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607A - Nr 사이드링크 불연속 수신 리소스 할당 - Google Patents

Nr 사이드링크 불연속 수신 리소스 할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607A
KR20220156607A KR1020227036683A KR20227036683A KR20220156607A KR 20220156607 A KR20220156607 A KR 20220156607A KR 1020227036683 A KR1020227036683 A KR 1020227036683A KR 20227036683 A KR20227036683 A KR 20227036683A KR 20220156607 A KR20220156607 A KR 20220156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aim
sensing
duration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룬 셀바네산
바리스 괴테페
토마스 페렌박
토마스 비르스
토마스 쉬엘
코넬리우스 헬게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Publication of KR20220156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UE)가 설명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UE)를 포함한다. UE는 사이드링크(SL)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UE와 통신한다. 상기 UE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동작한다.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 있을 때, UE는,
·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ON duration) 동안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UE부터 수신된 AIM(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으로부터, 및/또는
· 리스닝 듀레이션(listening duration) 동안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UE로부터 수신된 AIM으로부터, 및/또는
·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드링크 리소스 세트 또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및/또는
·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드링크 리소스 세트 또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송에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한다.

Description

NR 사이드링크 불연속 수신 리소스 할당
본 출원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링크(SL) 상의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SL 상의 DRX의 경우에서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102) 및 하나 이상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1, RAN2, .... RANN)를 포함하는 지상 무선 네트워크(100)의 개략적인 예시 도면이다. 도 1b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gNB1 내지 gNB5)을 포함할 수 있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n)의 개략적인 예시 도면이다. 여기에서, 각각의 기지국은 각각의 셀(1061~1065)로 개략적으로 표현되는 기지국 주변의 특정 영역에 대해 서비스한다. 기지국들은 셀 내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도록 마련된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은 허가 받은 또는 불허된 대역들에서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기지국(BS)이라는 용어는 5G 네트워크에서 gNB, UMTS/LTE/LTE-A/ LTE-A Pro 에서는 eNB, 또는 다른 모바일 통신 표준에서는 단순히 BS라고 지칭한다. 사용자는 고정된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또는 사용자에게 연결된 모바일 또는 고정된 IoT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IoT 디바이스는 물리적 디바이스, 로봇 또는 자동차와 같은 지상 차량, 드론을 지칭하는 무인 항공기(UAV) 또는 유인 항공기와 같은 항공기, 빌딩, 및 다른 아이템들 또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디바이스들은 임베디드된 전자부품, 소프트웨어, 센서, 액추에이터 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이들 디바이스가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성을 갖는다. 도 1b는 5개 셀의 예시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RANn 은 대략 이 정도의 셀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오직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두 사용자(UE1 및 UE2)를 보여주고, 이들은 사용자 장치(UE)라고 지칭되며, 셀(1062) 내에 위치하고 기지국(gNB2)에 의해 서비스된다. 기지국(gNB4)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1064) 내에 또 다른 사용자(UE3)가 보여진다. 화살표들(1081, 1082, 1083)은 사용자(UE1, UE2, UE3)로부터 기지국(gNB2, gNB4)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또는 기지국(gNB2, gNB4)으로부터 사용자들(UE1, UE2, UE3)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다운링크 연결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이것은 허가된 또는 불허된 대역들에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b는 셀(1064) 내의 2개의 IoT 디바이스(1101 and 1102)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은 고정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IoT 디바이스(1101)는 기지국(gNB4)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하여 화살표(1121)에 의해 도식적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IoT 디바이스(1102)는 화살표(1121)에 의해 도식적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UE3)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한다. 기지국들(gNB1~gNB5) 각각은 "코어"를 가리키는 화살표들에 의해 도 1b에 도식적으로 표현된 각각의 백홀(backhaul) 링크(1141~1145)를 통해, 예컨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02)에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지국 중 일부 또는 전부가 "gNBs"를 가리키는 화살표들에 의해 도 1b에 도식적으로 표현된 각각의 백홀 링크(1161~1165)를 통해, 예컨대 S1 또는 X2 인터페이스 또는 NR에서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채널은 UE 사이의 직접 통신을 허용하는데, 이는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to-device(D2D)) 통신이라고 지칭한다. 3GPP에서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는 PC5라 명명된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물리적 리소스 그리드(resource grid)가 이용될 수 있다. 물리적 리소스 그리드는 다양한 물리적 채널들 및 물리적 신호들이 매핑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채널들은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페이로드 데이터라고 지칭되는 사용자 지정 데이터를 전달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PDSCH), 물리적 업링크 채널(PUSCH), 및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을 포함하고, 예컨대 마스터 정보 블록(MIB), 하나 이상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 하나 이상의 사이드 링크 정보 블록(SLIB)을 전달하는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및 예컨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업링크 제어 정보(UCI) 및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전달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및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SCH)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는 2-스테이지 SCI를 지원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이것은 SCI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영역과, 선택적으로, 제어 정보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제어 영역을 가리킨다.
업링크를 위해, 물리적 채널들은 또한, UE가 MIB 및 SIB를 동기화하고 획득한 때 네트워크에 액세싱하기 위해 UE 들에 의해 이용되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또는 RA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신호들은 참조 신호들 또는 심볼들(RS), 동기 신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그리드는 시간 영역에서 특정 지속시간을 갖고 주파수 영역에서 주어진 대역을 갖는 라디오 프레임 또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미리 정의된 길이의, 예컨대 1ms의, 특정 개수의 서브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주기적 전치부호(CP) 길이에 따라 12 또는 14개의 OFDM 심볼들의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또한 예컨대, 단축된 전송 시간 간격(sTTI) 또는 단지 소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미니-슬롯(mini-slot)/넌-슬롯-기반(non-slot-based) 프레임 구조를 이용할 때, 더 적은 개수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OFDM 시스템, OFDMA 시스템, 또는 기타 CP가 있는 또는 없는 IFFT-기반의 신호 예컨대, DFT-s-OFDM과 같은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을 이용하는 싱글-톤(single-tone) 또는 멀티캐리어 시스템일 수 있다. 다중 액세스를 위한 비직교 파형 예컨대, FBMC(Filter-Bank MultiCarrier),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UFMC(Universal Filtered Multi Carrier))와 같은 또 다른 파형들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컨대, LTE-Advanced pro 표준, 또는 5G 또는 NR(New Radio) 표준, 또는 NR-U(New Radio Unlicensed) 표준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 묘사된 무선 네트워크 또는 통신 시스템은 예컨대, 각각의 매크로 셀이 기지국(gNB1~gNB5)과 같은 매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는 매크로 셀들의 네트워크와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들과 같은 소형 셀 기지국들(도 1에 미도시)의 네트워크와 같은 별개의 중첩된 네트워크들을 갖는 이종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전술한 지상 무선 네트워크에 더하여, 위성과 같은 우주 트랜시버 및/또는 무인 항공 시스템과 같은 항공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비-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NTN)가 또한 존재한다. 비-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지상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LTE-Advanced Pro 표준, 또는 5G 또는 NR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예컨대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네트워크, LTE 또는 5G/NR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PC5 또는 PC3 인터페이스 또는 WiFi direct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SL) 채널을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있을 수 있다. 사이드링크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다른 차량들과 직접 통신(V2V 통신)하는 차량들,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엔티티들 예컨대, 도로변 유닛들(roadside units, RSUs), 신호등, 표지판 또는 보행자와 같은 도로변 엔티티들과 통신(V2X 통신)하는 차량들을 포함할 수 있다. RSU들은 특정 네트워크 설정에 따라 BS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기능성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차량 관련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아닐 수 있고, 전술한 디바이스들 중 어느 것이든지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또한 SL 채널들을 이용하여 서로 직접 통신(D2D 통신)할 수 있다.
두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이드링크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는 것을 고려할 때, 두 사용자 디바이스는 동일한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 받을 수 있어, 기지국은 사용자 디바이스들에게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설정 또는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도 1에 묘사된 기지국들 중 하나와 같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 내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인-커버리지" 시나리오라고 부른다. 다른 시나리오는 "아웃-오브-커버리지" 시나리오라고 한다. "아웃-오브-커버리지"는 두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도 1에 묘사된 셀들 중 하나 안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 이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기지국에 연결될 수 없어, 예를 들어 그것들이 RRC 연결 상태에 있지 않아,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설정 또는 지원을 받지 못하고, 및/또는
- 이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의 이유로, 기지국이 사용자 디바이스들에게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설정 또는 지원(assistance)을 제공할 수 없고, 및/또는
- 이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NR V2X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없는 기지국 예컨대, GSM , UMTS, LTE 기지국들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이드링크를 통해 예컨대, PC5/PC3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로 직접 통신하는 것을 고려할 때, 사용자 디바이스들 중 하나는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고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대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기지국으로부터의 정보를 중계할 수 있고, 그 반대로 중계할 수 있다. 전달하는 것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in-band-relay)될 수 있고 또는 다른 대역이 이용될 수 있다(out-of-band relay). 첫 번째 경우에, Uu 상 및 사이드링크 상의 통신은 시분할 다중(TDD) 시스템에서와 같은 서로 다른 시간 슬롯들을 이용하여 분리될 수 있다.
도 2는 직접 서로 통신하는 두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되는 인-커버리지 시나리오를 도식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기지국 gNB는 도 1에 도식적으로 표현된 셀에 기본적으로 대응하는 원(200)에 의해 도식적으로 표현되는 커버리지 지역을 갖는다. 서로 직접 통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기지국(gNB)의 커버리지 지역(200) 내에 모두 위치하는 제1 차량(202) 및 제2 차량(204)를 포함한다. 두 차량들(202,204)은 기지국(gNB)에 연결되고, 덧붙여 그것들은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직접 연결된다. V2V 트래픽의 간섭 관리 및/또는 스케줄링은 기지국과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라디오 인터페이스인 Uu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gNB에 의해 보조된다. 즉, gNB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에게 SL 리소스 할당 설정 또는 지원(assistance)을 제공하고, gNB는 사이드링크를 통한 V2V 통신을 위해 사용될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이 설정은 또한 NR V2X에서는 모드 1 설정 또는 LTE V2X에서는 모드 3 설정이라고 한다.
도 3은 비록 그것들이 물리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셀 내에 위치할 수 있어도, 또는 서로 직접 통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기지국에 연결되나 기지국이 SL 리소스 할당 설정 또는 지원(assistance)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서로 직접 통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어느 것도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는 아웃-오브-커버리지 시나리오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3개의 차량들(206, 208, 210)이 예컨대,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이드링크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V2V 트래픽의 간섭 관리 및/또는 스케줄링은 차량들 사이에 구현된 알고리즘들에 기초한다. 이 설정은 또한 NR V2X에서 모드 2 설정 또는 LTE V2X에서 모드 4 설정이라고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웃-오브-커버리지 시나리오인 도 3의 시나리오는 NR에서의 모드 2 사용자 디바이스들 또는 LTE에서의 모드 4 사용자 디바이스들 각각이 기지국의 커버리지(200)의 외측에 있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NR에서의 모드 2 사용자 디바이스들 또는 LTE에서의 모드 4 사용자 디바이스들 각각이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 받지 못하거나, 커버리지 지역의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거나,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으나 기지국으로부터 어떠한 SL 리소스 할당 설정 또는 지원(assistance)을 수신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NR 모드 1 또는 LTE 모드 3 사용자 디바이스들(202, 204)에 더하여, NR 모드 2 또는 LTE 모드 4 사용자 디바이스들(206, 208, 210)이 도 2에 도시된 커버리지 지역(200) 내에 존재하는 상황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3은 중계기(relay)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아웃-오프-커버리지 사용자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210)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gNB에 연결될 수 있는 UE1과 사이드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UE1은 gNB 및 사용자 디바이스(210) 사이에 정보를 중계한다.
비록 도 2 및 도 3이 차량형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도해하였으나, 설명된 인-커버리지 및 아웃-오브-커버리지 시나리오들은 또한 비-차량형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적용할 수 있다. 즉, SL 채널들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직접 통신하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인-커버리지 및 아웃-오브-커버리지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중계 디바이스 또는 중계 노드가 기지국의 셀의 라디오 커버리지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소된 데이터 레이트, 더 약한 신호 및 더 높은 간섭과 같은 성능 이슈를 해결하기 위하여 채택될 수 있다. 중계 노드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잡음 정정(noise correction)을 적용하고 및 자체적으로 새로운 신호를 재 전송할 수 있다. 신호를 단지 반복하기 보다는, 중계 노드는 또한 신호 품질을 향상시킨다. 4G를 위한 3GPP 규격에, 사용자 디바이스-네트워크 중계(UE-to-Network relay)가 명시되어 있다. 도 4는 중계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자 디바이스-네트워크 중계기로서 동작하는 시나리오를 도해한다. 전술된 중계 디바이스 또는 중계 노드는 사용자 장비일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중계 사용자 디바이스라 한다. 도 4는 목적지(202) 예컨대 gNB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202a)의 엔티티 또는 코어 네트워크(202b)의 엔티티로 연결되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도해한다. 원격 사용자 디바이스로 지칭되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목적지 사이의 말단-말단(end-to-end) 통신은 원격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위해 코어 네트워크(202) 내의 목적지로의 연결성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중계 사용자 디바이스(206)를 이용한다. 원격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중계 사용자 디바이스는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중계 사용자 디바이스 및 액세스 네트워크는 Uu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NR 또는 5G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네트워크 중계에 덧붙여, 사용자 디바이스-사용자 디바이스 중계기가 지원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목적지(202)는 또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이다. 도 5는 중계기가 사용자 디바이스-사용자 디바이스(UE-to-UE) 중계기(206)인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원격의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202)에 연결되려고 하고, 중계 사용자 디바이스(206)는 원격의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위해 목적 사용자 디바이스(202)에 대한 연결성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성을 제공한다. 원격의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중계 사용자 디바이스는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중계 사용자 디바이스 및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202) 또한 PC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가 사용자 디바이스인 중계기를 도시하고 있지만, 중계기는 네트워크 연결성을 갖고, 코어 네트워크 또는 또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같은 목적지(202)에 원격의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연결할 수 있다면 어느 엔티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인티티는 그룹 리더 사용자 디바이스, 도로변 유닛(RSU) 또는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고정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중계 엔티티는 리소스의 스케줄링 등의 일부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중계 노드일 수 있다. 또한, 중계기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중계 노드 예컨대, 기지국 인프라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이는 인터넷 프로토콜(IP)-레벨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예컨대, 계층-2(L2) 또는 계층-3(L3) 동작하는 증폭 및 전달 (amplify and forward, AF) 중계 또는 디코딩 및 전달(decode-and-forward, DF) 중계에서와 같은 중계 기능성을 제공한다.
전술한 차량형 사용자 디바이스의 시나리오에서,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인 사용자 디바이스 그룹(간략히 그룹이라고 함)을 형성할 수 있고, 그룹 내의 또는 그룹 멤버들 사이의 통신이 PC5 인터페이스와 같은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형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전술한 시나리오는 차량형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장착된 복수의 차량들이 원격 운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함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는 운수 산업 분야에서 채택될 수 있다. 상호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하여 함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다른 사용 예들은 예를 들어, 공장 자동화 및 전력 공급을 포함한다. 공장 자동화의 경우, 공장 내의 복수의 동적 또는 정적 기계들에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장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로봇의 움직임 제어와 같은 기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함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력 공급의 경우, 전력 공급 그리드 내의 엔티티들은 시스템의 특정 지역 내에서 함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어 서로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시스템의 모니터링 및 전력 공급 실패 및 정전을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전술된 이용 사례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은 그룹 내 통신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사이드링크 통신은, UE들의 임의의 쌍(pair)과 같이 임의의 UE들 사이의 통신일 수 있다.
도 1,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UE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전술된 종래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UE에 대한 리소스 할당에 관한 개선 또는 향상이 필요할 수 있다.
어시스턴스 정보 메시지 또는 센싱을 통하여 리소스를 획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사용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며(예컨대 청구항 1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이드링크(SL)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모드에서 동작하며,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 있을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ON duration) 동안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AIM(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으로부터, 및/또는
· 리스닝 듀레이션(listening duration) 동안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AIM으로부터, 및/또는
·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드링크 리소스 세트 또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및/또는
·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드링크 리소스 세트 또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송에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2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AIM 및 상기 센싱 결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3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AIM 및 상기 센싱 결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 예컨대, 상기 센싱 결과에 의하여 상기 AIM의 리소스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AIM의 리소스보다 상기 센싱 결과를 선호하거나, 또는
· 예컨대, 상기 AIM의 리소스에 의하여 상기 센싱 결과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센싱 결과보다 상기 AIM의 리소스를 선호하거나, 또는
· 상기 AIM에 나타난(indicated) 리소스와 상기 센싱 결과에 나타난 리소스의 조합을 사용하거나, 또는
· 복수의 AIM 중 하나를 사용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4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참(true)일 때, 상기 AIM으로부터가 아닌 상기 센싱 결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한다:
· 센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사용되는 RSRP 임계치(threshold)가 상기 AIM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우선순위에 링크(link)됨,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센싱 결과를 획득하였을 때, 상기 AIM의 유효성이 만료됨.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5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참(true)일 때, 상기 센싱 결과로부터가 아닌 상기 AIM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한다:
· 상기 AIM의 우선순위가, 센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사용되는 RSRP 임계치에 링크된 우선순위보다 높음,
· 상기 AIM 이 수신될 때, 상기 센싱 결과가 아웃데이트됨(outdated).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6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AIM과 상기 센싱 결과의 조합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 상기 AIM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하지 않는 리소스만 포함된 경우에, 예컨대, 센싱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리소스로부터 상기 AIM에 나타난 리소스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센싱 결과를 사용하거나, 또는
· 상기 AIM에 및 상기 센싱 결과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난 리소스만 고려하거나, 또는
· 상기 AIM에 및 상기 센싱 결과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난 리소스만 고려하되, 해당 리소스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특정 신뢰성(reliability), 예컨대 RSRP 임계치와 같은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뢰성을 가지는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7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다수의 AIM을 수신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 예컨대, 제1 우선순위를 가지는 제1 AIM의 리소스에 의하여 상기 제1 우선순위보다 낮은 제2 우선순위를 가지는 제2 AIM의 리소스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1 AIM의 리소스를 상기 제2 AIM의 리소스보다 선호하거나, 또는
·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AIM을 사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다른 AIM을 오버라이드한다.
--- 어시스턴스 정보 메시지 ---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8 참조), 상기 AIM은, PSCCH와 같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자체 제어의 전송, 및/또는 PSSCH와 같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자체 데이터의 전송, 및/또는 PSFCH와 같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피드백의 전송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리소스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9 참조), 상기 AIM에 포함되는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리소스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유형에 의존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10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AIM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획득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어떠한 유형의 센싱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존하여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한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선택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11 참조), 상기 DRX 설정(configuration) 또는 상기 DRX 사전-설정(pre-configuration)은,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고, 대신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다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AIM에 나타난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통지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12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제어 패킷으로서, 예컨대 PC5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또는 MAC CE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AIM을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패킷으로서 상기 AIM을 수신하거나, 또는 예컨대 사이드링크 정보 블록(SLIB)과 같이 정보 블록으로서 상기 AIM을 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13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AIM을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DRX 설정을 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14 참조), 상기 업데이트된 DRX 설정은, 전송을 위하여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고, 대신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AIM에 나타난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통지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15 참조), 상기 AIM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어떠한 리소스에서도 전송을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리소스 또는 리소스 세트에서 전송을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명시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16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전송될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에 대한 상기 AIM을 수신하고, 상기 AIM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위하여 상기 AIM에 나타난 리소스를 사용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17 참조), 상기 AIM을 수반하는, SCI 또는 MAC CE와 같은 제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어떠한 리소스에서도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전송을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리소스 또는 리소스 세트에서 상기 전송을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18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로부터 AIM을 수신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AIM 소스들의 계층, 및/또는 상기 AIM과 연관된 우선순위, 및/또는 상기 AIM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발견되는 리소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준에 의하여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선택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19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상기 AIM을 요청(request)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20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 리소스 할당 절차에 지원(assistance)이 필요할 때, 및/또는
· 특정 DRX-설정을 선택했을 때, 및/또는
·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력 상태가 설정된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일 때 하나 이상의 상기 AIM을 요청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21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상기 리소스 할당 절차에서 지원을 필요로 한다:
· 하나 이상의 패킷의 전송이 높은 신뢰성(high reliability) 및/또는 낮은 레이턴시(low latency)를 필요로 하는 경우,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이용 가능한 센싱 결과가 불충분하거나 센싱 결과가 전혀 없는 경우, 예컨대, 리소스 풀의 변경의 경우,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전력 레벨이 설정 및/또는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센싱 노력을 줄임으로써 전력 소비를 개선하고, 설정 및/또는 사전 설정된 리소스 세트/리소스 풀로 센싱을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
--- ON 듀레이션 동안의 센싱 ---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22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동안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획득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23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긴 DRX 사이클과 같은 현재 사용되는 DRX 사이클로부터 짧은 DRX 사이클과 같은 신규 DRX 사이클로 전환하고, 상기 신규 DRX 사이클은, 상기 현재 사용되는 DRX 사이클의 상기 ON듀레이션들이 이격되는 시간(time period)보다 더 짧은 시간 간격, 예컨대, OFF 듀레이션(OFF duration)에 의하여 이격되는 연속적인 ON 듀레이션들을 가진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24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특정 센싱 윈도우 동안, 센싱 결과의 수가 임계치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센싱 결과와 연관된 신뢰값(confidence value)이 임계치 미만인 것과 같이 불충분한 센싱 결과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신규 DRX 사이클로 전환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25 참조), 상기 현재 사용되는 DRX 사이클의 상기 DRX 설정은 센싱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리소스의 부족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치 미만으로 내려가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신규 DRX 사이클로 전환하며, 상기 신규 DRX 사이클의 상기 DRX 설정도 포함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26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특정 센싱 윈도우 동안, 상기 센싱 결과가 충분한 수의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신규 DRX 사이클로부터 상기 현재 사용되는 DRX 사이클로 다시 전환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27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짧은 DRX 사이클에서와 같이, 연속적인 ON 듀레이션들 사이의 간격이 특정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만 복수의 ON 듀레이션 동안 센싱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28 참조), 정규 DRX 사이클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정규 DRX 사이클이 상기 ON 듀레이션에 있을 때마다 센싱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의 센싱 ---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29 참조),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상기 ON 듀레이션보다 앞서는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으로서, 상기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은 상기 ON 듀레이션과 연속되거나 또는 상기 ON 듀레이션으로부터 특정 시간만큼 오프셋됨
· 상기 ON 듀레이션 이후의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으로서, 상기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은 상기 ON 듀레이션과 연속되거나 또는 상기 ON 듀레이션으로부터 특정 시간만큼 오프셋됨
· 상기 ON 듀레이션보다 앞서는 복수의 리스닝 듀레이션으로서, 각각의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은 특정 시간만큼 서로 오프셋됨
· 상기 ON 듀레이션 이후의 복수의 리스닝 듀레이션으로서, 각각의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은 특정 시간만큼 서로 오프셋됨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어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의 상기 AIM만을 청취(listen)하는 상기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예컨대, "라이트(light)" DRX 사이클과 유사함.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30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획득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센싱 또는 AIM의 수신만 수행하고,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어떠한 제어 및/또는 데이터도 전송하거나 디코딩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31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및 적어도 일부의 상기 ON 듀레이션 동안, 예컨대,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정규 DRX 사이클 설정에 응답하여, 센싱을 수행한다.
어시스턴스 정보 메시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이드링크(SL)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이드링크(SL)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하고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예컨대 릴레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상기 리소스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AIM(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을 이용하여 전송에 이용 가능한 결정된 상기 리소스를 전송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예컨대 청구항 32 참조).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33 참조),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 그룹을 형성하고,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른 그룹 멤버들 중 하나 이상이
o 센싱을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또는
o 상기 ON 듀레이션을 감소시키도록, 또는
o 상기 ON 듀레이션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을 활성화하도록, 또는
o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을 감소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AIM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다른 그룹 멤버들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한다.
일반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34 참조),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 있을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연결되지 않아서, 예컨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모드 2(Mode 2)에서 동작하거나 또는 RRC 연결 상태에 있지 않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설정(configuration)이나 지원(assistance)을 수신하지 않고, 및/또는
· 하나 이상의 이유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설정이나 지원을 제공할 수 없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연결되고, 및/또는
· NR V2X 서비스와 같은 사이드링크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예컨대 GSM, UMTS, 또는 LTE 기지국에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35 참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UE)는 전력-제한(power-limited) UE, 또는 보행자에 의하여 사용되고 취약한 도로 사용자(Vulerable Road User, VRU) 또는 보행자 UE(Pedestrian UE, P-UE)로 지칭되는 UE와 같은 핸드헬드 UE, 또는 공공 안전 요원 및 긴급 구조요원에 의하여 사용되고 공공 안전 UE(Public safety UE, PS-UE)라고 지칭되는 온-바디(on-body) 또는 핸드헬드 UE, 또는 IoT UE(예: 센서, 엑츄에이터 또는 캠퍼스 네트워크에 제공되어 반복적인 태스크를 수행하고 주기적 간격으로 게이트웨이 노드로부터 입력을 요구하는 UE), 또는 모바일 터미널, 또는 고정 터미널, 또는 셀룰러 IoT-UE, 또는 차량용 UE, 또는 차량용 그룹 리더(group leader, GL) UE, 또는 IoT 또는 협대역 IoT(NB-IoT) 디바이스, 또는 지상 기반 차량(ground based vehicle), 또는 항공 차량(aerial vehicle), 또는 드론, 또는 이동 기지국, 또는 도로변 유닛(road side unit, RSU), 또는 빌딩,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임의의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예: 센서, 또는 엑추에이터), 또는 사이드링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임의의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예: 센서, 또는 엑추에이터), 또는 임의의 사이드링크 가능 네트워크 엔티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시스템
본 발명은 복수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예컨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트링크 리소스 세트로부터 리소스를 사용하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하여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예컨대 청구항 36 참조).
실시예에 따르면(예컨대 청구항 37 참조),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매크로 셀 기지국, 스몰 셀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또는 도로변 유닛(RSU),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UE), 또는 그룹 리더(GL), 또는 릴레이, 또는 원격 라디오 헤드, 또는 AMF, 또는 SMF, 또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EC) 엔티티, 또는 NR 또는 5G 코어 컨텍스트에서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임의의 송신/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방법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사이드링크(SL)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
DRX(Discontinuous Reception)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 있을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ON duration) 동안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AIM(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으로부터, 및/또는
· 리스닝 듀레이션(listening duration) 동안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AIM로부터, 및/또는
·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드링크 리소스 세트 또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및/또는
·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드링크 리소스 세트 또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송에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예컨대 청구항 38 참조).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사이드링크(SL)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사이드링크(SL)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하고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예컨대 릴레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상기 리소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예컨대 AIM(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을 이용하여 전송에 이용 가능한 결정된 상기 리소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예컨대 청구항 39 참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UE에서 사이드링크를 통한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의 신뢰성 있는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접근 방식들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의 도식적인 표현을 보여준다.
도 2는 서로 직접 통신하는 두 사용자 디바이스가 모두 기지국에 연결되는 인-커버리지 내(in-coverage) 시나리오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도 3은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서로 직접 통신하는 아웃-오브-커버리지(out-of-coverage) 시나리오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도 4는 중계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자 디바이스-네트워크(UE-to-Network) 중계기로서 동작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5는 중계기가 사용자 디바이스-사용자 디바이스(UE-to-UE) 중계기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6은 기지국과 같은 송신기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UE)와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턴스 정보(assistance information)를 통한 리소스 할당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사이드링크 UE에서 AIM을 수신하기 위하여 추가 리스닝 듀레이션을 이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하나 이상의 리스닝(listening)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X 사이클을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기적 리스닝 듀레이션을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DRX 모드에서 동작하고 SL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하는 SL UE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유닛들 또는 모듈들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라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가 실행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고,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들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가 할당된다.
도 1,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는,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간(vehicle-to-vehicle, V2V) 통신, 차량과 임의의 장치 간 통신(vehicle-to-anything communication), 또는 위에서 언급된 예시와 같은 다른 사용 디바이스들 사이의 디바이스 간(device-to-device, D2D) 통신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NR-Uu 동작 또는 PC5 동작과 같은 사이드링크 동작에서, UE는 네트워크 및 다른 UE로부터 각각 수신할 수 있도록 항상 깨어 있고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이는 UE가 송신 또는 수신할 데이터가 없을 때에도 항상 켜져 있기 때문에, UE에서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킨다. NR V2X 와 같은 차량 이용 사례의 경우, 차량용 UE(V-UE)들은 충분한 전력 소스(예: 차량의 온보드 배터리)를 가지는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절전은 관심사가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사이드링크 통신 또는 사이드링크 PC5 동작은 차량용 UE의 동작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정기적으로 재충전이 필요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일반 사용자 디바이스와 같이, 제한된 또는 한정적인 전원을 가진 다른 UE들이 사이드링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UE들은 보행자 UE(pedestrian UE, P-UE)와 같은, 소위 취약한 도로 사용자(Vulnerable road users, VRU), 또는 공공 안전 이용 사례를 위한 긴급 구조요원(first responder) 디바이스, 또는 일반 IoT UE 또는 산업용 IoT UE와 같은 IoT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UE들은, 지속적인 전원과 연결되지 않고 그들의 배터리에 의존하기 때문에 절전이 중요하다.
NR에서 UE에서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Uu 인터페이스에서 DRX(discontinuous reception)가 사용된다. DRX는 UE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슬립 모드로 들어가는 메커니즘으로, 그 동안은 어떠한 데이터도 송수신을 하지 않는다. UE는 다른 시간 구간 동안에는 깨어 있으며, 이때에는 UE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DRX의 주요 측면 중 하나는, DRX 사이클이라고도 지칭되는, 웨이크업 및 슬립 사이클 관점에서의 UE와 네트워크 간의 동기화이다.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는 슬립 모드에 있는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시도함으로써, UE가 깨어났을 때 수신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NR-Uu 인터페이스에서 이러한 상황은 슬립 및 웨이크업 사이클 측면에서 UE와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 간에 명확히 정의된 합의를 유지함으로써 방지된다. 즉, gNB에 의하여 DRX로 UE를 설정함으로써, DRX는 gNB와 동기화된다. DRX 사이클은 고정된 시간 간격 내에서 ON 시간과 OFF 시간을 모두 포함하고, NR Uu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짧은(short) DRX 사이클 및 긴(long) DRX 사이클이 정의된다. 여기서, 짧은 DRX 사이클은 타임 슬롯 내에서 몇 개의 심볼들에 걸쳐 있을 수 있고, 긴 DRX 사이클은 전체 타임 슬롯 또는 다수의 타임 슬롯들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비활성 타이머는 다음과 같은 설정(configuration)으로, 신규 전송을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디코딩 한 이후 UE가 활성화될 수 있는 연속적인 제어 메시지들의 개수를 명시할 수 있다:
* 타이머는 신규 전송을 위한 제어 메시지 및/또는 UE로 주소 지정된, 예컨대, UE-특정 RNTI 또는 그룹-특정 RNTI에 의하여 스크램블된(scrambled) 임의의 다른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재시작된다.
* 타이머가 만료되면, UE는 DRX 모드 또는 OFF 시간으로 들어간다.
사이드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NR의 UE에서도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사이드링크에서도 DRX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이드링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UE는 커버리지 내 또는 커버리지 밖에 있을 수 있다. UE가 커버리지 내에 있을 때, DRX 모드에서 사이드링크를 통하여 동작하는 경우에도, DRX 사이클을 알고 있는 gNB 는 사이드링크를 통한 UE에 의한 전송을 위하여 리소스 할당을 처리한다. 이는 UE가 커버리지 밖에 있을 때, 예컨대 UE가 모드 2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DRX 모드에서 동작하고 커버리지 밖에 있는 UE에 의한 사이드링크를 통한 전송을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1,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지국, 및 모바일 단말 또는 IoT 디바이스와 같은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기지국과 같은 송신기(300), 및 사용자 디바이스(UE)와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302, 304)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식적 표현이다. 송신기(300) 및 수신기(302, 304)는 라디오 링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링크 또는 채널(306a, 306b, 308)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송신기(3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ANTT)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서로 결합된 신호 프로세서(300a)와 트랜스시버(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302, 304)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ANTUE) 또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서로 결합된 신호 프로세서(302a, 304b), 및 트랜스시버(302b, 304b)를 포함한다. 기지국(300)과 UE(302, 304)는 Uu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라디오 링크와 같은 각각의 제1 무선 통신 링크(306a, 306b)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반면, UE(302, 304)는 PC5 또는 사이드링크(SL)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라디오 링크와 같은 제2 무선 통신 링크(308)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UE가 기지국에 의하여 서비스되지 않을 때,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을 때, 예컨대, UE가 RRC 연결 상태에 있지 않거나,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에 의하여 SL 리소스 할당 설정 또는 어시스턴스가 제공되지 않을 때,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6의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도 6의 하나 이상의 UE(302, 304), 및 도 6의 기지국(3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UE에서 사이드링크를 통한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의 신뢰성 있는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접근 방식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근 방식은,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 있을 때, 사이드링크를 통한 전송을 비롯하여 사이드링크를 통한 통신을 위한 신뢰할만한 리소스를 획득할 필요가 있는, 사이드링크를 통하여 통신하고 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UE에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들은 사이드링크 PC5를 통하여 통신하는 다음의 유형의 UE들에 관한 것이다.
· 보행자 UE(pedestrian UE, P-UE)들과 같은 취약한 도로 사용자(Vulnerable road users, VRU): 이러한 UE들은 기본적으로 모바일폰과 같이, 보행자가 사용하는 핸드헬드 UE들이다. UE는 차량용 UE(vehicular UE, V-UE)들이 UE의 위치를 인지하도록 V-UE들에게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V-UE들은 그들이 근접해 있고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UE로부터의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
· 공공 안전 UE(Public safety UE, PS-UE)들: 이러한 UE들은, 경찰관, 구급대원, 및 소방관과 같은 공공 안전 요원 및 긴급구조 요원에 의하여 사용되는 온-바디(on-body) 또는 핸드헬드 UE들일 수 있다. PS-UE들은 항상 전송 및 수신 기능을 모두 필요로 한다.
· IoT-UE들: 이러한 UE들은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엑추에이터, 또는 기타 저전력 노드 또는 파워 릴레이 (powered relay) 및/또는 처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 산업용 IoT-UE들: 이러한 UE들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고 주기적 간격으로 게이트웨이 노드로부터 입력을 획득하도록 설계된 폐쇄된 캠퍼스 네트워크 내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IoT-UE들의 예로는 공장 현장에서 반복적인 태스크를 수행하는 로봇들이 있다.
사이드링크를 통하여 통신하고 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UE는, 예컨대, 전술된 바와 같이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모드 2에서 동작할 때, UE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리소스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UE가 전력 효율적인 방식으로 신뢰할 수 있는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데이터의 SL 전송에 요구되는 신뢰할 수 있는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UE가 항상 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DRX 사이클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UE는 전송에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제공받거나, 또는 전송에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소스에 대한 센싱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송에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은 후보 리소스들 또는 후보 리소스들의 세트로도 지칭된다.
--- 어시스턴스 정보---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이드링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커버리지 밖 UE에 대한 리소스 할당은 소위 어시스턴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모드 2에서 동작하는 UE와 같이, 커버리지 밖 UE는 gNB 에 의하여 지원되지 않고 그 주변에 있는 다른 UE로부터 어시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어시스턴스 정보는 다른 UE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예컨대 PC5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를 사용하여 전송되거나, 또는 데이터 패킷으로 전송될 수 있다. 어시스턴스 정보는 어시스턴스 정보 메시지(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 AIM)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AIM은 UE를 위한 리소스 세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전송을 위하여 주어진 UE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 PSCCH와 같은, UE자신의 제어 메시지의 전송,
· PSSCH와 같은, UE 자신의 데이터의 전송
· PSFCH와 같은, UE의 피드백의 전송. UE는 미리 정의된 리소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컨대, 제2 스테이지 SCI에서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전송하거나 또는 PSFCH에서 CSI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폴링될 수 있다(be polled).
예컨대, 전술된 P-UE를 고려할 때, 이러한 P-UE는 다른 차량용 UE(V-UE)들이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하여 자신의 위치를 전송하기 위한 리소스가 필요하다. 반면에, 전술된 PS-UE들 또는 IoT-UE들의 경우, AIM은 UE 타입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S-UE들 및 IoT-UE들은 사전 정의된 메시지 타입 및 사이즈를 가질 수 있으며, AIM을 센싱하는 UE는 이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이러한 메시지들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가능케 하는 PS-UE 또는 IoT-UE를 위한 적합한 리소스를 센싱한다.
AIM은 구현된(implemented)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ON duration) 또는 리스닝 듀레이션(listening duration) 동안 하나 이상의 다른 UE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액티브(active) DRX 사이클의 경우, UE는 AIM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UE들로부터 AIM내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UE는 ON 듀레이션의 시작 부분에서 AIM을 수신하고, AIM에 의하여 표시된 대로, 수신된 AIM에 포함된 리소스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ON 듀레이션의 잔여 부분 또는 임의의 후속 ON 듀레이션 동안 자신의 위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함으로써, PS-UE에 인접한 곳에 있는 V-UE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전송 이후에, PS-UE는 OFF 듀레이션(OFF duration)으로 복귀될 수 있다. 즉, AIM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UE가 자체적으로 센싱을 수행하지 않고, UE는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동안 AIM을 수신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사이드링크를 통한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턴스 정보를 통한 리소스 할당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SL UE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DRX 사이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DRX 사이클은 ON 듀레이션 및 OFF 듀레이션을 포함한다. OFF 듀레이션 동안, UE는 활성화되지 않고 수신 또는 전송을 하지 않는다. ON 듀레이션 동안에만 UE가 활성화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ON 듀레이션 동안 UE는 AIM을 수신(①)하고, AIM으로부터 전송을 위한 리소스 정보를 도출하고, UE가 AIM으로부터 획득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②). DRX 사이클은 짧은(short) DRX 사이클 또는 긴(long) DRX 사이클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짧은 DRX 사이클에서는, 긴 DRX 사이클에서보다 간격 또는 다음의 ON 듀레이션들 사이의 OFF 듀레이션이 더 짧다. 예를 들어, 짧은 DRX 사이클 및 긴 DRX 사이클에서의 ON 듀레이션은 동일 시간, 예컨대 2 개 이상의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들 또는 심볼들에 걸쳐질 수 있다. 그러나, 긴 DRX 사이클에서 후속의 ON 듀레이션들 사이의 OFF 듀레이션이, 예컨대 7 개 서브 프레임인 것과 비교할 때, 짧은 DRX 사이클에서의 후속의 ON 듀레이션들 사이의 OFF 듀레이션은 예컨대 3개 서브 프레임으로서 더 짧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DRX 사이클은 12개 또는 14개 직교 주파수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multiplexing, OFDM) 심볼들에 각각 걸쳐있는 하나 이상의 타임 슬롯의 듀레이션을 가질 수 있으며, 긴 DRX 사이클은, 예컨대, 타임 슬롯의 시작점에 하나 이상의 심볼들에 걸쳐 있는 ON 듀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짧은 DRX 사이클은 타임 슬롯 내에서 다수의 ON 듀레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SL UE에서 리소스 할당을 위하여 어시스턴스 정보를 사용하는 추가 실시예들에 따르면,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은 소위 리스닝 듀레이션에 의하여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스닝 듀레이션은 정규(regular) ON 듀레이션의 시작 및/또는 정규 ON 듀레이션의 끝에서 제공된다. 추가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UE는 AIM을 수신한다. 도 8은 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사이드링크 UE에서 AIM을 수신하기 위한 추가 리스닝 듀레이션을 이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그 시작에서 제1 리스닝 듀레이션(LD1) 만큼 연장되고, 그 끝에서 제2 리스닝 듀레이션(LD2) 만큼 연장된 ON 듀레이션을 포함하는 DRX 사이클을 도시한다.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UE는 리스닝만 한다. 즉, UE는 어떠한 전송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UE는 오직 전력 센싱만 수행하고 제어 및 데이터의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UE는 센싱 또는 웨이크 업(wake-up) 목적으로만 제어의 디코딩을 수행하고 데이터 디코딩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UE는 1 리스닝 듀레이션(LD1) 동안 AIM을 수신(①)하여, DRX 사이클의 실제 ON 듀레이션 동안 전송을 위하여 AIM으로부터 획득된 리소스를 이용(②)함을 가정한다. 도 8은 ON 듀레이션 이후의 제2 리스닝 듀레이션(LD2)에서 AIM을 수신하여(③), 다음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에서만 데이터가 전송(④)되도록 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ON 듀레이션의 시작 및 끝에 리스닝 듀레이션이 제공되는 실시예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ON 듀레이션의 시작에서만 또는 ON 듀레이션의 끝에서만 리스닝 듀레이션이 제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이 ON 듀레이션과 연속되도록 하는, ON 듀레이션에 앞서는 및/또는 ON 듀레이션에 후속하는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 듀레이션에 앞서는 및/또는 ON 듀레이션에 후속하는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은 ON 듀레이션으로부터 특정 시간만큼 오프셋(offset) 될 수 있다. DRX 사이클 1은 ON 듀레이션에 앞서고 해당 ON 듀레이션으로부터 Δt1 시간만큼 오프셋된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LD1)을 포함한다. DRX 사이클 2는 ON 듀레이션에 후속되고 해당 ON 듀레이션으로부터 Δt2 시간만큼 오프셋된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LD2)을 포함한다. DRX 사이클 3는 ON 듀레이션에 앞서고 해당 ON 듀레이션으로부터 Δt3 시간만큼 오프셋된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LD1)과, ON 듀레이션에 후속되고 ON 듀레이션으로부터 Δt4 시간만큼 오프셋된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LD2)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DRX 사이클 3에서 시간 Δt3 또는 시간 Δt4는 0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즉, 리스닝 듀레이션(LD1) 또는 리스닝 듀레이션(LD2)는 ON 듀레이션에 연속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간 Δt1, Δt2, Δt3, Δt4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 듀레이션의 이전 및/또는 이후에 하나 이상의 리스닝 듀레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DRX 사이클 1은 ON 듀레이션에 앞서는 복수의 리스닝 듀레이션들(LD1)을 포함하며, 이 리스닝 듀레이션들(LD1)은 동일한 시간 또는 상이한 시간 간격만큼 서로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DRX 사이클 2는 ON 듀레이션에 후속되는 복수의 리스닝 듀레이션들(LD2)를 포함하며, 이 리스닝 듀레이션들(LD2)은 동일한 시간 또는 상이한 시간 간격만큼 서로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DRX 사이클 3는 ON 듀레이션에 앞서는 복수의 리스닝 듀레이션(LD1)들로서 동일한 시간 또는 상이한 시간 간격만큼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복수의 리스닝 듀레이션(LD1)들을 포함하고, ON 듀레이션에 후속되는 복수의 리스닝 듀레이션(LD2)들로서 동일한 시간 간격 또는 상이한 시간 간격만큼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복수의 리스닝 듀레이션(LD2)들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된 리스닝 듀레이션들의 임의의 조합이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리스닝 듀레이션은 하나 이상의 AIM들을 수신하기 위하여 UE에 의하여 사용된다. UE는 어떠한 패킷도 전송하지 않거나 또는 어떠한 수신된 패킷도 디코딩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리스닝 듀레이션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ON 듀레이션 전 또는 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스닝 듀레이션은 UE가 하나 이상의 AIM만을 리스닝하는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일 수 있다. 이는 독립형(standalone) 리스닝 듀레이션 또는 라이트(light) DRX 사이클로 지칭될 수 있다. 독립형 리스닝 듀레이션은 DRX 라이트 모드(lite mode)로 지칭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정상 DRX 동작에 대하여 정의된 ON 듀레이션은 미래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AIM을 리스닝하기 위해서만 UE에 의하여 사용되고, 어떠한 데이터의 전송 및/또는 어떠한 추가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스닝 듀레이션은 시간에 걸쳐 주기적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AIM을 위한 주기적 리스닝 듀레이션을 도시하고 있는 도 10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스닝 듀레이션은 하나 이상의 AIM이 전송되는 타임 슬롯의 시작 부분으로만 제한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스닝 듀레이션은 AIM의 설정에 기초하여 주기적일 수 있다. AIM의 설정은 SIB 또는 MIB 내에서 UE에 수신될 수 있다. 그런 다음 AIM은 사이드링크 정보 블록(sidelink information block, SLIB)과 같은 정보 블록으로서 전송될 수 있으며, SLIB의 주기성은 SIB 또는 MIB에 정의된다. 도 10b는 SLIB들로서 전송되는 AIM을 위한 주기적 리스닝 듀레이션을 도시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다음으로서 어시스턴스 정보(assistance information) 또는 AIM을 수신할 수 있다.
· 제어 패킷으로서(예: PC5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또는 MAC CE 시그널링으로), 또는
· 하나 이상의 다른 UE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으로서, 또는
· 정보 블록으로서(예: 전술된 사이드링크 정보 블록(SLIB)을 수단으로)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설정(configuration)의 형태로 어시스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UE는 해당 설정이 유효할 동안의 미리 정의된 시간 내의 모든 패킷과 같이, 복수의 패킷의 전송을 위하여 설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은 100ms 이후의 모든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유효할 수 있으며, 또는, UE가 특정 지리적 영역에 진입한 후의 모든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유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어시스턴스 정보는 전송될 하나 이상의 패킷에 대해 수신될 수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패킷의 전송을 위해서만 UE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하나 이상의 다른 UE로부터 복수의 AIM을 수신할 수 있고, AIM이 상이한 리소스를 포함하는 경우, 즉, 상충하는 AIM의 경우, UE는 다음의 기준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전송에 이용할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 AIM 소스의 계층
· AIM의 우선 순위 표시
· 상충하는 AIM 내에서 발견되는 공통 리소스
실시예들에 따르면, 현재 DRX 설정에 따라 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UE는, ON 듀레이션 동안, 사용될 신규 또는 업데이트된 DRX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업데이트된 DRX 설정은 AIM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된 DRX 설정은 모든 전송 또는 특정 전송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도록 UE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이후에 UE가 센싱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예컨대, UE가 정의된 시간 기간 동안에 센싱을 수행하지 않는 것과 같이 시간 제한적(time-bound)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규 또는 업데이트된 DRX 설정은 모든 전송을 위하여 또는 특정 전송만을 위하여 UE에 의하여 사용될 리소스를 나타내는 AIM의 세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고 UE의 근처에 있는 다른 UE들로부터 UE가 수신하는 AIM에 나타난(indicated) 리소스를 사용할 것을 UE에게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DRX 설정을 수신하거나, 또는 DRX 설정으로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이후에 UE가 센싱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예컨대, UE가 정의된 시간 기간 동안에 센싱을 수행하지 않는 것과 같이 시간 제한적(time-bound)일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AIM을 사용하면, 예컨대 UE가 어떠한 리소스에서도 센싱을 수행하지 않는 것과 같이, UE가 임의의 유형의 센싱을 수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이는 UE의 부담을 감소시켜 배터리 수명 측면에서 UE의 전력 상태를 개선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AIM 또는 AIM을 수반하는 SCI나 MAC CE와 같은 제어 메시지는, UE가 다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 또는 리소스 세트에서 전송을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 하나 이상의 리소스 풀(RP)들(예: 전송, 수신 또는 예외적 리소스 풀들), 또는
· 하나 이상의 대역폭 부분(BWP)들, 또는
· 하나 이상의 주파수 엔티티(entity)들, 또는
· 하나 이상의 시간 엔티티(entity)들(예: OFDM 심볼들 또는 슬롯들 또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라디오프레임들 등)
주파수 엔티티들은 다음 방식 중 하나로 나타낼 수 있다:
· 비트맵에 의하여, 여기서 비트맵은, 리소스 블록들과 같은, 하나의 BWP에 걸친 리소스들을 나타냄,
· 리소스 블록과 같은 시작 리소스(starting resource), 및 리소스 세트에 대한 다수의 리소스들에 의하여,
· 리소스 세트가 주파수에 걸쳐 비연속적인 경우, 리소스 블록들과 같은 다수의 시작 리소스들, 및 종료 리소스(ending resource)들에 의하여,
· 리소스 블록 인덱스들과 같은 명시적 리소스 인덱스들에 의하여,
· 명시적으로 언급된 리소스 또는 다른 리소스 세트 또는 RP 의 일부인 리소스들이 없어지도록(puncturing out) 함으로써,
· 시작 리소스, 및 후속 발생들에 대한 주기적 오프셋들에 의하여,
· 리소스 블록들 또는 서브채널들의 패턴에 의하여.
시간 엔티티들은 다음 방식 중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 시간에 따른 비트맵에 의하여, 여기서, 비트맵은 OFDM 심볼들 또는 타임 슬롯들 또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프레임들과 같은, 하나의 BWP의 일부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리소스 세트가 정의된 리소스들을 나타냄
· 타임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과 같은 시작 리소스, 및 리소스 세트의 듀레이션에 의하여,
· 타임 슬롯 또는 서브 프레임 번호와 같은 명시적 리소스 번호에 의하여,
· 명시적으로 언급된 리소스 또는 다른 리소스 세트 또는 RP 의 일부인 리소스들이 없어지도록(puncturing out) 함으로써,
· 시작 리소스, 및 후속 발생들에 대한 주기적 오프셋들에 의하여,
· 심볼들, 타임 슬롯들 또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프레임들의 패턴에 의하여.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하나 이상의 AIM을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UE의 전력 상태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일 때, UE는 센싱을 수행하는 것을 피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AIM을 요청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 또는 다른 UE, 예컨대 전력 레벨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높아 AIM을 제공하거나 또는 UE에게 센싱을 수행하도록 알릴 수 있는 다른 UE에 자신의 전력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DRX 모드로 동작하는 UE는, 예컨대, 특정 비트 시퀀스에 의하여 식별되는 DRX 설정을, 네트워크 또는 AIM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UE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들에 따르면, UE가 예컨대, 리소스 할당 절차에서 지원(assistance)을 필요로 할 때, 예컨대 다음의 경우에 UE는 하나 이상의 AIM을 요청할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패킷의 전송이 높은 신뢰성(high reliability) 및/또는 낮은 레이턴시(low latency) 및/또는 높은 우선순위를 필요로 하는 경우,
· UE에서 이용 가능한 센싱 결과가 불충분하거나 센싱 결과가 전혀 없는 경우, 예컨대, 리소스 풀의 변경의 경우,
· UE의 전력 레벨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 UE가 센싱 노력을 줄임으로써 자신의 전력 소비를 개선하고, 미리 정의된 리소스 세트/리소스 풀로 센싱을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
--- ON 듀레이션 동안의 센싱 ---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드 2 UE와 같이, DRX를 사용하는 커버리지 밖 UE는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동안, 예컨대,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이라고도 지칭되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세트 내에서, UE가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후보 리소스를 식별하기 위하여 센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E는 도 7에 도시된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동안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AIM을 수신하는 대신에, UE는 도 7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ON 듀레이션 동안 센싱을 수행하여 사이드링크를 통한 전송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리소스를 획득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가 수신된 AIM이 없고 그러한 AIM을 제공하는 근처의 UE가 없다고 판단할 때, 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SL UE에 대한 센싱을 통한 리소스 할당이 적용될 수 있다.
합리적이거나 신뢰할 수 있는 센싱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UE는 특정 시간 구간에 걸친 센싱, 이 중에도 ON 듀레이션 동안에만 센싱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긴(long) DRX 사이클에서와 같이, 서로로부터 특정 시간 듀레이션을 가지는 ON 듀레이션 동안 센싱을 수행하는 것은 UE에 의한 전송을 위한 최적 또는 신뢰할 수 있는 리소스를 식별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른 센싱은, 특정 듀레이션 동안 또는 특정 센싱 윈도우 내에서, 예컨대, 100ms 내지 1100ms 사이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센싱 윈도우 동안, 긴 DRX 사이클이 사용될 때의 ON 듀레이션의 수는 짧은(short) DRX 사이클이 사용될 때의 ON 듀레이션의 수보다 적다. 따라서, 센싱 결과의 수는 리소스의 가용 여부를 신뢰성 있게 판단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센싱 결과에 대한 신뢰도는 특정 임계치 미만일 수 있다. 결국, 디폴트로(by default) 긴 DRX 사이클을 사용하는 DRX 모드는 신뢰할 수 있는 센싱 결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센싱을 통하여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긴 DRX 사이클로부터 짧은 DRX 사이클로 전환하여 센싱 윈도우 동안 더 많은 ON 듀레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UE로 하여금 전송을 위한 신뢰할 수 있거나 적절한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사용되는 DRX 사이클의 DRX 설정은 센싱으로부터 획득된 리소스의 부족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DRX 모드에서 동작하고 SL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하는 SL UE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a는 긴 DRX 사이클에 따라 UE가 동작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ON 듀레이션 동안에만 UE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사용 가능한/사용이 불가능한 리소스의 센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리스닝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합리적인 센싱 결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UE는 연장된 시간 구간에 걸쳐, 예컨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레이션 Δt 을 가지는 전술된 센싱 윈도우에 걸쳐 센싱을 수행한다. 그러나, 긴 DRX 사이클을 사용하는 경우, 후속 ON 듀레이션들 간 시간 간격, 및 그에 따른 후속 센싱 동작 (①)들 간의 시간 간격이 길어서, 신뢰할 수 있는 센싱 결과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짧은 DRX 사이클로 전환함으로써, 센싱 윈도우 Δt 동안 센싱(①)이 수행되는 ON 듀레이션이 더 많이 존재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더욱 신뢰할 수 있고 합리적인 센싱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질적인(tangible) 센싱 결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센싱이 수행되는 리소스 풀이 혼잡할 때, UE는 빈번한 ON 듀레이션을 갖는 더 짧은 DRX 사이클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UE가 긴 DRX 사이클을 이용하여 충분한 리소스를 성공적으로 획득하지 못하면, 센싱 결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더 빈번한 ON 듀레이션을 가지는 짧은 DRX 사이클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에, 리소스 풀이 혼잡하지 않은 경우, UE는 긴 DRX 사이클 동안 획득된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짧은 DRX 사이클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되지 않는다. 이것은 UE가 센싱 절차를 이용하여 전송을 위한 충분한 리소스를 실제로 획득하였고 긴 DRX 사이클 동안에 있는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모든 가용 리소스의 적어도 80%를 갖는 후보 리소스 세트를 구축할 수 있는 경우, UE는 충분한 리소스를 획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UE는 RSRP 임계값을 미리 정의된 값, 예컨대, 3db만큼 증가시키고 센싱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필요한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UE는 짧은 시간 구간 동안 짧은 DRX 사이클로 전환하여 더 빈번한 ON 듀레이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UE가 센싱 절차를 종료하고 필요한 리소스를 획득하면, UE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긴 DRX 사이클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센싱 윈도우 동안, 센싱 결과가 충분한 수의 가용 리소스를 나타내는 경우에, UE는 짧은 DRX 사이클로부터 긴 DRX 사이클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
---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의 센싱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컨대 긴 DRX 사이클의 사용과 관련한 전술된 문제점들을 피하기 위하여, 짧은 DRX 사이클로 전환하지 않고, 리스닝 듀레이션(LD)이라고 지칭되는 전술된 추가 듀레이션이 사용되는 것에 따라 수정된 DRX 사이클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긴 DRX 사이클로부터 짧은 DRX 사이클로 전환하는 대신에, 합리적인 센싱 결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UE에 제공하기 위하여,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예컨대, 긴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은, 위에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리스닝 듀레이션에 의하여 연장될 수 있다.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에, UE는 센싱만 수행하고 어떠한 데이터의 전송도 수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가 다른 UE들에 의하여 점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UE는 다른 UE들을 리스닝하고 SCI와 같은 그들의 제어 메시지들을 디코딩함으로써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닝 듀레이션은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전 및/또는 후에 설정 가능한 시간 동안 활성화될 수 있다. 리스닝 듀레이션은 UE가 센싱을 수행하는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일 수 있다. 이는 독립형(standalone) 리스닝 듀레이션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독립형 리스닝 듀레이션은 DRX 라이트 모드(lite mode)로 지칭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정상 DRX 동작에 대하여 정의된 ON 듀레이션은 UE가 미래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도출하기 위하여 센싱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서만 사용되고,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센싱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획득하는 전술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UE가 센싱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명시적 표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UE는 센싱에 의하여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센싱하고 식별할 것으로 기대된다. UE가 정상 DRX 설정을 수신하는 경우, 그것이 ON 듀레이션에 있을 때마다 센싱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며, UE가 리스닝 듀레이션의 정의를 포함하는 DRX 설정을 수신하는 경우, UE는 리스닝 듀레이션, 또는 리스닝 듀레이션과 ON 듀레이션에서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UE는 리스닝 듀레이션에서 어떠한 데이터도 전송하지 않는다.
--- AIM 및 센싱 ---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AIM 및 센싱 결과들로부터 전송을 위한 후보 리소스들의 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 예컨대, 센싱 결과에 의하여 AIM의 리소스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는 것에 의하여, AIM의 리소스보다 센싱 결과를 선호하거나, 또는
· 예컨대, AIM의 리소스에 의하여 센싱 결과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는 것에 의하여, 센싱 결과보다 AIM의 리소스를 선호하거나, 또는
· AIM에 나타난 리소스와 센싱 결과에 나타난 리소스의 조합을 사용하거나, 또는
· 복수의 AIM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UE에 의하여 사용되는 RSRP 임계치가 AIM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우선순위에 링크될 때, 및/또는 UE가 센싱 결과를 획득하였을 때 AIM의 유효성이 만료되었을 때, UE는 AIM으로부터가 아닌 센싱 결과로부터 전송을 위한 후보 리소스들의 세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AIM의 우선순위가 센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UE에 의하여 사용되는 RSRP 임계치에 링크된 우선순위보다 높을 때, 및/또는 AIM이 수신될 때 센싱 결과가 아웃데이트된(outdated) 경우, UE는 센싱 결과로부터가 아닌 AIM으로부터 전송을 위한 후보 리소스들의 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AIM과 센싱 결과들의 조합으로부터 전송을 위한 후보 리소스들의 세트를 획득할 수 있고, UE는,
· AIM에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하지 않을 리소스만 포함된 경우에, 예컨대, 센싱에 의하여 획득된 리소스로부터 AIM에 나타난 리소스를 제거함으로써 센싱 결과를 사용하거나, 또는
· AIM에 및 센싱 결과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난 리소스만 고려하거나, 또는
· AIM에 및 센싱 결과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난 리소스만 고려하되, UE가 해당 리소스들 중, 특정 신뢰성(reliability), 예컨대 RSRP 임계치와 같은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뢰성을 가지는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들에 따르면, UE가 다수의 AIM들을 수신할 때, UE는
· 예컨대, 제1 우선순위를 가지는 제1 AIM의 리소스에 의하여 제1 우선순위보다 낮은 제2 우선순위를 가지는 제2 AIM의 리소스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는 것을 통하여, 제1 AIM의 리소스를 제2 AIM의 리소스보다 선호하거나, 또는,
·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AIM을 사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다른 AIM을 오버라이드(override)할 수 있다.
--- AIM을 제공하는 UE ---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은 사이드링크(SL)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UE들과 통신하고, SL RP로부터 리소스를 획득하는 SL UE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예컨대, UE가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에 UE는 센싱에 의하여 리소스들의 세트를 결정하거나, 또는 예컨대, UE가 모드 1 또는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에 UE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UE에 제공되는 리소스들로부터 리소스들의 세트를 결정하거나, 또는, UE가 모드 2 또는 커버리지 내 또는 밖에 있는 경우에 릴레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UE에 제공되는 리소스들로부터 리소스들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UE는, 예컨대, 어시스턴스 정보 메시지(AIM)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UE들에게 전송에 이용 가능한 결정된 리소스들을 전송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 및 하나 이상의 다른 UE들은 UE 그룹을 형성하고, UE는 다른 그룹 멤버들 중 하나 이상이,
· 센싱을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또는
· ON 듀레이션을 감소시키도록, 또는
· ON 듀레이션을 비활성화하고 리스닝 듀레이션을 활성화하도록, 또는
· 리스닝 듀레이션을 감소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AIM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다른 그룹 멤버들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한다.
일반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며, 각각의 실시예 및 양태는 개별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양태가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지상 네트워크, 또는 비지상 네트워크, 또는 수신기로서 항공 차량 또는 우주비행 차량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세그먼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사용자 디바이스(UE)는 전력-제한(power-limited) UE, 또는 보행자에 의하여 사용되고 취약한 도로 사용자(Vulerable Road User, VRU) 또는 보행자 UE(Pedestrian UE, P-UE)로 지칭되는 UE와 같은 핸드헬드 UE, 또는 공공 안전 요원 및 긴급 구조요원에 의하여 사용되고 공공 안전 UE(Public safety UE, PS-UE)라고 지칭되는 온-바디(on-body) 또는 핸드헬드 UE, 또는 IoT UE(예: 센서, 엑츄에이터 또는 캠퍼스 네트워크에 제공되어 반복적인 태스크를 수행하고 주기적 간격으로 게이트웨이 노드로부터 입력을 요구하는 UE), 모바일 터미널, 또는 고정 터미널, 또는 셀룰러 IoT-UE, 또는 차량용 UE, 또는 차량용 그룹 리더(group leader, GL) UE, 또는 IoT 또는 협대역 IoT(NB-IoT) 디바이스, WiFi non-AP STA(WiFi non Access Point STAtion)(예: 802.11ax 또는 802.11be), 또는 지상 기반 차량, 또는 항공 차량, 또는 드론, 또는 이동 기지국, 또는 도로변 유닛, 또는 빌딩, 또는 아이템/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임의의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예: 센서, 또는 엑추에이터), 또는 사이드링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아이템/디바이스가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임의의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예: 센서, 또는 엑추에이터), 또는 임의의 사이드링크 가능 네트워크 엔티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BS)은 이동 또는 고정 기지국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매크로 셀 기지국, 소형 셀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또는 도로변 유닛, 또는 UE, 또는 그룹 리더(GL), 또는 릴레이, 또는 원격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 또는 AMF, 또는 SMF, 또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 엔티티, 또는 NR이나 5G 코어 컨텍스트에서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802.11ax나 802.11be와 같은 WiFi AP STA,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임의의 송신/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근 방식의 실시예들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 안전 통신 시스템, 캠퍼스 네트워크에서의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추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접근 방식은, 임의의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애드혹(ad-hoc) 통신 네트워크에서 적용될 수 있다.
비록 설명된 개념의 일부 양태가 장치의 맥락에서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양태들은 이에 대응되는 방법의 설명 또한 나타내는 것임은 명백하다. 여기서, 블록 또는 디바이스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대응한다. 이와 유사하게, 방법 단계의 맥락에서 설명된 양태들은 또한 해당 장치의 대응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특징의 설명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양한 요소들 또는 특징들은 아날로그 회로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이용하는 하드웨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한 명령의 실행을 통하여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프로세싱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컴퓨터 시스템(500)의 예를 나타낸다. 유닛 또는 모듈뿐만 아니라 이들 유닛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의 단계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5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특수 목적 또는 범용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02)는 버스 또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인프라구조(504)에 연결된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예컨대, 랜덤 엑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메인 메모리(506) 및 예컨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또는 이동식 저장 드라이브와 같은 보조 메모리(508)를 포함한다. 보조 메모리(508)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명령어들이 컴퓨터 시스템(500)에 로딩되도록 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500)과 외부 디바이스 간에 전달되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은 전자, 전자기, 광학,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는 다른 신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은 와이어 또는 케이블, 광섬유, 전화선, 셀룰러 전화 링크, RF 링크, 및 다른 통신 채널(512)을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동식 저장 장치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와 같은 유형의 저장 매체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은 컴퓨터 시스템(500)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컴퓨터 제어 로직이라고도 일컬어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인 메모리(506) 및/또는 보조 메모리(508)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통해서도 수신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컴퓨터 시스템(500)으로 하여금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502)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방법들과 같은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500)의 컨트롤러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되고 이동식 저장 드라이브, 통신 인터페이스(510)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컴퓨터 시스템(500)에 로딩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의 구현은 예컨대, 클라우드 스토리지, 플로피 디스크, DVD, 블루레이, CD,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가 저장된 디지털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지털 저장 매체는 각각의 방법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램 작동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또는 협력 가능한)한다. 따라서, 디지털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은 전자적으로 판독가능한 제어 신호를 가지는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한다. 이 데이터 캐리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가 수행되도록 프로그램 작동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전술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컨대 기계 판독가능 캐리어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계 판독 가능 캐리어에 저장된다. 즉,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는,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데이터 캐리어(또는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추가 실시예는,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의 시퀀스이다.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의 시퀀스는 예컨대 데이터 통신 연결,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개조된 프로세싱 수단, 예컨대,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작동 가능 로직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 작동 가능 로직 디바이스(예컨대 필드 프로그램 작동 가능 게이트 어레이)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필드 프로그램 작동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 방법들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하여 수행된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예시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식 및 세부사항들의 수정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개시 및 설명을 통하여 제시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이 아닌, 특허 청구 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40)

  1.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이드링크(SL)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모드에서 동작하며,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 있을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ON duration) 동안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AIM(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으로부터, 및/또는
    · 리스닝 듀레이션(listening duration) 동안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AIM으로부터, 및/또는
    ·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드링크 리소스 세트 또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및/또는
    ·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드링크 리소스 세트 또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송에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AIM 및 상기 센싱 결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AIM 및 상기 센싱 결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 예컨대, 상기 센싱 결과에 의하여 상기 AIM의 리소스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AIM의 리소스보다 상기 센싱 결과를 선호하거나, 또는
    · 예컨대, 상기 AIM의 리소스에 의하여 상기 센싱 결과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센싱 결과보다 상기 AIM의 리소스를 선호하거나, 또는
    · 상기 AIM에 나타난(indicated) 리소스와 상기 센싱 결과에 나타난 리소스의 조합을 사용하거나, 또는
    · 복수의 AIM 중 하나를 사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4.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참(true)일 때, 상기 AIM으로부터가 아닌 상기 센싱 결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 센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사용되는 RSRP 임계치(threshold)가 상기 AIM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우선순위에 링크(link)됨,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센싱 결과를 획득하였을 때, 상기 AIM의 유효성이 만료됨.
  5.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참(true)일 때, 상기 센싱 결과로부터가 아닌 상기 AIM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 상기 AIM의 우선순위가, 센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사용되는 RSRP 임계치에 링크된 우선순위보다 높음,
    · 상기 AIM 이 수신될 때, 상기 센싱 결과가 아웃데이트됨(outdated).
  6.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AIM과 상기 센싱 결과의 조합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 상기 AIM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하지 않는 리소스만 포함된 경우에, 예컨대, 센싱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리소스로부터 상기 AIM에 나타난 리소스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센싱 결과를 사용하거나, 또는
    · 상기 AIM에 및 상기 센싱 결과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난 리소스만 고려하거나, 또는
    · 상기 AIM에 및 상기 센싱 결과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난 리소스만 고려하되, 해당 리소스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특정 신뢰성(reliability), 예컨대 RSRP 임계치와 같은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뢰성을 가지는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
  7.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다수의 AIM을 수신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 예컨대, 제1 우선순위를 가지는 제1 AIM의 리소스에 의하여 상기 제1 우선순위보다 낮은 제2 우선순위를 가지는 제2 AIM의 리소스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1 AIM의 리소스를 상기 제2 AIM의 리소스보다 선호하거나, 또는
    ·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AIM을 사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다른 AIM을 오버라이드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8.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AIM은, PSCCH와 같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자체 제어의 전송, 및/또는 PSSCH와 같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자체 데이터의 전송, 및/또는 PSFCH와 같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피드백의 전송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리소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9.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AIM에 포함되는 전송에 이용 가능한 상기 리소스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유형에 의존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AIM으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획득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어떠한 유형의 센싱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존하여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한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1.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DRX 설정(configuration) 또는 상기 DRX 사전-설정(pre-configuration)은,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고, 대신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다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AIM에 나타난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2.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제어 패킷으로서, 예컨대 PC5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또는 MAC CE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AIM을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패킷으로서 상기 AIM을 수신하거나, 또는 예컨대 사이드링크 정보 블록(SLIB)과 같이 정보 블록으로서 상기 AIM을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3.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AIM을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DRX 설정을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DRX 설정은, 전송을 위하여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고, 대신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AIM에 나타난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5.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AIM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어떠한 리소스에서도 전송을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리소스 또는 리소스 세트에서 전송을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명시적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6.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전송될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에 대한 상기 AIM을 수신하고, 상기 AIM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위하여 상기 AIM에 나타난 리소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7.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AIM을 수반하는, SCI 또는 MAC CE와 같은 제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어떠한 리소스에서도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전송을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리소스 또는 리소스 세트에서 상기 전송을 위한 센싱을 수행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디바이스.
  18.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로부터 AIM을 수신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AIM 소스들의 계층, 및/또는 상기 AIM과 연관된 우선순위, 및/또는 상기 AIM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발견되는 리소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준에 의하여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9.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상기 AIM을 요청(request)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2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 리소스 할당 절차에 지원(assistance)이 필요할 때, 및/또는
    · 특정 DRX-설정을 선택했을 때, 및/또는
    ·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력 상태가 설정된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일 때
    하나 이상의 상기 AIM을 요청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상기 리소스 할당 절차에서 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 하나 이상의 패킷의 전송이 높은 신뢰성(high reliability) 및/또는 낮은 레이턴시(low latency)를 필요로 하는 경우,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이용 가능한 센싱 결과가 불충분하거나 센싱 결과가 전혀 없는 경우, 예컨대, 리소스 풀의 변경의 경우,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전력 레벨이 설정 및/또는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센싱 노력을 줄임으로써 전력 소비를 개선하고, 설정 및/또는 사전 설정된 리소스 세트/리소스 풀로 센싱을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
  22.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동안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획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긴 DRX 사이클과 같은 현재 사용되는 DRX 사이클로부터 짧은 DRX 사이클과 같은 신규 DRX 사이클로 전환하고,
    상기 신규 DRX 사이클은, 상기 현재 사용되는 DRX 사이클의 상기 ON듀레이션들이 이격되는 시간(time period)보다 더 짧은 시간 간격, 예컨대, OFF 듀레이션(OFF duration)에 의하여 이격되는 연속적인 ON 듀레이션들을 가지는, 사용자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특정 센싱 윈도우 동안, 센싱 결과의 수가 임계치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센싱 결과와 연관된 신뢰값(confidence value)이 임계치 미만인 것과 같이 불충분한 센싱 결과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신규 DRX 사이클로 전환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사용되는 DRX 사이클의 상기 DRX 설정은 센싱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리소스의 부족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치 미만으로 내려가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신규 DRX 사이클로 전환하며, 상기 신규 DRX 사이클의 상기 DRX 설정도 포함되는, 사용자 디바이스.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특정 센싱 윈도우 동안, 상기 센싱 결과가 충분한 수의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신규 DRX 사이클로부터 상기 현재 사용되는 DRX 사이클로 다시 전환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27.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짧은 DRX 사이클에서와 같이, 연속적인 ON 듀레이션들 사이의 간격이 특정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만 복수의 ON 듀레이션 동안 센싱을 수행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규 DRX 사이클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정규 DRX 사이클이 상기 ON 듀레이션에 있을 때마다 센싱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용자 디바이스.
  29.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 상기 ON 듀레이션보다 앞서는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으로서, 상기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은 상기 ON 듀레이션과 연속되거나 또는 상기 ON 듀레이션으로부터 특정 시간만큼 오프셋됨
    · 상기 ON 듀레이션 이후의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으로서, 상기 하나의 리스닝 듀레이션은 상기 ON 듀레이션과 연속되거나 또는 상기 ON 듀레이션으로부터 특정 시간만큼 오프셋됨
    · 상기 ON 듀레이션보다 앞서는 복수의 리스닝 듀레이션으로서, 각각의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은 특정 시간만큼 서로 오프셋됨
    · 상기 ON 듀레이션 이후의 복수의 리스닝 듀레이션으로서, 각각의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은 특정 시간만큼 서로 오프셋됨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어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의 상기 AIM만을 청취(listen)하는 상기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예컨대, "라이트(light)" DRX 사이클과 유사함.
  3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획득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센싱 또는 AIM의 수신만 수행하고,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어떠한 제어 및/또는 데이터도 전송하거나 디코딩하지 않는, 사용자 디바이스.
  31.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및 적어도 일부의 상기 ON 듀레이션 동안, 예컨대,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정규 DRX 사이클 설정에 응답하여, 센싱을 수행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32.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이드링크(SL)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이드링크(SL)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하고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예컨대 릴레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상기 리소스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AIM(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을 이용하여 전송에 이용 가능한 결정된 상기 리소스를 전송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33. 제32항에 있어서,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 그룹을 형성하고,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른 그룹 멤버들 중 하나 이상이
    o 센싱을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또는
    o 상기 ON 듀레이션을 감소시키도록, 또는
    o 상기 ON 듀레이션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을 활성화하도록, 또는
    o 상기 리스닝 듀레이션을 감소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AIM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다른 그룹 멤버들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34.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 있을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연결되지 않아서, 예컨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모드 2(Mode 2)에서 동작하거나 또는 RRC 연결 상태에 있지 않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설정(configuration)이나 지원(assistance)을 수신하지 않고, 및/또는
    · 하나 이상의 이유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설정이나 지원을 제공할 수 없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연결되고, 및/또는
    · NR V2X 서비스와 같은 사이드링크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예컨대 GSM, UMTS, 또는 LTE 기지국에 연결되는, 사용자 디바이스.
  35.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UE)는 전력-제한(power-limited) UE, 또는 보행자에 의하여 사용되고 취약한 도로 사용자(Vulerable Road User, VRU) 또는 보행자 UE(Pedestrian UE, P-UE)로 지칭되는 UE와 같은 핸드헬드 UE, 또는 공공 안전 요원 및 긴급 구조요원에 의하여 사용되고 공공 안전 UE(Public safety UE, PS-UE)라고 지칭되는 온-바디(on-body) 또는 핸드헬드 UE, 또는 IoT UE(예: 센서, 엑츄에이터 또는 캠퍼스 네트워크에 제공되어 반복적인 태스크를 수행하고 주기적 간격으로 게이트웨이 노드로부터 입력을 요구하는 UE), 또는 모바일 터미널, 또는 고정 터미널, 또는 셀룰러 IoT-UE, 또는 차량용 UE, 또는 차량용 그룹 리더(group leader, GL) UE, 또는 IoT 또는 협대역 IoT(NB-IoT) 디바이스, 또는 지상 기반 차량(ground based vehicle), 또는 항공 차량(aerial vehicle), 또는 드론, 또는 이동 기지국, 또는 도로변 유닛(road side unit, RSU), 또는 빌딩,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임의의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예: 센서, 또는 엑추에이터), 또는 사이드링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임의의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예: 센서, 또는 엑추에이터), 또는 임의의 사이드링크 가능 네트워크 엔티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36.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의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예컨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트링크 리소스 세트로부터 리소스를 사용하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하여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매크로 셀 기지국, 스몰 셀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또는 도로변 유닛(RSU),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UE), 또는 그룹 리더(GL), 또는 릴레이, 또는 원격 라디오 헤드, 또는 AMF, 또는 SMF, 또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EC) 엔티티, 또는 NR 또는 5G 코어 컨텍스트에서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임의의 송신/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8.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사이드링크(SL)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
    DRX(Discontinuous Reception)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 있을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ON duration) 동안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AIM(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으로부터, 및/또는
    · 리스닝 듀레이션(listening duration) 동안 하나 이상의 상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AIM로부터, 및/또는
    ·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의 ON 듀레이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드링크 리소스 세트 또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및/또는
    · 리스닝 듀레이션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드링크 리소스 세트 또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송에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사이드링크(SL)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사이드링크(SL) 리소스 풀에서 센싱을 수행하고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예컨대 릴레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상기 리소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예컨대 AIM(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을 이용하여 전송에 이용 가능한 결정된 상기 리소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0.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제38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27036683A 2020-03-20 2021-03-18 Nr 사이드링크 불연속 수신 리소스 할당 KR20220156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64707 2020-03-20
EP20164707.0 2020-03-20
PCT/EP2021/056929 WO2021185957A1 (en) 2020-03-20 2021-03-18 Nr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resource allo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607A true KR20220156607A (ko) 2022-11-25

Family

ID=6995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683A KR20220156607A (ko) 2020-03-20 2021-03-18 Nr 사이드링크 불연속 수신 리소스 할당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84999A1 (ko)
EP (1) EP4122264A1 (ko)
KR (1) KR20220156607A (ko)
CN (1) CN115669128A (ko)
WO (1) WO2021185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8682B2 (en) * 2020-07-14 2023-10-03 Lg Electronics Inc. Sidelink DRX operation based on multiple DRX configurations and prioritization
CN117501767A (zh) * 2021-03-31 2024-02-02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Nr直连链路中节能用户的资源选择
US20230319744A1 (en) * 2022-04-01 2023-10-05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based sidelink resource determ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470A1 (en) * 2017-07-25 2019-01-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LATERAL LINK TRANSMISSIONS ON MULTIPLE CARRI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999444A (zh) * 2017-07-25 2020-04-10 Lg电子株式会社 用于选择载波的方法和支持该方法的设备
KR20210042129A (ko) * 2018-08-09 2021-04-16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5g ev2x에 대한 자원 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69128A (zh) 2023-01-31
EP4122264A1 (en) 2023-01-25
US20230084999A1 (en) 2023-03-16
WO2021185957A1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81131A1 (en) Nr sidelink 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s
US20230062804A1 (en) Nr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US20230199909A1 (en) Drx alignment for the sidelink
US20230084999A1 (en) Nr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resource allocation
US20230180317A1 (en) NR Sidelink Relaying Discovery
KR20230053618A (ko) Redcap 디바이스에 대한 sps 또는 cg 비활성화
US20220264523A1 (en) Enhanced multi-connection operations
US20230247596A1 (en) Resource reservation prediction for sideline ues
JP2024511225A (ja) Nr sidelinkでの省電力ユーザのためのリソース選択
KR20240004395A (ko) 제어 채널 모니터링 향상
EP4122265B1 (en) Nr sidelink 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s
US20220295445A1 (en) Enhanced mechanisms for handling operation requests for single/multi-connection devices
US20240188178A1 (en)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procedures
US20240039680A1 (en) Feedback Procedures for SL Power Saving UEs
US20240188042A1 (en) Paging early indication enhancements
KR20240023601A (ko) 페이징 초기 지시 향상
EP4316166A1 (en)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procedures
WO2023006427A1 (en) In alignment with pdcch monitoring skipping
KR20230044255A (ko) 기능 축소 ue들에 대한 감지 축소
JP2024519581A (ja) Sl drxのためのl1およびl2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