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274A - Automatic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delivery truck - Google Patents

Automatic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delivery tru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274A
KR20220153274A KR1020210060645A KR20210060645A KR20220153274A KR 20220153274 A KR20220153274 A KR 20220153274A KR 1020210060645 A KR1020210060645 A KR 1020210060645A KR 20210060645 A KR20210060645 A KR 20210060645A KR 20220153274 A KR20220153274 A KR 20220153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ssembled
bracket
pulley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중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라이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라이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라이더
Priority to KR102021006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3274A/en
Publication of KR2022015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2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62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59Control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rear door of a product delivery vehicle, and is intended to reduce a time required for delivery of products and alleviate labor intensity by allowing the rear door to be fully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door; a door roller (20); and a pair of door guide rails (10).

Description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AUTOMATIC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DELIVERY TRUCK}Automatic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goods delivery vehicle {AUTOMATIC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DELIVERY TRUCK}

본 발명은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 배송차량의 적재함 후면에 구비되는 후면도어를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함으로써, 물품의 배송에 따르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물품 배송자의 노동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물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ar door of an article deliver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rear door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a loading box of an article delivery vehicle by a remote controller,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of goo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rear door of a product delivery vehicle, which can reduce the labor intensity of a product delivery person and prevent loss of products.

최근 온라인으로 물품을 구매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박스로 포장된 택배물품을 운반 및 배송하기 위한 차량의 운행이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cases of purchasing goods online has increased, the operation of vehicles for transporting and delivering boxed delivery goods has increased.

상기 물품 배송차량은, 통상 소형 트럭의 차대에 박스 형태의 적재함이 장착된 구조로 되어있다.The product delivery vehic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box-shaped loading box is mounted on the chassis of a small truck.

도 1 내지 3은 이러한 물품 배송차량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측면도, 도 2는 후면도, 도 3은 적재함 후면도어(이하 간단히 '후면도어'라 한다)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것이다.1 to 3 show an example of such a product delivery vehicle, FIG. 1 is a side view, FIG. 2 is a rear view, and FIG. 3 show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rear door of a loading box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rear door').

종래의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는, 적재함(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면 우측도어(RD)와 후면 좌측도어(LD)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 물품의 적재 및 하역의 편의를 위해 적재함(100)의 측면에 측면도어(SD)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The rear door of a conventional product delivery vehicle is composed of a rear right door (RD) and a rear left door (LD)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loading box 100 . In some cases, a side door (SD)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oading box 100 for the convenience of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상기한 후면 우측도어(RD), 후면 좌측도어(LD) 및 측면도어(SD)는 통상 여닫이 방식으로 구성된다. The rear right door (RD), the rear left door (LD) and the side door (SD) are configured in a conventional casement manner.

즉 상기 후면 우측도어(RD)는, 적재함(100)의 후면 우측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우측 회전부재(1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고, 후면 좌측도어(LD)는 적재함(100)의 후면 좌측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좌측 회전부재(1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된다. That is, the rear right door RD is opened and closed while rotating around the right rotating member 110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ear right side of the loading box 100, and the rear left door LD is the center of the loading box 100. It is opened and closed while rotating around the left rotating member 120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ear left side.

또한 상기 후면 우측도어(RD)의 좌측 바깥쪽에는 우측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우측 도어 록킹바(Locking Bar)(112)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후면 좌측도어(LD)의 우측 바깥쪽에는 좌측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좌측도어 록킹바(122)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right door locking bar 112 for fixing the right door 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left outer side of the rear right door RD, and on the right outer side of the rear left door LD. A left door locking bar 122 for fixing the door 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우측도어 록킹바(112)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우측 브라켓(113)에 의해 후면 우측도어(RD)에 조립되고, 좌측도어 록킹바(122)는 복수의 좌측 브라켓(123)에 의해 후면 좌측도어(LD)에 조립된다.The right door locking bar 112 is assembled to the rear right door RD by a plurality of right brackets 113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left door locking bar 122 is assembled by a plurality of left brackets 123. It is assembled to the rear left door (LD).

또한 상기 우측도어 록킹바(112)의 하부에는 우측 록킹레버(Locking Lever)(115)가 구비되어 있고, 좌측도어 록킹바(122)의 하부에는 좌측 록킹레버(125)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right locking lever 115 is provided below the right door locking bar 112, and a left locking lever 125 is provided below the left door locking bar 122.

그리고 상기 우측도어 록킹바(112) 및 좌측도어 록킹바(122)는, 캠 장치(도시 생략) 등에 의해 상하로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right door locking bar 112 and the left door locking bar 122 are provided so as to move up and dow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 cam device (not shown) or the like.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우측도어 록킹레버(115)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우측도어 록킹바(112)가 위로 이동하면서 적재함 후면과 록킹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With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right door locking lever 115 is rotated to the right, the right door locking bar 112 can be moved upward and locked with the rear side of the load box.

또한 상기 우측도어 록킹레버(115)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우측도어 록킹바(112)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적재함 후면과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ight door locking lever 115 is rotated to the left, the right door locking bar 112 can be moved downward to release the locking with the rear side of the loading box.

한편 후면 우측도어(RD)의 하부에, 상기 우측도어 록킹레버(115)를 고정하기 위한 우측 레버 고정부재(114)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a right lever fixing member 114 for fixing the right door locking lever 115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rear right door RD.

상기 우측 레버 고정부재(114)에 의해, 우측도어 록킹레버(115)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우측도어를 록킹한 다음, 우측도어 록킹레버(115)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fter locking the right door by rotating the right door locking lever 115 to the right by the right lever fixing member 114, the right door locking lever 115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또한 좌측도어(LD)에도 좌측도어 록킹바(122), 좌측 브라켓(123), 좌측 록킹레버(125) 및 좌측레버 고정부재(124)가 구비되는데, 이들의 구조는 상기한 우측도어(RD)의 경우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left door LD is provided with a left door locking bar 122, a left bracket 123, a left locking lever 125, and a left lever fixing member 124, the structures of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right door RD.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그리고 종래의 후면도어 개폐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0)의 후면 우측에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113) 및 하부 브라켓(114)과, 일단이 상기 상부 브라켓(113) 및 하부 브라켓(114)에 조립되고, 타단이 우측도어(RD)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s shown in FIG. 3, the conventional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n upper bracket 113 and a lower bracket 114 fixed to the rear right side of the loading box 100, and one end of the upper bracket 113 and the lower bracket 114. It is assembled to the bracket 114 and includes a rotating plate 110 having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right door RD.

상기 상부 브라켓(113)에는 적재함(100)에 고정하기 위한 적재함 조립공(113a)및 볼트 관통공(113b)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브라켓(114)에도 적재함(100)에 고정하기 위한 적재함 조립공(114a) 및 볼트 관통공(114b)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bracket 113 has a loading box assembly hole 113a and a bolt through hole 113b for fixing to the loading box 100, and a loading box assembly hole 114a for fixing to the loading box 100 in the lower bracket 114. ) and bolt through holes 114b are formed.

또한 상기 상부 브라켓(113)과 하부 브라켓(114)은, 회전 플레이트(110)가 270도로 완전히 젖혀질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upper bracket 113 and the lower bracket 114 ar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the rotation plate 110 is fully tilted at 270 degrees.

상기 회전 플레이트(110)의 일측에는 도어 고정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고정부(111)에는 도어와 결합하기 위한 도어 조립공(111a)이 형성된다.A door fixing part 1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110, and a door assembly hole 111a for coupling with a door is formed in the door fixing part 111.

상기한 구조에 의해, 볼트 등을 사용하여 상기 회전 플레이트(110)를 우측 도어(RD)에 고정할 수 있다.With the above structure, the rotation plate 110 can be fixed to the right door RD using bolts or the like.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110)의 타측에는, 상부 브라켓(113)과 하부 브라켓(114)의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기 위한 볼트 관통부(11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plate 110, a bolt through portion 112 is form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bracket 113 and the lower bracket 114 to be assembled.

상기 회전 플레이트(110)의 볼트 관통부(112)를 상부 브라켓(113)과 하부 브라켓(114)의 사이에 끼우고, 와셔(115a)를 개재하여 조립볼트(115)를 조립한 다음, 와셔(116a)를 개재하여 너트(116)를 조립하면 도어 개폐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Insert the bolt penetration part 112 of the rotation plate 110 between the upper bracket 113 and the lower bracket 114, assemble the assembly bolt 115 through the washer 115a, and then the washer ( Assemb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completed by assembling the nut 116 through 116a).

상기한 후면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후면도어와 조립된 회전 플레이트(110)가 조립볼트(115)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plate 110 assembled with the rear door can be rotated with the assembly bolt 115 as a rotation center.

이에 따라 후면 우측도어(RD)가 적재함(100)의 우측면에 맞닿을 때까지, 즉 270도 범위내에서 회전하면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until the rear right door R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loading box 100, that is, it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rotating within a range of 270 degrees.

한편 좌측도어(LD)도 상기한 우측도어(RD)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되고 개폐된다. Meanwhile, the left door LD is also assembled and opened and clo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ight door RD.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후면도어 개폐구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구조이므로 도어의 개폐에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time is consumed i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ecause the user manually opens and closes the door.

즉 종래의 방식에 의해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우측 록킹레버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고, 우측도어(RD)를 270도 회전시켜 적재함의 우측면에 밀착시킨 후, 다시 좌측 록킹레버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고, 좌측도어(LD)를 270도 회전시켜 적재함의 좌측면에 밀착시켜야 한다. That is, in order to open the door by the conventional method, the locking state of the right locking lever is released, the right door (RD) is rotated 270 degrees to bring 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loading box, and then the locking state of the left locking lever is released again, The left door (LD) should be rotated 270 degrees and adhered to the left side of the loading box.

또한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위와 같은 동작을 다시 반복하여야 한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closed, the above operation must be repeated again.

이에 따라 택배 차량과 같이 물품의 배송을 위해 수시로 도어를 개폐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어의 개폐에 많은 시간이 허비되어 물품의 배송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it is necessary to open and close the door frequently for delivery of goods, such as a delivery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is wasted i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delivery of the goods is delayed.

또한 물품 배송차량이 중형 트럭일 경우에는, 후면도어의 크기 및 중량도 증하게 되어 고중량의 도어를 개폐하는데 힘이 아주 많이 들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product delivery vehicle is a medium-sized truck, the size and weight of the rear door increase, so that a lot of force is required to open and close the heavy door.

이로써 물품 운반자의 노동강도가 증가하게 되고, 장시간 노동시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labor intensity of the goods carrier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usculoskeletal disorders may be caused during long hours of labor.

또한 종래의 후면도어 개폐방식에 의하면, 좁은 골목길의 경우 차량을 정차시켰다 하더라도 도어를 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method, in the case of a narrow alley, even if the vehicle is stopped, the door may not be opened.

이에 따라 도어를 열 수 있는 넓은 장소에 차량을 주차시켜야만 하므로, 물품 배송시간이 더욱 지연된다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vehicle must be parked in a wide place where the door can be ope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livery time of the goods is further delayed.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후면도어를 셔텨 구조로 제작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ear door with a shutter structure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한 셔터 방식은, 셔터를 닫을 경우 수동으로 닫아야 하고, 셔터를 올릴 경우에는 일정 높이까지 수동으로 올려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shutter method described above has the inconvenience of manually closing the shutter and raising the shutter manually to a certain height.

한국 등록특허 제10-1666168호(2016. 10 13.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66168 (Announced on October 13, 2016)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0342호(2013. 12. 9. 공고)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0342 (2013. 12. 9.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를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간편하고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simple and easy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ar door of a product delivery vehicle by a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면도어를 완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물품에 배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of goods by allowing the rear door to be fully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대형 차량에 구비되는 고중량의 후면도어도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asy opening and closing of a heavy rear door provided in a medium- or large-sized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 운반자의 노동강도를 감소시키고,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labor intensity of goods carriers an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도어패널이 도어 연결 브라켓에 의해 연결되어 오버헤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후면도어와; 상기 단위도어패널의 연결부위 양측에 구비되는 도어 롤러와; 차량의 적재함 후방 내부에 구비되는 수직부와, 적재함의 내부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를 원호상으로 연결하는 코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도어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도어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천장 전방에 구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적재함의 천장 후방에 구비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감겨져 이동하는 타이밍 벨트와, 상기 타이밍 벨트와 단위도어패널을 연결하는 벨트 연결 브라켓과, 상기 구동풀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장치를 무선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를 정역회전시켜 단위도어패널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r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an overhead manner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door panels by a door connection bracket; door roll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unit door panel; A vertical part provided inside the rear of the loading box of the vehicle, a horizontal par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inside of the loading box, and a corner part connecting the vertical part and the horizontal part in an arc shap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oor roller. A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goods delivery vehicle comprising a pair of door guide rails, wherein a driving pulley provided in front of the ceiling of the loading box, a driven pulley provided behind the ceiling of the loading box, and driven by the driving pulley A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 timing belt wound around a pulley and moving, a belt connection bracket connecting the timing belt and a unit door panel, and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driving pulley, and operating the driving device wirelessly. Further compri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door panel is moved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pulley by manipul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또한 상기 도어 가이드 레일은, 도어 롤러의 원호상 단면에 대응되는 원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guide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ircular arc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c-shaped cross section of the door roller.

또한 상기 단위도어패널의 양측에, 도어롤러 조립부재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oor roller assembling members are assembled on both sides of the unit door panel.

또한 상기 도어롤러 조립부재에, 도어 롤러의 롤러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haft insert into which a roller shaft of the door roller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door roller assembly member.

또한 상기 각 단위도어패널은 상부에 볼록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오목부가 구비되어,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가 서로 형합되고, 코너 구간에서는 상기 볼록부와 인접하는 오목부가 서로 벌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unit door panel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vex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and a concave part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so that the convex part and the concave part are matched with each other in a straight section, and the convex part and the adjacent concave part diverge from each other in a corner section. to be characterized

또한 차량 적재함의 상부 전방 및 후면 하부에 단위도어패널의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limit switches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unit door panel are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front and rear lower portions of the vehicle loading box.

또한 상기 구동풀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는, 적재함 천장의 중앙에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립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조립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스페이서 및 아이들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drive pulley includes an upper frame assemb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t the center of the ceiling of the loading box, a pair of support frames assembled below the upper frame, and the pair of support frames. A drive pulley provided at the front of, a driven pulle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drive pulley, and a plurality of driv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pacer and an idle pulley.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은 2개의 볼록부를 구비하여, 상기 볼록부의 하부에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이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wo convex parts,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are respectively assembled under the convex part.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풀리에 조립된 구동 샤프트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 샤프트를 정역회전시키는 감속기 겸용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e mo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combined with a reduction gear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ssembled to the drive pulley to forward and reverse rotate the drive shaft.

또한 상기 종동풀리의 후방에, 타이밍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 텐셔너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belt tensioner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iming belt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riven pulley.

또한 상기 벨트 연결 브라켓은, 상기 타이밍 벨트의 연결 단부 상면에 조립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타이밍 벨트의 연결 단부 하면에 조립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의 일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단위도어패널과 조립되는 도어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lt connection bracket includes an upper bracket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end of the timing belt, a lower bracket assemb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end of the timing belt, and a unit door panel extending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lower bracket to be assemb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oor connection portion to be.

또한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면에 타이밍 벨트의 돌기부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오목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f the timing bel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and the protrusion and the concave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하부 브라켓에 구비되는 도어 연결부는, 최전방의 단위도어패널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connection part provided in the lower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remost unit door panel.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를 수동으로 일일이 개폐할 필요가 없이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a remote controller without the need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rear door of the product delivery vehicle.

즉 택배기사가 운전석에서 내리면서 후면도어를 열고, 물품을 들고 돌아서면서 후면도어를 쉽게 닫을 수가 있다.That is, the courier driver can open the rear door while getting out of the driver's seat, and easily close the rear door while carrying the goods and turning around.

이에 따라 도어의 개폐에 따르는 시간을 단축하여, 물품의 배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time requir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s shortened, thereby having an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of the product.

또한 중대형 차량에 구비되는 고중량의 도어도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open and close a heavy door provided in a medium- or large-sized vehicle.

또한 물품 운반자의 노동강도를 감소시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occurr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reducing the labor intensity of goods carriers.

또한 후면도어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물품을 배송하는 사례를 막을 수 있으므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cases in which goods are delivered while the rear door is ope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loss of goods.

또한 도어 구동장치가 적재함의 천장에 구비되므로, 도어 구동장치를 구비함에 따르는 적재용량의 감소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driv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loading box,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duction in loading capacity due to the door driving device being provided, and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maintenance.

또한 도어 구동장치가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소음 및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driving device includes the timing bel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noise and weight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물품 배송차량의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물품 배송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도어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도어 가이드 레일 및 타이밍 벨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도어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도어패널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롤러 및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롤러와 도어 연결 브라켓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도어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 및 타이밍 벨트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프레임, 지지 프레임 및 구동풀리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연결 브라켓과 타이밍 벨트 및 단위도어 패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side view of a product deli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rear view of the goods deli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goods deli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rear door guide rail and a timing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rear do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 unit door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door roller and a gu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door roller and a door connection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rea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upport frame and a timing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 upper frame, a support frame and a driving pull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belt connection bracket, a timing belt, and a unit door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도어패널(30)이 도어 연결 브라켓(31)에 의해 연결되어 오버헤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후면도어와; 상기 단위도어패널(30)의 연결부위 양측에 구비되는 도어 롤러(20)와; 차량의 적재함(100) 후방 내부에 구비되는 수직부(10a)와, 적재함의 내부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수평부(10c)와, 상기 수직부(10a)와 수평부(10c)를 원호상으로 연결하는 코너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도어 롤러(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도어 가이드 레일(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4 to 6 ,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rea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an overhead manner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door panels 30 by a door connection bracket 31; Door rollers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unit door panel 30; The vertical part 10a provided inside the rear of the loading box 100 of the vehicle, the horizontal part 10c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and the vertical part 10a and the horizontal part 10c are connected in an arc shape. A pair of door guide rails 10 configured to include a corner portion 10b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oor roller 2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재함 천장(101)의 전방에 구비되는 구동풀리(41)와, 상기 적재함 천장(101)의 후방에 구비되는 종동풀리(42)와, 상기 구동풀리(41)와 종동풀리(42)에 감겨져 이동하는 타이밍 벨트(46)와, 상기 타이밍 벨트(46)와 단위도어패널(30)을 연결하는 벨트 연결 브라켓(50)과, 상기 구동풀리(4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ing pulley 41 provided in front of the loading box ceiling 101, a driven pulley 42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oading box ceiling 101, the driving pulley 41 and the driven pulley A timing belt 46 wound around (42) and moving, a belt connecting bracket 50 connecting the timing belt 46 and the unit door panel 30, and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driving pulley 41 It is composed of.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를 무선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60)를 더 구비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41)를 정역회전시켜 단위도어패널(30)을 이동시킨다.Further, a remote controller 60 for operating the driving device wirelessly is further provided, and the unit door panel 30 is moved by rotating the driving pulley 41 forward and backward by manipul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60.

즉 본 발명은, 후면도어가 복수의 단위도어패널(30)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적재함의 상부 및 후방에 걸쳐 대략 "ㄱ" 자 형상의 도어 가이드 레일(10)이 구비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door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door panels 30 to each other, and a door guide rail 10 having a substantially "L" shape is provided over the top and rear of the loading box.

또한 상기 단위도어패널(30)의 양측에 복수의 도어롤러(20)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도어롤러(20)가 상기 도어 가이드 레일(10)을 타고 이동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oor rollers 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nit door panel 30, and the plurality of door rollers 20 move along the door guide rail 10.

또한 적재함의 상부 중앙에는 타이밍 벨트(6)가 구비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46)와 후면도어는 벨트 연결 브라켓(50)에 의해 연결된다.In addition, a timing belt 6 is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loading box, and the timing belt 46 and the rear door are connected by a belt connection bracket 50.

상기한 구조에 의해, 구동풀리(41)를 회전시키면, 타이밍 벨트(46)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46)와 연결된 후면도어가 도어 가이드 레일(10)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후면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With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drive pulley 41 is rotated, the timing belt 46 moves, and the rear door connected to the timing belt 46 moves along the door guide rail 10. As a result, the rear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면도어 및 도어 가이드 레일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rear door and the door gu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후면도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도어패널(30)이 도어 연결 브라켓(3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In the rear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each unit door panel 30 is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door connection bracket 31.

여기서 각 단위도어패널(30)은, 상부에 볼록부(30a)가 구비되고, 하부에 오목부(30b)가 구비된다.Here, each unit door panel 30 has a convex portion 30a at an upper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30b at a lower portion.

상기한 구조에 의해,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볼록부(30a)와 오목부(30b)가 서로 형합되어 편평한 상태가 되고, 코너 구간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30a)와 인접하는 오목부(30b)가 서로 벌어지게 된다.Due to the above structure, in the straight section, the convex portion 30a and the concave portion 30b are molded to each other to form a flat state, and in the corner section, as shown in FIG. 5, adjacent to the convex portion 30a. The concave portions 30b diverge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후면도어가 "ㄱ"자형의 도어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ar door can be moved along the “L” shaped door guide rail 10 .

상기 도어 연결 브라켓은, 중앙 부분에 구비되어 각 단위도어패널(30)을 연결하는 브라켓과, 도어의 양측에 구비되어 각 단위 도어 패널을 연결하는 동시에 도어롤러(20)가 조립되도록 하는 브라켓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door connection bracket can be divided into a bracket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to connect each unit door panel 30 and a bracke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oor to connect each unit door panel and to assemble the door roller 20 at the same time. can

각 단위도어패널(30)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도어 연결 브라켓(3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판재가 힌지부(31a)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 7, the door connection bracket 31 connecting each unit door panel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plate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portion 31a.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단위도어패널(30)이 구부려지면서 도어 가이드 레일(10)의 코너부(10b)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nit door panels 30 adjacent to each other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corner portion 10b of the door guide rail 10 while being bent.

각 단위도어패널(30)의 양쪽에는,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롤러(20)가 조립되도록 하기 위한 도어롤러 조립부재(32)가 구비된다.On both sides of each unit door panel 30, as shown in FIGS. 8 and 9, door roller assembly members 32 for assembling the door roller 20 are provided.

즉 상기 도어롤러 조립부재(32)는, 도어 연결 브라켓(31)에 샤프트 삽입부(32a)가 더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That is, the door roller assembly member 32 has a structure in which a shaft insertion portion 32a is further provided in the door connecting bracket 31 .

이에 따라 인접하는 단위도어패널(30)을 양 단부에서 서로 연결하면서 도어롤러(20)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door roller 20 can be assembled while the adjacent unit door panels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상기 도어롤러(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 연결 브라켓(31)에 조립되는 롤러 샤프트(21)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8, the door roller 20 has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a bearing is provided therein, and a roller shaft 21 assembled to the door connection bracket 31 is provided. .

상기한 구조에 의해, 도어롤러(20)의 롤러 샤프트(21)를 상기 도어롤러 조립부재(32)의 샤프트 삽입부(32a)에 끼움으로써, 각 단위도어패널(30)의 양 측면에 도어롤러(20)를 조립할 수가 있다.With the above structure, by inserting the roller shaft 21 of the door roller 20 into the shaft insertion portion 32a of the door roller assembly member 32, the door roller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unit door panel 30. (20) can be assembled.

또한 상기 후면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버튼(60a), 하강버튼(60b), 정지버튼(60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remote controller 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ar door may include an up button 60a, a down button 60b, and a stop button 60a.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에 도어를 일정높이까지만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버튼을 더 구비할 수도 있고, 후면도어가 수동으로는 열리지 않도록 하는 록킹버튼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60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that automatically raises the door only to a certain height, or a locking button that prevents the rear door from being opened manually.

이어서 도어롤러(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도어 가이드 레일(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door guide rail 1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oor roller 20 will be described.

상기 도어 가이드 레일(10)은, 각 단위도어패널(30)상기 도어 가이드 레일(10)은 후면도어의 양측에 복수로 구비되는 도어롤러(20)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The door guide rail 10 is for guiding a plurality of door rollers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each unit door panel 30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rear door.

상기 도어 가이드 레일(1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적재함(100) 후방 내부에 구비되는 수직부(10a)와, 적재함의 내부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수평부(10c)와, 상기 수직부(10a)와 수평부(10c)를 원호상으로 연결하는 코너부(10b)를 포함하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5 , the door guide rail 10 includes a vertical portion 10a provided inside the rear of the loading box 100 of a vehicle and a horizontal portion 10c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inside of the loading box. and a corner portion 10b connecting the vertical portion 10a and the horizontal portion 10c in an arc shape.

또한 상기 도어 가이드 레일(1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롤러(20)의 원호상 단면에 대응되는 원호부(10d)가 구비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 the door guide rail 10 is provided with an arc portion 10d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arc cross section of the door roller 20 .

상기한 구조에 의해, 복수의 도어롤러(20)는 도어 가이드 레일(10)에서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With the above structure, the plurality of door rollers 20 move smoothly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door guide rail 10 .

또한 차량 적재함(100)의 상부 전방에는 도어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상승 리미트 스위치(90a)가 구비되고, 후방 하부에는 도어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하강 리미트 스위치(90b)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upward limit switch 90a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door is provided at the upper front of the vehicle loading box 100, and a lower limit switch 90b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door is further provided at the lower rear portion. .

이어서 구동풀리(4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driving pulley 4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

상기 구동풀리(4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는, 적재함 천장(101)의 중앙에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립되는 상부 프레임(102)과, 상기 상부 프레임(102)의 하부에 조립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3)과,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3)의 전방에 구비되는 구동풀리(41)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3)의 후방에 구비되는 종동풀리(42)와, 상기 구동풀리(4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44)와, 상기 구동풀리(41)와 종동풀리(4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스페이서(45) 및 아이들 풀리(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drive pulley 41 includes an upper frame 102 assemb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t the center of the loading box ceiling 101 and a pair assembled below the upper frame 102. A support frame 103, a driving pulley 41 provided in front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3, and a driven pulley 42 provided in the rear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3, Includes a drive motor 44 for driving the drive pulley 41, a plurality of spacers 45 and idle pulleys 43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drive pulley 41 and the driven pulley 42 It is composed by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10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볼록부(102a)를 구비하여, 상기 볼록부(102a)의 하부에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3)이 각각 조립된다.As shown in FIG. 12 , the upper frame 102 includes two convex portions 102a,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103 are respectively assembled under the convex portions 102a.

상기한 구조에 의해, 구동장치의 설치에 따른 적재용량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가 있다.With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duction in loading capacity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driving device.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4)는, 상기 구동풀리(41)에 조립된 구동 샤프트(47)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 샤프트(47)를 정역회전시키는 감속기 겸용 모터로 구성된다.And, the drive motor 44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7 assembled to the drive pulley 41 and is composed of a motor with a reduction gear that rotates the drive shaft 47 forward and reverse.

또한 상기 구동모터(44)는 차량의 배터리 전원(DC 12V)에 의해 구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구동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44 is driven by the battery power (DC 12V)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driving source.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41)는, 타이밍 벨트(46)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구동 샤프트(47)에 의해 지지 프레임(103)에 조립된다.In addition, the drive pulley 41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iming belt 46 and is assembled to the support frame 103 by a drive shaft 47.

또한 상기 구동 샤프트(47)는, 베어링(104)을 개재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03)의 사이에 조립된다.Further, the drive shaft 47 is assembled between the support frames 103 via a bearing 104 .

또한 상기 종동풀리(42)의 후방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46)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 텐셔너(42a)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a belt tensioner 42a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iming belt 46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riven pulley 42.

상기 벨트 텐셔너(42a)는,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타이밍 벨트(46)를 당겨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로써 타이밍 벨트(46)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중간에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The belt tensioner 42a maintains a constant tension by pulling the timing belt 46 with a bolt B and a nut N. As a result, even if the length of the timing belt 46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sagging in the middle.

이어서 타이밍 벨트와 후면도어(이하 간단히 '도어'라 한다)의 연결구조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ubsequently,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timing belt and the rear doo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do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

상기 타이밍 벨트(46)와 후면도어를 연결하는 벨트 연결 브라켓(50)은, 상기 타이밍 벨트(46)의 연결 단부 상면에 조립되는 상부 브라켓(51)과, 상기 타이밍 벨트(46)의 연결 단부 하면에 조립되는 하부 브라켓(51)과, 상기 하부 브라켓(51)의 일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단위도어패널(30)과 조립되는 도어 연결부(5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elt connection bracket 50 connecting the timing belt 46 and the rear door includes an upper bracket 51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end of the timing belt 46 and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end of the timing belt 46.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bracket 51 assembled to the lower bracket 51, and a door connecting portion 52a extending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lower bracket 51 and assembled with the unit door panel 30.

즉 타이밍 벨트(46)의 연결 부위에 상기 벨트 연결 브라켓(50)이 조립된다.That is, the belt connection bracket 50 is assemb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iming belt 46 .

그리고 상기 상부 브라켓(51)의 하부면에는 타이밍 벨트(46)의 돌기부(46a)에 대응하는 오목부(51a)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46a)와 오목부(51a)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concave portion 51a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46a of the timing belt 46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51 so that the protrusion 46a and the concave portion 51a are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상기 하부 브라켓(51)에 구비되는 도어 연결부(52a)는, 최전방의 단위도어 패널(30)의 상면에 결합된다.And, the door connection part 52a provided on the lower bracket 5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most unit door panel 30.

상기한 구조에 의해, 구동풀리(41)의 회전에 의해 타이밍 벨트(46)와 후면도어가 같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With the above structure, the timing belt 46 and the rear door can be moved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pulley 41.

또한 상기 벨트 연결 브라켓(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풀리(41)와 종동풀리(42)의 사이에서만 이동하게 된다.Also, as shown in FIG. 4 , the belt connection bracket 50 moves only between the driving pulley 41 and the driven pulley 42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편의상 택배기사가 물품을 각 가정에 배송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rea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a case where a courier driver delivers goods to each househol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택배기사가 차량을 적당한 장소에 주차시킨 후, 운전석을 내려오면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도어 열림버튼을 누르면, 구동모터(44)의 작동에 의해 구동풀리(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fter the delivery driver parks the vehicle in an appropriate place, and presses the door open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while coming down from the driver's seat, the driving pulley 4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44.

이에 따라 타이밍 벨트(46)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46)와 연결된 벨트 연결 브라켓(50)이 차량의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도어를 상승시킨다.Accordingly, the timing belt 46 also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belt connection bracket 50 connected to the timing belt 46 moves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raises the door.

최상부의 단위도어패널이 차량의 전방에 구비된 상부 리미트 스위치(90a)에 접촉하게 되면, 구동모터(44)가 정지하면서 도어의 이동이 중지된다.When the uppermost unit door pane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limit switch 90a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driving motor 44 stops and the movement of the door stops.

이어서 적재함에서 필요한 물품을 지상에 내린 후 도어 닫힘버튼을 누른다.Then, after lowering the necessary items from the loading box to the ground, press the door close button.

그러면 구동풀리(41) 및 타이밍 벨트(4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46)와 연결된 벨트 연결 브라켓(50)이 차량의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도어를 하강시킨다.Then, the drive pulley 41 and the timing belt 46 rotate clockwise, and the belt connection bracket 50 connected to the timing belt 46 moves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and lowers the door.

최하부의 단위도어패널이 차량 후방 하부에 구비된 하부 리미트 스위치(90b)에 접촉하게 되면, 구동모터(44)가 정지하면서 도어의 하강이 중지된다.When the lowermost unit door pane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limit switch 90b provided at the rear and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the driving motor 44 stops and the door stops descending.

이어서 리모트 컨트롤러(60)에 구비된 록킹버튼을 눌러 도어를 잠근 후 물품을 배송한다.Subsequently, the door is locked by pressing the locking button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60, and then the product is delivered.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물품의 배송시마다 도어를 열고 닫는 작업을 수없이 반복해야 하므로, 택배기사의 노동강도가 증가되고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ince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must be repeated countless times each time the product is delivered, the labor intensity of the courier driver increases and the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s high.

또한 좁은 골목길의 경우에는, 양쪽 도어를 270도 회전시킬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narrow alley,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to rotate both doors 270 degrees.

이로써 도어를 열수 있는 넓은 공간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 경우 배송장소에서 멀어지게 되기 때문에 배송시간은 더욱 지연되게 된다.As a result,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find a wide space to open the door, and in this case, the delivery time is further delayed because it moves away from the delivery place.

상기한 문제점 때문에, 도어를 열어 놓은 채 물품을 배송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물품이 분실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Due to the above problem, there is a case where the product is delivered with the door open,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 may be lost.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택배기사가 운전석을 내려가면서 후면도어를 열 수 있고, 물품을 지상으로 하역한 후 바로 도어를 닫을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very driver can open the rear door while going down the driver's seat, and can close the door immediately after unloading the goods to the ground.

즉 도어를 완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개폐에 따르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물품 배송자의 노동강도를 약화시킬 수가 있다. That is, since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completely automatically, the time requir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an be reduced, and the labor intensity of the delivery person can be reduced.

또한 도어를 닫은 후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도어를 록킹시킴으로써 물품이 분실될 우려가 없다. Also, since the door is locked by the remote controller after the door is closed, there is no fear of loss of articles.

또한 도어 구동장치가 적재함의 천장에 구비되므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도어 구동장치의 유지보수가 간편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driv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loading box, maintenance of the door driving device is simplified without occupying a large space.

또한 도어 구동장치가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체인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중량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oor driving device includes a timing belt, generation of noise and weigh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a chai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도어 가이드 레일(Guide Rail) 10a: 수직부
10b: 코너부 10c: 수평부
10d: 원호부 20: 도어롤러(Door Roller)
21: 롤러 샤프트(Roller Shaft) 30: 단위도어패널(Panel)
31: 도어 연결 브라켓(Bracket) 31a: 힌지부
32: 도어롤러 조립부재 32a: 샤프트 삽입부
41: 구동풀리(Pulley) 42: 종동풀리
42a: 벨트 텐셔너(Belt Tensioner) 43: 아이들 풀리(Idle Pulley)
44: 구동모터 45: 스페이서(Spacer)
46: 타이밍 벨트(Timing Belt) 46a: 돌기부
47: 구동 샤프트(Shaft) 50: 벨트 연결 브라켓(Bracket)
51: 상부 브라켓 51a: 오목부
52: 하부 브라켓 52a: 도어 연결부
60: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90: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100: 적재함
101: 적재함 천장 102: 상부 프레임(Frame)
103: 지지 프레임 104: 베어링(Bearing)
110: 우측 회전부재 112: 우측도어 록킹바(Locking Bar)
113: 우측 브라켓 114: 우측 레버 고정부재
115: 우측 록킹레버(Locking Lever) 120: 좌측 회전부재
122: 좌측도어 록킹바 123: 좌측 브라켓
124: 좌측 레버 고정부재 125: 좌측 록킹레버
F: 가이드 레일 프레임(Guide Rail Frame)
LD: 후면 좌측도어 RD: 후면 우측도어
SD: 측면도어
10: door guide rail (Guide Rail) 10a: vertical part
10b: corner portion 10c: horizontal portion
10d: arc portion 20: door roller
21: Roller Shaft 30: Unit Door Panel
31: door connection bracket (Bracket) 31a: hinge part
32: door roller assembly member 32a: shaft insertion part
41: drive pulley 42: driven pulley
42a: Belt Tensioner 43: Idle Pulley
44: drive motor 45: spacer
46: Timing Belt 46a: Protrusion
47: drive shaft (Shaft) 50: belt connection bracket (Bracket)
51: upper bracket 51a: concave portion
52: lower bracket 52a: door connection
60: Remote Controller
90: Limit Switch 100: Loading
101: loading box ceiling 102: upper frame
103: support frame 104: bearing
110: right rotation member 112: right door locking bar
113: right bracket 114: right lever fixing member
115: right locking lever 120: left rotation member
122: left door locking bar 123: left bracket
124: left lever fixing member 125: left locking lever
F: Guide Rail Frame
LD: rear left door RD: rear right door
SD: side door

Claims (13)

복수의 단위도어패널(30)이 도어 연결 브라켓(31)에 의해 연결되어 오버헤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후면도어와; 상기 단위도어패널(30)의 연결부위 양측에 구비되는 도어 롤러(20)와; 차량의 적재함(100) 후방 내부에 구비되는 수직부(10a)와, 적재함의 내부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수평부(10c)와, 상기 수직부(10a)와 수평부(10c)를 원호상으로 연결하는 코너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도어 롤러(2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도어 가이드 레일(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0)의 천장 전방에 구비되는 구동풀리(41)와,
상기 적재함(100)의 천장 후방에 구비되는 종동풀리(42)와,
상기 구동풀리(41)와 종동풀리(42)에 감겨져 이동하는 타이밍 벨트(46)와,
상기 타이밍 벨트(46)와 단위도어패널(30)을 연결하는 벨트 연결 브라켓(50)과,
상기 구동풀리(4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장치를 무선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60)를 더 구비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41)를 정역회전시켜 단위도어패널(30)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 rear door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door panels 30 are connected by a door connection bracket 31 to open and close in an overhead manner; Door rollers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unit door panel 30; The vertical part 10a provided inside the rear of the loading box 100 of the vehicle, the horizontal part 10c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and the vertical part 10a and the horizontal part 10c are connected in an arc shape. In the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product delivery vehicle comprising a pair of door guide rails 10 configured to include a corner portion 10b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oor roller 20,
A drive pulley 41 provided in front of the ceiling of the loading box 100;
A driven pulley 42 provided behind the ceiling of the loading box 100;
A timing belt 46 wound around and moving around the driving pulley 41 and the driven pulley 42;
A belt connection bracket 50 connecting the timing belt 46 and the unit door panel 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driving pulley 41,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ler 60 for wirelessly operating the driving device,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rear door of the goods deliver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door panel 30 is moved by rotating the drive pulley 41 forward and reverse by manipul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6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이드 레일(10)은, 도어 롤러(20)의 원호상 단면에 대응되는 원호부(10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guide rail (10) has an arc portion (10d) corresponding to the arcuate cross section of the door roller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도어패널(30)의 양측에, 도어롤러 조립부재(32)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goods deliver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door roller assembly members (32) are assembled on both sides of the unit door panel (3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롤러 조립부재(32)에, 도어 롤러(20)의 롤러 샤프트(21)가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부(32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rear door of the goods deliver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roller assembly member (32) is provided with a shaft insertion portion (32a) into which the roller shaft (21) of the door roller (20)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도어패널(30)은 상부에 볼록부(30a)가 구비되고, 하부에 오목부(30b)가 구비되어,
직선 구간에서는 상기 볼록부(30a)와 오목부(30b)가 서로 형합되고, 코너 구간에서는 상기 볼록부(30a)와 인접하는 오목부(30b)가 서로 벌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unit door panel 30 has a convex portion 30a on the upper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30b on the lower portion,
In the straight section, the convex part (30a) and the concave part (30b)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in the corner section, the convex part (30a) and the adjacent concave part (30b) are spread apart from each other. Automatic rear door opener.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적재함(100)의 상부 전방 및 후면 하부에 단위도어패널(30)의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9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rear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product deliver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limit switch (90)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unit door panel (30)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front and rear lower portions of the vehicle loading box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4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는,
적재함 천장(101)의 중앙에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립되는 상부 프레임(102)과,
상기 상부 프레임(102)의 하부에 조립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3)과,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3)의 전방에 구비되는 구동풀리(41)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3)의 후방에 구비되는 종동풀리(42)와,
상기 구동풀리(4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44)와,
상기 구동풀리(41)와 종동풀리(4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스페이서(45) 및 아이들 풀리(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 device for driving the drive pulley 41,
An upper frame 102 assemb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t the center of the loading box ceiling 101;
A pair of support frames 103 assembled under the upper frame 102;
A driving pulley 41 provided in front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3;
A driven pulley 42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3;
A drive motor 44 for driving the drive pulley 41;
The rear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goods deliver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pacers 45 and idle pulleys 43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drive pulley 41 and the driven pulley 4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02)은 2개의 볼록부(102a)를 구비하여, 상기 볼록부(102a)의 하부에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3)이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upper frame 102 has two convex portions 102a,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103 are respectively assembled under the convex portions 102a. switchgea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4)는, 상기 구동풀리(41)에 조립된 구동 샤프트(47)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 샤프트(47)를 정역회전시키는 감속기 겸용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drive motor 44 is a motor with a reduction gear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7 assembled to the drive pulley 41 and rotates the drive shaft 47 forward and reverse. switchgea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풀리(42)의 후방에, 타이밍 벨트(46)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 텐셔너(42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7,
A belt tensioner (42a)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iming belt (46)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riven pulley (4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연결 브라켓(50)은,
상기 타이밍 벨트(46)의 연결 단부 상면에 조립되는 상부 브라켓(51)과,
상기 타이밍 벨트(46)의 연결 단부 하면에 조립되는 하부 브라켓(51)과,
상기 하부 브라켓(51)의 일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단위도어패널(30)과 조립되는 도어 연결부(5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elt connection bracket 50,
An upper bracket 51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end of the timing belt 46;
A lower bracket 51 assemb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end of the timing belt 46;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rear door of the goods deliver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or connecting portion (52a) that extends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lower bracket (51) and is assembled with the unit door panel (3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51)의 하부면에 타이밍 벨트(46)의 돌기부(46a)에 대응하는 오목부(51a)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46a)와 오목부(51a)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1,
A concave portion 51a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46a of the timing belt 46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51, and the protrusion 46a and the concave portion 51a are coupled to each other.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rear door of a delivery vehicl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51)에 구비되는 도어 연결부(52a)는, 최전방의 단위도어 패널(3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door connection part (52a) provided on the lower bracket (5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remost unit door panel (30).
KR1020210060645A 2021-05-11 2021-05-11 Automatic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delivery truck KR202201532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45A KR20220153274A (en) 2021-05-11 2021-05-11 Automatic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delivery tr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45A KR20220153274A (en) 2021-05-11 2021-05-11 Automatic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delivery tru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74A true KR20220153274A (en) 2022-11-18

Family

ID=8423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645A KR20220153274A (en) 2021-05-11 2021-05-11 Automatic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delivery tru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3274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42Y1 (en) 2011-12-28 2013-12-09 김중기 Embedded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container cargotruck
KR101666168B1 (en) 2016-01-21 2016-10-13 박금수 Hinge apparatus for container of c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42Y1 (en) 2011-12-28 2013-12-09 김중기 Embedded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container cargotruck
KR101666168B1 (en) 2016-01-21 2016-10-13 박금수 Hinge apparatus for container of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736B2 (en) Boarding and/or access aid for vehicles with passenger transportation
US20040177934A1 (en) Garage door movement apparatus
KR20130118460A (en) Automatic sliding door device for cold store
KR100761035B1 (en) Jointing structure of arrange type defense door
KR200401524Y1 (en) A safety device of the platform
KR20220153274A (en) Automatic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delivery truck
KR101062489B1 (en) Bicycle lift device
KR101065120B1 (en) Sliding door
KR102330557B1 (en) Automatic re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delivery truck
CN210402544U (en) Automatic delivery mechanism of intelligent vending machine
KR102016103B1 (en)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Mobile Rack
CN216634402U (en) Robot translation door opening device
CN207001929U (en) Mobile antetheca Integral elevator railway carriage or compartment control handwheel manually
KR102608145B1 (en) Transfer trolley of parking machine
CN210627356U (en) XY axle motion and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09205441B (en) Movable elevator car front wall and method
CN219584041U (en) Carriage special for hurdle car
JPH01250588A (en) Panel shutter device
CN215101365U (en) Car and lift
CN114131630A (en) Robot translation door opening device
CN218661562U (en) High-rise truck canopy backward turning device
CN210627355U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with lifting cradle head locking function
CN210149761U (en) Embedding door opening type logistics turnover box
JP6480037B1 (en) Platform door equipment
JPH09124112A (en) Cargo warehousing/delivering device in automated ware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