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45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455A
KR20220155455A KR1020210061807A KR20210061807A KR20220155455A KR 20220155455 A KR20220155455 A KR 20220155455A KR 1020210061807 A KR1020210061807 A KR 1020210061807A KR 20210061807 A KR20210061807 A KR 20210061807A KR 20220155455 A KR20220155455 A KR 20220155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display device
transmittanc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규
박홍조
최범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5455A/ko
Priority to US17/551,790 priority patent/US20220367574A1/en
Priority to CN202221133110.1U priority patent/CN217641342U/zh
Priority to CN202210515886.8A priority patent/CN115347018A/zh
Publication of KR2022015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01L51/525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H01L27/3211
    • H01L27/322
    • H01L27/3225
    • H01L51/5036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01L2251/5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되고 발광 소자들과 대응하는 컬러 필터들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 컬러 필터층 상에 배치되고 착색제를 포함하는 오버코팅층, 및 오버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오버코팅층이 착색제를 포함함에 따라,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이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오버코팅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가 금속을 포함하는 배선, 전극 등을 구비함에 따라, 표시 장치에 입사되는 외광이 배선, 전극 등으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이러한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편광층을 포함한다. 편광층은 외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으나, 편광층으로 인해 표시 장치의 투과 영역에서의 투과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광 반사가 감소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이와 같은 목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상기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들과 대응하는 컬러 필터들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 상기 컬러 필터층 상에 배치되고, 착색제를 포함하는 오버코팅층, 및 상기 오버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유기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안료는 아세틸렌 블랙, 아닐린 블랙, 퍼릴렌 블랙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적색 안료, 녹색 안료, 및 청색 안료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색 안료는 적색 계열(redish)을 띠는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녹색 안료는 녹색 계열(greenish)을 띠는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청색 안료는 청색 계열(bluish)을 띠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발광 소자들이 배치되고, 제1 투과율을 갖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제1 투과율과 상이한 제2 투과율을 갖는 투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의 제1 두께는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의 제2 두께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보다 크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보다 작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대략 1.5um 이상 대략 3u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기능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 소자들의 단위 면적 당 개수는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 소자들의 단위 면적 당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오버코팅층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상기 오버코팅층에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감압 접착제, 광학 투명 접착제, 및 광학 투명 수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팅층은 대략 380nm 미만의 파장을 갖는 광을 차폐하는 자외선 흡광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팅층은 대략 380nm 이상 대략 70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광에 대하여 대략 75% 이상 대략 90% 이하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들은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적색 발광 소자, 녹색 광을 방출하는 녹색 발광 소자, 및 청색 광을 방출하는 청색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두께,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두께,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투과율을 갖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제1 투과율과 상이한 제2 투과율을 갖는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며,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상기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들과 대응하는 컬러 필터들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 상기 컬러 필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제1 두께 및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제1 두께와 상이한 제2 두께를 갖는 오버코팅층, 및 상기 오버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팅층은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보다 크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보다 작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착색제가 첨가된 오버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코팅층에 상기 착색제가 첨가됨에 따라, 상기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이 감소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에 포함된 구성(예를 들어, 공통 전극 등)에서 반사되는 외광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제의 함량 및/또는 상기 오버코팅층의 두께에 따라, 상기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에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요구하는 투과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의 두께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이 평탄한 상면을 가짐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의 반사색띠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발광 소자들 각각의 두께들을 각각 조절함에 따라, 상기 반사색띠 현상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4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A) 및 상기 표시 영역(DA)과 인접하는 투과 영역(T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과 영역(TA)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일 측에 위치하고,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투과 영역(TA)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투과 영역(TA)은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 영역(TA)은 원형, 타원형, 및/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 및 상기 투과 영역(TA)에서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고, 상기 투과 영역(TA)에는 기능성 모듈(FM)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듈(FM)은 상기 표시 장치(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사물의 이미지를 촬영(또는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기 위한 얼굴 인식 센서 모듈, 사용자의 눈동자를 감지하기 위한 동공 인식 센서 모듈, 표시 장치의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모듈 및 지자기 센서 모듈, 표시 장치의 전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 모듈 및 적외선 센서 모듈, 외부의 밝기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상기 기능성 모듈(FM)이 상기 투과 영역(TA)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성 모듈(FM)은 두 개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의 제1 투과율은 상기 투과 영역(TA)의 제2 투과율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보다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는 상기 기능성 모듈(FM)의 집광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큼에 따라, 상기 기능성 모듈(FM)로 입사하는 광량이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보다 작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0)의 내부에서 반사되는 광이 상기 표시 장치(10)의 전면을 향해 투과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예를 들어, 영상의 해상도, 영상의 명암비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보다 크게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투과율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투과율들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투과율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제1 발광 소자들(R1, G1, B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발광 소자들(R1, G1, B1)은 RGBG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발광 소자들(R1, G1, B1)은 제1 적색 발광 소자(R1), 제1 녹색 발광 소자(G1), 및 제1 청색 발광 소자(G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색 발광 소자(R1)는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제1 녹색 발광 소자(G1)는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청색 발광 소자(G1)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투과 영역(TA)에는 복수의 제2 발광 소자들(R2, G2, B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발광 소자들(R2, G2, B2)는 RGBG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발광 소자들(R2, G2, B2)은 제2 적색 발광 소자(R2), 제2 녹색 발광 소자(G2), 및 제2 청색 발광 소자(G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과 영역(TA)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발광 소자들(R2, G2, B2)의 단위 면적 당 개수는 상기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발광 소자들(R1, G1, B1)의 단위 면적 당 개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투과 영역(TA)의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기 제1 투과율보다 클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발광 소자들(R1, G1, B1) 의 면적들은 상기 제2 발광 소자들(R2, G2, B2)의 면적들과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발광 소자들(R1, G1, B1)의 상기 면적들은 상기 제2 발광 소자들(R2, G2, B2)의 상기 면적들보다 각각 클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예를 들어, 도 4는 상기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일 수 있고, 도 5 및 도 6은 상기 표시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일 수 있다. 또한, 도 5는 상기 표시 장치에 포함된 기판 및 트랜지스터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일 수 있고, 도 6은 상기 표시 장치에 포함된 발광 소자층, 봉지층, 감지층, 컬러 필터층, 오버코팅층, 접착층, 및 윈도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일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는 상기 기능성 모듈(FM), 기판(100), 버퍼층(110), 트랜지스터층(200), 발광 소자층(300), 봉지층(400), 감지층(500), 컬러 필터층(600), 오버코팅층(700), 접착층(800), 및 윈도우(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제1 두께(TH1)는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제2 두께(TH2)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두께(TH1) 및 상기 제2 두께(TH2)는 상기 표시 영역(DA) 및 상기 투과 영역(TA)의 투과율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두께(TH1)는 상기 제2 두께(TH2)보다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DA)이 갖는 제1 투과율은 상기 투과 영역(TA)이 가지는 제2 투과율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투과 영역(TA)의 투과율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층(200)은 제1 내지 제3 액티브 패턴들(ACT1, ACT2, ACT3),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들(GAT1, GAT2, GAT3), 제1 내지 제3 소스 전극들(SE1, SE2, SE3), 및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들(DE1, DE2, DE3), 게이트 절연층(GI), 층간 절연층(ILD), 및 비아 절연층(VI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액티브 패턴들(ACT1, ACT2, ACT3), 상기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들(GAT1, GAT2, GAT3), 상기 제1 내지 제3 소스 전극들(SE1, SE2, SE3),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들(DE1, DE2, DE3)은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들(TR1, TR2, TR3)을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러 필터층(600)은 상기 표시 영역(DA)과 중첩하고,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 필터층(600)은 상기 표시 영역(DA) 및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성 모듈(FM)은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성 모듈(FM)은 상기 기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100)에는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며 상기 기판(100)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듈(FM)은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유리, 석영, 플라스틱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100)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100)은 하나 이상의 폴리이미드층 및 하나 이상의 배리어층이 번갈아가며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0)은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금속 원자들이나 불순물들이 상기 트랜지스터층(200)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버퍼층(11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액티브 패턴들(ACT1, ACT2, ACT3)을 형성하기 위한 결정화 공정 동안 열의 전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액티브 패턴들(ACT1, ACT2, ACT3)은 상기 버퍼층(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액티브 패턴들(ACT1, ACT2, ACT3)은 실리콘 반도체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반도체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아연 산화물(ZnOx), 갈륨 산화물(GaOx), 티타늄 산화물(TiOx), 주석 산화물(SnOx), 인듐 산화물(InOx), 인듐-갈륨 산화물(IGO), 인듐-아연 산화물(IZO), 인듐-주석 산화물(ITO), 갈륨-아연 산화물(GZO), 아연-마그네슘 산화물(ZMO), 아연-주석 산화물(ZTO), 아연-지르코늄 산화물(ZnZrxOy),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인듐-아연-주석 산화물(IZTO), 인듐-갈륨-하프늄 산화물(IGHO), 주석-알루미늄-아연 산화물(TAZO), 인듐-갈륨-주석 산화물(IGTO)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상기 제1 내지 제3 액티브 패턴들(ACT1, ACT2, ACT3)을 커버하며, 상기 버퍼층(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절연 물질의 예로는,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N)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GAT1, GAT2, GAT3)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들(GAT1, GAT2, GAT3)은 금속, 합금,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들(GAT1, GAT2, GAT3)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은(Ag), 은을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Mo),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구리(Cu), 니켈(Ni), 크롬(Cr), 크롬 질화물(CrN), 티타늄(Ti), 탄탈륨(Ta), 백금(Pt), 스칸듐(Sc),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상기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들(GAT1, GAT2, GAT3)을 커버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소스 전극들(SE1, SE2, SE3)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들(DE1, DE2, DE3)은 상기 층간 절연층(IL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스 전극(SE1) 및 상기 제1 드레인 전극(DE1)은 상기 제1 액티브 패턴(ACT1)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2 소스 전극(SE2) 및 상기 제2 드레인 전극(DE2)은 상기 제2 액티브 패턴(ACT2)과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소스 전극(SE3) 및 상기 제3 드레인 전극(DE3)은 상기 제3 액티브 패턴(ACT3)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소스 전극들(SE1, SE2, SE3)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들(DE1, DE2, DE3)은 금속, 합금,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상기 제1 내지 제3 소스 전극들(SE1, SE2, SE3)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들(DE1, DE2, DE3)을 커버하며, 상기 층간 절연층(IL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아 절연층(VIA)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ic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 resin), 아크릴계 수지(acrylic resin)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소자층(300)은 제1 내지 제3 화소 전극들(PE1, PE2, PE3), 제1 내지 제3 발광층들(EL1, EL2, EL3), 및 공통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화소 전극(PE1), 상기 제1 발광층(EL1), 및 상기 공통 전극(CE)은 상기 제1 적색 발광 소자(R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 전극(PE2), 상기 제2 발광층(EL2), 및 상기 공통 전극(CE)은 상기 제1 녹색 발광 소자(G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화소 전극(PE3), 상기 제3 발광층(EL3), 및 상기 공통 전극(CE)은 상기 제1 청색 발광 소자(B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400)은 제1 무기층(410), 유기층(420), 및 제2 무기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층(600)은 제1 컬러 필터(RCF), 제2 컬러 필터(GCF), 제3 컬러 필터(BCF), 및 차광 부재(BM)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컬러 필터(RCF)는 상기 제1 적색 발광 소자(R1)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2 컬러 필터(GCF)는 상기 제1 녹색 발광 소자(G1)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3 컬러 필터(BCF)는 상기 제1 청색 발광 소자(B1)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BM)는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들(RCF, GCF, BCF)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 전극들(PE1, PE2, PE3)은 상기 비아 절연층(VIA)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들(DE1, DE2, DE3)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 전극들(PE1, PE2, PE3)은 금속, 합금,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상기 비아 절연층(VI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에는 각각의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 전극들(PE1, PE2, PE3)을 노출시키는 개구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 물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소 정의막(PDL)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ic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 resin)(특히, 감광성 폴리이미드계 수지(PSPI)), 아크릴계 수지(acrylic resin)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 정의막(PDL)에는 착색제가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소 정의막(PDL)에는 블랙 안료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층들(EL1, EL2, EL3)은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 전극들(PE1, PE2, PE3)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발광층(EL1)은 적색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발광층(EL2)은 녹색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발광층(EL3)은 청색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층들(EL1, EL2, EL3)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CE)은 상기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층들(EL1, EL2, EL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CE)은 금속, 합금,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 소자들(R1, G1, B1)의 두께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층들(EL1, EL2, EL3)의 두께들이 서로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3 화소 전극들(PE1, PE2, PE3)의 두께들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광 소자(R1)는 제1 발광 두께(THR1)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발광 소자(G1)는 제2 발광 두께(THG1)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3 발광 소자(B1)는 제3 발광 두께(THB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두께(THR1)는 상기 제2 발광 두께(THG1)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제2 발광 두께(THG1)는 상기 제3 발광 두께(THB1)보다 클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 두께들(THR1, THG1, THB1)의 대소 관계는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400)은 상기 공통 전극(C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 소자들(R1, G1, B1)로 산소 및/또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층(410) 및 상기 제2 무기층(430)은 무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층(420)은 상기 제1 및 제2 무기층들(410, 430) 사이에 배치되며, 유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지층(4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더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감지층(500)은 상기 봉지층(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층(500)에는 복수의 감지 전극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BM)는 상기 감지층(5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BM)는 상기 화소 정의막(PDL)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 부재(BM)는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들(RCF, GCF, BCF)이 배치되는 영역들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BM)는 광을 흡수 및/또는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광 부재(BM)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크롬, 크롬 산화물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들(RCF, GCF, BCF)은 상기 감지층(B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 필터(RCF)는 상기 제1 발광 소자(R1)와 중첩할 수 있고, 상기 제2 컬러 필터(GCF)는 상기 제2 발광 소자(G1)와 중첩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컬러 필터(BCF)는 상기 제3 발광 소자(B1)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들(RCF, GCF, BCF) 각각은 특정 파장대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오버코팅층(700)은 상기 컬러 필터층(6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버코팅층(700)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버코팅층(70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폴리이미드, 아크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버코팅층(700)은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유기 안료, 적색 안료, 녹색 안료, 청색 안료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오버코팅층(700)은 회색을 띨 수 있다.
상기 유기 안료는 유기 물질로 형성되고 흑색을 띠는 안료 중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안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안료는 아세틸렌 블랙, 아닐린 블랙, 퍼릴렌 블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적색 안료, 상기 녹색 안료 및 상기 청색 안료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띠는 안료 중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안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색 안료는 적색(red) 안료 또는 적색 계열(redish)을 띠는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적색 안료로 C.I. 피그먼트 레드 계열의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녹색 안료는 녹색(green) 안료 또는 녹색 계열(greenish)을 띠는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녹색 안료로 C.I. 피그먼트 그린 계열의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청색 안료는 청색(blue) 안료 또는 청색 계열(bluish)을 띠는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청색 안료로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인단트론 블루 안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버코팅층(700)이 상기 착색제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오버코팅층(700)은 투명(colorless)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착색제의 함량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투과율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착색제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투과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00)은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두께(TH1)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두께(TH1)는 상기 오버코팅층(700)이 상기 표시 영역(DA)에서 가지는 최대 두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두께(TH1)는 대략 1.5um 이상 대략 3u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00)은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두께(TH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두께(TH2)는 상기 오버코팅층(700)이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가지는 최대 두께일 수 있다.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두께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투과율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두께가 감소될수록,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투과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두께들(TH1, TH2)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프톤 마스크(halftone mask)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두께들(TH1, TH2)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두께(TH2)가 상기 제1 두께(TH1)보다 작은 경우, 상기 투과 영역(TA)의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기 제1 투과율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버코팅층(700)은 자외선 흡광제(UV absorb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광제는 대략 380nm 미만의 파장을 갖는 광을 흡수 및/또는 차폐하는 재료 중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 흡광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B, hydroxy benzotriazole)계, 트리스-레소르시놀-트리아진 크로모포어(TRTC, tris-resorcinol-triazine chromophore)계,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크로모포어(HBC, hydroxylphenyl-benzotriazole chromophore)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버코팅층(700)이 상기 자외선 흡광제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1)의 내광성(light stability)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800)은 상기 오버코팅층(7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800)은 상기 윈도우(900)를 상기 오버코팅층(70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80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bility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olorless adhesive, OCA), 광학 투명 수지(optically colorless resin, OCR)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900)는 상기 접착층(8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래프의 X축은 파장을 나타내고, 그래프의 Y축은 오버코팅층(700)의 투과율을 나타낸다. 3가지 종류의 오버코팅층들 각각이 특정 파장대를 갖는 광에 대하여 가지는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CEX)는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는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이고, 제1 실험예(EX1)는 상기 착색제를 제1 함량만큼 포함하는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이며, 제2 실험예(EX2)는 상기 착색제를 제2 함량만큼 포함하는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제2 함량은 상기 제1 함량보다 크다.
상기 비교예(CEX)에서, 대략 380nm 내지 대략 780nm 의 파장을 갖는 광에 대하여,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은 대략 95% 이상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반면, 상기 제1 실험예(EX1)에서, 대략 380nm 내지 대략 630nm 의 파장을 갖는 광에 대하여,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은 대략 85% 내지 대략 95%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상기 제2 실험예(EX2)에서, 대략 380nm 이상 대략 70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광에 대하여,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은 대략 75% 이상 대략 90% 이하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즉, 오버코팅층에 첨가되는 상기 착색제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착색제의 함량이 조절됨에 따라,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험예(EX1) 및 상기 제2 실험예(EX2)에서, 대략 780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광(즉, 적외선)에 대하여,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은 대략 90% 이상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다시 말하면, 오버코팅층에 상기 착색제가 첨가되어도, 대략 780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광에 대한 오버코팅층의 투과율은 높게 유지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 장치(11)는 상기 착색제가 첨가된 상기 오버코팅층(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층(600) 및 상기 오버코팅층(700)이 종래의 편광판(polarizer)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상기 표시 장치(11)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오버코팅층(700)에 상기 착색제가 첨가됨에 따라,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투과율이 감소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1)에 포함된 구성(예를 들어, 상기 공통 전극(CE) 등)에서 반사되는 외광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11)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제의 함량 및/또는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투과율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1)에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요구하는 상기 투과 영역(TA)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00)의 두께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00)이 평탄한 상면을 가짐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1)의 반사색띠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 두께들(THR1, THG1, THB1)을 각각 조절함에 따라, 상기 반사색띠 현상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예를 들어, 도 8은 상기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일 수 있고, 도 9는 상기 표시 장치에 포함된 발광 소자층, 봉지층, 감지층, 컬러 필터층, 오버코팅층, 접착층, 및 윈도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일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2)는 상기 기능성 모듈(FM), 상기 기판(100), 상기 버퍼층(110), 상기 트랜지스터층(200), 상기 발광 소자층(300), 상기 봉지층(400), 상기 감지층(500), 상기 컬러 필터층(600), 오버코팅층(710), 상기 접착층(800), 및 상기 윈도우(9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표시 장치(12)는, 상기 오버코팅층(710)의 두께를 제외하고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표시 장치(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10)의 제1 두께(TH1)는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10)의 제2 두께(TH2)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두께(TH1) 및 상기 제2 두께(TH2)는 상기 표시 영역(DA) 및 상기 투과 영역(TA)의 투과율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두께(TH1)는 상기 제2 두께(TH2)보다 작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DA)이 갖는 제1 투과율은 상기 투과 영역(TA)이 가지는 제2 투과율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투과 영역(TA)의 투과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예를 들어, 도 10은 상기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일 수 있고, 도 11은 상기 표시 장치에 포함된 발광 소자층, 봉지층, 감지층, 컬러 필터층, 오버코팅층, 접착층, 및 윈도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3)는 상기 기능성 모듈(FM), 상기 기판(100), 상기 버퍼층(110), 상기 트랜지스터층(200), 상기 발광 소자층(300), 상기 봉지층(400), 상기 감지층(500), 상기 컬러 필터층(600), 오버코팅층(720), 상기 접착층(800), 및 상기 윈도우(9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표시 장치(13)는, 상기 오버코팅층(730)의 두께를 제외하고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표시 장치(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10)의 제1 두께(TH1)는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10)의 제2 두께(TH2)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두께(TH1) 및 상기 제2 두께(TH2)는 상기 표시 영역(DA) 및 상기 투과 영역(TA)의 투과율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두께(TH1)는 상기 제2 두께(TH2)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20)의 상면은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72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DA)이 갖는 제1 투과율은 상기 투과 영역(TA)이 가지는 제2 투과율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투과 영역(TA)의 투과율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등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설시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 11, 12, 13 : 표시 장치 100 : 기판
200 : 트랜지스터층 300 : 발광 소자층
400 : 봉지층 500 : 감지층
600 : 컬러 필터층 700, 710, 720 : 오버코팅층
800 : 접착층 900 : 윈도우
TH1 : 제1 두께 TH2 : 제2 두께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상기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들과 대응하는 컬러 필터들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
    상기 컬러 필터층 상에 배치되고, 착색제를 포함하는 오버코팅층; 및
    상기 오버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유기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안료는 아세틸렌 블랙, 아닐린 블랙, 퍼릴렌 블랙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적색 안료, 녹색 안료, 및 청색 안료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안료는 적색 계열(redish)을 띠는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녹색 안료는 녹색 계열(greenish)을 띠는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청색 안료는 청색 계열(bluish)을 띠는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발광 소자들이 배치되고, 제1 투과율을 갖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제1 투과율과 상이한 제2 투과율을 갖는 투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의 제1 두께는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오버코팅층의 제2 두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보다 크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보다 작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1.5um 이상 3u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기능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 소자들의 단위 면적 당 개수는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 소자들의 단위 면적 당 개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팅층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상기 오버코팅층에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감압 접착제, 광학 투명 접착제, 및 광학 투명 수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팅층은 380nm 미만의 파장을 갖는 광을 차폐하는 자외선 흡광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팅층은 380nm 이상 70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광에 대하여 75% 이상 90%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들은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적색 발광 소자, 녹색 광을 방출하는 녹색 발광 소자, 및 청색 광을 방출하는 청색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두께,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두께,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두께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 투과율을 갖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제1 투과율과 상이한 제2 투과율을 갖는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며,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상기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들과 대응하는 컬러 필터들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
    상기 컬러 필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제1 두께 및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제1 두께와 상이한 제2 두께를 갖는 오버코팅층; 및
    상기 오버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팅층은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보다 크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보다 작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061807A 2021-05-13 2021-05-13 표시 장치 KR20220155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07A KR20220155455A (ko) 2021-05-13 2021-05-13 표시 장치
US17/551,790 US20220367574A1 (en) 2021-05-13 2021-12-15 Display device
CN202221133110.1U CN217641342U (zh) 2021-05-13 2022-05-12 显示装置
CN202210515886.8A CN115347018A (zh) 2021-05-13 2022-05-1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07A KR20220155455A (ko) 2021-05-13 2021-05-13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455A true KR20220155455A (ko) 2022-11-23

Family

ID=8365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807A KR20220155455A (ko) 2021-05-13 2021-05-1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67574A1 (ko)
KR (1) KR20220155455A (ko)
CN (2) CN217641342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47018A (zh) 2022-11-15
CN217641342U (zh) 2022-10-21
US20220367574A1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105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916592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374168B1 (ko)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606941B1 (ko) 표시장치
US20230109621A1 (en) Display device
US20180165496A1 (en)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 sensing unit
CN111129076A (zh) 显示装置
KR20190098874A (ko) 지문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60320885A1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JPWO2012063436A1 (ja) 表示装置用基板及び表示装置
US11616214B2 (en) Display device
CN211180467U (zh) 液晶显示装置
KR20150005053A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
US10146084B2 (en) Display device
US11108026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US11644708B2 (en) Light shielding element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11768567B2 (en) Electronic device
KR20220155455A (ko) 표시 장치
KR20200080611A (ko) 좁은 시야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67852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24020864A1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TWI831316B (zh) 光學指紋感測裝置
US1195047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emitting layers with opposing-direction portions
US20230119532A1 (en) Display apparatus
US20230157115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