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499A -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499A
KR20220154499A KR1020210062111A KR20210062111A KR20220154499A KR 20220154499 A KR20220154499 A KR 20220154499A KR 1020210062111 A KR1020210062111 A KR 1020210062111A KR 20210062111 A KR20210062111 A KR 20210062111A KR 20220154499 A KR20220154499 A KR 20220154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bility
information
scenery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2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4499A/ko
Priority to US17/506,496 priority patent/US20220366882A1/en
Publication of KR2022015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6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6Volum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21Background music, e.g. for video sequences, elevator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41Rhythm pattern selection, synthesis or composition
    • G10H2210/361Selection among a set of pre-established rhythm patter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75Tempo or beat alterations; Music timing control
    • G10H2210/391Automatic tempo adjustment, correction or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51Environmental parameters, e.g. temperature, ambient light, atmospheric pressure, humidity, used as input for musical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41Image sensing, i.e. capturing images or optical patterns for musical purposes or musical control purposes
    • G10H2220/455Camera input, e.g. analyzing pictures from a video camera and using the analysis results as contro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중 풍경에 어울리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모빌리티 외부의 풍경을 구성하는 물, 산, 건물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주행 중 풍경을 사운드를 표현하여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주행 환경을 만드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FOR GENERATING SOUND OF MOBILITY,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중 풍경에 어울리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빌리티의 운전자는 주행 중 바깥 풍경이 수시로 바뀜에 따라,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하지만, 모빌리티에서 수면 중인 다른 탑승자 또는 시각장애인은 모빌리티의 주행 중 바깥 풍경을 느낄 수 없다. 또한, 모빌리티의 윈도우가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는 탑승자 또한 바깥 풍경을 느낄 수 없고, 윈도우가 보인다고 하여도, 가리는 부분이 있어, 외부 풍경을 완벽하게 감상할 수는 없다.
또한, 사운드를 구성하는 요소로, 이퀄라이저(Equalizer), 사운드 크기, 비트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활용하여, 모빌리티의 외부의 풍경을 사운드로 구성하여 표현하여 제공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행 중 풍경에 어울리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주행 중인 상황에서 날씨를 표현하는 사운드를 생성하여 모빌리티의 탑승자에게 모빌리티 외부의 날씨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모빌리티 외부의 풍경을 구성하는 물, 산, 건물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주행 중 풍경을 사운드를 표현하여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주행 환경을 만드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주행 중 주변에 존재하는 모빌리티, 바이크, 사람 등에 따라, 다른 사운드의 비트를 제공하여, 주변 환경을 생동감 있게 사운드로 표현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모빌리티 주변의 혼잡도를 사운드로 표현함으로써, 주행 시 긴장감을 조성할 수 있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는 모빌리티에 구비되어, 상기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사운드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지도 및 상기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풍경에서 기 설정된 고정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풍경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분류 항목은, 모빌리티, 건물, 물, 사람 및 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날씨를 기반으로,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주변 영상에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영상 부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을 기반으로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종류를 기반으로 상기 비트의 빠르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밀집도를 기반으로 상기 비트의 사운드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은, 차량, 이종 모빌리티 및 사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통해 상기 모빌리티가 주행하는 경로가 이전에 주행했던 경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전 주행에서 사용된 사운드 배경음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은 모빌리티에 구비된 정보획득부가, 상기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서 기 설정된 고정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풍경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날씨를 기반으로,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날씨를 기반으로,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가, 상기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획득부가, 상기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주변 영상에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영상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을 기반으로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을 기반으로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종류를 기반으로 상기 비트의 빠르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밀집도를 기반으로 상기 비트의 사운드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통해 상기 모빌리티가 주행하는 경로가 이전에 주행했던 경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전 주행에서 사용된 사운드 배경음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시스템은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및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및 상기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서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주행 중 풍경에 어울리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주행 중인 상황에서 날씨를 표현하는 사운드를 생성하여 모빌리티의 탑승자에게 모빌리티 외부의 날씨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빌리티 외부의 풍경을 구성하는 물, 산, 건물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주행 중 풍경을 사운드를 표현하여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주행 환경을 만드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주행 중 주변에 존재하는 모빌리티, 바이크, 사람 등에 따라, 다른 사운드의 비트를 제공하여, 주변 환경을 생동감 있게 사운드로 표현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빌리티 주변의 혼잡도를 사운드로 표현함으로써, 주행 시 긴장감을 조성할 수 있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의 구성들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가 날씨 및 고정 분류 항목에 따라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가 변동 분류 항목에 따라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는 정보획득부(110), 사운드생성부(120) 및 사운드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모빌리티는 차량을 포함하는 이동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는 모빌리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는 모빌리티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되어 연결 수단에 의해 모빌리티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는 모빌리티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모빌리티와 별개의 구성으로 모빌리티에 설치/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일부는 모빌리티와 일체로 구현되고, 다른 일부는 모빌리티와 별개의 구성으로 모빌리티에 설치/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획득부(110)는 모빌리티에 구비되어,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110)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지도 및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110)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지도를 통해, 모빌리티가 주행 중인 지역의 풍경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110)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지도를 통해, 모빌리티가 주행 중인 지역에 물, 산, 건물 등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획득부(110)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지도를 통해, 모빌리티가 주행 중인 지역에 물, 산, 건물 등이 존재하는지, 또는 존재한다면 모빌리티에서 볼 수 있는 풍경에서 물, 산, 건물 등이 차지하는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정보획득부(110)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지도를 통해, 모빌리티가 주행 중인 경로에 대해 이전에 주행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110)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110)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주변 영상을 통해, 모빌리티의 주변 풍경에 어떤 분류 항목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분류 항목은 고정 분류 항목 및 변동 분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분류 항목은 풍경의 배경을 구성하는 산, 물, 건물 등에 대응되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분류 항목은 모빌리티의 주행에 따라 주변 풍경에서 실시간으로 변하는 모빌리티, 사람 등과 같은 작은 단위의 항목이 아닌 비교적 긴 시간을 주행하여 다른 지역을 이동한 경우에 변화하는 항목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변동 분류 항목은 주변 풍경에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주변 차량, 이종 모빌리티, 사람 등에 대응되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변동 분류 항목은 모빌리티의 주행에 따라 주변 풍경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 단위로 변하는 모빌리티, 사람 등과 같은 작은 단위의 항목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110)는 사운드생성부(12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획득한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사운드생성부(120)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운드생성부(120)는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배경음, 비트, 이퀄라이저(Equalizer)로 구성되는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풍경에서 기 설정된 고정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풍경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분류 항목은 모빌리티, 건물, 물, 사람 및 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내비게이션 지도를 통해 모빌리티가 주행 중인 지역의 특성을 통해, 그 지역의 풍경을 구성하는 배경에서 고정 분류 항목들이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풍경을 구성하는 배경에서 고정 분류 항목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정확한 값이 아닐 수 있고, 특정 수준의 오차를 허용하는 비율로 얻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기반으로, 풍경을 구성하는 배경에서 고정 분류 항목들이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날씨를 기반으로,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모빌리티의 AVN(Audio, Video, Navigation)을 통해 획득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날씨를 맑음, 흐림, 비 눈, 조금 흐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운드생성부(120)가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추후에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주변 영상에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영상 부분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을 기반으로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모빌리티 주변 영상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모빌리티 주변 영상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종류와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은, 차량, 이종 모빌리티 및 사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종 모빌리티는 차량이 아닌 이륜차, 퍼스널 모빌리티 등의 다른 종류의 모빌리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종류를 기반으로 비트의 빠르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밀집도를 기반으로 비트의 사운드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운드생성부(120)가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종류를 기반으로 비트의 빠르기를 결정하고,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밀집도를 기반으로 비트의 사운드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은 추후에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통해 모빌리티가 주행하는 경로가 이전에 주행했던 경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전 주행에서 사용된 사운드 배경음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통해 모빌리티가 주행하는 경로가 이전에 주행했던 경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모빌리티가 주행하는 경로가 이전에 주행했던 경로를 포함한다면, 이전에 주행했던 경로에서 생성했던 사운드의 배경음을 현재 주행 중 배경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운드생성부(120)는 사운드출력부(13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사운드출력부(130)에 생성한 사운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운드출력부(130)는 생성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출력부(130)는 모빌리티의 오디오 스피커 또는 AVN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생성된 사운드를 모빌리티의 오디오 스피커 또는 AVN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출력부(130)를 통해, 풍경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들도 현재 모빌리티가 주행 중인 상황에서의 바깥 풍경 또는 교통 상황에 대해 파악할 수 있어, 드라이빙의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시스템(200)는 모빌리티(210) 및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서버(220) 를 포함할 수 있다.
모빌리티(210)는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및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210)에 포함된 정보획득부 및 사운드출력부는 도 1의 정보획득부(110) 및 사운드출력부(130)와 각각 동일하여,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2의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시스템(200)은 도 1의 사운드생성부(120)가 모빌리티의 사운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서버(220)가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통신회로를 통해,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서버(220)에 획득한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서버(220)는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서버(220)가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 1의 사운드생성부(120)가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동일하여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서버(220)는 서버에 구비된 통신회로를 통해, 모빌리티(210)에 생성한 사운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의 구성들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300)는 정보획득부(304) 및 사운드생성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300)는 서버(301), 모빌리티 오디오 스피커(310)와 통신하여 정보 또는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301)는 모빌리티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거나, 또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을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300)에 날씨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운드생성부(305)가 사운드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배경음, 이퀄라이저, 비트의 샘플을 제공할 수 있다.
정보획득부(304)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지도(302)에 대한 정보 및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303)를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를 통해, 주행 중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304)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지도(302)에 대한 정보를 통해, 주행 중인 지역을 이전에 주행한 이력이 있는지 확인하여, 이전에 주행한 이력이 있는 경우, 이전 주행에서 획득된 풍경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불러와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304)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지도(302)에 대한 정보를 통해, 주행 중인 지역을 파악할 수 있고, 주행 중인 지역의 풍경을 이루는 산, 물, 건물 등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304)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303)를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를 통해, 주행 중 실시간 풍경에서 고정 분류 항목 및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304)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303)를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를 통해, 주행 중 실시간 풍경에서 산, 물, 건물 등을 포함하는 고정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304)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303)를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를 통해, 주행 중 실시간 풍경에서 산, 물, 건물 등을 포함하는 고정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304)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303)를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를 통해, 주행 중 실시간 풍경에서 타차량, 이종 모빌리티, 사람 등을 포함하는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획득부(304)는 주행 중 실시간 풍경에서 고정 분류 항목 및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부분을 검출하기 위해, 딥러닝 기반의 객체 탐지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운드생성부(305)는 고정 분류 분석(306), 변동 분류 분석(307), 오디오 분석(308) 및 사운드 샘플 재생 변수 설정(309)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305)는 주행 중 풍경에서 고정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들이 차지하는 비중을 산출하여, 고정 분류 분석(306)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305)는 주행 중 풍경에서 고정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들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각각의 고정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들에 대응하는 배경음을 다양한 형태로 믹스(Mix)하여, 배경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305)는 주행 중 풍경에서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들의 종류에 따른 움직임의 빠르기를 판단하고, 객체들의 밀집도를 판단하여, 변동 분류 분석(307)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305)는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들의 종류에 따른 움직임의 빠르기가 빠를수록 빠른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305)는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들의 밀집도가 클수록 사운드 크기가 큰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305)는 현재 날씨에 따른 이퀄라이저를 선택하고, 모빌리티가 주행 중인 위치의 이전 주행 기록이 있다면, 이전 주행 시 사운드를 반영하여 오디오 분석(308)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305)는 이전 주행 시 사용한 배경음을 현재 주행 시 배경음으로 하여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305)는 고정 분류 분석(306), 변동 분류 분석(307) 및 오디오 분석(308)의 결과를 기반으로, 사운드 샘플 재생 변수 설정(309)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305)는 고정 분류 분석(306), 변동 분류 분석(307) 및 오디오 분석(308)의 결과를 기반으로, 서버(301)로부터 수신한 사운드 샘플에 대한 이퀄라이저, 사운드 크기, 사운드 빠르기 등의 재생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운드생성부(305)는 생성한 사운드에 대한 정보를 모빌리티 오디오 스피커(310)에 전송하여, 생성한 사운드를 모빌리티의 오디오 스피커(3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가 날씨 및 고정 분류 항목에 따라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i)은 날씨를 분류하는 항목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현재 날씨에 대응하는 날씨 분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날씨 분류 항목은 맑음, 흐림, 비, 눈, 조금 흐림, 천둥, 번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현재 날씨에 대응하는 날씨 분류 항목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날씨 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날씨 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원, 정사각형, 직사각형, 물방울 모양, 마름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에 날씨 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고,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현재 날씨에 대응하는 날씨 분류 항목에 따른 이미지를 테이블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 음략 크기 비율(이퀄라이저)을 결정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사운드의 60Hz, 230Hz, 910Hz, 3.6kHz, 14kHz 주파수 대역의 음량 크기 비율을 결정함으로써, 사운드 생성의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이미지의 형태(Shape)의 특징을 푸리에 변환하여 음악의 음조(Tone)로 매칭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푸리에 변환을 통한 영상처리를 하여 얻은 이미지의 중심부를 저주파에 대응하고, 가장자리를 고주파에 대응시킬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푸리에 변환을 통한 영상처리를 하여 얻은 이미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다섯 개의 부분으로 범위를 나누고, 각 부분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에너지 값을 합산하여, 그 비율에 따라 사운드의 60Hz, 230Hz, 910Hz, 3.6kHz, 14kHz 주파수 대역의 음량 크기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60Hz, 230Hz, 910Hz, 3.6kHz, 14kHz 주파수 대역은 예시를 들기 위해 임의로 정해진 주파수이며, 실제로는 다른 주파수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도 4의 (ii)는 고정 분류 항목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예로, 고정 분류 항목은 물, 산, 건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또는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주행 중 풍경의 고정 분류 항목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모빌리티의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주행 방향 전방의 1km 반경 내 영역을 기반으로 고정 분류 항목을 탐지할 수 있다.
여기서, 1km의 거리는 예시를 들기 위해 임의로 정해진 거리이며, 실제로는 다른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기 설정된 고정 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배경음 사운드를 기반으로, 주행 중 풍경에서 탐지된 고정 분류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배경음 사운드를 믹스하여 배경음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가 변동 분류 항목에 따라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i)은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차량, 이종 모빌리티, 사람을 움직임 빠르기의 순서로 나열한 도면이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모빌리티의 전방,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변동 분류 항목들의 움직임 빠르기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주행 중 풍경에서 탐색된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의 종류의 움직임 빠르기를 판단할 수 있고,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의 종류의 움직임 빠르기가 빠를수록 빠른 비트를 생성하고,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의 종류의 움직임 빠르기가 느릴수록 느린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주행 중 풍경에서 탐색된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의 종류에 따른 기본 빠르기의 비트를 설정하고,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통해 판단되는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의 빠르기에 대응하여 비트의 빠르기를 수정할 수 있다.
도 5의 (ii)은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차량, 이종 모빌리티, 사람의 밀집도를 순서대로 나열한 도면이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모빌리티의 전방,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객체의 밀집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검출된 변동 분류 항목의 객체의 크기, 개수 등을 고려하여, 모빌리티 주변 밀집도를 판단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모빌리티 주변 밀집도가 낮을수록 사운드 크기가 작은 비트를 생성하고, 모빌리티 주변 밀집도가 높을수록 사운드 크기가 큰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주행 위치를 이전에 주행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01).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주행 위치를 이전에 주행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주행 위치를 이전에 주행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S601), 주행 위치를 이전에 주행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동일 주행 경로인 경우, 이전 사운드 배경음을 배경음으로 선택할 수 있다(S602).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주행 위치를 이전에 주행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주행 풍경이 이전 주행 시 풍경과 유사할 것으로 판단하여, 이전 사운드 배경음을 배경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주행 위치를 이전에 주행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S601), 주행 위치를 이전에 주행한 이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내비게이션 지도의 주행 방향 앞 풍경에서 현재 위치 기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S603).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통해, 주행 방향의 전방의 풍경에서 보이는 고정 분류 항목들이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내비게이션 지도의 주행 방향 앞 풍경에서 현재 위치 기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한 후(S603), 면적 비율 우선 순위에 따라 세팅된 배경음을 설정할 수 있다(S604).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현재 위치 기반 풍경 항목 중, 카테고리가 서로 다른 항목이 비슷한 비율인 경우, 이전에 유사 상황에서의 배경음을 고려하여 이전에 선택했던 배경음과 같거나 다른 음악을 배경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고정 분류 항목들의 면적 비율의 우선 순위에 따라,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고정 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배경음으로 설정하고, 비율에 따라 배경음 사운드를 믹스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이전 사운드 배경음을 배경음으로 선택한 후(S602), 현재 날씨를 파악할 수 있다(S605).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면적 비율 우선 순위에 따라 세팅된 배경음을 설정한 후(S604), 현재 날씨를 파악할 수 있다(S605).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AVN의 날씨 정보 시스템을 통해 주행 중인 지역의 현재 날씨를 파악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날씨를 파악하거나, 서버를 통해 현재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날씨를 파악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현재 날씨를 파악한 후(S605),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선정할 수 있다(S606).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현재 날씨에 대응되어, 현재 날씨를 표현할 수 있는 기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선정한 후(S606), 이미지에 맞는 이퀄라이저를 선정할 수 있다(S607).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푸리에 변환한 새로운 이미지의 섹터 별 에너지 값을 합산한 비율에 따라,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음량 크기의 비율을 설정하여,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이미지에 맞는 이퀄라이저를 선정한 후(S607), 주변에 차량, 이종 모빌리티,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608).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모빌리티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기반으로 한 영상 처리를 하여, 모빌리티 주변에 다른 차량, 이종 모빌리티,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주변에 차량, 이종 모빌리티,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한 후(S608), 기본 리듬의 비트를 선택할 수 있다(S609).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모빌리티 주변에서 검출된 객체가 타차량, 이종 모빌리티 및 사람 중 어떤 것인지 그 종류에 따라서 대응되는 기본 리듬의 비트를 선택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기본 리듬의 비트를 선택한 후(S609), 변동 분류 항목의 움직임 속도에 대응하는 비트의 빠르기를 설정할 수 있다(S610).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실시간으로 모빌리티 주변에서 검출된 객체의 움직임 속도를 판단하여, 객체의 움직임 속도에 따른 비트의 빠르기를 설정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변동 분류 항목의 움직임 속도에 대응하는 비트의 빠르기를 설정한 후(S610), 변동 분류 항목의 밀집도에 대응하는 비트의 사운드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S611).
일 예로,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실시간으로 모빌리티 주변에서 검출된 객체의 밀집도를 판단하여, 객체의 밀집도에 따른 비트의 사운드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변동 분류 항목의 밀집도에 대응하는 비트의 사운드 크기를 설정한 후(S611), 풍경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S612).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100, 300)는 주행 중 풍경에 따라 설정된 배경음, 이퀄라이저, 비트의 빠르기 및 사운드 크기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은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10) 및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S7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은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10)는 정보획득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10)는 정보획득부(110)가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10)는 정보획득부(110)가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가 정확하다고 판단되면 현재 위치에서의 주변 지도 정보를 통해,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10)는 속도에 따라 설정되는 특정 주기마다 또는 모빌리티의 특정 주행거리마다 현재 모빌리티의 위치 기반의 주변 지형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S720)는 사운드생성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S720)는 사운드생성부(120)가 풍경에서 기 설정된 고정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풍경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S720)는 사운드생성부(120)가 날씨를 기반으로,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가 날씨를 기반으로,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운드생성부(120)가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운드생성부(120)가 이미지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
일 예로,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S720)는 사운드생성부(120)가 주변 영상에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영상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사운드생성부(120)가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을 기반으로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가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을 기반으로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운드생성부(120)가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종류를 기반으로 비트의 빠르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운드생성부(120)가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을 기반으로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운드생성부(120)가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밀집도를 기반으로 비트의 사운드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S720)는 사운드생성부(120)가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통해 모빌리티가 주행하는 경로가 이전에 주행했던 경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전 주행에서 사용된 사운드 배경음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 및/또는 스토리지)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모빌리티에 구비되어, 상기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사운드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지도 및 상기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 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풍경에서 기 설정된 고정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풍경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분류 항목은,
    모빌리티, 건물, 물, 사람 및 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구성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날씨를 기반으로,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주변 영상에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영상 부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을 기반으로 비트를 생성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종류를 기반으로 상기 비트의 빠르기를 결정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밀집도를 기반으로 상기 비트의 사운드 크기를 결정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은,
    차량, 이종 모빌리티 및 사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구성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는,
    상기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통해 상기 모빌리티가 주행하는 경로가 이전에 주행했던 경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전 주행에서 사용된 사운드 배경음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12. 모빌리티에 구비된 정보획득부가, 상기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서 기 설정된 고정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풍경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날씨를 기반으로,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날씨를 기반으로,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날씨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별 사운드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가, 상기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획득부가, 상기 모빌리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주변 영상에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영상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을 기반으로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을 기반으로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종류를 기반으로 상기 비트의 빠르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검출된 기 설정된 변동 분류 항목의 밀집도를 기반으로 상기 비트의 사운드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생성부가, 상기 모빌리티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통해 상기 모빌리티가 주행하는 경로가 이전에 주행했던 경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전 주행에서 사용된 사운드 배경음을 기반으로 배경음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방법.
  20. 모빌리티의 주행 중 외부의 풍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및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및
    상기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풍경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서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서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시스템.
KR1020210062111A 2021-05-13 2021-05-13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54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111A KR20220154499A (ko) 2021-05-13 2021-05-13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7/506,496 US20220366882A1 (en) 2021-05-13 2021-10-20 Mobility sound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111A KR20220154499A (ko) 2021-05-13 2021-05-13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499A true KR20220154499A (ko) 2022-11-22

Family

ID=8399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111A KR20220154499A (ko) 2021-05-13 2021-05-13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66882A1 (ko)
KR (1) KR2022015449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66882A1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6111B2 (ja) 画像編集装置、画像編集方法、画像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5637903B (zh) 用于产生声音的系统和方法
KR101901908B1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KR20190017411A (ko) 주변 상황에 기초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50270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the voice prompt of an interactive system based upon the user's state
US11929051B2 (en) Environment awareness system for experiencing an environment through music
JP5395716B2 (ja) 車外音提供装置、車外音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67771A (ja) ダイジェスト映像生成装置
US20200341723A1 (en) Playback sound provision device
WO2014174545A1 (ja) 音響発生装置、及び音響発生方法
JP2007286170A (ja) 表示画面調整装置、表示画面調整方法、表示画面調整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050792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車載端末、サーバ
JP2006266902A (ja) 環境音再生を伴う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220154499A (ko) 모빌리티의 사운드 생성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14943A (ko) 주행 환경 연동 운전자 감정 판단 방법 및 시스템
CN117425586A (zh) 声音体验发生器
US202203061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circuitry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645480B2 (ja) 音生成装置、音生成制御プログラム
JP5865708B2 (ja) 施設、自然、歴史、ルートに関する画像及び音声の再生及びデータの制作方法
JP201612222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159646A (ko) 진동 발생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JP2006189977A (ja) 画像編集装置、画像編集方法、画像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18101341A1 (ja) 情報処理装置、外部音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2010175854A (ja) エンジン音出力装置、出力制御方法、出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2312742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