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785A -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785A
KR20220157785A KR1020210065745A KR20210065745A KR20220157785A KR 20220157785 A KR20220157785 A KR 20220157785A KR 1020210065745 A KR1020210065745 A KR 1020210065745A KR 20210065745 A KR20210065745 A KR 20210065745A KR 20220157785 A KR20220157785 A KR 20220157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temperature
cooling water
cell stack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221B1 (ko
Inventor
최성경
원종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221B1/ko
Priority to US17/513,036 priority patent/US11522204B1/en
Priority to EP21207217.7A priority patent/EP4092791B1/en
Priority to CN202111400126.4A priority patent/CN115377450A/zh
Priority to JP2021190520A priority patent/JP2022179295A/ja
Publication of KR20220157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01M8/04723Temperature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58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417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68Pressure; Flow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7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1 라디에이터,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 또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밸브, 및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목표 온도와 상기 밸브의 개도량 제어를 위한 보정 계수를 설정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 출구의 제1 냉각수 온도와 상기 제1 라디에이터 출구의 제2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1 냉각수 온도, 상기 제2 냉각수 온도, 상기 목표 온도, 및 상기 보정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밸브의 개도량을 산출하고, 상기 개도량이 지정된 제1 범위 이내이면,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제3 냉각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 간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보정 계수를 보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OOLANT TEMPERATURE IN FUEL CELL SYSTEM}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가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로 사용되는 경우 지구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될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수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연료전지 스택에 전기화학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 중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연료전지 스택의 반응열을 시스템 외부로 제거하고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온도를 제어하며 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열 관리 시스템(thermal management system, TMS)을 포함할 수 있다.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수 역할을 하는 부동액을 연료전지 스택으로 순환시켜 적정 온도(예를 들어, 60~70℃)를 유지시키는 냉각 장치의 일 종류로서, 냉각수가 순환하는 TMS 라인, 냉각수가 저장된 리저버,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 냉각수에 포함된 이온을 제거하는 이온 필터, 및 냉각수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라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냉각수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이 포함된 장치(예: 차량)의 내부를 냉난방하는 공조유닛(예를 들어, 난방용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열 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장부품의 적정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열 관리 시스템의 기능 중 하나는 연료전지 스택에서 발생한 열을 라디에이터를 통해 대기로 방출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 입구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맞추는 것이다. 냉각수 온도를 목표 온도로 맞추기 위해서는 펌프 및 냉각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펌프와 냉각팬의 회전수는 변동 폭이 크기 때문에 냉각수 온도와 목표 온도 간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세밀한 제어가 필요하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1 라디에이터,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 또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밸브, 및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목표 온도와 상기 밸브의 개도량 제어를 위한 보정 계수를 설정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 출구의 제1 냉각수 온도와 상기 제1 라디에이터 출구의 제2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1 냉각수 온도, 상기 제2 냉각수 온도, 상기 목표 온도, 및 상기 보정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밸브의 개도량을 산출하고, 상기 개도량이 지정된 제1 범위 이내이면,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제3 냉각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 간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보정 계수를 보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목표 온도와 밸브의 개도량 제어를 위한 보정 계수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연료전지 스택 출구의 제1 냉각수 온도와 제1 라디에이터 출구의 제2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제1 냉각수 온도, 상기 제2 냉각수 온도, 상기 목표 온도, 및 상기 보정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밸브의 개도량을 산출하는 동작, 상기 개도량이 지정된 제1 범위 이내이면,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제3 냉각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 간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보정 계수를 보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밸브의 개도량을 통해 냉각수 온도를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냉각수 온도를 보다 빠르게 목표 온도까지 조절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펌프, 냉각팬, 및 밸브의 복합적인 제어를 통해 부하 변동에 빠르게 대응하면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1 냉각수가 흐르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개도에 따른 냉각수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밸브의 개도량 및 보정 계수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밸브의 개도량 및 보정 계수를 제어하기 위한 보다 세부적인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연료전지 시스템은 차량의 연료전지 스택(10)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110)과 차량의 전장부품(power electronic parts)(200)을 경유하는 제2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2 냉각라인(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생략 가능하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라인(110)과 가열 루프(가열 순환 경로, 또는 난방 루프)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1 냉각라인(110)과 냉각 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연결라인(130), 제2 연결라인(150), 및 제3 연결라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 제2 연결라인(150), 또는 제3 연결라인(140)을 순환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냉각라인(110)은 차량의 초기 시동 상태에서는 냉간 시동 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연결라인(130) 및 제3 연결라인(140)과 가열 루프를 형성하고, 주행 중에는 연료전지 스택(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제1 냉각수가 제1 라디에이터(60)를 통과하는 냉각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기가 지정된 온도만큼 높은 경우, 제1 냉각라인(110)은 가열 루프를 형성하지 않으며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10)의 열을 통해 시동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1 냉각라인(110) 상에는 연료전지 스택(10), 제1 밸브(20), 제1 펌프(30), 제2 밸브(40), 및 제1 라디에이터(60)가 배치될 수 있다.
연료전지 스택(10)(또는, '연료전지'로 참조될 수 있다)은 연료(예를 들어, 수소)와 산화제(예를 들어, 공기)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료전지 스택(10)은, 수소 이온이 이동하는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막의 양쪽에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전극층이 부착된 막전극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반응기체들을 고르게 분포시키고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 반응기체들 및 제1 냉각수의 기밀성과 적정 체결압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 및 체결기구, 그리고 반응기체들 및 제1 냉각수를 이동시키는 분리판(bipolar plate)을 포함할 수 있다.
연료전지 스택(10)에서 연료인 수소와 산화제인 공기(산소)가 분리판의 유로를 통해 막전극접합체의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로 각각 공급되는데, 수소는 애노드로 공급되고, 공기는 캐소드로 공급될 수 있다. 애노드로 공급된 수소는 전해질막의 양쪽에 구성된 전극층의 촉매에 의해 수소 이온(proton)과 전자(electron)로 분해되며, 이 중 수소 이온만이 선택적으로 양이온교환막인 전해질막을 통과하여 캐소드로 전달되고, 동시에 전자는 도체인 기체확산층과 분리판을 통해 캐소드로 전달될 수 있다. 캐소드에서는 전해질막을 통해 공급된 수소 이온과 분리판을 통해 전달된 전자가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캐소드로 공급된 공기 중 산소와 만나서 물을 생성하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일어나는 수소 이온의 이동에 기인하여 외부 도선을 통한 전자의 흐름이 발생하며, 이러한 전자의 흐름으로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밸브(20)는 제1 냉각라인(110) 상에서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히터(50)가 배치된 제1 연결라인(13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20)는 제1 냉각라인(110)상에서 제1 펌프(30)의 일단, 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 및 연료전지 스택(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밸브(20)는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밸브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밸브(20)는 삼방 밸브(three way valve)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밸브(20)는, 제1 펌프(30)에 의해 펌핑된 제1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1 포트(21), 제1 밸브(20)를 통과하는 제1 냉각수가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2 포트(22), 및 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3 포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20)의 제2 포트(22) 및 제3 포트(23)가 개폐됨으로써,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가 제1 연결라인(130)의 히터(5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제2 포트(22)가 개방되고 제3 포트(23)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고, 이와 반대로 제3 포트(23)가 개방되고 제2 포트(22)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을 통해 히터(5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130)은 제1 냉각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제1 냉각라인(110)과 가열 루프(가열 순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라인(130)을 따라 유동하는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에 설치된 히터(50)를 통과하는 중에 가열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은 제1 펌프(30)의 출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지점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1 연결라인(130)의 다른 일단은 제1 펌프(30)의 입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지점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펌프(30)의 입구는 제1 냉각수가 제1 펌프(30)에 유입되는 입구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펌프(30)의 출구는, 제1 펌프(30)를 통과한 제1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구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펌프(30)의 출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는, 제1 펌프(30)로부터 배출된 제1 냉각수가 연료전지 스택(10)의 제1 냉각수 유입구(미도시)까지 유동하는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펌프(30)의 입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는, 연료전지 스택(10)의 냉각수 배출구(미도시)로부터 배출된 제1 냉각수가 제1 펌프(30)의 입구까지 유동하는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펌프(30)는 제1 냉각수를 강제적으로 유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펌프(30)는 제1 냉각수를 펌핑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펌프(30)의 종류 및 개수가 본 문서에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밸브(40)는 제1 냉각라인(110) 상에서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제1 라디에이터(6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밸브(40)는 제1 펌프(30)와 제1 라디에이터(6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 냉각라인(110) 상에 제공되며, 제3 연결라인(140)의 일단 및 제1 라디에이터(60)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밸브(40)는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1 라디에이터(6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밸브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밸브(40)는 사방 밸브(four way valve) 또는 삼방 밸브(three way valve)일 수 있다. 삼방 밸브인 경우, 제2 밸브(40)는 제3 연결라인(140)과 연결되는 제1 포트(41), 제1 라디에이터(60)를 통과하는 제1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2 포트(42), 및 제1 냉각수가 제1 펌프(30)로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3 포트(44)를 포함하며, 사방 밸브인 제2 밸브(40)는 제2 연결라인(15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포트(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밸브(40)의 제1 포트(41) 또는 제2 포트(42)가 개폐됨으로써,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가 제1 라디에이터(6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제1 포트(41)가 개방되고 제2 포트(42)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제1 라디에이터(60)를 거치지 않고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고, 이와 반대로 제2 포트(42)가 개방되고 제1 포트(41)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제1 라디에이터(60)를 거친 후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은 공조유닛(HVAC UNIT)(90)을 가열 하기 위하여 제1 냉각라인(110)과 난방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연결라인(150)은 공조유닛(90)의 난방용 히터(미도시)를 가열하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의 일단은 제1 지점(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이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는 지점)과 연료전지 스택(10)의 입구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1 냉각수 중 일부가 제2 연결라인(150)을 통해 순환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의 다른 일단은 제1 펌프(30)와 제2 지점(제1 연결라인(130)의 다른 일단이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는 지점)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에는 공조유닛(90)을 통과한 제1 냉각수의 이온을 필터링하는 이온 필터(95)가 구비될 수 있다. 시스템의 부식이나 용출(exudation) 등으로 인해 제1 냉각수의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면 제1 냉각수로 전기가 흐르게 되어 연료전지 스택(10)이 단락되거나 제1 냉각수 쪽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1 냉각수는 낮은 전기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온 필터(95)는 제1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냉각수에 포함된 이온을 제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동되는 제1 냉각수의 공급이 차단(제1 밸브(20)의 제2 포트(22) 차단)되는 냉시동 중에,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의 히터(50)를 경유하며 순환(승온 루프)함과 동시에, 제2 연결라인(150)을 따라서도 순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냉시동시에도 제2 연결라인(150)에 구비된 이온 필터(95)에 의한 필터링(제1 냉각수에 포함된 이온 제거)이 가능하다. 따라서, 냉시동 직후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연결라인(140)은 제1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하여 제1 냉각라인(110)과 냉각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연결라인(140)의 일단은 제1 펌프(30)와 제1 라디에이터(60)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3 연결라인(140)의 다른 일단은 연료전지 스택(10)의 냉각수 배출구와 제1 라디에이터(60)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라디에이터(60)는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라디에이터(60)는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라디에이터(6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라디에이터(60)는 제1 냉각수가 저장되는 제1 리저버(62)에 연결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10)과 제1 지점(제1 밸브(20))의 사이에서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112), 제1 연결라인(130)의 다른 일단과 제1 펌프(30)의 사이에서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114), 및 히터(50)에서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 센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라디에이터(60)의 출구에서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4 온도 센서(118)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온도 센서(112), 제2 온도 센서(114), 제3 온도 센서(116), 및 제4 온도 센서(118)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유입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냉각라인(110)을 따라 순환하는 제1 냉각수의 측정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제1 냉각수의 유입 유량을 미리 설정된 설정 유량보다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냉각수의 측정 온도가 낮으면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유입 유량을 낮게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연료전지 스택(10) 내부에 정체된 제1 냉각수의 온도와 연료전지 스택(10)에 유입되는 제1 냉각수 온도 간 편차에 의한 열 충격 및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냉각라인(120)은 차량의 전장부품(200)을 경유하도록 구성되며, 제2 냉각수는 제2 냉각라인(120)을 따라서 순환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전장부품(200)은, 차량의 전원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부품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전장부품(200)의 종류 및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전장부품(200)은 연료전지 스택(10)과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미도시) 사이에 구비되는 BHDC(bi-directional high voltage DC-DC converter)(210), 연료전지 스택(10)의 구동을 위한 외기를 공급하는 블로어(미도시)를 제어하는 BPCU(blower pump control unit)(220), 고전압 배터리에서 공급받은 직류 고전압을 직류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LDC(low-voltage DC-DC converter)(230), 연료전지 스택(10)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ACP)(240), 및 에어쿨러(air cooler)(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장부품(200)은 DC-DC 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라인(120) 상에는 제2 냉각수를 강제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 펌프(20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펌프(205)는 제2 냉각수를 펌핑할 수 있는 펌핑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펌프(205)의 종류 및 특성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냉각라인(120) 상에는 제2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라디에이터(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라디에이터(70)는 제2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라디에이터(70)의 종류 및 구조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라디에이터(70)는 제2 냉각수가 저장되는 제2 리저버(72)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냉각팬(80)에 의해 동시에 냉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는 나란하게 배치되고, 냉각팬(80)은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냉각팬(80)에 의해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가 동시에 냉각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조는 간소화되고 설계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전력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라디에이터(6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1 냉각팬(80)과 제2 라디에이터(7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냉각팬(85)이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팬(80)의 회전수를 제어할 때 전장부품(200)의 열부하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배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도 1의 연료전지 시스템 구조에 기반하지만, 동일한 원리가 도 2의 연료전지 시스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열교환기(300)는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를 상호 열교환시키기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열교환기(300)가 포함되는 경우, 제1 냉각라인(110) 및 제2 냉각라인(120)은 제1 냉각수 및 제2 냉각수가 열교환을 수행하면서 유동할 수 있는 TMS(thermal management system) 라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냉각수 또는 제2 냉각수는 TMS 라인 상에서 냉매(cooling medium) 또는 열매(heat medium)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부품을 냉각하는 제2 냉각수의 온도가 연료전지 스택(10)을 냉각하는 제1 냉각수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므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라디에이터(60) 및 냉각팬(80)의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제1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연료전지 스택(1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은 주행풍을 사용할 수 없는 차량(예를 들어, 건설기계)의 정차 중에 제1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 스택(10)의 고출력 운전을 보장하고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열교환기(300)는 제1 라디에이터(60)의 출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2 냉각라인(120)은 열교환기(300)를 경유하도록 제2 라디에이터(70)의 출구와 전장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냉각수는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된 열교환기(300)를 따라 유동될 수 있으며, 제2 냉각라인(120)은 제1 냉각수에 노출(예를 들어, 제1 냉각수가 제2 냉각라인(120)의 둘레를 따라 유동)되도록 열교환기(300)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의 상호 열교환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제1 라디에이터(60)를 통과한 제1 냉각수의 제1 온도는 제2 라디에이터(70)를 통과한 제2 냉각수의 제2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고,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제1 냉각수의 제3 온도는 제1 온도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냉각수의 제1 온도는 제2 냉각수의 제2 온도보다 대략 10℃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300)를 통과(제2 냉각수와 열교환)한 제1 냉각수의 제3 온도는 제1 온도보다 1℃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따른 열교환기(300)는 제1 라디에이터(60)와 별도로 배치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열교환기(300)는 제1 라디에이터(6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300)는 제1 라디에이터(60)의 지정된 위치(좌측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냉각수가 흐르는 제1 냉각 라인(11)의 경우,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온도 센서(112)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10) 입구의 제1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제1 냉각수 온도가 목표 온도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제1 펌프(30) 또는 냉각팬(8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펌프(30) 및 냉각팬(80)의 회전수는 변동 폭이 크기 때문에 제1 온도 센서(112)를 통해 측정된 온도와 목표 온도 간 차이를 좁히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2 밸브(40)의 개도 조절을 통해 제1 냉각수 온도를 목표 온도까지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2 온도 센서(114)를 통해 측정된 연료전지 스택(10) 출구의 제1 냉각수 온도와 제4 온도 센서(118)를 통해 측정된 제1 라디에이터(60) 출구의 제1 냉각수 온도를 이용하여 제2 밸브(40)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냉각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1 냉각수가 흐르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4a 내지 4c는 밸브 개도에 따른 냉각수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참조 번호가 동일한 구성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m은 제1 냉각수의 유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m1은 연료전지 스택(10)에서 나와 제1 라디에이터(60)를 거치지 않고 제2 밸브(40)로 들어가는 제1 냉각수의 유량을, m2는 연료전지 스택(10)에서 나와 제1 라디에이터(60)를 거쳐서 제2 밸브(40)로 들어가는 제1 냉각수의 유량을, m3은 연료전지 스택(10)으로 들어가고 제2 밸브(40)로부터 나오는 제1 냉각수의 유량을, m4는 제1 밸브(20)에서 나와 이온 필터(95)를 거쳐 제1 펌프(30)로 들어가는 제1 냉각수의 유량을, m5는 제1 펌프(30)에서 나와 제1 밸브(20)를 지나가는 제1 냉각수의 유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T는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1은 연료전지 스택(10) 출구의 제1 냉각수 온도를, T2는 제1 라디에이터(60)의 출구의 제1 냉각수 온도를, T3은 연료전지 스택(10) 입구의 냉각수 온도를, T4는 히터(50)를 지나가는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냉각수의 유량 및 온도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2 밸브(40)의 개도 조절을 통해 제1 냉각수가 혼합되는 비율 및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는 제2 밸브(40)가 잠긴(차단된, closed) 상태(개도량 = 0)를 나타내며, 이 경우 제2 밸브(40)의 제2 포트(42)가 차단되므로 연료전지 스택(10)에서 나온 제1 냉각수는 제1 라디에이터(60)를 경유하지 않고 제3 연결라인(140) 상에 흐를 수 있다. 도 4b는 제2 밸브(40)의 일부가 개도된(opened) 상태(0 < 개도량 < 1)를 나타내며, 이 경우 제2 밸브(40)의 제1 포트(41) 및 제2 포트(42)가 일부씩 개방되므로 제1 냉각수의 일부는 제3 연결라인(140) 상에 흐르고 나머지 일부는 제1 라디에이터(60)를 경유할 수 있다. 도 4c는 제2 밸브(40)가 완전히 개도된 상태(개방 상태)(개도량 = 1)를 나타내며, 이 경우 제2 밸브(40)의 제1 포트(41)가 차단되므로 연료전지 스택(10)에서 나온 제1 냉각수는 모두 제1 라디에이터(60)를 경유할 수 있다.
연료전지 스택(10) 입구의 제1 냉각수 온도 T1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수학식 2에서, OR(open ratio)은 제2 밸브(40)의 개도량을 나타낸다. CK는 제2 밸브(40)의 개도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보정 계수를 의미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보정 계수의 설정을 통해 연료전지 스택(10) 입구의 제1 냉각수 온도 T3가 보다 세밀하게 목표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제2 밸브(40)의 개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T3가 목표 온도 T3c를 만족할 수 있도록 제2 밸브(40)의 개도량(OR)을 하기의 [수학식 3]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은 하드웨어 장치이거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온도 센서(512), 제2 온도 센서(514), 및 제3 온도 센서(516) 각각은 도 1의 제1 온도 센서(112), 제2 온도 센서(114), 및 제4 온도 센서(118)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밸브(532), 펌프(534), 및 냉각팬(536)은 각각 도 1의 제2 밸브(40), 제1 펌프(30), 및 냉각팬(8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프로세서(processor)나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이거나,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제어부(520)는 복수의 온도 센서(512, 514, 516), 밸브(532), 펌프(534), 및 냉각팬(536)과 연결되고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520)는 보정 계수 설정부(522), 개도량 산출부(524), 밸브 제어부(526), 펌프 제어부(528), 및 냉각팬 제어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2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은 별도로 존재하거나, 하나의 통합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보정 계수 설정부(522)는 밸브(532)의 개도량 제어를 위한 보정 계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계수 설정부(522)는 보정 계수의 초기값을 1로 설정하고, 제1 온도 센서(512)를 통해 측정된 연료전지 스택(10) 입구의 냉각수 온도와 목표 온도 간 차이에 기반하여 보정 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개도량 산출부(524)는 제2 온도 센서(514)를 통해 측정된 연료전지 스택(10) 출구의 냉각수 온도, 제3 온도 센서(516)를 통해 측정된 제1 라디에이터(60) 출구의 냉각수 온도, 기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보정 계수에 기반하여 밸브(532)의 개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도량 산출부(524)는 전술한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밸브(532)의 개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밸브 제어부(526)는 개도량 산출부(524)에 의하여 결정된 개도량에 따라서 밸브(532)의 개도를 조절하고, 펌프 제어부(528) 및 냉각팬 제어부(530)는 각각 펌프(534) 및 냉각팬(536)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밸브의 개도량 및 보정 계수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은 연료전지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또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예: 제어부(52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제어부(520)는 연료전지 스택(10) 입구의 목표 온도와 밸브(532)의 개도량 제어를 위한 보정 계수를 설정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제어부(520)는 연료전지 스택(10) 출구의 냉각수 온도(이하, '제1 냉각수 온도'로 참조될 수 있다)와 제1 라디에이터(60) 출구의 냉각수 온도(이하, '제2 냉각수 온도'로 참조될 수 있다)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제어부(520)는 제1 냉각수 온도, 제2 냉각수 온도, 목표 온도, 및 보정 계수에 기반하여 밸브 개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동작 640에서, 제어부(520)는 산출된 개도량이 지정된 범위(예: 0 초과 1 이하) 이내이면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냉각수 온도(이하, '제3 냉각수 온도'로 참조될 수 있다)와 목표 온도 간 비교에 기반하여 보정 계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밸브의 개도량 및 보정 계수를 제어하기 위한 보다 세부적인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5에서, 제어부(520)는 보정 계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0)는 보정 계수의 초기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제어부(520)는 목표 온도를 설정하고, 제1, 제2 냉각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715에서, 제어부(520)는 제1, 제2 냉각수 온도, 목표 온도, 및 보정 계수에 기반하여 밸브(532)의 개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제어부(520)는 산출된 개도량이 1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개도량이 1을 초과하면, 제어부(520)는 더 이상 밸브(532)의 개도를 통해 제3 냉각수 온도를 목표 온도까지 제어할 수 없으므로, 동작 725에서, 펌프(534) 및 냉각팬(536)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개도량이 1을 초과하지 않으면, 동작 730에서 제어부(520)는 개도량이 0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개도량이 0이면, 제어부(520)는 밸브(532)를 개도하지 않고(닫힌 상태) 동작 705 내지 동작 720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전지 시스템이 초기 승온 과정일 때 제3 냉각수 온도가 목표 온도 보다 작으므로 제어부(520)는 밸브(532)를 개도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개도량이 1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0이 아니면, 동작 735에서 제어부(520)는 제3 냉각수 온도가 목표 온도와 동일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520)는 제3 냉각수 온도가 목표 온도와 동일하지 않더라도 차이가 지정된 범위(예: 1%) 이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3 냉각수 온도가 목표 온도와 동일하거나 차이가 지정된 범위 이내이면, 제어부(520)는 보정 계수를 보정하지 않고 동작 705 내지 720을 반복할 수 있다.
제3 냉각수 온도와 목표 온도 간 차이가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동작 740에서, 제어부(520)는 목표 온도가 제3 냉각수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목표 온도가 더 크면 제어부(520)는 보정 계수를 감소시키며(동작 745), 반대로 목표 온도가 더 작으면 제어부(520)는 보정 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동작 750).

Claims (12)

  1.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1 라디에이터;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 또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밸브; 및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목표 온도와 상기 밸브의 개도량 제어를 위한 보정 계수를 설정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 출구의 제1 냉각수 온도와 상기 제1 라디에이터 출구의 제2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1 냉각수 온도, 상기 제2 냉각수 온도, 상기 목표 온도, 및 상기 보정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밸브의 개도량을 산출하고,
    상기 개도량이 지정된 제1 범위 이내이면,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제3 냉각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 간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보정 계수를 보정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냉각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 간 차이가 지정된 제2 범위 이내이면 상기 보정 계수를 이전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제3 냉각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 간 차이가 상기 제2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목표 온도가 상기 제3 냉각수 온도보다 크면, 상기 보정 계수를 감소시키고, 및
    상기 제3 냉각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 간 차이가 상기 제2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목표 온도가 상기 제3 냉각수 온도보다 작으면, 상기 보정 계수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입구에 배치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출구에 배치되는 제2 온도 센서;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출구에 배치되는 제3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라디에이터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된 냉각팬;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도량이 상기 제1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냉각팬 및 상기 펌프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팬 회전수의 감소 및 상기 펌프 회전수의 증가를 통해, 상기 제3 냉각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서 소비전력 총합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냉각팬 회전수 및 상기 펌프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며, 여기서 상기 소비전력 총합은 상기 냉각팬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소비전력 및 상기 펌프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소비전력의 총합을 나타내는, 연료전지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
    상기 냉각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냉각팬 제어부; 및
    상기 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펌프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부, 상기 냉각팬 제어부, 및 상기 펌프 제어부는 하나의 모듈로 통합된, 연료전지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장부품을 경유하는 제2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2 냉각라인;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2 라디에이터; 및
    상기 제1 냉각수 및 상기 제2 냉각수를 열교환하도록 설정된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 라디에이터 또는 상기 제2 라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9.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목표 온도와 밸브의 개도량 제어를 위한 보정 계수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연료전지 스택 출구의 제1 냉각수 온도와 제1 라디에이터 출구의 제2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제1 냉각수 온도, 상기 제2 냉각수 온도, 상기 목표 온도, 및 상기 보정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밸브의 개도량을 산출하는 동작;
    상기 개도량이 지정된 제1 범위 이내이면,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제3 냉각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 간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보정 계수를 보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를 보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3 냉각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 간 차이가 지정된 제2 범위 이내이면 상기 보정 계수를 이전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3 냉각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 간 차이가 상기 제2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목표 온도가 상기 제3 냉각수 온도보다 크면, 상기 보정 계수를 감소시키는 동작; 및
    상기 제3 냉각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 간 차이가 상기 제2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목표 온도가 상기 제3 냉각수 온도보다 작으면, 상기 보정 계수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도량이 상기 제1 범위를 벗어나면, 냉각팬 및 펌프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 및 상기 펌프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냉각팬 회전수의 감소 및 상기 펌프 회전수의 증가를 통해 상기 제3 냉각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서 소비전력 총합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냉각팬 회전수 및 상기 펌프 회전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소비전력 총합은 상기 냉각팬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소비전력 및 상기 펌프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소비전력의 총합을 나타내는, 방법.
KR1020210065745A 2021-05-21 2021-05-21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57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745A KR102576221B1 (ko) 2021-05-21 2021-05-21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17/513,036 US11522204B1 (en) 2021-05-21 2021-10-28 Method and a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oolant in fuel cell system
EP21207217.7A EP4092791B1 (en) 2021-05-21 2021-11-0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oolant in fuel cell system
CN202111400126.4A CN115377450A (zh) 2021-05-21 2021-11-23 燃料电池系统的温度控制装置及操作燃料电池系统的方法
JP2021190520A JP2022179295A (ja) 2021-05-21 2021-11-24 燃料電池システムで冷却水温度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745A KR102576221B1 (ko) 2021-05-21 2021-05-21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785A true KR20220157785A (ko) 2022-11-29
KR102576221B1 KR102576221B1 (ko) 2023-09-07

Family

ID=7859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745A KR102576221B1 (ko) 2021-05-21 2021-05-21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22204B1 (ko)
EP (1) EP4092791B1 (ko)
JP (1) JP2022179295A (ko)
KR (1) KR102576221B1 (ko)
CN (1) CN1153774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0485B (zh) * 2023-10-18 2024-02-06 康明斯新能源动力(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燃料电池发动机的冷却液加热装置及加热回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540A (ja) * 2003-12-04 2005-06-23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冷却システム
KR20120062270A (ko) *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1836B2 (ja) * 2002-07-05 2007-08-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6229643B2 (ja) 2014-11-15 2017-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搭載車両
JP6323344B2 (ja) 2015-01-21 2018-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電池システム
JP6766639B2 (ja) * 2016-12-26 2020-10-14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電池冷却システム
JP6766638B2 (ja) * 2016-12-26 2020-10-14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電池冷却システム
US11094950B2 (en) 2017-11-28 2021-08-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Equation based state estimator for cooling system controller
CN111439167B (zh) 2020-03-20 2021-11-09 清华大学 燃料电池汽车多环境综合热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540A (ja) * 2003-12-04 2005-06-23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冷却システム
KR20120062270A (ko) *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77450A (zh) 2022-11-22
EP4092791A1 (en) 2022-11-23
KR102576221B1 (ko) 2023-09-07
US20220376276A1 (en) 2022-11-24
JP2022179295A (ja) 2022-12-02
EP4092791B1 (en) 2024-03-27
US11522204B1 (en)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177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KR102550728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US11450873B2 (en) Fuel cell system for thermal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KR102576221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595285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효율 개선을 위한 방법
KR20230020621A (ko)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KR102518900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성능의 최적화를 위한 방법
KR102659321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20240105978A1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220148656A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20240063412A1 (en) Fuel cell system and thermal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230156546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것의 열관리 방법
KR20230156547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것의 열관리 방법
KR20230171233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30016906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의 열 관리 제어 방법
KR20240028790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의 열 관리 방법
KR20230021207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의 비상 운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