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423A -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423A
KR20220159423A KR1020227037095A KR20227037095A KR20220159423A KR 20220159423 A KR20220159423 A KR 20220159423A KR 1020227037095 A KR1020227037095 A KR 1020227037095A KR 20227037095 A KR20227037095 A KR 20227037095A KR 20220159423 A KR20220159423 A KR 20220159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g connection
connection system
power plug
high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 헬리게
발터 게어스틀
알버트 페르더러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22015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5Connecting locations formed by surface moun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6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 B61G5/1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for electric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강도의 전류 및/또는 높은 전압의 전송 및/또는 분배를 위한 적어도 2개의 전기적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들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적어도 각각 하나의 고출력 접점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절연체들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버스바를 내부 공간 내에 수용하고, 버스바는 적어도 2개의 고출력 접점들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절연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하나의 하우징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부터 연결 영역 내로 돌출되고, 연결 영역은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들의 수용을 위해 형성된다.

Description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들은 높은 전압과 높은 전류의 전송 및/또는 분배를 위해 필요하다. 특히, 이 경우 궤도 전용 차량들의 언더 플로어 영역들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주목되고, 특히 동력차와 동력 객화차를 서로 연결하는 것에 주목된다.
종래 기술에는, 차량들 사이에서 또는 견인형 모듈들을 구비한 차량들 사이에서 높은 전류 및/또는 전압이 전송 및/또는 분배 가능하도록 하는 해결책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들은 대개, 상응하는 접촉 요소들의 바람직하지 않으며 부분적으로 분리 불가능한 고정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의 특별한 단점은, 유지 보수 용이성의 결여, 시스템의 융통성 없는 구성,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마찬가지로 높은 중량 및 상당한 공간 요구량이다. 최근의 여객 수송 철도 교통에서의 높은 전류 요구량으로 인하여, 종래 기술로부터의 기존 해결책은 구식이며 비효율적이다. 그러나, 특히 예를 들어 궤도 전용 교통 영역에서와 같이 강한 응력이 가해지는 접촉 요소들에서는, 점점 더 까다로워지는 요건들로 인하여, 예를 들어 500A를 초과하고 수천 암페어에까지 이르는 높은 전류 강도 및 500V를 초과하고 수 킬로볼트에까지 이르는 전압으로 인한 전기적 침식 또는 전기적 부식의 증가를 통해 수리 및 유지 보수 요구가 발생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독일 특허상표청은 본 출원의 우선 출원에서 선행 기술 DE 41 35 391 C1호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전류 및/또는 전압의 전송 및/또는 분배를 위한 다목적의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대상을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 설명 내용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높은 강도의 전류 및/또는 높은 전압의 전송 및/또는 분배를 위한 적어도 2개의 전기적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들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절연체들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버스바를 내부 공간 내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적어도 각각 하나의 고출력 접점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절연체들과, 적어도 2개의 고출력 접점들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버스바가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절연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하나의 하우징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부터 연결 영역 내로 돌출되고, 연결 영역은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들의 수용을 위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적어도, 적어도 2개의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들을 위한 커플링부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상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분배기로서 형성된다.
특히,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Y자 분배기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T자 분배기로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H자 분배기로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고려 가능한 방식으로,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X자 분배기로서 형성된다.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라는 용어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는 단극 플러그 커넥터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들은 단극(single-pole)이라고도 불린다. 특히, 이러한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는 높은 강도의 전류 및/또는 높은 전압을 케이블 연결 하우징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높은 강도의 전류"는 100암페어를 초과하는 전류 강도를 의미한다. 특히, 이는 500암페어를 초과하는 전류 강도를 의미한다. 매우 특히, 이는 800암페어를 초과하는 전류 강도를 의미한다. 1,000암페어 이상의 전류 강도도 고려 가능하다.
"높은 전압"이라는 용어는 1킬로볼트를 초과하는 전압을 의미한다. 특히, 이는 10킬로볼트를 초과하는 전압을 의미한다. 매우 특히, 이는 15킬로볼트를 초과하는 전압을 의미한다. 25킬로볼트 이상의 전류 강도도 고려 가능하다.
"하우징 개구"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 내의 개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하우징 개구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주변을 둘러싼 외부 영역 내로 안내된다. 케이블 연결 하우징 주변을 둘러싼 외부 영역은 적어도 하우징 개구들의 주변부 내에서 연결 영역으로서 형성된다.
"연결 영역"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상술한 외부 영역을 의미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연결 영역은,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가, 하우징 개구 내에 위치하는 절연체에 접근되고, 이러한 연결 영역과 전기 전도식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를 연결 영역과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상응하는 지점에서 내부 공간을 매체 밀봉식으로 밀봉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은, 기본적으로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영역에 이러한 하우징이 맞물리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개선된 밀봉을 위하여, 상술한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 뿐만 아니라 그리고/또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연결 영역에는 밀봉부가 제공된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기본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하우징 상부 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하우징 상부 측면은 특히, 예를 들어 차량 또는 견인형 운송 요소의, 하우징 상부 측면에 대향된 지지 구조와 연결되는 하우징 벽부를 의미한다. 이 경우, 일 실시예는 좌측면으로부터 우측면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하우징 상부 측면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오목한 형상의 가장 높은 편향부가,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기본적으로 중심 배열된 종축을 따라 위치한다. 하우징 상부 측면의 오목한 형상의 가장 높은 편향부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기본적으로 중심 배열된 횡축을 따라 배향된다. 이상적으로, 하우징 상부 측면의 오목한 형상의 가장 높은 편향부는 기본적으로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중심점 영역에 배열된다. 중심점으로서는, 종축과 횡축의 교차점으로서 정의되는 점이 선택될 수 있다. 오목한 하우징 상부 측면은 우선, 외부 매체들, 특히 물, 오염물 및 먼지가 하우징 상부 측면으로부터 간단히 배출될 수 있거나 아래로 흘려 보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이, 케이블 연결 하우징과 지지 구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2개의 리세스들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리세스들은 예를 들어 볼트들, 핀들, 나사들, 나사형 핀들 또는 이와 비교 가능한 연결 요소들을 자신들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리세스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외부 측면을 따르는 홈으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이러한 홈은, 연결 요소가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 가능한 외부를 향한 개구를 홈이 포함하는 방식으로 윤곽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리세스들은 볼트들, 핀들, 나사들, 나사형 핀들 또는 이와 비교 가능한 연결 요소들이 자신들을 통과하도록 하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리세스는 예를 들어 관통 보어로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리세스는 막힘 구멍형 보어로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리세스는 슬롯으로서 형성된다.
지지 구조는 예를 들어 궤도 전용 차량의 바닥 패널을 의미한다. 지지 구조의 추가의 일 예시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과의 연결을 위해 구성되는 강철 지지부이다. 또한, 지지 구조는 다른 하중 지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지지 구조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열전도 계수를 갖는 지지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바람직한 열전도 계수"는 높은 열전도성을 의미한다.
유용한 일 실시예에서, 리세스들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 외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 내부에 각각 배열된다.
이 경우, 연장부는 예를 들어, 케이블 연결 하우징에 부착된 판금부를 의미한다. 특히, 연장부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기본 형상을 넘어 돌출된다. 연장부들을 갖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부 측면을 갖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적으로, 하우징 상부 측면은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하우징 상부 측면은 마주놓인 2개의 측면들에,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체결을 위한 각각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구비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다각형의 기본 형상 및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의 하우징 상부 측면을 갖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러한 하우징 상부 측면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다각형 기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넘어 돌출되고, 리세스는 이러한 형태로 형성된 이러한 돌출 연장부 내에 배열된다.
유리한 일 실시예는, 내부 공간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절연 쉘 및 하나의 제2 절연 쉘을 포함하고, 제1 절연 쉘 및 제2 절연 쉘이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따라 중첩되는 것을 제공한다.
절연 쉘은, 비전도성 재료, 특히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성형 요소를 의미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절연 쉘의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의 밑면을 기반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절연 쉘의 밑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밑면은 대안적으로 원형 밑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연 쉘은 중공 원통형 형상을 취한다.
밑면의 주변 측면들에는 적어도 대략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측벽들이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 경우 기본적으로 절연 쉘들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측벽들에서 중첩된다. 이상적으로, 이 경우 제1 절연 쉘 및 제2 절연 쉘의 밑면들은 대략 서로 일치하고 그리고/또는 대응하는 절연 쉘의 두께만큼만 밑면에서 상이함이 나타난다. 이는, 예를 들어 제1 절연 쉘이 제2 절연 쉘보다 더 큰 밑면을 갖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적용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1 절연 쉘과 제2 절연 쉘의 밑면들의 차이는, 제1 절연 쉘이 제2 절연 쉘을 자신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만든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절연 쉘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제2 절연 쉘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거울 반전된 상태로 제1 절연 쉘 내로 삽입되므로, 기본적으로 제1 절연 쉘과 제2 절연 쉘 사이에 공간이 봉입된다. 유리하게도, 이러한 치수 형성 및/또는 배열을 통해서는, 절연 쉘들이 측벽들 서로간의 중첩을 구현시키고, 이에 따라 필요한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의 바람직한 증가를 구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리한 일 실시예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이 연결 영역의 매체 밀봉식 폐쇄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폐쇄 캡을 수용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폐쇄 캡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는 캡 또는 커버를 의미한다. 또한, 폐쇄 캡은 연결 영역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캡 또는 커버를 의미하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개구는 밀봉된다. 이상적으로, 폐쇄 캡은, 연결 영역 내로 삽입되고 연결 영역 내에 고정되도록 성형된다. 본 발명에 따라, 폐쇄 캡의 고정은 적어도, 물에 대한 불투과성 및/또는 먼지에 대한 불투과성을 구현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도, 밀봉 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폐쇄 캡 및/또는 연결 영역에는 밀봉 요소가 제공된다.
추가 개발된 일 실시예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이 내부 공간의 매체 밀봉식 폐쇄를 위한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도, 하우징 커버는 하우징 하부 측면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라, 케이블 연결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의 연결은, 적어도 물 및/또는 먼지 및 오염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밀봉한다. 하우징 커버의 사용을 통하여, 유지 보수 접근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커버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으로부터 하우징 커버를 분리하기 위해 특수 공구를 필요로 하는 연결 요소를 제공하게 된다. 폐쇄 메커니즘의 사용도 고려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본적인 외부 조작 방지가 구현된다. 외부 조작 방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하우징 커버가 하우징 상부 측면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결과적으로 하우징 커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유리하게도, 하우징 커버와 그리고/또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대응 부분에는 외부 매체들에 대한 밀봉 효과를 개선시키기 위해 밀봉 요소가 제공된다.
유용한 일 실시예는, 하우징 커버가 폐쇄 캡의 수용을 위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 경우, 폐쇄 캡의 접근 가능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그리고 공간 절감을 위해, 하우징 커버가 하우징 하부 측면에 배열되는 것이 유용하다. 이 경우, 폐쇄 캡은 연결 요소에 의해 하우징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이 분배기로서 형성될 때 특히 유리하다. 예를 들어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Y자 분배기로서 형성되면,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간단한 방식으로 여러 목적을 달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사용 시에는, 적어도 3개의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들이 케이블 연결 하우징과 연결될 수 있음으로써, Y자 분배기로서 형성된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분배기로서 사용된다. 대안적인 사용 시에는, Y자 분배기로서 형성된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연결부로서 사용된다. 이를 위해, 2개의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들이 케이블 연결 하우징과 연결되고,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세번째 연결 영역이 폐쇄 캡에 의해 밀봉된다.
특히 안전 지향적인 일 실시예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에는 적어도 하우징 상부 측면에서 적어도 2개의 기본적으로 평평한 접촉면들이 제공되는 것을 제안한다. 유리하게도, 하우징 상부 측면의 연장부들은 평평한 접촉면들로서 형성된다. 이상적으로, 이러한 접촉면들은 마찬가지로 평평한 면들과 연결되고, 이러한 평평한 면들에서 나사들과 같은 연결 요소들 또는 이와 유사한 연결 요소들을 통해 체결된다. 안전과 관련하여, 이러한 면들과 접촉면들을 미처리 상태로 서로 연결하는 것이 제안된다. 전도성 부식 방지 물질과의 연결도 고려 가능하다. 이를 통해, 추가의 접지 도체를 요구하는 일 없이 접지가 가능해진다. 테스트들로부터는, 예를 들어 M8 나사 또는 그 이상의 나사로서 형성되는 3개의 나사 연결부들만으로도 150A의 접지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부식된 나사 연결부들을 보상하기 위하여, 용장성이 제공되는 안전 수단을 위한 접촉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접촉면들은 열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열 전달을 통해서는, 더 적은 구조 공간이 냉각면으로서 케이블 연결 하우징에 할당되면 되기 때문에 특히 컴팩트한 구조 형상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는, 접촉면들이 적어도, 기본적으로 케이블 연결 하우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들에 의해 그리고 하우징 상부 측면의 오목한 편향부의 가장 높은 점을 통해 형성되는 평면의 높이에 도달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접촉면들이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편향부의, 케이블 연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한 최대 편향부와 동일한 높이에 도달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접촉면들은 오목하게 형성된 하우징 상부 측면의 최대 편향부를 넘어 돌출된다. 이를 통해,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특히 케이블 연결 하우징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세척이 개선되고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을 수용하는 지지 구조와 오목한 하우징 표면 사이에서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촉진되는 간극 형성은 개선된 공기 순환을 발생시킨다. 다시금, 이러한 공기 순환은 바람직한 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냉각 효과를 통해서는, 더 적은 구조 공간이 냉각면으로서 케이블 연결 하우징에 할당되면 되기 때문에 컴팩트한 구조 형상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 개발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하부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적으로 평평한 접촉면이 제공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접촉면은 접지 도체의 연결을 위해 형성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접지 도체로서 구리 스트립들이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접지 도체들은 차폐 전송을 위한 추가적인 안전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접지 도체들은 하우징 상부 측면의 평평한 접촉면들의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 상부 측면이 적어도 하나의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의 기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하우징 하부 측면이 적어도 하나의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의 기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의 기본 형상 및 그에 배열된 기본적으로 사다리꼴형의 기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하부 측면을 갖는, 추가 개발된 일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생성된 다각형 기본 형상은 특히,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을 분배기로서 사용하는데에 적합하다. 특히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Y자 분배기로서 사용될 때, 기본 형상이 다각형으로서 형성되는 것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부피와 관련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이 경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일 실시예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열변색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또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티커 형태의 열변색 요소가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페인트 형태의 열변색 요소가 사용된다. 매우 특히, 열변색 요소를 보호용 또는 밀봉용 페인트 층 하부에서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 상에 중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기 에러 감지 및 개선된 유지 보수를 위하여, 이 경우 비가역적인 색상 변화를 갖는 열변색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언젠가 과부하가 가해졌었던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유지 보수 작업 시에 바로 식별될 수 있다. 유리한 일 개선예에서, 열변색 요소에는 전기식 및/또는 전자기식 신호 발생기가 할당된다. 이 경우, 신호 발생기는 특히 RFID 트랜스폰더로서 형성된다. RFID 트랜스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달되는 데이터를 비가역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그에 도입되는 요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열감응성 요소가 트랜스폰더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RFID 트랜스폰더가 열감응성 요소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너무 높은 온도를 통해 열감응성 요소가 활성화되고 그리고/또는 파괴되는 즉시, RFID 트랜스폰더의 신호가 변화되므로, 기능 장애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2개의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들로 구성된 전류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들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운송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를 자신들 사이에 수용한다.
이러한 경우, 전류 전송 시스템은 즉,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2개의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들의 사용을 의미한다. 특히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진 차량 시스템의 일부, 예를 들어 굴절식 버스, 특히 굴절식 버스로서의 트롤리 버스가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로서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세그먼트는 궤도 전용 차량의 객화차 및/또는 차량 연결체를 의미한다.
전류 전송 시스템의 추가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의 제1 단부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대략 세그먼트의 중심 영역에 할당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전류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전류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의 제1 단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에, 안전 기술상의 용장성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으로 구조상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4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할당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전류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의 제2 단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에, 안전 기술상의 용장성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으로 구조상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5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할당되는 것을 제안한다. 환언하면, 철도 객화차로서 형성되는 세그먼트에서는, 전류 전송 시스템에 따라 세그먼트의 제1 단부에 제1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및 제4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위치한다. 세그먼트의 제1 단부 반대편의 제2 단부에는 적어도 제3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및 제5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위치 설정된다. 적어도 제2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영역 내에서 세그먼트와 연결된다. 많은 경우들에서, 적어도 제2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을 단순한 라인 커넥터로서 사용하거나 심지어 생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안전 기술상의 용장성"은,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를 위하여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이, 사용되는 여타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의 전송될 전력을 수용하고, 대응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은, 사용되는 추가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의 임무를 적어도 단기적으로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속성은 특히 궤도 전용 교통에서 요구되는데, 이는 선로 상에서의 고장이 광범위한 결과를 초래하고, 그에 따라 가능한 한 방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추가의 일 실시예는 전류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고, 적어도 제2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은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수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객 열차들/객차들에서 예를 들어 온도 제어 시스템, 예를 들어 히터 및/또는 공조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다. 화물 운송 화차의 경우,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전기 서보 모터 및/또는 이와 비교 가능한 액추에이터가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유용한 일 실시예에서, 전류 전송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 특히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변색 요소가 제공된다. 이러한 열변색 요소를 통해, 적어도 작동 온도가 외형적으로 시각화된다. 특히, 적어도 온도 상승 시에 1회 색상 변경을 실행하는 열변색 요소가 사용된다. 유리한 일 개선예에서, 열변색 요소에는 전기식 및/또는 전자기식 신호 발생기가 할당된다. 이 경우, 신호 발생기는 특히 RFID 트랜스폰더로서 형성된다. RFID 트랜스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달되는 데이터를 비가역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그에 도입되는 요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열감응성 요소가 트랜스폰더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RFID 트랜스폰더가 열감응성 요소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너무 높은 온도를 통해 열감응성 요소가 활성화되고 그리고/또는 파괴되는 즉시, RFID 트랜스폰더의 신호가 변화되므로, 기능 장애가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들에 도시되고,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을 "상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을 "하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을 대략 중심에 위치 설정된 수평 배향 평면을 통해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을 대략 중심에 위치 설정된 수직 배향 평면을 통해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분배 시스템을 이러한 전류 분배 시스템이 장착된 객화차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단순화된 개략적 도시들을 포함한다. 부분적으로, 유사하지만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는 않은 요소들에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사용된다. 유사한 요소들의 다양한 관점들은 상이하게 스케일링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좌측", "우측", "상부측" 및 "하부측"과 같은 방향 표시들은 각각의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하고, 개별 도면들에서, 도시된 대상물에 대하여 변화할 수 있다.
도면 부호 이후의 윗첨자 표기된 문자 및 숫자, 그리고 아랫첨자 표기된 문자 및 숫자는 방향 설정에 사용되고, 기본적으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을 "상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로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 도시된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2) 및 이에 체결된 2개의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3)들을 포함한다.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3)들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의 연결 영역(9)들 내로 도입되고, 그곳에서 나사 연결부에 의해 케이블 연결 하우징(2)에 고정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2)에 대한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3)의 대안적인 체결 가능성이 주어진다. 예를 들어,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3)에는 푸시-풀 메커니즘과 같은 래칭 후크 메커니즘이 장착될 수 있다.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3)에는, 수나사에 나사 조임되는 유니온 너트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나사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의 연결 영역(9)에 배열된다. 또한,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3)에는, 연결 영역(9) 내에 배열된 암나사 내에 나사 조임될 수 있도록 나사형 슬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닝 브래킷, 레버, 웨지, 클램핑 아암 또는 원추형 클램핑 부시(예를 들어, 테이퍼 부시)와 같은 클램핑 요소도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의 하우징 상부 측면(GO)은 오목하게 연장되고, 하우징 상부 측면(GO)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의 종축을 따라 가장 높은 편향부를 갖는다.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의 본체를 따라 연장부(11)들이 나타난다. 이러한 연장부(11)들에는 리세스(10)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리세스(10)들은 관통 보어들 또는 관통 구멍들로서 형성된다. 도 1의 도시에서 이러한 리세스(10)들에는 이미 연결 요소들, 더 정확하게 말해, 나사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은 지지 구조 내에, 예를 들어 철도 객화차의 바닥판 또는 섀시 내에 나사 조임되거나, 나사산 요소들과 연결된다. 대부분의 하우징 상부 측면(GO)과는 달리, 연장부(11)들은 오목하지 않고, 적어도 기본적으로 평평한 접촉면(14)들로서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전기 접지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평평한 접촉면(14)들은 지지 구성 요소의 전기 전도성 표면들과 연결된다. 오염물 및 날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러한 접촉부는 예를 들어 페인트를 통하여 추후에 밀봉된다. 또한, 접촉면(14)들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의 발생하는 열을 발산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의 도시에서, 연장부(11)들의 접촉면(14)들은 오목하게 형성된 하우징 상부 측면(GO)의 가장 높은 편향부를 넘어 돌출된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발생하는 열이 주행 중 구현되는 기류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달성된다. 또한, 오염물, 먼지 및 물이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의 측면들로 간단하게 유출될 수 있거나 배출될 수 있으므로 세척이 간소화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을 "하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도시한다.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은 도 2에서도 2개의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3)들과 연결된다. 도 1에서와 같이, 도 2에는 추가의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3)를 위한 연결 영역(9)이 비어있는 상태로 도시된다. 연장부(11) 내의 리세스(10)는 이미 연결 요소에 의해 관통되었다. 도시된 나사와 같은 연결 요소는 예를 들어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을 지지 구조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연결 요소는 전기 접지 연결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하부 측면(GU)은 2개의 접촉면(14)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촉면(14)들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접지 도체의 연결을 위해 형성된다. 접지 도체로서, 구리 메쉬 테이프가 종종 사용된다. 하우징 하부 측면(GU)에는 하우징 커버(15)가 제공된다. 하우징 커버(15)를 통해서는, 조립 및/또는 유지 보수 목적을 위하여 내부 공간(7)에 도달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15)는 함몰부(16)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함몰부(16)는 다시금, 폐쇄 캡(13)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부(16)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상적으로, 폐쇄 캡(13)은 연결 요소들, 예를 들어 나사들에 의하여 하우징 커버(15)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내부 공간(7) 내의 조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조망들은 도 3의 경우에서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을 수평 단면도로 보여주고, 도 4의 경우에서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을 수직 단면도로 보여준다. 도 3은 연결 영역(9) 내의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3)와, 인접 연결 영역(9) 내의 폐쇄 캡(13)을 구비하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을 도시하지만, 연결 영역(9)은 사용되지 않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내부 공간(7) 내에는 개별적으로 위치 설정된 3개의 절연체(4)들이 배열된다. 도시된 경우에서는, 매우 대략적으로 (거꾸로 선) Y자 형태가 가정된다. 절연체(4)들은 관련 하우징 개구(8)들을 통해 연장되고, 이에 따라 내부 공간(7)과 각각의 연결 영역(9)들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또한, 절연체(4)들은 각각 고출력 접점(5)을 수용한다. 고출력 접점(5)들은 절연체(4)들을 통해 그리고 하우징 개구(8)들을 통해 각각의 연결 영역(9) 내로 안내된다. 전기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고출력 접점(5)들은 내부 공간(7)의 대략 중심에서 버스바(6)와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출력 접점(5)들은 나사들에 의해 버스바(6)에 체결된다. 도 3 및 도 4의 도시들은, 전기 전도성 구성 요소가 케이블 연결 하우징(2)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을 또한 보여준다. 이러한 형성을 통하여,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의 특히 컴팩트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보호를 추가로 강화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7)에는 서로 중첩된 2개의 절연 쉘(12 및 12')들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절연 쉘(12')은 절연 쉘(12)보다 약간 더 작게 구성되므로, 절연 쉘(12')은 절연 쉘(12) 내로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들로 구성된 전류 전송 시스템(17)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1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1)이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18)의 제1 단부(E1)에 체결된다. 이러한 운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여객 수송용 객차이다. 제1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1)은 구조상 동일한 제2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2)과 연결된다. 제2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2)은 전기 전도체에 의해 제3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13)와 연결된다. 제1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1)은 용장성의 형성을 위하여 제4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4)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4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4)은 제5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5)과 직접 전기 전도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용장성을 이유로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5 및 13)들은 전기 전도식으로 접촉된다. 이에 따라, 세그먼트(18)의 제1 단부(E1)에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1 및 14)들이 위치한다. 세그먼트(18)의 반대쪽 단부(E2)에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3 및 15)들이 위치한다. 세그먼트(18)의 2개의 단부(E1 및 E2)들 사이에는 전기 부하(19)가 위치한다. 이러한 전기 부하(19)는 예를 들어 온도 제어 시스템, 특히 공조 시스템 또는 전기 가열 시스템일 수 있다. 전기 부하(19)는 전기 라인을 통해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2)과 연결된다. 이 경우,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들은 구조상 동일하고, 원하는 대로 서로 교환 가능하다. 이 경우,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1, 12 및 13)들은 세그먼트(18)의 제1 단부(E1)로부터 세그먼트(18)의 제2 단부(E2)에 이르기까지 전기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2)은 전기 연결부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전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 가능 수단으로서도 작용한다.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4 및 15)들은 세그먼트(18)의 제1 단부(E1)로부터 세그먼트(18)의 제2 단부(E2)에 이르기까지 추가의 전기 연결부를 형성한다.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 또는 특징들이 각각 조합되어 나타나더라도,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도시되고 논의된 조합이 유일하게 가능한 조합이 아님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특히,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의 서로 상응하는 단위체들 또는 특징 복합체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1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2 케이블 연결 하우징
3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
4 절연체
5 고출력 접점
6 버스바
7 내부 공간
8 하우징 개구
9 연결 영역
10 리세스
11 연장부
12, 12' 절연 쉘
13 폐쇄 캡
14, 14' 접촉면
15 하우징 커버
16 함몰부
17 전류 전송 시스템
18 세그먼트
19 부하
GO 하우징 상부 측면
GU 하우징 하부 측면
E1 세그먼트의 제1 단부
E2 세그먼트의 제2 단부

Claims (24)

  1. 높은 강도의 전류 및/또는 높은 전압의 전송 및/또는 분배를 위한 적어도 2개의 전기적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3)들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을 포함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으로서,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은 적어도 각각 하나의 고출력 접점(5)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절연체(4)들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버스바(6)를 내부 공간(7) 내에 포함하고, 버스바(6)는 적어도 2개의 고출력 접점(5)들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절연체(4)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하나의 하우징 개구(8)를 통해 내부 공간(7)으로부터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의 연결 영역(9) 내로 돌출되고, 연결 영역(9)은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3)들의 수용을 위해 형성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은, 실질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하우징 상부 측면(GO)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2)과 지지 구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2개의 리세스(10)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4. 제3항에 있어서, 리세스(10)들은 케이블 연결 하우징(2) 외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1) 내부에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공간(7)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절연 쉘(12) 및 제2 절연 쉘(12')을 포함하고, 제1 절연 쉘(12) 및 제2 절연 쉘(12')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따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은 연결 영역(9)의 매체 밀봉식 폐쇄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폐쇄 캡(13)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은 내부 공간(7)의 매체 밀봉식 폐쇄를 위한 하우징 커버(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5)는 폐쇄 캡(13)의 수용을 위한 함몰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하우징(2)은 적어도 하우징 상부 측면(GO)에 적어도 2개의 기본적으로 평평한 접촉면(14)들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면(14)들은 적어도, 기본적으로 케이블 연결 하우징(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들에 의해 그리고 하우징 상부 측면(GO)의 오목한 편향부의 가장 높은 점을 통해 형성되는 평면의 높이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하부 측면(GU)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적으로 평평한 접촉면(1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평평한 접촉면(14')은 접지 도체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하부 측면(GU)은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기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열변색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변색 요소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영역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
  16. 제1항에 따른 적어도 2개의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전류 전송 시스템(17)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1)이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18)의 제1 단부(E1)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2)이 대략 세그먼트(18)의 중심 영역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전송 시스템(17).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3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3)이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18)의 제2 단부(E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전송 시스템(17).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18)의 제1 단부(E1)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1)에는, 안전 기술상의 용장성을 구현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구조상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4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4)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전송 시스템(17).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18)의 제2 단부(E2)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3)에는, 안전 기술상의 용장성을 구현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구조상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5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5)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전송 시스템(17).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2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2)은 운송 시스템의 세그먼트(18)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하(19)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전송 시스템(17).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1)과 제3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3)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전송 시스템(17).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4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4)과 제5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5)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전송 시스템(17).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1)과 제3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3)은 적어도 각각 하나의 전기 라인을 통해 제2 고출력 플러그 커넥터(1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전송 시스템(17).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1)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변색 요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전송 시스템(17).
KR1020227037095A 2020-03-27 2021-03-08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KR202201594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08458.7A DE102020108458A1 (de) 2020-03-27 2020-03-27 Hochleistungssteckverbindersystem
DE102020108458.7 2020-03-27
PCT/DE2021/100235 WO2021190698A1 (de) 2020-03-27 2021-03-08 Hochleistungssteckverbinder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423A true KR20220159423A (ko) 2022-12-02

Family

ID=7514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095A KR20220159423A (ko) 2020-03-27 2021-03-08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03502A1 (ko)
EP (1) EP4128448A1 (ko)
KR (1) KR20220159423A (ko)
CN (1) CN115336121A (ko)
DE (1) DE102020108458A1 (ko)
WO (1) WO2021190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4347A1 (de) 2021-02-24 2022-08-25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Elektrisches Verbinderelement
DE102021113556A1 (de) 2021-05-26 2022-12-01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Energieversorgungssystem für elektrische Verbraucherverbunde
WO2024115198A1 (de) * 2022-11-28 2024-06-06 Vitesco Technologies GmbH Verbindungsmodul für stecker, verteilerbox mit einem verbindungsmodul
CN117039478B (zh) * 2023-10-08 2024-01-12 深圳市中科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安全的连接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1016A (en) * 1989-03-29 1990-01-02 Amerace Corporation 600-Amp hot stick-operable pin-and-socket assembled connector system
DE4135391C1 (en) 1991-10-26 1992-12-10 Karl Pfisterer Elektrotechnische Spezialartikel Gmbh & Co Kg, 7000 Stuttgart, De Cable connector for medium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 has socket with cup-shaped contact element, and cylindrical insulating housing covering inserted cable
CA2118541C (en) * 1994-02-18 1999-12-28 William Wade Marder Apparatus for selecting fixture conductors and method for rapidly wiring said fixtures
JP5885387B2 (ja) * 2011-01-14 2016-03-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高圧機器システム及び鉄道車両
DE202011050247U1 (de) * 2011-05-24 2012-08-27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trukturelement für eine Steckeinheit zum Anschluss elektrischer Bauteile und Steckeinheit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 Schienenfahrzeug
CN202363597U (zh) * 2011-12-12 2012-08-01 湖北省电力公司荆州配电中心 一种可随温度变色的电气接头绝缘罩
DE102013204342A1 (de) * 2012-12-21 2014-06-26 Voith Patent Gmbh Kupplungsstecker für schienengebundene Fahrzeuge
EP3470296B1 (en) * 2017-10-13 2021-09-01 Tyco Electronics UK Ltd High voltage interconnection system
DE102017222101B3 (de) * 2017-12-07 2019-05-29 Leoni Bordnetz-Systeme Gmbh Leitungsverbinder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umspritzten Leitungsverbin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0698A1 (de) 2021-09-30
DE102020108458A1 (de) 2021-09-30
US20230103502A1 (en) 2023-04-06
CN115336121A (zh) 2022-11-11
EP4128448A1 (de)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9423A (ko)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ES2742877T3 (es) Sistema de red eléctrica de a bordo de tensión múltiple y cable de capas múltiples para diferentes niveles de tensión
EP0065634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equipment
US20150171604A1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ain transformer and high-voltage device box and railcar including same
US20180366922A1 (en) Integrated contactor mounting post
US5055059A (en) Current connection member for large amperages, especially to be used in metal-enclosed electric systems
CN111919311A (zh) 具有通过非绝缘导线段连接在一起的储能电池和/或冷却系统的储能模块、储能块以及用于冷却储能模块的方法
JP2005130633A (ja) 電気接続箱
KR20190129233A (ko) 차량용 통전장치
US894644A (en) Busline coupling-socket.
CN111201175A (zh) 高压互连系统
CN102163818A (zh) 气体绝缘的高压测量单元
KR20180011568A (ko) 냉동 컨테이너의 전기 공급을 위한 에너지 분배 장치
CN115336117A (zh) 高功率插接连接器系统
US20220278414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nergy storage system
CN205790840U (zh) 一种电机用同侧转接插座
US20230268702A1 (en) High-power plug connector system
CN111226302B (zh) 保险丝盒、包括这种保险丝盒的保险丝盒组件和车辆
US20230327371A1 (en) High-power plug connector
US10614983B2 (en) Switching element for electrical energy distribution board and electrical energy distribution box fitted with such a switching element
CN214627627U (zh) 电池包断路单元壳体、电池包断路单元、电池包和车辆
CN220108394U (zh) 核电厂380v移动式柴油车快速接入装置
US11043758B2 (en) Bushing adapter and bushing with superior mechanical characteristics
KR102709621B1 (ko) 고출력 플러그 연결 시스템
CN117954881A (zh) 将多个电气部件电联接到蓄能器处的联接装置和联接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