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286A -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소켓 - Google Patents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286A
KR20220159286A KR1020220063437A KR20220063437A KR20220159286A KR 20220159286 A KR20220159286 A KR 20220159286A KR 1020220063437 A KR1020220063437 A KR 1020220063437A KR 20220063437 A KR20220063437 A KR 20220063437A KR 20220159286 A KR20220159286 A KR 2022015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ocket
lead frame
frame assembly
frame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팡위에 주 (제이슨)
진슌 왕 (제트)
진šœ 왕 (제트)
렌이 두 (로니)
카이쑤안 지앙 (에반)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쑤저우)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에스아이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쑤저우)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에스아이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5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re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01R4/625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소켓을 개시한다.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프레임 본체(214) 및 프레임 본체(214)에 배열된 전기 연결 구조(230)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21)을 포함한다. 리드 프레임(21)은 충전 소켓의 공동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충전 소켓의 복수의 단자들은 프레임 본체(214)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연결 구조(230)의 일 단부(230a)는 온도 센서(23)의 리드(2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프레임 본체(214)로부터 노출된다. 리드 프레임(21)은 충전 소켓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단자와 비-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리드 프레임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제조 어려움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소켓 {CHARGING SOCKET LEAD FRAME ASSEMBLY AND CHARGING SOCKET}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5월 25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제202121127140.7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하는 충전 소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충전 소켓 내의 복수의 신호 단자들은 충전 소켓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리드 프레임 내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통해 커넥터에 연결된다. 이는, 리드 프레임의 구조가 제조하기에 너무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 것이다.
게다가, 종래 기술에서, 충전 건(charging gun)과 충전 소켓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전기 자동차의 충전 소켓 상에 검출 단자(일반적으로, CC 신호 단자로 지칭됨) 및 저항기를 세팅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저항기는 충전 소켓의 검출 단자와 접지 단자(일반적으로, PE 단자로 지칭됨)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 건이 충전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충전 소켓 상의 검출 단자 및 접지 단자는 충전 건 상의 대응하는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것이며, 그에 따라 저항기 검출 회로가 연결되고, 저항기의 저항기 값이 검출될 수 있다. 즉, 저항기 검출 회로가 저항기의 저항기 값을 검출할 때, 이는, 충전 건이 충전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는 충전 건이 충전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았음을 표시한다.
종래 기술에서, 저항기의 양 단부들은 일반적으로, 와이어들에 의해 충전 소켓의 검출 단자 및 접지 단자에 용접된다. 추가로, 종래 기술에서, 충전 단자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의 핀은 일반적으로, 와이어를 통해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용접된다. 기존의 와이어 용접 방식은 복잡한 프로세스 및 불안정한 품질의 결함들을 갖는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을 극복하거나 또는 완화시키도록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프레임 본체 및 프레임 본체에 배열된 전기적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된다. 리드 프레임은 충전 소켓의 공동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충전 소켓의 복수의 단자들은 프레임 본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전기적 연결 구조의 일 단부는 온도 센서의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프레임 본체로부터 노출되고; 리드 프레임은 충전 소켓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단자와 비-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는 충전 소켓의 접지 단자 및 검출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접지 단자와 검출 단자 사이에 저항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 본체에 랩핑된 베이스; 베이스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그리고 저항기의 하나의 연결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프레임 본체의 외부측으로부터 노출되는 연결 부분; 및 베이스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그리고 접지 단자 또는 검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프레임 본체의 외부측으로부터 노출되는 접촉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부분은, 접지 단자 또는 검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접지 단자 또는 검출 단자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탄성 클램핑 아암들의 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분은 저항기의 하나의 연결 단부에 용접되거나, 크림핑되거나(crimped) 또는 리벳팅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저항기를 더 포함하고, 저항기의 2개의 연결 단부들은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프레임 본체 상에 설치되고 충전 소켓의 전력 공급부에 연결된 전력 단자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전력 단자로부터 온도 센서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프레임 본체 상에 설치된 열 전도 패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슬롯이 프레임 본체 상에 형성되고, 온도 센서 및 열 전도 패드가 장착 슬롯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리드 프레임은 인서트 사출 성형된 부분이고; 제1 연결 부재, 제2 연결 부재 및 전기적 연결 구조는 인서트 부분들이며; 프레임 본체는 사출 성형된 부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슬롯은 프레임 본체 상에 장착되고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배열된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커넥터의 전도성 단자는 온도 센서를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기적 연결 구조의 다른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의 전도성 단자 및 전기적 연결 구조는 일체로 형성되고; 또는 커넥터의 전도성 단자 및 전기적 연결 구조는 별개로 형성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의 하우징 및 프레임 본체는 일체로 형성되고; 또는 커넥터의 하우징과 프레임 본체는 별개로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본체에는 충전 소켓의 신호 단자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충전 소켓이 제공되며, 충전 소켓은, 시트 본체; 시트 본체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들; 시트 본체에 설치된 상기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하며, 복수의 단자들은 신호 단자들을 포함하고, 신호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와 비-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충전 소켓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단자는 충전 소켓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과 비-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리드 프레임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제조 어려움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저항기의 2개의 단부들은 리드 프레임의 연결 단자를 통해 검출 단자 및 접지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충전 소켓의 제조를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제품 품질의 일관성 및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해, 와이어들로 저항기의 2개의 단부들을 검출 단자 및 접지 단자에 각각 용접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소켓의 3차원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3차원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충전 소켓의 검출 단자 및 접지 단자가 도시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3차원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리드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가 제거되고 충전 소켓의 검출 단자 및 접지 단자가 도시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3차원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충전 소켓의 검출 단자 및 접지 단자는 도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할 것이고, 본 개시내용의 개념을 당업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개시된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에 따르면, 프레임 본체 및 프레임 본체에 배열된 전기적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된다. 리드 프레임은 충전 소켓의 공동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충전 소켓의 복수의 단자들은 프레임 본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전기적 연결 구조의 일 단부는 온도 센서의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프레임 본체로부터 노출되고; 리드 프레임은 충전 소켓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단자와 비-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소켓의 3차원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2)의 3차원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충전 소켓의 검출 단자(12) 및 접지 단자(11)가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소켓은 주로, 시트 본체(1), 시트 본체(1)에 설치된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2), 및 시트 본체(1)의 후방 단부에 설치된 후방 단부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2)는 시트 본체(1)와 후방 단부 커버 사이의 후방 공동(cavity)에 수용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2)의 3차원 개략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충전 소켓의 검출 단자(12) 및 접지 단자(11)를 도시하기 위해 리드 프레임(21)의 프레임 본체(214)가 제거되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2)의 3차원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충전 소켓의 검출 단자(12) 및 접지 단자(11)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2)는 리드 프레임(21) 및 저항기(22)를 포함한다. 리드 프레임(21)은 프레임 본체(214), 및 프레임 본체(214) 상에 배열된 제1 연결 부재(210) 및 제2 연결 부재(220)를 포함한다. 저항기(22)의 2개의 연결 단부들은 제1 연결 부재(210) 및 제2 연결 부재(2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시트 본체(1)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들이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개구들(214c)이 리드 프레임(21)의 프레임 본체(214) 상에 형성된다. 시트 본체(1)의 복수의 단자들은 복수의 신호 단자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복수의 신호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리드 프레임(21)과 비-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재(210) 및 제2 연결 부재(220)는, 접지 단자(11)와 검출 단자(12) 사이에서 저항기(22)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충전 소켓(1)의 검출 단자(12)와 접지 단자(11)와의 전기적으로 접촉에 적합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재(210)는 제1 베이스(213), 제1 연결 부분(211), 및 제1 접촉 부분(212)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213)는 제1 연결 부재(210)를 고정시키기 위해 프레임 본체(214)에 랩핑된다. 제1 연결 부분(211)은 제1 베이스(213)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저항기(22)의 하나의 연결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프레임 본체(214)로부터 노출된다. 제1 접촉 부분(212)은 제1 베이스 부분(213)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접지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프레임 본체(214)의 외부측으로부터 노출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부재(220)는 제2 베이스(223), 제2 연결 부분(221), 및 제2 접촉 부분(222)을 포함한다. 제2 베이스(223)는 제2 연결 부재(220)를 고정시키기 위해 프레임 본체(214)에 랩핑된다. 제2 연결 부분(221)은 제2 베이스(223)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저항기(22)의 다른 연결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프레임 본체(214)로부터 노출된다. 제2 접촉 부분(222)은 제2 베이스(223)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검출 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프레임 본체(214)로부터 노출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재(210)의 제1 접촉 부분(212)은, 접지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접지 단자(11)를 클램핑하기에 적합한 제1 탄성 클램핑 아암들의 쌍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제2 연결 부재(220)의 제2 접촉 부분(222)은, 검출 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검출 단자(12)를 클램핑하기에 적합한 제2 탄성 클램핑 아암들의 쌍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분(211)은 저항기(22)의 일 단부에 용접되고, 제2 연결 부분(221)은 저항기(22)의 다른 단부에 용접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연결 부분(211) 또는 제2 연결 부분(221)은 또한, 다른 적절한 방식들로 저항기(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부분(211) 또는 제2 연결 부분(221)은 또한, 저항기(22)의 연결 단부에 크림핑되거나 또는 리벳팅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저항기(22)는 핀 타입 저항기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저항기(22)는 또한 칩 타입 저항기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노치가 제1 연결 부재(210) 상에 형성되고, 제1 홈이 프레임 본체(214) 상에 형성되며, 저항기(22)의 제1 핀이 제1 홈에 수용되며 제1 노치에 클램핑된다. 유사하게, 제2 노치가 제2 연결 부재(220) 상에 형성되고, 제2 홈이 프레임 본체(214) 상에 형성되며, 저항기(22)의 제2 핀이 제2 홈에 수용되고 제2 노치에 클램핑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수용 홈(214a)이 프레임 본체(214) 상에 형성되고, 저항기(22)는 수용 홈(214a) 내에 수용 및 위치결정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2)는 또한 온도 센서(23)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23)는 충전 소켓의 전력 공급부에 연결된 전력 단자(도시되지 않거나 또는 충전 단자로 지칭됨)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프레임(214) 상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2)는 또한 열 전도 패드(25)를 포함한다. 열 전도 패드(25)는 전력 단자로부터 온도 센서(23)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프레임 본체(214) 상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장착 슬롯(214b)이 프레임 본체(214) 상에 형성되고; 온도 센서(23) 및 열 전도 패드(25)는 장착 슬롯(214b)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드 프레임(21)은 또한, 프레임 본체(214)에 랩핑된 전기적 연결 구조(230)를 포함한다. 전기적 연결 구조(230)의 일 단부(230a)는 프레임 본체(214)로부터 노출되고, 온도 센서(23)의 리드(2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전기적 연결 구조(230)의 일 단부(230a)는 패드 형상이고, 온도 센서(23)의 리드(23a)는 전기적 연결 구조(230)의 일 단부(230a)에 용접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드 프레임(21)은 인서트 사출 성형된 부분이고; 제1 연결 부재(210), 제2 연결 부재(220) 및 전기적 연결 구조(230)는 인서트 부분들이며; 프레임 본체(214)는 사출 성형된 부분이다. 리드 프레임(21)은 편리한 제조, 높은 품질 및 낮은 비용의 장점들을 가지며, 제품 품질의 일관성 및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2)는 또한 커넥터(24)를 포함한다. 커넥터(24)는 프레임 본체(214) 상에 장착된다. 커넥터(24)는 주로, 하우징(241) 및 하우징(241)에 배열된 전도성 단자(242)를 포함한다. 커넥터(24)의 전도성 단자(242)는, 온도 센서(23)를 커넥터(2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전기적 연결 구조(230)의 다른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24)의 전도성 단자(242) 및 전기적 연결 구조(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는 더 간단하고 편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넥터(24)의 전도성 단자(242) 및 전기적 연결 구조(230)는 또한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24)의 하우징(241) 및 프레임(214)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는 더 간단하고 편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넥터(24)의 하우징(241) 및 프레임 본체(214)는 또한 별개로 형성되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정합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정합하기에 적절한 스냅 구조(243)가 커넥터(24)의 하우징(241) 상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커넥터(24)는 스냅 구조(243)를 통해 정합 커넥터에 잠금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 정합 커넥터가 충전 소켓 상의 커넥터(24)와 정합될 때, 온도 센서(23)에 의해 검출된 온도 신호가 전기 차량의 제어 시스템에 송신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은 제한적이지 않고 예시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인식되어야 한다. 예컨대, 당업자에 의해 위의 실시예들에 대해 많은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구성 또는 원리에서 충돌하지 않으면서 서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수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변경들 또는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며, 그 범위는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서 정의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표현으로 인용된 요소는, 상기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 것(이러한 배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참조들은, 인용된 특징들을 또한 포함하는 추가의 실시예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명시적으로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특별한 특징을 갖는 원소 또는 복수 개의 원소들을 "포함"하거나 "갖는" 실시예들은 그 특징을 갖지 않는 이러한 추가 원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1.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로서,
    프레임 본체(214) 및 상기 프레임 본체(214)에 배열된 전기적 연결 구조(230)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21)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 프레임(21)은 충전 소켓의 공동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 소켓의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프레임 본체(214)를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기적 연결 구조(230)의 일 단부(230a)는 온도 센서(23)의 리드(23a)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프레임 본체(214)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21)은 상기 충전 소켓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단자와 비-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배열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연결 부재(210) 및 제2 연결 부재(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210)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220)는, 상기 충전 소켓의 접지 단자(11) 및 검출 단자(12)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그리고 상기 접지 단자(11)와 상기 검출 단자(12) 사이에 저항기(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210)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2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레임 본체(214)에 랩핑된 베이스(213, 223);
    상기 베이스(213, 223)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기(22)의 하나의 연결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214)의 외부측으로부터 노출되는 연결 부분(211, 221); 및
    상기 베이스(213, 223)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접지 단자(11) 또는 상기 검출 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214)의 외부측으로부터 노출되는 접촉 부분(212, 222)을 포함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분(212, 222)은, 상기 접지 단자(11) 또는 상기 검출 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접지 단자(11) 또는 상기 검출 단자(12)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탄성 클램핑 아암들의 쌍을 포함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211, 221)은 상기 저항기(22)의 하나의 연결 단부에 용접되거나, 크림핑되거나(crimped) 또는 리벳팅되도록 구성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6. 제2 항에 있어서,
    저항기(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항기(22)의 2개의 연결 단부들은 제1 연결 부재(210) 및 제2 연결 부재(2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214) 상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 소켓의 전력 공급부에 연결된 전력 단자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23)를 더 포함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단자로부터 상기 온도 센서(23)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본체(214) 상에 설치된 열 전도 패드(25)를 더 포함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장착 슬롯(214b)이 상기 프레임 본체(214) 상에 형성되고, 상기 온도 센서(23) 및 상기 열 전도 패드(25)는 상기 장착 슬롯(214b)에 설치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21)은 인서트 사출 성형된 부분이고; 상기 제1 연결 부재(210), 상기 제2 연결 부재(220) 및 상기 전기적 연결 구조(230)는 인서트 부분들이며; 상기 프레임 본체(214)는 사출 성형된 부분인,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214) 상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241) 및 상기 하우징(241) 내에 배열된 전도성 단자(242)를 포함하는 커넥터(2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24)의 전도성 단자(242)는 상기 온도 센서(23)를 상기 커넥터(2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전기적 연결 구조(230)의 다른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4)의 전도성 단자(242) 및 상기 전기적 연결 구조(230)는 일체로 형성되고; 또는
    상기 커넥터(24)의 전도성 단자(242) 및 상기 전기적 연결 구조(230)는 별개로 형성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4)의 하우징(241) 및 상기 프레임 본체(214)는 일체로 형성되고; 또는
    상기 커넥터(24)의 하우징(241) 및 상기 프레임 본체(214)는 별개로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214)에는 상기 충전 소켓의 신호 단자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214c)가 제공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15. 충전 소켓으로서,
    시트 본체(1);
    상기 시트 본체(1)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들; 및
    상기 시트 본체(1)에 설치된,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2)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신호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2)와 비-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충전 소켓.
KR1020220063437A 2021-05-25 2022-05-24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소켓 KR20220159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1127140.7U CN214797847U (zh) 2021-05-25 2021-05-25 充电座引线框架组件和充电座
CN202121127140.7 2021-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286A true KR20220159286A (ko) 2022-12-02

Family

ID=7869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437A KR20220159286A (ko) 2021-05-25 2022-05-24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소켓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77260B2 (ko)
JP (1) JP2022181186A (ko)
KR (1) KR20220159286A (ko)
CN (1) CN214797847U (ko)
DE (1) DE102022112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485755U (zh) * 2022-05-30 2022-09-2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充电座引线框架、充电座引线框架组件和充电座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15292B1 (de) * 2012-01-13 2014-08-27 MAHLE International GmbH Kraftstoff-Filter mit integrierten Sensoren
EP2924451B1 (en) * 2014-03-24 2019-01-09 LEM Intellectual Property SA Current transdu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797847U (zh) 2021-11-19
JP2022181186A (ja) 2022-12-07
US20220385001A1 (en) 2022-12-01
US11777260B2 (en) 2023-10-03
DE102022112897A1 (de)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4996B (zh) 具有带有温度传感器的电路板的热耦合的电连接装置
US11069992B2 (en) Connector part comprising a circuit board
US10985507B2 (en) Plug connector part having a temperature-monitoring device
JP2018163876A (ja) 自動車充電プラグコネクタ
US7530843B1 (en) Sealed electrical terminal
WO2019106468A1 (en) Temperature sensing electrical device
JP2805395B2 (ja) 二通り使用の電気/電子ピン端子システム
CA2898109A1 (en) Adapter
KR20220159286A (ko) 충전 소켓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소켓
EP3528349B1 (en) Electrical connector
CN210074317U (zh) 具有电路板的插拔连接件
JP3010237B2 (ja) コネクタの結合確認装置
CN216413353U (zh) 用于充电座的引线框架、引线框架组件和充电座
KR20230044963A (ko) 충전 인렛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핀과 접촉하기 위한 기판
KR20220159287A (ko) 충전 소켓
CN214625627U (zh) 一种防火花电连接器
CN210985107U (zh) 防火花电连接器
TWM560710U (zh) 電連接器
CN214797846U (zh) 充电座引线框架组件和充电座
CN219998640U (zh) 电连接组件、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116111393A (zh) 用于充电座的引线框架、引线框架组件和充电座
CN219937529U (zh) 电连接组件、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220021721U (zh) 一种连接器及车辆
CN214625572U (zh) 充电座
CN214124052U (zh) 电池系统的电连接装置及电气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