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465A - Coo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o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465A
KR20220153465A KR1020210188326A KR20210188326A KR20220153465A KR 20220153465 A KR20220153465 A KR 20220153465A KR 1020210188326 A KR1020210188326 A KR 1020210188326A KR 20210188326 A KR20210188326 A KR 20210188326A KR 20220153465 A KR20220153465 A KR 20220153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ner pot
case
pot
cook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득원
김대웅
최동준
조연아
김현기
오민규
황성걸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4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cooking device comprises: an inner pot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food is contained; an outer pot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pot; a heating uni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and heated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a case unit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outer pot and the heating unit and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 first driving unit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unit, connected to the inner pot through the bottom of the outer pot, and rotating the inner pot by generating rotational power; a base unit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case unit and guid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case unit; and a second driv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ase unit and generating rotational power to move the case unit. The tilt of a po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 cooking process of food.

Description

조리장치{COOKING APPARATUS}Cooking device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솥과 팬의 기능을 구비하며 다양한 조리 모드의 구현이 가능한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having functions of a pot and a pan and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cooking modes.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장치는, 음식물을 담는 솥을 구비한다. 솥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솥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면서 조리가 이루어진다.In general,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oking food includes a pot for holding the food. Since the pot is heated by a heating device, food inside the pot is heated by a heat source while cooking.

그리고 솥은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을 하므로, 솥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도 회전되며 가열이 이루어진다.And since the pot is installed in an inclined state and is rotated by a separate driving device, the food inside the pot is also rotated and heated.

종래에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솥이 수직 가상선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며, 솥의 기울기 각도는 변경이 불가하다. 따라서 종래의 조리장치는 회전과 가열 기능만 구현되므로 프라이팬 요리와 볶음 요리와 국물 요리 등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Conventionally, a pot for cooking food is installed in an inclined state based on a vertical imaginary line, and the tilt angle of the pot cannot be changed. Therefore, since the conventional cooking apparatus implements only rotation and heating functions,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frying pan cooking, stir-fried cooking, and soup cooking.

또한 단일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므로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In addition, since the food is heated using a single heat source, the time required for cooking the food increa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67519호(2004.09.30 공개, 발명의 명칭: 회전식 전자 유도 가열장치)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4-267519 (published on September 30, 2004, title of the invention: rotary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 따라 솥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a pot according to the cooking process of foo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열원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device capable of cooking food using a plurality of heat source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device capable of cooking food in various cooking mode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제2구동부의 동작으로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 따라 솥의 기울기를 조정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of the po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구체적으로는, 제2구동부의 회전동력이 케이스부의 하측에 구비된 외측기어로 전달되어 케이스부를 회전시키므로, 음식물을 담는 내솥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rotational power of the second driving unit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gea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unit to rotate the case unit,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pot containing food may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은, 인덕션 가열 방식과 대류열 가열 방식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od is cooked by an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a convection heating method.

구체적으로는, 가열부가 내솥을 가열시켜 내솥의 음식물을 가열하는 인덕션 가열 방식으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열풍공급부에서 나오는 공기가 가열된 내솥에 접하며 온도가 상승된 후 음식물을 가열하여 대류열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ood is cooked in an induction heating method in which the heating unit heats the inner pot to heat food in the inner pot, and the air coming out of the hot air supply un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eated inner pot and raises the temperature, then heats the food and converts it into convection heat. Food may be cooked.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lso,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ok food in various cooking modes.

구체적으로는, 제1구동부가 동작되어 내솥을 회전시키는 모드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제2구동부의 동작으로 내솥을 기울이거나 웍(Wok)을 이용한 요리와 같은 모션을 구현하여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Specifically, food is cooked in a mode in which the first drive unit operates to rotate the inner pot, and motions such as tilting the inner pot or cooking using a wok are implemented in various cooking modes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e unit. Food can be cook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내솥과,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솥과,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가열되는 가열부와, 외솥과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와, 케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케이스부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pot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food is contained, an outer pot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pot, and a heating uni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and heated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A case part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outer pot and the heating part and having an upper opening, a first driving part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part and connected to the inner pot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ot and generating rotational power to rotate the inner pot; It includes a base part located below the part and guid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case part, and a second driv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base part and generating rotational power to move the case part.

또한 본 발명은, 내솥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솥에 담겨진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리프터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fter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ner pot and protrudes into the inner pot to move food contained in the inner pot.

또한 케이스부는,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몸체케이스와, 몸체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며 베이스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하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제2구동부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 외측기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ase unit includes a body case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heating unit, a hemispherical lower cas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case and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base unit, and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provided in the second driving unit. It includes an external gear having teeth meshing with the ge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과, 내솥이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솥과,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외솥과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와, 케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베이스부와, 케이스부의 개구된 입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한다.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pot having an open top, an outer pot in which the inner pot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and a heating uni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and receiving electric energy to heat the inner pot. And, a case part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outer pot and the heating part and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nd a first driving part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part and connected to the inner pot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ot and generating rotational power to rotate the inner pot. , The base par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part and guiding the tilting motion of the case part, the cover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inlet part of the case part, and the cover part are installed inside the cover part to suck in the air in the inner pot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It includes a hot air supply unit.

또한 열풍공급부는,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팬을 회전시켜 상기 내솥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듈 및 팬모듈에 연결되며 팬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커버부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t air supply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unit and forms a fan module that sucks air inside the inner pot by rotating a fan and an air flow path that is connected to the fan module and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unit. It includes a duct part that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제2구동부의 동작으로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 따라 솥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1개의 조리장치에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여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po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it is possible to cook various types of food in one cooking apparatus, thereby saving time required for cooking. It can als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또한 본 발명은, 유도 가열 방식과 대류열 가열 방식을 모두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열원을 구비한 조리장치를 개별적으로 구입하는 것 대비 기기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ok food using both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the convection heating method or selectively using only one of the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purchasing a device compared to separately purchasing a cooking device having various heat sources. can

또한 본 발명은, 웍을 돌리는 모션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솥의 기울기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motion of turning the wok, and since the tilt of the inner pot can be adjusted, it is possible to cook food in various cooking modes, thereby improving consumer satisfaction.

또한 본 발명은, 내솥과 함께 리프터가 회전되어 내솥의 음식물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조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fter rotates together with the inner pot to uniformly mix the food in the inner pot, food can be cooked quickly.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과 외솥이 케이스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가 내솥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홈부에 걸림돌기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에 구비된 걸림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에 구비된 장착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재가 상측롤러와 하측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기어가 회전기어에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과 리프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pot and an outer pot are separated from a cas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of a hot ai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fter is mounted on an inn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 mount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inn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groove provided in a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econd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ng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gear is engaged with a rotary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se part is rotated with respect to a bas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se part is rotated with respect to a bas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ner pot and a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of 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xampl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커버부(100)와 케이스부(50)와 베이스부(70)가 조리장치(1)의 외형을 형성한다. 커버부(100)의 하측에 케이스부(50)가 위치하며, 케이스부(50)의 하측에 베이스부(70)가 위치한다.1 to 3, in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art 100, the case part 50, and the base part 70 are of the cooking apparatus 1. shape the appearance The case portion 50 is positioned below the cover portion 100 , and the base portion 70 is positioned below the case portion 50 .

커버부(100)와 케이스부(50)와 베이스부(70)의 외측은 원형의 곡면을 형성한다. 커버부(100)의 외경보다 케이스부(50)의 외경이 크며, 케이스부(50)의 외경보다 베이스부(70)의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The outer sides of the cover part 100, the case part 50, and the base part 70 form a circular curved surface. The outer diameter of the case part 5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ver part 100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ase part 7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se part 50 .

조리장치(1)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구비한 형상이며, 원형, 원통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cooking device 1 is a shape having a curved surface as a whole, and the outer shap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 cylindrical shape, and an elliptical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 수록 점차로 외경이 커지므로 조리장치(1)의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리장치(1)의 조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리장치(1)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은 커버부(100)가 설치되어 원형의 평면 형상이 위치한다.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the cooking apparatus 1 can stably cook by preventing the cooking apparatus 1 from falling over. have. The cooking device 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and a cover part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o have a circular flat shape.

이와 같이 조리장치(1)의 외측은 곡면을 구비하므로, 미려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outer side of the cooking device 1 is provided with a curved surface, a beautiful sense of aesthetics can be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과 외솥(30)이 케이스부(5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inner pot 10 and an outer po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case part 50.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커버부(100)와 내솥(10)과 외솥(30)과 리프터(20)와 가열부(40)와 케이스부(50)와 제1구동부(60)와 베이스부(70)와 제2구동부(90)와 열풍공급부(110)를 포함한다.4 to 6,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unit 100, an inner pot 10, an outer pot 30, a lifter 20, and a heating unit ( 40), a case part 50, a first driving part 60, a base part 70, a second driving part 90, and a hot air supply part 110.

케이스부(50)의 내측에 외솥(30)이 고정되며, 외솥(30)의 내측에 내솥(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내솥(10)과 외솥(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내솥(10)과 외솥(30)이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outer pot 30 is fixed inside the case part 50, and the inner pot 10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outer pot 30.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pot 10 and the outer pot 30, and if necessary, the inner pot 10 and the outer pot 30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외솥(30)의 하부에 설치된 제1구동부(6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내솥(10)이 회전한다. 내솥(10)의 상측은 커버부(100)에 의해 개폐된다. 음식물(120) 조리시 음식물(120)이 신속하게 잘 섞일 수 있도록 내솥(10)의 내부에는 리프터(20)가 설치된다.The inner pot 10 rotates by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ot 30 .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part 100 . A lifter 20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pot 10 so that the food 120 can be quickly mixed well when cooking the food 120 .

케이스부(50)와 내솥(10)과 외솥(30)의 상측 입구는 개구된 형상이며, 케이스부(50)의 입구는 커버부(100)에 의해 개폐된다. 외솥(30)의 내측에 내솥(10)이 위치하며, 내솥(10)의 개구된 상측에 커버부(100)가 위치한다.Upper inlets of the case portion 50, the inner pot 10, and the outer pot 30 are open, and the inlets of the case portion 50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portion 100. The inner pot 10 is located inside the outer pot 30, and the cover part 100 is positioned on the open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조리장치(1)의 외솥(30)에 가열장치인 가열부(40)가 설치된다. 가열부(40)는 인덕션 방식으로 동작되며, 가열부(40)에 구비된 코일(41)은 외솥(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가열부(40)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동작되어 내솥(10)을 가열시킨다.A heating unit 40, which is a hea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outer pot 30 of the cooking device 1. The heating unit 40 operates in an induction method, and the coil 41 provided in the heating unit 40 is instal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pot 30 . The heating unit 40 is operated by application of power to heat the inner pot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솥(30)의 재질은, 내열성이 있는 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의 재질은 SUS430과 같은 강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s the material of the outer po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resistant reinforced plastic may be used.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inner po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SUS430.

본 발명에 의한 조리장치(1)는 2개의 동력장치를 구비하며, 음식물(120)의 종류에 따라 모터를 이용하여 최적의 조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를 포함한다.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power devices and provides an optimal cooking method using a motor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120 . A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60 and a second driving unit 90 .

제1구동부(60)는 외솥(30)의 하단 중심부에 설치되며, 제1구동부(60)에 구비된 모터를 이용해 내솥(10)을 360도 회전시킬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6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outer pot 30, and the inner pot 10 can be rotated 360 degrees using a motor provided in the first driving unit 60.

또한 제2구동부(90)에 구비된 모터는 외솥(30)과 내솥(10)을 기울이는 기능을 한다.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120)에 적합한 조리 방법을 선택한다.In addition, the motor provided in the second driving unit 90 serves to tilt the outer pot 30 and the inner pot 10 . A cooking method suitable for the food 120 is select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90 .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외솥(30)이나 내솥(10)이 수직 가상선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1구동부(60)의 동작으로 내솥(10)이 수직 가상선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90 performs an operation in which the outer pot 30 or the inner pot 10 tilts forward with respect to a vertical imaginary line.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rotates the inner pot 10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based on a vertical virtual line.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의 동작을 제어하여 내솥(10)의 이동을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다양한 조리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Since the movement of the inner pot 10 can be combined in various ways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90,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cooking methods. can be implemented

커버부(100)에는 내솥(10)의 내측에 있는 내부 공기를 순환 시킬 수 있는 열풍공급부(110)가 구비된다. 열풍공급부(110)에는 회전하는 팬을 구비한 팬모듈(111)이 설치된다. 열풍공급부(110)를 통해 내솥(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내솥(10)을 가열하는 가열부(40)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다.The cover unit 100 is provided with a hot air supply unit 110 capable of circulating internal air inside the inner pot 10 . A fan module 111 having a rotating fan is installed in the hot air supply unit 110 . The temperature of the air mov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0 through the hot air supply unit 110 is increased by the heating unit 40 for heating the inner pot 10 .

열풍공급부(110)의 동작으로 내솥(10)에 구비된 음식물(120)을 조리하기 위한 열풍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열부(40)에 의해 내솥(10)이 직접 가열되는 방식과, 열풍에 의해 음식물(120)이 가열되는 방식으로 음식물(120)의 조리 시간이 단축되며,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식감을 구현할 수 있다.Hot air for cooking the food 120 provided in the inner pot 10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ot air supply unit 110 . Therefore, the cooking time of the food 120 is shortened by the method in which the inner pot 10 is directly heated by the heating unit 40 and the method in which the food 120 is heated by the hot air,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texture desired by the user. have.

커버부(100)는 케이스부(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음식물(120)의 조리 전후에 커버부(100)를 케이스부(50)에서 분리하여 내솥(10)에 음식물(120)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Since the cover part 10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ase part 50, the cover part 100 is separated from the case part 50 before and after cooking the food 120, and the food 120 is placed in the inner pot 10. can be put in or taken out.

내솥(10)은 음식물(120)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은 상측이 개구된 솥 형상이다. The inner pot 1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food 120 is contained. The inner po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t shape with an open top.

내솥(10)의 하측면(13)에는 후술할 제1구동부(60)의 커넥터(63)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부(15)는 커넥터(63)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한다.A coupling groove 15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or 63 of the first drive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13 of the inner pot 10 . The coupling groove 15 forms a concave groove shape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connector 63 can be inserted and caught.

내솥(10)의 하측면(13)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중앙돌기(14)의 하측에 결합홈부(15)가 구비된다. 중앙돌기(14)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장착홈부(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중앙돌기(14)의 외형이 형성될 수도 있다. 내솥(10)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리프터(20)가 설치된다.A coupling groove 15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14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13 of the inner pot 10 . The central protrusion 14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if necessary, the outer shape of the central protrusion 1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ounting groove 22 . A lifter 2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in a vertical direc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20)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20)가 내솥(10)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홈부(22)에 걸림돌기(12)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에 구비된 걸림돌기(1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 lift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inner pot 10.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cking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po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ing protrusion 12 provided.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20)는 내솥(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솥(10)에 담겨진 음식물(120)을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9 to 12, the lifter 2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ner pot 10, protrudes into the inner pot 10, and moves the food 120 contained in the inner pot 10. Various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id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J"자 형상이며, 내솥(10)에 끼움식으로 고정된다.The lift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J"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itted and fixed to the inner pot 10.

판 형상의 리프터(20)는 내솥(10)의 내측면을 따라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리프터(20)의 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장착홈부(22)가 구비되며, 내솥(10)은 장착홈부(22)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12)가 구비된다.The plate-shaped lifter 20 is installed in a curved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 Mounting grooves 22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ifter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ner pot 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2 tha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2 and cau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12)의 단면은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홈부(22)의 단면은 "T"자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T"자 형상의 걸림돌기(12)가 "T"자 형상의 장착홈부(22)에 삽입되므로 리프터(20)가 내솥(10)의 내측에 고정된다.The cross sec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 shap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mounting groove 22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forms a "T" shape groove. Therefore, since the “T”-shaped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T”-shaped mounting groove 22, the lifter 20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inner pot 10.

리프터(20)의 측면에 구비된 장착홈부(22)의 입구는 하측에 구비되므로, 걸림돌기(12)의 상측에서 리프터(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12)와 장착홈부(22)이 결합이 이루어진다.Since the inlet of the mounting groove 22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ifter 2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the lifter 20 is mov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12 to move the locking protrusion 12 and the mounting groove. (22) This union is made.

리프터(20)는 내솥(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이므로, 내솥(10)과 함께 리프터(20)가 회전하면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을 이동시킨다.Since the lifter 20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0, the lifter 20 rotates together with the inner pot 10 to move the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0)을 지지하는 외솥(30)은 내솥(10)의 외측에 위치한다. 외솥(30)은 내솥(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솥(10)과 함께 상측이 개구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outer pot 30 supporting the inner pot 10 is located outside the inner pot 10 . The outer pot 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pot 10, and the upper side is opened together with the inner pot 10.

외솥(30)은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고정되며, 외솥(30)의 측면에는 가열부(40)가 설치되고, 외솥(30)의 하측 중앙에는 제1구동부(60)가 설치된다.The outer pot 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part 50, the heating part 4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uter pot 30, and the first driving part 60 is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outer pot 30.

가열부(40)는 외솥(30)의 외측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솥(10)을 가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40)는, 장착브라켓(45)과 코일(41)을 포함한다.The heating unit 4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3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heating the inner pot 10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The heating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bracket 45 and a coil 41.

코일(41)이 직접 외솥(3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외솥(30)의 외측에 장착브라켓(45)이 설치되고, 장착브라켓(45)의 외측에 코일(41)이 설치될 수 있다.The coil 41 may be directly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30 . Alternatively, a mounting bracket 45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30 and a coil 41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ounting bracket 45 .

장착브라켓(45)은 외솥(30)의 외측에 고정되며, 코일(41)로 전달된 전기가 외솥(30)으로 전달됨을 차단한다. 장착브라켓(45)은 2 종류의 코일(41)이 장착되기 위해 상하로 장착공간을 구분할 수도 있다.The mounting bracket 45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30 and blocks electricity transmitted to the coil 41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uter pot 30 . The mounting bracket 45 may divide the mounting space vertically so that the two types of coils 41 are mounted.

가열브라켓의 하측 장착공간에 권선된 코일(41)은 내솥(10)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 사용되며, 가열브라켓의 상측 장착공간에 권선된 코일(41)은 내솥(10)의 내측을 통과하는 열풍공급부(110)의 토출 공기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된다.The coil 41 wound in the lower mounting space of the heating bracket is used as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inner pot 10, and the coil 41 wound in the upper mounting space of the heating bracke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0. It is used as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ot air supply unit 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40)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인덕션 방식의 히터로 동작된다.The heating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n induction type heater using an induced current generated by a magnetic field as a heat source.

케이스부(50)는 외솥(30)과 가열부(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는 베이스부(7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가열부(40)와 외솥(30)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case part 50 is install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30 and the heating part 4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opening the upper side. The case par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70, and the heating part 40 and the outer pot 30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part 50. is installed with

케이스부(50)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는, 몸체케이스(51)와 하부케이스(53)와 외측기어(54)와 날개부재(55)를 포함한다.The case part 50 may be made of a single member, or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members, if necessary. The case uni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case 51, a lower case 53, an external gear 54, and a wing member 55.

몸체케이스(51)는 가열부(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할 수록 점차로 외경이 커지는 기둥 형상이다.The body case 51 is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heating unit 40 . The upper side of the body case 51 is open and has a columnar shape with an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몸체케이스(51)의 상측에는 커버부(1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케이스(51)의 하부에는 하부케이스(53)가 연결된다. 몸체케이스(51)의 상측과 하측은 개구된 형상이다.The cover part 10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case 51, and the lower case 53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case 51.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case 51 have an open shape.

하부케이스(53)는 베이스부(7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 하부케이스(53)는 몸체케이스(51)의 하측을 막으며, 베이스부(70)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 곡면을 형성한다.The lower case 53 forms a hemispherical curved surface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base portion 70 . The lower case 53 blocks the lower side of the body case 51 and forms a convex curved surface toward the base portion 70 .

외측기어(54)는 하부케이스(53)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제2구동부(90)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다. 외측기어(54)는 하부케이스(53)의 하측면(13)에 형성되며, 케이스부(50)가 회전되는 이동경로를 따라 외측기어(54)가 형성된다.The outer gear 54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se 53 and has teeth meshing with the gear provided in the second drive unit 90 . The outer gear 5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3 of the lower case 53, and the outer gear 54 is formed along the movement path along which the case part 50 rotates.

외측기어(54)는 곡선 형상을 따라 띠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측기어(54)의 양측에는 날개부재(55)가 구비된다. 날개부재(55)는 하부케이스(53)에서 폭방향(W) 양측으로 돌출되며, 베이스부(70)에 의해 회전이 안내된다.The outer gear 54 extends in a band shape along the curved shape, and wing members 55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gear 54 . The wing member 55 protrudes from the lower case 53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rotation is guided by the base portion 70.

한편 케이스부(50) 또는 커버부(100)에는 내솥(10) 내부의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홀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내솥(10)의 내측에 있는 공기의 온도가 올라가서 압력이 증가할 경우, 커버부(100)의 개방으로 내솥(10)에 있는 음식물(120)이 내솥(10)의 외측으로 급격히 이동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기홀을 추가하여 내솥(10) 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배기홀은 내솥(10) 내 수증기 배출에도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an exhaust hole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inner pot 10 to the outsid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ase part 50 or the cover part 100 .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inner pot 10 rises and the pressure increases,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moves rapidly to the outside of the inner pot 10 due to the opening of the cover part 100, resulting in a safety accident. may occu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ressure in the inner pot 10 by adding an exhaust hole. The exhaust hole may also be used to discharge water vapor in the inner pot (10).

케이스부(50)를 포함한 조리장치(1)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므로, 유아를 포함한 노약자가 실수로 조리장치(1)에 걸려 넘어지는 경우, 제품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Since the outer shape of the cooking device 1 including the case portion 50 forms a curved surface as a whole, when an elderly person including an infant accidentally trips over the cooking device 1, the outer shape of the product forms a curved surface as a whole, resulting in a safety acciden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제1구동부(60)는 케이스부(50)의 내측에 고정되며,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1구동부(60)는 외솥(30)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솥(10)에 연결되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솥(10)을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first driving unit 6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unit 50 and generates rotational power using a motor. In addition, the first drive unit 60 is connected to the inner pot 10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ot 3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rotating the inner pot 10 using electric energ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60)는, 제1구동몸체(61)와 제1구동축(62)을 포함한다. 또한 제1구동부(60)는 내솥(10)과 연결되기 위해 커넥터(6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iving body 61 and a first driving shaft 62 .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63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pot 10 .

제1구동몸체(61)는 외솥(30)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이다. 제1구동몸체(61)는 외솥(30)의 중앙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몸체(61)는 하부케이스(53)와 외솥(30)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케이스(53)의 상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구동몸체(61)는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first driving body 61 is a motor that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ot 30 and generates rotational power. The first driving body 61 may be fix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outer pot 30 .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body 61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case 53 and the outer pot 30,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be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53 are possible. A servo motor may be used as the first driving body 61 .

제1구동축(62)은 제1구동몸체(6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구동몸체(61)의 동작에 의해 제1구동축(62)은 회전한다. 제1구동축(62)은 제1구동몸체(6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솥(30)의 중앙 하부를 관통하며 외솥(3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The first drive shaft 62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drive body 61, and the first drive shaft 62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 body 61. The first driving shaft 62 protrudes upward from the first driving body 61, penetrates the lower center of the outer pot 30, and protrudes upward of the outer pot 30.

커넥터(63)는 외솥(30)을 관통하는 제1구동축(62)에 결합되며, 내솥(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커넥터(63)의 하부는 제1구동축(62)이 삽입되어 걸리는 홈부를 형성한다.The connector 63 is coupled to the first drive shaft 62 penetrating the outer pot 3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10.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63 forms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drive shaft 62 is inserted and caught.

그리고 커넥터(63)는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솥(10)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홈부(15)에 삽입되어 내솥(10)과 회전이 동기화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63 has a cross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5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0 to synchronize rotation with the inner pot 10 .

베이스부(70)는 케이스부(50)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50)가 회전되어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70)는 베이스커버(71)와 베이스몸체(75)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부(70)는 케이스부(50)의 회전을 안내하는 상측롤러(76)와 하측롤러(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art 7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part 5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guid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case part 50 rotates and tilts. The base part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cover 71 and a base body 75. In addition, the base part 7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roller 76 and a lower roller 77 for guiding rotation of the case part 50 .

베이스커버(71)는 하부케이스(53)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부케이스(53)를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71)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반구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71)의 곡률과 하부케이스(53)의 곡률은 서로 같거나,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같다. 따라서 케이스부(50)의 하측이 베이스부(7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The base cover 71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ase 53 and forms a concave groove shape toward the lower case 53 . The base cover 71 forms a concave hemispherical groove toward the upper side. The curvature of the base cover 71 and the curvature of the lower case 53 are equal to each other or within a set range. Therefore, the lower side of the case part 50 can be stably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70 .

베이스몸체(75)는 베이스커버(71)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베이스몸체(75)는 베이스부(70)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외경이 증가한다.The base body 75 extends downward from the rim of the base cover 71 . The base body 75 forms the body of the base portion 70, and its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베이스커버(71)의 중앙에는 이동안내홈부(72)가 구비된다. 이동안내홈부(72)는 케이스부(50)의 하측으로 돌출된 외측기어(54)와 날개부재(55)가 삽입되기 위한 띠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A movement guide groove 7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cover 71 . The movement guide groove 72 forms a strip-shaped groove for inserting the outer gear 54 and the wing member 55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ase 50 .

이동안내홈부(72)는 베이스커버(71)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이동안내홈부(72)는 케이스부(50)가 회전되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이동안내홈부(72)에 외측기어(54)와 날개부재(55)가 삽입되어 케이스부(5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vement guide groove 72 forms a concave groove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cover 71 to the lower side. The movement guide groove 72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se 50 is rotated. In addition, since the outer gear 54 and the wing member 55 are inserted into the movement guide groove 72, the case portion 50 can be rotated stably.

고정레일(73)은 날개부재(5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고정레일(73)은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의 곡면을 형성하며, 날개부재(55)의 하측을 지지한다. 또한 고정레일(73)은 날개부재(55)를 사이에 두고 상측롤러(76)의 하측에 위치하며, 날개부재(55)의 이동경로를 따라 곡면 형상으로 연장된다.The fixed rail 73 is install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ng member 55. The fixed rail 73 forms a concave groove-shaped curved surface toward the upper side, and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wing member 55. In addition, the fixed rail 73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oller 76 with the wing member 55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xtends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wing member 55 in a curved shape.

날개부재(55)의 곡률과 고정레일(73)의 곡률은 서로 대응하므로, 날개부재(55)의 하측은 고정레일(73)의 상측에 면접촉된다.Since the curvature of the wing member 55 and the curvature of the fixed rail 73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lower side of the wing member 55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xed rail 73.

상측롤러(76)는 날개부재(55)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날개부재(55)의 하측은 고정레일(73)의 상측에 걸려서 지지되며, 날개부재(55)의 상측은 상측롤러(76)에 의해 지지된다.The upper roller 76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ng member 55 . Therefore, the lower side of the wing member 55 is supported by being caught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rail 73, and the upper side of the wing member 55 is supported by the upper roller 76.

이동안내홈부(72)의 내측에는 하부케이스(53)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롤러(77)가 구비된다. 하측롤러(77)의 일부는 이동안내홈부(7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동안내홈부(72)에 삽입된 하부케이스(53)에 하측롤러(77)가 접하므로, 제2구동부(90)의 동작에 의해 하부케이스(53)가 회전할 때 마찰력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A lower roller 77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ase 53 is provided inside the movement guide groove 72 . A part of the lower roller 77 protrudes outward from the moving guide groove 72 . Therefore, since the lower roller 77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case 53 inserted into the movement guide groove 72, resistance due to frictional force when the lower case 53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90 is reduced. can make it

한편 베이스부(70)의 하측면(13)에는 미끄럼 방지형 고무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조리장치(1)의 사용시 본래 사용하던 위치에서 조리장치(1)가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형 고무패드가 설치된다. 미끄럼 방지형 고무패드는 고무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70)의 하측면(13)에 고정된다.Meanwhile, a non-slip rubber pad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13 of the base part 70 . When using the cooking device 1, a non-slip rubber pa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cooking device 1 from being separat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The non-slip rubber pad is made in the shape of a rubber plate and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13 of the base part 70 .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90)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재(55)가 상측롤러(76)와 하측롤러(77)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기어(54)가 회전기어(93)에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econd driving unit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wing member 5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oller 76 and the lower roller 77 )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located between, and FIG. 1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gear 54 is engaged with the rotary gear 9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부(90)는 베이스부(70)의 내측에 고정된다. 제2구동부(90)는 베이스부(70)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케이스부(5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90)는 제2구동몸체(91)와 회전기어(9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4 to 16 , the second driving unit 9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unit 70 . The second driving unit 90 is installed inside the base unit 70, and various types of driving devices may be use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moving the case unit 50 by generating rotational power. The second driving unit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driving body 91 and a rotation gear 93.

제2구동몸체(91)는 모터를 사용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2구동몸체(91)는 베이스부(70)의 내측에 고정된다. 베이스커버(7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구동몸체(91)는 회전동력을 공급한다.The second driving body 91 uses a motor and receives electrical energy to supply rotational power. The second driving body 9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part 70 . The second driving body 91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cover 71 supplies rotational power.

제2구동몸체(91)에서 돌출된 제2출력축(92)은 제2구동몸체(91)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기어(93)는 제2구동몸체(91)에 구비된 제2출력축(92)에 연결된다. 회전기어(93)는 원형기어이며, 제2출력축(92)과 함께 회전한다.The second output shaft 92 protruding from the second driving body 91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body 91, and the rotary gear 93 is a second output shaft provided on the second driving body 91. connected to (92). The rotating gear 93 is a circular gear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output shaft 92 .

회전기어(93)의 일부는 베이스부(7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회전기어(93)가 이동안내홈부(7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부(50)에 구비된 외측기어(54)에 맞물린다. 따라서 회전기어(93)가 회전하면 케이스부(50)에 구비된 외측기어(54)가 이동하므로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A part of the rotary gear 93 protrudes upward from the base part 70 . The rotation gear 93 protrudes upward from the movement guide groove 72 and is engaged with the external gear 54 provided in the case portion 50 . Therefore, when the rotary gear 93 rotates, the outer gear 54 provided in the case part 50 moves, so that the case part 50 can be rotated.

제2구동부(90)의 회전동력이 케이스부(50)의 하측에 구비된 외측기어(54)로 전달되어 케이스부(50)를 회전시키므로, 음식물(120)을 담는 내솥(10)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다.Sinc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second driving unit 90 is transmitted to the outer gear 54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unit 50 to rotate the case unit 50,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pot 10 containing the food 120 is increased.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제1구동부(60)가 동작되어 내솥(10)을 회전시키는 모드로 음식물(120)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내솥(10)을 기울이거나 웍(Wok)을 이용한 요리와 같은 모션을 구현하여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120)을 조리할 수 있다.In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od 120 is cooked in a mode in which the first driving unit 60 is operated to rotate the inner pot 1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90 It is possible to cook the food 120 in various cooking modes by implementing a motion such as tilting the inner pot 10 or cooking using a wo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회전과 가열은 물론 필요시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의 제어를 통해, 끓이기 볶기 웍 모션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조리장치(1)는 볶음 기능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In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wok motions of boiling and frying through rotation and heating as well as control of the first driving unit 6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90 when necessary. Due to this function, the cooking device 1 may smoothly perform the stir-frying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에 의해 내솥(10)의 회전과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인덕션 코일(41)을 사용한 가열부(40)에 의해 음식물(120)의 가열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음식물(120)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nd tilt of the inner pot 10 can be adjusted by the first driving unit 6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90, and the heating unit 40 using the induction coil 41 Since the food 120 is automatically heated by ),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cooking the food 120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내솥(10)의 기울기를 수직에서 수평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변경할 수 있으며, 내솥(10)의 기울기에 따라 끓이기, 볶기, 굽기 등 다양한 요리의 제조가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pot 10 can be changed from vertical to horizontal inclin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90, and various dishes such as boiling, frying, and baking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pot 10. manufacturing is possible

커버부(100)는 케이스부(50)의 개구된 입구부(52)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0)는 원판 형상이며, 커버부(100)의 내측에는 열풍공급부(110)가 설치된다. 커버부(100)는 케이스부(5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10)의 상측을 개폐한다.The cover part 10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inlet part 52 of the case part 50 . The cover pa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k shape, and a hot air supply part 110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part 100 . The cover part 10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part 50 and opens and closes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110)의 저면도이다.8 is a bottom view of the hot air supply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110)는 커버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솥(10)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솥(10)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며 열풍으로 음식물(120)을 조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110)는 팬모듈(111)과 덕트부(11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hot air supply unit 110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unit 100, sucks air in the inner pot 10,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0, and hot ai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cooking the food 120 as the above. The hot air supply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n module 111 and a duct unit 115.

팬모듈(111)은 커버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팬을 회전시켜 내솥(10)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한다. 팬모듈(111)의 내측에는 모터와 회전되는 팬이 구비되며, 팬의 회전으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진다.The fan module 111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part 100 and sucks air inside the inner pot 10 by rotating the fan. A motor and a rotating fan are provided inside the fan module 111, and air is moved by rotation of the fan.

팬모듈(111)은 커버부(100)의 흡입그릴(101) 상측에 설치되며, 흡입그릴(101)을 통해 내솥(10)의 공기를 흡입한다.The fan module 111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grill 101 of the cover part 100 and sucks air from the inner pot 10 through the suction grill 101 .

덕트부(115)는 팬모듈(111)에 연결되며, 팬모듈(11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커버부(100)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덕트부(115)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 형상이며, 덕트부(115)의 일측은 팬모듈(111)에 연결되며 덕트부(115)의 타측은 커버부(100)의 토출그릴(102)에 연결된다.The duct unit 115 is connected to the fan module 111,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forming an air flow path for guiding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111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unit 100. The duct part 115 is shaped like a condui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air. One side of the duct part 115 is connected to the fan module 111 and the other side of the duct part 115 is the discharge grill 102 of the cover part 100. ) is connected to

덕트부(115)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된 내솥(10)에 접하며 온도가 상승된 후 내솥(10)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음식물(120)을 가열시킨다. 덕트부(115)는 내솥(10)을 향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해 덕트부(115)의 타측은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된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uct unit 11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ot 10 heated by the heating unit 40 and after the temperature rises, it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pot 10 to heat the food 120 . The other side of the duct part 115 is installed in a downwardly inclined direction in order to discharge air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pot 10 .

그리고 덕트부(115)와 마주하는 토출그릴(102)도 내솥(10)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토출그릴(102)과 토출그릴(102)을 차례로 통과한 공기는 가열된 내솥(10)에 접하며 가열된 후 내솥(10)의 내측면을 따라 내솥(10)의 하측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grill 102 facing the duct unit 115 may also be installed incli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pot 10 . Therefo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grill 102 and the discharge grill 102 in turn comes in contact with the heated inner pot 10 and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pot 10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after being heated.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시켜 내솥(10)의 음식물(120)을 가열하는 유도 가열로 음식물(120)의 조리가 이루어지며, 열풍공급부(110)에서 나오는 공기가 가열된 내솥(10)에 접하며 온도가 상승된 후 음식물(120)을 가열하여 대류열로 음식물(120)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food 120 is cooked by induction heating in which the heating unit 40 heats the inner pot 10 to heat the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and the air coming out of the hot air supply part 110 is heated in the inner pot. After the temperature rises in contact with (10), the food 120 is heated so that the food 120 can be cooked with convective hea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음식물(120)의 가열을 위하여 유도가열과 열풍을 이용하여 다양한 온도로 음식물(120)의 가열이 가능하다. 내솥(10)의 상부에 위치한 열풍공급부(110)의 작동에 의해 음식물(120)의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음식물(120)의 외부를 바삭하게 만들어 에어 프라이어와 같은 조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eat the food 120 to various temperatures by using induction heating and hot air to heat the food 120 . The operation of the hot air supply unit 110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pot 10 removes unnecessary moisture from the food 120 and at the same time makes the outside of the food 120 crispy to implement a cooking function like an air fry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state of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커버부(100)를 열고 내솥(10)의 상측을 개방한 후 내솥(10)에 음식물(120)을 넣고 커버부(100)를 케이스부(50)에 결합시켜 내솥(10)의 상측을 닫는다.After opening the cover part 100 and opening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put food 120 in the inner pot 10 and combine the cover part 100 with the case part 50 to close the upper part of the inner pot 10 .

조리장치(1)에 구비된 제어부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음식물(120)의 조리순서에 맞게 가열부(40)와 열풍공급부(110)와 제1구동부(60)와 제2구동부(90)를 동작시킨다.When an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cooking device 1,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heating unit 40, the hot air supply unit 110, the first driving unit 6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 90) is op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가열부(40)가 내솥(10)을 가열하는 유도 가열로 음식물(120)을 조리하는 방법과, 열풍공급부(110)의 동작에 의해 대류열로 음식물(120)을 조리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열원을 구비한 조리장치(1)를 개별적으로 구입하는 것 대비 기기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oking food 120 by induction heating in which a heating unit 40 heats an inner pot 10 and an operation of a hot air supply unit 110. All methods of cooking the food 120 by convective heat may be used or only one method may be selectively us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of purchasing a device can be reduced compared to individually purchasing the cooking device 1 having various heat sources.

국과 같은 요리를 할 경우에는 제2구동부(90)는 동작하지 않고 제1구동부(60)만 동작하여 내솥(10)을 회전시킨다. 내솥(10)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이 있으며, 이러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1회전방향(D1)으로 정의한다. 내솥(10)은 제1구동부(60)의 동작으로 리프터(20)와 함께 제1회전방향(D1)으로 회전한다. 내솥(1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When cooking such as soup, the second driving unit 90 does not operate and only the first driving unit 60 operates to rotate the inner pot 10 . There is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nner pot 10 and extending vertically, and rotat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based on this vertical line is defined as a first rotation direction D1. The inner pot 10 rotates along with the lifter 20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D1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 unit 60 . The inner pot 1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able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내솥(10)을 가열하는 가열부(40)만 동작하여 내솥(10)에 담긴 음식물(120)을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열풍공급부(110)가 동작되어 내솥(10)의 내측을 순환하는 열풍으로도 내솥(10)에 담긴 음식물(120)을 가열할 수 있다.The food 120 contained in the inner pot 10 may be cooked by operating only the heating unit 40 that heats the inner pot 10 . In addition, the hot air supply unit 110 is operated to heat the food 120 contained in the inner pot 10 with the hot air circulating inside the inner pot 10 .

열풍공급부(110)의 동작을 설명하면, 팬모듈(111)이 동작되어 내솥(10)에 있는 공기를 팬모듈(111)의 내측으로 흡입한다. 팬모듈(111)로 흡입된 공기는 덕트부(115)로 이동된 후 내솥(10)의 내측면을 향하여 토출되어 가열된 후 내솥(1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음식물(120)을 가열한다. 그리고 다시 내솥(10)의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는 팬모듈(111)로 다시 흡입되는 동작을 반복한다.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hot air supply unit 110 , the fan module 111 is operated to suck air in the inner pot 10 into the fan module 111 . The air sucked into the fan module 111 is moved to the duct unit 115 and then discharg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to be heated and then mov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10 to heat the food 120 . Then, the air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is sucked into the fan module 111 again, and the operation is repeated.

열풍공급부(110)의 동작으로 내솥(10)과 커버부(100)의 내측을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The operation of the hot air supply unit 110 creates a flow of air circulating inside the inner pot 10 and the cover unit 100 .

한편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음식물(120)의 조리 과정에 따라 솥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의 조리장치(1)에서 국과 볶음 요리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120)의 조리가 가능하여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tilt of the po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120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90 .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foods 120 such as soup and stir-fried food can be cooked in one cooking device 1, saving time required for cooking and improving consumer satisfaction.

제2구동부(90)의 동작으로 내솥(10)은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한다. 내솥(10)이 조리장치(1)의 전방을 향하여 회전할 때 중심이 되는 축을 수평 기준축이라 할 때, 수평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제2회전방향(D2)으로 설정한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90 rotates the inner pot 10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D2. When the inner pot 10 rotates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device 1, when the central axis is referred to as a horizontal reference axis, the rotation direction around the horizontal reference axis is set as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D2.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외측기어(54)가 형성된 길이에 대응하여 제2회전방향(D2)으로 회전동작이 이루어진다.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세워진 상태에서 조리장치(1)의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상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10)과 케이스부(50)는 세워진 상태에서 조리장치(1)의 후방을 향하여 회전하지는 않는다.The inner pot 10 and the case portion 50 are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D2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outer gear 54 . The inner pot 10 and the case part 50 are rotated in an inclined shape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device 1 in an upright state. The inner pot 10 and the case portion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rotate toward the rear of the cooking device 1 in a standing state.

제2구동부(90)가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출력하여 내솥(10)을 웍과 같은 모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웍을 돌리는 모션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솥(10)의 기울기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조리모드로 음식물(120)을 조리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90 outputs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so that the inner pot 10 can be moved in the same motion as a wok.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motion of turning the wok, and since the tilt of the inner pot 10 can be adjusted, food 120 can be cooked in various cooking modes, thereby increasing consumer satisfaction. can improv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모바일 기기와 연동을 통하여 레시피를 바코드, QR코드 등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 코드가 없을 시, 사용자가 레시피를 지정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a recipe as a barcode or QR code through linkage with a mobile device, and when there is no recognition code, the user can designate a recipe. can provi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 조리장치
10: 내솥 12: 걸림돌기 13: 하측면 14: 중앙돌기 15: 결합홈부
20: 리프터 22: 장착홈부
30: 외솥
40: 가열부 41: 코일 45: 장착브라켓
50: 케이스부 51: 몸체케이스 52: 입구부 53: 하부케이스 54: 외측기어 55: 날개부재
60: 제1구동부 61: 제1구동몸체 62: 제1구동축 63: 커넥터
70: 베이스부 71: 베이스커버 72: 이동안내홈부 73: 고정레일 75: 베이스몸체 76: 상측롤러 77: 하측롤러
90: 제2구동부 91: 제2구동몸체 92: 제2출력축 93: 회전기어
100: 커버부 101: 흡입그릴 102: 토출그릴
110: 열풍공급부 111: 팬모듈 115: 덕트부
120: 음식물
W: 폭방향
D1: 제1회전방향
D2: 제2회전방향
1: Cooking device
10: inner pot 12: stumbling block 13: lower side 14: central projection 15: coupling groove
20: lifter 22: mounting groove
30: outer pot
40: heating unit 41: coil 45: mounting bracket
50: case part 51: body case 52: inlet part 53: lower case 54: outer gear 55: wing member
60: first driving unit 61: first driving body 62: first driving shaft 63: connector
Reference Numerals 70: base part 71: base cover 72: moving guide groove part 73: fixed rail 75: base body 76: upper roller 77: lower roller
90: second driving unit 91: second driving body 92: second output shaft 93: rotation gear
100: cover part 101: suction grill 102: discharge grill
110: hot air supply unit 111: fan module 115: duct unit
120: food
W: width direction
D1: 1st rotation direction
D2: 2nd rotation direction

Claims (20)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내솥;
상기 내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솥;
상기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가열되는 가열부;
상기 외솥과 상기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스부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n inner pot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food is contained;
an outer pot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pot;
A heating uni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and heated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a case portion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and the heating portion and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 first driving unit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unit, passing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pot and connected to the inner pot, and rotating the inner pot by generating rotational power;
a base portion located below the case portion and guiding a tilting operation of the case portion; an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installed inside the base unit, and generating rotational power to move the cas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개구된 입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case portion; and
The cook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hot air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cover unit, sucking in air from the inner po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팬을 회전시켜 상기 내솥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듈; 및
상기 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팬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커버부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ot air supply unit may include a fa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cover unit and sucking in air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pot by rotating a fan; an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duct unit connected to the fan module and forming an air flow path for guiding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to a lower side of the cove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내솥에 접하며 온도가 상승된 후 상기 내솥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음식물을 가열시키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uct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ot heated by the heating part, and after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the air is moved to a lower side of the inner pot to heat fo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솥에 담겨진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리프터;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ok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lifter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ner pot and protrudes into the inner pot to move food contained in the inner p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외솥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인덕션 방식의 히터로 동작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unit includes a coil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and operates as an induction type heater using an induced current generated by a magnetic field as a heat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몸체케이스;
상기 몸체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부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 외측기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unit may include a body case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heating unit;
a hemispherical lower cas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case and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base portion; an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n external gear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having teeth engaged with the gear provided in the second driving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몸체; 및
상기 제2구동몸체에 구비된 제2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출력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외측기어에 맞물려서 상기 케이스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driv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body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unit and supplying rotational power; and
and a rotating gear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shaft provided in the second driving body,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output shaft, and engaged with the external gear to rotate the case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케이스를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하는 베이스커버; 및
상기 베이스커버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몸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base unit may include a base cover positioned below the lower case and forming a concave groove shape toward the lower case; and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base bod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im of the base cov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에서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날개부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롤러; 및
상기 날개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측롤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날개부재의 이동경로를 따라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레일;을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case unit further includes wing members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e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base unit may include an upper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wing member; and
The cook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ixed rail located below the upper roller with the w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xtending in a curved shape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w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외솥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몸체;
상기 제1구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외솥을 관통하는 상기 제1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내솥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body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ot and generating rotational power;
a first drive shaft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drive body and rotates; and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connector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shaft penetrating the outer pot and inserted into and caught in a fasten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내솥;
상기 내솥이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솥;
상기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외솥과 상기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이 개구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외솥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솥에 연결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내솥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안내하는 베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개구된 입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솥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내솥의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n inner pot with an open upper side;
an outer pot in which the inner pot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a heating unit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outer pot and receiving electric energy to heat the inner pot;
a case portion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outer pot and the heating portion and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 first driving unit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unit, passing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pot and connected to the inner pot, and rotating the inner pot by generating rotational power;
a base portion located below the case portion and guiding a tilting operation of the case portion;
a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case portion; an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hot air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cover unit, sucking air in the inner po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inner po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팬을 회전시켜 상기 내솥의 내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듈; 및
상기 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팬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커버부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hot air supply unit may include a fa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cover unit and sucking in air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pot by rotating a fan; an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duct unit connected to the fan module and forming an air flow path for guiding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to a lower side of the cover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솥에 담겨진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리프터;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cook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lifter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ner pot and protrudes into the inner pot to move food contained in the inner po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의 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장착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내솥은 상기 장착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4,
Mounting grooves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f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pot is a cooking device provided with a hold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caugh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스부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cook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a second driv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ase unit and generating rotational power to move the case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몸체; 및
상기 제2구동몸체에 구비된 제2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출력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케이스부에 구비된 외측기어에 맞물려서 상기 케이스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second driv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body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unit and supplying rotational power; and
and a rotating gear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shaft provided in the second driving body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output shaft, and to rotate the case unit by engaging with an external gear provided in the case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가열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몸체케이스;
상기 몸체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부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 외측기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case unit may include a body case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heating unit;
a hemispherical lower cas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case and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base portion; an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n external gear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having teeth engaged with the gear provided in the second driving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날개부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롤러; 및
상기 날개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측롤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날개부재의 이동경로를 따라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레일;을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8,
The case unit further includes wing member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case in the width direction,
The base unit may include an upper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wing member; and
The cook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ixed rail located below the upper roller with the w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xtending in a curved shape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wing memb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외솥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몸체;
상기 제1구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외솥을 관통하는 상기 제1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내솥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body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ot and generating rotational power;
a first drive shaft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drive body and rotates; and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connector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shaft penetrating the outer pot and inserted into and caught in a fasten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KR1020210188326A 2021-05-11 2021-12-27 Cooking apparatus KR2022015346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1015 2021-05-11
KR20210061026 2021-05-11
KR20210060986 2021-05-11
KR1020210061026 2021-05-11
KR20210060985 2021-05-11
KR1020210061015 2021-05-11
KR1020210060986 2021-05-11
KR1020210060985 2021-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65A true KR20220153465A (en) 2022-11-18

Family

ID=84234535

Famil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47A KR20220153461A (en) 2021-05-11 2021-12-15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automatic cooking appliance
KR1020210180146A KR20220153460A (en) 2021-05-11 2021-12-15 Control device of automatic cooking appliance
KR1020210184223A KR20220153463A (en) 2021-05-11 2021-12-21 Cooking appliance interworking recipe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184222A KR20220153462A (en) 2021-05-11 2021-12-21 Recipe platform interworking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188325A KR20220153464A (en) 2021-05-11 2021-12-27 Cooking apparatus
KR1020210188326A KR20220153465A (en) 2021-05-11 2021-12-27 Cooking apparatus
KR1020210189465A KR20220153466A (en) 2021-05-11 2021-12-28 Cooking apparatus
KR1020220000939A KR20220153471A (en) 2021-05-11 2022-01-04 Cooking apparatus having a lifter
KR1020220004497A KR20220153474A (en) 2021-05-11 2022-01-12 Cooking apparatus
KR1020220004496A KR20220153473A (en) 2021-05-11 2022-01-12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device
KR1020220010352A KR20220153475A (en) 2021-05-11 2022-01-25 Cooking apparatus
KR1020220016342A KR20220153478A (en) 2021-05-11 2022-02-08 Cooking apparatus
KR1020220017885A KR20220153479A (en) 2021-05-11 2022-02-11 Cook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47A KR20220153461A (en) 2021-05-11 2021-12-15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automatic cooking appliance
KR1020210180146A KR20220153460A (en) 2021-05-11 2021-12-15 Control device of automatic cooking appliance
KR1020210184223A KR20220153463A (en) 2021-05-11 2021-12-21 Cooking appliance interworking recipe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184222A KR20220153462A (en) 2021-05-11 2021-12-21 Recipe platform interworking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188325A KR20220153464A (en) 2021-05-11 2021-12-27 Cook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465A KR20220153466A (en) 2021-05-11 2021-12-28 Cooking apparatus
KR1020220000939A KR20220153471A (en) 2021-05-11 2022-01-04 Cooking apparatus having a lifter
KR1020220004497A KR20220153474A (en) 2021-05-11 2022-01-12 Cooking apparatus
KR1020220004496A KR20220153473A (en) 2021-05-11 2022-01-12 Lifter motion controlled cooking device
KR1020220010352A KR20220153475A (en) 2021-05-11 2022-01-25 Cooking apparatus
KR1020220016342A KR20220153478A (en) 2021-05-11 2022-02-08 Cooking apparatus
KR1020220017885A KR20220153479A (en) 2021-05-11 2022-02-11 Coo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3) KR20220153461A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519A (en) 2003-03-10 2004-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Rotary typ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apparatus
JP6042190B2 (en) 2012-11-30 2016-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63A (en) 2022-11-18
KR20220153478A (en) 2022-11-18
KR20220153479A (en) 2022-11-18
KR20220153475A (en) 2022-11-18
KR20220153474A (en) 2022-11-18
KR20220153464A (en) 2022-11-18
KR20220153466A (en) 2022-11-18
KR20220153460A (en) 2022-11-18
KR20220153462A (en) 2022-11-18
KR20220153461A (en) 2022-11-18
KR20220153471A (en) 2022-11-18
KR20220153473A (en)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722B2 (en)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0996668B (en) Pizza cooking appliance
US10405696B2 (en) Cooking apparatus
EP2799778B1 (en) Cooking apparatus
US9629499B2 (en) Convection cooking apparatus
EP2799779B1 (en) Cooking apparatus
KR102138631B1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having an air flow
US9526374B2 (en) Cooking apparatus
EP2799777A2 (en) Cooking apparatus
KR20220153465A (en) Cooking apparatus
CN211911274U (en) Cooking utensil
KR20230174897A (en) Cooking apparatus
KR20230174898A (en) Cooking apparatus
KR100438301B1 (en) Microwave oven provided with a grill egg device
KR20230174896A (en) Cooking apparatus
WO2022170239A1 (en) Cooking expansion mod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