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293A -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293A
KR20220153293A KR1020210060695A KR20210060695A KR20220153293A KR 20220153293 A KR20220153293 A KR 20220153293A KR 1020210060695 A KR1020210060695 A KR 1020210060695A KR 20210060695 A KR20210060695 A KR 20210060695A KR 20220153293 A KR20220153293 A KR 20220153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aper
nose
folded
bridg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242B1 (ko
Inventor
김장중
서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피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피씨
Priority to KR1020210060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2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는 몸체필터지의 배면 상부필터지에 안쪽으로 하향되게 꺾인 제1 접힘필터지를 연장 형성되고, 제1 접힘필터지의 중앙에 형성된 코지지대가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 시 코지지대가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따라 굴곡되는 형상 변형될 때 제1 접힘필터지가 착용자의 콧등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상부필터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주게 되므로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를 상부필터지와 제1 접힘필터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체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눈 쪽으로 올라가서 안경에 김서림을 일으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Mask for breath barrier of nose}
본 발명은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사용 시 콧등측으로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기후 변화로 자주 발생되는 황사 등 자연적인 대기 환경의 악화와 경제 발전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에 대한 대기 오염, 인구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과 인위적인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창궐하는 바이러스와 세균 등으로부터 개인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종래에도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입김이 눈 쪽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하여 안경에 김이 서리지 않도록 하는 마스크가 다수 특허 및 실용신안으로 출원된 바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98158호의 김서림 방지구조를 갖는 마스크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김서림 방지구조를 갖는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릴 수 있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 양쪽에 부착된 귀걸이 끈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상부 내면 양쪽에 절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통로 차단판과 상기 통로 차단판 사이에 형성되는 콧등 접촉요입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콧등 접촉요입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통로 차단판의 상부가 덮개판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통로 차단판이 세워진 끝단과 콧등이 긴밀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틈새를 형성함에 따라 그 틈새로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눈 쪽으로 올라가서 안경에 김이 서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8158호(2002.12.02.)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마스크의 상부덮개필터지와 얼굴 사이의 콧등 사이로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누설되지 않고 체류되도록 차단할 수 있는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는, 몸체필터지의 좌우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귀걸이밴드; 상기 몸체필터지의 배면 상부와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열압착되어 상기 몸체필터지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펼쳐지는 상부필터지 및 하부필터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필터지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필터지를 펼쳐서 착용할 때 상기 상부필터지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하향되게 꺾인 상태로 착용자의 콧등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필터지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접힘필터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접힘필터지는, 좌우측 길이가 상기 상부필터지의 좌우측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하단 높이가 상기 상부필터지의 하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접힘필터지의 중앙에는 상기 제1 접힘필터지를 착용자의 콧등에 밀착시키는 코지지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는, 몸체필터지의 좌우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귀걸이밴드; 상기 몸체필터지의 배면 상부와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열압착되어 상기 몸체필터지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펼쳐지는 상부필터지 및 하부필터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필터지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필터지를 펼쳐서 착용할 때 상기 상부필터지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하향되게 꺾인 제1 접힘필터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힘필터지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필터지를 펼쳐서 착용할 때 상기 제1 접힘필터지의 하단에서 안쪽으로 상향되게 꺾인 제2 접힘필터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접힘필터지의 중앙에는 상기 제2 접힘필터지를 착용자의 콧등에 밀착시키는 코지지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는 몸체필터지의 배면 상부필터지에 안쪽으로 하향되게 꺾인 제1 접힘필터지를 연장 형성되고, 제1 접힘필터지의 중앙에 형성된 코지지대가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 시 코지지대가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따라 굴곡되는 형상 변형될 때 제1 접힘필터지가 착용자의 콧등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상부필터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주게 되므로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를 상부필터지와 제1 접힘필터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체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눈 쪽으로 올라가서 안경에 김서림을 일으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1은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를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를 도시한 착용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5는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를 도시한 착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는, 몸체필터지(10); 상기 몸체필터지(10)의 좌우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귀걸이밴드(20); 상기 몸체필터지(10)의 배면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열압착되어 상기 몸체필터지(10)의 상부로 펼쳐져 착용자의 콧등 상부까지 확장되는 상부필터지(30); 및 상기 몸체필터지(10)의 배면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열압착되어 상기 몸체필터지(10)의 하부로 펼쳐져 착용자의 턱 안쪽까지 확장되는 하부필터지(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필터지(10), 상기 상부필터지(30) 및 상기 하부필터지(40)는 안감과 겉감 사이에 개재된 3중 두께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필터지(3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필터지(30)를 펼쳐서 착용할 때 상기 상부필터지(30)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하향되게 꺾인 상태로 착용자의 콧등에 직접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필터지(30)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접힘필터지(32)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는, 좌우측 길이가 상기 상부필터지(30)의 좌우측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단 높이가 상기 상부필터지(30)의 하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는 상기 몸체필터지(10)와 상기 상부필터지(30)의 재질 및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의 중앙에는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따라 굴곡되면서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를 착용자의 콧등에 밀착시키도록 철심으로 이루어진 코지지대(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코지지대(50)는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의 두께 내에 좌우측으로 배치되면서 열압착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처럼,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는 도 4와 같이 상기 코지지대(50)가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따라 굴곡되는 형상 변형에 의해 착용자의 콧등에 긴밀하게 밀착될 때 상기 상부필터지(30)가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의 영향을 받지 않고 떠있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주기 때문에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제1 접힘필터지(32)와 착용자의 콧등 사이로 바로 누설되지 않고 상부필터지(30)와 제1 접힘필터지(3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체류하게 되므로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눈 쪽으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1 접힘필터지(32)가 코지지대(50)에 의해 콧등과 양 볼의 얼굴 피부에 긴밀하게 밀착될 때 제1 접힘필터지(32)와 상부필터지(30)의 사이 공간 중 콧등의 사이 공간은 좁을 수 있으나, 콧등과 양 볼 사이 쪽으로 갈수록 제1 접힘필터지(32)와 상부필터지(30)의 사이 공간은 넓어지기 때문에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를 더 많이 체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눈 쪽으로 올라가서 안경에 김서림을 일으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는, 몸체필터지(10)에 상부필터지(30), 제1 접힘필터지(32), 하부필터지(40), 코지지대(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필터지(30)를 펼쳐서 착용할 때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의 하단에서 안쪽으로 상향되게 꺾인 상태로 착용자의 콧등에 직접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 접힘필터지(34)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접힘필터지(34)는, 좌우측 길이가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의 좌우측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단 높이가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힘필터지(34)는 상기 몸체필터지(10)와 상기 상부필터지(30) 및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의 재질 및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힘필터지(34)의 중앙에는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따라 굴곡되면서 상기 제2 접힘필터지(34)를 착용자의 콧등에 밀착시키도록 철심으로 이루어진 코지지대(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코지지대(50)는 상기 제2 접힘필터지(34)의 두께 내에 좌우측으로 배치되면서 열압착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처럼, 상기 제2 접힘필터지(34)는 도 7과 같이 상기 코지지대(50)가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따라 굴곡되는 형상 변형에 의해 착용자의 콧등에 긴밀하게 밀착될 때 상기 상부필터지(30)와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가 상기 제2 접힘필터지(34)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여유있게 각각 떠있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주기 때문에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제2 접힘필터지(34)와 착용자의 콧등 사이로 바로 누설되지 않고 상부필터지(30)와 제1 접힘필터지(3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체류하게 되므로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눈 쪽으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2 접힘필터지(34)가 코지지대(50)에 의해 콧등과 양 볼의 얼굴 피부에 긴밀하게 밀착될 때 제2 접힘필터지(34)로부터 제1 접힘필터지(32)와 상부필터지(30)가 콧등으로부터 자바라 방식으로 더 멀리 벌어지면서 사이 공간을 넓혀주기 때문에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를 더 많이 체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눈 쪽으로 올라가서 안경에 김서림을 일으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몸체필터지 20 : 귀걸이밴드
30 : 상부필터지 32 : 제1 접힘필터지
34 : 제2 접힘필터지 40 : 하부필터지
50 : 코지지대

Claims (5)

  1. 몸체필터지(10)의 좌우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귀걸이밴드(20);
    상기 몸체필터지(10)의 배면 상부와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열압착되어 상기 몸체필터지(10)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펼쳐지는 상부필터지(30) 및 하부필터지(4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필터지(3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필터지(30)를 펼쳐서 착용할 때 상기 상부필터지(30)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하향되게 꺾인 상태로 착용자의 콧등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필터지(30)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접힘필터지(32)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는,
    좌우측 길이가 상기 상부필터지(30)의 좌우측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하단 높이가 상기 상부필터지(30)의 하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의 중앙에는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를 착용자의 콧등에 밀착시키는 코지지대(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4. 몸체필터지(10)의 좌우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귀걸이밴드(20);
    상기 몸체필터지(10)의 배면 상부와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열압착되어 상기 몸체필터지(10)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펼쳐지는 상부필터지(30) 및 하부필터지(4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필터지(3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필터지(30)를 펼쳐서 착용할 때 상기 상부필터지(30)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하향되게 꺾인 제1 접힘필터지(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필터지(30)를 펼쳐서 착용할 때 상기 제1 접힘필터지(32)의 하단에서 안쪽으로 상향되게 꺾인 제2 접힘필터지(34)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힘필터지(34)의 중앙에는 상기 제2 접힘필터지(34)를 착용자의 콧등에 밀착시키는 코지지대(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KR1020210060695A 2021-05-11 2021-05-11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KR10256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95A KR102561242B1 (ko) 2021-05-11 2021-05-11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95A KR102561242B1 (ko) 2021-05-11 2021-05-11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93A true KR20220153293A (ko) 2022-11-18
KR102561242B1 KR102561242B1 (ko) 2023-07-31

Family

ID=8423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695A KR102561242B1 (ko) 2021-05-11 2021-05-11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2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158Y1 (ko) 2002-08-31 2002-12-16 박평인 김서림 방지구조를 갖는 마스크
KR20170003887A (ko) * 2016-12-21 2017-01-10 이예지 입김차단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158Y1 (ko) 2002-08-31 2002-12-16 박평인 김서림 방지구조를 갖는 마스크
KR20170003887A (ko) * 2016-12-21 2017-01-10 이예지 입김차단용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242B1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798B1 (ko)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US9039167B2 (en) Glasses
KR101971468B1 (ko) 입김차단용 마스크
KR20190009814A (ko) 점착 테이프가 부착된 마스크
KR20190140876A (ko)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102568995B1 (ko) 마스크
KR102561242B1 (ko)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KR20150126099A (ko)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KR20190072304A (ko) 마스크윈도우 김서림 방지 구조
KR200420156Y1 (ko) 보안경 겸 마스크
KR102339707B1 (ko) 차단구
KR20230027955A (ko)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KR200428284Y1 (ko) 마스크
KR200497841Y1 (ko) 안경 김서림 방지용 안면 마스크
JP3233333U (ja) 眼鏡フロント部の隙間ガード及び隙間ガードを取付けた眼鏡
KR102297698B1 (ko) 김서림 방지 패드
KR102640783B1 (ko) 안경김서림방지패드를 갖는 마스크
KR102556624B1 (ko) 일체형 마스크
CN215455595U (zh) 一种防眼镜起雾口罩
KR200494605Y1 (ko) 차폐용 실리콘 패드
KR20210156548A (ko) 이격용 마스크 프레임
KR20220052723A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20220084233A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20230066921A (ko) 김서림 방지 구조가 구비된 마스크
KR20220040681A (ko) 구역 분리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