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840A -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840A
KR20220151840A KR1020210059085A KR20210059085A KR20220151840A KR 20220151840 A KR20220151840 A KR 20220151840A KR 1020210059085 A KR1020210059085 A KR 1020210059085A KR 20210059085 A KR20210059085 A KR 20210059085A KR 20220151840 A KR20220151840 A KR 2022015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information
financial
service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펫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펫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펫핀스
Priority to KR1020210059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1840A/ko
Publication of KR2022015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양육중인 반려동물에 대하여 가입가능한 펫 금융상품들을 제시하여 비교가 가능하게 하고 선택적으로 펫 금융상품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해 주는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제시된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의 펫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반려동물의 펫정보와 매핑되며, 상기 반려동물과 연관된 펫 금융 상품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하는 펫 금융 계좌 생성부; 상기 펫 금융 계좌 및 이에 매핑된 펫정보를 이용한 펫 금융 상품 비교 안내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펫 금융 계좌에 대응하는 펫 금융 상품 서비스의 가입을 처리하는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 및 상기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펫 금융 상품 서비스와 관련된 금융 거래를 처리하는 금융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A pet financial service apparatus using pet account}
본 발명은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육중인 반려동물을 위한 금융상품의 비교 및 가입을 지원해주는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반려동물과 함께 오래하고 싶은 욕구는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에 대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유지 시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2014년 1월, 대한 수의사회의 전국동물병원현황조사에 의하면, 전국 동물병원이 3,829개이고, 이중 반려동물병원이 2,634개인데, 경기도가 729개이고, 서울이 782개, 부산 199개, 인천 154개, 경남 129개, 대구 126개, 광주 80개로 발표했다.
상기 영향으로 반려동물 보험산업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반려동물과 관련한 보험상품 등을 사업자가 개발을 하여 반려동물 소유자에게 판매를 할 것이다. 이때, 반려동물 소유자가 반려동물 보험사업자의 상품이 반려동물 소유자에 적합한 상품인지를 인지하고, 비교하고, 선택해야 할 것이다.
특히, 반려동물은 자주 아픈데, 병원비는 너무 비싸 어려움을 겪는 반려인들을 위해 펫보험이 만들어져 있지만, 펫보험이 있는지조차 모르거나, 바로 비교해보고 가입하는 방법이 없어서 보험금 청구가 불편해서 가입하기에 어려움을 겪는 보호자들이 많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2212732호 "반려 동물 보험과 연계된 온라인 반려 동물 생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펫 정보에 대응하는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하고, 이에 기초하여 양육중인 반려동물에 대하여 가입가능한 펫 금융상품들을 펫 금융 계좌를 기반으로 제시 및 비교하고, 선택적으로 펫 금융상품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해 주는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의 펫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반려동물의 펫정보와 매핑되며, 상기 반려동물과 연관된 펫 금융 상품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하는 펫 금융 계좌 생성부; 상기 펫 금융 계좌 및 이에 매핑된 펫정보를 이용한 펫 금융 상품 비교 안내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펫 금융 계좌에 대응하는 펫 금융 상품 서비스의 가입을 처리하는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 및 상기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펫 금융 상품 서비스와 관련된 금융 거래를 처리하는 금융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의 펫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의 펫정보와 매핑되며, 상기 반려동물과 연관된 펫 금융 상품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펫 금융 계좌 및 이에 매핑된 펫정보를 이용한 펫 금융 상품 비교 안내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펫 금융 계좌에 대응하는 펫 금융 상품 서비스의 가입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펫 금융 상품 서비스와 관련된 금융 거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펫정보를 한번 입력하면 펫정보가 등록되고 펫 금융 계좌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국내에서 판매중인 다수의 금융사의 여러 개의 펫 금융상품을 한번에 자동으로 검색 및 비교하여 희망하는 펫 금융상품에 가입할 수 있다.
또한, 자동생성된 펫 금융 계좌를 식별번호로 하여 은행의 펫통장개설(펫저축)을 포함하여 펫돌봄(신탁), 펫카드, 펫장례, 슬개골케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개별 반려동물(강아지, 고양이)에 대해 고유한 펫 금융 계좌를 부여해 줌으로써, 은행의 저축계좌, 보험사의 피보험목적물, 카드사의 할부나 기타 서비스와 연계하여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험사별 각각 다른 품종을 통합 및 표준화하여 모든 반려동물 금융상품에 적용함으로써, 펫정보를 1회 입력하면 판매중인 모든 펫 금융상품을 한번에 검색 및 비교하여 희망하는 펫 금융상품에 가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반려동물 인증 기술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복합 인증 기기의 다중 출력 정보를 이용하되, 다중 출력 정보의 각 인증 기술별 정확도에 대응하는 가변적 결정 로직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조합 연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시간의 흐름이나 질병 등의 변화에도 이를 반영한 지속적인 개체 식별이 가능한 정확도 높은 반려동물 인증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는 동물 유기의 예방, 금융 사기의 예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 대한 장기 금융 상품이나 보험 상품 등을 개발하는 데에도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 기관별 일치율 산출 정확도에 기초한 인증기관 서버의 관리, 데이터 보정 및 기관 리스트 수정 등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집단지성과 같은 방식의 고도화된 복합 일치율 산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서비스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초기 작업으로 행해지는 펫 금융 계좌 생성 및 은행계좌와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서비스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복합 인증 처리부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도 8의 설명에 채용되는 반려동물 인증 정보를 예시하기 위한 케이스별 데이터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서비스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펫 용품점 단말(20), 펫 상조회사 단말(30), 동물병원 단말(40), 금융사 서버(50), 네트워크(60), 및 서비스 제공 서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단말 및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간 상호간 통신을 위해 각 단말 및 서버는 인터넷 네트워크, LAN, WAN,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케이블 TV 망, WIFI, 이동 통신망 및 기타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 및 서버는, 각 통신망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사용자 단말(10)은 반려동물 보호자의 단말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70)에 펫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회원가입이 가능하고, 펫정보(예컨대, 펫이름, 펫품종, 펫체중, 펫생일, 펫성별, 펫사진 등) 입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입력된 펫 정보에 대응하는 펫 금융 계좌를 발급하거나, 은행 등의 금융 기관으로부터 발급받아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발급된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하여 다양한 펫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는 펫 계좌 정보만으로도 펫에 대응하는 조회 및 금융상품의 가입, 금액의 지급, 비용의 청구 등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펫 계좌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보호자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는 바, 펫 계좌의 소유권 정보는 기본적으로 지정된 보호자의 계좌 정보에 매핑되어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펫 금융 계좌정보란, 일반적인 금융기관 계좌정보와 같은 계좌정보로 생성될 수도 있고, 사람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형식으로 생성될 수도 있으며, 이렇게 생성되는 계좌정보는 해당되는 펫을 식별하기 위한 펫정보 및 보호자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 관리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펫 계좌 정보만으로 다른 금융 서비스나 의료 서비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관리 할 수 있고, 유기 발생시 보호자를 찾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반려동물의 펫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펫정보와 매핑되며, 상기 반려동물과 연관된 펫 금융 상품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하며, 상기 펫 금융 계좌 및 이에 매핑된 펫정보를 이용한 펫 금융 상품 비교 안내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펫 금융 계좌에 대응하는 펫 금융 상품 서비스의 가입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펫 금융 상품 서비스와 관련된 금융 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펫금융 서비스는 국내에서 판매중인 모든 펫 금융상품(예컨대, 펫적금, 펫저축, 펫보험, 맹견보험, 펫신탁, 펫카드 등)을 한번에 검색, 비교,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상술한 펫금융 서비스 이외로, 펫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펫서비스는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펫택시, 펫상조, 펫장례, 펫호텔, 펫테마파크, 슬개골 케어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한번에 검색, 비교, 가입(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펫 정보 입력 및 펫 금융 계좌의 발급을 위해, 회원가입시 소정의 가입 정보(예컨대, 사용자(즉, 반려동물 보호자)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로그인 정보 등)를 입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술한 펫정보로는 중성화 여부(수컷 중성화, 암컷 중성화). 털색깔(펫모색) 등이 추가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중성화 여부는 해당 반려동물에 대한 보험요율 혜택에 도움을 줄 것이고, 털색깔은 해당 반려동물의 식별에 더욱 도움을 줄 것이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은 펫보험과 같은 펫 금융상품에 대한 갱신할인혜택을 받기 위해 이전 보험증권 사본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동물등록할인혜택을 받기 위해 동물등록번호 및 등록증 사진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제공 서버(70)로부터 펫 금융 계좌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표시할 수 있다.
신규한 펫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70)에게로 입력되어 등록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등록된 펫정보에 대한 펫 금융 계좌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한다. 이때, 자동 생성된 펫 금융 계좌에 상응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210123-1145-6789", "20200212-1234-5678" 등과 같이 소정 자릿수의 숫자를 포함하여, 금융기관의 계좌번호 규격에 매핑가능한 펫 금융 계좌번호일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펫 금융 계좌번호의 앞의 한 자리 또는 두 자리의 숫자는 반려동물에 관련된 숫자를 나타낼 수 있다. 그에 따라, 펫 금융 계좌번호의 앞의 한 자리 또는 두 자리의 숫자는 인덱스 또는 식별자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펫 금융 계좌만으로도 펫의 성별, 품종 분류와 같은 기본 정보 등은 사전에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펫 금융 계좌는 각각의 반려동물(강아지, 고양이)에 대하여 고유의 일련번호(관리번호)를 부여하여, 은행의 저축계좌, 보험사의 피보험목적물, 카드사의 할부서비스 등과 연계하여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근 정부가 관할하는 동물보호법에 의한 '동물등록제'와 관련되어 반려동물에게 부여되는 15자리 고유번호는 유기동물 발생 억제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동물등록제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에게 거부감을 주어 등록율이 대략 30% 이하에 머무르고 있으며, 일부 펫보험에서만 의무제출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최근 나오는 펫보험들은 동물등록번호를 요구하지 않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대하여, 펫 금융 계좌는 반려동물을 양육하는데 필요한 펫 금융상품을 가입하기 위해 회원이 양육하고 있는 반려동물마다 부여되는 관리번호로 이용될 수 있는 바, 이는 별도의 동물등록을 하지 않더라도 반려동물 양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즐거운 금융생활을 도울 수 있게 된다.
펫 금융 계좌는 은행계좌와 직접 연동되거나 간접적으로 연동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펫 금융 계좌번호는 설정에 따라 금융거래용 계죄번호로 직접 이용되거나, 반려동물의 보호자가 소유한 은행 계좌번호에 매핑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70)에 저장 및 관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위해 어느 한 펫 금융상품(예컨대, "A보험사의 펫보험"이라고 가정)에 가입하게 되면, 해당 A보험사는 은행(예컨대, 사용자가 지정한 은행일 수 있음)과 연계하여 펫통장을 신규로 개설한다. 여기서, 신규로 개설되는 펫통장은 해당 사용자(즉, 반려동물의 보호자) 명의로 개설될 것이다. 그리고 나서, 해당 A보험사는 가입된 펫보험에 대하여 신규로 개설한 펫통장의 정보(펫 금융 계좌번호 포함)를 서비스 제공 서버(70)에게로 보낸다. 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펫통장이 신규로 개설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펫 금융 계좌번호 포함)를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하므로, 사용자 단말(10)는 수신된 메시지를 통해 펫통장이 신규로 개설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제공 서버(70)로부터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의 비교 분석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그 중에서 어느 한 펫 금융상품을 선택한 후에 가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상기 펫 계좌 정보에 매핑된 펫정보를 근거로, 가입 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색인하고, 색인된 금융상품간 비교 분석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펫 용품점 단말(20)은 반려동물에 관련된 각종의 용품을 판매하는 펫 용품점의 단말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70)에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회원 가입시 펫 용품점 단말(20)에서는 해당 펫 용품점의 상호, 대표자명, 위치, 판매가능한 펫 용품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펫 용품점 단말(20)은 사용자 단말(10)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펫 상조회사 단말(30)은 반려동물에 대한 상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펫 상조회사의 단말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70)에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회원 가입시 펫 상조회사 단말(30)에서는 해당 펫 상조회사의 상호, 대표자명, 위치, 제공가능한 다양한 펫 상조 서비스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펫 상조회사 단말(30)은 사용자 단말(10)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동물병원 단말(40)은 반려동물에 대한 처치 및 수술 등이 가능한 동물병원의 단말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70)에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회원 가입시 동물병원 단말(40)에서는 해당 동물병원의 상호, 대표자명, 위치, 진료과 정보, 제공가능한 반려동물 의료서비스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동물병원 단말(40)은 사용자 단말(10)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금융사 서버(50)는 보험사, 카드사, 신탁회사, 은행 등과 같은 모든 금융사의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즉, 도 1에는 한 개의 금융사 서버(50)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다수의 보험사 서버, 다수의 카드사 서버, 다수의 신탁회사 서버, 및 다수의 은행 서버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금융사 서버(50)는 해당 금융사에서 판매가능한 펫 금융상품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7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0), 펫 용품점 단말(20), 펫 상조회사 단말(30), 및 동물병원 단말(40)을 각각 하나씩만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각각 다수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사용자 단말(10), 펫 용품점 단말(20), 펫 상조회사 단말(30), 동물병원 단말(40), 금융사 서버(50),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네트워크(60)를 통해 통신가능하다.
네트워크(6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6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60)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회원 가입 요청을 수신하여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임의의 사용자에 대한 펫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펫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펫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함과 더불어 펫 금융 계좌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펫 금융 계좌를 은행 계좌에 연동시켜 등록하고, 그 사실을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반려동물에 대한 펫 금융상품들을 제시하여 비교가 가능하게 하고 선택적으로 반려동물 금융상품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해 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펫 금융상품 가입 모드가 설정되면 국내에서 판매중인 모든 보험사의 펫 금융상품(펫 보험) 중에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펫정보를 근거로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한다. 여기서, 펫 금융상품 가입 모드는 사용자가 해당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추출된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의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서로 비교하여 희망하는 어느 한 펫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가입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가입된 펫 금융상품을 해당 사용자의 펫 금융 계좌(즉, 해당 반려동물의 펫 금융 계좌라고 할 수 있음)에 연계시켜 등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펫 금융상품 가입 모드가 설정되면 국내에서 판매중인 모든 보험사의 펫 금융상품(펫 보험) 중에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펫정보를 근거로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추출된 가입가능한 펫 금융상품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반려동물에게 가장 최적의 펫 금융상품(예컨대, 보험료 및 혜택 등이 사용자에게 가장 이득이 되는 펫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신한 최적의 펫 금융상품을 확인한 후에 가입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가입된 펫 금융상품을 해당 사용자의 펫 금융 계좌(즉, 해당 반려동물의 펫 금융 계좌라고 할 수 있음)에 연계시켜 등록시킬 수 있다.
물론,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가 펫 금융상품 가입 모드 대신에 펫서비스 가입 모드를 설정하면 해당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펫서비스(예컨대, 펫돌봄 서비스, 펫택시, 펫상조, 펫장례, 펫호텔, 펫테마파크, 슬개골 케어 등)를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서버(70)의 내부 구성도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통신부(71), 펫 금융 계좌 생성부(72), 금융 처리부(73), 등록정보 관리부(74),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 펫서비스 가입 처리부(76), 저장부(77), 및 제어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통신부(71)는 네트워크(60)를 통한 사용자 단말(10)과 서비스 제공 서버(70)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을 통해 상호간에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한편, 통신부(71)는 네트워크(60)를 통한 펫 용품점 단말(20), 펫 상조회사 단말(30), 동물병원 단말(40), 및 금융사 서버(50) 중의 어느 하나 이상과 서비스 제공 서버(70)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71)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가 가능하다.
펫 금융 계좌 생성부(72)는 각각의 반려동물에 대한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펫 금융 계좌 생성부(72)는 신규한 펫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부(77)에 등록되면 해당 펫정보에 대한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할 수 있다. 펫 금융 계좌는 개별 반려동물(강아지, 고양이)에 대해 일련번호(관리번호)를 부여하여, 은행의 저축계좌, 보험사의 피보험목적물, 카드사의 할부서비스 등과 연계하여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펫 금융 계좌 생성부(72)는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할 때 먼저 사용자에게 문의후 사용자의 허락이 있으면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펫 금융 계좌 생성부(72)는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하면 그에 상응하는 정보(예를 들어, 펫 금융 계좌번호 및 보호자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
금융 처리부(73)는 펫 금융 계좌가 생성됨에 따라 펫 금융 계좌에 연동하는 은행계좌를 생성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희망하는 은행의 계좌로 연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자 매핑 정보에는 사용자 은행 계좌 정보가 부가될 수 있다.
금융 처리부(73)는 생성된 펫 금융 계좌를 식별번호로 하여 은행의 펫통장 개설(펫저축)을 포함하여, 여타 다른 펫 금융상품(예컨대, 펫적금, 펫보험, 맹견보험, 펫신탁, 펫카드 등)에 관련된 금융거래(예컨대, 펫 금융상품 이용료 지불 등)를 금융사 서버(50)와 연계하여 해당 펫 금융 계좌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
물론, 금융 처리부(73)는 사용자(즉, 반려동물 보호자)가 펫서비스(예컨대, 펫택시, 펫상조, 펫장례, 펫호텔, 펫테마파크, 슬개골 케어 등)에 관련된 금융거래(예컨대, 펫서비스 이용료 지불 등)를 금융사 서버(50)와 연계하여 해당 펫 금융 계좌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
등록정보 관리부(74)는 서비스 제공 서버(70)를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사용자 등록(회원 등록), 펫정보의 등록, 은행계좌에 연동된 펫 금융 계좌(펫 금융 계좌번호 포함)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이라 함은 저장부(77)에 해당 정보들이 저장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등록정보 관리부(74)는 사용자가 펫 금융상품에 가입하면 가입된 펫 금융상품을 해당 사용자의 펫 금융 계좌에 연계시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입된 펫 금융상품을 해당 사용자의 펫 금융 계좌에 연계시키게 되면 관리가 용이해진다.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희망하는 펫 금융상품(예컨대, 펫적금, 펫보험, 맹견보험, 펫신탁, 펫카드 등)에 가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펫 금융상품 가입을 처리해 준다.
일 예를 들면,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사용자 단말(10)에서 펫 금융상품 가입 모드가 설정되면 현재 국내에 존재하는 금융사들에서 판매중인 모든 펫 금융상품을 금융사 서버(50)를 통해 수취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펫정보(예컨대, 펫이름, 펫품종, 펫체중, 펫생일, 펫성별, 펫사진 등)를 근거로 모든 펫 금융상품중에서 해당 반려동물이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여기서,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함에 있어서,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예를 들어 펫정보내의 품종(또는 품종과 나이(생일을 근거로 환산 가능함))을 근거로 해당 품종의 반려동물이 가입가능한 펫 금융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즉,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저장부(77)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반려동물 표준품종분류표(즉,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대략 강아지 367종, 대략 고양이 87종으로 표준화한 분류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견의 표준품종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묘의 표준품종표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펫정보에 부응하는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추출된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사용자 단말(10)에게 전송할 때,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가입가능한 각각의 펫 금융상품에 대하여 펫정보(예컨대, 펫품종, 펫나이, 펫성별, 중성화 여부 등) 및 각종 할인/할증 요소(소/중/대형견 구분, 일반견/배상할증견/맹견 구분, 동물등록시 추가 할인 등)를 고려한 보험요율(또는 보험료)을 해당 펫 금융상품의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단말(10)에 화면표시되는 가입가능한 각각의 펫 금융상품을 비교한 후에 어느 한 펫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가입하게 된다.
물론,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비교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비교대상인 펫 금융상품별 비교지수를 생성하여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펫보험은 사용자들에게 매우 어렵게 느껴지고, 보상하는 내용 등이 펫 금융상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어떻게 비교해야 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펫 금융상품별로 기준(A, B, C)에 따라 1년간 보험료로 1년간 내가 받을 수 있는 보상한도액을 나누어 '내 보험료 1원당 얼마나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를 지수화함으로써, 이를 비교하게 해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지수 A, 비교지수 B, 비교지수 C 등이 있을 수 있다. 비교지수 A는 1년간 받을 수 있는 모든 담보, 즉 의료비부분과 비의료비부분(배상책임, 정액지원금) 보상한도액 모두를 1년간의 보험료로 나눈 값(즉, 이 보험에 가입해서 내가 받을 수 있는 최대 보험금을 1년간 보험료로 나눈 값)이 될 수 있다.
비교지수 B는 1년간 받을 수 있는 의료비부분만의 보상한도액을 1년간의 보험료로 나눈 값이 될 수 있다.
비교지수 C는 비교지수 B에서 자기부담금, 보상비율, 대기기간 등에 대한 보정을 한 값이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서로 비교한 후에 희망하는 펫 금융상품에 대한 가입을 선택(클릭)할 수 있다.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해당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펫 금융상품 가입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펫 금융상품에 대한 가입을 처리하고, 가입된 펫 금융상품을 해당 사용자의 펫 금융 계좌에 연계시켜 등록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사용자 단말(10)에서 펫 금융상품 가입 모드가 설정되면 사전 설정된 금융사 서버(50)에서 판매중인 펫 금융상품 정보를 금융사 서버(50)를 통해 수취하고, 펫 금융 계좌에 대응하여 사전 매핑 저장된 펫정보(예컨대, 펫이름, 펫품종, 펫체중, 펫생일, 펫성별, 펫사진 등)를 근거로 모든 펫 금융상품중에서 해당 반려동물이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한다.
여기서,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함에 있어서,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예를 들어 펫정보내의 품종(또는 품종과 나이(생일을 근거로 환산 가능함))을 근거로 해당 품종의 반려동물이 가입가능한 펫 금융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즉,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저장부(77)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반려동물 표준품종분류표(즉,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대략 강아지 367종, 대략 고양이 87종으로 표준화한 분류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견의 표준품종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묘의 표준품종표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펫정보에 부응하는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추출된 가입가능한 펫 금융상품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반려동물에게 가장 최적의 펫 금융상품(예컨대, 보험료 및 혜택 등이 사용자에게 가장 이득이 되는 펫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그리고, 선택된 가장 최적의 펫 금융상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할 때,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가장 최적의 펫 금융상품의 정보와 함께 보험요율(또는 보험료)을 사용자 단말(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단말(10)에 화면표시되는 가장 최적의 펫 금융상품을 확인한 후에 가입을 선택(클릭)하게 된다. 그에 따라,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는 해당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펫 금융상품 가입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펫 금융상품에 대한 가입을 처리하고 가입된 펫 금융상품을 해당 사용자의 펫 금융 계좌에 연계시켜 등록시킬 수 있다.
펫서비스 가입 처리부(76)는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하여 구성된 펫서비스 가입 요청을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보호자가 반려동물에 대해 희망하는 펫서비스(예컨대, 펫택시, 펫상조, 펫장례, 펫호텔, 펫테마파크, 슬개골 케어 등) 가입을 처리해 준다.
펫서비스 가입 처리부(76)는 앞서 2가지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의 동작처럼 검색 및 비교를 거쳐 팻서비스 가입을 처리해 줄 수 있다. 이러한, 펫 금융 계좌 정보 기반의 가입 프로세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펫 계좌 정보를 근거로 처리되는 프로세스로서, 기존과 같이 사람에 대하여 처리된 후 펫정보가 다시 등록되는 가입 프로세스에 비하여, 펫 금융 계좌만 입력되면 별도의 추가 정보 없이도 펫정보에 대응하는 직접적인 가입 처리 및 금융 서비스 연동이 즉시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한 중간 프로세스 등이 생략되는 장점이 있다.
저장부(77)는 사용자(회원) 정보, 사용자별 펫정보, 사용자별 펫정보에 의해 생성된 펫 금융 계좌, 사용자별 펫 금융 계좌(펫 금융 계좌번호 포함)에 연동된 은행계좌 정보, 사용자별 펫 금융 계좌에 연계된 가입된 펫 금융상품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77)는 회원등록되는 하나 이상의 펫 용품점, 펫 상조회사, 동물병원, 금융사 등에 대한 각종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저장부(77)는 상술한 펫 용품점, 펫 상조회사, 동물병원, 금융사 이외로,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해 회원등록되는 여타 회사(예컨대, 펫 택시회사. 펫호텔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L보험사는 소형견/중형견/대형견으로 분류하고 품종 130여개, M보험사는 300여개 등과 같이 각기 다른 품종명과 리스트를 가지고서, 보험요율(또는 보험료)을 책정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기 다른 반려동물 품종분류표, 반려견의 품종표, 반려묘의 품종표를 통합하고 표준화하여 일련번호(품종번호)를 부여하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험사별 각각 다른 품종을 통합, 표준화하여 대략 강아지 367종, 대략 고양이 87종의 표준품종리스트를 개발함과 더불어 품종번호를 부여하였다.
그에 따라, 저장부(77)에는 이러한 반려동물 표준품종분류표, 반려견의 표준품종표, 반려묘의 표준품종표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저장부(77)에 미리 저장된 반려동물 표준품종분류표는 하기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1000단위 1000 반려견 2000 미분류 반려견 3000 반려묘




100단위
100 소형견-맹견
200 소형견-배상할증견
300 소형견-일반
400 중형견-맹견
500 중형견-배상할증견
600 중형견-일반
700 대형견-맹견
800 대형견-배상할증견
900 대형견-일반
가나다순 전체 가나다순 전체
표 1에서, 배상할증견은 보험개발원, 각 보험사별 내부 기준에 근거하여 결정한 것이고, 맹견은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제1조의3(맹견의 범위)에 명시된 견종에 의거하여 결정한 것이다.
크기분류 구분 펫종류 품종번호
소형견
소형견
소형견
소형견
소형견
소형견
소형견
소형견
소형견
소형견
소형견
.
.
.
중형견
중형견
중형견
중형견
중형견
중형견
중형견
중형견
.
.
.
대형견
대형견
대형견
.
.
.
대형견
대형견
대형견
대형견
.
.
.
대형견
대형견
대형견
.
.
.
맹견
배상할증
일반
일반
일반
일반
일반
일반
일반
일반
일반
.
.
.
맹견
맹견
맹견
맹견
배상할증
배상할증
배상할증
일반
.
.
.
맹견
맹견
맹견
.
.
.
배상할증
배상할증
배상할증
배상할증
.
.
.
일반
일반
일반
.
.
.
-
미니어처 불테리어
기타A/믹스견(5Kg 이하)
기타B/믹스견(5Kg 초과 12Kg 미만)
노리치 테리어
노퍽 테리어
닥스훈트
댄디 딘몬트 테리어
라사압소
레이크랜드 테리어
말티즈(몰티즈)
.
.
.
스태퍼드셔 불테리어
스태퍼드셔 불테리어_잡종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_잡종
불테리어
비어디드 콜리
프렌치 불독
기타C/믹스견(15Kg 초과 25Kg 이하)
.
.
.
도사견
도사견_잡종
로트와일러(롯트바일러)
.
.
.
그레이트 피레니즈
나폴리탄 마스티프(네오폴리탄 마스티프)
불독
시베리안 허스키
.
.
.
골든 리트리버
그레이트 데인
달마시안
.
.
.
1101
1201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1307
1308
1309
.
.
.
1401
1402
1403
1404
1501
1502
1503
1601
.
.
.
1701
1702
1703
.
.
.
1801
1802
1803
1804
.
.
.
1901
1902
1903
.
.
.
저장부(77)에 미리 저장된 반려견의 표준품종표는 하기의 표 2와 같을 수 있다.
펫종류 품종번호
기타/믹스고양이
네벨룽
.
.
.
아메리칸 밥 테일
아메리칸 밥 테일 숏헤어
.
.
.
오시캣
요크 초콜릿
유리피안 버미즈
.
.
.
캘리포니아 스팽글드
컬러포인트 숏헤어
코니시 렉스
.
.
.
3001
3002
.
.
.
3045
3046
.
.
.
3056
3057
3058
.
.
.
3066
3067
3068
.
.
.
이와 같이, 표 1 내지 표 3을 통해 표시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동물 표준품종분류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견의 표준품종표, 및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묘의 표준품종표를 통칭하여 반려동물 표준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반려 동물 표준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전 설정된 품종 번호 포맷에 매핑되며, 품종 식별 정보, 펫 종류 정보, 크기 분류 정보 및 배상 구분 정보를 포함하는 표준품종분류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배상 구분 정보는 반려동물로 인한 손해배상시 고려되는 필요 정보로서, 맹견, 배상할증, 일반 등과 간은 구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이러한 반려동물 표준 정보를 이용하여, 각 펫 금융상품을 사전에 생성하고, 선택적인 추가 조건을 입력을 받을 수 있게 함으로서, 해당 펫의 금융 계좌 정보에 대응하는 다양한 펫 금융상품 및 가격 비교 매칭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펫의 표준정보를 바탕으로 성장/질병/상태 등에 따라 표준화된 절차를 용이하게 정의할 수 있기 때문이며,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이러한 반려동물 표준정보를 펫 금융 계좌 정보에 매핑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8)는 서비스 제공 서버(70)의 전술한 각 구성부들의 동작을 전체저긍로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초기 작업으로 행해지는 펫 금융 계좌 생성 및 은행계좌와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회원 가입 요청을 수신하여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S10). 이 경우, 회원가입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소정의 가입 정보(예컨대, 사용자(즉, 반려동물 보호자)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로그인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해당 사용자가 양육하고 있는 반려동물 정보(즉, 펫정보)를 등록한다(S12). 물론, 펫정보의 등록은 해당 펫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행해진다. 펫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다면 재차 등록시킬 필요가 없다. 만약, 펫정보의 갱신이 필요하다면 갱신가능하다.
또한 상기 펫 금융 계좌는, 일정한 기간마다 해당 펫에 대한 인증처리를 통해 펫 금융계좌의 유효성을 인증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인증 방법은 RFID와 같은 메모리 칩을 이용하는 전자인증이나, 홍채인식이나 얼굴인식과 같은 복합인증을 통해 동일한 펫임을 인증처리할 수 있다.
펫정보를 등록하고 나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해당 펫정보에 대응되는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한다(S14). 펫 금융 계좌는 개별 반려동물(강아지, 고양이)에 대해 일련번호(관리번호)를 부여하여, 은행의 저축계좌, 보험사의 피보험목적물, 카드사의 할부서비스 등과 연계하여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펫 금융 계좌가 생성되었다면 그에 상응하는 정보(즉, 펫 금융 계좌번호)도 생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생성한 펫 금융 계좌(펫 금융 계좌번호 포함)를 은행 계좌에 연동시켜 등록시킨다(S16).
상기와 같이 생성된 상기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하여 펫 금융 상품의 가입과, 펫 금융 상품의 서비스, 펫 금융 상품과 관련된 금융거래 서비스에 해당되는 펫 정보 및 은행 계좌를 연동시켜 펫 금융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펫 계좌 정보와 연동되는 펫 정보에는, 펫 자체에 대한 식별 정보와 펫 분류정보 보호자정보등이 맵핑되어 있고, 아울러 펫 금융 계좌정보가 사용자의 은행 계좌 정보와 연동되게 등록되어 있다. 펫 분류정보로는, 반려동물 표준품종분류표(즉, 보험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대략 강아지 367종, 대략 고양이 87종으로 표준화한 분류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견의 표준품종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묘의 표준품종표를 기반으로 해당되는 펫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펫 금융 계좌는 펫정보가 맵핑되어 있고 은행계좌가 연동되게 등록되어 있으므로, 펫 계좌정보를 이용하여 펫 금융 상품에 대한 가입과 관리 검색 및 추천과 금융거래 서비스등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이와 같은 사실을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펫 정보는,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펫의 성장 및 펫의 상태 변화등에 따라 갱신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펫 계좌 정보는 한번 생성한 이후에 펫 종류나 펫 상태 등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기간마다 펫 금융 계좌 정보에 대응된 펫 정보를 갱신 하도록 한다. 즉, 펫 금융계좌에 맵핑된 펫 정보의 갱신처리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갱신된 펫 정보를 수신받아 갱신한다.
결국 펫 정보 갱신 여부에 따라 펫 금융 계좌의 유효성, 즉 유효기간을 제한할 수 있다.예를 들어 1년 단위로 펫 사진정보를 업그레이드 하게 하거나, 해당 펫의 의료정보나 보험정보 등을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펫 금융 계좌 정보를 기반으로 펫 금융상품을 추천하거나 가입가능 금융 상품을 판단할때, 해당 펫금융 계좌에 맵핑된 갱신된 펫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시점에서의 최적의 펫 금융상품을 추천하거나, 펫 계좌정보를 이용한 펫 인증처리시 명확하게 동일 펫을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펫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네트워크(6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7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S20).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펫 금융상품 가입 모드를 설정한다.
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펫정보(예컨대, 펫이름, 펫품종, 펫체중, 펫생일, 펫성별, 펫사진 등)를 수신한다(S22). 펫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펫 금융 계좌 정보를 입력받아 맵핑되어 있는 펫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펫 금융상품에 따라 펫 금융계좌정보에 맵핑된 펫정보 이외의 추가로 펫 정보를 필요로 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펫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추가로 펫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펫 정보 수신은, 도 3의 과정을 통해서 사전에 펫 정보를 입력하여 생성하고 등록해둔 펫 금융 계좌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펫 금융 계좌정보는, 펫 정보와 보호자 정보가 맵핑되어 있고, 은행계좌 정보가 연동되도록 등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펫 금융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펫 금융상품의 검색에 필요한 펫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펫 정보를 이용하여 펫 금융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현재 국내에 존재하는 금융사들에서 판매중인 모든 펫 금융상품을 금융사 서버(50)를 통해 수취하고, 수신한 펫정보를 근거로 모든 펫 금융상품중에서 해당 반려동물이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한다(S24).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펫계좌정보에 맵핑된 펫정보내의 품종(또는 품종과 나이(생일을 근거로 환산 가능함))을 근거로 해당 품종의 반려동물이 가입가능한 펫 금융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저장부(77)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반려동물 표준품종분류표(즉, 보험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대략 강아지 367종, 대략 고양이 87종으로 표준화한 분류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견의 표준품종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묘의 표준품종표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펫정보를 갖는 해당 반려동물이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추출된 펫 금융상품의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S26). 여기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가입가능한 각각의 펫 금융상품에 대하여 펫정보(예컨대, 펫품종, 펫나이, 펫성별, 중성화 여부 등) 및 각종 할인/할증 요소(소/중/대형견 구분, 일반견/배상할증견/맹견 구분, 동물등록시 추가 할인 등)를 고려한 보험요율(또는 보험료)을 해당 펫 금융상품의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단말(10)에 화면표시되는 가입가능한 각각의 펫 금융상품을 비교한 후에 어느 한 펫 금융상품에 대한 가입을 선택(클릭)하게 된다(S28). 물론,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비교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비교대상에 속하는 펫 금융상품별 비교지수를 생성하여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반려동물에 대해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서로 비교한 후에 어느 한 펫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가입을 희망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선택된 펫 금융상품에 대한 가입을 처리하고, 가입된 펫 금융상품을 해당 사용자의 펫 금융 계좌에 연계시켜 등록시킨다(S30).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70)의 금융 처리부(73)는 펫 금융상품에 관련된 금융거래를 해당 반려동물의 펫 금융 계좌를 통해 처리한다. 예를 들어, 해당 반려동물의 펫 금융 계좌(은행 계좌와 연동됨)로 보험료가 입금되게 처리하거나, 사용자가 청구한 보험금을 펫 금융 계좌로 입금되게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펫 금융계좌 정보만으로, 펫 금융상품의 검색과 비교 추천과 가입 처리등을 수행할 수 있고, 해당 펫 금융상품 과 연계시켜 등록함으로써, 이후 펫 금융거래서비스를 펫 금융계좌만으로도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펫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네트워크(6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7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S40).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펫 금융상품 가입 모드를 설정한다.
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펫 정보를 수신한다(S42). 펫 정보 수신은, 펫 정보 자체를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펫 금융 계좌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펫 금융계좌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펫 금융 계좌 정보에는 펫정보(예컨대, 펫이름, 펫품종, 펫체중, 펫생일, 펫성별, 펫사진 등)가 맵핑되어 있으므로, 펫 금융계좌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되는 펫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현재 국내에 존재하는 금융사들에서 판매중인 모든 펫 금융상품을 금융사 서버(50)를 통해 수취하고, 수신한 펫정보를 근거로 모든 펫 금융상품중에서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한다(S44).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펫정보내의 품종(또는 품종과 나이(생일을 근거로 환산 가능함))을 근거로 해당 품종의 반려동물이 가입가능한 펫 금융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저장부(77)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반려동물 표준품종분류표(즉, 보험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대략 강아지 367종, 대략 고양이 87종으로 표준화한 분류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견의 표준품종표, 금융사별 각기 다른 품종을 통합하여 표준화한 반려묘의 표준품종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펫정보를 갖는 해당 반려동물이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반려동물 표준품종분류표는 사전에 구축해두고, 펫 금융계좌 생성시 해당되는 반려동물의 표준품종분류표에 근거하여 분류정보를 펫 정보로서 등록하여 펫정보로서 맵핑한다. 그러므로 별도로 펫 정보를 입력받지 않고서도 펫 금융계좌 정보만 입력받아 일반적인 펫정보와, 펫 표준품종 분류정보를 모두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펫 금융상품 검색과 비교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추출된 가입가능한 펫 금융상품(예컨대, 다수개의 펫 금융상품)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반려동물에게 가장 최적의 펫 금융상품(예컨대, 보험료 및 혜택 등이 사용자에게 가장 이득이 되는 펫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S46). 그리고, 선택된 가장 최적의 펫 금융상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할 때, 서비스 제공 서버(970)는 가장 최적의 펫 금융상품의 정보와 함께 보험요율(또는 보험료)을 사용자 단말(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단말(10)에 화면표시되는 가장 최적의 펫 금융상품을 확인한 후에 가입을 최종적으로 선택하게 된다(S48, S50).
상기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가장 최적의 펫 금융상품의 가입을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선택된 가장 최적의 펫 금융상품에 대한 가입을 처리하고, 가입된 펫 금융상품을 해당 사용자의 펫 금융 계좌에 연계시켜 등록시킨다(S52).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70)의 금융 처리부(73)는 펫 금융상품에 관련된 금융거래를 해당 반려동물의 펫 금융 계좌를 통해 처리한다. 예를 들어, 해당 반려동물의 펫 금융 계좌(은행 계좌와 연동됨)로 보험료가 입금되게 처리하거나, 사용자가 청구한 보험금을 펫 금융 계좌로 입금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서비스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6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펫 용품점 단말(20), 펫 상조회사 단말(30), 동물병원 단말(40), 금융사 서버(50), 네트워크(60), 반려 물용 복합 인증 기기(80), 인증기관 서버(90), 및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구성요소중에서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참조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면서, 그에 대한 설명은 도 1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반려 물용 복합 인증 기기(80)가 더 구비됨으로서, 전술한 펫정보에 상기 복합 인증 정보가 부가될 수 있는 점이 주 차이점이며, 상기 펫 계좌 정보에는 상기 복합 인증 정보가 매핑 저장 및 관리되어, 펫의 건강 관리, 보험금 지급 등의 다양한 펫서비스 또는 펫 금융 서비스에서 필요한 펫 인증 프로세스가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6에서,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획득하고, 다중 출력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 또는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도 6의 사용자 단말(10)은 반려동물 보호자의 단말, 동물병원 수의사 또는 동물병원 간호사 등이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에는, 하나 이상의 입력부, 출력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중 출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출력부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는,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는 태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태그(예를 들어, NFC/RFID 태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정보는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90)에 사전 등록된 등록정보로서, 동물등록번호, 소유주 이름, 연락처, 주소, 동물명, 품종, 성별, 모색, 생년월일, 중성화 정보, 관할 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에는 홍채 인식 센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홍채 인식 센서 모듈은 적외선 센서 모듈이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에는 비문 인식 센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비문 인식 센서 모듈은 이미지 센서 모듈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에는 안면 인식 센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안면 인식 센서 모듈은 정확도 향상을 위한 3차원 카메라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카메라 센서 모듈은 2 이상의 이미지 센서 모듈간 시차 정보를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구성한다. 안면 인식 센서 모듈은 깊이 정보가 포함된 3차원 이미지 정보에 기초한 안면 인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에는 인증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처리하여 다중 출력 정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은 체온 정보를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체온 정보는 인증 정보로 이용되지는 않을 수 있으나,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 등을 측정하는 데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체온 정보는 동물병원 단말(40)을 통해 해당 동물병원의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되어 동물의 건강 이력 정보를 구성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에서는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다중 출력 정보는 사전 구축된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다중 출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에 구비된 모든 센서 모듈은 비접촉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반려 동물이 움직이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로 촬영된 6가지 데이터(RFID(동물등록번호 15자리),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체온)가 촬영된 일시와 장소와 함께 주기적으로 기록되어 지속될 수 있다.
한편, 대략 최대 20세 까지의 반려동물에게까지 복합인증으로 개체식별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펫금융 가입시 복합인증을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험금 청구시에도 복합인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의 네트워크(60)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가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60)는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가 근거리 네트워크(블루투스, 와이파이 등)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10)의 통신 모듈을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되는 경로를 통해 사전 구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유 연결 경로는,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가 실내 또는 실외에 비치된 경우 등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다중 출력 정보를 수신하면 다중 출력 정보를 역다중화 처리하여 복수의 반려 동물용 생체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기관 서버(90)에게로 복수의 인증 정보를 각각 전송하며, 하나 이상의 인증기관 서버(90)로부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일치율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인증기관 서버(90)는 역다중화된 다중 출력 정보 중에서 처리 가능한 인증 정보와, 사전 등록된 반려 동물의 인증 정보간 일치율 정보를 제공하는 각 인증 기능별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기관 서버(90)는 각각의 인증 기능에 대응하여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1 인증 기관 서버, 제2 인증 기관 서버 등과 같이 복수 개의 인증기관 서버(90)들로부터 각 기관별 상이한 처리 방식에 기초한 다양한 일치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한 일치 여부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하는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채 인식의 경우, 비문 인식의 경우, 안면 인식의 경우 등과 같이 각각의 인증 정보에 따른 인증 알고리즘이 존재할 수 있으며, 홍채 인식과 같은 동일한 종류의 인증 방식의 경우에도 각 기관이나 업체별로 다양한 인증 알고리즘이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어느 기관도 현재 100%의 정확도를 보장하지 않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각 기관들의 인증 정보의 일치율을 조합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복합 일치율을 산출하며, 복합 일치율에 기초하여 기 등록된 반려동물 인증 정보와의 일치 여부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에서는 한 번의 기기 운용만으로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획득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기관 서버(90)들의 복합 일치율을 산출하여 동일성 여부를 집단지성 검증 및 누적 학습 방식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반려동물의 관리 및 보험 서비스 등에서 이용되는 개체 식별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사용자 단말(10)은 도 1에서의 사용자 단말(10)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면서, 추가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반려 동물 인증 정보와의 일치 여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디스플레이부, 음성 출력부 등을 통해 상기 일치 여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결되어,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의 다중 출력 정보에 기초한 반려동물의 객체 식별 정보 및 일치 여부 정보와, 이에 기반한 건강 정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통신부(101), 복합 인증 처리부(102), 펫 금융 계좌 생성부(103), 금융 처리부(104), 등록정보 관리부(105),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106), 펫서비스 가입 처리부(107), 저장부(108), 및 제어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예가 될 수 있다.
통신부(101)는 도 2에 도시된 통신부(7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고, 펫 금융 계좌 생성부(103)는 도 2에 도시된 펫 금융 계좌 생성부(7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고, 금융 처리부(104)는 도 2에 도시된 금융 처리부(7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고, 등록정보 관리부(105)는 도 2에 도시된 등록정보 관리부(7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고,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106)는 도 2에 도시된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7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고, 펫서비스 가입 처리부(107)는 도 2에 도시된 펫서비스 가입 처리부(76)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고, 저장부(108)에는 도 2에 도시된 저장부(77)의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도 7에서,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사용자 등록과,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를 통해 수집된 반려 동물 정보의 등록 및 계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반려동물의 기본 정보 및 초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된 기본 정보 및 초기 인증 정보는 하나 이상의 인증기관 서버(90)에게로 제공되어, 이후의 다중 출력 정보로부터 처리되는 인증 정보와의 기관별 일치율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통신부(101)를 통해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로부터의 다중 출력 정보가 수신되면, 다중 출력 정보를 역다중화 처리하여 복수의 반려 동물용 생체 인증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생체 인증 정보는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체온 정보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에서 획득된 생체 정보를 다중 출력 정보로부터 분류 처리하여 각각의 인증 정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복수의 인증 정보의 종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기관 서버(90)에게로 복수의 인증 정보를 각각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인증기관 서버(90)로부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일치율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업체 및 기관별로 동일한 종류의 인증 방식이라 하더라도, 세부 프로세스는 상이할 수 있으며, 각 기관별 정확도가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사전 설정된 인증 기관 서버 리스트를 인증 정보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 등록 처리할 수 있으며, 복수 개 등록된 인증기관 서버(90) 각각에 반려동물의 초기 인증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고,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에서 수신된 인증 정보와의 일치율을 인증기관 서버(90)에 각각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각각 수신된 일치율 정보의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복합 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각 인증기관 서버(90)의 일치율 정보의 인증 정보별 평균 값을 연산하고, 인증 정보별 평균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인증 정보 간 우선 순위 또는 우선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결정된 제1 인증 정보의 일치율 평균 값이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복합 일치율과 관계 없이 다중 출력 정보가 사전 등록된 반려동물의 인증 정보와 일치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태그 정보를 홍채보다 우선적으로 결정하고, 홍채를 비문보다 우선적으로 결정하고, 비문을 안면보다 우선적으로 결정하는 순차적 결정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우선적 결정을 위해, 우선 가중치 정보가 사전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태그:홍채:비문의 가중치는 기술 정확도에 따라 3:2:1일 수 있으나 이는 추후 기술 발전에 따른 정확도 변경에 의해 가변될 수도 있다.
반면, 상술한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결정된 제1 인증 정보의 일치율 평균 값이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복합 일치율에 기초하여 다중 출력 정보가 사전 등록된 반려 동물의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인증기관 서버(90)별 일치율들의 복합적인 평균 연산 및 우선 순위 연산을 통해, 복합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정확성이 보장된 복합 일치율이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일치율에 의한 동일성 여부 정보는 하나가 아닌 복수의 각 인증기관 서버(90)의 공통적인 판단이 이루어져야 결정될 수 있으므로, 업체 및 기관들의 인증 정확성이 리니어(linear)하게 향상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방식의 정확도는 익스퍼넨셜(exponential)하게 향상되게 된다.
다만, 인증기관 서버(90) 중 오류가 발생되거나, 다른 인증기관 서버(90)들보다 일치율이 극단적으로 낮게 도출되는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각 인증기관 서버(90)의 일치율 정보가 일정 수치 이하인 하위 인증기관 서버를 식별하고, 식별된 하위 인증기관 서버를 인증기관 서버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이러한 인증기관 서버(90)들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합리적인 복합 일치율이 산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수신된 일치율 정보의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로직 프로세스는 평균 값의 복합 연산이 예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각 인증 정보 카테고리별 일치율 정보를 취합하여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별 일치율 평균 값에 대한 평균 연산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최종 복합 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다.
다만, 태그 정보와 같이, 정확도가 보장되어 있어 사전 설정된 우선 순위가 높은 정보의 일치율은, 보다 높은 가중치가 할당되거나, 로직 구성에서의 1차 판단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1차적으로 시간 및 위치 정보와 태그 정보를 검출하여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태그 정보가 판독되지 않는 경우에는 2차적으로 홍채, 비문 또는 안면 인증 정보를 검출하여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다중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품종 정보 및 나이 정보를 획득하고, 품종 정보 및 나이 정보에 대응하여 사전 학습된 인증 정보별 보정 값을 획득하며, 보정 값을 복합 일치율 연산 프로세스에 적용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중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품종 정보 및 나이 정보를 포함하는 펫정보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거나, 다중 출력 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저장부(108)에 사전 학습된 인증 정보별 보정 값과, 품종 정보 및 나이 정보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다중 출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 값의 보정 값을 산출하여, 복합 일치율 연산 프로세스 처리시 적용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다중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 반려 동물의 품종 및 나이 정보와, 기존 등록된 등록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생체 인증 정보를 예측하고, 각 인증기관 서버(90)에서 예측된 인증 정보와의 일치율을 연산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에 따라,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시간의 흐름 등에 의해 변화되는 반려 동물의 생체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를 다양한 동물 개체 식별 및 인증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될 반려 동물 정보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는 웹 인터페이스 등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서 요청되는 동물 관리 정보, 등록 정보, 인증 정보, 복합 일치율 기반 동일여부 정보를 제공하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10)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는 주기적인 건강검진 알림 서비스, 인증 정보의 등록 및 관리 서비스, 보험상품 가입 안내 서비스, 포인트 적립 서비스, 보험료 할인 서비스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도 7에서, 저장부(108)에는 추가적으로 반려동물 인증 정보(예컨대,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제어부(109)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복합 인증 처리부(102)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사용자 단말(00)로부터 반려 동물의 초기 인증 정보를 등록한다(S101).
여기서, 초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 연락처 정보, 사용자 주소 정보와, 동물 사진 정보, 동물 등록 번호 정보, 동물등록증 사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에서 획득된 초기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로부터 다중 출력 정보를 수신한다(S103).
이후,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다중 출력 정보를 역다중화 처리하여 복수의 반려 동물용 생체 인증 정보를 획득한다(S105).
그리고,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기관 서버(90)에게로 복수의 인증 정보를 각각 전송하며(S107), 하나 이상의 인증기관 서버(90)로부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일치율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S109).
이후,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각각 수신된 일치율 정보의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고(S111), 결정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복합 일치율을 산출한다(S113).
이에 따라,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복합 일치율 및 다중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반려 동물 인증 정보와의 일치 여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한다(S115).
이러한 처리에 따라, 복합 인증 처리부(102)가 포함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정확도 대비 검출 시간은 최소화하면서 각 기관별 복합 일치율 산출방식에 따라 생체정보 획득 실패율을 낮출 수 있으며, 정확도 미흡으로 인한 등록 실패율, 타인 수락률이나 본인 거부율을 낮추고, 인증 시간 자체는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는 동물병원에 비치될 수 있으며, 수의사는 동물병원에 방문한 사용자(즉, 반려동물 보호자)가 기본적으로 체중 및 체온을 측정할 때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를 이용하여 초기 인증 정보를 등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다중 출력 정보에는 홍채의 변화, 비문의 변화, 체온의 변화 등과 같이 건강 이상을 예측할 수 있는 생체 정보가 포함되므로,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의 다중 출력 정보에 기초한 부가 서비스로서 건강 정보의 모니터링 정보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설명에 채용되는 반려동물 인증 정보를 예시하기 위한 케이스별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출력 정보는 시간 정보, 위치 정보, 태그 정보(RFID 등), 홍채 정보, 비문 정보, 안면 정보, 체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기관 업체별(X사, A~D사), 인증 정보 카테고리별 일치율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각 다중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사전 등록 정보는 보호자명 정보, 주민번호 정보, 반려 동물 이름 정보, 동물등록번호 정보, 이미지 학습 분석 또는 별도 입력에 따라 결정된 종류 정보, 품종 정보 또는 나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각 인증 정보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세로열과, 인증기관 서버(90)별 산출된 일치율 정보를 나타내는 가로행의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고, 사전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이들을 조합 연산한 최종 복합 일치율이 임계치(예를 들어, 90%) 이상인 경우에만 다중 출력 정보가 사전 등록 정보와 일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사전 등록된 유전자 검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른 정보보다 최우선적인 일치 여부를 산출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유전자 검사 비용이 낮아지고 및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유전자 검사 결과 정보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치율 판별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함에 있어서, 먼저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한 일치율을 우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동일한 반려 동물에 대한 촬영 시간은 동일한데 서로 다른 장소로 식별되는 데이터의 경우에는 판단 불가 처리 또는 불일치 응답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 프로세스는 신용카드의 도용여부 검출 시스템과 같은 FDD 검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만약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80)를 사용하여 반려동물을 촬영한 촬영 시간 및 장소 정보가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이한 경우, 불일치 응답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일치율의 정확도가 높은 인증 정보 카테고리로부터 정확도가 낮은 순서로 우선 순위 또는 우선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정확도가 낮은 생체 정보의 경우에는 이상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기존 인증 정보 대비 홍채 정확도가 낮게 산출되는 경우에는 홍채의 건강이 나빠지는 징후로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판단을 위하여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체온이 변화 정보도 함께 산출할 수 있다.
반면, RFID 태그 스캔된 동물등록번호 정보와 같이, 일치율의 정확도가 높은 카테고리는 동물등록번호 15자리와 매핑하여 0% 아니면 100%로서 우선적으로 먼저 판별될 수 있다. 15자리중 1자리가 맞지 않는다고 하여 95% 일치율이 아니며, 이 경우에는 0% 아니면 100%로만 판별될 수 있다. 즉, 도 9(A)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검출에 따른 생체 정보가 100%인 경우가 존재하며, 나머지 인증 정보와의 복합 일치율 연산에 따라 95.2%가 도출되고,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B)와 같이 태그 인식된 생체 정보가 0%인 경우에는 사전 등록된 동물등록번호와 다른 동물이므로,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별도의 복합 일치율 연산시 0%가 포함된 평균 연산을 처리하게 되며, 임계값 90%이하의 69.1%라는 수치를 보이므로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나머지 홍채, 비문 및 안면 정보를 우선 가중치에 따라 평균값을 적용할 수 있으며, 산출된 값이 95.7%인 경우 임계값을 초과하므로,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일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정보가 존재하더라도, 홍채, 비문, 안면 결과 수치가 크게 떨어지는 경우에는 불일치로 판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기관에서는 높은 일치율을 보이나 특정 업체에서 지속적으로 낮은 일치율을 산출하는 하위 업체를 그 편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일정 주기 이상 편차가 높은 업체를 식별하여 기관 리스트에서 제외 또는 삭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인증 처리부(102)는 각 인증기관 서버(90)의 품질 관리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도 6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도 1의 서비스 제공 서버(70)를 비교하여 보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복합 인증 처리부(102)를 더 구비함에 따라 반려동물 금융상품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반려동물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인증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의 펫정보 수신 단계(S22, S42)와 가입가능한 펫 금융상품 추출 단계(S24, S44) 사이에 복합 인증 처리부(102)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시키게 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펫금융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반려동물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인증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있는 펫금융 서비스를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복합 인증 처리부(102)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시켜서 펫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당업자라면 상술한 설명을 통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 20 : 펫 용품점 단말
30 : 펫 상조회사 단말 40 : 동물병원 단말
50 : 금융사 서버 60 : 네트워크
70, 100 : 서비스 제공 서버 71, 101 : 통신부
72, 103 : 펫 금융 계좌 생성부 73, 104 : 금융 처리부
74, 105 : 등록정보 관리부 75, 106 :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
76, 107 : 펫서비스 가입 처리부 77, 108 : 저장부
78, 109 : 제어부 80 : 반려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
90 : 인증기관 서버 102 : 복합 인증 처리부

Claims (6)

  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단말, 금융사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펫정보를 입력받아 반려동물과 연관된 펫 금융 상품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펫 금융 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펫정보와 매핑하고, 사용자의 음행 계좌와 연동되게 등록하는 펫 금융 계좌 생성부;
    상기 펫 금융 계좌 및 이에 매핑된 펫정보를 이용한 펫 금융 상품 비교 안내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펫 금융 계좌에 대응하는 펫 금융 상품 서비스의 가입을 처리하는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
    상기 펫 금융계좌 및 이에 매핑된 펫정보를 이용하여 펫 용품점 단말, 펫 상조회사단말, 동물병원 단말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펫 서비스 제공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펫 금융 계좌정보를 이용하여 펫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펫 서비스 가입 처리부; 및
    상기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펫 금융 상품 서비스 및 상기 펫 서비스와 관련된 금융 거래를 처리하는 금융 처리부를 포함하는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펫 금융 계좌는,
    상기 금융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은행 계좌 규격에 대응하여 생성되며, 표준화된 분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반려 동물의 기본 정보를 식별 가능한 고유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는,
    사전 분류된 반려동물 표준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펫 계좌 정보에 매핑된 펫정보에 따라, 가입가능한 하나 이상의 펫 금융상품을 추천하는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표준 정보는,
    사전 설정된 품종 번호 포맷에 매핑되며, 품종 식별 정보, 펫 종류 정보, 크기 분류 정보 및 배상 구분 정보를 포함하는 표준품종분류 테이블을 구성하는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펫 금융상품 가입 처리부는,
    상기 금융상품간 비교 분석 서비스를 위한 지수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지수 정보는 펫 금융상품별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라, 1년간 보험료를 1년간 받을 수 있는 보상한도액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되는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복합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펫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펫 금융상품에 가입되는 반려동물에 대응하는 복합 인증을 처리하는 복합 인증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펫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10059085A 2021-05-07 2021-05-07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20151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85A KR20220151840A (ko) 2021-05-07 2021-05-07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85A KR20220151840A (ko) 2021-05-07 2021-05-07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840A true KR20220151840A (ko) 2022-11-15

Family

ID=8404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085A KR20220151840A (ko) 2021-05-07 2021-05-07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18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732B1 (ko) 2019-08-29 2021-02-05 주식회사 스페컴 반려 동물 보험과 연계된 온라인 반려 동물 생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732B1 (ko) 2019-08-29 2021-02-05 주식회사 스페컴 반려 동물 보험과 연계된 온라인 반려 동물 생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11377A1 (en) Social security fraud behaviors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20189589A1 (en) Highly reliable data transaction system, and highly reliable data transaction method
US200801624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ntralized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healthcare services
US11874949B2 (en) Self-controlled digital authorization over communication networks
US10339620B2 (en) Method of managing transportation fare,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KR102190755B1 (ko) 표준 진료비에 기반한 동물병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US20120233013A1 (en) System to format and use electronically readable identification data strings, biometric data, matrix codes and other data to link and enroll users of products and services to roles and rights and fees and prices associated with research protocols linked to said products and services
US20130232041A1 (en) Expense Report System With Receipt Image Processing By Delegates
KR102493374B1 (ko)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KR20200045881A (ko) 장기요양 서비스 중개 방법, 그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EP3857411A1 (en)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acquiring and verifying online information
US20160071114A1 (en) Reporting management systems and techniques for regulatory compliance
CN114219596B (zh) 一种基于决策树模型的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1668122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城市民政管理方法和系统
US2024002868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220151840A (ko)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20151838A (ko)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151841A (ko) 펫 금융 서비스에 이용하기 위한 펫 금융 계좌 생성장치
KR20220151839A (ko)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151836A (ko) 펫 금융 계좌를 이용한 펫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47662A (ko) 반려동물의 신원 확인을 위한 신원 확인증 발급 방법
US20210125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on of Implant Procedures
CN109544381B (zh) 获取医疗数据的方法及相关产品
Britt et al. Quality indicators of laryngeal cancer care in commercially insured patients
KR101869489B1 (ko) 오퍼 행위를 승인하는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