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718A -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718A
KR20220154718A KR1020227034989A KR20227034989A KR20220154718A KR 20220154718 A KR20220154718 A KR 20220154718A KR 1020227034989 A KR1020227034989 A KR 1020227034989A KR 20227034989 A KR20227034989 A KR 20227034989A KR 20220154718 A KR20220154718 A KR 20220154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ing
rotor
support element
bearing plate
hold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두아르트 마이터트
로타르 데텔스
클라우스 레르혠뮐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5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2Opt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5)을 포함하며, 하우징(5)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자(4)를 포함하는 전기 기계(2)와; 회전자(4)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센서 요소를 구비한 회로 기판(8)을 포함하는 회전자 위치 센서 장치(7);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1)에 관한 것이며, 회로 기판(8)은 환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자(4)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배열된다. 회로 기판(8)은 하나 이상의 래칭 연결부(17)를 통해 전기 기계(2) 내에 또는 전기 기계에 고정되는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본 발명은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자를 포함하는 전기 기계와; 회전자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센서 요소를 구비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회전자 위치 센서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회로 기판은 환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자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배열된다.
전기적으로 정류되는 전기 기계의 정밀한 제어를 위해서는, 현재 회전자 각위치에 따라 구동 권선의 하나 이상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해 전기 기계의 회전자의 회전자 각위치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회전자 각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센서 요소를 정확한 위치에 수명에 걸쳐 지속되도록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리졸버(resolver)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유도식 센서 요소들을 사용할 때, 금속 전도성 고정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은 센서 요소의 기능 및 각도 정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작동 시 전기 기계 주변부에는 재료에 영향을 미치는 큰 온도 변동이 부분적으로 발생하는데, 이는 센서의 개별 부품들이 상이한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들로 제조될 때 회전자 각위치 센서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는, 전기 기계에 대한 회전자 위치 각도 센서의 특히 간단한 조립이 저렴하고 바람직한 방법 및 방식으로 제공되고, 또한 이러한 조립이 상이한 팽창 계수의 보상도 간단한 방법 및 방식으로 구현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구동 장치의 회로 기판은, 특히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래칭 연결부를 통해 전기 기계 내에 또는 전기 기계에 고정된다. 래칭 연결부를 통해서는, 구동 장치 또는 전기 기계에 대한 회로 기판의 특히 간단한 조립이 가능하며, 이러한 회로 기판은 필요 시에 분리 가능하기도 하다. 특히 이러한 래칭 연결부는 비파괴적으로 분리 가능한 래칭 연결부로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래칭 연결부는 파괴를 통해서만 분리 가능한 래칭 연결부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래칭 연결부는 의도하지 않은 분리에 대해 특히 높은 안전성을 보장한다. 래칭 연결부를 통해서는, 회로 기판과 전기 기계 사이에 바람직하게 이동 유격이 제공되고, 이러한 이동 유격은 온도 변동 시에 상이한 열 팽창 계수로 인해 발생하는 길이 변화가 전기 기계 내의 기계적 응력을 야기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이를 위해 회로 기판은 원형 지지체 요소에 사전 조립되고, 지지체 요소는 전기 기계와 함께 래칭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사전 조립을 통해서는 회로 기판을 지지체 요소에 간단하고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래칭 연결부를 통해서는 지지체 요소를 회로 기판과 함께 전기 기계 내에 또는 전기 기계에 간단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전 조립 시에, 회로 기판은 예를 들어 지지체 요소에 나사 고정되거나, 접착되거나, 클램핑되는데, 이는 특히 전기 기계 외부에서 실행되므로, 조립이 더욱 단순화된다.
바람직하게, 지지체 요소는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하나 이상의 래칭 러그를 포함하고, 이러한 래칭 러그는 조립된 상태에서 전기 기계의 홀딩 섹션을 후방 결합한다. 조립 시에 래칭 러그는 래칭 러그의 탄성 변형 하에 홀딩 섹션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므로, 이러한 래칭 러그는 개구를 관통한 이후에 자신의 고유 탄성에 의하여 자신의 시작 형태에 재도달하고, 이를 통해 전기 기계의 홀딩 섹션을 후방 결합하므로, 지지체 요소는 형태 결합식으로 전기 기계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전기 기계는 베어링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이러한 베어링 플레이트를 통해 전기 기계의 회전자는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러한 베어링 플레이트는 홀딩 섹션을 형성한다. 전기 기계의 샤프트를 위한, 특히 전기 기계의 회전자 샤프트를 위한 피봇 베어링의 배열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베어링 플레이트는 전기 기계의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예를 들어 클램핑되거나 나사 고정되고, 이를 통해 특히 회전자의 회전축에 수직으로 정렬되는 벽부를 하우징 내에 생성한다. 베어링 플레이트 내에는 특히 개구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를 통해 회전자 샤프트가 관통되고, 이러한 개구 내에는 일반적으로, 회전자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홀딩되는 내륜 및 하우징 고정식으로 베어링 플레이트에 홀딩되는 외륜을 갖는 롤러 베어링이 홀딩된다. 이러한 경우, 홀딩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베어링 플레이트에 통합되도록 형성되므로, 지지체 요소와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에서 래칭 연결부가 작용한다. 이를 통해, 회전자 위치 센서 장치가 전기 기계 부근에서 직접적으로 베어링 플레이트에 바람직하게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지지체 요소는 지지체 요소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배열되는 3개의 래칭 러그들을 포함하고, 베어링 플레이트는 이러한 래칭 러그들과 상호 작용하는 3개의 홀딩 섹션들을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래칭 러그들을 위한 각각의 홀딩 섹션은 오목부 또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이러한 오목부 또는 리세스 내로는 각각의 홀딩 섹션을 후방 결합하기 위하여 래칭 러그가 탄성 변형 하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체 요소는, 지지체 요소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배열되는 단 3개의 래칭 러그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지체 요소는 3개를 초과하는 래칭 러그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래칭 러그들은 각각의 홀딩 섹션에, 특히 각각의 홀딩 섹션의 리세스 내에 각각, (회전자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래칭 러그들은 회전자 샤프트에 동축으로 배열된 베어링 플레이트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이러한 변위를 통해서는, 온도 변동 시의 온도에 따른 길이차가, 지지체 요소 및 베어링 플레이트가 기계적 응력을 받거나 과응력을 받는 일을 야기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지체 요소의 재료가 지지체 요소의 열 팽창 계수로 인하여 베어링 플레이트보다 더 심한 크기 증가를 겪는 경우, 각각의 래칭 러그는 반경 방향 외부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변위가 반경 방향으로 실행됨으로써, 회전자 위치 센서 장치가 계속해서 중심에 또는 중심 설정되어 베어링 플레이트 상에 배열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 경우, 래칭 러그들 및 홀딩 섹션들은 베어링 플레이트 또는 지지체 요소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배열되므로, 서로 각각 120°의 각도로 정렬된다. 이에 따라, 지지체 요소는, 이를 통해 원주 방향으로 보아 변위되거나 뒤틀리는 일 없이 직경 확대 또는 변화를 겪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자 위치 센서 장치는 항상 전기 기계의 회전자에 대해 최적으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이를 위해 각각의 홀딩 섹션은 각각 장공형으로 형성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이러한 리세스의 종 연장부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를 통해, 상술한 장점들이 얻어진다. 이러한 장공 형상을 통해, 래칭 러그들이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특히, 이러한 반경 방향 안내를 통해서는, 지지체 요소 및 그에 따른 회전자 위치 센서 장치의 비틀림 또는 기울어짐이 확실히 방지되도록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래칭 러그들은 각각의 리세스에서의 반경 방향 변위를 위한 직사각형 횡단면 또는 원형 횡단면을 갖고, 이러한 횡단면은 긴 측면 및 짧은 측면을 갖고, 이러한 긴 측면은 반경 선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에 따라, 반경 방향 유격을 갖는 중심 설정 장치로서 래칭 러그들은 리세스들과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지지체 요소의 직경은, 이를 통해 전기 기계에 대한 회전자 위치 센서의 정렬이 변화되는 일 없이 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체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이를 통해, 지지체 요소의 저렴한 구현이 가능하고, 이러한 구현은 특히 지지체 요소와 래칭 러그들이 단일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조립을 추가적으로 단순화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플레이트의 각각의 홀딩 섹션, 특히 베어링 플레이트 전체는 특히 강건한 형성을 보장하기 위해 금속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르면, 각각의 래칭 러그가 자신의 반경 방향 종 연장부에 슬롯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홀딩 섹션 내로 삽입될 때 탄성 변형 하에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한 2개의 래칭 러그 섹션들을 각각의 래칭 러그가 포함하는 것이 또한 제공된다. 이를 통해, 래칭 러그 섹션들이 서로 지지됨으로써, 특히 확실한 래칭 연결이 보장된다. 특히, 이를 통해 각각의 래칭 러그는 각각 할당된 홀딩 섹션에 자체 보유식으로 홀딩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바람직한 구동 장치의 단순한 도면이다.
도 2는 지지체 요소를 구비한 구동 장치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베어링 플레이트 및 지지체 요소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베어링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은 본원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의 제동 장치의 사용자 장치를 위한 바람직한 구동 장치(1)를 단순한 도면으로 도시한다. 제동 장치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이고, 사용자 장치는 자동차 바퀴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호 작용하는 축방향 변위 가능한 브레이크 피스톤이다.
사용자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 장치(1)는 구동 샤프트(3)를 구비한 전기 기계(2)를 포함하고, 구동 샤프트 상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배열되고, 구동 샤프트(3)는 본 도면에 암시되기만 하는 하우징(5)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자(4)에는, 하우징 고정식으로 배열되는 고정자(6)가 할당된다. 고정자(6) 또는 회전자(5)는 특히 다상 구동 권선을 포함하고, 이러한 구동 권선은 구동 샤프트(3)로부터 사용자 장치(2)로 전달되는 토크를 전기 기계(2)가 생성하도록 하는 회전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하여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전력 전자 장치를 통해 전압이 인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구동 샤프트(3)는 사용자 장치와 예를 들어 영구적으로 결합되거나, 원하는 시간 범위 동안 결합 가능하다.
전기 기계(2)의 회전자(4)에는, 작동 시 회전자(4)의 회전자 각위치를 유도에 의해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회전자 위치 센서 장치(7)가 할당된다. 이를 위해, 회전자 위치 센서 장치(7)는 회로 기판(8)을 포함하고, 이러한 회로 기판은 본 실시예에 따라 환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구동 샤프트(3)에 동축으로 회전자(4)의 단부면에 할당된다. 회로 기판(8)은 회전자(4)를 향한 자신의 전방 측면(9)에 회전자 각위치 센서(12)를 보유한다. 이러한 회전자 각위치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 코일 및 수신기 코일을 포함하고, 그리고 특히 회로 기판(8)의 전방 측면(9) 반대편 후방 측면(10)에 배열된 제어- 또는 컴퓨터 유닛, 특히 예를 들어 코일들을 작동시키는 아날로그 ASIC와 같은 전자 평가 유닛(11)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평가 유닛(11)은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8)의 회전자(4)를 향한 전방 측면(9)에서 회전자 각위치 센서(12)의 코일들과 나란히 배열된다. 특히, 송신기 코일에는, 회전자(4) 내로 유도되고 회전자(4)로부터 수신기 코일로 피드백되는 변조 신호가 인가된다. 수신된 신호는 현재 회전자 각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평가 유닛(11)을 통해 복조되고 평가된다. 따라서, 회전자 위치 센서(8)는 리졸버의 유형으로 형성된다.
회로 기판(8)은 환형으로 형성된 지지체 요소(13)에 고정된다. 지지체 요소(13)는 구동 샤프트(3)에 동축으로 회전자(4)의 단부면에 할당되고, 베어링 플레이트(14)에 홀딩된다. 베어링 플레이트(14)는 하우징(5)의 하우징 재킷 벽부(15)로부터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해 구동 샤프트(3)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동 샤프트(3)와 베어링 플레이트(14) 사이에는, 이 경우 롤러 베어링의 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피벗 베어링(16)이 배열되며, 이러한 피벗 베어링의 내륜은 구동 샤프트(3)에 접하고, 외륜은 베어링 플레이트(14)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구동 샤프트(3)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체 요소(13)는 베어링 플레이트(14)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될 복수의 래칭 연결부(17)들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도 2는 베어링 플레이트(14) 및 지지체 요소(13)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다. 지지체 요소(13)는 베어링 플레이트(14)를 향한 자신의 단부면(3)에서 지지체 요소(13)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래칭 러그(18)들을 포함한다. 베어링 플레이트(14)는, 래칭 러그(18)들에 대응하여 베어링 플레이트(14) 내에 형성되는 3개의 홀딩 섹션(20)들을 단부면(19)에 포함한다. 각각의 홀딩 섹션(20) 내에는, 래칭 러그(18)들 각각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리세스(21)가 형성된다.
도 3은 각각의 래칭 연결부(17)의 작동 원리를 단순한 상세도로 도시한다. 이 경우, 도 3은 아직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래칭 연결부(17)들 중 하나의 래칭 연결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 지지체 요소(13)의 각각의 래칭 러그(18)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고, 측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래칭 돌출부(22)들을 자유 단부 측면에 포함한다. 각각의 래칭 러그(18)는 슬롯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종 절개부(23)가 래칭 돌출부(22)들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슬롯(23)은 도 3의 화살표(24)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3)을 통해 생성된 래칭 러그 섹션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폭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래칭 돌출부(22)들의 서로에 대한 간격은 베어링 플레이트(14) 내의 각각의 리세스(21)의 내폭보다 더 크다. 래칭 러그(18)가 관련 리세스(21) 내로 삽입될 때, 래칭 돌출부(22)들은 베어링 플레이트(14)의 홀딩 섹션(20)에 충돌하는 자신들의 각각의 리딩 챔퍼(25)를 통하여 탄성 변형 하에 서로를 향해 이동되므로, 래칭 러그(18)는 래칭 돌출부(22)들이 리세스(21)를 완전히 관통함으로써 그 후방에서 다시 반경 방향 외부를 향해 튀어 나갈 때까지 리세스(21) 내로 완전히 밀려 들어갈 수 있으므로, 베어링 플레이트(14)는 홀딩 섹션(20)에서 각각의 래칭 러그(18)를 통해 형태 결합식으로 후방 결합된다. 래칭 러그(18)가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의 대안으로서,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러그들이 원형 횡단면 또는 원형 윤곽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도 4는 베어링 플레이트(14)의 평면도, 자세히 말하면 지지체 요소(13) 반대편 단부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 리세스(21)들이 각각 장공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리세스들의 종 연장부가 반경 방향으로 베어링 플레이트(14)의 중심(Z)을 향해 또는 구동 샤프트(3)의 회전축을 향해 연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21)들도 베어링 플레이트(14)의 단부면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배열되기 때문에, 래칭 돌출부(18)들에 대응하여 서로 각각 120°의 각도로 위치한다.
이 경우, 도 4에서 마찬가지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래칭 돌출부(18)들의 직사각형 횡단면과, 리세스(21)들의 장공형 형성을 통하여, 래칭 러그(18)는 도 4의 양방향 화살표(26)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할당된 리세스(21)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지지체 요소(18)가 베어링 플레이트(14)에 래칭된 상태일지라도 반경 방향 유격이 존재하며, 이러한 반경 방향 유격을 통해서는 지지체 요소(13) 및 베어링 플레이트(14)의 상이한 열 팽창 계수에도 불구하고 베어링 플레이트(14) 상의 지지체 요소(13)의 배향이 변화되지 않는다. 특히, 중심(Z)에 대한 비틀림이 바람직한 래칭 장치를 통해 바람직하게 방지된다.
설명된 바람직한 래칭 기하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회전자 위치 센서(8)는, 전기 기계(2)에 대하여 위치에 있어 정확하고 안정적인 위치를 갖고 반경 방향으로의 충분한 공차 보상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제 위치에 홀딩된다. 바람직하게, 지지체 요소(13)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베어링 플레이트(14)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플라스틱 지지체 요소(13)를 통해서는, 베어링 플레이트(14)에 대한 회전자 위치 센서의 전기 전도성 연결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래칭 장치는 상이한 온도 조건들에서 구동 장치(1)의 전체 수명에 걸친 영구적인 억지 끼워맞춤을 제공한다. 리세스(21)들 및 래칭 돌출부(18)들의 바람직한 정렬을 통하여, 지지체 요소(13)가 전체 온도 범위에 걸쳐 구동 샤프트(3) 또는 회전자(3)의 회전 중심에 홀딩되는 것이 보장된다. 구동 장치(1)의 조립은, 래칭 돌출부들의 탄성 변형 하에 지지체 요소(18)가 베어링 플레이트(14) 상에 결합됨으로써 간단하게 실행된다. 래칭 러그(18)들을 통해서는, 사용된 재료들의 상이한 열 팽창 시에 각각의 리세스(21) 내에서 래칭 러그(18)들이 반경 방향으로 약간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Claims (10)

  1. 하우징(5)을 포함하며, 하우징(5)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자(4)를 포함하는 전기 기계(2)와; 회전자(4)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센서 요소를 구비한 회로 기판(8)을 포함하는 회전자 위치 센서 장치(7);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1)로서, 회로 기판(8)은 환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자(4)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배열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회로 기판(8)은 하나 이상의 래칭 연결부(17)를 통해 전기 기계(2) 내에 또는 전기 기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8)은 원형 지지체 요소(13)에 사전 조립되고, 지지체 요소(13)는 전기 기계(2)와 함께 래칭 연결부(1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 요소(13)는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하나 이상의 래칭 러그(18)를 포함하고, 이러한 래칭 러그는 조립된 상태에서 전기 기계(2)의 할당된 홀딩 섹션(10)을 후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기계(2)는 베어링 플레이트(14)를 포함하고, 이러한 베어링 플레이트를 통해서는 회전자(4)를 보유하는 전기 기계(2)의 구동 샤프트(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러한 베어링 플레이트는 각각의 홀딩 섹션(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 요소(13)는 지지체 요소(13)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배열되는 3개의 래칭 러그(18)들을 포함하고, 베어링 플레이트(14)는 이러한 래칭 러그(18)들과 상호 작용하는 3개의 홀딩 섹션(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래칭 러그(18)는 각각의 홀딩 섹션(20)의 리세스(21)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세스(21)는 장공형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리세스의 종 연장부는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칭 러그(18)들은 각각의 리세스(21) 내에서의 반경 방향 변위를 위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고, 이러한 횡단면은 긴 측면 및 짧은 측면을 갖고, 이러한 긴 측면은 반경 선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 요소(13)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그리고/또는 홀딩 섹션(20)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래칭 러그(18)가 자신의 반경 방향 종 연장부에 슬롯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래칭 러그 섹션들이 홀딩 섹션(20) 내로 삽입될 때 탄성 변형 하에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KR1020227034989A 2020-03-13 2021-03-03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KR20220154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03274.2 2020-03-13
DE102020203274.2A DE102020203274A1 (de) 2020-03-13 2020-03-13 Antriebseinrichtung für eine Bremsvorrichtung eines Kraftahrzeugs
PCT/EP2021/055306 WO2021180534A1 (de) 2020-03-13 2021-03-03 Antriebseinrichtung für eine brems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718A true KR20220154718A (ko) 2022-11-22

Family

ID=7485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989A KR20220154718A (ko) 2020-03-13 2021-03-03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33633A1 (ko)
EP (1) EP4118735A1 (ko)
JP (1) JP7488907B2 (ko)
KR (1) KR20220154718A (ko)
CN (1) CN115191076A (ko)
DE (1) DE102020203274A1 (ko)
WO (1) WO2021180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11367A1 (de) 2021-10-08 2023-04-13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omotor eines Nebenaggregats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0660A (en) * 1997-12-10 2000-02-01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oelectric machine
WO2014154240A1 (de) * 2013-03-25 2014-10-02 Pierburg Pump Technology Gmbh Elektronische kfz-fluidpumpe
JP7051621B2 (ja) 2018-07-06 2022-04-11 株式会社ミツバ ブラシレス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0534A1 (de) 2021-09-16
JP2023518166A (ja) 2023-04-28
CN115191076A (zh) 2022-10-14
DE102020203274A1 (de) 2021-09-16
EP4118735A1 (de) 2023-01-18
US20230033633A1 (en) 2023-02-02
JP7488907B2 (ja)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0852B2 (ja) シャフトに加えられるトルクを測定する装置
US6252394B1 (en) Rotary movement sensor equipped with means of assembly with a drive shaft designed to minimize the effects of a misalignment in the connection
EP2433848B1 (en) Three-piece torque sensor assembly
EP2434259B1 (en) Target magnet assembly for a rotation sensor used with a steering gear
CN101750100B (zh) 旋转角度传感器
US6707188B2 (en) Motor having rotational sensor
CN110546859B (zh) 感测设备
US11692890B2 (en) Torque index sensor and steering device comprising same
US20090309583A1 (en) Rotation Angle Sensor and Rotation Angle Sensor System
JPH04229051A (ja) 電動駆動装置
CS208712B2 (en) Scanner of the revoluations of the wheel vehicle
KR20220154718A (ko) 자동차의 제동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KR19980080049A (ko) 정류자 모터
US6664698B1 (en) Commutator motor
JP5399722B2 (ja) 制御回路部材及びモータ
JP4216696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ロ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JP3366102B2 (ja) 磁気式回転位置検出器
CN111566449B (zh) 感测装置
JP2013042659A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を有する電動工具
KR101082883B1 (ko) 유니버셜 모터
CN217824633U (zh) 电机、机加工设备
JP6293851B2 (ja) モータ
KR20240019368A (ko) 토크 센서 장치 및 토크 센서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
JP2015019582A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を有する電動工具
KR20210123628A (ko) 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