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707B1 - 차단구 - Google Patents

차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707B1
KR102339707B1 KR1020200183682A KR20200183682A KR102339707B1 KR 102339707 B1 KR102339707 B1 KR 102339707B1 KR 1020200183682 A KR1020200183682 A KR 1020200183682A KR 20200183682 A KR20200183682 A KR 20200183682A KR 102339707 B1 KR102339707 B1 KR 10233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ain
blocking
auxiliary
b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홍
Original Assignee
삼미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미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미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707B1/ko
Priority to KR1020210174247A priority patent/KR20220092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8Anti-misting means, e.g. ventilating, heating; Wip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차단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단구는, 안경테나 안경알을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부; 및 결합부에 마련되어 결합 대상물의 김서림 방지 및 차양, 방진, 방풍, 방수, 방습 기능을 하는 주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단구{INTERCEP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에 결합되어 마스크를 착용시 입김으로 인해 안경이나 선글라스에 김서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차양, 방진, 방수, 방풍, 방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병균이나 먼지가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리도록 하는 것으로, 보통 양측 귀에 걸에 착용할 수 있도록 양측에 귀걸이가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마스크의 몸체는 보통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바이러스를 포함한 비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재질로 형성되어 호흡시 입 또는 코로 배출되는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공기가 몸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상의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일반인의 경우에는 특별한 문제점이 없으나,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의 경우 착용하는 마스크에 의하여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여 시야의 확보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즉,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의 호흡시 마스크 내측의 습도와 온도가 높은 공기가 몸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나, 일부의 공기가 몸체를 통과하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됨으로써 착용한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또는 추위로 마스크를 끼는 경우에 안경 김서림은 불편감을 야기하였고, 의료진이나 운동선수처럼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에 안경 김서림 방지는 중요한 사항이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665호(신성준) 2014. 09. 2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에 결합되어 마스크를 착용시 입김으로 인해 안경이나 선글라스에 김서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양, 방진, 방수, 방풍, 방습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경테나 안경알을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 대상물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주 차단부를 포함하는 차단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 차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의 베이스 바디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주 차단부의 모양을 유지시키거나, 상기 주 차단부를 받쳐주는 마지막 방어선을 형성하여 상기 주 차단부의 차단을 돕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와 상기 주 차단부의 영역의 일단부를 막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입김이 상기 일단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막는 제1 보조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입김이 상기 결합 대상물의 바깥쪽으로 가는 것을 차단하는 바깥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 분실 방지 끈, 무선 이어폰 홀더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를 결합하기 위해 마련되는 외부 장치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대상물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결합 대상물과 상기 제1 보조 차단부의 틈 사이 혹은 상기 결합 대상물의 바깥쪽으로 입김이 새는 것을 막아주는 제2 보조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상기 주 차단부, 상기 제1 보조 차단부 및 상기 제2 보조 차단부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주 차단부가 일측에 마련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 대상물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스크를 착용시 입김으로 인해 안경이나 선글라스에 김서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적용 위치에 따라 차양, 방진, 방수, 방풍, 방습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미 사용시에 안경다리에 본 실시예를 끼워서 보관할 수 있다.
나아가, 경면사상 처리를 이용한 투명처리로 미관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안경알에의 홀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 결합부에 분실 방지 끈 등 외부 장치를 달 수 있고, 미 사용 보관시 무선 이어폰을 꽂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목적으로 용도 확대가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피부에 닿을 수 있는 주 차단부를 샌딩 처리하여 주 차단부가 피부에 달라붙어 불쾌감이 드는 걸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를 결합 대상물에 착용 시 주 차단부가 반원 형태로 휘어진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1 보조 차단부와 제2 보조 차단부에 모인 입김이 화살표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주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주 차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1의 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 예가 사용자의 안경테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 예가 사용자의 안경 다리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를 결합 대상물에 착용 시 주 차단부가 반원 형태로 휘어진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1 보조 차단부와 제2 보조 차단부에 모인 입김이 화살표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주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주 차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1의 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 예가 사용자의 안경테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실시 예가 사용자의 안경 다리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1)는, 안경테(200)나 안경알(100)을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에 탈착 결합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결합의 기준이 되는 베이스 바디(11)와 결합을 위해 베이스 바디(11) 쪽으로 힘을 가하는 결합 홀더(12)로 나뉠 수 있는 결합부(10)와, 결합부(10) 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입김이나 햇빛, 먼지, 물, 바람, 기타 습기를 차단해 안경알(100)의 김서림, 안경알(100)의 훼손, 안경알(100)의 오염으로 인한 시야 방해를 방지하거나, 안구를 보호해주는 주 차단부(30)와, 주 차단부(30)의 길이 방향으로 베이스 바디(11)와 주 차단부(30)에 접하거나 혹은 베이스 바디(11)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주 차단부(30)의 모양을 유지시키거나, 주 차단부(30)를 받쳐주는 마지막 방어선을 형성하여 주 차단부(30)의 효율적 차단을 돕는 지지대(40)와, 베이스 바디(11)와 주 차단부(30)의 일단부를 막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입김이 일단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막는 제1 보조 차단부(50)와, 안경테(20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안경테(200)와 제1 보조 차단부(50)의 틈 사이 혹은 결합 대상물의 바깥쪽으로 입김이 새는 것을 막아주는 제2 보조 차단부(60)와, 결합부(10)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입김이 결합 대상물의 바깥쪽으로 가는 것을 차단하는 바깥 날개부(70)와, 결합부(10) 에, 분실 방지 끈, 무선 이어폰 홀더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를 결합하기 위해 마련되는 외부 장치 결합부(80)를 구비한다.
결합부(10)는, 일반적인 집게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집게 형태는 다양한 형상 및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부(10)를 설명상 필요에 의해 결합의 기준이 되는 베이스 바디(11)와 결합을 위해 베이스 바디 쪽으로 힘을 가하는 결합 홀더(12)로 나누었을 때, 베이스 바디(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결합 홀더(12)와 주 차단부(30)의 연결 장소 및 지지대(40)의 부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주 차단부(30)의 영역은 도 2에 도시된 납작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1)에는 주 차단부(30)를 반원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대(40)의 일측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1)의 일단부의 영역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 차단부(50)와 제2 보조 차단부(6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결합부(10)와 주 차단부(30)와 제1 보조 차단부(50)와 제2 보조 차단부(60)와 바깥 날개부(70)와 외부 장치 결합부(80)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실리콘의 표면은 경면 사상 처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경면 사상이라는 실리콘 금형 처리를 이용해 실리콘의 투명도 및 유리에의 부착력을 증가시켜 결합부(10)를 안경알(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결합부(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알(100)과 안경테(200)에 결합되어 본 실시 예를 안경에 탈착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부(10)를 안경알(100)이나 안경테(200)에 결합 시 결합부(10)가 벌어져서 안경알(100)과 안경테(200)를 잡기 때문에 안경알(100) 및 안경테(200)의 두께에 무관하게 시중의 대부분의 안경이나 선글라스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안경테(200) 혹은 안경알(100)의 두께가 1 내지 6mm이면 어떤 안경 또는 선글라스에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결합부(10)는 미 사용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다리(300)에 결합될 수 있고, 외부 장치 결합부(80)에 끈과 같은 분실 방지 부재를 연결해 안경 다리(300)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결합부(10)는 유선형으로 마련되어 안경 또는 선글라스를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에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 있고, 제1 보조 차단부(50)와 제2 보조 차단부(60)도 유선형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코 옆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결합부(10)는 사각 형태의 베이스 바디(11)에 반원 형태의 결합 홀더(12)가 연결된 형태를 가지지만, 일반적인 집게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평평한 접합면을 몇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사이사이를 얇은 막 처리한 얇은 막 추가형이나 얇은 막 부분을 아예 비워 갈퀴형으로 만들 경우 다양한 곡률의 안경알(100)과 안경테(2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얇은 막 추가형이나 갈퀴형으로 구현하였을 때, 약화될 수 있는 결합력을 보완하기 위해서 결합면의 상단을 현재의 완만한 선이 아닌, 예를 들어 상어 이빨과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맞물리게 마련하여 결합의 힘을 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주 차단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0) 의 일측부에 마련되며 김 서림 방지용으로 사용 시 일측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주 차단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사용시에, 도 7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휘어져 반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주 차단부(30)가 사용자의 얼굴에 가하는 압박이 넓게 분산되어 착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주 차단부(30)는 샌딩 처리되어 사용 시 사용자의 피부에 쩍쩍 달라붙어 불쾌감이 드는 걸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안경이나 선글라스의 위, 아래 혹은 안경 다리(300)에 주 차단부(50)의 방향을 다르게 착용함으로써 차양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를 전술한 방법과 같은 방식으로 착용하되 결합부(10)를 안경테(200)의 전체로 확장할 경우 김서림뿐만 아니라 방진, 방수, 방풍, 방습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주 차단부(30a)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의 위치와 세로 방향으로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주 차단부(3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홀더(12)의 하단 연장면으로 연결되어 넓은 하단막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와 주 차단부(30)에 접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주 차단부(30)를 반원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대(40)는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삼각형의 뾰족한 부분이 주 차단부(30)쪽을 향해 있어 뾰족한 선을 따라 주 차단부(30)가 지지대(40)에 의해 지지되어 적절한 최소한의 압력을 가하는 방어선을 만들어 입김 등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대(40)는 삼각형 외에 원형, 타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보조 차단부(5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40)를 제거하여 제1 보조 차단부(50)의 라인을 따라 자연스럽게 구부러져 입김이 새기 쉬운 제1 보조 차단부(50)의 벽쪽을 완벽하게 막히게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지지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차단부(30)의 길이 방향으로 베이스 바디(11)와 주 차단부(30)에 접하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40)는 주 차단부(30) 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부(10)의 전체에 걸쳐서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조 차단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와 주 차단부(30)의 일단부를 막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입김이 상기 일단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보조 차단부(50)는 베이스 바디(11)에서 연장되는 연장 바디(5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보조 차단부(50)는 코 벽을 따라 올라가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보조 차단부(50)는 어떠한 코 모양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보조 차단부(60)는, 안경테(20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안경테(200)와 제1 보조 차단부(50)의 틈 사이 혹은 결합 대상물의 바깥쪽으로 입김이 새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보조 차단부(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결합 홀더(12)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타측부는 제1 보조 차단부(50)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깥 날개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0)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입김이 결합 대상물의 바깥쪽으로 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바깥 날개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차단부(30)와 같은 방향으로 굴곡질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차단부(30)와 반대 방향으로 굴곡질 수도 있다.
외부 장치 결합부(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0) 에 마련되어 분실 방지 끈, 무선 이어폰 홀더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의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외부 장치 결합부(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차단구
10 : 결합부 11 : 베이스 바디
12 : 결합 홀더 30,30a : 주 차단부
40 : 지지대 50 : 제1 보조 차단부
51 : 연장 바디 60 : 제2 보조 차단부
70 : 바깥 날개부 80 : 외부 장치 결합부
100 : 안경알 200 : 안경테
300 : 안경 다리

Claims (8)

  1. 안경테나 안경알을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 대상물의 김서림을 포함하는 오염이나 훼손을 방지하거나 안구를 보호하는 주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베이스 바디와 상기 주 차단부의 영역의 일단부를 막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입김이 상기 일단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막는 제1 보조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대상물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결합 대상물과 상기 제1 보조 차단부의 틈 사이 혹은 상기 결합 대상물의 바깥쪽으로 입김이 새는 것을 막아주는 제2 보조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차단부의 일측부는 상기 결합부의 결합 홀더에 접하도록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1 보조 차단부에 접하게 마련되는 차단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차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주 차단부의 모양을 유지시키거나 상기 주 차단부를 받쳐주는 마지막 방어선을 형성하여 상기 주 차단부의 차단을 돕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차단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입김이 상기 결합 대상물의 바깥쪽으로 가는 것을 차단하는 바깥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차단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분실 방지 끈, 무선 이어폰 홀더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를 결합하기 위해 마련되는 외부 장치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차단구.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상기 주 차단부, 상기 제1 보조 차단부 및 상기 제2 보조 차단부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차단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주 차단부가 일측에 마련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 대상물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 홀더를 포함하는 차단구.
KR1020200183682A 2020-12-24 2020-12-24 차단구 KR10233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682A KR102339707B1 (ko) 2020-12-24 2020-12-24 차단구
KR1020210174247A KR20220092378A (ko) 2020-12-24 2021-12-07 차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682A KR102339707B1 (ko) 2020-12-24 2020-12-24 차단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247A Division KR20220092378A (ko) 2020-12-24 2021-12-07 차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707B1 true KR102339707B1 (ko) 2021-12-16

Family

ID=790331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682A KR102339707B1 (ko) 2020-12-24 2020-12-24 차단구
KR1020210174247A KR20220092378A (ko) 2020-12-24 2021-12-07 차단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247A KR20220092378A (ko) 2020-12-24 2021-12-07 차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39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924B1 (ko) * 2021-11-16 2022-11-03 삼미글로벌 주식회사 안경을 위한 김서림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44185U (zh) * 2013-08-09 2014-02-19 杭州市上城区青少年科技辅导员协会 一种眼镜防雾装置
KR200474665Y1 (ko) 2013-12-17 2014-10-06 신성준 기능성 마스크
CN204945524U (zh) * 2015-09-07 2016-01-06 周毅俊 一种安全载物眼镜架
CN211348902U (zh) * 2020-03-10 2020-08-25 张东海 一种眼镜与口罩同戴防镜片起雾组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44185U (zh) * 2013-08-09 2014-02-19 杭州市上城区青少年科技辅导员协会 一种眼镜防雾装置
KR200474665Y1 (ko) 2013-12-17 2014-10-06 신성준 기능성 마스크
CN204945524U (zh) * 2015-09-07 2016-01-06 周毅俊 一种安全载物眼镜架
CN211348902U (zh) * 2020-03-10 2020-08-25 张东海 一种眼镜与口罩同戴防镜片起雾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924B1 (ko) * 2021-11-16 2022-11-03 삼미글로벌 주식회사 안경을 위한 김서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378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71973B2 (ja) スポーツ等に使用される眼の保護具
US6666554B2 (en) Protective eyewear kit
JPH03501572A (ja) 外科用保護顔マスク
WO2018196545A1 (zh) 可穿戴设备
US6374424B1 (en) Protective face mask
KR102339707B1 (ko) 차단구
JPH09239050A (ja) 口や鼻を覆う様々なマスク及びスキ−のフェ−スマスク用の隙間埋め部材、及び同部材を顔面防具と一体化したくもり止め付き顔面防護マスク
JP5876531B2 (ja) 眼鏡曇り防止器具
KR102396284B1 (ko) 안경 김서림방지 클립
JP2022014933A (ja) フェイスガード
KR20180129228A (ko) 안구 보호 일체형 방호 마스크
TW200422037A (en) Improved protective goggles
KR200420156Y1 (ko) 보안경 겸 마스크
KR102331999B1 (ko) 마스크용 김서림 방지용구
CN215839889U (zh) 多功能护目镜
US8770740B2 (en) Eyewear
JP5735466B2 (ja) メガネの曇り止めマスク
JP3011320U (ja) X線防護オーバーグラス
US6704935B1 (en) Clear tanning glasses with opaque eyepieces
KR200497841Y1 (ko) 안경 김서림 방지용 안면 마스크
CN213457573U (zh) 一种新型防护眼镜
CN212395193U (zh) 一种防疫护目镜
CN213465599U (zh) 一种组合式附口罩鼻支架钩的护眼罩
KR200265734Y1 (ko) 밀폐형 보안경
CN212488576U (zh) 防病毒多功能一体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