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453A - 혈관계 전달 장치 및 관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혈관계 전달 장치 및 관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453A
KR20220157453A KR1020227036433A KR20227036433A KR20220157453A KR 20220157453 A KR20220157453 A KR 20220157453A KR 1020227036433 A KR1020227036433 A KR 1020227036433A KR 20227036433 A KR20227036433 A KR 20227036433A KR 20220157453 A KR20220157453 A KR 20220157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scular access
access device
connector
distal
deli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나단 칼 버크홀츠
메건 셰리치
Original Assignee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2015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45Coils or wires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3Mechanical advancing means, e.g. cathet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41Mechanisms for insertion of 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4Syringe barre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tal end, i.e. end closest to the tip of the needle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93Flashback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 접근 장치에 연결하는 기구 전달 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기구 전달 장치는 원위 커넥터(16), 근위 커넥터(18), 및 원위 커넥터 및 근위 커넥터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14)을 포함한다. 상기 기구 전달 장치는 원위 단부(22) 및 근위 단부(24)를 포함할 수 있는 혈관 접근 기구(12)를 포함한다.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감긴 위치에서 하우징의 루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감긴 위치에서 풀린 위치로 이동하고 원위 커넥터를 통해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혈관 접근 장치를 통해 환자의 혈관계로 확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혈관계 전달 장치 및 관련 시스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혈관 접근 장치에 결합되고 혈관 접근 장치를 통해 혈관 접근 기구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기구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혈관계에 체액을 주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카테터는 생리 식염수, 다양한 약물 또는 전체 비경구 영양재를 주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테터는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카테터는 바늘 위 말초 정맥("IV") 카테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 카테터는 끝이 뾰족한 유도 바늘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카테터 및 유도 바늘은 유도 바늘의 원위 선단이 환자의 피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바늘의 베벨(bevel)과 함께 카테터의 원위 선단을 넘어 연장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카테터와 유도 바늘은 일반적으로 피부를 통해 환자의 혈관계에 얕은 각도로 삽입된다.
혈관 내 유도 바늘 및/또는 카테터의 적절한 배치를 확인하기 위해 임상의는 일반적으로 카테터 조립체의 플래시백 챔버에 혈액의 "플래시백"이 있는지 확인한다. 바늘의 위치가 확인되면, 임상의는 일시적으로 혈관계의 흐름을 차단하고 바늘을 제거하여 향후 혈액 회수 또는 수액 주입을 위해 카테터를 제자리에 둘 수 있다.
카테터를 사용한 혈액 회수는 여러 가지 이유로 어려울 수 있으며, 특히 혈관 구조 내에서 카테터의 체류 시간이 하루 이상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카테터를 환자에게 장기간 삽입한 상태로 두면 카테터나 정맥이 좁아지거나, 무너지거나, 꼬이거나, 파편(예: 섬유소 또는 혈소판 응고)에 의한 막히거나, 혈관계에 카테터의 단부에 달라붙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테터 삽입 시 혈액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카테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카테터 체류 기간 동안 혈액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카테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적다. 따라서 혈액 샘플이 필요할 때 혈액 수집을 위한 정맥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 바늘 막대가 종종 필요하며, 이는 환자에게 고통을 줄 수 있고 더 높은 재료 비용을 초래한다.
본 명세서에서 청구되는 요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환경에서만 동작하거나 어떠한 단점을 해결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 배경은 여기에 설명된 일부 구현이 실시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혈관 접근 장치에 결합되고 혈관 접근 장치를 통해 혈관 접근 기구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기구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달 장치는 원위 커넥터, 근위 커넥터, 및 원위 커넥터와 근위 커넥터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 전달 장치는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는 혈관 접근 기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혈관 접근 기구에서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컴팩트 위치에서 하우징의 루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콤팩트 위치는 감긴 위치(coiled position)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는 컴팩트 위치에서 풀린 위치(uncoiled position)를 포함하는 신장 또는 뻗은 위치로 이동하고 원위 커넥터를 통해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달 장치는 원위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는 또다른 하우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또다른 하우징은 또다른 원위 커넥터, 또다른 근위 커넥터, 및 또다른 원위 커넥터 및 또다른 근위 커넥터를 통해 연장되는 또다른 루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또다른 하우징은 또다른 루멘 내에 배치된 일방향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감겨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는 튜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커넥터는 캐뉼러 또는 수형 루어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근위 커넥터는 암형 루어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정지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부의 외경은 혈관 접근 기구의 근위 단부가 원위 커넥터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루멘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부는 구형, 쐐기형,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정지부는 정지부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경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정지부는 유체가 정지부을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카테터 조립체를 환자의 혈관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카테터 조립체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댑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카테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기구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는 또다른 원위 커넥터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카테터 조립체를 환자의 혈관계에 삽입한 후, 카테터를 통해 혈관 접근 기구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를 통해 혈관 접근 기구를 전진시키는 단계는 사전 충전된 주사기를 근위 커넥터에 연결하는 단계 및 사전 충전된 주사기의 플런저를 누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원위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는 사전 충전된 주사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는 사전 충전된 주사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전 충전된 주사기의 플런저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콤팩트 위치에서 뻗은 위치로 이동하고 원위 커넥터를 통해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환자로부터의 혈액 수집, 환자로의 유체 전달, 환자 또는 장치 모니터링, 또는 환자의 혈관계 내에 있게 되는 기존 카테터를 활용함으로써 다른 임상적 요구를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는 혈관계에 대한 외상 감소, 혈액 수집 시간 감소, 및 채혈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 내부 또는 주변의 혈전 또는 피브린 시스 극복 중 하나 이상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혈관계 내에 있게 되는 카테터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바늘 스틱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는 코일 와이어, 가이드와이어, 프로브 및 튜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는 센서를 포함한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청구된 바와 같이 제한적이지 않다. 다양한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된 구성 및 수단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가 결합될 수 있거나,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그렇게 청구되지 않는 한 구조적 변경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아니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첨부 도면의 사용을 통해 추가적인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하우징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기구 전달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우징에 결합된 기구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진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혈관 접근 기구를 도시하는, 다른 하우징에 결합된 기구 전달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진 위치에 있는 혈관 접근 기구를 도시하는, 다른 하우징에 결합된 기구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감긴 위치에 있는 다른 예시적인 혈관 접근 기구를 도시하는, 다른 하우징에 결합된 기구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진 위치에 있는 다른 혈관 접근 기구를 도시하는, 다른 하우징에 결합된 기구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웨지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웨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혈관 접근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른 원위 커넥터를 도시하는, 혈관 접근 시스템의 일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7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감긴 위치에 있는 혈관 접근 기구를 도시하는 다른 기구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진 위치에 있는 혈관 접근 기구를 예시하는 다른 기구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달 장치(10)는 혈관 접근 장치에 연결되고 혈관 접근 장치 내로 및/또는 혈관 접근 장치를 통해 혈관 접근 기구(12)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달 장치(10)는 원위 커넥터(16), 근위 커넥터(18), 및 원위 커넥터(16) 및 근위 커넥터(18)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20)을 구비하는 하우징(1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커넥터(16)는 캐뉼러, 수형 루어 커넥터, 또는 다른 적절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근위 커넥터(18)는 암형 루어 커넥터 또는 다른 적절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암형 루어 커넥터는 무바늘 액세스 커넥터 또는 무바늘 액세스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암형 루어 커넥터는 격막 또는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달 장치(10)는 원위 단부(22) 및 근위 단부(24)를 포함할 수 있는 혈관 접근 기구(1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12)는 혈관 접근 기구(12)의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컴팩트한 위치에서 하우징(14)의 루멘(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콤팩트 위치는 감긴 위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감긴 위치는 혈관 접근 기구(12)가 콤팩트 위치에서 연장되거나 뻗은 위치로 이동할 때 혈관 접근 기구(12)가 걸려있게 되는 것(entanglement)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콤팩트 위치에서 혈관 접근 기구(12)의 길이는 뻗은 위치에서 혈관 접근 기구(1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12)는 뻗은 위치에서 일반적으로 직선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12)의 콤팩트한 위치는 혈관 접근 장치를 통해 연장하기에 충분한 길이의 혈관 접근 기구(12)의 하우징(14) 내에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하우징(14)이 콤팩트하게 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12)의 원위 단부(22)는 원위 개구(25)에 인접한 원위 커넥터(16)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혈관 접근 기구(12)가 콤팩트 위치에서 뻗은 위치로 이동할 때 혈관 접근 기구(12)가 걸려 있는 상대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달 장치(10)는 원위 커넥터(16)에 결합될 수 있는 또다른 하우징(2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또다른 하우징(26)은 또다른 원위 커넥터(28), 또다른 근위 커넥터(30), 및 또다른 원위 커넥터(28) 및 또다른 근위 커넥터(30)를 통해 연장되는 다른 루멘(3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또다른 하우징(26)은 또다른 루멘(32) 내에 배치된 일방향 밸브(3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일방향 밸브(34)는 덕빌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일방향 밸브(34)는 유체가 근위 방향이 아닌 일방향 밸브(34)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커넥터(16) 및/또는 또다른 원위 커넥터(28)는 캐뉼러, 수형 루어 커넥터, 또는 다른 적절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근위 커넥터(18) 및/또는 또다른 근위 커넥터(30)는 암형 루어 커넥터 또는 또다른 적절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커넥터(16)는 또다른 근위 커넥터(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12)의 원위 단부(22)의 외경은 혈관 접근 기구(12)가 원위 커넥터(16)를 통해 원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원위 커넥터(16)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12)의 근위 단부(24)는 정지부(3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정지부(36)의 외경(38)은 혈관 접근 기구(12)의 근위 단부(24)가 원위 커넥터(16)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루멘(20)의 직경(40)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부(36)는 구형, 쐐기형, 반구형, 원추형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부(36)의 근위 부분의 외경은 정지부(36)의 원위 부분의 외경보다 클 수 있고, 이는 원위 방향으로 기구를 운반하는 유체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부(36)는 루멘(20) 내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지부(36)는 루멘(2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부(36)는 루멘(20)을 형성하는 하우징(14)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4) 및 다른 하우징(26)은 개별 유닛일 수 있고 호환 가능한 커넥터를 통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 전달 장치(10)는 또다른 하우징(26)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일방향 밸브(34)가 예를 들어 특정 절차 또는 특정 카테터 조립체에 필요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4) 및 다른 하우징(26)은 단일 유닛으로서 모놀리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12)는 압축 위치로부터, 풀린 위치를 포함하는 뻗은 위치로 이동하고 원위 방향으로 원위 커넥터(16)를 통해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풀린 위치의 혈관 접근 기구(12)는 감긴 위치에 비하여 완전히 감겨지거나 덜 감겨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12)는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는 튜브의 길이를 따라 가변 외경 및/또는 가변 내경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는 튜브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외부 직경 및/또는 일정한 내부 직경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는 폴리머 재료 및/또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는 혈관 접근 기구(12)의 전진 동안 혈관계에 대한 외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준 말초 정맥내 카테터보다 더 작은 경도(durometer)를 갖는 연질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는 하나 이상의 경도계 및/또는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관형 기구 및 관련 장치 및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되어 2021년 1월 6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17/143,095호에 설명된 관형 기구를 포함하거나 그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국 특허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편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는 단일 또는 다중 재료 압출 또는 구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는 용매 결합, 접착제 결합, 스웨이징(swaging), 초음파 용접, 팁핑(tipping)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는 다중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는 단일 유닛으로서 모놀리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는 원위 개구, 근위 개구, 및 하나 이상의 측면 구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12)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감긴 위치에 배치되는 것 외에 감길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와이어의 길이의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 배치된 더 작은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와이어는 또한 전체 형상이 되도록 코일된 위치에 있을 때 더 큰 코일로 권취되어, 와이어는 코일 모양이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를 넘어 말단으로 연장하는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는 혈전 예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더 작은 코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더 작은 코일로 인해, 혈관 접근 장치를 환자의 혈관계에 삽입하는 동안 혈전이 혈관 접근 장치에 들어갈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더 작은 코일은 혈관 접근 장치(12)가 혈관 접근 장치를 통해 혈관계로 전진되는 것에 응답하여 혈관계에 대한 외상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더 작은 코일은 음압 하에서 혈관 접근 기구(12)를 통해 그리고 혈관 접근 장치로의 혈류를 촉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금속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부(36)는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36)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경로(41)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경로(41)는 정지부(36)의 중심축과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부(36)는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정지부(36)를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혈관 접근 기구를 포함할 수 있는 혈관계 접근 기구(12)의 근위 단부(24)는 억지 끼워맞춤, 압입 끼워맞춤, 마찰 끼워맞춤, 재료-본딩, 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을 통해 정지부(36)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정지부(36)는 중합체 재료, 엘라스토머 재료, 금속 재료, 및 다른 적절한 재료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장치는 환자의 혈관계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카테터 조립체(4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42)는 원위 단부(46), 근위 단부(48), 및 원위 단부(46) 및 근위 단부(48)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50)을 포함할 수 있는 카테터 어댑터(4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42)는 카테터 어댑터(44)의 원위 단부(46)로부터 말단으로 연장하는 카테터(5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52)는 말초 정맥내 카테터, 주변에 삽입된 중심 카테터, 또는 정중선 카테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달 장치(10)는 환자의 혈관계 내에 있을 수 있는 카테터 조립체(42)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달 장치(10)를 카테터 조립체(42)에 결합하는 것은 다른 원위 커넥터(28)를 카테터 조립체(42)에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달 장치(10)는 카테터 어댑터(44)의 근위 단부(48)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42)는 카테터 어댑터(44)의 측면 포트(55)에 통합된 연장 튜브(5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54)의 근위 단부는 예를 들어 Y-어댑터 또는 T-어댑터와 같은 어댑터(56)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달 장치(10)는 어댑터(56)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또다른 하우징(26) 및/또는 하우징(14)은 단일 유닛으로서 어댑터(56)와 모놀리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52)를 환자의 혈관계에 삽입한 후, 혈관 접근 기구(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52)를 통해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52)를 통해 혈관 접근 기구(12)를 전진시키는 단계는 사전 충전된 주사기(58)를 근위 커넥터(18)에 연결하고 사전 충전된 주사기(58)의 플런저(60)를 누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전 충전된 주사기(58)는 플런저(60)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카테터(52)를 통해 플러싱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식염수와 같은 플러싱 용액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4)은 임의의 적절한 사전충전형 주사기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12)는 하우징(14)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하우징(14)의 사전 충전된 주사기(58)의 플런저(60)가 눌려지는 것으로 인한 압력에 응답하여 원위 커넥터(16)를 통한 혈관 접근 기구(12)의 원위 단부(2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52)를 통한 플러싱은 "플러시-인-플레이스(flush-in-place)"로 지칭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플러싱이 발생할 때 카테터(52)가 환자의 혈관계 내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12)가 혈관 접근 기구(12)를 전진시키기 위해 컴팩트 위치에서 뻗은 위치로 이동할 때, 혈관 접근 기구(12)의 원위 단부(22)는 구불구불하지 않은 유체 경로: 원위 커넥터(16), 또다른 하우징(26), 어댑터(56), 연장 튜브(54), 측면 포트(55), 카테터 어댑터(44)의 원위 단부(46), 및 카테터(52)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또다른 연장 튜브(62)의 원위 단부는 어댑터(56)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또다른 연장 튜브(62)의 근위 단부는 뉴저지주 프랭클린 레이크스의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한 VACUTAINER®, 또는 다른 적절한 혈액 수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혈액 수집 장치(64)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12)가 뻗은 위치에 있고 카테터(52)에 대해 원위인 것에 응답하여 혈액 수집 장치(64)를 사용하여 혈액을 수집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달 장치(10)는 어댑터(56) 또는 카테터 조립체(42)의 다른 부분에 결합될 수 있는 무바늘 접근 커넥터(65)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무바늘 접근 커넥터(65)는 무바늘 접근 커넥터(65)를 통한 혈관 접근 기구(12)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불구불하지 않거나 일반적으로 직선인 경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또다른 원위 커넥터(28)는 어댑터(56), 무바늘 접근 커넥터(65), 또는 카테터 어댑터(44)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캐뉼러(6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뉼러(66)는 뭉툭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원위 커넥터(16)는 어댑터(56), 무바늘 접근 커넥터(65), 또는 카테터 조립체(42)의 다른 부분과 간섭하도록 내측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암(6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커넥터(16)는 캐뉼러(66) 및/또는 아암(68)을 포함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원위 커넥터(16)는 수형 루어 커넥터 또는 다른 적절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4)은 원위 커넥터(16)를 구비하는 사전 충전된 주사기(7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 접근 기구(12)는 사전 충전된 주사기(7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전 충전된 주사기(70)의 플런저(72)가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혈관 접근 기구(12)는 콤팩트 위치에서 뻗은 위치로 이동하고 원위 커넥터(16)를 통해 전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전 충전된 주사기(70)는 플런저(72)가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카테터(52)를 통해 플러싱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식염수와 같은 플러싱 용액으로 채워질 수 있다.
여기에 인용된 모든 예 및 조건부 언어는 독자가 본 발명 내용 및 본 발명이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적 목적을 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인용된 예 및 조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10: 기구 전달 장치
12: 혈관 접근 기구
14: 하우징
16: 원위 커넥터
18: 근위 커넥터
20: 루멘

Claims (20)

  1. 혈관 접근 장치에 결합되는 기구 전달 장치로서, 상기 기구 전달 장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원위 커넥터;
    근위 커넥터; 및
    상기 원위 커넥터 및 근위 커넥터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구비하는 혈관 접근 기구로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콤팩트 위치에서 하우징의 루멘 내에 배치되고,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콤팩트 위치로부터 뻗은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고, 상기 원위 커넥터를 통해 전진하도록 되는, 혈관 접근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커넥터에 결합된 또다른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또다른 하우징은 또다른 원위 커넥터, 또다른 근위 커넥터, 및 또다른 원위 커넥터 및 상기 또다른 근위 커넥터를 통해 연장되는 또다른 루멘, 상기 또다른 루멘 내에 배치된 일-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전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기구 전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전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튜브를 포함하는 기구 전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커넥터는 캐뉼러 또는 수형 루어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구 전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커넥터는 암형 루어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구 전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의 외경은 상기 혈관 접근 기구의 근위 단부가 상기 원위 커넥터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루멘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전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구형인 기구 전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웨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전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정지부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전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유체가 정지부를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전달 장치.
  13.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카테터 조립체를 환자의 혈관계에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카테터 조립체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구비하는 카테터 어댑터; 및
    상기 카테터 어댑터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카테터;를 포함하는, 삽입하는 단계;
    기구 전달 장치를 상기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구 전달 장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원위 커넥터;
    근위 커넥터; 및
    상기 원위 커넥터 및 근위 커넥터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혈관 접근 기구로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콤팩트 위치에서 하우징의 루멘 내에 배치되고, 혈관 접근 기구는 콤팩트 위치로부터 뻗은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고, 원위 커넥터를 통해 전진하는, 혈관 접근 기구;를 포함하는, 결합하는 단계; 및
    카테터 조립체를 환자의 혈관계에 삽입한 후 카테터를 통해 혈관 접근 기구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를 통해 혈관 접근 기구를 전진시키는 단계는 사전 충전된 주사기를 근위 커넥터에 결합하는 단계 및 사전 충전된 주사기의 플런저를 누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정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지부의 외경은 혈관 접근 기구의 근위 단부가 원위 커넥터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루멘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웨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전달 장치는 원위 커넥터에 결합된 또다른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또다른 하우징은 또다른 원위 커넥터, 또다른 근위 커넥터, 및 상기 또다른 원위 커넥터 및 또다른 근위 커넥터를 통해 연장되는 또다른 루멘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또다른 루멘 내에 배치된 일방향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기구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는 또다른 원위 커넥터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혈관 접근 장치에 결합되는 기구 전달 장치로서, 상기 기구 전달 장치는:
    사전 충전된 주사기를 구비하는 하우징으로서, 사전 충전된 주사기는 원위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미리 충전된 주사기 내에 콤팩트 위치에 배치된 혈관 접근 기구로서,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혈관 접근 기구는 콤팩트 위치로부터 뻗은 위치로 이동하고 원위 커넥터를 통해 전진하도록 된, 혈관 접근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전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충전된 주사기는 플런저를 포함하되, 상기 혈관 접근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의 외경은 혈관 접근 장치의 근위 단부가 원위 커넥터를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루멘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전달 장치.
KR1020227036433A 2020-03-23 2021-03-15 혈관계 전달 장치 및 관련 시스템 KR20220157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93470P 2020-03-23 2020-03-23
US62/993,470 2020-03-23
US17/195,230 2021-03-08
US17/195,230 US20210290247A1 (en) 2020-03-23 2021-03-08 Vascular instrument delivery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PCT/US2021/022394 WO2021194786A1 (en) 2020-03-23 2021-03-15 Vascular instrument delivery device and related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453A true KR20220157453A (ko) 2022-11-29

Family

ID=7774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433A KR20220157453A (ko) 2020-03-23 2021-03-15 혈관계 전달 장치 및 관련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290247A1 (ko)
EP (1) EP4126175A1 (ko)
JP (1) JP2023520673A (ko)
KR (1) KR20220157453A (ko)
CN (2) CN215741220U (ko)
AU (1) AU2021244148A1 (ko)
BR (1) BR112022019034A2 (ko)
CA (1) CA3172587A1 (ko)
MX (1) MX2022011861A (ko)
WO (1) WO20211947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2375A (en) * 1967-06-02 1971-03-23 David Rosenberg Twin valve t-connector
CA935059A (en) * 1970-02-27 1973-10-09 Jewett-Ashley Holding Corp. Catheter device
US3703174A (en) * 1970-07-14 1972-11-21 Medidyn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atheter injection
US6231564B1 (en) * 1995-09-29 2001-05-15 Medtronic Ave, Inc. Storable guidewire system
EP1009317A4 (en) * 1997-08-28 2001-01-24 Boston Scient Corp SYSTEM FOR IMPLANTING CROSSLINKED POLYSACCHARIDE FIBER AND METHODS OF FORMING AND INSERTING THE SAME
US7056306B1 (en) * 1998-02-05 2006-06-06 Mdc Investment Holdings, Inc. Fluid sampling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US8444658B2 (en) * 2003-07-07 2013-05-21 Andrew C. Kim Hydrodynamic suture passer
EP3725356B1 (en) * 2006-07-06 2021-09-15 Vascular Pathways Inc.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WO2008147861A1 (en) * 2007-05-22 2008-12-04 Wilson-Cook Medical Inc. Embolization coil delivery system
US7935082B2 (en) * 2007-09-27 2011-05-03 Biosense Webster, Inc. Control handle with device advancing mechanism
US9186100B2 (en) * 2011-04-26 2015-11-17 Velano Vascu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hlebotomy through a peripheral IV catheter
US9737686B2 (en) * 2012-03-12 2017-08-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adapter port valve
US20150224287A1 (en) * 2014-02-12 2015-08-13 Corvivo, Inc. Central Venous Catheter Kit
WO2017136729A1 (en) * 2016-02-05 2017-08-10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teerable intra-luminal medical device
US11045626B2 (en) * 2016-03-06 2021-06-29 Andrew N. Ellingson Guide wire device and method
US10617846B2 (en) * 2016-07-21 2020-04-14 Redsmith, Inc. Guidewire advancing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72587A1 (en) 2021-09-30
EP4126175A1 (en) 2023-02-08
WO2021194786A1 (en) 2021-09-30
MX2022011861A (es) 2022-10-20
CN215741220U (zh) 2022-02-08
JP2023520673A (ja) 2023-05-18
CN113425982A (zh) 2021-09-24
AU2021244148A1 (en) 2022-10-20
US20210290247A1 (en) 2021-09-23
BR112022019034A2 (pt)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7143B2 (ja) 血管アクセス器具用の送達デバイス
JP7459098B2 (ja) 血管アクセス器具のためのシリンジベースの送達装置
US11931531B2 (en) Plunger-based delivery device to facilitate vascular access
CN211835625U (zh) 导管输送装置和导管系统
US20210290926A1 (en) Spring-bas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ate vascular access
KR20220157484A (ko) 동적인 팁을 갖는 관형 기구 및 관련 장치 및 방법
US20210402152A1 (en) Coiled vascular access instrumen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00222681A1 (en) Needleless access connector facilitating instrument delivery to a catheter assembly
CN215741220U (zh) 器械递送装置
CN218279637U (zh) 血液采集装置以及导管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