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419A -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 - Google Patents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419A
KR20220153419A KR1020210060983A KR20210060983A KR20220153419A KR 20220153419 A KR20220153419 A KR 20220153419A KR 1020210060983 A KR1020210060983 A KR 1020210060983A KR 20210060983 A KR20210060983 A KR 20210060983A KR 20220153419 A KR20220153419 A KR 20220153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ock
waste
waste materials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240B1 (ko
Inventor
서송아
Original Assignee
서송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송아 filed Critical 서송아
Priority to KR102021006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24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Landscapes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 폐기물이나 건축 폐기물 등과 같은 각종 폐기물을 재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은 생활 폐기물이나 건축 폐기물 등과 같은 각종 폐기물을 활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자원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을 갖는 폐자재들을 임의로 조합 및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블록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은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블록들을 임의로 조합 및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조형벽체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Block and a wall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 폐기물이나 건축 폐기물 등과 같은 각종 폐기물을 재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각종 폐기물이 불가피하게 점차적으로 증가 되어 사회적인 문제 즉, 폐기물은 자원의 고갈은 물론이고 환경공해의 주요인으로 부각되어 사회적으로 심각하고도 시급히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으며, 이러한 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50384호에는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층 수질정화블록"이 게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120-0368970호에는 "건축폐기물과 폐슬러지를 이용한 재활용 블록"이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080호에는 "환경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와 블록"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건축자재나 기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들은 거의 대부분 폐아스콘, 폐콘크리트, 폐골재 등을 활용한 것으로서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원형/사각 파이프 또는 금속 앵글 및 찬넬, 목재들과 같은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50384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6897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3008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원형/사각 파이프 또는 금속 앵글 및 찬넬, 목재들과 같은 폐기물을 활용한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자원의 이용률을 높이고,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각종 폐자재들을 조합 및 배치함으로써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할 수 있는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은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 좌측면과 우측면이 각각 폐쇄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본체와; 파이프와, 앵글과, 찬넬과, 목재를 포함하는 폐자재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에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폐자재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폐자재의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조형장식부와; 상기 본체 내부의 공간부를 상기 조형장식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와 개방된 개방공간부로 구획하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개방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은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폐자재는 상기 본체의 전후 폭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중앙에 상기 조명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은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중앙에 일 면과 타 면이 각각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출력되는 조명광을 전달하는 도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의 상기 도광부의 양면에는 내부를 따라 전달되는 조명광을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 측을 향해 확산시키기 위한 요철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형벽체구조물은 복수의 블록이 상하로 적층 및 좌우로 배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블록은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 좌측면과 우측면이 각각 폐쇄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본체와, 파이프와, 앵글과, 찬넬과, 목재를 포함하는 폐자재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에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폐자재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폐자재의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조형장식부와, 상기 본체 내부의 공간부를 상기 조형장식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와 개방된 개방공간부로 구획하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개방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형벽체구조물의 상기 블록은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폐자재는 상기 본체의 전후 폭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중앙에 상기 조명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형벽체구조물의 상기 블록은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중앙에 일 면과 타 면이 각각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출력되는 조명광을 전달하는 도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형벽체구조물의 상기 도광부의 양면에는 내부를 따라 전달되는 조명광을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 측을 향해 확산시키기 위한 요철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은 생활 폐기물이나 건축 폐기물 등과 같은 각종 폐기물을 활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자원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을 갖는 폐자재들을 임의로 조합 및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블록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은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블록들을 임의로 조합 및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조형벽체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벽체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1)은 본체(10)와, 조형장식부(20)와, 개방창부(3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되고, 상면(11)과 하면(12) 그리고 좌측면(13)과 우측면(14)이 각각 폐쇄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조형장식부(20) 및 개방창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된 육면체 구조를 가진다.
조형장식부(20)는 본체(10) 내측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본체(10)를 장식하는 구성으로서, 폐자재로 구성되고,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 및 고정된다.
조형장식부(20)는 폐자재의 길이방향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본체(10)의 전후 폭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조형장식부(20)를 구성하는 폐자재들은 생활, 건축, 건설 쓰레기나 폐기물로 구성된다. 조형장식부(20)를 구성하는 폐자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폐파이프(21)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원형 폐파이프(21)들의 다양한 조합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및 형상이 표출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형장식부(20)는 원형 폐파이프(21)들을 상하 및 좌우로 서로 인접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원형 폐파이프(21) 내부에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다른 여러 원형 폐파이프(21)를 삽입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형장식부(20)를 구성하는 폐자재들을 원형 폐파이프(21)뿐만 아니라, 사각 폐파이프(22) 및 각종 각형 파이프, 금속 평철이나 금속 스트립, 'L'자형 앵글(23), 'ㄷ'자형 찬넬(24), M-Bar 및 T-Bar 등과 같은 프레임, 방부목(25)이나 각목 등과 같은 목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또한 마찬가지로, 본체(10) 내측에 서로 다른 종류의 폐자재들을 조합 및 배치하여 본체(10) 내측에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표출할 수 있도록 폐자재 종류별로 다양한 사이즈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조형장식부(20)는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는 원형 폐파이프(21)들을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하거나, 사각 폐파이프(22) 내부에 원형 폐파이프(21)를 삽입 및 배치하거나, 원형 폐파이프(21) 내부에 사각 폐파이프(22)를 삽입 및 배치하거나, 원형 폐파이프(21) 또는 사각 폐파이프(22) 내부에 앵글(23)이나 찬넬(24), 각목, 방부목(25)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조형장식부(20)는 도시된 예로 한정하지 않으며, 폐자재들의 다양한 조합 및 배치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표출할 수 있다.
개방창부(30)는 본체(10) 내부의 공간부를 조형장식부(2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와, 개방된 개방공간부로 구획하는 것으로, 본체(10) 내측에 설치된다.
개방창부(30)는 복수의 사각 판재(31)들로 구성되며, 내측에 개방창이 형성되도록 상호 결합된다. 개방창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31)의 일 측이 본체(10) 내측에 결합되어 본체(10) 내부에 지지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31)들이 본체(10)와 일체의 연결없이 조형장식부(20)에 의해 본체(10) 내측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다.
개방창부(30)는 판재(31)를 본체(10)와 결합하여 본체(10)의 특정 위치에 고정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본체(10)와 연결시키지 않고서 조형장식부(20)를 이용하여 본체(10) 내측에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개방창부(30)는 도시된 예에서 사각형으로 형성한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개방창부(30) 내에는 폐콘크리트 블록(미도시) 또는 폐시멘트 블록(미도시) 등을 적재 및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1B)은 조명부(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명부(40)는 본체(10) 내측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체(10)의 전후 폭 방향 중앙 내주면을 따라 설치된다.
본체(10)에 조명부(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폐자재는 본체(10)의 전후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적용하며, 폐자재들은 본체(10)의 전후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본체(10)의 전후 폭 방향 중앙에 조명부(4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조명부(40)는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연한 플렉시블기판(41)과, 플렉시블기판(41)의 일 면에 실장되는 LED(42)를 포함하여 구성된 LED Bar를 적용할 수 있다. 조명부(40)는 본체(10)의 전후 폭 방향 중앙 부분에 본체(10)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설치홈(15)에 삽입 설치된다. 설치홈(15)은 조명부(4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일 측에는 조명부(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연결부가 더 구비된다.
조명부(40)는 본체(10)의 상면과 하면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의 내주면 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측의 면을 향해 빛을 방출하며, 조명부(40)에서 방출되는 빛은 폐자재에 의해 반사되어 본체(10)의 전면 및 후면 측으로 방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1C)은 도광부(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광부(50)는 본체(10)의 전후 폭 방향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 면과 타 면이 각각 본체(1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도광부(50)는 본체(10)의 내주면 측의 조명부(40)에서 출력되는 조명광을 본체(10)의 상하 길이방향 및 좌우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전달한다.
도광부(50)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며, 바람직하게 폐아크릴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광부(50)는 설치홈(15)으로부터 설치홈(15) 주변으로 연장된 장착홈(16)에 설치된다.
장착홈(16)은 본체(10)의 전후 폭 방향 중앙에 본체(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설치홈(15)으로부터 본체(10)의 전후 폭 방향으로 설치홈(15)보다 폭이 더 확장되고 설치홈(15)과 단차지게 형성된다.
도광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40)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도광부(50)의 가장자리 측에 조명부(40)를 일정 깊이 진입될 수 있는 진입홈을 형성하여 조명부(40)가 도광부(50) 내측으로 일정 깊이 진입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향하는 도광부(50)의 일 면과 타 면에는 각각 내부를 따라 전달되는 조명광을 본체(10)의 전면과 후면 측을 향해 고르게 확산시키기 위한 요철면부(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요철면부(55)는 도광부(50)의 표면을 사포 등으로 문질러 불규칙한 요철 구조를 가지는 것을 적용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별도의 확산필름을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10)의 내주면 측을 향하는 도광부(50)의 가장자리 측에도 조명광의 확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도광부(5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요철면부(55)와 동일한 구조의 요철면부(55)가 형성되거나 확산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형벽체구조물(100)은 복수의 블록들(1, 1A, 1B, 1C)을 구비하며, 복수의 블록들(1, 1A, 1B, 1C)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형벽체구조물(100)을 형성하는 블록들(1, 1A, 1B, 1C)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들(1, 1A, 1B, 1C)을 선택적으로 조합 적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형벽체구조물(100)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1, 1A, 1B, 1C)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블록(1, 1A, 1B, 1C)의 좌우 길이 또는 상하 길이가 서로 다른 것들을 임의로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각 블록(1, 1A, 1B, 1C)들은 좌우 길이 또는 상하 길이만 다를뿐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1, 1A, 1B, 1C)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고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형벽체구조물(100)은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붕괴 및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블록(1, 1A, 1B, 1C) 상호를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는 일 측 블록(1, 1A, 1B, 1C)의 본체(10)와 타 측 블록(1, 1A, 1B, 1C)의 본체(10)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적용할 수도 있고, 일 측 블록(1, 1A, 1B, 1C)의 본체(10)를 관통하여 타 측 블록(1, 1A, 1B, 1C)의 본체(10)에 체결되는 체결피스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1A, 1B, 1C : 블록
10 : 본체
20 : 조형장식부
21 : 원형 폐파이프
22 : 사각 폐파이프
23 : 앵글
24 : 찬넬
25 : 방부목
30 : 개방창부
40 : 조명부
50 : 도광부

Claims (8)

  1.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 좌측면과 우측면이 각각 폐쇄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본체와;
    파이프와, 앵글과, 찬넬과, 목재를 포함하는 폐자재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에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폐자재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폐자재의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조형장식부와;
    상기 본체 내부의 공간부를 상기 조형장식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와 개방된 개방공간부로 구획하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개방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폐자재는 상기 본체의 전후 폭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중앙에 상기 조명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중앙에 일 면과 타 면이 각각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출력되는 조명광을 전달하는 도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의 양면에는 내부를 따라 전달되는 조명광을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 측을 향해 확산시키기 위한 요철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5. 복수의 블록이 상하로 적층 및 좌우로 배치되어 형성된 조형벽체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 좌측면과 우측면이 각각 폐쇄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본체와,
    파이프와, 앵글과, 찬넬과, 목재를 포함하는 폐자재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에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폐자재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폐자재의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조형장식부와,
    상기 본체 내부의 공간부를 상기 조형장식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와 개방된 개방공간부로 구획하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개방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벽체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폐자재는 상기 본체의 전후 폭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중앙에 상기 조명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벽체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본체의 전후 폭 방향 중앙에 일 면과 타 면이 각각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출력되는 조명광을 전달하는 도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벽체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의 양면에는 내부를 따라 전달되는 조명광을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 측을 향해 확산시키기 위한 요철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벽체구조물.




KR1020210060983A 2021-05-11 2021-05-11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 KR102512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983A KR102512240B1 (ko) 2021-05-11 2021-05-11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983A KR102512240B1 (ko) 2021-05-11 2021-05-11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19A true KR20220153419A (ko) 2022-11-18
KR102512240B1 KR102512240B1 (ko) 2023-03-20

Family

ID=8423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983A KR102512240B1 (ko) 2021-05-11 2021-05-11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2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384Y1 (ko) 2004-02-20 2004-05-12 김남진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층 수질정화블럭
KR200368970Y1 (ko) 2004-08-27 2004-12-03 김희득 건축폐기물과 폐슬러지를 이용한 재활용 블록
KR200431571Y1 (ko) * 2006-09-08 2006-11-23 홍성표 조명 장식장
KR100930080B1 (ko) 2009-03-06 2009-12-08 주식회사 신앤우 환경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화 블록
KR20200001643A (ko) * 2018-06-26 2020-01-07 이종원 모스를 이용한 입체 액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384Y1 (ko) 2004-02-20 2004-05-12 김남진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층 수질정화블럭
KR200368970Y1 (ko) 2004-08-27 2004-12-03 김희득 건축폐기물과 폐슬러지를 이용한 재활용 블록
KR200431571Y1 (ko) * 2006-09-08 2006-11-23 홍성표 조명 장식장
KR100930080B1 (ko) 2009-03-06 2009-12-08 주식회사 신앤우 환경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화 블록
KR20200001643A (ko) * 2018-06-26 2020-01-07 이종원 모스를 이용한 입체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240B1 (ko) 202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4124B2 (en) Acoustic light panel
CA2460111A1 (en) Lighting apparatus for incorporation into walls, panels, ceilings, floors or similar structures
KR101949492B1 (ko)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 마감 패널
KR101044454B1 (ko) 투광판의 용이한 고정구조를 갖는 천정직착등용 커버체
KR20190104135A (ko) 광 편향 장치, 조명 장치 및 용도
KR102512240B1 (ko) 폐자재를 활용한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조형벽체구조물
US7481549B2 (en) Luminous glass wall
KR101779970B1 (ko) 측면 발광식 조명장치
TW200600900A (en) A light guide plate and a backlight moudule using the
JP5337094B2 (ja) 照明装置の取り付け構造
CN205037090U (zh) 直下式led平板灯
CN213143703U (zh) 新型环保uhg高光硬化装饰板材
KR20100131596A (ko) 벽 장식재
CN207246929U (zh) Led洗墙灯透镜及led洗墙灯
CN209990208U (zh) 一种泳池溢水槽盖板
KR200252817Y1 (ko) 방음벽
CN217123683U (zh) 一种用于生产采光板的塑形模具
KR101691138B1 (ko) 기둥과 보를 이용한 자연채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
CN216446335U (zh) 一种可更换发光源的复合石板
WO2011132459A1 (ja) 照明装置の取り付け構造
CN218161666U (zh) 一种用于水电管路的轻钢龙骨安装结构
CN202452222U (zh) 绝缘散热式led灯管
CN215889090U (zh) 带灯槽的墙板连接线条及装配结构
CN217273784U (zh) 一种适用于管线密集场所的线槽灯
JP2014075315A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