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468B1 - 입김차단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입김차단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468B1
KR101971468B1 KR1020160175721A KR20160175721A KR101971468B1 KR 101971468 B1 KR101971468 B1 KR 101971468B1 KR 1020160175721 A KR1020160175721 A KR 1020160175721A KR 20160175721 A KR20160175721 A KR 20160175721A KR 101971468 B1 KR101971468 B1 KR 101971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anel
nose
mask
blockin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887A (ko
Inventor
이예지
Original Assignee
이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지 filed Critical 이예지
Priority to KR1020160175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4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김차단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본체의 상단부에 상부패널을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게 형성하고, 얼굴을 향하는 상부패널의 단부에 입김차단막을 수직방향 하측으로 펼쳐져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하되, 상부패널과 입김차단막을 부직포와 같이 자체탄력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하면서 이 입김차단막은 중앙 콧등홈이 콧등에 끼워지고 양측 코골짜기 막음부는 양측 코골짜기를 막을 수 있게 형성하며, 콧등홈의 상측에는 상부패널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패널 접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양측 코골짜기 막음부가 상부패널 측으로 접히지 않고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얼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입김이 상부패널의 상측으로 올라가지 않아서 안경착용자의 안경에 김이 서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크본체(2)의 상단부에 상부패널(3)이 접어지게 설치되고 마스크본체(2)의 양측에 귀걸이부(9)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패널(3)의 얼굴측 단부에는 콧등과 코골짜기 부분을 커버하는 입김차단막(4)이 수직방향 하측으로 펼쳐져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입김차단막(4)은 중앙에 콧등에 끼워지는 콧등홈(5)이 역 "U"자 형태로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콧등홈(5)의 양측에는 코골짜기를 막을 수 있는 코골짜기 막음부(7)가 형성되는 입김차단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콧등홈(5)의 상측에는 상부패널(3)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패널 접착부(6)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패널 접착부(6)가 상부패널(3)의 저면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 설치되고,상기 상부패널(3)과 입김차단막(4)은 접혔다가 펼쳐지도록 자체탄력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패널(3)과 입김차단막(4)의 내부에는 부직포나, 비닐, 발포우레탄시트, 직물지 중의 소재를 택일하여서 되는 심재(10)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김차단용 마스크{Breath barrier mask}
본 발명은 입김차단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본체의 상단부에 상부패널을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게 형성하고, 얼굴을 향하는 상부패널의 단부에 입김차단막을 수직방향 하측으로 펼쳐져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하되, 상부패널과 입김차단막을 부직포와 같이 자체탄력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하면서 이 입김차단막은 중앙 콧등홈이 콧등에 끼워지고 양측 코골짜기 막음부는 양측 코골짜기를 막을 수 있게 형성하며, 콧등홈의 상측에는 상부패널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패널 접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양측 코골짜기 막음부가 상부패널 측으로 접히지 않고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얼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입김이 상부패널의 상측으로 올라가지 않아서 안경착용자의 안경에 김이 서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도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입김이 눈 쪽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하여 안경에 김이 서리지 않도록 하는 마스크가 다수 특허 및 실용신안으로 출원된 바가 있다.
그 한 가지 예가 실용신안등록 제20-0298158호(고안의 명칭 :김서림 방지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고안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실려서 알려지고 있는데, 이는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마스크의 덮개판과 얼굴 사이에 코 높이에 의하여 생기게 되는 통로를 통해 입과 코에서 발생되는 습기가 안경렌즈에 김서림을 하게 되어 시야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종래고안의 특징이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고안의 청구범위 1항에는, 코와 입을 가릴 수 있는 덮개판(본 발명의 마스크본체와 동일)과 상기 덮개판 양쪽에 부착된 귀걸이부로 이루어진 공지의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상부 내면 양쪽에 절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통로 차단판과 상기 통로 차단판 사이에 형성되는 콧등 접촉요입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콧등 접촉요입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통로 차단판의 상부가 덮개판에 재봉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통로 차단판이 세워지지 않고 덮개판 측으로 달라붙게 되어 얼굴의 볼 부분과 코 높이에 의하여 생기게 되는 통로(본 발명에서는 코 골짜기라고 칭함)를 막아주지 못하여 그 통로로 입김과 코에서 나오는 습기가 눈 쪽으로 올라가서 안경에 김이 서리게 되는 문제와, 외부 미세먼지가 코 골짜기를 통해 호흡기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98158호(고안의 명칭 :김서림 방지구조를 갖는 마스크)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본체의 상단부에 상부패널을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게 형성하고, 얼굴을 향하는 상부패널의 단부에 입김차단막을 수직방향 하측으로 펼쳐져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하되, 상부패널과 입김차단막을 부직포와 같이 자체탄력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하면서 이 입김차단막은 중앙 콧등홈이 콧등에 끼워지고 양측 코골짜기 막음부는 양측 코골짜기를 막을 수 있게 형성하며, 콧등홈의 상측에는 상부패널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패널 접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양측 코골짜기 막음부가 상부패널 측으로 접히지 않고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얼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입김이 상부패널의 상측으로 올라가지 않아서 안경착용자의 안경에 김이 서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스크본체의 상단부에 상부패널이 접어지게 설치되고 마스크본체의 양측에 귀걸이부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패널의 얼굴측 단부에는 콧등과 코골짜기 부분을 커버하는 입김차단막이 수직방향 하측으로 펼쳐져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입김차단막은 중앙에 콧등에 끼워지는 콧등홈이 역 "U"자 형태로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콧등홈의 양측에는 코골짜기를 막을 수 있는 코골짜기 막음부가 형성되는 입김차단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콧등홈의 상측에는 상부패널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패널 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패널 접착부가 상부패널의 저면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 설치되고, 상기 상부패널과 입김차단막은 접혔다가 펼쳐지도록 자체탄력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패널과 입김차단막의 내부에는 부직포나, 비닐, 발포우레탄시트, 직물지 중의 소재를 택일하여서 되는 심재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입김차단용 마스크는, 마스크본체의 상단부에 상부패널을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게 형성하고, 얼굴을 향하는 상부패널의 단부에 입김차단막을 수직방향 하측으로 펼쳐져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하되, 상부패널과 입김차단막을 부직포와 같이 자체탄력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하면서 이 입김차단막은 중앙 콧등홈이 콧등에 끼워지고 양측 코골짜기 막음부는 양측 코골짜기를 막을 수 있게 형성하며, 콧등홈의 상측에는 상부패널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패널 접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양측 코골짜기 막음부가 상부패널 측으로 접히지 않고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얼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입김이 상부패널의 상측으로 올라가지 않아서 안경착용자의 안경에 김이 서리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패널에는 입김이 상부패널을 투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부직포나 비닐 등의 심재를 설치함으로써, 상부패널의 상측으로 입김이 투과되어 올라가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배면도.
도 3의 (가)(나)는 도 2의 A-A선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와 단면 사시도.
도 4의 (가)(나)는 도 2의 A-A선 및 B-B선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김차단용 마스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입김차단용 마스크(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2)의 상단부에 상부패널(3)이 접어지게 설치되고 마스크본체(2)의 양측에 귀걸이부(9)가 설치되는 공지된 마스크의 상부패널(3) 단부에 콧등과 코골짜기 부분을 커버하여 입김이 상부패널(3)의 상측으로 투과되지 못하게 하는 입김차단용 마스크(1)에 관한 것이다.
입김차단용 마스크(1)는 상기 공지된 마스크의 마스크본체(2) 상단부에 상기 상부패널(3)이 마스크본체(2)의 배면측으로 접어지게 설치되고, 그 상부패널(3)의 얼굴측 단부에는 콧등과 코골짜기 부분을 커버하는 입김차단막(4)이 상부패널(3)의 저면측으로 접혀져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입김차단막(4)과 상부패널(3)은 부직포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되어 접혔다가 자체탄력에 의해 펼쳐지며, 입김차단막(4)과 상부패널(3)의 내부에 심재(10)를 삽입하여 입김이 위쪽으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게 하고, 이 심재(10)는 부직포나, 비닐, 발포우레탄시트, 직물지 중의 하나의 소재를 선택하여 설치한다.
상기 입김차단막(4)은 중앙에 콧등에 끼워지는 콧등홈(5)이 역 "U"자 형태로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콧등홈(5)의 양측에는 콧등 및 콧방울과 콧볼 사이의 움푹 파인 코골짜기를 막을 수 있는 코골짜기 막음부(7)가 형성되며, 콧등홈(5)의 상측에는 상부패널(3)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패널 접착부(6)가 형성된다.
그리고, 입김차단막(4)이 상부패널(3)의 단부에서 절곡선부(8)에 의해 수직방향 하측으로 절곡되면서 상부패널 접착부(6)가 상부패널(3)의 저면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 설치되어 상부패널 접착부(6)는 상부패널(3)의 저면에 부착되고 양측 코골짜기 막음부(7)가 펼쳐지지 않고 코골짜기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반구형 마스크나, 병원에서 사용하는 1회용 부직포마스크 등 공지된 마스크에도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상부패널(3)과 입김차단막(4)이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입김차단용 마스크(1)는, 그 입김차단용 마스크(1)를 착용하기 위하여 펼친 상태로서, 이 입김차단용 마스크(1)를 펼치면 마스크본체(2)의 상부에 상부패널(3)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펼쳐지고, 상부패널(3)의 단부에 하향 절곡된 입김차단막(4)은 상부패널(3)로부터 대략 90도 내외만큼의 각도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김차단막(4)은 상부패널(3)의 단부에 하측으로 대략 90 내외만큼의 각도로 펼쳐질 수 있게 절곡되어 있으면서, 상부패널(3)과 입김차단막(4)이 부직포와 같이 자체탄력을 지닌 소재로 형성되면서 상부패널(3)과 입김차단막(4)의 내부에 자체탄력을 지니면서 통기성이 낮은 심재(10)가 삽입되어서 입김차단막(4)은 상부패널(3)의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콧등홈(5) 상측의 상부패널 접착부(6)는 상부패널(3)의 저면에 열접착이나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므로, 입김차단막(4)의 가운데 상부패널 접착부(6)만 상부패널(3)의 단부측에 부착되고 양측의 넓은 코골짜기 막음부(7)는 상부패널(3) 측으로 접히지 않으면서 양측 코골짜기를 탄력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입김차단용 마스크(1)을 착용할 때, 입김차단막(4) 양측의 코골짜기 막음부(7)가 상부패널(3) 측으로 접히지 않으면서 수직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입김차단용 마스크(1)를 착용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콧등홈(5)은 콧등 상부에 걸쳐지면서 양측 코골짜기 막음부(7)가 양측 코골짜기 상부를 커버하게 되고, 이 입김차단막(4)은 자체탄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양측 코골짜기 막음부(7)가 양측 코골짜기 상부와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얼굴과 입김차단막(4)과의 틈새가 없게 된다.
이렇게 입김차단막(4)이 얼굴과 틈새없이 접촉하는 입김차단용 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을 하게 되면, 내쉬는 숨에 의해 나오는 입김이 입김차단용 마스크(1)의 안쪽에서 상측으로 올라가는데, 상기 상부패널(3)과 입김차단막(4)이 콧등 상측과, 양측 코골짜기 상측, 양측 콧볼 상측을 모두 차단하여 입김이 눈 측으로 올라가지 않게 되어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패널(3)과 입김차단막(4)의 내부에 통기성이 낮은 심재(10)가 삽입되어서 더욱 더 입김이 눈 측으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여 안경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1 : 입김차단용 마스크 2 : 마스크본체
3 : 상부패널 4 : 입김차단막
5 : 콧등홈 6 : 상부패널 접착부
7 : 코골짜기 막음부 8 : 절곡선부
9 : 귀걸이부 10 : 심재
11 : 접착부

Claims (3)

  1. 마스크본체(2)의 상단부에 상부패널(3)이 접어지게 설치되고 마스크본체(2)의 양측에 귀걸이부(9)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패널(3)의 얼굴측 단부에는 콧등과 코골짜기 부분을 커버하는 입김차단막(4)이 수직방향 하측으로 펼쳐져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입김차단막(4)은 중앙에 콧등에 끼워지는 콧등홈(5)이 역 "U"자 형태로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콧등홈(5)의 양측에는 코골짜기를 막을 수 있는 코골짜기 막음부(7)가 형성되는 입김차단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콧등홈(5)의 상측에는 상부패널(3)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패널 접착부(6)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패널 접착부(6)가 상부패널(3)의 저면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 설치되고,
    상기 상부패널(3)과 입김차단막(4)은 접혔다가 펼쳐지도록 자체탄력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패널(3)과 입김차단막(4)의 내부에는 부직포나, 비닐, 발포우레탄시트, 직물지 중의 소재를 택일하여서 되는 심재(10)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김차단용 마스크.
  2. 삭제
  3. 삭제
KR1020160175721A 2016-12-21 2016-12-21 입김차단용 마스크 KR101971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21A KR101971468B1 (ko) 2016-12-21 2016-12-21 입김차단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21A KR101971468B1 (ko) 2016-12-21 2016-12-21 입김차단용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87A KR20170003887A (ko) 2017-01-10
KR101971468B1 true KR101971468B1 (ko) 2019-04-23

Family

ID=5781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721A KR101971468B1 (ko) 2016-12-21 2016-12-21 입김차단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4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304B1 (ko) 2019-05-10 2019-10-02 신윤익 밀착력이 강화된 마스크
KR102377937B1 (ko) 2020-09-28 2022-03-22 이재훤 외부 공기 유입 차단 및 김서림 차단 마스크
KR20220064821A (ko) 2020-11-12 2022-05-19 성재원 접착기능을 갖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97004A (ko) 2020-12-31 2022-07-07 박노옥 마스크의 피부 밀착용 패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8235698A1 (ja) * 2017-06-20 2020-04-16 横井定株式会社 マスク
KR20200114043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화림에프포 김서림 방지패드가 부착된 마스크
KR102335518B1 (ko) * 2020-12-31 2021-12-03 박준태 안경에 김 서림을 방지하는 마스크
KR102361836B1 (ko) * 2021-03-03 2022-02-14 에스엠이노베이션(주) 안경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장치
KR102561242B1 (ko) * 2021-05-11 2023-07-31 주식회사 제이피씨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KR102458246B1 (ko) * 2022-02-23 2022-10-24 주식회사 악마돼지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158Y1 (ko) 2002-08-31 2002-12-16 박평인 김서림 방지구조를 갖는 마스크
JP2009066382A (ja) * 2007-08-23 2009-04-02 Lintec Corp 眼鏡曇り止め用薄膜片及びそれを備えたマスク
JP2015020038A (ja) 2013-07-24 2015-02-02 一恵 漆原 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3075A (en) * 1996-03-15 1998-09-08 Yaru Llc Surgical mask with adhesive strip to improve breath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158Y1 (ko) 2002-08-31 2002-12-16 박평인 김서림 방지구조를 갖는 마스크
JP2009066382A (ja) * 2007-08-23 2009-04-02 Lintec Corp 眼鏡曇り止め用薄膜片及びそれを備えたマスク
JP2015020038A (ja) 2013-07-24 2015-02-02 一恵 漆原 マス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304B1 (ko) 2019-05-10 2019-10-02 신윤익 밀착력이 강화된 마스크
KR102377937B1 (ko) 2020-09-28 2022-03-22 이재훤 외부 공기 유입 차단 및 김서림 차단 마스크
KR20220064821A (ko) 2020-11-12 2022-05-19 성재원 접착기능을 갖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97004A (ko) 2020-12-31 2022-07-07 박노옥 마스크의 피부 밀착용 패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87A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468B1 (ko) 입김차단용 마스크
EP1529453B1 (en) Facemask structure improvement
KR101552331B1 (ko) 입김차단용 마스크
JP2009066382A (ja) 眼鏡曇り止め用薄膜片及びそれを備えたマスク
KR101710046B1 (ko) 안경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1439123B1 (ko) 방진마스크
KR102568995B1 (ko) 마스크
JP2021505785A (ja) 通気構造の鼻孔カバーを有する顔面マスク
KR20200125592A (ko) 방호용 후드
KR20150051200A (ko) 마스크용 입김 누출 차단구
KR101582353B1 (ko)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KR101703031B1 (ko) 고글 마스크
KR200494166Y1 (ko) 마스크
KR102162565B1 (ko) 마스크
KR20190072304A (ko) 마스크윈도우 김서림 방지 구조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102624660B1 (ko) 마스크
KR20150145520A (ko) 코마스크
KR20200137627A (ko) 탈부착 입김차단용 마스크
KR20100008077U (ko) 개폐 가능한 필터 구조체를 가진 방한용 마스크
KR102523855B1 (ko) 마스크
KR102561242B1 (ko) 콧등 입김차단용 마스크
JP7491051B2 (ja) マスク
KR102648327B1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JP2003169821A (ja) ゴーグ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33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10

Effective date: 201903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