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519A - 자동 오일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오일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519A
KR20220159519A KR1020210066763A KR20210066763A KR20220159519A KR 20220159519 A KR20220159519 A KR 20220159519A KR 1020210066763 A KR1020210066763 A KR 1020210066763A KR 20210066763 A KR20210066763 A KR 20210066763A KR 20220159519 A KR20220159519 A KR 20220159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hydraulic
attachment
link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983B1 (ko
Inventor
배병철
박정종
최민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현
Priority to KR102021006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9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energy coupler, e.g. coupler for hydraulic or electric lines, to provide energy to drive(s) mounted on the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의 단부에는 어태치먼트와 결합시 전원과 유압을 상기 어태치먼트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링크가 결합되고,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단에는 전용링크와 결합시 전원 및 유압이 공급되어 상기 굴삭기의 제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작동되도록 하는 탑베이스가 결합되어, 상기 전용링크와 탑베이스가 상호 결합되면 자동으로 유압라인과 전원라인이 연결되어 작업자가 어태치먼트를 암에 수동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오일퀵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 오일퀵 시스템{Automatic oil quick system}
본 발명은 굴삭기에 마련되는 암의 단부에 전용링크가 결합되고, 어태치먼트의 상면에는 상기 전용링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탑베이스가 형성되되, 상기 전용링크와 탑베이스가 상호 결합되면 자동으로 유압라인과 전원라인이 연결되면서 굴삭기의 전원과 유압이 어태치먼트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어태치먼트를 암에 수동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오일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 또는 산업용 기계나 작업장치등의 퀵커플러에 매달려 있던 어태치먼트가 작업중에 해제되어 발생한 인명 사고가 보도되면서 어태치먼트를 체결하는 퀵커플러에 대한 안전문제가 동업계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작업장치 업계에서는 안전장치를 가진 퀵 커플러의 사용을 장려하는 등 다각도로 안전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안전장치를 가진 퀵커플러의 사용까지 법제화되면서 작업장치작업시 안전장치를 구비한 퀵커플러의 사용은 거의 필수적인 구비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근래들어 개시된 여러 종류의 안전 퀵커플러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이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나 실린더 바디의 일부위에 연결부재를 통해 가동후크를 연결하고 그 실린더의 다른 일부위를 고정후크 상단에 형성된 회전키에 연결하여 실린더의 신장 및 수축작용이 일어났을 때 이 회전키가 그에 반응하여 고정후크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의 하단으로 회전 연장되도록 하여 어태치먼트의 체결핀이 고정후크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퀵커플러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3068호의 "개선된 구조의 자동잠금장치를 가진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가동후크에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를 연결하고 고정후크상단에는 회전키를 형성하되 회전키의 일부위에 실린더의 축을 연결하여 실린더가 신장 및 수축운동을 할 때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후크의 상단에 있는 회전키의 회전운동이 유발되어 회전키의 단부가 개구부아래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어태치먼트의 체결핀을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퀵커플러는 굴삭기의 암의 단부에 어태치먼트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는 있으나, 굴삭기의 유압라인과 전원라인을 어태치먼트에 연결하는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건설 및 산업 현장에서 주로 이용되는 굴삭기의 작업 환경상 유압연결구의 표면에는 유분 성분에 의해 다량의 이물질이나 먼지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유압라인(유압호스)을 유압연결구에 연결하는 작업시 우선적으로 유압연결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시 작업자는 장갑 등을 착용하기는 하나 유분, 이물질 등으로부터 의복이나 피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굴삭기에 마련되는 암의 단부에 전용링크가 결합되고 어태치먼트의 상면에는 상기 전용링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탑베이스가 형성되되, 상기 전용링크와 탑베이스가 상호 결합되면 자동으로 유압라인과 전원라인이 연결되어 작업자가 어태치먼트를 암에 수동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특히 전용링크의 일측에 마련되는 에어포트로부터 에어가 분사되면서 탑베이스의 일측에 마련되는 유압포트의 표면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제거되도록 하여 유압호스 내부로 이물질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오일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굴삭기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붐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암에 어태치먼트를 자동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암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어태치먼트와 결합시 굴삭기의 전원과 유압을 상기 어태치먼트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링크와;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용링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용링크와 결합시 전원 및 유압이 공급되면서 상기 굴삭기의 제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작동되도록 하는 탑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전용링크는, 상기 암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굴삭기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포트가 일측에 마련되는 암 결합부와, 상기 암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어태치먼트치 상면의 전용링크 결합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어태치먼트 결합부와,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굴삭기에 마련되는 유압탱크와 유압호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유압포트 및 상기 굴삭기의 컴프레셔와 에어호스를 매개로 연결되며 전방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포트가 구비되는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탑베이스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전용링크 결합부와, 상기 전용링크 결합부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유압포트와 접속되는 복수의 제2유압포트가 설치되는 접속 플레이트와, 상기 전원공급포트와 접속되는 전원인가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링크와 탑베이스가 결합될 때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가 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1유압포트 및 제2유압포트, 그리고 전원연결포트 및 전원공급포트가 상호 접속되면서 굴삭기의 전원과 유압이 어태치먼트로 자동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에어포트는 제2유압포트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제2유압포트와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가 접속되기 전 각각의 에어포트로부터 에어가 분사되어 제2유압포트 표면의 이물질 또는 먼지가 제거된 후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가 접속되도록 하여 이물질 또는 먼지가 유압호스로 인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소정직경의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포트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후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에어호스가 접속되는 니플과, 상기 토출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후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유로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2유로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로드와, 상기 제2유로 내부에서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로드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제1유로와 제2유로를 분할하는 벽면에 밀착되며 상기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저장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컴프레셔의 에어가 에어호스와 니플을 통해 제2유로로 투입되어 에어의 압력에 의해 로드가 전방 측으로 이동되면서 토출구가 개방되어 제2유압포트를 향해 에어가 토출되고, 상기 제어신호가 해제되면 에어 공급이 중단되면서 로드가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헤드부를 통해 토출구를 차단시켜 에어, 이물질 또는 먼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일측에는 제1고정패널이 결합되며,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내부에 한 쌍의 이송실린더가 소정간격을 두고 매립설치되되 각 이송실린더의 로드는 링크 플레이트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고, 각 이송실린더의 로드의 외주면에는 링크 플레이트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도록 제1탄성스프링이 권취되며, 상기 전용링크 결합부의 일측에는 제2고정패널이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패널과 접속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 플레이트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제2탄성스프링이 권취되어,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가 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가 접속될 때 제1탄성스프링 및 제2탄성스프링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 및 접속 플레이트가 탄발적으로 가압되어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가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굴삭기에 마련되는 구리스 탱크와 구리스 호스를 매개로 하여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구리스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구리스포트와 접속되는 제2구리스포트가 설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가 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제1구르스포트와 제2구리스포트가 상호 접속되면서 구리스 탱크에 충전된 구리스가 어태치먼트에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는 단부가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링크 플레이트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한 쌍의 링크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 파이프의 전면에는 상기 링크 파이프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전용링크 결합부에 마련되는 제3고정핀의 하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도록 호 형상의 제3고정핀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고정핀 안착홈에는 제3고정핀 안착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3고정핀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상기 전용링크와 탑베이스가 상호 결합된 후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가 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자동으로 유압라인과 전원라인이 연결되면서 굴삭기의 전원과 유압이 어태치먼트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의 단부에 어태치먼트가 연결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유압라인과 전원라인을 연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과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전용링크의 일측에 제2유압포트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에어포트가 마련되어, 각 에어포트로부터 대향하는 제2유압포트를 향해 에어가 분사되면서 제2유압포트 표면의 이물질이나 먼지를 제거한 후 제1유압포트와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포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전용링크와 탑베이스가 결합될 때 유압호스 내부로 이물질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유압포트에 탑재된 고무 오링이 이물질 등에 의해 훼손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에어포트로부터 에어를 토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해제되면 탄성스프링에 의해 로드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헤드부를 통해 토출구를 차단시켜 에어,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에어포트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가 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가 상호 접속되면 제1탄성스프링 및 제2탄성스프링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 및 접속 플레이트가 탄발적으로 가압되면서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가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누유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유압호스와 전원커넥터 연결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링크 플레이트가 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제1구리스포트와 제2구리스포트가 상호 접속되면서 굴삭기에 마련되는 구리스 탱크 내의 구리스가 어태치먼트에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태치먼트에 별도로 구리스 주입호스를 연결하여 구리스를 주입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구리스가 작업자의 피부나 의류 또는 토양 등에 유실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링크 플레이트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링크 파이프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3고정핀 안착홈의 일측에 제3고정핀 안착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3고정핀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굴삭기의 운전석 내부에서 검출신호의 출력 여부를 통해 어태치먼트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어태치먼트가 작업중에 해제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오일퀵 시스템이 적용된 예시도.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포트와 전원인가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용링크와 탑베이스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오일퀵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굴삭기에 마련되는 암의 단부에 어태치먼트를 자동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암의 단부에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면 전원라인과 유압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면서 굴삭기의 전원과 유압이 어태치먼트에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어태치먼트를 암에 수동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자동 오일퀵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 어태치먼트라 함은 굴삭기에 연결되어 버킷의 틸팅/로테이팅, 땅 파기, 다지기, 돌 파쇄, 집게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장치로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 1에서는 어태치먼트의 예시로서 버킷의 틸팅과 로테이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 로테이터를 도시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암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어태치먼트와 결합시 굴삭기의 전원과 유압을 상기 어태치먼트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링크(100)와;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용링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용링크와 결합시 굴삭기의 전원 및 유압이 자동으로 공급되면서 굴삭기의 제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작동되도록 하는 탑베이스(20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용링크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상기 전용링크(100)는 암 결합부(110), 상기 암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어태치먼트 결합부(120), 상기 암 어태치먼트 결합부 내부에 결합되는 링크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암 결합부(110)는 굴삭기에 마련되는 암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소정 면적을 갖는 바닥판(111) 및 바닥판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112)이 구비되고, 상기 측판의 내부에는 암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고정핀(113)과, 상기 굴삭기에 마련되는 암 실린더(2)의 로드와 일측 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회동브라켓(3)의 타측 단부와 힌지결합되는 제2고정핀(114)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브라켓(3)의 타측 단부의 양측 외주면에는 한 쌍의 힌지편(4)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편의 타측 단부는 암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전용링크를 지지한다.
상기 암 결합부(110)는 굴삭기에 마련되는 제어장치(예를 들어 조이스틱)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회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장치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암 실린더(2)의 로드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면서 제2고정핀(114)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고정핀(113) 측이 상하로 회동된다.
또한, 상기 암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굴삭기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커넥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포트(115)가 마련된다.
상기 전원공급포트(115)는 후술할 전원인가포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굴삭기의 전원이 어태치먼트에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111)을 관통하여 양측 단부가 각각 바닥판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전원공급포트의 상단은 상기 굴삭기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커넥터와 연결되며, 바닥판의 하부로 돌출되는 전원공급포트의 하단은 상기 전원인가포트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도 9참조)
다음으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120)는 상기 암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어태치먼트치 상면의 전용링크 결합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120)의 전방에는 단부가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링크 플레이트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링크 파이프(121) 한 쌍이 마련되며, 후방에는 상기 전용링크 결합부의 제4고정핀(213)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 파이프(121)는 한 쌍이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며, 전면에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전용링크 결합부의 제3고정핀(212)의 하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도록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핀 안착홈(12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고정핀 안착홈에는 제3고정핀 안착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3고정핀 감지센서(1212)가 설치된다.
상기 제3고정핀 감지센서(1212)는 제3고정핀이 접촉되는 경우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광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작업자는 굴삭기의 운전석 내부에서 검출신호의 출력 여부를 통해 어태치먼트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어태치먼트가 작업중에 해제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양측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의 가이드홈(123)이 장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링크 파이프와 고정홈 사이에는 대략 직사각판 형태의 제1고정패널(12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전방 일측에는 상기 링크 파이프와 대응되는 직경의 가이드홀(1251)이 전후로 관통형성되는 가이드블럭(125)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 파이프(121)는 상기 가이드홀(1251)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링크 플레이트(130)가 전후로 이동되면 상기 링크 파이프(121)는 가이드블럭(125)의 안내를 받으면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전후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링크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흔들림에 의해 링크 파이프(121)가 전용링크 결합부의 제3고정핀(212)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링크 플레이트(130)는 굴삭기에 마련되는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링크 플레이트(13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직사각판형의 베이스판(1301) 및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에 형성되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302)가 일체로 이루어져 위에서 바라봤을 때 단면이 대략 "
Figure pat00001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링크 플레이트(130)의 양측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23)에 끼움되는 가이드핀(131)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각 돌출부의 내부로 이송실린더가 매립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실린더의 로드(132)는 링크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고정패널(124)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제1고정패널(124)에 고정된 로드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1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 4에서는 이송실린더의 몸체부는 링크 플레이트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상기 가이드핀(131)은 링크 플레이트가 어태치먼트 결합부 내부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홈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링크 플레이트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후술할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가 정확한 위치에서 상호 접속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통해 제1유압포트 및 제2유압포트가 상호 부정확하게 접촉되면서 마모,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실린더의 로드(132)의 외주면에는 제1탄성스프링(133)이 권취된다.
상기 제1탄성스프링(133)은 제어장치(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13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링크 플레이트(130)와 제1고정패널(124) 사이에서 압축되고,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링크 플레이트(130)의 후면을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링크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링크 플레이트(130)는 상기 굴삭기에 마련되는 유압탱크(미도시)와 유압호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유압포트(134) 및 상기 굴삭기의 컴프레셔(미도시)와 에어호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에어포트(13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유압포트(134)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전면 중앙부에 복수개로 배열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으로 관통되어 전방 측으로 돌출되는 단부는 후술할 제2유압포트와 접속되고 후방 측으로 돌출되는 단부는 굴삭기의 유압탱크와 연결되는 유압호스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5 및 6과 같이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전면 중앙부에는 4개의 제1유압포트가 배열설치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제1유압포트는 어태치먼트에 마련되는 유압실린더(또는 유압모터)에 작동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포트이고, 다른 2개의 제1유압포트는 예비라인을 위한 포트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포트(135)는 상기 에어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제공되는 에어를 전방측 단부를 통해 전방으로 분사시키는 부재로서, 상기 에어포트(135)를 통해 전방으로 분사되는 에어는 후술할 탑베이스의 제2유압포트로 분사되어 제2유압포트의 표면에 뭍은 이물질이나 먼지를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에어포트(135)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2유압포트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제2유압포트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포트(135)는 제2유압포트에 보다 정확하게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제1유압포트(134)와 인접한 위치(예를 들어 제1유압포트의 상부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2유압포트 측으로 에어가 분사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1303)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소정직경의 제1유로(1304) 및 상기 제1유로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유로(1305)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포트(135)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후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제2유로(1305)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에어호스가 접속되는 니플(1351)과, 상기 토출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헤드부(1352-1) 및 상기 헤드부의 후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유로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2유로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부(1352-2)로 이루어지는 로드(1352)와, 상기 제2유로 내부에서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로드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제1유로와 제2유로를 분할하는 벽면에 밀착되며 상기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저장하는 탄성스프링(135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제어장치에 입력되면 상기 컴프레셔의 에어가 에어호스와 니플을 통해 제2유로로 투입되어 에어의 압력에 의해 로드(1352)가 전방 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구로부터 헤드부(1352-1)가 이탈되면서 개방된 토출구(1303)를 통해 에어가 토출되어 제2유압포트 측으로 분사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해제되어 에어 공급이 중단되면 압축된 탄성스프링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로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헤드부가 토출부를 차단시켜 에어, 이물질 또는 먼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탑베이스(2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탑베이스(200)는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전용링크 결합부(210)와, 상기 링크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접속 플레이트(220) 및 전원인가포트(230)을 포함한다.
상기 전용링크 결합부(210)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211)과, 상기 측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3고정핀 (212)및 제4고정핀(21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3고정핀(212)은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링크 파이프(121)에 밀착지지되고, 상기 제4고정핀(213)은 어태치먼트 결합부 후방의 고정홈(122)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3고정핀의 외주면에는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제2고정패널(214)이 지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패널의 전방으로 상기 접속 플레이트(220)가 배치된다.
상기 접속 플레이트(220)는 상기 돌출부(1302)와 돌출부(130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폭을 갖는 사각 또는 직사각의 블럭 형태로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13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양측 돌출부(130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접속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제1유압포트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유압포트(221)가 구비된다.
상기 제2유압포트(221)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양측 단부가 각각 접속 플레이트의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며, 접속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2유압포트의 일측 단부는 제1유압포트(134)와 접속되며, 접속 플레이트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2유압포트의 타측 단부는 어태치먼트를 구동시키는 유압장치(예를 들어 유압실린더, 유압모터 등)와 연결되는 유압호스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패널(214)과 접속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파이프(222)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파이프(22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220)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제2탄성스프링(223)이 권취된다.
상기 제2탄성스프링(223)은 접속 플레이트의 후면을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접속 레이트가 전방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은 이송실린더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130)가 슬라이딩 되어 접속 플레이트(220)와 결합되면 제1탄성스프링(133) 및 제2탄성스프링(223)이 링크 플레이트 및 접속 플레이트를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제1유압포트(134)와 제2유압포트(221)가 상호 긴밀한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포트(1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인가포트(230)가 상기 제2고정패널(214)의 일측에 마련된다. 상기 전원인가포트(230)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단은 바닥판(111)의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전원공급포트(115)의 하단 내부로 인입되고 하단은 어태치먼트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커넥터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접속 플레이트(220)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파인 가이드핀 수용홈(225)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130)의 전면에는 가이드홈(225) 내부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는 가이드핀(137)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 플레이트(13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핀(137)의 단부가 가이드핀 수용홈(225) 내부에 인입되면서 링크 플레이트(130)를 안내하여 제1유압포트(134)와 제2유압포트(221)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속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용링크와 탑베이스의 결합 과정을 도 11 내지 14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굴삭기의 암, 암 실린더, 회동브라켓, 회동편 및 어태치먼트는 생략하였으며, 제어장치에 의해 암(1)이 회동되어 전용링크(100)가 탑베이스(20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암 실린더의 로드가 인입되어 회동브라켓(3)이 암 실린더의 로드를 따라 회동되면 도 11과 같이 상기 전용링크(100)는 암의 단부에 고정된 제2고정핀(114)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고정핀(113) 측이 회동브라켓을 따라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대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홈(122)은 제4고정핀(213)을 마주보는 형태가 되며, 전원인가포트(230)의 상부에 전원공급포트(115)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암이 하강하면 고정홈(122) 내부로 제4고정핀(213)이 자연스럽게 인입되고, 암 실린더의 로드가 인출되면 회동브라켓에 의해 전용링크(100)의 전방 측이 점차 하강하여 도 12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 과정에서 전원공급포트(115)와 전원인가포트(230)가 상호 접속되면서 굴삭기의 전원이 어태치먼트에 인가된다. 또한, 제4고정핀(213)이 고정홈 내부로 수용되면서 이탈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송실린더가 구동되면 도 13과 같이 링크 플레이트(13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양측 돌출부(1302) 사이로 접속 플레이트(220)가 위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에어포트(135)로부터 에어가 분사되면서 제2유압포트(221) 표면의 이물질이나 먼지가 제거되며, 이후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링크 플레이트(130)가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되면 도 14와 같이 제1유압포트(135)와 제2유압포트(221)가 상호 접속되면서 굴삭기의 유압이 어태치먼트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스프링(133)과 제2탄성스프링(223)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130) 및 접속 플레이트(220)가 탄발적으로 지지되면서 제1유압포트(135)와 제2유압포트(221)가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오일의 누유가 방지된다.
종래에는 암의 단부에 어태치먼트를 결합한 다음 굴삭기로부터 연장되는 유압호스를 어태치먼트에 별도로 마련되는 유압연결구에 직접 연결하여 굴삭기의 유압이 어태치먼트에 공급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건설 및 산업 현장에서 주로 이용되는 굴삭기의 작업 환경상 유압연결구의 표면에 유분 성분에 의해 다량의 이물질이나 먼지가 있을 수 밖에 없어서 유압호스를 유압연결구에 연결하기 전에 작업자가 직접 유압연결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해야만 했다.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시 작업자는 장갑 등을 착용하기는 하나 유분, 이물질 등으로부터 의복이나 피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전용링크와 탑베이스가 상호 결합된 후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가 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자동으로 유압라인과 전원라인이 연결되면서 굴삭기의 전원과 유압이 어태치먼트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되며, 에어포트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를 통해 제2유압포트 표면의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의복이나 피부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링크 플레이트(130)의 일측에는 굴삭기에 마련되는 구리스 탱크와 구리스 호스를 매개로 하여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구리스포트(136)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구리스포트와 접속되는 제2구리스포트(224)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구리스포트(136)는 링크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양측 단부가 각각 링크 플레이트의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일측 단부는 상기 구리스 호스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구리스포트(224)는 접속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일측 단부는 제1구리스포트(136)과 접속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타측 단부는 어태치먼트의 구리스 호스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 플레이트(13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제1구리스포트(136)와 제2구리스포트(224)가 상호 접속되면서 구리스 탱크에 충전된 구리스를 어태치먼트에 자동으로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유압포트(134)와 제2유압포트(221), 그리고 제1구리스포트(136)과 제2구리스포트(224)는 상호 착탈식으로 결합되면서 원활하게 접속되도록 적절한 형태, 예를 들어 첨부된 예시도와 같이 암,수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포트(135)는 제2구리스포트(224)와 대응되는 위치에도 마련되어 제2구리스포트 표면의 이물질, 먼지, 잔존 구리스 등이 제거된 상태로 제1구리스포트와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암의 단부에 어태치먼트를 결합한 후에는 어태치먼트가 부드럽게 작동될 수 있도록 윤활제 역할을 하는 구리스를 반드시 공급해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구리스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로 구리스 주입호스를 연결한 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구리스를 주입해야만 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구리스 주입호스를 연결하는 작업, 구리스를 주입하는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하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리스 주입호스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피부나 의류 또는 토양 등에 구리스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일퀵 시스템은 링크 플레이트가 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아딩되면 제1구리스포트(136)와 제2구리스포트(224)가 상호 접속되면서 굴삭기의 구리스가 어태치먼트로 자동공급된다. 이에, 어태치먼트에 구리스호스를 연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구리스로부터 작업자의 피부나 의류, 토양 등을 보호할 수 있다.
1 : 암 2 : 암 실린더
3 : 회동브라켓 4 : 힌지편
10 : 어태치먼트
100 : 전용링크
110 : 암 결합부
111 : 바닥판 112 : 측판
113 : 제1고정핀 114 : 제2고정핀
115 : 전원공급포트
120 : 어태치먼트 결합부
121 : 링크 파이프 1211 : 제3고정핀 안착홈
1212 : 제3고정핀 감지센서
122 : 고정홈
123 : 가이드홈
124 : 제1고정패널
125 : 가이드블럭 1251 : 가이드홀
130 : 링크 플레이트
1301 : 베이스판 1302 : 돌출부
1303 : 토출구 1304 : 제1유로
1305 : 제2유로
131 : 가이드핀
132 : 이송실린더 로드
133 : 제1탄성스프링
134 : 제1유압포트
135 : 에어포트
1351 : 니플
1352 : 로드
1352-1 : 헤드부 1352-2 : 몸체부
1353 : 탄성스프링
136 : 제1구리스포트
137 : 가이드핀
200 : 탑베이스
210 : 전용링크 결합부
211 : 측판
212 : 제3고정핀
213 : 제4고정핀
214 : 제2고정패널
220 : 접속 플레이트
221 : 제2유압포트
222 : 지지파이프
223 : 제2탄성스프링
224 : 제2구리스포트
225 : 가이드핀 수용홈
230 : 전원인가포트

Claims (5)

  1. 굴삭기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붐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암에 어태치먼트를 자동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암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어태치먼트와 결합시 굴삭기의 전원과 유압을 상기 어태치먼트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링크(100)와;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용링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용링크와 결합시 전원 및 유압이 공급되면서 상기 굴삭기의 제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작동되도록 하는 탑베이스(200)를 포함하되,
    상기 전용링크는,
    상기 암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굴삭기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포트가 일측에 마련되는 암 결합부(110)와,
    상기 암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어태치먼트치 상면의 전용링크 결합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어태치먼트 결합부(120)와,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굴삭기에 마련되는 유압탱크와 유압호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유압포트 및 상기 굴삭기의 컴프레셔와 에어호스를 매개로 연결되며 전방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포트가 구비되는 링크 플레이트(130)를 포함하고,
    상기 탑베이스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전용링크 결합부(210)와,
    상기 전용링크 결합부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유압포트와 접속되는 복수의 제2유압포트가 설치되는 접속 플레이트(220)와,
    상기 전원공급포트와 접속되는 전원인가포트(230)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링크와 탑베이스가 결합될 때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가 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1유압포트 및 제2유압포트, 그리고 전원연결포트 및 전원공급포트가 상호 접속되면서 굴삭기의 전원과 유압이 어태치먼트로 자동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에어포트는 제2유압포트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제2유압포트와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가 접속되기 전 각각의 에어포트로부터 에어가 분사되어 제2유압포트 표면의 이물질 또는 먼지가 제거된 후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가 접속되도록 하여 이물질 또는 먼지가 유압호스로 인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오일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소정직경의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포트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후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에어호스가 접속되는 니플과, 상기 토출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후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유로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2유로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로드와, 상기 제2유로 내부에서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로드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제1유로와 제2유로를 분할하는 벽면에 밀착되며 상기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저장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컴프레셔의 에어가 에어호스와 니플을 통해 제2유로로 투입되어 에어의 압력에 의해 로드가 전방 측으로 이동되면서 토출구가 개방되어 제2유압포트를 향해 에어가 토출되고,
    상기 제어신호가 해제되면 에어 공급이 중단되면서 로드가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헤드부를 통해 토출구를 차단시켜 에어, 이물질 또는 먼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오일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일측에는 제1고정패널이 결합되며,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내부에 한 쌍의 이송실린더가 소정간격을 두고 매립설치되되 각 이송실린더의 로드는 링크 플레이트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고,
    각 이송실린더의 로드의 외주면에는 링크 플레이트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도록 제1탄성스프링이 권취되며,
    상기 전용링크 결합부의 일측에는 제2고정패널이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패널과 접속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 플레이트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제2탄성스프링이 권취되어,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가 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가 접속될 때 제1탄성스프링 및 제2탄성스프링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 및 접속 플레이트가 탄발적으로 가압되어 제1유압포트와 제2유압포트가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오일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굴삭기에 마련되는 구리스 탱크와 구리스 호스를 매개로 하여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구리스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구리스포트와 접속되는 제2구리스포트가 설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가 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제1구르스포트와 제2구리스포트가 상호 접속되면서 구리스 탱크에 충전된 구리스가 어태치먼트에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오일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는 단부가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링크 플레이트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한 쌍의 링크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 파이프의 전면에는 상기 링크 파이프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전용링크 결합부에 마련되는 제3고정핀의 하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도록 호 형상의 제3고정핀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고정핀 안착홈에는 제3고정핀 안착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3고정핀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오일퀵 시스템.
KR1020210066763A 2021-05-25 2021-05-25 자동 오일퀵 시스템 KR102597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763A KR102597983B1 (ko) 2021-05-25 2021-05-25 자동 오일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763A KR102597983B1 (ko) 2021-05-25 2021-05-25 자동 오일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519A true KR20220159519A (ko) 2022-12-05
KR102597983B1 KR102597983B1 (ko) 2023-11-07

Family

ID=8439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763A KR102597983B1 (ko) 2021-05-25 2021-05-25 자동 오일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9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001U (ko) * 1985-09-17 1987-03-26
JPH0727062Y2 (ja) * 1988-11-10 1995-06-21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工作物取付具の流体供給構造
JP2002348905A (ja) * 2001-03-09 2002-12-04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急速継手
KR101617412B1 (ko) * 2015-11-20 2016-05-02 홍창호 퀵 커플러 감지장치
KR102226956B1 (ko) * 2020-09-18 2021-03-11 유제록 중장비 또는 산업용 기계와 작업장치의 유압 퀵커플러 자동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001U (ko) * 1985-09-17 1987-03-26
JPH0727062Y2 (ja) * 1988-11-10 1995-06-21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工作物取付具の流体供給構造
JP2002348905A (ja) * 2001-03-09 2002-12-04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急速継手
KR101617412B1 (ko) * 2015-11-20 2016-05-02 홍창호 퀵 커플러 감지장치
KR102226956B1 (ko) * 2020-09-18 2021-03-11 유제록 중장비 또는 산업용 기계와 작업장치의 유압 퀵커플러 자동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983B1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2386B (zh) 作业工具联结机构
US5465513A (en) Device for quick connection of hydraulic tubings
CA2172409C (en) Bucket attachment device with remote controlled retractable pins
US4480955A (en) Coupling for earth moving tools etc.
CN102356266A (zh) 可伸出的流体联接器
US7686563B2 (en) Coupling apparatus for releasably coupling hydraulically powered work implements to a work vehicle
JP4713516B2 (ja) 建設機械
CN101449006A (zh) 快速联接器
CN103154382B (zh) 联接配置
US4142642A (en) Counterweight assembly for earth-working equipment
EP3757296A1 (en) Quick coupler with hydraulic coupling manifold
CN103189572B (zh) 联接配置
CN103154381B (zh) 联接配置
KR102187972B1 (ko) 굴삭기의 유압호스 자동 연결장치
KR102226954B1 (ko) 중장비 또는 산업용 기계와 작업장치 자동 연결장치의 자동 유압 연결장치
RU2495317C2 (ru) Выдвиж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для жидкостей под давлением
CN103154383B (zh) 联接配置
KR20220159519A (ko) 자동 오일퀵 시스템
KR20230045021A (ko) 퀵 커플러
AU2006324379A1 (en) Safety device for hydraulic hitch assembly
KR102226956B1 (ko) 중장비 또는 산업용 기계와 작업장치의 유압 퀵커플러 자동 결합장치
US20070261403A1 (en) Pressure shuttle
US6425730B1 (en) Load bearing pivot assembly providing a fluid path
US10995469B1 (en) Quick coupler
CN113280009A (zh) 用于在机器的流体系统中传送流体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