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924A -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 Google Patents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924A
KR20220154924A KR1020210062475A KR20210062475A KR20220154924A KR 20220154924 A KR20220154924 A KR 20220154924A KR 1020210062475 A KR1020210062475 A KR 1020210062475A KR 20210062475 A KR20210062475 A KR 20210062475A KR 20220154924 A KR20220154924 A KR 2022015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part
correction
support
compression p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066B1 (ko
Inventor
안주은
박주연
파톡프라밧
김혜숙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2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06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67Trousers with reinforcement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43Le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는 사용자의 둔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배치된 제1 서포트부와, 사용자의 대퇴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배치된 제3 서포트부, 그리고 상기 제1 서포트부와 상기 제3 서포트부를 연결하는 제2 서포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COMPRESSION PANTS FOR OUT-TOEING COR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교정용 의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에 의한 아웃토잉(Out-toeing) 보행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정용 의복은 근육을 압박하여 이를 착용한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운동을 진행하도록 돕니다. 구체적으로, 운동 선수들은 유소년기부터 극한 운동 범위를 사용하기 때문에 운동 사슬(Kinetic chain)의 생체 역학적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일예로, 무용선수들은 훈련 중 사용하는 턴아웃(Turn-out) 동작은 180도의 외회전 발각도를 유지함으로, 선수의 하지관절 부위에 압박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훈련을 통한 턴아웃 동작은 무용선수들의 보행 패턴을 아웃토잉(Out-toeing: 발가락의 끝단의 양발의 회전각도가 외측방향으로 향하여 보행시 이러한 양발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행으로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아웃토잉 보행은 보행 시 발의 축과 보행 진행 방향 축 사이의 각도로 측정될 수 있다. 발의 회전각도가 클수록 아웃토잉 보행이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토잉 보행은 선수의 하지 뼈, 근육, 힘줄, 인대 그리고 신경등에 부담을 주고, 급성 또는 만성의 부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아웃토잉 보행은 보행 시 고관절의 과도한 외회전을 이뤄, 대퇴골 역전(Femoral retroversion)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는, 아웃토잉 보행은 노화와 함께 만성 대퇴골 역전에 의한 골관절염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아웃토잉 보행 시, 무릎에 과도한 외회전이 일어나 무릎반월에 염증이 발생되고, 골절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위험이 있다.
발부위 또한 보행 시 첫 중족골 두(First metatarsal head)의 압력이 커짐에 따라 엄지발가락 염증 및 골절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무용선수의 경우 하지 부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아웃토잉 보행의 교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착용하여 아웃토잉 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는 사용자의 둔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배치된 제1 서포트부와, 사용자의 대퇴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배치된 제3 서포트부, 그리고 상기 제1 서포트부와 상기 제3 서포트부를 연결하는 제2 서포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서포트부는 일영역이 사용자의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과 사용자의 반건양근(Semitendinosus)을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대퇴이두근과 사용자의 반건양근을 압박 가능한 상기 제3 서포트부의 일영역은 만곡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포트부는 일영역이 사용자의 봉공근(Sartorius)을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는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종아리부 일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된 제4 서포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서포트부는 사용자의 비복근(Gastrocnemius) 또는 사용자의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는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4 서포트부보다 하부의 사용자의 종아리부를 감싸며 배치된 제5 서포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서포트부는 일영역이 사용자의 비복근을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포트부는 상기 제1 서포트부와 연결되는 일측이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연결되는 타측보다 사용자의 종아리부와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포트부는 사용자의 하지의 외측으로부터 사용자의 하지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포트부는 사용자의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을 압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는, 사용자의 둔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배치된 제1 서포트부와, 상기 제1 서포트부와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 하지의 후방으로부터 사용자 하지의 전방을 향해 사용자의 하지의 무릎부와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사용자 하지의 대퇴부를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3 서포트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연결되고 사용자 하지의 무릎부 후방의 상부으로부터 사용자 하지의 무릎부 전방의 하부를 향해 사용자 하지의 종아리부를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4 서포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는 일측이 상기 제1 서포트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사용자의 하지의 무릎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연결되는 제2 서포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는 일측이 상기 제4 서포트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서포트부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사용자 하지의 종아리부를 가압하는 제5 서포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상기 제4 서포트부 그리고 상기 제5 서포트부는 사용자의 하지의 둘레를 사선방향으로 휘감도록 배치되어 압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는 사용자가 이를 착용시 아웃토잉 보행을을 보정할 수 있어, 뼈, 근육, 신경에 부담을 주어 부상을 야기시킬 수 있는 위험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가 사용자의 하지에 착용된 상태의 근육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의 전방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가 사용자의 하지에 착용된 상태의 근육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의 후방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의 외측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의 일부의 내측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아웃토잉 교정용 의복 컴프레션 팬츠의 제작을 위한 우측 평면 패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아웃토잉 교정용 의복 컴프레션 팬츠의 착용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아웃토잉 각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의 하지용 의복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서포트부(200)와 제2 서포트부(400)와 제3 서포트부(300)를 포함한다.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는 바디(10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하지에 접촉된다. 바디(100)는 탄성 소재(신축 소재)의 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는 사용자의 하지에 착용하는 하의이다.
일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는 무용선수들이 착용하는 아웃토잉 보행의 보정을 위한 보정용 하의일 수 있다.
제1 서포트부(200)는, 도 2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착용자)(10)의 둔부(60)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배치된다. 제1 서포트부(200)는 사용자의 둔부(60)의 적어도 일영역을 가압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서포트부(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대퇴부(20)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배치된다. 제3 서포트부(300)는 사용자의 대퇴부(20)의 적어도 일영역을 가압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포트부(4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가팅, 제1 서포트부(200)와 제3 서포트부(300)를 연결하며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서포트부(400)는 제1 서포트부(200)와 제2 서포트부(400) 사이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하지의 일영역을 가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는 운동하는 사용자가 착용 후 운동을 수행하여도 둔부의 적어도 일영역과 대퇴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가압 하도록 탄성력(신축력)을 제공하여, 사용자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용선수가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하고 턴아웃 동작을 수행하여도 둔부의 적어도 일영역과 대퇴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가압할 수 있어, 무용선수의 하지부의 고관절의 과도한 외회전을 방지하여 근육과 뼈 그리고 인대등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의 제3 서포트부(3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대퇴이두근(24)(Biceps femoris)과 반건양근(23)(Semitendinosus)을 압박할 수 있다.
제3 서포트부(300)는 대퇴이두근(24)과 반건양근(23)의 적어도 일영역을 제3 서포트부(300)의 일영역을 압박할 수 있다.
제3 서포트부(300)의 일영역은 사용자의 하지(11)의 후면을 압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의 사용자의 대퇴이두근(24)과 반건양근(23)의 일영역을 압박하는 제3 서포트부(300)의 일영역은 만곡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대퇴이두근(24)과 반건양근(23)의 일영역을 압박하는 제3 서포트부(300)의 일영역은 사용자의 하지(11)의 후면 상에 커브를 갖고 하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대퇴이두근(24)과 반건양근(23)의 일영역을 압학하는 제3 서포트부(300)의 일영역은 커브를 갖는 사선형태로 사용자의 하지(11)의 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서포트부(300)는 사용자의 대퇴이두근(24)과 반건양근(23)에 효과적으로 탄성력(신축력)을 제공하여 압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서포트부(4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영역이 사용자의 봉공근(21)(Sartorius)을 압박할 수 있다.
제2 서포트부(400)는 제1 서포트부(200)와 제3 서포트부(300)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하지(11)의 전면을 향해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포트부(400)는 일영역이 사용자의 봉공근(21)을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서포트부(400)는 사용자의 하지(11)의 외측면부터 사용자의 하지(11)의 내측면을 향해 사선으로 배치되며 사용자의 봉공근(21)을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서포트부(4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서포트부(200)와 연결되는 일측이 제3 서포트부(300)와 연결되는 타측보다 사용자의 종아리부(30)와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포트부(400)의 일측은 제2 서포트부(400)의 타측보다 사용자의 하지(11) 상에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서포트부(400)는 사용자의 하지(11)의 상부로터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의 제2 서포트부(4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하지의 외측으로부터 사용자의 하지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포트부(400)의 일측은 사용자의 하지(11)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2 서포트부(400)의 타측은 사용자의 하지(11)의 내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서포트부(400)는 사용자의 하지(11)의 외측으로부터 사용자의 하지(11)의 내측을 향해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서포트부(400)의 일측은 제1 서포트부(200)와 제2 서포트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서포트부(400)의 일측은 제1 서포트부(200)의 사용자의 하지(11)의 길이방향인 높이를 따라 제1 서포트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는 제5 서포트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서포트부(500)는 사용자의 종아리부의 일영역을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제5 서포트부(500)는 사용자의 종아리부(30)의 적어도 일영역을 가압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서포트부(500)는 종아리부(30)의 적어도 일영역을 가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하는 경우 무릎의 외회전과 발바닥 쪽의 굽힘을 저감시켜 아웃토잉 보행을 교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의 제5 서포트부(500)의 일영역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비복근(35)(Gastronemius)을 압박할 수 있다.
제5 서포트부(500)의 일영역은 비복근(35)의 일영역을 압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복근(35)은 내측 비복근(34)(Gastrocnemius medialis)과 외측 비복근(33)(Gastrocnemius lateralis)을 포함한다. 제5 서포트부(500)의 일영역은 내측 비복근(34)을 압박하여 사용자의 아웃토잉 보행을 교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서포트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서포트부(600)는 제2 서포트부(400)와 제5 서포트부(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서포트부(600)는 사용자의 하지(11)의 무릎부(40) 주위를 가압할 수 있다. 제4 서포트부(600)는 사용자의 하지(11)의 무릎부(40)의 일영역과 종아리부(30)일영역을 사선으로 휘감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하는 경우 무릎의 외회전을 저감시켜 아웃토잉 보행을 교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서포트부(600)는 사용자의 비복근(35) 또는 사용자의 전경골근(31)(Tibialis anteri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압박 가능할 수 있다.
제4 서포트부(600)는 사용자의 내측 비복근(34)과 외측 비복근(33) 그리고 전경골근(31)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압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서포트부(200)는 사용자의 대퇴근막장근(21)(Tensor facsciae latea)을 압박할 수 있다.
제1 서포트부(200)는 사용자의 하지(11)의 후방으로부터 사용자의 하지(11)의 전방을 향하며 사용자의 하지(11)의 외측면도 함께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포트부(200)는 대퇴근막장근(21)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사용자가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하는 경우 고관절의 외회전을 저감시켜 아웃토잉 보행을 교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서포트부(200)는 대둔근(41)(Gluteus maximus)도 함께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서포트부(300)와 제2 서포트부(400)와 제5 서포트부(500) 그리고 제4 서포트부(600)는 길게 형성되며 약"4cm"의 폭을 갖는 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제작하기 위한 일부의 바디(100) 패턴을 기초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하지(11)의 일측(우측 또는 촤측)을 감싸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의 일부를 기초로 설명한다.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는 탄성소재(탄성저지 소재)의 바디(100) 상에 제1 서포트부(200)와 제3 서포트부(300)와 제2 서포트부(400)와 제5 서포트부(500) 그리고 제4 서포트부(600)가 제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는 바디(100)의 제작시 이의 내에 제1 서포트부(200)와 제3 서포트부(300)와 제2 서포트부(400)와 제5 서포트부(500) 그리고 제4 서포트부(600)의 파워넷 소재의 테이핑라인 패치를 첨가시켜 제작할 수 있다.
제1 서포트부(200)는 바디(100) 상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포트부(200)는 바디(100) 패턴의 상부와 인접한 영역보다 바디(100)의 상부와 먼 영역에서 바디(100) 패턴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서포트부(200)는 둔부(60)의 일부를 가압하는 영역이 곡선을 갖고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서포트부(200)는 약 평형사변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포트부(200)는 일부가 사용자의 하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포트부(200)의 일부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시, 하지(11)의 외측면으로부터 하지(11)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서포트부(3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시, 사용자의 하지(11)의 내측면 및 하지(11)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영역이 곡면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서포트부(300)는 하지(11)의 후방으로부터 하지(11)의 전방으로 갈수록 사용자(10)의 발과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서포트부(300)의 일단은 제3 서포트부(300)의 타단보다 하지(11) 상에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서포트부(300)의 일단과 제3 서포트부(300)의 타단은 사용자의 하지(11)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 서포트부(300)는 사용자의 하지(11)의 둘레를 사선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3 서포트부(300)는 제1 서포트부(200)와 이격 배치되며,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시, 사용자의 하지(11)를 하부방향으로 사선으로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하지(11)의 후방으로부터 사용자의 하지(11)의 전방을 향해 사용자의 하지의 무릎부(40)와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하지(11)의 대퇴부(20)를 가압하도록 배치도리 수 있다.
제2 서포트부(400)는, 도 1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시 하지(11)의 외측면으로부터 하지(11)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 서포트부(200)의 사선형으로 형성된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서포트부(400)의 일측은 제1 서포트부(200)와 제1 서포트부(200)의 사선형으로 형성된 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서포트부(400)의 타측은 제3 서포트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서포트부(400)의 타측은 제3 서포트부(300)의 타단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일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서포트부(400)의 타측은 제3 서포트부(300)의 제3 서포트부(300)의 타단과 인접한 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00)를 제작하기위한 팬츠의 패턴 상에서 팬츠의 길이방향을 따른 가상선으로부터 제2 서포트부(400)의 배치각도는 팬츠의 길이방향을 따른 가상선으로부터 제3 서포트부(300)의 배치각도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서포트부(400)의 타측은 제2 서포트부(400)의 일측보다 사용자의 하지(11)의 무릎부(40)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 서포트부(500)는 하지(11)의 후방으로부터 하지(11)의 전방으로 갈수록 사용자(10)의 발과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5 서포트부(500)의 일단은 제5 서포트부(500)의 타단보다 하지(11) 상에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서포트부(500)의 일단과 제5 서포트부(500)의 타단은 사용자의 하지(11)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서포트부(500)는 사용자의 하지(11)의 발목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 서포트부(500)는 제3 서포트부(300)와 이격 배치되며, 하지(11)의 후방으로부터 하지(11)의 전방으로 갈수록 사용자(10)의 발과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5 서포트부(500)는 사용자 하지(11)의 후방으로부터 사용자 하지(11)의 전방을 향해 사용자 하지(11)의 종아리부(30)를 가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서포트부(600)는 하지(11)의 후방으로부터 하지(11)의 전방으로 갈수록 사용자(10)의 발과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서포트부(600)의 일단은 제4 서포트부(600)의 타단보다 하지(11) 상에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서포트부(600)의 일단과 제4 서포트부(600)의 타단은 사용자의 하지(11)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4 서포트부(600)의 일단은 제3 서포트부(300)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4 서포트부(600)의 타단은 제5 서포트부(50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4 서포트부(600)는 일측이 사용자의 하지(11)의 후방의 무릎부(40) 상측으로부터, 타측이 사용자의 하지(11)의 전방의 무릎부(40)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4 서포트(600)의 일측은 사용자의 하지(11)의 무릎부(40)의 후방 상측에 배치되고, 제4 서포트트(600)의 타측은 사용자의 하지(11)의 무릎부(40)의 전방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서포트부(300)와 제4 서포트부(600) 그리고 제5 서포트부(500)는 서로 연결되어 하지(11)를 사선방향을 따라 휘감으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서포트부(300)와 제4 서포트부(600) 그리고 제5 서포트부(500)는 사용자의 하지(11)를 사선방향으로 휘감으며 압박할 수 있어, 보행 시 사용자의 발이 외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점선의 화살표는 서포트부에 작용하는 장력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서포트부가 배치된 바디(100)에는 각 서포트부의 배치위치에 따라 근육을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운동용 의복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 제1 비교 의복, 그리고 제2 비교 의복을 착용 후 발의 회전 각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제1 비교 의복은 반바지 형태의 운동용 타이즈이다.
제2 비교 의복은 본 발명의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의 바디(100)와 동일한 소재로 제작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가 포함하는 제1 서포트부(200), 제3 서포트부(300), 제2 서포트부(400) 그리고 제5 서포트부(500)가 포함되지 않는 상태의 운동용 의복이다.
도 8의 Y축의 발 회전 각도는, 무용선수의 평균 발 회전각도(오른쪽과 왼쪽 발의 평균 발 회전각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발(50) 사이의 보행 진행 방향의 축(A)과 발(50)의 두 번째 발가락과 발뒤꿈치 중앙을 연결한 선인 보행시 발의 방향 축(D) 사이의 각도(θ)의 양발의 평균 값일 수 있다. 양발(50)의 뒷꿈치 축(C,B)을 나타낸다.
복수의 사용자가 의복을 입고 트레드밀 위에서 3회의 평지보행을 수행하고, 10분간의 휴식 후 각각의 의복을 교체하여 착용하고 다시 트레드밀 위에서 평지보행의 실험을 행하였다. 또한, 트레드밀에 내장된 압력셀을 바탕으로 연구참여자의 발 회전 각도가 출력되었다. 제1 비교 의복, 제2 비교 의복,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의 교체 순서는 무작위로 진행하였다.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를 착용한 경우, 발 회전 각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나타낸다. 이는 본 발명의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가 아웃토잉의 교정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101)은 무용선수의 아웃토잉 보행을 교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200: 제1 서포트부
300: 제3 서포트부 400: 제2 서포트부
500: 제5 서포트부 600: 제4 서포트부
20: 대퇴부 23: 반건양근
24: 대퇴이두근 30: 종아리부
50: 무릎부 40: 둔부
21: 대퇴근막장근 22: 봉공근
31: 전경골근 35: 비복근
41: 대둔근

Claims (15)

  1. 사용자가 착용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에 있어서,
    사용자의 둔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배치된 제1 서포트부;
    사용자의 대퇴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배치된 제3 서포트부; 및
    상기 제1 서포트부와 상기 제3 서포트부를 연결하는 제2 서포트부
    를 포함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2. 제1항에서,
    상기 제3 서포트부는 일영역이 사용자의 대퇴이두근과 사용자의 반건양근을 압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3. 제2항에서,
    사용자의 대퇴이두근과 사용자의 반건양근을 압박 가능한 상기 제3 서포트부의 일영역은 만곡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4. 제1항에서,
    상기 제2 서포트부는 일영역이 사용자의 봉공근을 압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5. 제1항에서,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종아리부 일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된 제4 서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6. 제5항에서,
    상기 제4 서포트부는 사용자의 비복근 또는 사용자의 전경골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압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7. 제5항에서,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4 서포트부보다 하부의 사용자의 종아리부를 감싸며 배치된 제5 서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8. 제7항에서,
    상기 제5 서포트부는 일영역이 사용자의 비복근을 압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9. 제1항에서,
    상기 제2 서포트부는 상기 제1 서포트부와 연결되는 일측이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연결되는 타측보다 사용자의 종아리부와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10. 제1항에서,
    상기 제2 서포트부는 사용자의 하지의 외측으로부터 사용자의 하지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11. 제1항에서,
    상기 제1 서포트부는 사용자의 대퇴근막장근을 압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12. 사용자가 착용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에 있어서,
    사용자의 둔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배치된 제1 서포트부;
    상기 제1 서포트부와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 하지의 후방으로부터 사용자 하지의 전방을 향해 사용자의 하지의 무릎부와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사용자 하지의 대퇴부를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3 서포트부; 및
    일측이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연결되고, 사용자 하지의 무릎부 후방의 상부으로부터 사용자 하지의 무릎부 전방의 하부를 향해 사용자 하지의 종아리부를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4 서포트부
    를 포함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13. 제12항에서,
    일측이 상기 제1 서포트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사용자의 하지의 무릎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연결되는 제2 서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14. 제13항에서,
    일측이 상기 제4 서포트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서포트부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사용자 하지의 종아리부를 가압하는 제5 서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15. 제14항에서,
    상기 제3 서포트부와 상기 제4 서포트부 그리고 상기 제5 서포트부는 따라 사용자의 하지의 둘레를 사선방향으로 휘감도록 배치되어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KR1020210062475A 2021-05-14 2021-05-14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KR10263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75A KR102635066B1 (ko) 2021-05-14 2021-05-14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75A KR102635066B1 (ko) 2021-05-14 2021-05-14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924A true KR20220154924A (ko) 2022-11-22
KR102635066B1 KR102635066B1 (ko) 2024-02-07

Family

ID=8423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475A KR102635066B1 (ko) 2021-05-14 2021-05-14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0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481A (ko) * 2009-05-15 2010-11-24 조종대 체형교정용 바지
KR20140138936A (ko) * 2012-04-10 2014-12-04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운동용 가랑이부를 갖는 의류
KR101500297B1 (ko) * 2014-03-18 2015-03-13 정홍균 휜 다리 교정용 하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481A (ko) * 2009-05-15 2010-11-24 조종대 체형교정용 바지
KR20140138936A (ko) * 2012-04-10 2014-12-04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운동용 가랑이부를 갖는 의류
KR101500297B1 (ko) * 2014-03-18 2015-03-13 정홍균 휜 다리 교정용 하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066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031B1 (ko) 체형교정용 바지
CA2614363C (en) Sock
KR101770617B1 (ko)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KR20110116169A (ko) 하지 교정 피복
US20220322756A1 (en) Therapeutic sock with one or more elastomeric bands
JPH1161516A (ja) 運動用被服
US20210128338A1 (en) Joint stabilization garments
KR20180020960A (ko) 장착구, 신발
JP5238483B2 (ja) 踵骨保持構造を備えたソックス
KR102635066B1 (ko) 아웃토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WO2020189777A1 (ja) 運動用衣服
KR102259774B1 (ko) 테이핑 타이즈
JP6543186B2 (ja) レッグウェア
CA2686487A1 (en) Dynamic hallux valgus corrector
KR101579926B1 (ko)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
JP6402044B2 (ja) 足背アーチ調整バンド、足部アーチ調整バンド
CN210630660U (zh) 袜子
JP3226124U (ja) 靴下
KR102625294B1 (ko) 내족지 보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JP6268238B1 (ja) 靴下
CN220309262U (zh) 一种抗过度旋前矫正袜
CN220966447U (zh) 一种袜子
KR102160635B1 (ko) 운동용 타이츠
JP2013076175A (ja) 足趾トレーニング用靴下
KR20190029257A (ko) 컴프레션 팬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