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618A - 두족류 포획용 에기 - Google Patents

두족류 포획용 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618A
KR20220152618A KR1020210059723A KR20210059723A KR20220152618A KR 20220152618 A KR20220152618 A KR 20220152618A KR 1020210059723 A KR1020210059723 A KR 1020210059723A KR 20210059723 A KR20210059723 A KR 20210059723A KR 20220152618 A KR20220152618 A KR 20220152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body
egg
rear body
clip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미
Original Assignee
이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미 filed Critical 이정미
Priority to KR102021005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2618A/ko
Publication of KR2022015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47Hollow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8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scent dispers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미끼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생미끼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일측에 수나사(10a)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낚싯줄을 연결할 수 있는 원형고리(11)가 구성되는 전면 몸체(10);와 상기 수나사(10a)에 조립되는 암나사(20a)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생미끼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암나사(20a)의 반대 방향 일측에 2단으로 낚싯바늘(21)이 구성되는 후면 몸체(20);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 몸체(10) 또는 후면 몸체(20) 중 하나의 일면에 내부방향으로 입구가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투입구(Q)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족류 포획용 에기{a cephalopod-catcher}
본 발명은 생미끼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기 내부에 생미끼를 수용하도록 하여 두족류의 후각을 자극하여 유인하되 두족류가 미끼만 골라 먹고 도망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관한 것이다.
낚시에서 지렁이나 새우와 같은 생미끼 대용으로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로 물고기 형상을 따라 만든 것을 인조미끼 또는 루어라고 한다.
그리고 인조 미끼 중 새우 형상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일측에 낚싯바늘이 2단으로 형성되고 오징어나 문어와 같은 두족류를 잡기 위한 인조미끼를 에기라고 한다.
위의 인조미끼는 생미끼에 비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깔끔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후각적인 유인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9046호 "낚시용 인조미끼"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미끼본체의 옆에 천연미끼 고정바늘을 구성하여 인조미끼와 천연미끼(생미끼)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물고기의 후각을 자극하여 유인이 잘 되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방식은 작은 물고기들이 생미끼만 골라 먹고 도망쳐 낚싯바늘에 걸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관련한 다른 선행기술의 일례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3814호 "낚시용 미끼"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선행기술은 내부에 제1 격실 및 제2 격실이 서로 분리되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제1 격실에 수용되며 냉광을 발생용 발광제가 담긴 발광제 튜브; 및 상기 제2 격실에 수용되며 어류 유인용 유인제가 담긴 유인제 튜브;로 구성되어 물고기의 시각 및 후각을 자극하여 유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해당기술이 제시하는 발광제 튜브 및 유인제 튜브는 해당 기술의 제품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교환이 필요할 시 어디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다는 범용성에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9046호 "낚시용 인조미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3814호 "낚시용 미끼"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에기에 두족류의 후각을 자극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미끼를 이용하되, 두족류가 생미끼만을 골라 먹고 도망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두족류 포획용 에기는 내부에 생미끼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일측에 수나사(10a)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낚싯줄을 연결할 수 있는 원형고리(11)가 구성되는 전면 몸체(10);와 상기 수나사(10a)에 조립되는 암나사(20a)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생미끼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암나사(20a)의 반대 방향 일측에 2단으로 낚싯바늘(21)이 구성되는 후면 몸체(20);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 몸체(10) 또는 후면 몸체(20) 중 하나의 일면에 내부방향으로 입구가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투입구(Q)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투입구(Q)의 외측에 전면 몸체(10) 또는 후면 몸체(20)와 힌지(H)로 연결되는 반원 형태의 커버(30);를 더 포함하고, 커버(30)의 외측방향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사각동기(30a)가 형성되며, 커버(30)의 내측방향에는 구형돌기(30b)가 형성되고 전면 몸체(10) 또는 후면 몸체(20)에 구형돌기(30b)가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원형홈(R)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면 몸체(10) 내부의 원형고리(10a) 방향에 금속재질의 중량부(10b)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면 몸체(10)와 후면 몸체(20)는 양측 하부에 반원 고리형태의 복수의 측면고리(S);와 상기 측면고리에 연결되며 일측에 끼움홈(C1)이 형성되는 원형의 클립(C);과 상기 클립(C)에 연결되며 투명부(P1)와 새우의 다리무늬(P2)가 형성되는 필름(P);을 더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C1)은 외측방향에 라운드부(C1a)와 내측방향에 경사부(C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 몸체와 후면 몸체 내부에 생미끼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족류가 생미끼만 골라먹고 도망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면 몸체(10) 또는 후면 몸체(20) 중 하나의 일면에 내부방향으로 입구가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투입구(Q)가 형성되고, 에기 외부에서 생미끼를 투입시 투입구(Q)를 열거나 막는 행위가 필요하지 않아 낚시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미끼의 크기별로 투입구(Q)의 개폐된 정도를 커버(30)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생미끼의 크기에 범용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 몸체(10) 내부의 원형고리(10a) 방향에 금속재질의 중량부(10b)를 구성하여, 낚싯바늘(21)이 해저면의 자갈이나 조개로부터 거리가 떨어지게 하여 밑걸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 몸체(10)와 후면 몸체(20)에 새우의 형상을 가지는 에기에서 새우의 다리무늬(P2)가 형성되는 필름(P)을 구성하여 두족류의 시야에 잘 보이도록 하여 입질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사시분해도.
도 1c는 도 1a의 단면도.
도 1d는 투입구(Q)가 후면 몸체(20)에 형성되는 실시예의 사시도.
도 2a는 투입구(Q)의 외측에 커버(30)가 구성되는 실시예의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A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3a는 전면 몸체(10) 내부에 중량부(10b)가 구성되는 실시예의 단면도.
도 3b는 해저면에서 사용되는 도 3a의 사용상태도.
도 4a는 전면 몸체(10)와 후면 몸체(20)에 측면고리(S)와 클립(C), 필름(P)이 구성되는 실시예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 중 B의 확대도.
도 4c는 도 4b 중 측면고리(S)와 클립(C), 필름(P)의 단면도.
도 5a는 전면 및 후면 몸체(10.20)에 등고리(S')와 클립(C), 등지느러미(F)가 구성되는 실시예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 중 C의 확대도.
도 5c는 도 5b 중 등지느러미(F)의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사시분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단면도이고, 도 1d는 투입구(Q)가 후면 몸체(20)에 형성되는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새우 형상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성형 된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두족류 포획용 에기는 내부에 생미끼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일측에 수나사(10a)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낚싯줄을 연결할 수 있는 원형고리(11)가 구성되는 전면 몸체(10);와 상기 수나사(10a)에 조립되는 암나사(20a)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생미끼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암나사(20a)의 반대 방향 일측에 2단으로 낚싯바늘(21)이 구성되는 후면 몸체(20);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 몸체(10) 또는 후면 몸체(20) 중 하나의 일면에 내부방향으로 입구가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투입구(Q)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두족류 포획용 에기 내부 공간에 투입되는 생미끼는 새우나 지렁이 등을 토막 내거나 통째로 사용할 수 있으며, 깔때기 형상의 투입구(Q)를 통하여 생미끼를 투입한다.
그리고 에기 내부의 투입구(Q)의 입구는 에기 외측의 입구 대비 작아 에기 내부에 수용된 생미끼가 외부로 빠져나가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며, 생미끼의 냄새가 투입구(Q)를 통하여 밖으로 빠져나가 두족류를 유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에기 외부에서 생미끼를 투입함에 있어 투입구(Q)를 열거나 막는 행위가 필요하지 않아 낚시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에기 내부에 생미끼가 수용되어 두족류가 생미끼만을 골라 먹고 도망가는 것이 불가하게 된다.
낚시를 마친 후 에기의 내부를 청소할 시에는 수나사(10a)와 암나사(20a)로 결합 된 전면 및 후면 몸체(20)를 돌려 분리한 후 내부에 수용된 생미끼를 빼내고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a는 투입구(Q)의 외측에 커버(30)가 구성되는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며, 실시예 2는 도 2a 또는 도 2b와 같이 실시예 1의 구성에서 투입구(Q)의 외측에 커버(30)가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낚시에 사용되는 생미끼는 새우나 지렁이 등을 토막 내거나 통째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에기 내부에 수용되는 생미끼의 크기에 따라 생미끼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투입구(Q)의 개방된 크기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구성에서 투입구(Q)의 외측에 전면 몸체(10) 또는 후면 몸체(20)와 힌지(H)로 연결되는 반원 형태의 커버(30);를 더 포함하며, 투입구(Q)의 개폐된 정도를 커버(30)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커버(30)는 힌지(H)를 원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커버(30)의 외측방향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사각동기(3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30)의 내측방향에는 구형돌기(30b)가 형성되며, 전면 몸체(10) 또는 후면 몸체(20)에 구형돌기(30b)가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원형홈(R)이 구성된다.
생미끼를 투입구(Q)에 삽입할 때에는 투입구(Q)가 최대한 개방되도록 커버(30)를 회전시키며, 투입구(Q)에 생미끼를 삽입 후 에기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투입구(Q)의 일부분만 개방되도록 커버(30)를 회전시킨다.
커버(30)의 재질은 탄성변형의 성질을 가지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커버(3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각동기(30a)에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커버(30)가 변형되어 원형홈(R)에 수용된 구형돌기(30b)가 빠져나오게 되고, 구형돌기(30b)가 복수의 원형홈(R) 중 하나에 수용되면 커버(30)의 형상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커버(3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한다.
도 3a는 전면 몸체(10) 내부에 중량부(10b)가 구성되는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해저면에서 사용되는 도 3a의 사용상태도이다.
오징어나 문어와 같은 두족류는 주로 해저면 바닥에서 생활하며 조개나 물고기 등을 먹고살기 때문에 두족류를 낚기 위해서는 에기를 해저면 바닥까지 닿게 하거나 일정 간격 띄운 상태를 만들어야 한다.
이때 해저면에 있는 조개나 자갈등이 낚싯바늘에 걸려 빼내기가 힘든 상태가 되기도 하는데 이를 밑걸림이라 한다.
실시예 3은 이러한 밑걸림을 개선하기 위한 에기의 구조를 제안하며, 도 3a 또는 도 3b와 같이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구성에서 전면 몸체(10) 내부에 중량부(10b)가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3a의 같이 실시예 3은 전면 몸체(10) 내부의 원형고리(10a) 방향에 금속재질의 중량부(10b)가 구성되며, 전면 몸체(10) 내부에 접착이나 끼움방식, 인서트 사출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중량부(10b)가 구성되는 에기가 물속에 들어가게 되면 도 3b와 같이, 중량부(10b)의 무게에 의해 전면 몸체(10)가 해저면에 가까이 위치하고, 전면 몸체(10)에 비하여 가벼운 후면 몸체(20)가 전면 몸체(10)보다 높게 들린 상태로 기울어져 낚싯바늘(21)이 해저면의 자갈이나 조개로부터 거리가 떨어지게 하여 밑걸림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는 전면 몸체(10)와 후면 몸체(20)에 측면고리(S)와 클립(C), 필름(P)이 구성되는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 중 B의 확대도이며, 도 4c는 도 4b 중 측면고리(S)와 클립(C), 필름(P)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실시예 4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구성에서 전면 몸체(10)와 후면 몸체(20)에 측면고리(S)와 클립(C), 필름(P)이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구성과 동일하다.
실시예 4는 새우의 형상을 가지는 에기에서 새우의 다리무늬(P2)가 형성되는 필름(P)을 구성하여 두족류의 시야에 잘 보이도록 하여 입질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면 몸체(10)와 후면 몸체(20)는 양측 하부에 반원 고리형태의 복수의 측면고리(S);와 상기 측면고리(S)에 연결되며 일측에 끼움홈(C1)이 형성되는 원형의 클립(C);과 상기 클립(C)에 연결되며 투명부(P1)와 새우의 다리무늬(P2)가 형성되는 필름(P);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두족류가 에기를 잡을시 두족류의 다리가 전면 몸체(10)와 후면 몸체(20)를 감싸게 되며, 상기 필름(P)은 두족류의 다리에 의해 유연하게 휘어 전면 및 후면 몸체(10, 20)에 밀착이 용이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두께를 선정할 수 있다.
반복된 낚시로 필름(P)은 훼손되어 교체가 필요할 수 있으며, 상기 끼움홈(C1)은 외측방향에 라운드부(C1a)와, 내측방향에 경사부(C1b)가 형성되게 하여 클립(C)을 측면고리(S)에 끼우거나 빼어낼 시 측면고리(S)가 라운드부(C1a) 또는 경사부(C1b)에 삽입되어 끼움홈(C1)이 부드럽게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필름(P)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a는 전면 및 후면 몸체(10.20)에 등고리(S')와 클립(C), 등지느러미(F)가 구성되는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 중 C의 확대도이며, 도 5c는 도 5b 중 등지느러미(F)의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실시예 4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구성에서 전면 몸체(10)와 후면 몸체(20)에 등고리(S')와 클립(C'), 등지느러미(F)가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구성과 동일하다.
실시예 5는 에기의 등에 등지느러미(F)를 구성하여 두족류의 시야에 잘 보이도록 하여 입질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면 몸체(10)와 후면 몸체(20)는 등 방향에 형성되는 복수의 등고리(S');와 상기 등고리(S')에 연결되며 일측에 끼움홈(C1)이 형성되는 원형의 클립(C');과 상기 클립(C')에 연결되는 등지느러미(F);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지느러미(F)는 양측에 전면 또는 후면 몸체(10, 20)를 향하여 뻗은 복수의 지지대(F1)가 형성되어 물속에서 기울어져 쓰러지지는 않게 한다.
또한, 전면 또는 후면 몸체(10, 20)와 지지대(F1)가 완전히 밀착하지 않고 일정 간격 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좌우로 일정각도 흔들리게 함으로써 지느러미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Q. 투입구 R. 원형홈 H. 힌지
10. 전면 몸체 10a. 수나사 10b. 중량부
11. 원형고리
20. 후면 몸체 20a. 암나사
21. 낚싯바늘
30. 커버 30a. 사각돌기 30b. 구형돌기
S. 측면고리 C. 클립
C1. 끼움홈 C1a. 라운드부 C1b. 경사부
P. 필름 P1. 투명부 P2. 다리무늬
S'. 등고리 F. 등지느러미 F1. 지지대

Claims (5)

  1. 새우 형상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성형 된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있어서,
    내부에 생미끼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일측에 수나사(10a)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낚싯줄을 연결할 수 있는 원형고리(11)가 구성되는 전면 몸체(10);
    상기 수나사(10a)에 조립되는 암나사(20a)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생미끼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암나사(20a)의 반대 방향 일측에 2단으로 낚싯바늘(21)이 구성되는 후면 몸체(20);
    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 몸체(10) 또는 후면 몸체(20) 중 하나의 일면에 내부방향으로 입구가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투입구(Q)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
  2. 제1항에 있어서,
    투입구(Q)의 외측에 전면 몸체(10) 또는 후면 몸체(20)와 힌지(H)로 연결되는 반원 형태의 커버(30);를 더 포함하고,
    커버(30)의 외측방향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사각동기(30a)가 형성되며, 커버(30)의 내측방향에는 구형돌기(30b)가 형성되고 전면 몸체(10) 또는 후면 몸체(20)에 구형돌기(30b)가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원형홈(R)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면 몸체(10) 내부의 원형고리(10a) 방향에 금속재질의 중량부(10b)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면 몸체(10)와 후면 몸체(20)는
    양측 하부에 반원 고리형태의 복수의 측면고리(S);
    상기 측면고리(S)에 연결되며 일측에 끼움홈(C1)이 형성되는 원형의 클립(C);
    상기 클립(C)에 연결되며 투명부(P1)와 새우의 다리무늬(P2)가 형성되는 필름(P);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C1)은 외측방향에 라운드부(C1a)와 내측방향에 경사부(C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면 몸체(10)와 후면 몸체(20)는
    등 방향에 형성되는 복수의 등고리(S');
    상기 등고리(S')에 연결되며 일측에 끼움홈(C1)이 형성되는 원형의 클립(C');
    상기 클립(C')에 연결되는 등지느러미(F);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지느러미(F)는 양측에 전면 또는 후면 몸체(10, 20)를 향하여 뻗은 복수의 지지대(F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
KR1020210059723A 2021-05-10 2021-05-10 두족류 포획용 에기 KR20220152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23A KR20220152618A (ko) 2021-05-10 2021-05-10 두족류 포획용 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23A KR20220152618A (ko) 2021-05-10 2021-05-10 두족류 포획용 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18A true KR20220152618A (ko) 2022-11-17

Family

ID=8423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723A KR20220152618A (ko) 2021-05-10 2021-05-10 두족류 포획용 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261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14B1 (ko) 2014-08-05 2016-02-12 장치식 낚시용 미끼
KR102099046B1 (ko) 2019-08-29 2020-04-08 함성국 낚시용 인조미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14B1 (ko) 2014-08-05 2016-02-12 장치식 낚시용 미끼
KR102099046B1 (ko) 2019-08-29 2020-04-08 함성국 낚시용 인조미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401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Baylis The behavior and ecology of Herotilapia multispinosa (Teleostei, Cichlidae)
US7493725B2 (en) Artificial fishing lure
US5170579A (en) Artificial fish lure
KR10209904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KR200492799Y1 (ko) 두족류 생미끼 채비
KR101875827B1 (ko) 낚시용 인조미끼
KR101680001B1 (ko)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
KR20190066822A (ko) 주꾸미 낚시용 어구
US20210000094A1 (en) Fishing Lure with Spinning Device
KR20190130244A (ko) 생미끼 삽입형 루어
WO2005077163A1 (en) Fishing lure
KR101453990B1 (ko)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KR20220152618A (ko) 두족류 포획용 에기
KR101725294B1 (ko)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US20180125046A1 (en) Weedless fishing lure device
JP2016214214A (ja) 漁撈用の筌
KR102486227B1 (ko) 전 층 수평이 가능한 낚시용 애기 루어
KR101288909B1 (ko) 어로용 통발
KR20220152613A (ko) 낚시용 메탈지그
Tyler A cleaning sympbiosis between the rainwater fish, Lucania parva and the stickleback, Apeltes quadracus
Asoh et al. Nesting behavior, male parental care, and embryonic development in the fairy basslet, Gramma loreto
KR200411476Y1 (ko) 소라 포획구
KR20200000425U (ko) 발광체를 구비한 인조미끼
KR100466014B1 (ko) 패류를 어초로 유인하여 양식 채취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