동 부분(30)은 도 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후크(35, 36)가 부착 부분(20) 상의 로킹 후크(201, 202)와 맞물릴 때까지 로킹 후크(35, 36)를 공동(218)에 삽입함으로써 스트랩(40)이 이미 부착된 상태로 부착 부분(20)에 연결된다. 조립하는 동안, 스트랩(40)은 스트랩(40)의 양쪽에 있는, 루프 내로 연장되는 상단 섹션(33, 34) 사이에 배치되며, 후크(35, 36)는 그 후 스트랩(40)의 루프 내의 부착 부분(20)에 부착되어, 스트랩(40)은 이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분(30)의 상단 섹션(33, 34)의 밑면 주위를 감싼다.
작동 부분(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스트랩(40)에 대한 상향 장력은 작동 부분(30)을 부착 부분(20) 쪽으로 가압하여, 임의의 분리 가능성을 방지한다. 스트랩(40) 상의 증가된 장력 또는 작동 부분(30)의 바닥에 부착된 스트랩으로부터의 장력에 의해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레그(31, 32) 및 상단 섹션(33, 34)은 변형되고, 이는 스트랩(40)의 압력에 의해 부착 부분(20) 내에서 후크(201, 202)와 맞물리도록 후크(35, 36)를 훨씬 더 단단히 가압한다. 따라서, 스트랩(40) 상의 장력이 더 타이트할수록, 작동 부분(30)과 부착 부분(20) 사이의 연결이 더 견고해진다. 부착 부분(20)으로부터 작동 부분(30)을 분리하기 위해, 스트랩(40) 상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여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사용자는 로킹 후크(35, 36)가 로킹 후크(201, 202)를 빠져나올 때 - 이때, 작동 부분(30)은 갭(38)을 통해 스트랩(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 - 까지 레그(31, 32)를 서로를 향해 가압한다.
부착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 부분(50)은 D-링 대신에 2-피스 측면 해제 버클의 암형 부분이다. 작동 부분(50)은 대응하는 수형 버클 본체(60)의 측면 레그(62, 63)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측면 개구(501, 502)를 갖는 암형 버클 본체(58)를 포함한다. 암형 버클 본체(58)는 수형 버클 본체(60)를 수용하는 메인 개구(59)로부터 암형 버클 본체(58)의 반대쪽에 배열된 2개의 측면 레그(51, 52)를 갖는다. 측면 레그(51, 52)는 갭(580)에 의해 분리되는 상단 섹션(53, 54)에 연결된다. 각각의 상단 섹션(53, 54)에는 도 8에 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부착 부분(20) 상의 대응하는 로킹 후크와 상호작용하는 로킹 후크(55, 56)가 장착된다. 여기에 도시된 부착 부분(20)은 도 1 내지 도 8의 부착 부분(20)과 동일하다.
스트랩(40)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부착 부분(20)에 연결되고, 그리고 나서 작동 부분(50)은 시스템을 스트랩(40)과 함께 연결하기 위해 부착 부분(20)에 연결되며, 스트랩(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분(50)의 상단 섹션(53, 54) 주위 및 아래로 연장된다. 제2 스트랩(70)은 수형 버클 본체(60)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은 간단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두 개의 스트랩(40, 70)을 함께 연결할 수 있다. D-링이나 사이드 해제 버클 대신에, 작동 부분(30, 50)은 회전 후크 버클, 회전 사각형 링, 가압 해제 버클 수형 부분, 가압 해제 버클 암형 부분, 마그네틱 자동 연결 버클 수형 부분, 마그네틱 자동 연결 버클 암형 부분, 사다리 버클, 트라이-글라이드 버클, 스냅 버튼, O-링, 정사각 링, 삼각 링, 스냅 후크, 또는 로프 조절 버클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발광 장치, 비디오 스크린, 전화기, 원격 접촉 도구, 비디오 카메라, 비디오 레코더, 마이크, 증폭기, 팬 쿨러, 팬 히터, 절연 장치, 휴대용 전원, 전자 보호 케이스, 장력 측정기 등. 작동 부분(50)은 고정된 부착 부분(20)과 상호 교환될 수 있어서, 다른 요소들이 부착 부분(20)을 제거하지 않고도 스트랩(40)에 쉽게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측면 레그(51, 52)에는 사용자가 작동 부분(50)을 파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릿지(504)(도 9 참조)가 장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가 전술 조끼 또는 다른 품목에 사용하기 위한 Molle 시스템의 부착 부분(20) 및 작동 부분(50)을 도시하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부착 부분(20)은 도 9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트랩(40)에 연결된다. 그러나, 스트랩(40)이 루프 형태로 재봉되는 대신에, 스트랩(40)은 부착 라인(47, 48)을 따라 전술 조끼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편평한 재봉 가능한 구조일 수 있는 기재(80) 상에 재봉된다. 사용 시, 스트랩(40)이 먼저 제자리에 재봉된 다음, 스트랩(40) 아래에 부착 부분(20)을 배치하도록 부착 바(25)를 스트랩(40) 주위에 끼워넣어 부착 부분(20)이 연결된다. 그 다음, 작동 부분(50)은 도 9 내지 도 11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부착 부분(20)에 연결될 수 있다. 기재(80)의 직물의 가요성은 부착 부분(20)과 작동 부분(50)의 조립 및 분해 동안 스트랩(40)과 기재(80) 사이의 공간에 여분의 느슨함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조립 후 사용 시에, 기재는 부착 라인(47, 48) 사이에 약간의 여유가 없도록 평평하게 늘어난다. 수형 버클 본체(60)에 연결된 스트랩(70)을 당김에 의한 작동 부분(50) 상의 장력은 부착 라인(48)에 의한 작동 부분(50) 상의 압력으로 인해 부착 부분(20)에 대해 작동 부분(50)만을 더 강하게 압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만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11)

  1. 웨빙 또는 스트랩에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그 사이에 공동을 갖는 전방 및 후방 벽을 갖는 베이스 본체, 상기 베이스 본체에 연결되고 갭에 의해 베이스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바, 및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바의 반대 방향으로 공동 내로 연장하는 2개의 로킹 후크를 포함하는 부착 부분,
    2개의 측면 레그, 및 상기 측면 레그와 연결되는 상단 섹션들, 및 상기 상단 섹션들 사이의 갭을 가짐으로써, 측면 레그를 함께 스퀴징하면 갭이 좁아지는 작동 부분 - 각각의 상단 섹션은 이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후크를 가짐 -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분은 측면 레그를 함께 가압하고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를 부착 부분의 공동에 삽입하고, 그 후 부착 부분의 로킹 후크가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와 맞물리도록 측면 레그를 해제함으로써 부착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작동 부분은, 상기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가 부착 부분의 로킹 후크를 빠져나올 때까지 측면 레그를 함께 스퀴징하고 작동 부분을 부착 부분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킴으로써 부착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바에 대향하게 부착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롱은 상기 작동 부분이 부착 부분에 부착될 때 작동 부분의 상단 섹션들 사이의 갭에 배치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롱은 두 개의 프롱을 포함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분에 연결된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바와 베이스 본체 사이의 공간을 통해 그리고 부착 부분의 바닥 둘레로 연장되고, 루프 형태로 폐쇄되어, 상기 베이스 본체가 루프 안에 수용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작동 부분이 부착 부분에 연결될 때 상단 섹션의 바닥 둘레로 연장되어, 가로 바의 방향으로의 스트랩 상의 장력은 부착 부분에 대해 작동 부분을 더 단단히 가압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분의 후방 벽은, 작동 부분이 부착 부분에 연결될 때 작동 부분의 로킹 후크를 볼 수 있도록 내부에 구멍을 갖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분은 D-링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분은 2-피스 측면 릴리스 버클의 암형 부분이고, 상기 작동 부분은 측면 레그에 연결된 메인 본체, 및 측면 해제 버클의 수형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메인 본체 내부의 공동을 갖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레그는 상기 작동 부분이 상기 부착 부분에 연결될 때 상기 베이스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레그에는 사용자의 그립을 증가시키기 위해 릿지가 장착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스트랩을 따른 두 지점에서 기재에 연결된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바를 통해 부착 지점 사이의 스트랩에 연결되어, 베이스 본체는 스트랩과 기재 사이에 배치되는, 시스템.
KR1020227028965A 2020-03-30 2021-03-26 퀵 릴리스를 갖는 부착 시스템 KR202201599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33,974 2020-03-30
US16/833,974 US11044970B1 (en) 2020-03-30 2020-03-30 Attachment system with quick release
PCT/CN2021/083221 WO2021197222A1 (en) 2020-03-30 2021-03-26 Attachment system with quick rele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957A true KR20220159957A (ko) 2022-12-05

Family

ID=7553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965A KR20220159957A (ko) 2020-03-30 2021-03-26 퀵 릴리스를 갖는 부착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44970B1 (ko)
EP (1) EP4125487A1 (ko)
JP (1) JP2023525184A (ko)
KR (1) KR20220159957A (ko)
CN (1) CN114126443B (ko)
WO (1) WO2021197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912A1 (en) * 2020-06-18 2021-12-23 Harry Miller Co., Llc Magnetically guided latch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8337A (en) * 1985-12-20 1987-08-25 National Molding Corporation Buckle type fastener
TW301145U (en) * 1993-10-16 1997-03-21 Yoshida Kogyo Kk Buckle
US5706560A (en) 1996-12-17 1998-01-13 National Molding Corp. Clip for releasably securing objects
JP3701187B2 (ja) * 2000-09-27 2005-09-2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3775725B2 (ja) * 2000-09-28 2006-05-1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6421889B1 (en) * 2001-05-31 2002-07-23 Vinsonic Industrial Co., Ltd. Buckle structure
US6931695B2 (en) * 2003-12-18 2005-08-23 Joseph Anscher Buckle with push button release
US7174609B2 (en) * 2004-03-19 2007-02-13 Nam-Il Park Buckle
US7100252B2 (en) * 2005-01-31 2006-09-05 Joseph Anscher Dual locking buckle
JP2008178570A (ja) * 2007-01-25 2008-08-07 Ykk Corp バックル
ES2322743B1 (es) * 2007-06-29 2010-04-06 Zobele España, S.A. Hebilla de liberacion rapida con medios difusores de sustancias volatiles.
KR101213328B1 (ko) * 2008-01-23 2012-12-1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US20110061211A1 (en) * 2009-09-17 2011-03-17 Joseph Anscher Removable buckle
US20120017347A1 (en) * 2010-07-21 2012-01-26 Strum David B Auxiliary Gear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KR101421912B1 (ko) * 2010-11-15 2014-07-22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FR2973659B1 (fr) * 2011-04-06 2014-04-04 Zedel Boucle d'attache magnetique a aimants permanents et a verrouillage mecanique
US9930937B2 (en) * 2012-06-28 2018-04-03 Ykk Corporation Buckle
US10219587B1 (en) * 2017-09-05 2019-03-05 Duraflex Hong Kong Limited Attachment system with a connected article
CN110025089B (zh) * 2019-04-02 2021-08-24 淮南冠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按压罩防损的插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5184A (ja) 2023-06-15
WO2021197222A1 (en) 2021-10-07
CN114126443B (zh) 2023-06-16
US11044970B1 (en) 2021-06-29
CN114126443A (zh) 2022-03-01
EP4125487A1 (en)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334B1 (en) Stretchable dog leash
US6851160B2 (en) Quick release detachable buckle
US20110099776A1 (en) Quick release buckle assembly
US7155786B2 (en) Quick release buckle
US8191213B2 (en) Quick release buckle assembly
US5640744A (en) Nested ridge strap connector apparatus
US20100313392A1 (en) Quick release buckle assembly
US20070089277A1 (en) Rigid single piece buckle
WO2000070987A1 (en) Quick release buckles
JP2006204911A (ja) バックル
US20090078730A1 (en) Interchangeable utility belt apparatus and system
CN111432682B (zh) 工具带
EP3606371B1 (en) Stretch fastener
KR20220159957A (ko) 퀵 릴리스를 갖는 부착 시스템
US11129448B1 (en) Tie-down device
US8220677B2 (en) Whistle attachment system
US6687964B2 (en) Strap lock
JP2007044066A (ja) 荷物用締付ベルト
US4131976A (en) Buckle
US11925242B2 (en) Buckle with pull ring
US20230100046A1 (en) Safety Release Buckle
US20070272238A1 (en) Arrangement for releasably fastening mask strap to breathing tube of snorkel
US20060107503A1 (en) Safety buckle
JP4537497B1 (ja)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及びバックル解除用補助具
KR101317044B1 (ko) 버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