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354A - 쇽 업소버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354A
KR20220156354A KR1020210064287A KR20210064287A KR20220156354A KR 20220156354 A KR20220156354 A KR 20220156354A KR 1020210064287 A KR1020210064287 A KR 1020210064287A KR 20210064287 A KR20210064287 A KR 20210064287A KR 20220156354 A KR20220156354 A KR 20220156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chamber
cylinder
guide member
connec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광덕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6354A/ko
Priority to CN202210526517.9A priority patent/CN115370699A/zh
Priority to US17/744,953 priority patent/US11796024B2/en
Publication of KR2022015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6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slots arranged in cylinder walls
    • F16F9/3465Slots having a variable section along their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9Stops limiting fluid passage, e.g. hydraulic stops or elastomeric elements inside the cylinder which contribute to changes in 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쇽 업소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와,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실린더 내부를 인장챔버와 압축챔버로 구획하고 하단에 하부와셔가 체결되는 피스톤밸브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피스톤밸브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실린더 내에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측에 형성되는 가압챔버와 압축챔버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를 구비하는 가이드부재; 가압챔버에 마련되고 압축 가능하게 마련되어 가이드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범퍼부재; 및 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어 범퍼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가압챔버와 연통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범퍼부재는 가압챔버를 제1 가압챔버와 제2 가압챔버로 구획하되, 제1 가압챔버와 제2 가압챔버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측면홀을 구비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쇽 업소버{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 행정 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량에 추가적인 감쇠력을 구현할 수 있고, 극 저속으로 압축 행정 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어 승차감과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쇽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완충장치가 설치되며, 이와 같은 완충장치의 하나로서 쇽 업소버가 사용된다.
쇽 업소버는 노면 상태에 따른 차량의 진동에 따라 작동하게 되며, 이때 쇽 업소버의 작동속도에 따라, 즉 작동속도가 빠르거나 느림에 따라 쇽 업소버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달라진다.
쇽 업소버에서 발생하는 감쇠력 특성을 어떻게 조절하는가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과 주행안정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설계 시 쇽 업소버의 감쇠력 특성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쇽 업소버는 통상적으로, 작동유체(오일)가 충진된 실린더와, 차체 측에 연결되어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실린더 내에서 슬라이딩하고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피스톤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 밸브는 단일 유로를 사용하여 고속, 중속 및 저속에서 일정한 감쇠특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피스톤 밸브는 극 저속으로 압축 행정하는 경우에는 감쇠력이 작용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가 일정 스트로크 이상으로 압축 행정하는 경우를 위해 실린더를 일정 길이 이상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있고, 이는 쇽 업소버의 길이 및 부피가 과도하게 커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83725호(2018. 07. 23)
본 실시 예는 일정 스트로크 이상으로 압축 행정 시 추가적인 감쇠력을 부가하여 장치의 길이와 부피가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쇽 업소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일정 스트로크 이상으로 압축 행정 시 단계적인 감쇠력을 부가하여 차량의 승차감과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쇽 업소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와,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인장챔버와 압축챔버로 구획하고 하단에 하부와셔가 체결되는 피스톤밸브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측에 형성되는 가압챔버와 상기 압축챔버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를 구비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압챔버에 마련되고 압축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범퍼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범퍼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압챔버와 연통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범퍼부재는 상기 가압챔버를 제1 가압챔버와 제2 가압챔버로 구획하되, 상기 제1 가압챔버와 상기 제2 가압챔버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측면홀을 구비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제1 가압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 연결유로와,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제2 가압챔버를 연통시키는 제2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면에 함몰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하측 홈부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유로는 입구부가 상기 복수의 상측 돌출부에 형성되고, 출구부가 상기 복수의 하측 홈부에 형성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측 돌출부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유로는 상기 하부와셔의 승강에 의해 개폐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범퍼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범퍼부재는 수축 또는 팽창에 대한 복원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폭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사이를 밀봉하는 씰링부재를 구비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와 사이에 리저버 챔버를 구비하는 외튜브;를 더 포함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리저버 챔버를 연통시키며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바디밸브;를 더 포함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실린더 내부를 인장챔버와 압축챔버로 구획하고 하단에 하부와셔가 체결되는 피스톤밸브가 결합되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 길이에 따라 감쇠력을 변화시키는 밸브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조립체는 상기 실린더 내에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고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연결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유로의 주변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연결유로가 마련되는 가이드부재와,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면을 탄성 지지하고 측면에 복수의 측면홀을 구비하는 범퍼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범퍼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측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상측 돌출부 사이로 형성되는 슬릿유로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유로는 상기 상측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와셔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범퍼부재는 수축 또는 팽창에 대한 복원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폭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는 일정 스트로크 이상으로 압축 행정 시 추가적인 감쇠력을 부가하여 장치의 길이와 부피가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는 일정 스트로크 이상으로 압축 행정 시 단계적인 감쇠력을 부가하여 차량의 승차감과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의 밸브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의 가이드부재의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의 가이드부재의 하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의 압축 행정 시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의 압축 행정 시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의 압축 행정 시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의 밸브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의 가이드부재의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의 가이드부재의 하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1)는 유체가 충전되는 실린더(10)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로드(30)와, 피스톤로드(30)에 장착되어 실린더(10) 내부를 인장챔버(11)와 압축챔버(12)로 구획하고 하단에 하부와셔(32)가 체결되는 피스톤밸브(31)와, 실린더(10)의 단부에 결합되어 피스톤로드(30)의 스트로크 길이에 따라 감쇠력을 변화시키는 밸브조립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1)는 실린더(10)의 외측에 마련되어 리저버 챔버(21)가 형성되는 외튜브(20)와, 밸브조립체(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리저버 챔버(21)와 밸브조립체(100)를 연통시키며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바디밸브(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린더(10)의 내부에는 작동유체(오일)가 충전된다. 또한, 실린더(10)의 내부는 피스톤밸브(31)에 의해 하측의 압축챔버(12)와 상측의 인장챔버(11)로 구획될 수 있다.
피스톤로드(30)는 일단이 실린더(10)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실린더(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차량의 차체(미도시) 또는 차륜 측에 연결된다. 이 때, 피스톤로드(30)의 일단에는 피스톤밸브(31)가 장착된다.
피스톤밸브(31)는 피스톤로드(30)에 관통 결합된 상태로 피스톤로드(30)와 함께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10)의 내부를 왕복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이 때, 피스톤밸브(31)는 압축 행정 또는 인장 행정 시 유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유로와 인장유로가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피스톤밸브(31)는 실린더(10) 내부에서 압축 행정 또는 인장 행정 시 유체를 압축챔버(12) 또는 인장챔버(11)로 유동시키면서 유체의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피스톤밸브(31)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부와셔(33)와 하부와셔(32)가 장착되고, 너트(34)에 의해 체결되어 피스톤로드(30)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와셔(32)는 중심에 피스톤로드(30)가 관통되는 홀이 마련되는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하부와셔(32)의 외경은 압축 스트로크 시 상측 돌출부(122)와 밀착 가능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밸브조립체(100)는 실린더(10)의 단부에 결합되어 피스톤로드(30)의 스트로크 길이에 따라 추가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조립체(100)는 피스톤밸브(31)의 압축 행정 시 피스톤로드(30)의 스트로크 길이에 따라 부가적인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밸브조립체(10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바디밸브(40)는 밸브조립체(100)의 하단에 결합되며 부가적인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밸브(40)는 밸브조립체(100)와 밸브케이스(50) 사이에 개재되고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 형성되는 바디부(41)와, 바디부(4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마련되어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디스크(42)와, 복수의 디스크(42)를 바디부(41)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외튜브(2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린더(10)보다 내경이 크게 마련되어 내측에 실린더(10)를 수용한다. 이 때, 외튜브(20)의 내측과 실린더(10)의 외측 사이에는 작동유체(오일)가 충전되는 리저버 챔버(21)가 형성된다. 리저버 챔버(21)는 바디밸브(40) 및 밸브조립체(100)를 통해 실린더(10)와 연통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밸브조립체(100)는 피스톤밸브(31)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실린더(10) 내에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측에 형성되는 가압챔버(13)와 압축챔버(12)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121)를 구비하는 가이드부재(120)와, 가압챔버(13)에 마련되고 압축 가능하게 마련되어 가이드부재(120)를 탄성 지지하는 범퍼부재(130)와, 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어 범퍼부재(130)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가압챔버(13)와 연통되는 연통홀(111)을 구비하는 지지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조립체(100)는 압축 행정 시 피스톤로드(30)의 스트로크 길이에 따라 감쇠력을 추가적으로 부가할 수 있다. 밸브조립체(100)의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한다.
밸브조립체(100)는 지지부재(110)와 가이드부재(120)와 범퍼부재(130)의 조립에 의해 하나의 조립체로 조립된 상태로 실린더(1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110)는 일측이 실린더(10)의 단부에 결합되어 범퍼부재(130)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타측에 바디밸브(40)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10)는 실린더(10)의 단부에 압입 결합되는 소경부(110a)와, 소경부(110a)보다 반경이 크게 마련되고 하단에 중공형의 하부챔버(14)가 형성되며 바디밸브(40)가 결합되는 대경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10)는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통홀(1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연통홀(111)은 가압챔버(13)와 하부챔버(14)를 연통시킨다.
지지부재(110)는 상면에 범퍼부재(130)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장착홈(112)이 마련될 수 있다. 장착홈(112)은 범퍼부재(130)의 하단부가 압입 결합되도록 지지부재(110)의 연통홀(110) 주변에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0)는 피스톤밸브(31)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실린더(10) 내에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이드부재(120)는 압축챔버(12)와 가압챔버(13)를 구획하되, 압축챔버와 가압챔버(13)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121)를 구비한다. 이 때, 연결유로(121)는 하부와셔(32)의 승강에 의해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이에 따라 가압챔버(13)에 고압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유로(121)는 가이드부재(120)의 중심 측에 마련되어 압축챔버(12)와 가압챔버(13)를 연통시키는 제1 연결유로(121a)와, 가이드부재(120)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에 마련되고 하부와셔(32)에 의해 개폐되는 제2 연결유로(121b)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밸브조립체(100)는 제1 연결유로(121a)와 제2 연결유로(121b)의 개폐 여부 즉, 제1 연결유로(121a)와 제2 연결유로(121b)의 활성 단면적(또는 유효 단면적)에 따라 쇽 업소버(1)의 감쇠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연결유로(121a)는 가이드부재(120)의 중심 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홀 형태로 마련되어 압축챔버(12)와 범퍼부재(130)의 내측 공간(제1 가압챔버(13a))를 연통시킨다.
제2 연결유로(121b)는 가이드부재(120)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홀 형태로 마련되어 압축챔버(12)와 범퍼부재(130)의 외측 공간(제2 가압챔버(13b))를 연통시킨다. 또한, 제2 연결유로(121b)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가이드부재(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입구부가 상측 돌출부(122)에 형성되고 출구부가 하측 홈부(126)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0)는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측 돌출부(122)와, 복수의 상측 돌출부(122)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슬릿유로(127)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측 돌출부(122)는 방사상으로 마련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부재(120)는 슬릿유로(127)를 통해 압축챔버(12)와 가압챔버(13)를 연통시키기 때문에 부압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측 돌출부(122)는 압축 스트로크 시 하부와셔(32)의 하면과 밀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때, 각각의 상측 돌출부(122)에는 제2 연결유로(121b)의 입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압축 스트로크 시 하부와셔(32)가 상측 돌출부(122)에 밀착되어 제2 연결유로(121b)가 폐쇄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 연결유로(121a)는 슬릿유로(127)를 통해 압축챔버(12)와 가압챔버(13)를 연통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재(120)의 하단에는 범퍼부재(130)의 일단부와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장착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25)의 외경은 범퍼부재(130)의 상단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어 범퍼부재(130)의 내측에 압입 결합될 수 있고, 장착부(125)의 중심에는 제1 연결유로(121a)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0)는 하면에 함몰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하측 홈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하측 홈부(126)는 방사상으로 마련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하측 홈부(126)는 제2 연결유로(121b)의 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부재(120)의 하단에 범퍼부재(130)가 장착되더라도 제2 연결유로(121b)는 하측 홈부(126)를 통해 제2 가압챔버(13b)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재(120)는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124a)이 마련될 수 있고, 결합홈(124a)에는 실린더(10)의 내주면과 가이드부재(120)의 외주면 사이를 밀봉시키는 씰링부재(124)가 삽입될 수 있다.
범퍼부재(130)는 가압챔버(13)에 배치되어 가이드부재(120)를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범퍼부재(130)는 일단부가 가이드부재(120)의 장착부(125)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재(110)의 장착홈(112)에 삽입되어 가이드부재(120)를 지지부재(110)에 대해 상방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범퍼부재(130)는 재질이 고무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는 범퍼부재(130)의 재질의 변경을 통해 탄성계수를 변경하여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범퍼부재(130)는 압축 가능한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가압챔버(13)를 내측의 제1 가압챔버(13a)와, 외측의 제2 가압챔버(13b)로 구획하고, 측면에 제1 가압챔버(13a)와 제2 가압챔버(13b)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측면홀(133)을 구비한다.
범퍼부재(130)는 수축 또는 팽창에 대한 복원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주름부(131)와, 주름부(131)의 외면에 돌출되어 범퍼부재(130)의 폭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름부(131)의 수축 시 외측으로 확장되는 돌출 부분에는 각각 측면홀(13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측면홀(133)의 위치, 크기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로써, 범퍼부재(130)는 압축 스트로크 시 제2 가압챔버(13b)에 고압이 형성되면 제2 가압챔버(13b)에 수용된 작동유체를 복수의 측면홀(133)을 통해 제1 가압챔버(13a)로 유동시킴으로써 추가적인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는 범퍼부재(130)의 측면홀(133)의 크기, 모양 및 개수의 변경을 통해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1)의 압축 행정 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1)의 압축 행정 시 밸브조립체(100)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1)는 압축 행정 시 스트로크 길이 또는 변위에 따라 다른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쇽 업소버(1)는 압축 행정 시 압축챔버(12)에 수용된 유체가 피스톤밸브(31)를 통과하여 인장챔버(11)로 이동하면서 유체의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동시에, 압축챔버(12)에 수용된 유체 중 일부는 압축되면서 밸브조립체(100)를 통해 바디밸브(40)를 통과하여 리저버 챔버(21)로 이동하여 압축되면서 유체의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 밸브조립체(100)의 연결유로(121)는 완전 개방되어 있고, 범퍼부재(130)가 탄성 변형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추가적인 감쇠력을 거의 부가하지 않는다.
즉, 쇽 업소버(1)는 피스톤밸브(31)와 바디밸브(40)에 의한 감쇠력만 작용하고, 밸브조립체(100)에 의한 감쇠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쇽 업소버(1)는 압축 행정 시 피스톤로드(30)의 스트로크에 의해 하부와셔(32)가 가이드부재(120)에 밀착됨에 따라 밸브조립체(100)에 의한 추가 감쇠력이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압축 스트로크에 의해 하부와셔(32)가 가이드부재(120)를 가압하면 범퍼부재(130)가 수축되면서 소재 성질에 의한 탄성반발력이 발생하여 추가적인 감쇠력이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압축 스트로크에 의해 하부와셔(32)가 가이드부재(120)를 가압하면서 상측 돌출부(122)에 밀착되면 제2 연결유로(121b)의 입구부가 폐쇄된다. 이에 따라, 압축 스트로크에 의해 가이드부재(120)가 하강하면 제2 가압챔버(13b)는 고압상태가 되고, 제2 가압챔버(13b)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측면홀(133)을 통해 제1 가압챔버(13a)로 유동하면서 저항력을 발생시켜 추가적인 감쇠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1)는 압축 행정 시 하부와셔(32)가 가이드부재(120)를 가압할 정도로 스트로크가 발생하면, 추가적인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1)는 압축 행정 시 스트로크 길이에 따라 추가적인 감쇠력을 부가하여 기존의 쇽 업소버(1)보다 강건한 감쇠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1)는 스트로크의 길이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 추가적인 감쇠력을 부가함으로써, 중, 대형 차량의 승차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악한 도로 환경 주행 시 과도한 스트로크에 의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쇽 업소버(1)는 밸브 조립체(100)의 간단한 구조로 추가적인 감쇠력을 구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변경 용이성이 뛰어나므로, 원가 절감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존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쇽 업소버 10: 실린더
11: 인장챔버 12: 압축챔버
13: 가압챔버 13a: 제1 가압챔버
13b: 제2 가압챔버 14: 하부챔버
20: 외튜브 30: 피스톤로드
31: 피스톤밸브 32: 하부와셔
40: 바디밸브 50: 밸브케이스
100: 밸브조립체 110: 지지부재
111: 연통홀 120: 가이드부재
121: 연결유로 121a: 제1 연결유로
121b: 제2 연결유로 122: 상측 돌출부
125: 장착부 130: 범퍼부재
131: 주름부 132: 돌출부
133: 측면홀

Claims (15)

  1.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와,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인장챔버와 압축챔버로 구획하고 하단에 하부와셔가 체결되는 피스톤밸브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측에 형성되는 가압챔버와 상기 압축챔버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를 구비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압챔버에 마련되고 압축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범퍼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범퍼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압챔버와 연통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범퍼부재는
    상기 가압챔버를 제1 가압챔버와 제2 가압챔버로 구획하되, 상기 제1 가압챔버와 상기 제2 가압챔버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측면홀을 구비하는 쇽 업소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제1 가압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 연결유로와,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제2 가압챔버를 연통시키는 제2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면에 함몰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하측 홈부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측 돌출부와, 하면에 함몰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하측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유로는
    입구부가 상기 복수의 상측 돌출부에 형성되고, 출구부가 상기 복수의 하측 홈부에 형성되는 쇽 업소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측 돌출부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쇽 업소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유로는
    상기 하부와셔의 승강에 의해 개폐되는 쇽 업소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쇽 업소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부재는
    수축 또는 팽창에 대한 복원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폭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사이를 밀봉하는 씰링부재가 장착되는 쇽 업소버.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와 사이에 리저버 챔버를 구비하는 외튜브;를 더 포함하는 쇽 업소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리저버 챔버를 연통시키며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바디밸브;를 더 포함하는 쇽 업소버.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유로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홀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쇽 업소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유로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유로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쇽 업소버.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는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의 활성 단면적에 따라 감쇠력이 변화하는 쇽 업소버.
KR1020210064287A 2021-05-18 2021-05-18 쇽 업소버 KR20220156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287A KR20220156354A (ko) 2021-05-18 2021-05-18 쇽 업소버
CN202210526517.9A CN115370699A (zh) 2021-05-18 2022-05-16 减震器
US17/744,953 US11796024B2 (en) 2021-05-18 2022-05-16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287A KR20220156354A (ko) 2021-05-18 2021-05-18 쇽 업소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54A true KR20220156354A (ko) 2022-11-25

Family

ID=8406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287A KR20220156354A (ko) 2021-05-18 2021-05-18 쇽 업소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96024B2 (ko)
KR (1) KR20220156354A (ko)
CN (1) CN1153706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725A (ko)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6445A (en) * 1978-10-13 1983-11-22 Imperial Clevite Inc. Viscous spring damper
US7140601B2 (en) * 2004-08-06 2006-11-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dependent and integrated compact air-bump stops
US9091320B1 (en) * 2014-01-08 2015-07-28 Thyssenkrupp Bilstein Of America, Inc. Multi-stage shock absorber
CN107208726B (zh) * 2015-02-03 2019-10-01 天纳克汽车营运公司 用于减振器的次级阻尼组件
DE102015121140A1 (de) * 2015-12-04 2017-06-08 Thyssenkrupp Ag Schwingungsdämpfer mit hydraulischer Dämpfung des Druckstufenanschlages
DE102019213913A1 (de) * 2019-09-12 2021-03-18 Thyssenkrupp Ag Hydraulischer Schwingungsdämpfer mit einem Zug- und einem Druckanschlag
US10962081B2 (en) * 2019-09-16 2021-03-3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dual springs
KR20220159112A (ko) * 2021-05-25 2022-12-0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쇽업소버
US11649873B1 (en) * 2022-01-26 2023-05-16 Thyssenkrupp Bilstein Of America, Inc. User-adjustable multi-stage shock absorb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725A (ko)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96024B2 (en) 2023-10-24
US20220373057A1 (en) 2022-11-24
CN115370699A (zh)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804B1 (ko) 주파수 및 압력 감응형 쇽업소버
US9541153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US9291231B2 (en) Frequency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KR101068992B1 (ko)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KR101254287B1 (ko) 가변유로를 갖는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KR101876915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어셈블리
KR20140022583A (ko) 쇽 업소버의 밸브 조립체
KR20110028497A (ko) 유공압 서스펜션 유닛
US11680622B2 (en) Frequency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US20230193974A1 (en) Frequency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KR20220156354A (ko) 쇽 업소버
KR102385442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1756424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2603934B1 (ko) 쇽 업소버
JP2003156093A (ja) 油圧緩衝器のフリクション付与構造
KR102494288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0320807B1 (ko) 쇽 업소버
KR101272752B1 (ko) 쇽업소버
KR200287283Y1 (ko) 쇽업소버
KR102579566B1 (ko) 쇽 업소버
KR20220129289A (ko) 쇽 업소버
KR960004424Y1 (ko) 자동차의 쇽업소오버 감쇠벨브
KR101744308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20040088678A (ko) 쇽업소버
KR20090094422A (ko) 차량용 쇽업소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