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319A -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319A
KR20220154319A KR1020210061630A KR20210061630A KR20220154319A KR 20220154319 A KR20220154319 A KR 20220154319A KR 1020210061630 A KR1020210061630 A KR 1020210061630A KR 20210061630 A KR20210061630 A KR 20210061630A KR 20220154319 A KR20220154319 A KR 20220154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sensor
control signal
use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수
권경우
이지용
강민우
송현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21006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4319A/ko
Publication of KR20220154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3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passive infrared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소에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장소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조명장소 내외의 이용자를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조명장소 내부의 이용자를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에서 검출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장소에 이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조명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을 점멸시키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장소로의 입실 및 퇴실 인원수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용자의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LIGHT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DUAL SENSOR}
본 발명은 조명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인체 감지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민감도 및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킨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업용 건물이나 공동 주택 내 공간에는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조명을 자동으로 On/Off 시키는 조명 절전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 절전 시스템에서는 인체 감지 센서로서 일반적으로 적외선이나 자외선 등을 이용하는 광 센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 센서의 경우,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서 일정한 각도로 벗어나 있는 물체에 대해서는 감지하지 못하거나, 외부의 빛이나 소음, 별도의 열원 등에 의해 감지 오류가 발생하여, 주위 환경에 따라 민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2764호에서는, 천장에 적외선 펄스파 광원을 조사하는 적외선 광원(B1, B2)을 설치하고, 바닥에 상기 적외선 광원과 대향되게 설치되며 광원에서 발생되는 펄스빔을 수광하여 수광 여부에 따라 펄스폭이 변조된 신호를 발생하는 광검출기(10, 11, 12, 13)를 설치함으로써, 사람이 들어오고 나가는 수를 정확하게 계수하여 실내에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시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조명기구 점등제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광원과 광검출기를 각각 별도의 장소에 설치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광검출기가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 투명성이 요구되는 광검출기 표면이 오염되거나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설치가 용이하며 재실의 출입자뿐만 아니라 재실 내의 사람의 움직임을 고감도로 정확하게 감지하여 효율적으로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2764호(2004.05.20)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3985호(2009.11.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움직임을 고감도로 정확하게 감지하여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민감도 및 정확도가 향상된 조명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유아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조명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조명장소에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장소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조명장소 내외의 이용자를 광원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조명장소 내부의 이용자를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에서 검출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장소에 이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조명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을 점멸시키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TOF 센서이고, 상기 제2 센서는 도플러 센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구역은, 상기 조명장소의 입구측 영역을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으로 분할 구분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의 순서로 이용자가 감지되면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 생성 시 측정된 이용자 감지 거리에 따라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3 구역, 제2 구역 및 제1 구역의 순서로 이용자가 감지되면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제어신호 생성 시 측정된 이용자 감지 거리에 따라 제4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조명장소에 이용자의 입실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이용자의 특성을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또는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이용자가 입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유닛 및 상기 조명유닛에 연동된 상기 제2 센서를 작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조명장소에 이용자의 퇴실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4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이용자의 특성을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신호 또는 제4 제어신호에 의해 이용자가 퇴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유닛 및 상기 조명유닛에 연동된 상기 제2 센서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이용자에 대한 제2 센서의 감지신호 수신 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조명장소의 이용자 퇴실 및 재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신호 및 제4 제어신호에 의한 동일 이용자 감지 거리 중 최소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해당 이용자를 유아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생성 빈도 및 제2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입실 인원 및 입실 인원 중 유아 인원의 수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신호의 생성 빈도 및 제4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퇴실 인원 및 퇴실 인원 중 유아 인원의 수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제어신호에 따라 유아로 판단되는 이용자가 제3 제어신호에 의해 단독으로 퇴실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주의 모드를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신호 및 제4 제어신호의 입력 시,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와 대비 판단하여, 유아 이용자가 단독으로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값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상기 유아 이용자의 단독 재실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아 이용자의 단독 재실이 유지되면, 제2 주의 모드를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주의 모드는, 성인 이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조명유닛을 점멸하고, 성인 이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통신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연락처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주의 모드는, 기 설정된 유아보호기관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제어 장치는, 조명장소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와 연계하여 상기 조명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는 PIR 센서이고, 상기 제2 센서는 도플러 센서인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장치는, TOF 센서인 제1 센서와 도플러 센서인 제2 센서의 듀얼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조명장소로의 입실 및 퇴실 인원수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용자의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 감지의 민감도 및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조명기구의 작동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감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의 재실 및 퇴실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유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기구 점등제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조명제어 장치의 설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제어신호의 판단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제어 장치의 운용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에 대하여, 바람직한 구현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조명제어 장치의 설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100)는 크게 조명유닛(10)과, 제1 센서(20)와, 제2 센서(30)와, 제어부(40)와, 스위칭 회로(5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10)은, 조명장소에 조명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형광등이나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20)는, 상기 조명장소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조명장소 내외의 이용자를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이다. 또한 상기 제2 센서(30)는, 상기 조명장소 내부에 설치되어 조명장소 내부의 이용자를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이다. 상기 제1 센서(20) 및 제2 센서(30)에 대하여는 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1 센서(20)와 제2 센서(30)에서 검출한 인체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조명장소에 이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이용자의 특성을 판단하고 조명유닛(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등 본 발명에 의한 조명제어 장치(10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스위칭 회로(50)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유닛(10)을 점멸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20)는 TOF 센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TOF(Time of Flight) 센서는 빛(예를 들어 레이다 광선)을 쏘아서 반사되어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사물의 입체감과 공간 정보, 움직임 등을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센서(30)는 도플러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플러 센서는 마이크로파 신호가 움직이는 물체에 반사될 때, 도플러 효과로 인해 신호의 주파수가 물체의 속도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인체 감지 센서로서, 소형이며 간단한 구성 및 저비용으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20)는 PIR 센서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PIR(Passive Infrared Sensor) 센서는 피동형 적외선센서를 의미하며 프레넬 렌즈를 통해 9~12도의 예각으로 일정 구간의 인체 이동을 감지한다. PIR 센서의 경우, 매우 적은 전류 소모량으로 외부전원 없이 장기간 운영이 가능하며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방수 방적설계가 용이하고 특별한 유지보수 없이 1년 이상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장소로의 이용자의 입실 및 퇴실을 감지하기 위하여 먼저 조명장소의 입구측 영역을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으로 분할 구분하여 제1 센서(20)의 측정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센서(20)는, 상기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의 순서로 이용자가 감지되면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제어신호 생성 시 측정된 이용자 감지 거리에 따라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센서(20)는, 상기 제3 구역, 제2 구역 및 제1 구역의 순서로 이용자가 감지되면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3 제어신호 생성 시 측정된 이용자 감지 거리에 따라 제4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센서(20)가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조명장소에 이용자의 입실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이용자의 특성을 판단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용자의 특성을 판단하는 것은 조명장소로 입실 및 퇴실하는 이용자가 성인인지 유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유아란 단독 외출이나 단독 방치 시 안전이 우려되는 영유아를 말하는 것으로 약 만 4세 이하의 영유아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제어신호의 판단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이용자의 특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제2 제어신호에 의한 동일 이용자 감지 거리 중 최소값(L2 및 l2)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40)는 해당 이용자를 유아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값이란 바닥면과 제1 센서(20) 사이의 거리에서 유아(만 3세 ~ 만4세)의 평균 신장을 뺀 값을 의미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제어 장치(100)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명제어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 센서(20)를 구동시킨다(S110).
이에 따라, 제1 센서(20)에 의한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S120), 제1 센서(20)는 센싱 최소값에 의한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130). 이때 제어부(40)는,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생성 빈도 및 제2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조명장소로의 입실 인원 및 입실 인원 중 유아 인원의 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40)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또는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이용자가 입실된 것으로 판단되면(S140), 조명유닛(10)을 작동시켜 조명장소에 조명을 개시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조명유닛(10)에 연동된 제2 센서(30)를 구동시킨다(S150).
이어서 제어부(40)는, 상기 제3 제어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조명장소에 이용자의 퇴실 여부를 판단한다(S160). 이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3 제어신호의 생성 빈도 및 이와 동시에 생성되는 제4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퇴실 인원 및 퇴실 인원 중 유아 인원의 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여 유아 단독으로 퇴실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0)는 제1 주의 모드를 실행하게 된다(S210). 여기에서 유아 단독으로 퇴실하는 경우란, 제3 제어신호에 의해 1인이 퇴실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또한 제4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이용자의 특성이 유아로 판단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의 모드는, 유아 단독으로 퇴실하였으나 성인 이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조명유닛(10)을 점멸하여 성인 이용자에게 유아의 퇴실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성인 이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통신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연락처(200), 예를 들어 유아의 보호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유아 이용자가 단독으로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센서(30)의 센싱 값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예를 들어 5 내지 10초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유아 이용자의 단독 재실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S310).
여기에서 유아 이용자가 단독으로 재실 중인 경우란, 제1 제어신호에 의한 입실 인원과 제3 제어신호에 의한 퇴실 인원의 차이가 '1'이고, 제2 제어신호에 의한 입실 유아수와 제4 제어신호에 의한 퇴실 유아수의 차이가 '1'인 경우를 의미한다.
이어서, 기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3 시간 이상 유아 이용자의 단독 재실이 유지되면(S320), 제어부(40)는 제2 주의 모드를 실행하게 된다(S330). 이때 상기 제2 주의 모드는 유아가 방치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서, 제2 주의 모드에서는 경찰서(300)나 소방서(400) 등과 같은 유아보호기관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TOF 센서인 제1 센서(20)와 함께 도플러 센서인 제2 센서(30)의 듀얼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조명장소로의 입실 및 퇴실 인원수를 정확하게 판단함은 물론, 유아의 입실 및 퇴실 여부를 정밀하게 파악하여 유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40)는, 제1 제어신호에 의한 이용자의 입실 인원수와 제3 제어신호에 의한 이용자의 퇴실 인원수가 동일한 경우, 이용자 전원이 퇴실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40)는, 이용자에 대한 제2 센서(30)의 감지신호 수신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여 조명장소에서 이용자의 최종 퇴실 여부를 판단한다(S410).
이에 의하여 이용자의 최종 퇴실이 확인되면, 제어부(40)는 조명유닛(10)을 소등하고(S420), 이어서 최종적으로 제2 센서(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43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센서(20)에 의한 인체 감지를 제2 센서(30)에 의해 추가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인체 감지의 민감도 및 정확도를 향상시켜 불필요한 조명기구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명제어 장치는, 조명장소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조도 센서와 연계하여 상기 조명유닛(10)을 작동시킴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조명유닛(10)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인체 감지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민감도 및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킨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장소로의 입실 및 퇴실 인원수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용자의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조명유닛 20 : 제1 센서
30 : 제2 센서 40 : 제어부
50 : 스위칭 회로 100 : 조명제어 장치
200 : 보호자 연락처 300 : 경찰서
400 : 소방서

Claims (17)

  1. 조명장소에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장소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조명장소 내외의 이용자를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조명장소 내부의 이용자를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에서 검출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장소에 이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조명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을 점멸시키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TOF 센서이고,
    상기 제2 센서는 도플러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구역은,
    상기 조명장소의 입구측 영역을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으로 분할 구분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의 순서로 이용자가 감지되면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 생성 시 측정된 이용자 감지 거리에 따라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3 구역, 제2 구역 및 제1 구역의 순서로 이용자가 감지되면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제어신호 생성 시 측정된 이용자 감지 거리에 따라 제4 제어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조명장소에 이용자의 입실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이용자의 특성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또는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이용자가 입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유닛 및 상기 조명유닛에 연동된 상기 제2 센서를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조명장소에 이용자의 퇴실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4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이용자의 특성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신호 또는 제4 제어신호에 의해 이용자가 퇴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유닛 및 상기 조명유닛에 연동된 상기 제2 센서의 작동을 중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용자에 대한 제2 센서의 감지신호 수신 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조명장소의 이용자 퇴실 및 재실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신호 및 제4 제어신호에 의한 동일 이용자 감지 거리 중 최소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해당 이용자를 유아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생성 빈도 및 제2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입실 인원 및 입실 인원 중 유아 인원의 수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신호의 생성 빈도 및 제4 제어신호의 측정값에 따라,
    퇴실 인원 및 퇴실 인원 중 유아 인원의 수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제어신호에 따라 유아로 판단되는 이용자가 제3 제어신호에 의해 단독으로 퇴실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주의 모드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신호 및 제4 제어신호의 입력 시,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와 대비 판단하여, 유아 이용자가 단독으로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값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상기 유아 이용자의 단독 재실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아 이용자의 단독 재실이 유지되면, 제2 주의 모드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의 모드는,
    성인 이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조명유닛을 점멸하고,
    성인 이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통신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연락처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의 모드는,
    기 설정된 유아보호기관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제어 장치는,
    조명장소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와 연계하여 상기 조명유닛을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PIR 센서이고,
    상기 제2 센서는 도플러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KR1020210061630A 2021-05-12 2021-05-12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KR20220154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630A KR20220154319A (ko) 2021-05-12 2021-05-12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630A KR20220154319A (ko) 2021-05-12 2021-05-12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40000530U Division KR20240001112U (ko) 2024-03-25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319A true KR20220154319A (ko) 2022-11-22

Family

ID=8423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630A KR20220154319A (ko) 2021-05-12 2021-05-12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431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764A (ko) 2002-12-05 2004-05-20 대방포스텍(주) 출입자 계수에 의한 조명기구 점등제어장치
KR20090113985A (ko)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포스코 절전용 자동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764A (ko) 2002-12-05 2004-05-20 대방포스텍(주) 출입자 계수에 의한 조명기구 점등제어장치
KR20090113985A (ko)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포스코 절전용 자동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26072B (en) A method of operating an automatic door installation
US9485840B2 (en) Sensing within a region
NL2002295C2 (en)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a variety of illumination devices.
US63863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objects in a detection zone using modulated means
KR101652076B1 (ko) 화재감지기
US7106187B2 (en) Fire detector
EP0070883B1 (en) Photoelectric obstruction detector for elevator doorways
JP2013235390A (ja) 測距型防犯センサ
KR20170006505A (ko) 장애물 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스크린도어용 장애물감지 시스템
KR101275498B1 (ko) 모션인식 조명등
KR20220154319A (ko)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KR20240001112U (ko) 듀얼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 장치
KR100996730B1 (ko) 화재 경보장치
CN214326863U (zh) ToF电梯光幕装置和电梯
KR200408566Y1 (ko) 무선 분산 제어 기능의 인체 감지 센서등
JP4917203B2 (ja) 検知ゾーン内にある物体を検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357213B1 (ko) 엘이디 조명등을 이용한 주차장용 엘이디 조명 장치 및 주차장 조명 방법
JP2009042156A (ja) 光センサ装置
KR101473944B1 (ko) 복수의 노드에서 신호 중계를 이용하여 적외선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통신방법 및 장치
KR20130074382A (ko) 비상유도형 화재감지기 및 이를 적용한 화재감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20090128846A (ko) 유아용 보행기 위험 경보 시스템
JPH06341650A (ja) 電気ストーブ
KR102194630B1 (ko) 천장에 설치되는 2개의 송, 수신부를 이용한 출입문의 진출입 카운터 구조
JP2011195313A (ja) ドアシステム
JPS5852520Y2 (ja) 煙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