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473A -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device - Google Patents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473A
KR20220153473A KR1020220004496A KR20220004496A KR20220153473A KR 20220153473 A KR20220153473 A KR 20220153473A KR 1020220004496 A KR1020220004496 A KR 1020220004496A KR 20220004496 A KR20220004496 A KR 20220004496A KR 20220153473 A KR20220153473 A KR 2022015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lifter
pot
unit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기
최동준
조연아
이득원
김대웅
오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4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ner pot with food contained inside; a lifter that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and moves the food contained in the inner pot; an outer pot located outside of the inner pot; a first driving part that rotates the inner pot by generating a rotational power; a member to be measured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a sensor part installed inside the outer pot and measuring a position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and a control part that receives a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or part and controls an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p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aving time on cooking.

Description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DEVICE}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device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내솥에 장착된 리프터의 회전을 제어하므로 음식물의 조리에 맞는 모션을 구현할 수 있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capable of realizing motion suitable for cooking foo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a lifter mounted on an inner pot.

일반적으로, 제육볶음, 주꾸미 볶음, 볶음밥 등과 같은 볶음 요리는 다양한 재료들을 혼합하여 프라이팬이나 솥 등의 조리용기에 넣고 일정 시간 동안 가열과 교반을 행하면서 적절히 볶아서 조리한다.In general, stir-fried dishes such as stir-fried pork, stir-fried webfoot octopus, and fried rice are cooked by mixing various ingredients, putting them in a cooking container such as a frying pan or pot, and stirring and stirring them appropriate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특히, 소, 돼지, 닭 등과 같은 육류 및 다양한 부산물 뿐만 아니라, 주꾸미,낚지, 오징어 등과 같은 각종 해산물을 이용한 볶음 요리를 맛있게 조리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열을 음식물 재료에 골고루 가해야 한다. 균일한 열을 음식물 재료에 골고루 가하기 위해서는 요리사가 항상 조리대 앞에서 볶음 요리용 재료를 섞는 작업을 해야만 한다.In particular, in order to cook delicious stir-fried dishes using meat and various by-products such as cows, pigs, chickens, etc., as well as various seafoods such as webfoot octopus, fishing rod, and squid, uniform heat must be applied evenly to food ingredients. In order to apply uniform heat to food ingredients evenly, the cook must always mix the stir-fry ingredients in front of the countertop.

예를 들어, 요리사가 팬 손잡이를 잡고 작은 반경의 스냅으로 끌어당긴 후, 밀면서 상승시키면 팬 바닥면에 수용된 음식물 재료가 팬 내측 둘레를 타고 짧게 상승한 후에 뒤집히면서 팬 바닥면에 다시 떨어지는 웍질 동작을 구현한다.For example, when a cook grabs the handle of a pan, pulls it with a small radius snap, and then pushes it up, the food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bottom of the pan rises brief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an, then flips over and falls back to the bottom of the pan. implement

또한 팬 손잡이를 잡고 작은 반경의 스냅으로 민 후, 끌어당기면서 상승시키면 팬 바닥면에 수용된 음식물 재료가 팬 둘레를 타고 짧게 상승한 후에 뒤집히면서 팬 바닥면에 떨어지는 반복적인 웍질 동작을 통해서 볶음요리를 만든다.In addition, if you hold the handle of the pan, push it with a small radius snap, and then pull it up while pulling it up, the food ingredients accommodated on the bottom of the pan rise briefly around the pan, then turn over and fall on the bottom of the pan. make

그런데 요리사가 팬을 사용하여 음식물 재료를 뒤집기 위해서는 손목의 스냅을 이용해야 하고, 반복적인 스냅동작으로 인해 손목 관절 또는 팔 관절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for a cook to flip food ingredients using a pan, a snap of the wrist must be u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wrist joint or an arm joint is strained due to the repetitive snapping action.

그리고 한명의 요리사가 하나의 요리 밖에 조리할 수 없으므로, 많은 양의 요리 또는 다른 종류의 볶음 요리를 동시에 조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In addition, since one cook can only cook one dish, it is difficult to cook a large amount of dishes or different types of stir-fried dish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0084호 (2019.11.21 공개, 발명의 명칭: 볶음 요리용 조리장치)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30084 (published on November 21, 2019, title of the invention: cooking device for stir-fried dishes).

본 발명의 목적은, 볶음 요리시 음식물을 혼합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요리사의 신체에 무리가 가는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er motion control type cook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 phenomenon in which a chef's body is burdened by repeating an operation of mixing food during stir-frying.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 자동화 장치를 사용하여 음식물의 혼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capable of easily mixing food using a cooking autom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많은 양의 요리를 혼합하며 볶움 요리를 할 수 있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mixing and roasting a large amount of foo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는, 센서부의 동작으로 피측정부재의 위치를 센싱하여 내솥에 장착된 리프터의 모션을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the motion of the lifter mounted on the inner pot is controlled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by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구체적으로는, 제어부는 피측정부재의 위치를 파악하여 리프터의 모션을 제어하므로, 리프트의 동작에 의해 내솥에 있는 음식물의 혼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otion of the lifter by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food in the inner pot can be automatically mixe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

또한 본 발명은, 기울어진 상태의 내솥에 있는 음식물을 상승시킨 후 내솥의 바닥으로 음식물을 떨어트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음식물을 혼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x the food by repeating an operation of raising the food in the inner pot in a tilted state and then dropping the food to the bottom of the inner pot.

구체적으로는, 제어부가 리프터의 위치를 파악한 후 내솥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리프터의 이동을 제어하므로, 리프터가 음식물을 밀어올린 후 떨어트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웍질의 모션을 구현할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lifter and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nner pot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lifter, the lifter can implement a wok motion by repeating an action of pushing food up and then dropping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는, 내측에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솥과, 내솥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솥에 담겨진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리프터와,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솥과,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와, 내솥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피측정부재와, 외솥의 내측에 설치되며 피측정부재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제1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pot in which food is stored, a lifter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ner pot and protrudes into the inner pot to move food contained in the inner pot, and an outer pot of the inner pot. An outer pot located in the outer pot, a first driving unit that penetrates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ot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pot and generates rotational power to rotate the inner pot, a member to be measure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and installed inside the outer pot to be measured It includes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ember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내솥과, 내솥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솥에 담겨진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리프터와,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솥과, 외솥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베이스부와,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와, 베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케이스부를 눕히거나 세우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부와, 내솥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피측정부재와, 외솥의 내측에 설치되며 피측정부재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pot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food is contained, a lift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ner pot and protruding into the inner pot to move food contained in the inner pot; An outer pot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pot, a case part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and having an open top, a base par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part and guid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case part,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part. A first drive unit that penetrates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ot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pot and generates rotational power to rotate the inner pot; and a second drive unit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base unit and generates rotational power to supply power for laying down or erecting the case; A member to be measure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a sensor unit installed inside the outer pot and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는, 조리되는 음식물의 혼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요리사의 신체에 무리가 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od to be cooked is automatically mixed, so that the chef's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verburdened.

또한 본 발명은, 리프터의 모션을 제어하여 웍질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조리되는 음식물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implement wok quality by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lifter, the taste of cooked food can be maintained constant and labor cost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요리를 동시에 혼합하며 볶움 요리를 할 수 있으므로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time required for cooking because a large amount of food can be mixed and stir-fried at the same tim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솥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솥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음식물이 내솥의 하부로 낙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가 음식물을 밀어내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가 음식물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음식물이 내솥의 하부로 낙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솥의 내측에 내솥이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솥에서 내솥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피측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피측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피측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피측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part is tilted forw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portion is tilted forw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forward.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is tilted forw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ifter rotates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ood is dropp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by a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lif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ifter rotates clockwise while pushing fo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if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clockwise together with food.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ood is dropp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by a clockwise rotation of the lif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is positioned inside the outer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is separated from the outer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unit and a member to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nsor unit and a member to be measur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unit and a member to be measur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nsor unit and a member to be measur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의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는, 내솥(10)과 리프터(20)와 외솥(30)과 제1구동부(60)와 피측정부재(200)와 센서부(300)와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는, 가열부(40)와 케이스부(50)와 제2구동부(90)와 베이스부(70)와 커버부(100)와 열풍공급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pot 10, a lifter 20, an outer pot 30, and a first driving unit 60 ), a member to be measured 200, a sensor unit 300, and a control unit 400. In addition,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1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heating unit 40, the case unit 50, the second driving unit 90, the base unit 70, the cover unit 100, and the hot air supply unit 110. may contain one more.

내솥(10)에 음식물(120)을 넣고 가열하는 종래의 조리장치는 내솥(10)을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며, 회전되는 속도도 단일 속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는, 리프터(20)의 위치를 감지하여 내솥(10)과 리프터(20)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하므로 웍질과 같은 모션을 구현할 수 있다.In a conventional cooking apparatus for putting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and heating it, the inner pot 10 rotates in only one direction, and the rotation speed is also made at a single speed. However, since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and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inner pot 10 and the lifter 20, the quality of the wok and the The same motion can be implemented.

웍질은 내솥(1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솥(10)을 회전시키면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이 리프터(20)와 함께 회전할 때, 내솥(1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음식물(120)이 내솥(10)의 내측으로 낙하되어 뒤집히면서 섞이는 동작이다.When the inner pot 10 is rotated while the inner pot 10 is tilted, the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rotates together with the lifter 20. When the inner pot 1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food This is an operation in which 120 is dropped into the inner pot 10 and mixed while being turned over.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는, 내솥(10)과 리프터(20)의 회전으로 웍질을 구현하기 위해 리프터(20)의 위치를 측정한다. 리프터(20)의 위치 감지를 위해 피측정부재(200)와 센서부(300)가 설치된다.In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is measured to implement wok quality by rotating the inner pot 10 and the lifter 20 .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the measurement target member 200 and the sensor unit 300 are installed.

피측정부재(200)와 센서부(300)는 물리적 마모 방지를 위해 비접촉식 방식으로 동작된다. 그러나 접촉방식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는 측정방식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측정부재(200)와 센서부(300)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and the sensor unit 300 ar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to prevent physical wear.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easuring method in which an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ontact method can also be applied to the measured member 200 and the sensor unit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피측정부재(200)와 센서부(30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어부(400)는 리프터(20)의 위치를 계산한다. 제어부(400)는 리프터(20)의 위치를 참조하여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을 잘 혼합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와 알고리즘을 제공한다.The control unit 400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of the measured member 200 and the sensor unit 300 . The controller 400 provides a control device and an algorithm for well mixing the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with reference to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는, 모터를 사용하는 제1구동부(60)의 동작으로 내솥(10)을 회전시킨다. 내솥(10)의 내측에는 리프터(20)라는 기구물이 설치되어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을 저어주거나 혼합하는 기능을 한다.In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ot 1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using a motor. A lifter 20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pot 10 to stir or mix the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는, 음식물(120)의 조리 방식이나 음식물(120)의 종류에 따라 각각 별도의 조리 모션이 있으며, 제어부(400)는 조리 모션에 맞게 제1구동부(60)의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을 가변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센서부(300)를 통해 전달받은 측정값으로 리프터(20)의 위치를 산출하여 음식물(120)의 혼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1 has separate cooking motions according to the cooking method of food 120 or the type of food 120, and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according to the cooking motion. Change the speed and direction of rot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can more effectively mix the food 120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transmitted through the sensor unit 30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는, 냄비와 팬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조리 기기이다.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는 음식물(120)을 보다 고르게 익혀 주기 위해서 열원의 전도와 더불어 공기 대류 순환 구조를 이용하여 음식물(120)을 가열한다. 내솥(10)이 외솥(30)에서 분리되며, 내솥(10)에 리프터(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내솥(10)이 외솥(30)에서 분리되므로 내솥(10)의 세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king appliance having both pot and pan functions.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1 heats the food 120 by using an air convection circulation structure as well as conduction of a heat source in order to more evenly cook the food 120 . The inner pot 1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pot 30, and the lifter 2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ner pot 10. Since the inner pot 1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pot 30, the inner pot 10 can be easily cleaned.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회전과 가열은 물론 필요시 모터제어를 통해 끓이기, 볶기, 웍질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functions such as boiling, frying, and wok through rotation and heating as well as motor control when necessary.

커버부(100)와 케이스부(50)와 베이스부(70)의 외측은 원형의 곡면을 형성한다. 커버부(100)의 외경보다 케이스부(50)의 외경이 크며, 케이스부(50)의 외경보다 베이스부(70)의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조리장치의 외경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커지므로 조리장치의 무게중심이 아래에 위치하여 조리장치의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The outer sides of the cover part 100, the case part 50, and the base part 70 form a circular curved surface. The outer diameter of the case part 5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ver part 100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ase part 7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se part 50 .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cooking devic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device is located below, preventing the cooking device from falling over.

조리장치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구비한 형상이며, 원형, 원통형, 타원형, 구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cooking device is a shape having a curved surface as a whole, and the outer shap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 cylindrical shape, an oval shape, and a spherical shape.

조리장치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은 커버부(100)가 설치되어 원형의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리장치의 외측은 곡면을 구비하므로, 미려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oking device is made of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and the upper side is made of a circular flat shape with the cover unit 100 installed. Since the outside of the cooking device has a curved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eautiful sense of aesthetics.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가열부(40)와 외솥(30)과 내솥(10)이 위치하며, 내솥(10)의 상측에는 커버부(10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3, the heating unit 40, the outer pot 30, and the inner pot 10 are located inside the case part 50, and the cover part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

가열부(40)는 인덕션 방식으로 내솥(10)을 가열한다. 또한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된 내솥(10)의 열기에 의해 열풍공급부(110)에서 배출된 공기의 가열이 이루어진다.The heating unit 40 heats the inner pot 10 by induction.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ot air supply unit 110 is heated by the heat of the inner pot 10 heated by the heating unit 40 .

가열부(40)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인덕션 전용 용기인 내솥(10)으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고, 내솥(10)에 구비된 저항이 열선처럼 뜨거워지는 원리로 음식물(120)을 가열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하는 방식을 유도가열이라 한다.The heating unit 40 transfers electric energy to the inner pot 10, which is an induction-only container,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heats the food 120 on the principle that the resistance provided in the inner pot 10 becomes hot like a heating wire. A method of heating the inner pot 10 by the heating uni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lled induction heating.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가열부(40)가 동작되어 코일(41)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41)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자기장이 전용 용기인 내솥(10)에 구비된 금속에 영향을 주게 되어 내솥(1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When the heating unit 40 is operat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41,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coil 41. A magnetic field affects the metal provided in the inner pot 10, which is a dedicated container, so that current flows through the inner pot 10.

내솥(10)에 흐르는 전류는 금속의 저항을 만나 열로 바뀌며 내솥(10)을 가열한다. 내솥(10)에 전달되는 자기장이 지속적으로 바뀌어야 내솥(10)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코일(41)에 공급되는 전기는 고주파의 전류가 이용된다. 내솥(10)은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가열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철 합금과 스테인리스로 만들어진다.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nner pot 10 meets the resistance of the metal and is converted into heat to heat the inner pot 10 . The heating of the inner pot 10 is achieved only when the magnetic field transmitted to the inner pot 10 is continuously changed. Electricity supplied to the coil 4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high-frequency current. The inner pot 10 is made of iron alloy and stainless steel so that it can be quickly and easily heated under the influence of a magnetic fiel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는, 내솥(10)과 리프터(20)와 외솥(30)과 가열부(40)와 케이스부(50)와 제1구동부(60)와 베이스부(70)와 제2구동부(90)와 커버부(100)와 열풍공급부(110)와 피측정부재(200)와 센서부(300)를 포함한다.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pot 10, a lifter 20, an outer pot 30, a heating unit 40, a case unit 50, and a first driving unit ( 60), a base part 70, a second driving part 90, a cover part 100, a hot air supply part 110, a member to be measured 200, and a sensor part 300.

케이스부(50)의 내측에 외솥(30)이 고정되며, 외솥(30)의 내측에 내솥(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내솥(10)과 외솥(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내솥(10)과 외솥(30)이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outer pot 30 is fixed inside the case part 50, and the inner pot 10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outer pot 30.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pot 10 and the outer pot 30, and if necessary, the inner pot 10 and the outer pot 30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외솥(30)의 하부에 설치된 제1구동부(6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내솥(10)이 회전한다. 내솥(10)의 상측은 커버부(100)에 의해 개폐된다. 음식물(120) 조리시 음식물(120)이 신속하게 잘 섞일 수 있도록 내솥(10)의 내부에는 리프터(20)가 설치된다. 리프터(20)는 내솥(10)에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10)과 함께 회전한다.The inner pot 10 rotates by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ot 30 .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part 100 . A lifter 20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pot 10 so that the food 120 can be quickly mixed well when cooking the food 120 . The lifter 20 is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inner pot 1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inner pot 10 .

케이스부(50)와 내솥(10)과 외솥(30)의 상측 입구는 개구된 형상이며, 케이스부(50)의 입구는 커버부(100)에 의해 개폐된다. 외솥(30)의 내측에 내솥(10)이 위치하며, 내솥(10)의 개구된 상측에 커버부(100)가 위치한다.Upper inlets of the case portion 50, the inner pot 10, and the outer pot 30 are open, and the inlets of the case portion 50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portion 100. The inner pot 10 is located inside the outer pot 30, and the cover part 100 is positioned on the open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조리장치의 외솥(30)에 가열장치인 가열부(40)가 설치된다. 가열부(40)는 인덕션 방식으로 동작되며, 가열부(40)에 구비된 코일(41)은 외솥(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가열부(40)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동작되어 내솥(10)을 가열시킨다.A heating unit 40 as a hea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outer pot 30 of the cooking device. The heating unit 40 operates in an induction method, and the coil 41 provided in the heating unit 40 is instal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pot 30 . The heating unit 40 is operated by application of power to heat the inner pot 1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솥(30)의 재질은, 내열성이 있는 강화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의 재질은 SUS430과 같은 강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s the material of the outer pot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resistant reinforced plastic or synthetic resin may be used.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inner pot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SUS430.

본 발명에 의한 조리장치는 2개의 동력장치를 구비하며, 음식물(120)의 종류에 따라 모터를 이용하여 최적의 조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를 포함한다.Th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power devices and provides an optimal cooking method using a motor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120 . Th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60 and a second driving unit 90 .

제1구동부(60)는 외솥(30)의 하단 중심부에 설치되며, 제1구동부(60)에 구비된 모터를 이용해 내솥(10)을 36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60)는 내솥(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부(60)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6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outer pot 30, and the inner pot 10 can be rotated 360 degrees using a motor provided in the first driving unit 60. The first driving unit 60 may rotate the inner pot 1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dditi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provided in the first driving unit 60 may be adjusted.

제1구동부(60)는 외솥(3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외솥(30)의 하부와 마주하는 케이스부(5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60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pot 30 and may be fixed to the case part 50 facing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ot 30 .

또한 제2구동부(90)에 구비된 모터는 케이스부(50)와 외솥(30)과 내솥(10)을 기울이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400)는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120)에 적합한 조리 동작을 제공한다. 제어부(400)는 케이스부(50)의 내측이나 베이스부(7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or provided in the second drive unit 90 functions to tilt the case unit 50, the outer pot 30, and the inner pot 10. The controller 400 provides a cooking operation suitable for the food 12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90 . The controller 4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part 50 or inside the base part 70 .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외솥(30)이나 내솥(10)이 수직 가상선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1구동부(60)의 동작에 의해 내솥(10)이 제1구동부(60)의 제1구동축(62)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90 performs an operation in which the outer pot 30 or the inner pot 10 tilts forward with respect to a vertical imaginary line. In addition, the inner pot 10 is rota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driving shaft 62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

제어부(400)는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의 동작을 제어하여 내솥(10)의 이동을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다양한 조리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조리장치를 포함한 전자기기에 제어부(400)가 설치되는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trol unit 4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 unit 60 and the second drive unit 90 to combine the movement of the inner pot 10 in various ways,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Cooking method can be implemented. Sinc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trol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ooking device is a well-known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커버부(100)에는 내솥(10)의 내측에 있는 내부 공기를 순환 시킬 수 있는 열풍공급부(110)가 구비된다. 열풍공급부(110)에는 회전하는 팬을 구비한 팬모듈(111)이 설치된다. 열풍공급부(110)를 통해 내솥(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내솥(10)을 가열하는 가열부(40)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다.The cover unit 100 is provided with a hot air supply unit 110 capable of circulating internal air inside the inner pot 10 . A fan module 111 having a rotating fan is installed in the hot air supply unit 110 . The temperature of the air mov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0 through the hot air supply unit 110 is increased by the heating unit 40 for heating the inner pot 10 .

열풍공급부(110)의 동작으로 내솥(10)에 구비된 음식물(120)을 조리하기 위한 열풍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열부(40)에 의해 내솥(10)이 직접 가열되는 방식과, 열풍에 의해 음식물(120)이 가열되는 방식으로 음식물(120)의 조리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리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의 레피시에 따라 음식물(120)을 조리할 수 있다. Hot air for cooking the food 120 provided in the inner pot 10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ot air supply unit 110 . Therefore, the cooking time of the food 120 is shortened in a method in which the inner pot 10 is directly heated by the heating unit 40 and a method in which the food 120 is heated by hot air. In additio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ok the food 120 according to the recipe of the food desired by the user.

커버부(100)는 케이스부(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음식물(120)의 조리 전후에 커버부(100)를 케이스부(50)에서 분리하여 내솥(10)에 음식물(120)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Since the cover part 10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ase part 50, the cover part 100 is separated from the case part 50 before and after cooking the food 120, and the food 120 is placed in the inner pot 10. can be put in or taken out.

내솥(10)은 내측에 음식물(120)을 담은 상태에서 회전하기 위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내솥(10)의 외측면에는 피측정부재(200)가 설치된다. 내솥(10)은 음식물(120)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은 상측이 개구된 솥 형상이다. The inner pot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rotate while holding food 120 therein. A member to be measured 20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 The inner pot 1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food 120 is contained. The inner pot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t shape with an open top.

내솥(10)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측면(13)에는 후술할 제1구동부(60)의 커넥터(63)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부(15)는 커넥터(63)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내솥(10)의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한다.A coupling groove 15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or 63 of the first drive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13 forming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0 . The coupling groove 15 forms a concave groove shape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inner pot 10 so that the connector 63 can be inserted and hung.

내솥(10)의 하측면(13)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중앙돌기(14)의 하측에 결합홈부(15)가 구비된다. 중앙돌기(14)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결합홈부(1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중앙돌기(14)의 외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A coupling groove 15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14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13 of the inner pot 10 . The central projection 14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if necessary, the outer shape of the central projection 1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15.

내솥(10)은 내솥 측면(16)과 하측면(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솥 측면(16)은 하측면(13)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내솥 측면(16)에는 상하 방향으로 리프터(20)가 설치된다.The inner pot 10 may include an inner pot side 16 and a lower side surface 13 . The inner pot side 16 extends upward from the rim of the lower side 13 . A lifter 20 is installed on the inner pot side 16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열풍공급부(110)가 동작될 때, 열풍공급부(11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열풍공급부(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 위치한 내솥 측면(16)도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된다.And when the hot air supply unit 110 is operated, the inner pot side 16 locat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ot air supply unit 110 is also in the heating unit 40 to he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ot air supply unit 110. heated by

내솥(10)과 함께 회전하는 리프터(20)는,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을 혼합하거나 뒤집기 위한 기능을 한다. 리프터(20)는 내솥(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솥(10)에 담겨진 음식물(120)을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lifter 20 rotating together with the inner pot 10 functions to mix or flip the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 The lifter 2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ner pot 1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moving food 120 contained in the inner pot 10 by protruding inside the inner pot 1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J"자 형상이며, 내솥(10)에 끼움식으로 고정된다. 판 형상의 리프터(20)는 내솥(10)의 내측면을 따라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리프터(20)는 내솥(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이므로, 내솥(10)과 함께 리프터(20)가 회전하면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을 이동시킨다.The lifter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J"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itted and fixed to the inner pot 10. The plate-shaped lifter 20 is installed in a curved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 Since the lifter 20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0, the lifter 20 rotates together with the inner pot 10 to move the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내솥(10)을 지지하는 외솥(30)은 내솥(10)의 외측에 위치한다. 외솥(30)은 내솥(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솥(10)과 함께 상측이 개구된다. 외솥(30)은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고정되며, 외솥(30)의 측면에는 가열부(40)가 설치되고, 외솥(30)의 하측 중앙에는 제1구동부(60)가 설치된다.The outer pot 30 supporting the inner pot 10 is located outside the inner pot 10 . The outer pot 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pot 10, and the upper side is opened together with the inner pot 10. The outer pot 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part 50, the heating part 4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uter pot 30, and the first driving part 60 is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outer pot 30.

가열부(40)는 외솥(30)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10)을 전자기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열부(40)는 장착브라켓(45)과 코일(41)을 포함한다.The heating unit 40 is fixed to the outer pot 3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heating the inner pot 10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ethod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The heating unit 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bracket 45 and a coil 41.

코일(41)이 직접 외솥(3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외솥(30)과 내솥(10) 사이에 코일(41)이 설치될 수도 있다. 코일(41)이 직접 가열되어 내솥(10)으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도 내솥(10)을 가열할 수 있다.The coil 41 may be installed in a shape directly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and the coil 4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outer pot 30 and the inner pot 10. The inner pot 10 may also be heated in a manner in which the coil 41 is directly heated to transfer heat to the inner pot 1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일(41)은 자기장을 발생시켜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내솥(10)을 가열한다. 외솥(30)의 외측에 장착브라켓(45)이 위치하며, 장착브라켓(45)의 외측에 코일(41)이 설치된다.The coil 4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s the inner pot 10 by induction heating by generating a magnetic field. A mounting bracket 45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30, and a coil 41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ounting bracket 45.

가열부(40)가 자기유도 가열방식으로 내솥(10)을 발열시키므로 빠른 음식물(120)의 조리가 가능하다. 가열부(40)는 내솥 측면(16)에 배치되어 넓은 면적에서 발열을 유도하며, 자기 유도 방식으로 가열 속도를 높여서 음식물(120)의 레시피에 맞게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heating unit 40 heats the inner pot 10 using a self-induction heating method, quick cooking of food 120 is possible. The heating unit 40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pot 16 to induce heat in a wide area, and increases the heating rate in a magnetic induction method to facilitate temperature control according to the recipe of the food 120 .

또한 가열부(40)의 동작에 의해 인덕션 히팅과 열풍을 이용한 자동 조리 기구의 가열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는, 회전하는 내솥(10)을 빠르고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인덕션 가열 방식의 코일(41)을 내솥(10)의 외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가열부(40)는 열풍 생성 및 제어를 위해 인덕션 코일(41)을 분리하여 배치한다.In addition, a heating structure of an automatic cooking appliance using induction heating and hot air by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40 is provided. In the lift motion controlled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uction heating type coil 41 capable of quickly and uniformly heating the rotating inner pot 10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pot 10 . In addition, the heating unit 40 separates and disposes the induction coil 41 to generate and control hot air.

장착브라켓(45)은 외솥(30)의 외측에 고정되므로, 코일(41)로 전달된 전기가 외솥(30)으로 전달됨을 차단한다. 장착브라켓(45)은 2 종류의 코일(41)이 장착되기 위해 상하로 장착공간을 구분할 수도 있다.Since the mounting bracket 45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30, electricity transmitted to the coil 41 is block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uter pot 30. The mounting bracket 45 may divide the mounting space vertically so that the two types of coils 41 are mounted.

케이스부(50)는 외솥(30)과 가열부(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는 베이스부(70)의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가열부(40)와 외솥(30)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case part 50 is install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30 and the heating part 4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opening the upper side. The case part 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70, and the heating part 40 and the outer pot 30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part 50. installed in the state

케이스부(50)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는, 몸체케이스(51)와 하부케이스(53)와 외측기어(54)를 포함한다.The case part 50 may be made of a single member, or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members, if necessary. The case unit 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case 51, a lower case 53, and an external gear 54.

몸체케이스(51)는 가열부(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할 수록 점차로 외경이 커지는 기둥 형상이다.The body case 51 is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heating unit 40 . The upper side of the body case 51 is open and has a columnar shape with an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몸체케이스(51)의 상측에는 커버부(1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케이스(51)의 하부에는 하부케이스(53)가 연결된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과 하측은 개구된 형상이다.The cover part 10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case 51, and the lower case 53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case 51.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case 51 have an open shape.

하부케이스(53)는 베이스부(7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 하부케이스(53)는 몸체케이스(51)의 하측을 막으며, 베이스부(70)를 향한 하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의 곡면을 구비한다.The lower case 53 forms a hemispherical curved surface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base portion 70 . The lower case 53 blocks the lower side of the body case 51 and has a convex curved surface toward the lower side toward the base portion 70 .

외측기어(54)는 하부케이스(53)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제2구동부(90)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다. 외측기어(54)는 하부케이스(53)의 하측면(13)에 형성되며, 케이스부(50)가 회전되는 이동경로를 따라 외측기어(54)가 형성된다. 외측기어(54)는 곡선 형상을 따라 띠 형상으로 연장된다.The outer gear 54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se 53 and has teeth meshing with the gear provided in the second drive unit 90 . The outer gear 5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3 of the lower case 53, and the outer gear 54 is formed along the movement path along which the case part 50 rotates. The external gear 54 extends in a belt shape along a curved shape.

케이스부(50)를 포함한 조리장치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므로, 유아를 포함한 노약자가 실수로 조리장치에 걸려 넘어지는 경우, 제품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Sinc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ooking device including the case portion 50 forms a curved surface,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can be lowered sinc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oduct forms a curved surface when an elderly person, including an infant, accidentally trips over the cooking device. have.

제1구동부(60)는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고정되며,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1구동부(60)는 외솥(30)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솥(10)에 연결되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솥(10)을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first driving unit 6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unit 50 and generates rotational power using a motor. In addition, the first drive unit 60 is connected to the inner pot 10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ot 3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rotating the inner pot 10 using electric energy.

제1구동부(60)는 스텝모터를 사용한다. 제어부(400)는 제1구동부(60)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조리모션 전에 내솥(10)이 천천히 회전하며 포토센서를 사용하는 센서부(300)가 내솥(10)의 외측에 설치된 피측정부재(200)를 찾아 리프터(20)를 초기위치(P)로 위치시킨다.The first driving unit 60 uses a stepper motor. Since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the inner pot 10 rotates slowly before the cooking motion, and the sensor unit 300 using a photosensor is installed outside the inner pot 10 to be measured. Find (200) and position the lifter (20) to the initial position (P).

리프터(20)가 초기위치(P)로 이동하면, 제어부(400)는 제1구동부(60)를 동작시켜 조리 모션을 위한 회전을 한다. 제1구동부(60)에 사용되는 스텝모터는 제1구동축(62)의 회전각도 제어 및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조리 모션으로 동작시 리프터(20)의 동작을 제어한다.When the lifter 20 moves to the initial position P, the control unit 400 operates the first driving unit 60 to rotate for cooking motion. Since the stepper motor used in the first drive unit 60 can control the rotation angle and rotation speed of the first drive shaft 62,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fter 20 when operated as a cooking motion.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제1구동부(60)의 동작으로 내솥(10)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 방향 회전을 교대로 할 수도 있다.The inner pot 10 can be rotated at a set angl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using a stepper motor, and clockwise rotation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can be alternat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60)는, 제1구동몸체(61)와 제1구동축(62)을 포함한다. 또한 제1구동부(60)는 내솥(10)과 연결되기 위해 커넥터(6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6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iving body 61 and a first driving shaft 62 .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63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pot 10 .

제1구동몸체(61)는 외솥(30)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이다. 제1구동몸체(61)는 외솥(30)의 중앙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몸체(61)는 하부케이스(53)와 외솥(30)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케이스(53)의 상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구동몸체(61)는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first driving body 61 is a motor that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ot 30 and generates rotational power. The first driving body 61 may be fix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outer pot 30 .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body 61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case 53 and the outer pot 30,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be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53 are possible. A servo motor may be used as the first driving body 61 .

제1구동축(62)은 제1구동몸체(6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구동몸체(61)의 동작에 의해 제1구동축(62)은 회전한다. 제1구동축(62)은 제1구동몸체(6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솥(30)의 중앙 하부를 관통하며 외솥(3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The first drive shaft 62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drive body 61, and the first drive shaft 62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 body 61. The first driving shaft 62 protrudes upward from the first driving body 61, penetrates the lower center of the outer pot 30, and protrudes upward of the outer pot 30.

커넥터(63)는 외솥(30)을 관통하는 제1구동축(62)에 결합되며, 내솥(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커넥터(63)의 하부는 제1구동축(62)이 삽입되어 걸리는 홈부를 형성한다.The connector 63 is coupled to the first drive shaft 62 penetrating the outer pot 3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10.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63 forms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drive shaft 62 is inserted and caught.

그리고 커넥터(63)는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솥(10)의 하부에 구비된 십자 형상의 결합홈부(15)에 삽입되어 내솥(10)과 회전이 동기화된다.The connector 63 is formed in a cross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cross-shaped coupling groove 15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0 to synchronize rotation with the inner pot 10 .

제1구동부(60)의 제1구동축(62)에서 연장된 가상선이 수직으로 세워진 내솥(10)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제1회전방향(D1)으로 정의한다. 내솥(10)은 제1구동부(60)의 동작으로 리프터(20)와 함께 제1회전방향(D1)으로 회전한다. 내솥(1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n imaginary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driving shaft 62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vertically erected inner pot 10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ased on this vertical line. It is defined as one rotational direction (D1). The inner pot 10 rotates along with the lifter 20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D1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 unit 60 . The inner pot 1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able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내솥(10)은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한다. 내솥(10)이 조리장치의 전방을 향하여 회전할 때 중심이 되는 축을 수평 기준축이라 할 때, 수평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제2회전방향(D2)으로 설정한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90 rotates the inner pot 10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D2. When an axis serving as a center when the inner pot 10 rotates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device is referred to as a horizontal reference axis, a rotation direction around the horizontal reference axis is set as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D2.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외측기어(54)가 형성된 길이에 대응하여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동작이 이루어진다. The inner pot 10 and the case portion 50 are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D2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outer gear 54 .

베이스부(70)는 케이스부(50)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50)가 회전되어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70)는 베이스커버(71)와 베이스몸체(75)를 포함한다.The base part 7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part 5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guid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case part 50 rotates and tilts. The base part 7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cover 71 and a base body 75.

베이스커버(71)는 하부케이스(53)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부케이스(53)를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71)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반구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71)의 곡률과 하부케이스(53)의 곡률은 서로 같거나,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같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케이스부(50)의 하측이 베이스부(7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The base cover 71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ase 53 and forms a concave groove shape toward the lower case 53 . The base cover 71 forms a concave hemispherical groove toward the upper side. The curvature of the base cover 71 and the curvature of the lower case 53 are the same or similar within a set range. Therefore, the lower side of the case part 50 can be stably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70 .

베이스몸체(75)는 베이스커버(71)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베이스몸체(75)는 베이스부(70)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외경이 증가한다.The base body 75 extends downward from the rim of the base cover 71 . The base body 75 forms the body of the base portion 70, and its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한편 베이스부(70)의 하측면(13)에는 미끄럼 방지형 고무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조리장치의 사용시 본래 사용하던 위치에서 조리장치가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형 고무패드가 설치된다. 미끄럼 방지형 고무패드는 고무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70)의 하측면(13)에 고정된다.Meanwhile, a non-slip rubber pad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13 of the base part 70 . When using the cooking device, a non-slip rubber pa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cooking device from being separat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The non-slip rubber pad is made in the shape of a rubber plate and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13 of the base part 70 .

제2구동부(90)는 베이스부(70)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케이스부(5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90)는 제2구동몸체(91)와 회전기어(93)를 포함한다.The second driving unit 90 is installed inside the base unit 70, and various types of driving devices may be use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moving the case unit 50 by generating rotational power. The second driving unit 9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driving body 91 and a rotary gear 93.

제2구동몸체(91)는 모터를 사용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2구동몸체(91)는 베이스부(70)의 내측에 고정된다. 베이스커버(7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구동몸체(91)는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2구동몸체(91)는 스텝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의 제어로 동작된다.The second driving body 91 uses a motor and receives electrical energy to supply rotational power. The second driving body 9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part 70 . The second driving body 91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cover 71 supplies rotational power. The second driving body 91 may use a stepper motor and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

제2구동몸체(91)에서 돌출된 제2출력축(92)은 제2구동몸체(91)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기어(93)는 제2구동몸체(91)에 구비된 제2출력축(92)에 연결된다. 회전기어(93)는 원형기어이며, 제2출력축(92)과 함께 회전한다.The second output shaft 92 protruding from the second driving body 91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body 91, and the rotary gear 93 is a second output shaft provided on the second driving body 91. connected to (92). The rotating gear 93 is a circular gear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output shaft 92 .

회전기어(93)의 일부는 베이스부(7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회전기어(93)가 회전하면 케이스부(50)에 구비된 외측기어(54)가 이동하므로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A part of the rotary gear 93 protrudes upward from the base part 70 . Therefore, when the rotary gear 93 rotates, the outer gear 54 provided in the case part 50 moves, so that the case part 50 can be rotated.

제2구동부(90)의 회전동력이 케이스부(50)의 하측에 구비된 외측기어(54)로 전달되어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키므로, 음식물(120)을 담는 내솥(10)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다.Sinc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second driving unit 90 is transmitted to the outer gear 54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unit 50 to rotate the case unit 50,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pot 10 containing the food 120 is increased.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제1구동부(60)가 동작되어 내솥(10)을 회전시키는 모드로 음식물(120)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내솥(10)을 기울이거나 웍(Wok)을 이용한 요리와 같은 모션을 구현하여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120)을 조리할 수 있다.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od 120 is cooked in a mode in which the inner pot 10 is rotated by operating the first driving unit 60, an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90. The food 120 may be cooked in various cooking modes by implementing a motion such as tilting the inner pot 10 or cooking using a wok.

커버부(100)는 케이스부(50)의 개구된 입구부(52)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0)는 원판 형상이며, 커버부(100)의 내측에는 열풍공급부(110)가 설치된다. 커버부(100)는 케이스부(5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10)의 상측을 개폐한다.The cover part 10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inlet part 52 of the case part 50 . The cover par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k shape, and a hot air supply part 110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part 100 . The cover part 10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part 50 and opens and closes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

커버부(100)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0)는 흡입그릴(104)과 토출그릴(105)을 포함한다.The cover part 100 may be made of a single member, and if necessary, a plurality of members may be detachably installed. The cover par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grill 104 and a discharge grill 105.

커버부(100)의 내측에 열풍공급부(110)가 설치되며, 열풍공급부(110)와 마주하는 커버부(100)의 하측면(13)에는 흡입그릴(104)과 토출그릴(105)이 설치된다. 흡입그릴(104)과 토출그릴(105)은 공기가 이동되기 위한 복수의 홀부를 구비한다. 흡입그릴(104)의 상측에는 팬모듈(111)이 설치되며, 토출그릴(105)의 상측에는 덕트부(115)의 출구가 위치한다.A hot air supply unit 110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unit 100, and a suction grill 104 and a discharge grill 105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13 of the cover unit 100 facing the hot air supply unit 110. do. The suction grill 104 and the discharge grill 105 hav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air is moved. The fan module 111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grill 104, and the outlet of the duct unit 115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grill 105.

흡입그릴(104)은 팬모듈(111)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내솥(10)에 있는 공기가 팬모듈(111)로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덕트부(115)를 통해 토출그릴(105)로 이동되는 공기는 안내그릴을 통과하며 내솥 측면(16)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솥(10)과 열교환을 하며 온도가 상승한다.The suction grill 104 is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fan module 111 and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 the inner pot 10 moves to the fan module 111 . Therefore, the air moving to the discharge grill 105 through the duct unit 115 passes through the guide grill and moves in a direction toward the side surface 16 of the inner pot, exchanging heat with the inner pot 10 and increasing the temperature.

토출그릴(105)은 덕트부(115)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덕트부(115)에서 상기 내솥(10)을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한다. 토출그릴(105)은 공기가 토출되는 구멍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안내그릴이 설치된다.The discharge grill 105 is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duct part 115, and guides the moveme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duct part 115 toward the inner pot 10. The discharge grill 10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grills crossing holes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커버부(100)에서 흡입그릴(104)은 토출그릴(105)의 반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내솥(10)을 열풍으로 가열하는 공기의 흐름은, 흡입그릴(104)을 통해 열풍공급부(110)를 통과한 후 토출그릴(105)을 통해 내솥(10)의 내측으로 다시 공급되는 열대류 흐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the cover part 100, the suction grill 104 is install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discharge grill 105. Therefore, the flow of air that heats the inner pot 10 with hot air passes through the hot ai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suction grill 104 and then the heat flow that is supplied back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0 through the discharge grill 105. Flow can be easily formed.

또한 흡입그릴(104)은 내솥(10)이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되므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이 흡입그릴(104)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10)이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만 기울어지는 경우, 흡입그릴(104)은 후방을 향한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내솥(10)의 내용물이 흡입그릴(104)로 유입됨을 차단한다.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grill 104 is install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pot 10 is incl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suction grill 104 . For example, when the inner pot 10 is tilted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uction grill 104 is installed in the rearward direction, so the contents of the inner pot 10 tilted forward are transferred to the suction grill 104. block inflow.

열풍공급부(110)는 커버부(100)의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열풍공급부(110)는, 내솥(10)의 상측에 위치하며, 내솥(10)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솥(10)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킨다. 열풍공급부(110)는 열풍으로 음식물(120)을 조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110)는 팬모듈(111)과 덕트부(115)를 포함한다.The hot air supply unit 110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unit 100. In addition, the hot air supply unit 11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sucks air in the inner pot 10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0. The hot air supply unit 11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cooking food 120 with hot air. The hot air supply unit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n module 111 and a duct unit 115.

팬모듈(111)은 내솥(10)의 상측에 위치하며, 팬을 회전시켜 내솥(10)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한다. 팬모듈(111)의 내측에는 모터와 회전되는 팬이 구비되며, 팬의 회전으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진다.The fan module 111 is located above the inner pot 10 and sucks air inside the inner pot 10 by rotating the fan. A motor and a rotating fan are provided inside the fan module 111, and air is moved by rotation of the fan.

팬모듈(111)은 커버부(100)의 흡입그릴(104) 상측에 설치되며, 흡입그릴(104)을 통해 내솥(10)의 공기를 흡입한다.The fan module 111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grill 104 of the cover part 100 and sucks air from the inner pot 10 through the suction grill 104 .

덕트부(115)는 팬모듈(111)에 연결되며, 팬모듈(11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내솥(1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덕트부(115)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 형상이며, 덕트부(115)의 일측은 팬모듈(111)에 연결되며 덕트부(115)의 타측은 커버부(100)의 토출그릴(105)에 연결된다.The duct unit 115 is connected to the fan module 111,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forming an air flow path for guiding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111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0. The duct part 115 is shaped like a condui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air. One side of the duct part 115 is connected to the fan module 111 and the other side of the duct part 115 is the discharge grill 105 of the cover part 100. ) is connected to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시켜 내솥(10)의 음식물(120)을 가열하는 복사열로 음식물(120)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열풍공급부(110)에서 나오는 공기가 가열된 내솥(10)에 접하며 온도가 상승된 후 음식물(120)을 가열하여 대류열로 음식물(120)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ing unit 40 heats the inner pot 10 to cook the food 120 with radiant heat that heats the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and the air coming out of the hot air supply unit 110 is heated in the inner pot ( 10) and after the temperature rises, the food 120 is heated so that the food 120 can be cooked with convective heat.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음식물(120)의 가열을 위하여 유도가열과 열풍을 이용하여 다양한 온도로 음식물(120)의 가열이 가능하다. 내솥(10)의 상부에 위치한 열풍공급부(110)의 작동에 의해 음식물(120)의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음식물(120)의 외부를 바삭하게 만들어 에어 프라이어와 같은 조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eat the food 120 to various temperatures by using induction heating and hot air to heat the food 120 . The operation of the hot air supply unit 110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pot 10 removes unnecessary moisture from the food 120 and at the same time makes the outside of the food 120 crispy to implement a cooking function like an air fryer.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솥(30)의 내측에 내솥(10)이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솥(30)에서 내솥(10)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와 피측정부재(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와 피측정부재(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10 is positioned inside the outer pot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pot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10 is separated,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nsor unit 300 and the measuring target member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nsor unit 300 and the measurement target member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부재(200)는 내솥(1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내솥(10)과 함께 회전하며, 센서부(300)에 의해 측정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3 to 16,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inner pot 10, an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measuring by the sensor unit 300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측정부재(200)는, 외솥(30)의 외측면에 스티커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피측정부재(200)가 스티커로 이루어지며, 외솥(3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스티커 방식으로 설치되는 피측정부재(200)는 센서부(300)에 의해 측정되기 위해 흰색 또는 검정색의 색상으로 이루어진다. 피측정부재(200)의 색상을 흰색이나 검정색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센서부(300)에 의해 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색상과 재질로 이루어진 스티커가 피측정부재(200)로 사용될 수 있다.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in a sticker manner.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is made of a sticker and may b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installed in the sticker method is made of white or black color in order to b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300 . The color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is not limited to white or black, and stickers made of various colors and materials are used as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within the technical idea for easy measurement by the sensor unit 300. can be used

또한 피측정부재(200)는 외솥(30)의 외측면에 인쇄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도 있다. 외솥(30)의 외측면에 레이저를 이용해 피측정부재(200)를 인쇄할 수 있다. 외솥(30)의 외측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센서부(300)에 의해 측정이 이루어지는 피측정부재(200)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in such a way that printing is performed.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may be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using a laser.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may be irradiated with laser to form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measured by the sensor unit 300 .

또한 피측정부재(200)는 외솥(30)의 외측면을 가공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외솥(30)의 외측면을 공구를 이용해 파내는 방법으로 피측정부재(2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외솥(30)의 외측면에 별도의 구성을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해서 피측정부재(200)를 설치할 수도 있다.Also,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may be installed by proc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may be formed by dig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using a tool. Alternatively,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may be installed using a method of attaching a separate compon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피측정부재(200)는 리프터(20)의 위치를 찾기 위해 포토센서를 사용하는 센서부(300)에 의해 감지되는 측정대상이다.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is a measurement target sensed by the sensor unit 300 using a photosensor to find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

센서부(300)는 외솥(30)의 내측에 설치되며, 피측정부재(200)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는, 내솥(10)을 향하여 광선을 조사하는 포토센서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300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pot 3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ember 200 to be measured. The sensor unit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sensor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inner pot 10 .

포토센서를 사용하는 센서부(300)는 피측정부재(200)의 이동경로와 마주하는 외솥(30)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광학식 포토센서를 사용하는 센서부(300)가 피측정부재(200)를 감지하므로, 피측정부재(200)의 위치를 통해 리프터(20)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300 using a photosensor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facing the moving path of the member 200 to be measured. Since the sensor unit 300 using an optical photosensor senses the member 200 to be measured,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member 200 to be measured.

광학식 포토 센서를 사용하는 센서부(300)는, 리프터(20)의 위치를 찾기 위한 반사형 구조의 센서이다. 센서부(300)의 발광부에서 나온 적외선이 내솥(10)의 외측면 또는 피측정부재(200)에 반사된 후 센서부(300)의 수광부로 들어온다. 적외선이 반사되는 표면의 재질과 색상 등에 따라 센서부(300)로 수광되는 적외선 양이 달라진다.The sensor unit 300 using an optical photo sensor is a reflective sensor for finding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sensor unit 300 are reflec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or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and then enter the light receiving unit of the sensor unit 300 .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received by the sensor unit 300 varies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color of the surface on which the infrared rays are reflected.

광학식 포토 센서를 사용하는 센서부(300)에 의해 인식되는 대상은 내솥(10)과 피측정부재(200)이다. 센서부(300)는 외솥(30)과 내솥(10) 사이에 위치하며 비접촉 방식으로 피측정부재(200)의 위치를 측정한다.Objects recognized by the sensor unit 300 using an optical photo sensor are the inner pot 10 and the member 200 to be measured. The sensor unit 300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pot 30 and the inner pot 10 and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in a non-contact manner.

제어부(400)는 센서부(300)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베이스부(70)에 내측에 설치된다.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30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90. The control unit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base unit 70.

제어부(400)는, 리프터(20)가 설정 위치인 초기위치(P)에서 모션을 시작하도록 제1구동부(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내솥(10)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리프터(20)와 피측정부재(200) 사이의 각도를 설정각도(A)로 설정한다.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so that the lifter 20 starts motion at the initial position P, which is the set position. The controller 400 sets the angle between the lifter 20 and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as the set angle A based on the central point C of the inner pot 10 .

제어부(400)는 센서부(300)가 외솥(30)에 설치된 고정위치(F)와, 피측정부재(200)가 측정된 위치를 참조하여 내솥(10)을 회전시켜 리프터(20)가 중심점(C)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제1구동부(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설정각도(A)와 센서부(300)의 고정위치(F)를 바탕으로 리프터(20)의 모션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400 rotates the inner pot 10 by referring to the fixed position F where the sensor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outer pot 30 and the position where the member 200 is measured, so that the lifter 20 is at the center poin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 unit 60 to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C).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motion of the lifter 20 based on the set angle (A) and the fixed position (F) of the sensor unit 30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센서부(30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1구동부(60)를 동작시켜 리프터(20)를 초기위치(P)로 이동시킨 후 음식물(120)의 조리 모션을 시작한다. 리프터(20)가 내솥(10)의 중심점(C)을 중심으로 중심점(C)의 하측에 위치함을 초기위치(P)로 설정하는 이유는, 음식물(120)이 자중에 의해 내솥(10)의 하측에 모이는 이유 때문이다.The control unit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first driving unit 60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or unit 300 to move the lifter 20 to the initial position P, and then eats food. The cooking motion of (120) starts. The reason why the lifter 20 is located below the center point C of the inner pot 10 as the initial position P is that the food 120 is lifted from the inner pot 10 by its own weight. This is because of the reason why they gather on the lower side of

제어부(400)는 내솥(1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솥(10)의 입구부(52) 아래에 리프터(20)가 위치한 상태를 리프터(20)의 초기위치(P)로 설정한다. 리프터(20)의 초기위치(P)가 설정되므로, 제어부(400)는 조리모션 시작 전에 초기위치(P)에 있지 않는 리프터(20)를 초기위치(P)로 이동시킨다.The control unit 400 sets a state in which the lifter 20 is located under the inlet 52 of the inner pot 10 in a state where the inner pot 10 is tilted as the initial position P of the lifter 20 . Since the initial position P of the lifter 20 is set, the control unit 400 moves the lifter 20, which is not in the initial position P, to the initial position P before the start of the cooking motion.

내솥(10)의 개구된 입구에 있는 공간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중심점(C)을 지나는 수직선을 설정하고, 중심점(C)의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선이 내솥(10)과 접하는 점을 리프터(20)의 초기위치(P)로 설정한다. 내솥(10)의 내측면에 있는 리프터(20)의 위치는 각도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위치(P)에 있는 리프터(20)는 0°의 위치에 있다고 설정하며, 내솥(10)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내솥(10)의 내측면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며 리프터(20)가 위치하는 각도가 증가한다.Based on the center point (C) of the space at the opening of the inner pot (10), set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C), and the point where the vertical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point (C) touches the inner pot (10) is the lifter. Set to the initial position (P) of (20).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can be displayed in units of angles. For example, the lifter 20 at the initial position (P) is set to be at a position of 0 °, moves clockwis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based on the center point (C) of the inner pot 10, The angle at which the lifter 20 is positioned increases.

볶음 요리시 리프터(20)는 0°의 위치로 이동된 후 조리가 시작된다. 또한 리프터(20)가 이동되는 동작 범위는 0°에서 90° 사이의 위치 및 270°에서 360°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During stir-frying, the lifter 20 is moved to the 0° position and then cooking begins. In addition, the motion range in which the lifter 20 is moved may be set to a position between 0° and 90° and between 270° and 360°.

리프터(20)의 위치가 0°에서 90°가 되면 리프터(20)와 함께 이동하는 음식물(120)이 리프터(20)에서 떨어져서 내솥(10)의 내측면에 낙하된다. 그리고 리프터(20)의 위치가 270°에서 360°가 되면 리프터(20)와 함께 이동하는 음식물(120)이 리프터(20)에서 떨어져서 내솥(10)의 내측면에 낙하된다.When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changes from 0° to 90°, the food 120 moving together with the lifter 20 is separated from the lifter 20 and falls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 Also, when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changes from 270° to 360°, the food 120 moving along with the lifter 20 is separated from the lifter 20 and falls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

제어부(400)는, 리프터(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교대로 하며 음식물(120)을 교반시킨다. 내솥(10)과 함께 리프터(20)가 시계 방향 회전과 반시계 방향 회전을 교대로 하므로 리프터(20)에 밀려 상승된 음식물(120)이 내솥(10)의 내측으로 낙하되어 음식물(120)의 혼합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ler 400 stirs the food 120 while alternately rotating the lifter 20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Since the lifter 20 rotate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lternately together with the inner pot 10, the food 120 pushed up by the lifter 20 falls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0 and moves the food 120 upward. Mixing can be done more quickly and easil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part 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forward, and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case part 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lted forward.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ward inclined state of the inner pot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제2구동부(90)를 동작시켜 전방(도 5기준 좌측)을 향하여 내솥(10)을 기울인다. 내솥(10)은 경사지게 설치되며, 내솥(10)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120)도 내솥(10)의 아래에 모인다.As shown in FIGS. 4 to 6 , the controller 400 operates the second drive unit 90 to tilt the inner pot 10 toward the front (left side of FIG. 5 ). The inner pot 10 is installed inclined, and the food 120 inside the inner pot 10 also gathers under the inner pot 10 .

사용자에 의해 조리 모션 입력 신호가 조작부를 통해 제어부(400)로 입력되면, 제어부(400)는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제1구동부(60)를 동작시켜 내솥(10)을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센서부(300)는 포토센서를 이용해 피측정부재(200)를 센싱하여 제어부(40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When a cooking motion input signal is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400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400 rotates the inner pot 10 at a low speed by operating the first driving unit 60 using a stepper motor. The sensor unit 300 senses the measured member 200 using a photosensor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0 .

제어부(400)는 피측정부재(200)의 위치를 참고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20)가 초기위치(P)로 이동되도록 제1구동부(6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 unit 60 so that the lifter 20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P as shown in FIG. 13 with reference to the position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

또는 조리를 위해 제1구동부(60)가 동작되기 전에 리프터(20)의 초기위치(P)를 잡기 위해 내솥(10)을 천천히 회전 시킨다. 내솥(10)이 회전되는 중간에 센서부(300)에 의해 피측정부재(200)가 측정되면, 제1구동부(60)의 동작을 정지시키므로 리프터(20)는 초기위치(P)에 정지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ner pot 10 is slowly rotated to set the initial position P of the lifter 20 before the first driving unit 60 is operated for cooking. When the measuring target member 200 i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300 while the inner pot 10 is rotat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is stopped, so the lifter 20 is stopped at the initial position P. can

본 발명의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는, 국류, 탕류 끓이기를 제외한 볶기, 굽기 등 조리 과정에서 내솥(10)을 기울여 조리하기 때문에 리프터(20)의 시작점인 초기위치(P)가 중요하다.In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oking is performed by tilting the inner pot 10 during cooking processes such as stir-frying and baking, excluding boiling soup and soup, the initial position P,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lifter 20, is important. .

내솥(10)을 기울인 상태에서 리프터(20)의 초기위치(P)는 내솥(10)의 기울어진 면의 중심이고, 초기위치(P)를 기점으로 리프터(20)를 좌우로 흔들거나 내용물을 회전시켜 굴리는 모션이 진행된다. 리프터(20)의 초기위치(P)가 지정되지 않으면 리프터(20)가 정확히 내용물을 흔들어주거나 굴리는 모션을 하기 어렵다.In a state where the inner pot 10 is tilted, the initial position (P) of the lifter 20 is the center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ner pot 10, and the lifter 20 is shaken from side to side or the contents are re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P). The rotation and rolling motion proceeds. If the initial position P of the lifter 20 is not designated, it is difficult for the lifter 20 to accurately shake or roll the contents.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의 전원 인가 시, 조리 모션 완료 시 리프터(20)의 위치를 시작점인 초기위치(P)로 초기화하며, 조리 모션은 초기위치(P)를 기준으로 조리를 위한 모션을 구현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1 and the cooking motion is completed,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is initialized to the initial position (P), which is the starting point, and the cooking motion is a motion for cooking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P). implement

제1구동부(60)의 모터는 스텝모터를 사용하므로, 제어부(400)는 리프터(20)가 회전하는 각도를 계산하여 제1구동부(60)를 동작시키므로 리프터(20)의 모션 구현이 이루어진다.Since the motor of the first drive unit 60 uses a stepper motor, the control unit 400 operates the first drive unit 60 by calculating an angle at which the lifter 20 rotates, so that the motion of the lifter 20 is implemented.

제어부(400)에는 센서부(300)가 외솥(30)에 설치된 위치와, 피측정부재(200)가 내솥(10)에 설치된 위치 및 피측정부재(200)와 리프터(20) 사이의 설정각도(A)가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피측정부재(20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서 리프터(20)의 현재 위치를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In the controller 400, the position where the sensor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outer pot 30, the position where the member 200 to be measured is installed in the inner pot 10, and the set angle between the member 200 and the lifter 20 (A) is entered. Therefore, the control unit 400 can easil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ifter 20 by receiv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리프터(20)의 위치를 보정하여 리프터(20)가 음식물(120)과 함께 내솥(10)의 하부에 위치한다.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forward. As shown in FIGS. 6 and 7 , in a state where the inner pot 10 is tilted,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is corrected so that the lifter 20 is positioned under the inner pot 10 together with the food 120 .

볶음 조리를 위해 음식물(120)을 휘젓는 모션을 구현할 경우, 제어부(400)는 제1구동부(60)로 사용되는 스텝모터의 동작 각도를 계산하여 리프터(20)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motion of stirring the food 120 for stir-frying is implemented, the control unit 400 can adjust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of the lifter 20 by calculating the operating angle of the stepper motor used as the first drive unit 60. have.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0)과 리프터(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음식물(120)을 내솥(10)의 상측으로 밀어올린다.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er 20 rotates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 the inner pot 10 and the lifter 20 rotate counterclockwise to push the food 120 upward of the inner pot 10 .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음식물(120)이 내솥(10)의 하부로 낙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2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정지되면서 음식물(120)은 리프터(20)에서 내솥(10)의 내측으로 낙하된다.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ood 120 is dropp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10 by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lifter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 while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lifter 20 is stopped, the food 120 is dropped from the lifter 20 into the inner pot 10 .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20)가 음식물(120)을 밀어내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20)가 음식물(120)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20)와 내솥(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음식물(120)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올린다.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er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clockwise while pushing food 120, and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lif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ood 120 rotates clockwise.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lifter 20 and the inner pot 10 rotate clockwise to push the food 120 clockwise.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터(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음식물(120)이 내솥(10)의 하부로 낙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20)의 시계방향 회전이 정지되면서 음식물(120)은 리프터(20)에서 내솥(10)의 내측으로 낙하된다.FIG.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ood 120 is dropp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10 by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lifter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 while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lifter 20 is stopped, the food 120 falls from the lifter 20 into the inner pot 10 .

음식물(120)이 리프터(20)를 따라 상승된 후 낙하되는 과정에서 음식물(120)의 혼합이 이루어진다. 센서부(300)가 피측정부재(200)의 위치를 측정하여 제어부(40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동작에 의해 리프터(20)의 위치 감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Mixing of the food 120 is performed while the food 120 rises along the lifter 20 and then falls.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is continuously sensed by an operation in which the sensor unit 300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0 .

상기와 같이 리프터(20)의 초기위치(P)로 이동하는 동작과, 리프터(20)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조리되는 음식물(120)의 혼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요리사의 신체에 무리가 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of the lifter 20 to the initial position (P) and the mixing of the cooked food 120 are automatically performed by adjust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lifter 20, which is unreasonable to the body of the cook. The phenomenon of going can be prevented.

또한 센서부(300)가 피측정부재(20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리프터(20)의 모션을 제어할 수 있으며, 리프터(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웍질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되는 음식물(120)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많은 양의 요리를 동시에 혼합하며 볶움 요리를 할 수 있으므로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300 can control the motion of the lifter 20 by continuously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200, and wok-jil can be automatically realized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lifter 20.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te of the cooked food 120 can be kept constant and labor cos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if the number of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s 1 is increased, a large amount of food can be simultaneously mixed and stir-fried, so time required for cooking can be sav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10)와 피측정부재(210)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ensor unit 310 and the member to be measured 2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lem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ferred to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10)와 피측정부재(21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10)와 피측정부재(2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unit 310 and a member to be measured 2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nsor unit 310 and the measurement targ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ember 210.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0)의 외측에는 자기식 홀센서를 이용하여 리프터(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센서부(310)와 피측정부재(210)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17 and 18, a sensor unit 310 and a member to be measured 210 are installed outside the inner pot 10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using a magnetic Hall sensor. .

피측정부재(210)는 외솥(3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측정자석을 포함한다. 측정자석은 영구자석으로 리프터(20)의 위치를 찾기 위한 부재이다. 자력을 구비한 피측정부재(210)는 내솥(10)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홀센서를 사용하는 센서부(310)에 의해 측정된다.The member to be measured 210 includes a measurement magnet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 The measurement magnet is a permanent magnet and is a member for finding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 The member to be measured 210 having a magnetic force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and i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310 using a hall sensor.

센서부(310)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한다. 자기식 홀센서는 자력이 있는 물체 감지용으로 사용되며, 내솥(10) 재질과 내솥(10)에 부착된 자석인 피측정부재(210)를 구분하여 감지한다. The sensor unit 310 includes a Hall sensor that detects a magnetic field. The magnetic hall sensor is used for detecting objects with magnetic force, and detects the material of the inner pot 10 and the member to be measured 210, which is a magnet attached to the inner pot 10, separately.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10)는 홀센서를 사용하며, 피측정부재(210)는 측정자석을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조리 모션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제어부(400)로 입력되면, 홀센서를 사용하는 센서부(310)가 센싱을 시작한다.The sensor unit 3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Hall sensor, and the measuring target member 210 uses a measuring magnet. Accordingly, when an input signal for executing a cooking motion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400 by a user, the sensor unit 310 using a hall sensor starts sensing.

그리고 스텝 모터를 사용하는 제1구동부(60)가 동작되어 내솥(10)을 느리게 회전시킨다. 홀센서를 사용하는 센서부(310)가 내솥(10)과 함께 회전하는 피측정부재(210)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Then, the first driving unit 60 using a step motor is operated to slowly rotate the inner pot 10 . The sensor unit 310 using a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ield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210 rotating together with the inner pot 10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0 .

제어부(400)는 제1구동부(60)의 동작을 제어하여 리프터(20)를 초기위치(P)로 이동시킨 후 조리 모션을 시작한다.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to move the lifter 20 to the initial position P, and then starts the cooking mo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1)는, 음식물(120)을 이동시키는 리프터(20)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리프터(20)를 초기위치(P)로 이동시킨 후 조리 모션을 시작하면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quickly grasps the position of the lifter 20 for moving food 120, moves the lifter 20 to the initial position P, and then cooks. If you start the motion, you can save the time required for cooking.

그리고 리프터(20)의 위치 감지 기술을 바탕으로 끓이기, 굽기, 뒤집기 등과 같은 다양한 조리 모션이 가능하며, 복잡한 조리도 가능하다.In addition, based on the position detection technology of the lifter 20, various cooking motions such as boiling, baking, and flipping are possible, and complex cooking is also possi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10: 내솥 13: 하측면 14: 중앙돌기 15: 결합홈부 16: 내솥 측면
20: 리프터
30: 외솥
40: 가열부 41: 코일 45: 장착브라켓
50: 케이스부 51: 몸체케이스 52: 입구부 53: 하부케이스 54: 외측기어
60: 제1구동부 61: 제1구동몸체 62: 제1구동축 63: 커넥터
70: 베이스부 71: 베이스커버 75: 베이스몸체
90: 제2구동부 91: 제2구동몸체 92: 제2출력축 93: 회전기어
100: 커버부 104: 흡입그릴 105: 토출그릴
110: 열풍공급부 111: 팬모듈 115: 덕트부
120: 음식물
D1: 제1회전방향
D2: 제2회전방향
200: 피측정부재 210: 피측정부재
300: 센서부 310: 센서부
400: 제어부
C: 중심점 A: 설정각도 F: 고정위치 P: 초기위치
1: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device
Reference Numerals 10: Inner pot 13: Lower side 14: Central protrusion 15: Coupling groove 16: Inner pot side
20: lifter
30: outer pot
40: heating unit 41: coil 45: mounting bracket
50: case part 51: body case 52: inlet part 53: lower case 54: external gear
60: first driving unit 61: first driving body 62: first driving shaft 63: connector
70: base part 71: base cover 75: base body
90: second driving unit 91: second driving body 92: second output shaft 93: rotation gear
100: cover part 104: suction grill 105: discharge grill
110: hot air supply unit 111: fan module 115: duct unit
120: food
D1: 1st rotation direction
D2: 2nd rotation direction
200: member to be measured 210: member to be measured
300: sensor unit 310: sensor unit
400: control unit
C: center point A: set angle F: fixed position P: initial position

Claims (20)

내측에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솥;
상기 내솥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솥에 담겨진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리프터;
상기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솥;
상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내솥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피측정부재;
상기 외솥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측정부재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1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n inner pot in which food is contained;
a lifter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ner pot and protrudes into the inner pot to move food contained in the inner pot;
an outer pot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pot;
a first driving unit that passes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pot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pot and rotates the inner pot by generating rotational power;
a member to be measured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a sensor unit installed inside the outer pot and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and
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터가 설정 위치에서 모션을 시작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so that the lifter starts a motion at a se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내솥을 향하여 광선을 조사하는 포토센서를 포함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lifter motion control type cooking device including a photosensor for radiating light toward the inner po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부재는 상기 외솥의 외측면에 스티커 방식으로 장착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wherein the member to be measured is mounted in a sticker mann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부재는 상기 외솥의 외측면을 가공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member to be measured is 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installed in a manner of processing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부재는 상기 외솥의 외측면에 인쇄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lifter motion control type cooking device wherein the member to be measured is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솥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리프터와 상기 피측정부재 사이의 각도를 설정각도로 설정하며, 상기 설정각도와 상기 센서부의 고정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리프터의 모션을 제어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sets an angle between the lifter and the member to be measured based on the central point of the inner pot as a set angle, and controls the motion of the lifter based on the set angle and the fixed position of the sensor unit. cook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 Hall sensor for detecting a magnetic fiel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부재는 상기 외솥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측정자석을 포함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member to be measured includes a measuring magnet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제1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리프터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킨 후 음식물의 조리 모션을 시작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irst driving unit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or unit to move the lifter to an initial position and then starts a cooking motion of fo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솥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내솥의 입구부 아래에 상기 리프터가 위치한 상태를 상기 리프터의 초기위치로 설정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sets a state in which the lifter is located under the inlet of the inner pot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is tilted as an initial position of the lift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터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교대로 하며 상기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stirs the food by alternately rotating the lifter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내솥;
상기 내솥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솥에 담겨진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리프터;
상기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솥;
상기 외솥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부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베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스부를 눕히거나 세우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부;
상기 내솥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피측정부재;
상기 외솥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측정부재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n inner pot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food is contained;
a lifter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ner pot and protrudes into the inner pot to move food contained in the inner pot;
an outer pot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pot;
a case portion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outer pot and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 base part located below the case part and guiding a tilting operation of the case part;
a first driving unit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unit, passing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pot and connected to the inner pot, and rotating the inner pot by generating rotational power;
a second drive unit installed inside the base unit and generating rotational power to supply power for laying down or erecting the case unit;
a member to be measured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a sensor unit installed inside the outer pot and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ember to be measured; and
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상기 내솥을 가열시키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3,
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uni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and receiving electric energy to heat the inner po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내솥을 향하여 광선을 조사하는 포토센서를 포함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sensor unit lifter motion control type cooking device including a photosensor for radiating light toward the inner po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부재는 상기 외솥의 외측면에 스티커 방식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외솥의 외측면을 가공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member to be measured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in a sticker manner or installed in a manner of proc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device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 Hall sensor for detecting a magnetic fiel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부재는 상기 외솥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측정자석을 포함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7,
The member to be measured includes a measuring magnet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상기 내솥을 가열시키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외솥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3,
A heating uni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and receiving electric energy to heat the inner pot; further comprising:
The heating unit includes a coil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and uses an induced current generated by a magnetic field as a heat sour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외솥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몸체;
상기 제1구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외솥을 관통하는 상기 제1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내솥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리프터 모션 제어형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body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ot and generating rotational power;
a first drive shaft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drive body and rotates; and
A lifter motion-controlle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nector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outer pot and inserted into and caught in a fasten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KR1020220004496A 2021-05-11 2022-01-12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device KR2022015347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1026 2021-05-11
KR1020210060986 2021-05-11
KR1020210061015 2021-05-11
KR1020210060985 2021-05-11
KR20210060986 2021-05-11
KR1020210061026 2021-05-11
KR20210060985 2021-05-11
KR20210061015 2021-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73A true KR20220153473A (en) 2022-11-18

Family

ID=84234535

Famil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46A KR20220153460A (en) 2021-05-11 2021-12-15 Control device of automatic cooking appliance
KR1020210180147A KR20220153461A (en) 2021-05-11 2021-12-15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automatic cooking appliance
KR1020210184222A KR20220153462A (en) 2021-05-11 2021-12-21 Recipe platform interworking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184223A KR20220153463A (en) 2021-05-11 2021-12-21 Cooking appliance interworking recipe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188326A KR20220153465A (en) 2021-05-11 2021-12-27 Cooking apparatus
KR1020210188325A KR20220153464A (en) 2021-05-11 2021-12-27 Cooking apparatus
KR1020210189465A KR20220153466A (en) 2021-05-11 2021-12-28 Cooking apparatus
KR1020220000939A KR20220153471A (en) 2021-05-11 2022-01-04 Cooking apparatus having a lifter
KR1020220004497A KR20220153474A (en) 2021-05-11 2022-01-12 Cooking apparatus
KR1020220004496A KR20220153473A (en) 2021-05-11 2022-01-12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device
KR1020220010352A KR20220153475A (en) 2021-05-11 2022-01-25 Cooking apparatus
KR1020220016342A KR20220153478A (en) 2021-05-11 2022-02-08 Cooking apparatus
KR1020220017885A KR20220153479A (en) 2021-05-11 2022-02-11 Cook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46A KR20220153460A (en) 2021-05-11 2021-12-15 Control device of automatic cooking appliance
KR1020210180147A KR20220153461A (en) 2021-05-11 2021-12-15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automatic cooking appliance
KR1020210184222A KR20220153462A (en) 2021-05-11 2021-12-21 Recipe platform interworking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184223A KR20220153463A (en) 2021-05-11 2021-12-21 Cooking appliance interworking recipe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188326A KR20220153465A (en) 2021-05-11 2021-12-27 Cooking apparatus
KR1020210188325A KR20220153464A (en) 2021-05-11 2021-12-27 Cooking apparatus
KR1020210189465A KR20220153466A (en) 2021-05-11 2021-12-28 Cooking apparatus
KR1020220000939A KR20220153471A (en) 2021-05-11 2022-01-04 Cooking apparatus having a lifter
KR1020220004497A KR20220153474A (en) 2021-05-11 2022-01-12 Cook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352A KR20220153475A (en) 2021-05-11 2022-01-25 Cooking apparatus
KR1020220016342A KR20220153478A (en) 2021-05-11 2022-02-08 Cooking apparatus
KR1020220017885A KR20220153479A (en) 2021-05-11 2022-02-11 Coo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3) KR20220153460A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519A (en) 2003-03-10 2004-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Rotary typ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apparatus
JP6042190B2 (en) 2012-11-30 2016-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60A (en) 2022-11-18
KR20220153463A (en) 2022-11-18
KR20220153464A (en) 2022-11-18
KR20220153465A (en) 2022-11-18
KR20220153479A (en) 2022-11-18
KR20220153475A (en) 2022-11-18
KR20220153478A (en) 2022-11-18
KR20220153471A (en) 2022-11-18
KR20220153474A (en) 2022-11-18
KR20220153466A (en) 2022-11-18
KR20220153462A (en) 2022-11-18
KR20220153461A (en)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216E1 (en) Automatic cooker
KR950004806B1 (en) Cooker
KR102426634B1 (en) Cooking method for a cooking appliance with a motion-inducing means and corresponding cooking appliance
EP3930547A2 (en)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04582549B (en) Utensil for preparing food
AU2011278149B2 (en) Cooking appliance having two areas
US20050229789A1 (en) Cooking device and procedure
CN207666471U (en) A kind of grill with food weight and thickness identification function
WO2017157340A1 (en) Cooking and/or mixing device
KR102231776B1 (en) Cooking device
US20150366393A1 (en) Cooking Appliance
JP5758368B2 (en) Heating cooker, cooking utensil, and heating cooking system
US201601007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rispy rice
KR20220153473A (en)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device
EP2716186A1 (en) Apparatus with mixing bowl, base, and magnetic means
CN209983985U (en) Automatic system of cooking and use intelligent pot and induction cooker of this system
JP2012040404A (en) Cooker
JP2015172485A (en) heating cooker
CN213129081U (en) Cooking machine
KR101664341B1 (en) Electronic Induction Heating Fryer
CN216932709U (en) Automatic cooking machine capable of turning in two directions
CN108742118A (en) The automatic dish cooking machine of intelligent temperature control
JPH10201615A (en) Electric cooker
JP2016197609A (en) Heating cooker and cooking equipment
JPH08124663A (en) Rotary cooking utens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