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321B1 -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321B1
KR102659321B1 KR1020210065752A KR20210065752A KR102659321B1 KR 102659321 B1 KR102659321 B1 KR 102659321B1 KR 1020210065752 A KR1020210065752 A KR 1020210065752A KR 20210065752 A KR20210065752 A KR 20210065752A KR 102659321 B1 KR102659321 B1 KR 10265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peed
pump
coolant
fuel cell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787A (ko
Inventor
원종보
최성경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5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321B1/ko
Priority to US17/513,041 priority patent/US11824233B2/en
Priority to EP21207227.6A priority patent/EP4092792B1/en
Priority to JP2021190521A priority patent/JP2022179296A/ja
Priority to CN202111405824.3A priority patent/CN115458770A/zh
Publication of KR20220157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01M8/04723Temperature of the coo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60L58/33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37Electrical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58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19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26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68Pressure; Flow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6Temperature of vehicle component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6Ambient conditions
    • B60L2240/662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44Purification of heat exchange medi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68Heating of fuel cells during the start-up of the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1 펌프,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1 라디에이터, 복수의 전장부품,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을 경유하는 제2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2 냉각라인,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2 펌프,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2 라디에이터, 상기 제1 라디에이터 및 상기 제2 라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된 냉각팬, 및 상기 제1 펌프, 상기 제2 펌프, 및 상기 냉각팬과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냉각수 온도와 제1 외기온에 기반하여 냉각팬 회전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의 소비전력에 기반하여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 상기 냉각팬 회전수, 및 제2 외기온에 기반하여 제2 펌프 회전수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OOLANT TEMPERATURE IN FUEL CELL SYSTEM}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가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로 사용되는 경우 지구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될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수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연료전지 스택에 전기화학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 중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연료전지 스택의 반응열을 시스템 외부로 제거하고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 온도를 제어하며 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열 관리 시스템(thermal management system, TMS)을 포함할 수 있다.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수 역할을 하는 부동액을 연료전지 스택으로 순환시켜 적정 온도(예를 들어, 60~70℃)를 유지시키는 냉각 장치의 일 종류로서, 냉각수가 순환하는 TMS 라인, 냉각수가 저장된 리저버,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 냉각수에 포함된 이온을 제거하는 이온 필터, 및 냉각수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라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냉각수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이 포함된 장치(예: 차량)의 내부를 냉난방하는 공조유닛(예를 들어, 난방용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열 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장부품의 적정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시 연료전지의 고출력이 요구되는 반면에 주행풍으로 인하여 연료전지가 냉각될 수 있다. 반면에, 건설기계는 정차시에도 레벨링 또는 로딩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므로 연료전지나 전장부품에서 고출력이 요구되지만 주행풍이 실질적으로 없어 전체 냉각량이 부족할 수 있다. 냉각량이 부족하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며 이는 연료전지와 전장부품의 안전성 및 내구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1 펌프,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1 라디에이터, 복수의 전장부품,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을 경유하는 제2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2 냉각라인,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2 펌프,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2 라디에이터, 상기 제1 라디에이터 및 상기 제2 라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된 냉각팬, 및 상기 제1 펌프, 상기 제2 펌프, 및 상기 냉각팬과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냉각수 온도와 제1 외기온에 기반하여 냉각팬 회전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의 소비전력에 기반하여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 상기 냉각팬 회전수, 및 제2 외기온에 기반하여 제2 펌프 회전수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냉각수 온도와 제1 외기온에 기반하여 냉각팬 회전수를 결정하는 동작, 복수의 전장부품의 소비전력에 기반하여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 상기 냉각팬 회전수, 및 제2 외기온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을 경유하는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펌프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의 고출력을 보장하는 것과 동시에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장부품의 열관리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냉각 성능을 확보하고 전장부품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냉각수 온도를 관리하기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펌프 회전수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펌프 회전수 및 냉각팬 회전수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연료전지 시스템은 차량의 연료전지 스택(10)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110)과 차량의 전장부품(power electronic parts)(200)을 경유하는 제2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2 냉각라인(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생략 가능하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라인(110)과 가열 루프(가열 순환 경로, 또는 난방 루프)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1 냉각라인(110)과 냉각 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연결라인(130), 제2 연결라인(150), 및 제3 연결라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 제2 연결라인(150), 또는 제3 연결라인(140)을 순환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냉각라인(110)은 차량의 초기 시동 상태에서는 냉간 시동 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연결라인(130) 및 제3 연결라인(140)과 가열 루프를 형성하고, 주행 중에는 연료전지 스택(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제1 냉각수가 제1 라디에이터(60)를 통과하는 냉각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기가 지정된 온도만큼 높은 경우, 제1 냉각라인(110)은 가열 루프를 형성하지 않으며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10)의 열을 통해 시동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1 냉각라인(110) 상에는 연료전지 스택(10), 제1 밸브(20), 제1 펌프(30), 제2 밸브(40), 및 제1 라디에이터(60)가 배치될 수 있다.
연료전지 스택(10)(또는, '연료전지'로 참조될 수 있다)은 연료(예를 들어, 수소)와 산화제(예를 들어, 공기)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료전지 스택(10)은, 수소 이온이 이동하는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막의 양쪽에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전극층이 부착된 막전극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반응기체들을 고르게 분포시키고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 반응기체들 및 제1 냉각수의 기밀성과 적정 체결압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 및 체결기구, 그리고 반응기체들 및 제1 냉각수를 이동시키는 분리판(bipolar plate)을 포함할 수 있다.
연료전지 스택(10)에서 연료인 수소와 산화제인 공기(산소)가 분리판의 유로를 통해 막전극접합체의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로 각각 공급되는데, 수소는 애노드로 공급되고, 공기는 캐소드로 공급될 수 있다. 애노드로 공급된 수소는 전해질막의 양쪽에 구성된 전극층의 촉매에 의해 수소 이온(proton)과 전자(electron)로 분해되며, 이 중 수소 이온만이 선택적으로 양이온교환막인 전해질막을 통과하여 캐소드로 전달되고, 동시에 전자는 도체인 기체확산층과 분리판을 통해 캐소드로 전달될 수 있다. 캐소드에서는 전해질막을 통해 공급된 수소 이온과 분리판을 통해 전달된 전자가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캐소드로 공급된 공기 중 산소와 만나서 물을 생성하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일어나는 수소 이온의 이동에 기인하여 외부 도선을 통한 전자의 흐름이 발생하며, 이러한 전자의 흐름으로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밸브(20)는 제1 냉각라인(110) 상에서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히터(50)가 배치된 제1 연결라인(13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20)는 제1 냉각라인(110)상에서 제1 펌프(30)의 일단, 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 및 연료전지 스택(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밸브(20)는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밸브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밸브(20)는 삼방 밸브(three way valve)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밸브(20)는, 제1 펌프(30)에 의해 펌핑된 제1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1 포트(21), 제1 밸브(20)를 통과하는 제1 냉각수가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2 포트(22), 및 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3 포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20)의 제2 포트(22) 및 제3 포트(23)가 개폐됨으로써,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가 제1 연결라인(130)의 히터(5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제2 포트(22)가 개방되고 제3 포트(23)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고, 이와 반대로 제3 포트(23)가 개방되고 제2 포트(22)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을 통해 히터(5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130)은 제1 냉각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제1 냉각라인(110)과 가열 루프(가열 순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라인(130)을 따라 유동하는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에 설치된 히터(50)를 통과하는 중에 가열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은 제1 펌프(30)의 출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지점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1 연결라인(130)의 다른 일단은 제1 펌프(30)의 입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지점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펌프(30)의 입구는 제1 냉각수가 제1 펌프(30)에 유입되는 입구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펌프(30)의 출구는, 제1 펌프(30)를 통과한 제1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구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펌프(30)의 출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는, 제1 펌프(30)로부터 배출된 제1 냉각수가 연료전지 스택(10)의 제1 냉각수 유입구(미도시)까지 유동하는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펌프(30)의 입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는, 연료전지 스택(10)의 냉각수 배출구(미도시)로부터 배출된 제1 냉각수가 제1 펌프(30)의 입구까지 유동하는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펌프(30)는 제1 냉각수를 강제적으로 유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펌프(30)는 제1 냉각수를 펌핑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펌프(30)의 종류 및 개수가 본 문서에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밸브(40)는 제1 냉각라인(110) 상에서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제1 라디에이터(6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밸브(40)는 제1 펌프(30)와 제1 라디에이터(6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 냉각라인(110) 상에 제공되며, 제3 연결라인(140)의 일단 및 제1 라디에이터(60)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밸브(40)는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1 라디에이터(6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밸브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밸브(40)는 사방 밸브(four way valve) 또는 삼방 밸브(three way valve)일 수 있다. 삼방 밸브인 경우, 제2 밸브(40)는 제3 연결라인(140)과 연결되는 제1 포트(41), 제1 라디에이터(60)를 통과하는 제1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2 포트(42), 및 제1 냉각수가 제1 펌프(30)로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3 포트(44)를 포함하며, 사방 밸브인 제2 밸브(40)는 제2 연결라인(15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포트(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밸브(40)의 제1 포트(41) 또는 제2 포트(42)가 개폐됨으로써,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가 제1 라디에이터(6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제1 포트(41)가 개방되고 제2 포트(42)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제1 라디에이터(60)를 거치지 않고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고, 이와 반대로 제2 포트(42)가 개방되고 제1 포트(41)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제1 라디에이터(60)를 거친 후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은 공조유닛(HVAC UNIT)(90)을 가열 하기 위하여 제1 냉각라인(110)과 난방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연결라인(150)은 공조유닛(90)의 난방용 히터(미도시)를 가열하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의 일단은 제1 지점(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이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는 지점)과 연료전지 스택(10)의 입구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1 냉각수 중 일부가 제2 연결라인(150)을 통해 순환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의 다른 일단은 제1 펌프(30)와 제2 지점(제1 연결라인(130)의 다른 일단이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는 지점)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에는 공조유닛(90)을 통과한 제1 냉각수의 이온을 필터링하는 이온 필터(95)가 구비될 수 있다. 시스템의 부식이나 용출(exudation) 등으로 인해 제1 냉각수의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면 제1 냉각수로 전기가 흐르게 되어 연료전지 스택(10)이 단락되거나 제1 냉각수 쪽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1 냉각수는 낮은 전기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온 필터(95)는 제1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냉각수에 포함된 이온을 제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동되는 제1 냉각수의 공급이 차단(제1 밸브(20)의 제2 포트(22) 차단)되는 냉시동 중에,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의 히터(50)를 경유하며 순환(승온 루프)함과 동시에, 제2 연결라인(150)을 따라서도 순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냉시동시에도 제2 연결라인(150)에 구비된 이온 필터(95)에 의한 필터링(제1 냉각수에 포함된 이온 제거)이 가능하다. 따라서, 냉시동 직후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연결라인(140)은 제1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하여 제1 냉각라인(110)과 냉각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연결라인(140)의 일단은 제1 펌프(30)와 제1 라디에이터(60)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3 연결라인(140)의 다른 일단은 연료전지 스택(10)의 냉각수 배출구와 제1 라디에이터(60)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라디에이터(60)는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라디에이터(60)는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라디에이터(6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라디에이터(60)는 제1 냉각수가 저장되는 제1 리저버(62)에 연결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10)과 제1 지점(제1 밸브(20))의 사이에서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112), 제1 연결라인(130)의 다른 일단과 제1 펌프(30)의 사이에서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114), 및 히터(50)에서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 센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온도 센서(112), 제2 온도 센서(114), 및 제3 온도 센서(116)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유입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냉각라인(110)을 따라 순환하는 제1 냉각수의 측정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제1 냉각수의 유입 유량을 미리 설정된 설정 유량보다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냉각수의 측정 온도가 낮으면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유입 유량을 낮게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연료전지 스택(10) 내부에 정체된 제1 냉각수의 온도와 연료전지 스택(10)에 유입되는 제1 냉각수 온도 간 편차에 의한 열 충격 및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냉각라인(120)은 차량의 전장부품(200)을 경유하도록 구성되며, 제2 냉각수는 제2 냉각라인(120)을 따라서 순환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전장부품(200)은, 차량의 전원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부품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전장부품(200)의 종류 및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전장부품(200)은 연료전지 스택(10)과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미도시) 사이에 구비되는 BHDC(bi-directional high voltage DC-DC converter)(210), 연료전지 스택(10)의 구동을 위한 외기를 공급하는 블로어(미도시)를 제어하는 BPCU(blower pump control unit)(220), 고전압 배터리에서 공급받은 직류 고전압을 직류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LDC(low-voltage DC-DC converter)(230), 연료전지 스택(10)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ACP)(240), 및 에어쿨러(air cooler)(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장부품(200)은 DC-DC 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라인(120) 상에는 제2 냉각수를 강제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 펌프(20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펌프(205)는 제2 냉각수를 펌핑할 수 있는 펌핑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펌프(205)의 종류 및 특성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냉각라인(120) 상에는 제2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라디에이터(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라디에이터(70)는 제2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라디에이터(70)의 종류 및 구조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라디에이터(70)는 제2 냉각수가 저장되는 제2 리저버(72)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냉각팬(80)에 의해 동시에 냉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는 나란하게 배치되고, 냉각팬(80)은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냉각팬(80)에 의해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가 동시에 냉각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조는 간소화되고 설계 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전력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팬(80)의 구조는 '듀얼 타입'으로 참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라디에이터(6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1 냉각팬(80)과 제2 라디에이터(7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냉각팬(85)이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팬(80)의 회전수를 제어할 때 전장부품(200)의 열부하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팬(80, 85)의 구조는 '멀티 타입'으로 참조될 수 있다.
열교환기(300)는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를 상호 열교환시키기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열교환기(300)가 포함되는 경우, 제1 냉각라인(110) 및 제2 냉각라인(120)은 제1 냉각수 및 제2 냉각수가 열교환을 수행하면서 유동할 수 있는 TMS(thermal management system) 라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냉각수 또는 제2 냉각수는 TMS 라인 상에서 냉매(cooling medium) 또는 열매(heat medium)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부품을 냉각하는 제2 냉각수의 온도가 연료전지 스택(10)을 냉각하는 제1 냉각수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므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라디에이터(60) 및 냉각팬(80)의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제1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연료전지 스택(1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은 주행풍을 사용할 수 없는 차량(예를 들어, 건설기계)의 정차 중에 제1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 스택(10)의 고출력 운전을 보장하고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열교환기(300)는 제1 라디에이터(60)의 출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2 냉각라인(120)은 열교환기(300)를 경유하도록 제2 라디에이터(70)의 출구와 전장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냉각수는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된 열교환기(300)를 따라 유동될 수 있으며, 제2 냉각라인(120)은 제1 냉각수에 노출(예를 들어, 제1 냉각수가 제2 냉각라인(120)의 둘레를 따라 유동)되도록 열교환기(300)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의 상호 열교환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제1 라디에이터(60)를 통과한 제1 냉각수의 제1 온도는 제2 라디에이터(70)를 통과한 제2 냉각수의 제2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고,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제1 냉각수의 제3 온도는 제1 온도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냉각수의 제1 온도는 제2 냉각수의 제2 온도보다 대략 10℃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300)를 통과(제2 냉각수와 열교환)한 제1 냉각수의 제3 온도는 제1 온도보다 1℃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따른 열교환기(300)는 제1 라디에이터(60)와 별도로 배치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열교환기(300)는 제1 라디에이터(6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300)는 제1 라디에이터(60)의 지정된 위치(좌측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건설기계와 같이 정차시에도 고출력이 요구되는 차량의 경우 전장부품(200)의 냉각 성능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냉각팬(80 또는 85)의 회전수, 외기온, 및 전장부품(200)의 목표 냉각 성능을 고려하여 제2 펌프(205)의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은 열교환기(300)의 배치, 냉각팬의 구조(예: 듀얼 타입 또는 멀티 타입), 라디에이터(60, 70)의 유입 풍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제2 펌프(205)의 회전수를 결정함으로써 제1 냉각라인(110)과 제2 냉각라인(120)이 공존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내의 냉각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하드웨어 장치이거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도 측정부(312)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온도 센서(112, 114, 1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측정부(312)는 연료전지 스택(10) 또는 전장부품(200)을 경유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소비전력 측정부(314)는 전장부품(200)의 소비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외기온 측정부(316)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외기온을 지정된 주기마다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프로세서(processor)나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이거나,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제어부(320)는 온도 측정부(312), 소비전력 측정부(314), 및 외기온 측정부(316)를 통해 측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펌프(30), 냉각팬(80 또는 85), 및 제2 펌프(205)의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어부(320)는 제1 목표 냉각 성능 산출부(321), 제2 목표 냉각 성능 산출부(322), 냉각팬 제어부(323), 제1 펌프 제어부(324), 및 제2 펌프 제어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목표 냉각 성능 산출부(321)는 연료전지 스택(10)의 출력과 효율에 기반하여 연료전지 스택(10)의 목표 냉각 성능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목표 냉각 성능 산출부(322)는 전장부품(200)의 소비전력 및 비효율에 기반하여 전장부품(200)의 목표 냉각 성능을 산출할 수 있다. 냉각팬 제어부(323)는 냉각팬(80 또는 85)의 회전수를, 제1 펌프 제어부(324)는 제1 펌프(30)의 회전수를, 제2 펌프 제어부(325)는 제2 펌프(205)의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320)에 포함된 구성들 각각은 별도의 모듈, 칩, 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의 통합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냉각수 온도를 관리하기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20)는 연료전지 스택(10) 입구의 냉각수 온도와 외기온(제1 외기온)에 기반하여 냉각팬(80) 회전수를 결정하고, 전장부품(200)의 소비전력에 기반하여 전장부품(200)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고, 이후 다시 측정된 외기온(제2 외기온)과 냉각팬(80) 회전수, 및 전장부품(200) 목표 냉각 성능에 기반하여 제2 펌프(205)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전장부품(200)이 목표 냉각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제2 냉각수의 유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유량에 기반하여 제2 펌프(205)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이 멀티 타입의 냉각팬(80, 85)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320)는 냉각팬(85) 회전수를 이용하여 제2 펌프(205)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전장부품(200) 목표 냉각 성능, 냉각팬(80) 회전수, 외기온, 및 제2 펌프(205) 회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예: 룩업(look-up) 테이블)를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 정보는 하기의 [표 1]로 표현될 수 있다.
펌프 회전수(단위: RPM)
목표 냉각 성능(kW) 0 A B
냉각팬 회전수(RPM) 0 a b 0 a b 0 a b
외기온(℃) <=-10 w-10,0,0 w-10,0,a w-10,0,b w-10,A,0 w-10,A,a w-10,A,b w-10,B,0 w-10,B,a w-10,B,b
0 w0,0,0 w0,0,a w0,0,b w0,A,0 w0,A,a w0,A,b w0,B,0 w0,B,a w0,B,b
10 w10,0,0 w10,0,a w10,0,b w10,A,0 w10,A,a w10,A,b w10,B,0 w10,B,a w10,B,b
20 w20,0,0 w20,0,a w20,0,b w20,A,0 w20,A,a w20,A,b w20,B,0 w20,B,a w20,B,b
30 w30,0,0 w30,0,a w30,0,b w30,A,0 w30,A,a w30,A,b w30,B,0 w30,B,a w30,B,b
40 w40,0,0 w40,0,a w40,0,b w40,A,0 w40,A,a w40,A,b w40,B,0 w40,B,a w40,B,b
50 w50,0,0 w50,0,a w50,0,b w50,A,0 w50,A,a w50,A,b w50,B,0 w50,B,a w50,B,b
[표 1]에서, 목표 냉각 성능 및 냉각팬 회전수는 각각 0 < A < B, 0 < a < b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2 펌프(205)의 성능은 유한할 것이므로, 제어부(32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제2 펌프(205) 회전수를 최대 회전수로 설정하고, 반대로, 제2 펌프(205)가 일정 수준 이하로 회전하면 냉각 성능에 영향이 없을 것이므로, 제어부(320)는 일정 수준 이하의 제2 펌프(205) 회전수를 최소 회전수로 설정할 수 있다. 외기온, 목표 냉각 성능, 및 냉각팬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값은 이산적(discrete)일 것이므로, 테이블 정보에 표현된 값들의 사이 값은 보간법(interpolation)으로 처리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연료전지 스택(10)의 목표 냉각 성능과 제1 펌프(30)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냉각팬(80)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20)는 연료전지 스택(10)의 출력 및 효율에 기반하여 연료전지 스택(10)의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고, 결정된 목표 냉각 성능과 연료전지 스택(10) 출구의 냉각수 온도에 기반하여 제1 펌프(30)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전장부품(200)의 소비전력 및 비효율에 기반하여 전장부품(200)의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목표 냉각 성능 산출부(322)는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전장부품(200)의 목표 냉각 성능(cooling performance, CP)을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power n은 전장부품(200) 구성(예: 210, 220, 230, 240, 250) 각각의 소비전력을, 1-Effn은 전장부품(200)의 구성 각각의 비효율을, a는 가중치를 나타낸다. N은 자연수로써 전장부품(200)의 구성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라디에이터(60, 70)가 냉각팬(80)을 공유하는 듀얼 타입이라도 라디에이터(60, 70) 각각의 면적 및 통기 저항에 따라서 라디에이터(60, 70)에 유입되는 풍량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320)는 냉각팬(80) 회전수와 제2 라디에이터(70)의 면적 및 통기 저항을 고려하여 제2 라디에이터(70)의 유입 풍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유입 풍량을 더 고려하여 제2 펌프(205)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펌프(205) 회전수가 최대이면, 제어부(320)는 전장부품(200)의 냉각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냉각팬(80) 회전수를 증가키실 수 있다. 냉각팬(80) 회전수 또한 최대이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열교환기(3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를 열교환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펌프 회전수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들은 연료전지 시스템 또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예: 제어부(32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제어부(320)는 연료전지 스택(10) 입구의 냉각수 온도와 제1 외기온에 기반하여 냉각팬(80)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제어부(320)는 제2 라디에이터(70)의 면적 및 통기 저항에 기반하여 제2 라디에이터(70)의 유입 풍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20)는 동작 520을 생략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제어부(320)는 소비전력에 기반하여 전장부품(200)의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제어부(320)는 전장부품(200)의 목표 냉각 성능, 냉각팬(80) 회전수, 및 제2 외기온에 기반하여 제2 펌프(205)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외기온은 제1 외기온이 측정된 이후에 측정된 외기온일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5의 동작 530의 일 예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제어부(320)는 전장부품(200)의 소비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전장부품(200)은 복수의 구성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320)는 복수의 전장부품(200) 각각의 소비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제어부(320)는 측정된 소비전력 및 전장부품(200)의 비효율(1-효율)에 기반하여 전장부품(200) 각각의 발열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제어부(320)는 산출된 각각의 발열량을 합산하여 전장부품(200) 전체의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펌프 회전수 및 냉각팬 회전수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10에서, 제어부(320)는 외기온(예: 제2 외기온)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제어부(320)는 외기온 및 냉각팬(80) 회전수에 기반하여 제2 펌프(205)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예: 도 5의 동작 540).
동작 730에서, 제어부(320)는 결정된 제2 펌프(205) 회전수에서 전장부품(200)의 냉각 성능이 목표 냉각 성능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장부품(200)의 냉각 성능이 목표 냉각 성능을 만족한다면, 동작 740에서 제어부(320)는 결정된 제2 펌프(205) 회전수 및 냉각팬(80) 회전수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저장된 회전수에 기반하여 제2 펌프(205) 및 냉각팬(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장부품(200)의 냉각 성능이 목표 냉각 성능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동작 750에서 제어부(320)는 제2 펌프(205)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펌프(205)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 미만이면, 제어부(320)는 동작 760에서 제2 펌프(205)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동작 710 내지 730을 반복할 수 있다. 제2 펌프(205)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 이상이면, 제어부(320)는 동작 770에서 냉각팬(80)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동작 710 내디 730을 반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1 펌프;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1 라디에이터;
    복수의 전장부품;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을 경유하는 제2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2 냉각라인;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2 펌프;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2 라디에이터;
    상기 제1 라디에이터 및 상기 제2 라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된 냉각팬; 및
    상기 제1 펌프, 상기 제2 펌프, 및 상기 냉각팬과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냉각수 온도, 제1 외기온 및 제1 펌프 회전수에 기반하여 냉각팬 회전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의 소비전력에 기반하여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 상기 냉각팬 회전수, 및 제2 외기온에 기반하여 제2 펌프 회전수를 결정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외기온은 상기 제1 외기온이 측정된 이후에 측정된 외기온인, 연료전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라디에이터의 면적 및 통기 저항에 더 기반하여 상기 펌프 회전수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 각각의 소비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소비전력 및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 각각의 비효율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 각각의 발열량을 산출하고, 및
    상기 발열량을 합산하여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펌프 회전수에서 전장부품 냉각 성능이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만족하면, 상기 제2 펌프 회전수 및 상기 냉각팬 회전수를 저장하고, 및
    상기 제2 펌프 회전수에서 전장부품 냉각 성능이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2 펌프 회전수 또는 상기 냉각팬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펌프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 미만이면 상기 제2 펌프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및
    상기 제2 펌프 회전수가 상기 최대 회전수 이상이면 상기 냉각팬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출력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효율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냉각팬 회전수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라인 및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와 상기 제2 냉각수를 열교환하도록 설정된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8. 연료전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 입구의 냉각수 온도, 제1 외기온 및 제1 펌프 회전수에 기반하여 냉각팬 회전수를 결정하는 동작;
    복수의 전장부품의 소비전력에 기반하여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 상기 냉각팬 회전수, 및 제2 외기온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을 경유하는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펌프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기온은 상기 제1 외기온이 측정된 이후에 측정된 외기온인,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를 냉각하도록 설정된 라디에이터의 면적 및 통기 저항에 더 기반하여 상기 펌프 회전수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 각각의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동작;
    상기 소비전력 및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 각각의 비효율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장부품 각각의 발열량을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발열량을 합산하여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회전수에서 전장부품 냉각 성능이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만족하면 상기 펌프의 회전수 및 상기 냉각팬 회전수를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펌프의 회전수에서 전장부품 냉각 성능이 상기 전장부품 목표 냉각 성능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펌프의 회전수 또는 상기 냉각팬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회전수 또는 상기 냉각팬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동작은,
    상기 펌프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 미만이면 상기 펌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동작; 및
    상기 펌프의 회전수가 상기 최대 회전수 이상이면 상기 냉각팬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 회전수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출력,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효율, 및 상기 연료전지를 경유하는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펌프의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냉각팬 회전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065752A 2021-05-21 2021-05-21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659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752A KR102659321B1 (ko) 2021-05-21 2021-05-21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17/513,041 US11824233B2 (en) 2021-05-21 2021-10-28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olant temperature in fuel cell system
EP21207227.6A EP4092792B1 (en) 2021-05-21 2021-11-0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olant temperature in fuel cell system
JP2021190521A JP2022179296A (ja) 2021-05-21 2021-11-24 燃料電池システムで冷却水温度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CN202111405824.3A CN115458770A (zh) 2021-05-21 2021-11-24 用于控制燃料电池系统中冷却剂温度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752A KR102659321B1 (ko) 2021-05-21 2021-05-21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787A KR20220157787A (ko) 2022-11-29
KR102659321B1 true KR102659321B1 (ko) 2024-04-19

Family

ID=7859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752A KR102659321B1 (ko) 2021-05-21 2021-05-21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24233B2 (ko)
EP (1) EP4092792B1 (ko)
JP (1) JP2022179296A (ko)
KR (1) KR102659321B1 (ko)
CN (1) CN115458770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1591B2 (ja) 2001-03-13 2005-04-2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燃料電池を搭載した車両の冷却装置
US6651761B1 (en) * 2001-09-27 2003-11-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fuel cell electric vehicle cooling circuit
JP4614688B2 (ja) * 2004-05-20 2011-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冷却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ハイブリッド車。
KR100911591B1 (ko) * 2007-12-14 2009-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의 고출력 부하시 열 및 공기 제어 방법
KR20110045290A (ko) * 2009-10-26 2011-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수 관리장치 및 방법
KR101610076B1 (ko) * 2010-12-06 201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냉각 시스템
CN111439167B (zh) 2020-03-20 2021-11-09 清华大学 燃料电池汽车多环境综合热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787A (ko) 2022-11-29
EP4092792A1 (en) 2022-11-23
CN115458770A (zh) 2022-12-09
JP2022179296A (ja) 2022-12-02
US11824233B2 (en) 2023-11-21
US20220376277A1 (en) 2022-11-24
EP4092792B1 (en) 202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177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US11450873B2 (en) Fuel cell system for thermal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US11843142B2 (en) Method for dealing with fault in fuel cell system
KR102576221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595285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효율 개선을 위한 방법
KR102659321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518900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성능의 최적화를 위한 방법
KR20220148656A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230156546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것의 열관리 방법
US20240105978A1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230171233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30156547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것의 열관리 방법
KR20230016906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의 열 관리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