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544A -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544A
KR20220154544A KR1020210062236A KR20210062236A KR20220154544A KR 20220154544 A KR20220154544 A KR 20220154544A KR 1020210062236 A KR1020210062236 A KR 1020210062236A KR 20210062236 A KR20210062236 A KR 20210062236A KR 20220154544 A KR20220154544 A KR 20220154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unit
variable frame
axi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480B1 (ko
Inventor
권오관
최문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4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길이변화 가능한 가변 프레임; 상기 가변 프레임에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피봇을 포함하는 제1 회전 결합부; 일측은 상기 제1 회전 결합부와 결합하고, 하단이 거치면에 고정되는 스탠드 프레임; 및 상기 가변 프레임에 설치되며 전자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마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봇을 통해 상기 가변 프레임이 회전시 상기 마운트부의 배치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자기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ELECTRIC DEVICE STAND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기기를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크기가 커짐에 따라 보다 자유롭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어, 높이나 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전자기기 지지장치를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전자기기 지지장치는 바디의 회전으로 디스플레이 고정부가 앞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틸팅될 수 있으나, 그 이동범위나 이동방향 회전방향 등이 제한적이어서 불편한 상태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다른 받침대 등을 이용하거나 고정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이 다양해짐에 따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복수개의 전자기기를 배치하기 위해 복수개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거치할 수 있는 전자기기 지지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 10,066,785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확장 가능한 바디 와 바디에 삽입 고정된 회전중심을 따라 좌우로 회전하면서 체결부의 전후 위치를 설정하고 바디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상하방향의 위치와 한 쌍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만 조절할 수 있을 뿐, 전후방향의 위치조절이 불가능하고, 디스플레이의 배치를 상하방향으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여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자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전자기기의 사이즈에 최적화 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전자기기의 배치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는 전자기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길이변화 가능한 가변 프레임; 상기 가변 프레임에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피봇을 포함하는 제1 회전 결합부; 일측은 상기 제1 회전 결합부와 결합하고, 하단이 거치면에 고정되는 스탠드 프레임; 및 상기 가변 프레임에 설치되며 전자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마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봇을 통해 상기 가변 프레임이 회전시 상기 마운트부의 배치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자기기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변 프레임은 상기 제1 피봇과 체결되는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에 인입 인출되며 확장 가능한 슬라이딩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에 상기 슬라이딩 바디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슬라이딩 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스토퍼 접촉부; 각도에 따라 상기 스토퍼 접촉부를 상기 고정바디의 내측면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스토퍼 캠; 및 상기 스토퍼 캠을 회전시키켜 상기 스토퍼 접촉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성된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바디가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에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시된 가이드 눈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눈금은 상기 마운트부에 실장되는 전자기기의 크기에 적합한 상기 슬라이딩 바디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결합부는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스탠드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제1 스위블; 및 상기 제1 피봇과 상기 제1 스위블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에 수직인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제1 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결합부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조절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제1 보강메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피봇은 상기 제1 보강메탈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디는 상기 고정바디의 양측에 한 쌍 위치하고,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슬라이딩 바디의 단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가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제2 피봇을 포함하는 제2 회전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결합부는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2 스위블; 및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에 수직인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제2 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디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제2 보강메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 결합부는 상기 제2 보강메탈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프레임은 고정부; 상기 가변 프레임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정부는, 상기 제1 회전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양 단부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한 수직방향의 각도가 변화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한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 틸트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트 조절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보조링크로 연결된 마찰부재; 상기 마찰부재에 결합된 압축스프링;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하여 상기 링크부재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양 단부가 각각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에 핀결합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의 하부에 위치하며 양 단부가 각각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에 핀결합된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가변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면과 결합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스위블; 상기 수직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브랜치부; 상기 브랜치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4 스위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결합부에서 연장되며 단부에 상기 가변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절핸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핸들은 상기 가변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 피봇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하는 한 쌍의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 지지장치는, 하단이 거치면에 고정되는 스탠드 프레임; 상기 스탠드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제1 피봇을 포함하는 제1 회전 결합부; 상기 제1 회전 결합부에 결합하며 길이변화가 가능한 가변 프레임; 및 상기 가변 프레임의 양 단부에 설치되며 전자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한 쌍의 마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봇을 통해 상기 가변 프레임이 회전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치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는 복수개의 전자기기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배치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는 복수개의 전자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가변 프레임의 길이를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사이즈에 맞게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가변 프레임의 길이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통해 수직 배치시에도 안정적으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식부를 두어 전자기기의 사이즈에 따라 가변 프레임의 크기를 조정이 용이하다.
전자기기 체결부도 일정각도로 스위블, 틸팅 및 피봇팅 가능하여 전자기기의 자유로운 설정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에 고정된 베이스를 분리 재조립하지 않고도 전자기기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태양에 따라 전자기기 위치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 내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를 거치한 전자기기 거치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의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의 제1 회전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의 가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의 스토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회전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의 높이 조정부의 구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의 높이 조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제3 스위블과 제4 스위블을 이용하여 가변 프레임의 전후방향 위치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180)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선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18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180)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180)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18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중,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방송 수신부(10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는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7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8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제1 무선통신 모듈(131) 및 제2 무선통신 모듈(132)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제1 무선통신 모듈(131) 및 제2 무선통신 모듈(132)를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신호를 변조 및/또는 복조하는 신호 변복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신호 변복조부는 예를 들면, 제1 무선통신 모듈(131) 및 제2 무선통신 모듈(132)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과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180)은 각각의 표시패널(181)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제1 전원공급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공급부(19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공급부(192)가 본체 프레임(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원공급부(192)로부터 제1 전원 공급부(191)로 전원의 전달은 유선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이 본체 프레임(20)에 결합시 제2 전원공급부(192)와 제1 전원공급부(191)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무선충전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충전은 한 쌍의 코일을 중첩배치하여 자기공명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제1 전원공급부로서 충전코일(191)을 이용하고 제2 전원공급부로서 전송코일(192)가 이용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에 위치하는 전송코일(192)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송코일(192)에 전류가 흐르며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전송코일(192)이 형성한 전자기장 내에 위치하는 충전코일(191)에 전류가 흐르며 디스플레이(180)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및/또는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부(310)로부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스케일러(335), 화질 처리부(635), 영상 인코더(미도시), OSD 생성부(340),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 및/또는 포맷터(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고,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H, 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케일러(3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케일러(3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작은 경우, 업 스케일링하고,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큰 경우, 다운 스케일링할 수 있다.
화질 처리부(6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화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질 처리부(6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노이즈 제거 처리를 하거나, 입력 영상 신호의 도계조의 해상를 확장하거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수행하거나,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HDR) 기반의 신호 처리를 하거나, 프레임 영상 레이트를 가변하거나, 패널 특성, 특히 유기발광패널에 대응하는 화질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제어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제어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영상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포맷터(Formatter)(36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화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영상 처리부(320) 외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거치된 전자기기 지지장치(2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영상 표시장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거치할 수 있는 전자기기 지지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3의 (a)와 같이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고, 도 3의 (b)와 같이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단순히 도 3의 (a)에서 90도 회전해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방향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도 3의 (b)와 같이 상태로 상하로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 각각이 스탠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여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최근에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으나, 기존의 전자기기 지지장치(20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만 설치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모듈 별로 지지장치가 필요하였다.
복수개의 지지장치를 이용시 거치면에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각각 별도로 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의 지지장치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테이블(20)의 뒤쪽으로 밀어두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방향 변경이 용이하지 않아 가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20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거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크기에 따라 마운트부(28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확장성이 좋다.
도 4는 도 3의 (a)와 같이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3의 (b)와 같이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직방향으로 배치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거치되는 한 쌍의 마운트부(280)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20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 관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므로, 이하에서는 전자기기 지지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전자기기 지지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거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100) 이외에 스피커와 같은 다른 전자장치도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200)는, 스탠드 프레임(210, 213, 230), 제1 회전 결합부(250), 가변 프레임(260), 제2 회전결합부(270)(270) 및 마운트부(28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화면을 중심으로 방향을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후방향을 제1 방향(x축)이라 하고, 수직방향을 제2 방향(y축)이라 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좌우 방향을 제3 방향(z축) 이라 한다.
제1 회전결합부(250)와 제2 회전결합부(270)는 회전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며, 회전 방향과 관련하여 제1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부재를 피봇, 제2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부재를 스위블, 그리고 제3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부재를 틸트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피봇은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치를 상하방향으로 바꾸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치 방향이 긴 측이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도록 변경 시 필요한 회전부재이다. 90° 이상 회전할 수 있으며, 편의를 위해 180° 또는 360°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스위블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화면이 향하는 수평방향을 바꾸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변경하는 데 이용되며, 회전각도는 스위블 부재에서 제한할 수도 있고, 다른 부재와 부딪쳐 제한될 수도 있다.
틸트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이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수직방향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부재로, 전술한 피봇 이나 스위블 보다 각도가 제한적이다.
특히, 틸트는 수직방향으로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틸트는 하중에 대해 저항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프레임(210, 230)은 하부는 테이블(20)과 같은 거치면에 고정되어 전자기기 지지장치(200)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는 베이스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15)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테이블(20)에 끼워지는 고정클립(2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프레임(210, 230)은 고정부(210)와 고정부(2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틸팅되는 높이 조정부(230)를 포함한다.
고정부(210)는 하부에 테이블(20)과 결합하는 베이스부(215)를 포함하고, 베이스부(215)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211), 수직부(21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브랜치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211)는 베이스부(215)에 회전(스위블) 가능하게 결합하며, 수직부(211)가 회전시 브랜치부(213)의 단부는 호(arc)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브랜치부(213)에 결합하는 높이 조정부(230)는 브랜치부(213)에 대해 회전(스위블) 가능하게 결합하여, 높이 조정부(230)와의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도 14, 15 참조). 브랜치부(2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211)의 중간에서 연장될 수도 있고, 수직부(211)의 단부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브랜치부(213)를 생략하고 수직부(211)의 단부에 높이 조정부(230)가 결합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후방향(제1 방향, x축 방향) 위치를 조절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수평방향(제3 방향, z축 방향) 위치가 높이 조정부(230)의 길이에 상응하여 변화할 수 있다.
높이 조정부(230)는 가변 프레임(260)에 결합하는 제1 연결부(237)와 고정부(210)에 결합하는 제2 연결부(238) 및 그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연결부(237)와 제2 연결부(238) 사이에서 틸팅되며 제1 연결부(237)의 수직방향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237)에 결합된 가변 프레임(260)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수직방향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회전결합부(250)는 스탠드 프레임(210, 230)에 가변 프레임(260)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부재로서, 제1 회전결합부(250)는 가변 프레임(260)을 제1 방향(x)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1 피봇(251)을 포함한다. 제1 피봇(251)을 중심으로 회전한 가변 프레임(260)은 도 4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200)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제1 회전결합부(250)의 구동하는 구동력을 사용자게 제공시 손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조절핸들(2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핸들(259)은 제1 회전결합부(250)에서 연장되며 가변 프레임(260)과 평행하게 연장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손잡이를 사용자가 잡고 가변 프레임(2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 손잡이는 가변 프레임(260)과 같이 움직이므로, 제1 피봇(251)을 중심으로 가변 프레임(260)이 회전 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A-A, B-B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 회전결합부(250)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1 회전결합부(250)는 3개 방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어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즉, 제1 피봇(251), 제1 스위블(252) 및 제1 틸트(2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중 일부 구성은 생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틸트(253)를 생략하더라도 후술할 제2 회전결합부(270)의 제2 틸트(273)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화면이 향하는 수직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스위블(272)을 생략하고 대신에 수직부(211)와 베이스부(215)의 회전(제3 스위블(216)) 및 높이 조정부(230)와 브랜치 부 사이의 회전(제4 스위블(214))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향하는 수평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회전결합부(250)의 제1 피보은 가변 프레임(260)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필요하나, 나머지 회전 부재는 생략할 수 있다. 제1 회전결합부(250)는 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 스위블(252) 및 제1 틸트(253)를 포함하면 사용자가 보다 자유롭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치를 조절할 수 있는 바, 3가지 구성을 모두 포함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회전결합부(250)는 각 회전모듈의 회전을 위해 복수개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피스(255)는 가변 프레임(260)과 체결되며, 제1 피스(255)를 관통하는 제1 피봇(251)은 제2 피스(256)와 체결된다. 제1 피봇(251)을 중심으로 회전시 제1 피스(255)는 제2 피스(256)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가변 프레임(260)의 길이 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스위블(252)은 스탠드 프레임(210, 230)의 높이 조정부(230)와 체결될 수 있다. 제1 스위블(252)은 제3 피스(257)와 높이 조정부(230)의 제1 연결부(237)를 관통하는 제2 방향(y축)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237)는 제3 피스(257)가 위치하는 공간(홈, 2037)을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3 피스(257)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피스(256)와 제3 피스(257)를 관통하며 제3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1 틸트(253)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253a)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나사(253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53a)는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가변 프레임(260)이 중력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부재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25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피봇(251) 회전시 조절핸들(259)이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커버(258)에 개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가변 프레임(260)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의 C-C, D-D단면도이다. 가변 프레임(260)은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형 부재로 한 쌍의 마운트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프레임(260)의 길이가 변화하면 마운트부(28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가변 프레임(260)의 길이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크기에 맞게 마운트부(28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가변 프레임(260)은 제1 회전결합부(250)와 체결되는 고정바디(261)와 고정바디(261)에 인입 인출되면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 바디(265)는 고정바디(261)의 양측에서 인출될 수 있으며, 2 이상의 슬라이딩 바디(265)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바디(261)는 슬라이딩 바디(265)가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바디(265)는 고정바디(261)에 삽입되도록 고정바디(261)의 내경에 상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보강을 위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보강메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보강 메탈(2612, 2653)을 커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하우징(2611, 265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디(261)에 구비된 제1 보강메탈(2612)은 제1 회전결합부(250)의 제1 피봇(251)이 체결되고, 확장된 상태에서도 슬라이딩 바디(265)와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 바디(265)도 제2 보강메탈(26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바디(261)보다 얇으므로 강성을 위해 2장의 보강메탈을 덧대어 구성할 수 있다. 제2 보강메탈(2653)에 마운트부(280)와 체결하는 제2 회전결합부(270)가 체결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고정바디(261)와 슬라이딩 바디(265)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스토퍼(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63)는 돌기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이용하여 다단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미세한 위치 조정을 위해 다단 방식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토퍼(263)는 슬라이딩 바디(265)에 위치하고 고정바디(26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스토퍼 접촉부(2635)를 포함하고 스토퍼 접촉부(2635)를 고정바디(261) 내측면으로 밀착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스토퍼 캠(263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캠(2633)과 맞닿는 부분의 면적은 좁으나 슬라이딩 바디(265)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충분히 마련하여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접촉부(2635)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스토퍼 캠(2633)을 회전시켜 회전 중심으로부터 길이가 긴 부분을 이용하여 스토퍼 접촉부(2635)를 고정바디(261) 내측면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토퍼 캠(263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길이가 짧은 부분이 스토퍼 접촉부(2635)를 향하도록 배치하면 스토퍼 접촉부(2635)는 고정바디(261)의 내측면에서 이격되어 슬라이딩 바디(265)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스토퍼(263) 부분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도 8의 E-E단면도 이고, (b)는 조절돌기(2631)가 위치하는 고정바디(261)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토퍼 캠(2633)을 회전시키는 조절돌기(2631)는 도 10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디(261)의 배면 방향에 돌출될 수 있다. 고정바디(261)는 조절돌기(2631)가 노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26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롯(2612)을 따라 이동하는 조절돌기(2631)의 위치를 기초로 가변 프레임(260)의 길이를 알 수 있도록 가이드 슬롯(2612)의 주변에 가이드 눈금(2614)을 표시할 수 있다.
가이드 눈금(2614)은 길이를 표시할 수도 있으나, 마운트부(280)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가변 프레임(260)의 길이를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인치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가변 프레임(260)에 대해 수직방향인지 수평방향인지에 따라 고정바디(261)의 중심으로부터 마운트부(280)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가이드 눈금(2614)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인치별, 방향별 위치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회전결합부(27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의 F-F 및 G-G 단면도이다. 제2 회전결합부(270)는 마운트부(280)를 제1 방향(x)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2 피봇(252), 가변 프레임(260)에 대해 제2 방향(y축)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2 스위블(272) 및 제3 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2 틸트(273)를 포함할 수 있다. 전
술한 제1 회전결합부(250)와 같이 제2 회전결합부(270)도 회전 모듈중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틸트(273)를 생략하면, 제1 회전결합부(250)의 제1 틸트(253)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수직방향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제어는 할 수 없으며, 제2 틸트(273)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수직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피봇(251)은 마운트부(280)와 제1 피스를 관통하며 마운트부(280)는 제1 피스에 대해 회전 가능학 결합한다.
마운트부(280)는 VESA 체결부를 포함하여, 손쉽게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체결할 수 있다. VESA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에 브라켓을 연결하는 체결부의 간격을 표준화 한 것으로 정사각형으로 4개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VESA규격이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체결하는 경우 마운트부(280)만 교체하여 다른 규격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피스와 제2 피스를 제3 방향에서 관통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2 틸트(273)는 제1 틸트(253)와 같이 탄성부재(273a)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무게를 지지하며 제2 틸트(273)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피스와 제3 피스를 제2 방향(y축)으로 관통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2 스위블(272)은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중 하나만 각도를 바꿀 경우 이용할 수 있다. 제3 피스는 슬라이딩 바디(265)와 체결되며, 특히 슬라이딩 바디(265)의 제2 보강메탈(2653)에 체결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200)의 스탠드 프레임(210, 230)의 높이 조정부(230)의 구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높이 조정부(230)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가변 프레임(260)이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도 14는 가변 프레임(260)이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의 높이 조정부(230)의 단면도이다.
높이 조정부(230)는 제1 회전결합부(250)와 체결되는 제1 연결부(237)와 고정부(210)와 체결되는 제2 연결부(238)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237)와 제2 연결부(238) 사이에 위치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는 양 단부가 제1 연결부(237)와 제2 연결부(238) 사이에 핀결합하며, 제1 연결부(237)의 제1 회전결합부(250)와의 각도 및 제2 연결부(238)의 고정부(210)와의 각도는 유지한 채 틸팅하여 가변 프레임(260)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38)와 링크부재 사이의 각도가 변화한 만큼 제1 연결부(237)와 링크부재의 각도는 반대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높이 조정부(230)의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링크부재는 한 쌍의 링크(제1 링크(231) 및 제2 링크(232))와 높이 조정부(230)의 각도를 고정하는 틸트 조절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1 링크(231)와 제2 링크(232)를 포함하며, 제1 링크(231)와 제2 링크(232)를 포함하며, 각각 양 단부가 제1 연결부(237)와 제2 연결부(238)이 핀결합한다. 제1 링크(231)와 제2 링크(23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미끌어지면서 높이 조정부(23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가변 프레임(260)이 상측으로 이동시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링크(232)는 전방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링크(231)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가변 프레임(260)이 하측으로 이동시 제2 링크(232)는 후방으로 제1 링크(231)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제1 링크(231)와 제2 링크(232)의 양 단부에 핀결합의 거리는 동일하므로 제1 연결부(237)는 수평을 유지하며 가변 프레임(260)을 지지할 수 있다.
틸트 조절부(235)는 제1 링크(231)와 제2 링크(232)의 위치를 고정하여 가변 프레임(26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틸트 조절부(235)는 제2 연결부(238)와 보조링크(2355)로 연결된 마찰부재(2354), 상기 마찰부재(2354)에 결합된 압축스프링(2353), 상기 압축스프링(2353)의 탄성을 조절하는 조절나사(2351)를 포함한다.
마찰부재(2354)는 제1 링크(231)와 제2 링크(232)와 맞닿아 압축스프링(2353)의 탄성을 전달한다. 사용자가 소정크기 이상의 힘을 인가하여 높이 조정부(230)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는 한 압축스프링(2353)에 의해 제1 링크(231)와 제2 링크(232)가 고정될 수 있다.
압축스프링(2353)의 압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나사(2351)는 외측에 형성된 나선을 이용하여 마찰부재(2354)의 타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조절부재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스프링 조절부재와 마찰부재(2354)의 거리에 따라 압축스프링(235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즉 압축스프링(2353)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보조링크(2355)는 제2 연결부(238)와 마찰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마찰부재(2354)가 제1 링크(231)와 제2 링크(232)에 압축력을 골고루 전달하도록 조절하여 전체 다절 링크 장치에 걸리는 작동력이 일정수준 이상 균형을 이루면서 작동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제3 스위블(216)과 제4 스위블(214)을 이용하여 가변 프레임(260)의 전후방향 위치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부(210)는 베이스부(215), 수직부(211), 베이스부(215)와 수직부(211) 사이의 제2 방향(y축)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3 스위블(216), 수직부(211)에서 연장된 브랜치부(213) 및 브랜치부(213)와 제2 연결부(238)를 회전 결합하는 제4 스위블(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위블(216)과 제4 스위블(214)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수평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하도록 제3 스위블(216) 또는 제4 스위블(214) 중 하나를 이용하여 마운트부(280)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스위블(216)과 제4 스위블(214)을 모두 구비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후 위치(도면상 상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6과 같이 제3 스위블(216)과 제4 스위블(21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브랜치와 높이 조정부(230)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고, 스탠드 프레임(210, 230)의 전후방향 길이를 짧아진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전면을 향하도록 제1 스위블(252)도 같이 회전하면 별도의 길이조정부 없이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200)는 복수개의 전자기기(100)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배치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 지지장치(200)는 복수개의 전자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가변 프레임(260)의 길이를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사이즈에 맞게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가변 프레임(260)의 길이를 고정하는 스토퍼(263)를 통해 수직 배치시에도 안정적으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263)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식부를 두어 전자기기의 사이즈에 따라 가변 프레임(260)의 크기를 조정이 용이하다.
전자기기 체결부도 일정각도로 스위블, 틸팅 및 피봇팅 가능하여 전자기기의 자유로운 설정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에 고정된 베이스를 분리 재조립하지 않고도 전자기기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태양에 따라 전자기기 위치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모듈
200: 지지장치
210: 고정부
211: 수직부
213: 브랜치부
214: 제4 스위블
215: 베이스부
216: 제3 스위블
217: 고정클립
230: 높이 조정부
231: 제1 링크
232: 제2 링크
235: 틸트 조절부
2351: 조절나사
2353: 압축스프링
2354: 마찰부재
2355: 보조링크
237: 제1 연결부
238: 제2 연결부
250: 제1 회전 결합부
251: 제1 피봇
252: 제1 스위블
253: 제1 틸트
260: 가변 프레임
261: 고정바디
2611: 고정바디 커버
2612: 제1 보강메탈
263: 스토퍼
2631: 조절돌기
2633: 스토퍼 캠
2635: 스토퍼 접촉부
265: 슬라이딩 바디
2651: 슬라이딩 바디 커버
2653: 제2 보강메탈
270: 제2 회전 결합부
271: 제2 피봇
272: 제2 스위블
273: 제2 틸트
280: 마운트부

Claims (19)

  1. 길이변화 가능한 가변 프레임;
    상기 가변 프레임에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피봇을 포함하는 제1 회전 결합부;
    일측은 상기 제1 회전 결합부와 결합하고, 하단이 거치면에 고정되는 스탠드 프레임; 및
    상기 가변 프레임에 설치되며 전자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마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봇을 통해 상기 가변 프레임이 회전시 상기 마운트부의 배치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은 상기 제1 피봇과 체결되는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에 인입 인출되며 확장 가능한 슬라이딩 바디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에 상기 슬라이딩 바디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슬라이딩 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스토퍼 접촉부;
    각도에 따라 상기 스토퍼 접촉부를 상기 고정바디의 내측면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스토퍼 캠; 및
    상기 스토퍼 캠을 회전시키켜 상기 스토퍼 접촉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성된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바디가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에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시된 가이드 눈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눈금은 상기 마운트부에 실장되는 전자기기의 크기에 적합한 상기 슬라이딩 바디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결합부는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스탠드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제1 스위블; 및
    상기 제1 피봇과 상기 제1 스위블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에 수직인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제1 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결합부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조절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제1 보강메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피봇은 상기 제1 보강메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디는 상기 고정바디의 양측에 한 쌍 위치하고,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슬라이딩 바디의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가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제2 피봇을 포함하는 제2 회전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결합부는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2 스위블; 및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에 수직인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제2 틸트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디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제2 보강메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 결합부는 상기 제2 보강메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결합부에서 연장되며 단부에 상기 가변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절핸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핸들은 상기 가변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 피봇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프레임은
    고정부;
    상기 가변 프레임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정부는,
    상기 제1 회전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양 단부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한 수직방향의 각도가 변화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한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 틸트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조절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보조링크로 연결된 마찰부재;
    상기 마찰부재에 결합된 압축스프링;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하여 상기 링크부재의 각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양 단부가 각각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에 핀결합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의 하부에 위치하며 양 단부가 각각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에 핀결합된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가변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면과 결합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스위블;
    상기 수직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브랜치부;
    상기 브랜치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4 스위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
  19.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하는 한 쌍의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 지지장치는,
    하단이 거치면에 고정되는 스탠드 프레임;
    상기 스탠드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제1 피봇을 포함하는 제1 회전 결합부;
    상기 제1 회전 결합부에 결합하며 길이변화가 가능한 가변 프레임; 및
    상기 가변 프레임의 양 단부에 설치되며 전자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한 쌍의 마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봇을 통해 상기 가변 프레임이 회전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치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062236A 2021-05-13 2021-05-13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3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236A KR102534480B1 (ko) 2021-05-13 2021-05-13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236A KR102534480B1 (ko) 2021-05-13 2021-05-13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544A true KR20220154544A (ko) 2022-11-22
KR102534480B1 KR102534480B1 (ko) 2023-05-26

Family

ID=8423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236A KR102534480B1 (ko) 2021-05-13 2021-05-13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4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3777A (ja) * 1998-12-23 2002-10-08 モスコヴィッチ,ジェリー コンピュータ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と調節式ディスプレイ画面取付台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用旋回式ディスプレイ画面
US20070084978A1 (en) * 2005-10-17 2007-04-19 Martin Randall W Multiple-display mount
KR20160121052A (ko) * 2015-04-09 2016-10-19 장근대 모니터 거치장치
CN207334156U (zh) * 2017-07-11 2018-05-08 昆山泓杰电子股份有限公司 可伸缩立柱锁紧固定机构
US20210080055A1 (en) * 2018-04-02 2021-03-18 Humanscale Corporation Adjustable Support Ar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3777A (ja) * 1998-12-23 2002-10-08 モスコヴィッチ,ジェリー コンピュータ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と調節式ディスプレイ画面取付台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用旋回式ディスプレイ画面
US20070084978A1 (en) * 2005-10-17 2007-04-19 Martin Randall W Multiple-display mount
KR20160121052A (ko) * 2015-04-09 2016-10-19 장근대 모니터 거치장치
CN207334156U (zh) * 2017-07-11 2018-05-08 昆山泓杰电子股份有限公司 可伸缩立柱锁紧固定机构
US20210080055A1 (en) * 2018-04-02 2021-03-18 Humanscale Corporation Adjustable Support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480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378B2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2788435B (zh) 图像显示装置和包括该图像显示装置的视频墙
KR102534480B1 (ko)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7386932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KR10247845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4690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7395652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及びその制御方法
KR2022003583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1307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40064461A1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092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58129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6406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23011833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56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41070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8232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6626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4444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89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4407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13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1300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921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75624A (ko)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