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471A - 용량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용량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471A
KR20220159471A KR1020227038444A KR20227038444A KR20220159471A KR 20220159471 A KR20220159471 A KR 20220159471A KR 1020227038444 A KR1020227038444 A KR 1020227038444A KR 20227038444 A KR20227038444 A KR 20227038444A KR 20220159471 A KR20220159471 A KR 20220159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reducing
valve body
slid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치 쿠리하라
아키히로 하시구치
코헤이 후쿠도메
케이고 시라후지
Original Assignee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9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8Valv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04B53/1082Valv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F16K11/2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with an actuating member for each valve, e.g. interconnected to form multipl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F16K11/2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with an electromagnetically-operated valve, e.g. for wash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4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68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27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discharge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31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suc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45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63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with an auxiliary valve, controlled by
    • F04B2027/1868Crankcas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기동시의 유체 배출 기능을 가지면서 운전 효율이 좋은 용량 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밸브 하우징(10)과, 솔레노이드(80)에 의해 구동되는 밸브체(51), 및 토출 포트(12)와 제어 포트(14) 사이에 마련되고 밸브체(51)가 접촉 가능한 주밸브 시트(10a)에 의해 구성되는 주밸브(50)와, 감압실(感壓室)(40)에 배치되는 감압체(感壓體)(60)와 함께 감압(感壓) 밸브(53)를 구성하는 감압(感壓) 밸브 부재(52)를 구비하고, 감압 밸브(53)의 개폐에 의해 제어 포트(14)와 흡입 포트(13)를 중간 연통로(55)에 의해 연통 가능한 용량 제어 밸브(V)로서, 감압 밸브 부재(52)에는, 중간 연통로(55)와 연통하는 관통 구멍(52d)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감압 밸브 부재(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여 관통 구멍(52d)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밸브체(90)가 마련되고,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외경측에는, 슬라이드 밸브체(90)를 열림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 수단(91)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용량 제어 밸브
본 발명은, 작동 유체의 용량을 가변 제어하는 용량 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토출량을 압력에 따라 제어하는 용량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공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는,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 사판, 사판에 연결된 압축용 피스톤 등을 구비하고, 사판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피스톤의 스트로크량을 변화시켜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이 사판의 경사 각도는, 전자력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용량 제어 밸브를 사용하여,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실의 흡입 압력(Ps), 피스톤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실의 토출 압력(Pd), 사판을 수용한 제어실의 제어 압력(Pc)을 이용하면서, 제어실 내의 압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연속 구동시에 있어서, 용량 제어 밸브는, 제어 컴퓨터에 의해 통전 제어되어, 솔레노이드에서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밸브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토출 압력(Pd)의 토출 유체가 통과하는 토출 포트와 제어 압력(Pc)의 제어 유체가 통과하는 제어 포트 사이에 마련되는 주밸브를 개폐하여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제어실의 제어 압력(Pc)을 조정하는 통상 제어를 행하고 있다.
용량 제어 밸브의 통상 제어시에 있어서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제어실의 압력이 적절히 제어되어, 회전축에 대한 사판의 경사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피스톤의 스트로크량을 변화시켜 토출실에 대한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여, 공조 시스템이 목표의 냉각 능력이 되도록 조정하고 있다. 또한, 용량 가변형 압축기를 최대 용량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용량 제어 밸브의 주밸브를 폐색하여 제어실의 압력을 낮게 함으로써,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대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용량 제어 밸브의 제어 포트와 흡입 포트 사이를 연통시키는 보조 연통로를 형성하여, 기동시에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제어실의 냉매를 제어 포트, 보조 연통로, 흡입 포트를 통하여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흡입실로 배출하도록 하고, 기동시에 제어실의 압력을 신속하게 저하시킴으로써,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특허공보 제5167121호(7페이지, 도 2)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기동시에 유체 배출 기능이 우수하지만,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연속 구동시에 있어서, 보조 연통로가 연통하고 있어 제어 포트로부터 흡입 포트로 냉매가 유입되는 점에서, 냉매 순환량이 많아,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운전 효율이 떨어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동시의 유체 배출 기능을 가지면서 운전 효율이 좋은 용량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용량 제어 밸브는,
토출 압력의 토출 유체가 통과하는 토출 포트, 흡입 압력의 흡입 유체가 통과하는 흡입 포트 및 제어 압력의 제어 유체가 통과하는 제어 포트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밸브체, 및 상기 토출 포트와 상기 제어 포트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밸브체가 접촉 가능한 주밸브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주밸브와,
감압실(感壓室)에 배치되는 감압체(感壓體)와,
상기 밸브체로부터 상기 감압실로 연장되어 상기 감압체와 함께 감압(感壓) 밸브를 구성하는 감압(感壓) 밸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 중간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압 밸브의 개폐에 의해 상기 제어 포트와 상기 흡입 포트를 상기 중간 연통로에 의해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용량 제어 밸브로서,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는, 상기 중간 연통로와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관통 구멍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밸브체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의 외경측에는,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를 열림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기동시 및 최대 통전 상태에서 주밸브가 닫혔을 때에 있어서 슬라이드 밸브체를 부세 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확실하게 슬라이드시켜 관통 구멍을 개방하여 제어 포트와 흡입 포트를 연통시킴으로써, 제어 압력을 빠르게 낮출 수 있다. 한편, 통전 상태에서 주밸브를 제어할 때에 있어서 슬라이드 밸브체를 주밸브의 개방에 의해 흐르는 유체에 의해 슬라이드시켜 관통 구멍을 폐색하여 제어 포트와 흡입 포트의 연통을 차단시킴으로써, 제어 포트로부터 흡입 포트로의 유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기동시의 액냉매의 배출 및 운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부세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와, 상기 감압 밸브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보다도 선단측에 형성되는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부세 수단과 감압 밸브 부재의 관통 구멍을 지름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밸브체와 감압 밸브 부재의 축방향 길이를 각각 짧게 할 수 있어, 용량 제어 밸브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세 수단은, 상기 감압실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부세 수단에 대하여 슬라이드 밸브체에 의한 관통 구멍의 개폐에 수반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영향이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세 수단의 응답성이 좋다.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는, 내주면이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감압 밸브 부재에 대한 슬라이드 밸브체의 슬라이딩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슬라이드 밸브체의 내주면과 감압 밸브 부재의 외주면 사이의 미소 극간을 통하여 중간 연통로로 누설되는 유체의 양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운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에는, 상기 주밸브측으로 향하는 수용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슬라이드 밸브체가 주밸브의 개방에 의해 흐르는 유체에 의해 작동하기 쉽다.
상기 수용면은, 상기 밸브체의 왕복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주밸브의 개방에 의해 토출 포트로부터 제어 포트를 향하여 유체가 흐르기 쉽다.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는, 상기 관통 구멍을 폐색한 상태에서 스트로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슬라이드 밸브체가 소정 거리 이상 슬라이드할 때까지 관통 구멍은 폐색한 상태이기 때문에, 진동 등의 외란에 의해 슬라이드 밸브체가 근소하게 슬라이드해도 관통 구멍은 폐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량 제어 밸브는 외란에 강하고 제어 정밀도가 우수하다.
상기 밸브체와 상기 감압 밸브 부재는 별체이며,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의 상기 주밸브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간소한 구조로 슬라이드 밸브체의 슬라이드를 규제할 수 있다.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넓은 유로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용량 제어 밸브가 조입되는 사판식 용량 가변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용량 제어 밸브의 비통전 상태에 있어서 주밸브가 개방되고, 슬라이드 밸브체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의 관통 구멍이 폐색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용량 제어 밸브의 비통전 상태에 있어서 주밸브가 개방되고, 슬라이드 밸브체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의 관통 구멍이 폐색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 2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용량 제어 밸브의 통전 상태에 있어서 주밸브가 폐색되고, 슬라이드 밸브체가 이동하여 감압 밸브 부재의 관통 구멍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용량 제어 밸브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제어 밸브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에 따른 용량 제어 밸브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2의 정면측으로부터 보아 좌우측을 용량 제어 밸브의 좌우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세하게는, 감압체(60)가 배치되는 지면(紙面) 좌측을 용량 제어 밸브의 좌측, 솔레노이드(80)가 배치되는 지면 우측을 용량 제어 밸브의 우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량 제어 밸브(V)는, 자동차 등의 공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M)에 조입되어, 냉매인 작동 유체(이하, 단순히 「유체」라고 표기함.)의 압력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토출량을 제어하여 공조 시스템을 목표의 냉각 능력이 되도록 조정하고 있다.
우선, 용량 가변형 압축기(M)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용량 가변형 압축기(M)는, 토출실(2)과, 흡입실(3)과, 제어실(4)과, 복수의 실린더(4a)를 구비하는 케이싱(1)을 갖고 있다. 또한, 용량 가변형 압축기(M)에는, 제어실(4)과 흡입실(3)을 직접 연통하는 도시하지 않는 연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이 연통로에는 흡입실(3)과 제어실(4)의 압력을 평형 조정시키기 위한 고정 오리피스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용량 가변형 압축기(M)는, 케이싱(1)의 외부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는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5)과, 제어실(4) 내에 있어서 회전축(5)에 대하여 힌지 기구(8)에 의해 경사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판(6)과, 사판(6)에 연결되어 각각의 실린더(4a) 내에 있어서 왕복동이 자유롭게 감합된 복수의 피스톤(7)을 구비하고, 전자력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용량 제어 밸브(V)를 사용하여,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실(3)의 흡입 압력(Ps), 피스톤(7)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실(2)의 토출 압력(Pd), 사판(6)을 수용한 제어실(4)의 제어 압력(Pc)을 이용하면서, 제어실(4) 내의 압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사판(6)의 경사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피스톤(7)의 스트로크량을 변화시켜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있어서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M)에 조입되는 용량 제어 밸브(V)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실(4) 내의 제어 압력(Pc)이 고압일수록, 회전축(5)에 대한 사판(6)의 경사 각도는 작아져 피스톤(7)의 스트로크량이 감소하지만, 일정 이상의 압력이 되면, 회전축(5)에 대하여 사판(6)이 대략 수직 상태, 즉, 수직보다 근소하게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때, 피스톤(7)의 스트로크량은 최소가 되어, 피스톤(7)에 의한 실린더(4a) 내의 유체에 대한 가압이 최소가 됨으로써, 토출실(2)로의 유체의 토출량이 감소하여, 공조 시스템의 냉각 능력은 최소가 된다. 한편으로, 제어실(4) 내의 제어 압력(Pc)이 저압일수록, 회전축(5)에 대한 사판(6)의 경사 각도가 커져 피스톤(7)의 스트로크량이 증가하지만, 일정 이하의 압력이 되면, 회전축(5)에 대하여 사판(6)이 최대 경사 각도가 된다. 이때, 피스톤(7)의 스트로크량은 최대가 되어, 피스톤(7)에 의한 실린더(4a) 내의 유체에 대한 가압이 최대가 됨으로써, 토출실(2)로의 유체의 토출량이 증가하여, 공조 시스템의 냉각 능력이 최대가 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용량 가변형 압축기(M)에 조입되는 용량 제어 밸브(V)는, 솔레노이드(80)를 구성하는 코일(86)에 통전하는 전류를 조정하여, 용량 제어 밸브(V)에 있어서의 주밸브(50), 부밸브(54)의 개폐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흡입 압력(Ps)에 의해 감압 밸브(53)의 개폐 제어를 행하여, 제어실(4) 내로 유입되는, 또는 제어실(4)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제어함으로써 제어실(4) 내의 제어 압력(Pc)을 가변 제어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밸브(50)는, 밸브체로서의 주부(主副) 밸브체(51)와 밸브 하우징(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경측으로 돌출되는, 단면에서 보았을 경우 등각(等脚) 사다리꼴 형상의 환상(環狀) 볼록부(10c)에 형성된 주밸브 시트(10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주부 밸브체(51)의 축방향 좌단(51a)이 주밸브 시트(10a)와 접리(接離)함으로써, 주밸브(50)가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부밸브(54)는, 주부 밸브체(51)와 고정 철심(82)의 개구단면, 즉 고정 철심(82)의 축방향 좌단면에 형성되는 부밸브 시트(82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주부 밸브체(51)의 축방향 우측의 단부(段部; 51b)가 부밸브 시트(82a)와 접리함으로써, 부밸브(54)가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감압 밸브(53)는, 감압체(60)의 어댑터(70)와 감압 밸브 부재(52)의 축방향 좌단에 형성되는 감압(感壓) 밸브 시트(52a)로 구성되어 있고, 어댑터(70)의 축방향 우단(70a)은 감압 밸브 시트(52a)와 접리함으로써, 감압 밸브(53)가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용량 제어 밸브(V)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용량 제어 밸브(V)는,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밸브 하우징(10)과, 밸브 하우징(10) 내에 축방향으로 왕복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주부 밸브체(51), 감압 밸브 부재(52)와, 흡입 압력(Ps)에 따라 주부 밸브체(51), 감압 밸브 부재(52)에 축방향 오른쪽으로의 부세력을 부여하는 감압체(60)와, 밸브 하우징(10)에 접속되어 주부 밸브체(51), 감압 밸브 부재(52)에 구동력을 미치게 하는 솔레노이드(80)와, 주밸브(50)의 개방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왕복동이 자유롭게 마련되는 슬라이드 밸브체(9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밸브체(90)는, 그 왕복 이동에 의해 흡입 압력(Ps)이 되는 부밸브실(30)과 제어 압력(Pc)이 되는 감압실(4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기 때문에, 감압 밸브 부재(52)와 함께 제어실(4)의 제어 압력(Pc)을 후술하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 및 중간 연통로(55)를 통하여 흡입실(3)로 신속하게 릴리스하는 CS 밸브를 구성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80)는, 축방향 왼쪽으로 개방하는 개구부(81a)를 갖는 케이싱(81)과, 케이싱(81)의 개구부(81a)에 대하여 축방향 왼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케이싱(81)의 내경측에 고정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고정 철심(82)과, 고정 철심(82)의 내경측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왕복동이 자유로운, 또한 그 축방향 좌단부가 주부 밸브체(51)와 접속 고정되는 구동 로드(83)와, 구동 로드(83)의 축방향 우단부에 고착되는 가동 철심(84)과, 고정 철심(82)과 가동 철심(84) 사이에 마련되어 가동 철심(84)을 축방향 오른쪽으로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85)과, 고정 철심(82)의 외측에 보빈을 개재하여 감긴 여자용의 코일(86)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81)에는, 축방향 좌단의 내경측이 축방향 오른쪽으로 오목한 오목부(81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81b)에 대하여 밸브 하우징(10)의 축방향 우단부가 대략 밀봉 형상으로 감삽(嵌揷)·고정되어 있다.
고정 철심(82)은, 철이나 규소강 등의 자성 재료인 강체로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 로드(83)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82c)이 형성되는 원통부(82b)와, 원통부(82b)의 축방향 좌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플랜지부(82d)를 구비하고, 원통부(82b)의 축방향 좌단의 내경측이 축방향 오른쪽으로 오목한 오목부(82e)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10)에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토출실(2)과 연통하는 토출 포트로서의 Pd 포트(12)와,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흡입실(3)과 연통하는 흡입 포트로서의 Ps 포트(13)와,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제어실(4)과 연통하는 제어 포트로서의 Pc 포트(14)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10)은, 그 축방향 좌단부에 구분 조정 부재(11)가 대략 밀봉 형상으로 압입됨으로써 바닥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구분 조정 부재(11)는, 밸브 하우징(10)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감압체(60)의 부세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는, Pd 포트(12)와 연통되고 주부 밸브체(51)의 축방향 좌단(51a)측이 배치되는 주밸브실(20)과, Ps 포트(13)와 연통되고 주부 밸브체(51)의 배압측, 즉 주부 밸브체(51)의 축방향 우측의 단부(51b)가 배치되는 부밸브실(30)과, Pc 포트(14)와 연통되고 감압 밸브 부재(52), 슬라이드 밸브체(90) 및 감압체(60)가 배치되는 감압실(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주부 밸브체(51) 및 이 주부 밸브체(51)에 감삽·고정된 감압 밸브 부재(52)가 축방향으로 왕복동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밸브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축방향 우단부에 주부 밸브체(51)의 외주면이 대략 밀봉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한 소경의 가이드 구멍(1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 있어서, 주밸브실(20)과 부밸브실(30)은, 주부 밸브체(51)의 외주면과 가이드 구멍(10b)의 내주면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10b)의 내주면과 주부 밸브체(51)의 외주면 사이는, 지름 방향으로 근소하게 이간함으로써 미소한 극간이 형성되어 있고, 주부 밸브체(51)는, 밸브 하우징(1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감압체(60)는, 코일 스프링(62)이 내장되는 벨로우즈 코어(61)와, 벨로우즈 코어(61)의 축방향 우단부에 마련되는 어댑터(70)로 주로 구성되고, 벨로우즈 코어(61)의 축방향 좌단은, 구분 조정 부재(1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감압체(60)는, 감압실(40) 내에 배치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62)과 벨로우즈 코어(61)에 의해 어댑터(70)를 축방향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부세력에 의해 어댑터(70)의 축방향 우단(70a)을 감압 밸브 부재(52)의 감압 밸브 시트(52a)에 착좌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70)는, 중간 연통로(55)에 있어서의 흡입 압력(Ps)에 따라 축방향 왼쪽으로의 힘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주부 밸브체(5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축방향 좌단부에는, 플랜지 부착 원통 형상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 대략 포대(砲臺) 형상으로 구성되는 별체의 감압 밸브 부재(52)가 대략 밀봉 형상으로 감삽·고정됨과 동시에, 그 축방향 우단부에는, 구동 로드(83)가 대략 밀봉 형상으로 감삽·고정되어 있어, 이들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주부 밸브체(5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상의 홈의 래버린스 효과에 의해, 주밸브실(20)로부터 부밸브실(30)로의 유체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토출실(2)로부터 Pd 포트(12)를 통하여 주밸브실(20)에 공급되는 토출 유체의 토출 압력(Pd)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주부 밸브체(51) 및 감압 밸브 부재(52)의 내부에는, 중공 구멍이 접속됨으로써 축방향에 걸쳐 관통하는 중간 연통로(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연통로(55)는, 주부 밸브체(51)의 축방향 우단부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51c)을 통하여 부밸브실(30)과 연통하고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감압 밸브 부재(52)는, 그 축방향 우단부가 주부 밸브체(51)와 대략 밀봉 형상으로 감삽·고정되고 슬라이드 밸브체(90)가 외감(外嵌)되는 원통 형상의 기부(52b)와, 기부(52b)의 축방향 좌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어댑터(70)의 축방향 우단(70a)과 접리하는 감압 밸브 시트(52a)가 형성되는 지지부로서의 플랜지부(52c)를 갖는 플랜지 부착 원통 형상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 대략 포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52b)의 축방향 좌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중간 연통로(55)와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52d)이 마련된다.
도 2~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밸브체(90)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기부(52b)에 외감되는 원통 형상의 기부(90a)와, 기부(90a)의 축방향 대략 중앙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90b)를 갖는 플랜지 부착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외경측에 마련되는 부세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91)에 의해 축방향 오른쪽을 향하여 부세되어 있다.
플랜지부(90b)의 축방향 우측의 측면은, 주밸브(50)가 형성되는 축방향 오른쪽을 향하고, 주부 밸브체(51) 및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왕복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수용면(90c)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용면(90c)은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 직선 형상의 경사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 곡선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는, 그 내측, 즉 기부(90a)의 내주면이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90a)의 내주면과 감압 밸브 부재(52)의 기부(52b)의 외주면 사이는, 지름 방향으로 근소하게 이간함으로써 미소한 극간이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드 밸브체(90)는, 감압 밸브 부재(5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축방향 우단, 즉 기부(90a)의 축방향 우단에는, 슬라이드 밸브체(90)가 축방향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의 개방시(도 4 참조)에 있어서, 주부 밸브체(51)의 축방향 좌단의 내경측에 형성되는 스토퍼부(51d)와 맞닿는 단면부(90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축방향 좌단, 즉 기부(90a)의 축방향 좌단에는, 슬라이드 밸브체(90)가 축방향 왼쪽으로 이동하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의 폐색시(도 2 및 도 3 참조)에 있어서, 감압 밸브 부재(52)의 플랜지부(52c)의 축방향 우측의 측면(52e)에 맞닿음 가능한 단면부(90e)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밸브체(90)의 기부(90a)의 축방향 좌단부에 의한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의 개방시 및 폐색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축방향 위치가 정해져 있다.
또한,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은, 플랜지부(52c)의 축방향 우측의 측면(52e)보다도 축방향 우측에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 밸브체(90)의 기부(90a)의 축방향 좌단에 형성되는 단면부(90e)가 감압 밸브 부재(52)의 플랜지부(52c)의 측면(52e)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관통 구멍(52d)의 축방향 좌측의 개구단의 축방향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의 동안, 슬라이드 밸브체(90)의 기부(90a)의 축방향 좌단부가 관통 구멍(52d)에 지름 방향으로 중첩하여 관통 구멍(52d)이 폐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91)의 축방향 좌단은, 감압 밸브 부재(52)의 플랜지부(52c)의 축방향 우측의 측면(52e)에 맞닿고, 코일 스프링(91)의 축방향 우단은, 감압 밸브 부재(52)의 기부(52b)에 외감되는 슬라이드 밸브체(90)의 플랜지부(90b)의 축방향 좌측의 측면(90f)에 맞닿아 있고, 슬라이드 밸브체(90)를 주부 밸브체(51)의 스토퍼부(51d)로 향하여 축방향 오른쪽으로 부세하고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91)은 압축 스프링이며, 그 내주는 슬라이드 밸브체(90)의 기부(90a)의 외주면과는 지름 방향으로 근소하게 이간하고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91)은, 그 내주가 슬라이드 밸브체(90)의 기부(90a)의 외주면으로 가이드되어도 좋다.
이어서, 용량 제어 밸브(V)의 동작, 주로 슬라이드 밸브체(90)에 의한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의 개폐 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기동시, 통상 제어시의 순으로 설명한다.
우선, 기동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량 가변형 압축기(M)를 사용하지 않고 장시간 방치한 후에는, 토출 압력(Pd), 제어 압력(Pc), 흡입 압력(Ps)은 대략 균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지만, 용량 가변형 압축기(M)가 정지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됨으로써 제어실(4)에서 고압이 된 유체가 액화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때, 중간 연통로(55) 내에 있어서의 높은 흡입 압력(Ps)에 의해, 감압체(60)가 수축하여 어댑터(70)의 축방향 우단(70a)을 감압 밸브 부재(52)의 감압 밸브 시트(52a)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작동함으로써, 감압 밸브(53)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기동시에 있어서 흡입 압력(Ps)이 높은 경우에는, 감압 밸브(53)를 개방시킴으로써, 제어실(4)의 액냉매를 중간 연통로(55)를 통하여 흡입실(3)로 단시간에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용량 제어 밸브(V)는, 비통전 상태에 있어서, 가동 철심(84)이 솔레노이드(80)를 구성하는 코일 스프링(85)의 부세력이나 감압체(60)를 구성하는 코일 스프링(62)과 벨로우즈 코어(61)의 부세력에 의해 축방향 오른쪽으로 압압됨으로써, 구동 로드(83), 주부 밸브체(51), 감압 밸브 부재(52)가 축방향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주부 밸브체(51)의 축방향 우측의 단부(51b)가 고정 철심(82)의 부밸브 시트(82a)에 착좌하여 부밸브(54)가 폐색됨과 동시에, 주부 밸브체(51)의 축방향 좌단(51a)이 밸브 하우징(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주밸브 시트(10a)로부터 이간하여, 주밸브(50)가 개방되어 있다(도 2 참조). 이때, 슬라이드 밸브체(90)는, 축방향 왼쪽으로 위치하여,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은 폐색되어 있다.
용량 가변형 압축기(M)를 기동함과 동시에 용량 제어 밸브(V)를 통전 상태로 함으로써, 솔레노이드(80)에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가동 철심(84)이 고정 철심(82)으로 향하여 축방향 좌측으로 끌어당겨져, 가동 철심(84)에 고정된 구동 로드(83), 주부 밸브체(51), 감압 밸브 부재(52)가 축방향 왼쪽으로 함께 이동하여, 감압체(60)가 축방향 왼쪽으로 압압되어 수축함으로써, 주부 밸브체(51)의 축방향 우측의 단부(51b)가 부밸브 시트(82a)로부터 이간하여 부밸브(54)가 개방됨과 동시에, 주부 밸브체(51)의 축방향 좌단(51a)이 주밸브 시트(10a)에 착좌하여, 주밸브(50)가 폐색된다(도 4 참조). 이때, 슬라이드 밸브체(90)는, 코일 스프링(91)의 부세력에 의해 확실하게 축방향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은 개방된다.
이와 같이, 기동시에 있어서, 슬라이드 밸브체(90)가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을 개방하고 있을 때에는, 관통 구멍(52d)을 통하여 감압실(40)은 중간 연통로(55)와 연통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도 4에 있어서 실선 화살표로 도시). 즉, 슬라이드 밸브체(90)가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을 개방시킴으로써, 제어실(4), Pc 포트(14), 감압실(40), 관통 구멍(52d), 중간 연통로(55), 부밸브실(30), Ps 포트(13), 흡입실(3)의 순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어실(4)의 액화된 유체를 단시간에 배출하여 기동시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는, 기동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 압력(Ps)에 의해 감압 밸브(53)가 개방하지 않는 경우라도,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을 개방시킴으로써, 제어실(4)로부터 중간 연통로(55)를 통하여 흡입실(3)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상 제어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제어시에 있어서는, 용량 제어 밸브(V)의 듀티 제어에 의해, 주밸브(50)의 개도(開度)나 개방 시간을 조정하여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고 있다. 이때, 슬라이드 밸브체(90)는, 주밸브(50)의 개방에 의해 발생하는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의 흐름(도 3에 있어서 실선 화살표로 도시)을 수용면(90c)에서 수용함으로써, 슬라이드 밸브체(90)에 축방향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힘(도 3에 있어서 흰색 화살표로 도시)이 작용하여, 슬라이드 밸브체(90)는 코일 스프링(9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축방향 왼쪽으로 이동하여, 기부(90a)의 축방향 좌단부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이 폐색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통상 제어시에 있어서, 슬라이드 밸브체(90)가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이 폐색하고 있을 때에는, 제어실(4), Pc 포트(14), 감압실(40), 관통 구멍(52d), 중간 연통로(55), 부밸브실(30), Ps 포트(13), 흡입실(3)로의 유로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실(4)로부터 흡입실(3)로의 냉매 유출량이 감소함으로써,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운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용량 가변형 압축기(M)를 최대 용량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용량 제어 밸브(V)를 최대 듀티의 통전 상태로 함으로써, 주밸브(50)가 폐색되고, 슬라이드 밸브체(90)를 축방향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을 개방하여 Pc 포트(14)와 Ps 포트(13)를 연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압력(Pc)을 빠르게 저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어실(4)의 실린더(4a) 내에 있어서의 피스톤(7)을 신속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최대 용량의 상태를 유지하여 운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용량 제어 밸브(V)의 통상 제어시에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을 폐색하고, 기동시 및 최대 용량 운전시에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을 개방하도록 슬라이드 밸브체(90)를 이동시킴으로써,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운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91)은, 슬라이드 밸브체(90)의 플랜지부(90b)의 축방향 좌측의 측면(90f)과,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보다도 선단측, 즉 축방향 좌측에 형성되는 플랜지부(52c)의 축방향 우측의 측면(52e)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91)과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을 지름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밸브체(90)와 감압 밸브 부재(52)의 축방향 길이를 각각 짧게 할 수 있어, 용량 제어 밸브(V)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나는 용량 제어 밸브(V)의 변형예와 같이, 슬라이드 밸브체(190)의 플랜지부(190b)에 있어서의 축방향 길이와, 감압 밸브 부재(152)의 관통 구멍(152d)보다도 축방향 우측의 기부(152b)에 있어서의 축방향 길이를 각각 상기 실시예보다도 짧게 할 수 있고, 이에 수반하여 밸브 하우징(110)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 제어 밸브(V)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91)은, 감압실(40)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91)에 대하여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왕복 이동에 의한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의 개폐에 수반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영향이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91)의 응답성이 좋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는, 내주면이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내경이 축방향에 걸쳐 일정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감압 밸브 부재(52)의 기부(52b)의 외주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긴 범위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감압 밸브 부재(52)에 대한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슬라이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의 내주면과 감압 밸브 부재(52)의 기부(52b)의 외주면 사이의 미소 극간의 지름 방향 치수가 대략 일정하게 형성됨으로써, 당해 미소 극간을 통하여 중간 연통로(55)에 근소하게 누설되는 유체의 양을 보다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운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는, 내주면이 면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드 밸브체(90)의 내주면과 감압 밸브 부재(52)의 기부(52b)의 외주면 사이의 미소 극간에 진입한 유체의 압력이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미소 극간과 감압실(40) 사이에 차압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차압의 영향을 억제하여 슬라이드 밸브체(90)의 동작을 스무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의 내주면이 감압 밸브 부재(52)의 기부(52b)의 외주면과 축방향에 걸쳐 슬라이딩 가능하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긴 미소 극간을 통하여 중간 연통로(55)에 근소하게 누설되는 유체의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고, 특히 코일 스프링(91)의 부세력에 의한 슬라이드 밸브체(90)에 의한 관통 구멍(52d)의 개방 동작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
또한,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은, 지름 방향의 두께가 얇은 기부(52b)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관통 구멍(52d)의 지름 방향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감압실(40)로부터 관통 구멍(52d)을 통하여 중간 연통로(55)로 유체가 유입되기 쉬워져,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수용면(90c)은, 주밸브(50)가 형성되는 축방향 오른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용량 제어 밸브(V)의 비통전 상태에 있어서, 주밸브(50)의 개방에 의해 발생하는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의 흐름을 받아 슬라이드 밸브체(90)에 축방향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기 쉽게 되어 있어, 슬라이드 밸브체(90)가 작동하기 쉽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수용면(90c)은, 주부 밸브체(51) 및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왕복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용량 제어 밸브(V)의 비통전 상태에 있어서, 주밸브(50)의 개방에 의해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쉽다.
또한, 밸브 하우징(10) 내에 있어서, 슬라이드 밸브체(90)는, 기부(90a)의 축방향 우단부 및 플랜지부(90b)의 축방향 우측의 수용면(90c)에 의해 구성되는 외주면이, 주밸브(50)를 구성하는 주밸브 시트(10a)가 형성되는 환상 볼록부(10c)의 내주면을 따라 근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주밸브실(20)과 감압실(40) 사이에 비교적 폭이 좁은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주밸브(50)의 개방에 의해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의 흐름을 보다 발생시키기 쉽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수용면(90c)의 배면측, 즉 플랜지부(90b)의 축방향 좌측에는, 슬라이드 밸브체(90)를 축방향 오른쪽을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91)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조로 슬라이드 밸브체(90)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90)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플랜지부(52c)의 측면(52e)에 축방향 좌측의 단면부(90e)를 맞닿게 한 상태로부터 축방향 오른쪽으로 소정 거리 이상 슬라이드할 때까지 기부(90a)의 축방향 좌단부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이 폐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 등의 외란에 의해 슬라이드 밸브체(90)가 근소하게 슬라이드해도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이 폐색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용량 제어 밸브(V)는, 외란에 강하고, 제어 정밀도가 우수하다.
또한, 주부 밸브체(51)와 감압 밸브 부재(52)는 별체이며, 주부 밸브체(51)에는,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축방향 우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51d)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조로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은, 복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Pc 포트(14)로부터 흡입실(3)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 단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관통 구멍(52d)은 둘레 방향으로 등배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스트로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변경이나 추가가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밸브체는, 감압 밸브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왕복동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감압 밸브 부재에 대하여 회전 슬라이딩하면서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왕복동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부 밸브체와 감압 밸브 부재를 별체로 구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양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의 수용면은, 주부 밸브체 및 슬라이드 밸브체의 왕복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는, 내주면이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는, 어댑터(70)에 의해 왕복 이동이 가이드되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체는, 기부와 플랜지부가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감압 밸브 부재는, 기부와 지지부로서의 플랜지부가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제어실(4)과 흡입실(3)을 직접 연통하는 연통로 및 고정 오리피스는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부밸브(54)는 마련하지 않아도 좋고, 주부 밸브체(51)의 축방향 우측의 단부(51b)는, 축방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 부재로서 기능하면 좋고, 반드시 밀폐 기능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감압실(40)은 솔레노이드(80)가 마련되는 주밸브실(20)의 축방향 우측에 마련됨과 동시에 부밸브실(30)은 주밸브실(20)의 축방향 좌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코일 스프링(91)은, 압축 스프링에 한정하지 않고, 인장 스프링이라도 좋고, 코일 형상 이외의 스프링이라도 좋다.
또한, 코일 스프링(91)은, 감압실(40)에 면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감압체(60)는, 내부에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용량 제어 밸브(V)의 듀티 제어에 의해, 주밸브(50)의 개도나 개방 시간을 조정하여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여 슬라이드 밸브체(90)의 축방향 왼쪽으로의 이동량을 조정하고, 슬라이드 밸브체(90)의 기부(90a)의 축방향 좌단부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 구멍(52d)의 개도 조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Pc 포트(14)로부터 Ps 포트(13)로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1; 케이싱
2; 토출실
3; 흡입실
4; 제어실
10; 밸브 하우징
10a; 주밸브 시트
10c; 환상 볼록부
11; 구분 조정 부재
12; Pd 포트(토출 포트)
13; Ps 포트(흡입 포트)
14; Pc 포트(제어 포트)
20; 주밸브실
30; 부밸브실
40; 감압실
50; 주밸브
51; 주부 밸브체(밸브체)
51c; 관통 구멍
51d; 스토퍼부
52; 감압 밸브 부재
52a; 감압 밸브 시트
52b; 기부
52c; 플랜지부(지지부)
52d; 관통 구멍
52e; 측면
53; 감압 밸브
54; 부밸브
55; 중간 연통로
60; 감압체
70; 어댑터
70a; 축방향 우단
80; 솔레노이드
90; 슬라이드 밸브체
90a; 기부
90b; 플랜지부
90c; 수용면
90d; 단면부
90e; 단면부
90f; 측면
91; 코일 스프링(부세 수단)
110; 밸브 하우징
152; 감압 밸브 부재
152b; 기부
152d; 관통 구멍
190; 슬라이드 밸브체
190b; 플랜지부
M; 용량 가변형 압축기
V; 용량 제어 밸브

Claims (9)

  1. 토출 압력의 토출 유체가 통과하는 토출 포트, 흡입 압력의 흡입 유체가 통과하는 흡입 포트 및 제어 압력의 제어 유체가 통과하는 제어 포트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밸브체, 및 상기 토출 포트와 상기 제어 포트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밸브체가 접촉 가능한 주밸브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주밸브와,
    감압실(感壓室)에 배치되는 감압체(感壓體)와,
    상기 밸브체로부터 상기 감압실로 연장되어 상기 감압체와 함께 감압(感壓) 밸브를 구성하는 감압(感壓) 밸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 중간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압 밸브의 개폐에 의해 상기 제어 포트와 상기 흡입 포트를 상기 중간 연통로에 의해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용량 제어 밸브로서,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는, 상기 중간 연통로와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관통 구멍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밸브체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의 외경측에는,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를 열림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와, 상기 감압 밸브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보다도 선단측에 형성되는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수단은, 상기 감압실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는, 내주면이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에는, 상기 주밸브측으로 향하는 수용면이 형성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면은, 상기 밸브체의 왕복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용량 제어 밸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는, 상기 관통 구멍을 폐색한 상태에서 스트로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감압 밸브 부재는 별체이며,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밸브체의 상기 주밸브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 복수 형성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KR1020227038444A 2020-04-23 2021-04-15 용량 제어 밸브 KR20220159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76940 2020-04-23
JP2020076940 2020-04-23
PCT/JP2021/015598 WO2021215345A1 (ja) 2020-04-23 2021-04-15 容量制御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471A true KR20220159471A (ko) 2022-12-02

Family

ID=7826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444A KR20220159471A (ko) 2020-04-23 2021-04-15 용량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67814A1 (ko)
EP (1) EP4141259A4 (ko)
JP (1) JPWO2021215345A1 (ko)
KR (1) KR20220159471A (ko)
CN (1) CN115427684A (ko)
WO (1) WO202121534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7121B2 (ja) 2006-03-15 2013-03-2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2560B (zh) * 2016-08-29 2020-07-24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容量控制阀
JP7148549B2 (ja) * 2017-12-25 2022-10-0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CN111742141B (zh) * 2018-02-27 2022-05-10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容量控制阀
US11053933B2 (en) * 2018-12-13 2021-07-06 Eagle Industry Co., Ltd. Displacement control valve
US20230194007A1 (en) * 2020-05-25 2023-06-22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7121B2 (ja) 2006-03-15 2013-03-2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1259A4 (en) 2024-04-10
JPWO2021215345A1 (ko) 2021-10-28
WO2021215345A1 (ja) 2021-10-28
CN115427684A (zh) 2022-12-02
US20230167814A1 (en) 2023-06-01
EP4141259A1 (en)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9084B2 (ja) 容量制御弁
US11873805B2 (en) Capacity control valve
EP3822485B1 (en) Capacity control valve
JP7162995B2 (ja) 容量制御弁
US11555489B2 (en) Capacity control valve
US11401923B2 (en) Capacity control valve
EP3822482A1 (en) Capacity control valve
KR20230003564A (ko) 용량 제어 밸브
KR20220159471A (ko) 용량 제어 밸브
KR20210142187A (ko) 용량 제어 밸브
US20210285434A1 (en) Capacity control valve
EP3822483A1 (en) Capacity control valve
WO2021241478A1 (ja) 容量制御弁
KR102603184B1 (ko) 용량 제어 밸브
JP7423169B2 (ja) 容量制御弁
WO2020032089A1 (ja) 容量制御弁
KR20230051303A (ko) 밸브
KR20210136135A (ko) 용량 제어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