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734A -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734A
KR20220151734A KR1020210058904A KR20210058904A KR20220151734A KR 20220151734 A KR20220151734 A KR 20220151734A KR 1020210058904 A KR1020210058904 A KR 1020210058904A KR 20210058904 A KR20210058904 A KR 20210058904A KR 20220151734 A KR20220151734 A KR 20220151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flight
drone
section
f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에이스토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에이스토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에이스토어
Priority to KR102021005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1734A/ko
Publication of KR20220151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프리스타일 및 스피드레이싱 등과 같은 드론 경기가 이루어지는 복합 경기장을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비행용 드론이 비행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장(1)과 상기 경기장(1)에 배치되는 다양한 복합장애물의 동작 및 각각의 장애물에 구비되는 감지수단으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이에 대한 정보를 종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타워(2)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Efficient drone stadium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프리스타일 및 스피드레이싱 등과 같은 드론 경기가 이루어지는 복합 경기장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비행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드론을 이용한 수화물의 운송 및 다양한 감시역할을 하는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놀이기구로써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게임이 존재하게 된다.
그 예로, 드론의 비행속도를 겨루게 되는 스피드레이싱과 다양한 묘기를 보여주기 위한 프리스타일 게임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드론을 이용하여 수행해야 하는 다양한 게임의 경우 각각의 게임에 적용되어야 할 경기장은 게임마다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합적인 게임을 진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드론의 게임 및 비행훈련을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1598호(소형 무인비행체 비행 연습 및 경기시스템,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 2016년 11월 18일 공개)는 소형 무인비행체 비행 연습 및 경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Drone) 등의 소형 무인비행체를 실내외의 일정 공간 내에서 안전하고 유익하게 조종할 수 있는 연습장 및 경기장을 제공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면서 조종자로 하여금 취미 또는 문화 생활로서 즐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일반인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이용료를 받고 비행 연습 및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상업 목적의 경기장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중으로 하여금 소형 무인비행체의 조정을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항공, 우주공학 등 비행과 관련된 전공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는 다양한 무인비행체의 조정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공학적 창의성과 성취 의욕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 공간 내에서 장애물 코스를 이루도록 복수의 장애물이 설치된 비행경기장과;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장애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이착륙하며 정해진 장애물 코스를 통과하도록 참가자의 조종에 의해 비행하는 무인비행체와; 상기 무인비행체가 출발지점으로부터 출발한 시간부터 상기 장애물 코스를 통과하는 코스 통과 시간 정보를 측정하는 타임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단순히 복수개의 장애물을 연속으로 착지하고 각각의 장애물을 통과하는 정도의 기술만을 제공함으로써, 복합경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경기에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드론용 경기장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드론용 복합경기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비행용 드론이 비행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장(1);과 상기 경기장(1)에 배치되는 다양한 복합장애물의 동작 및 각각의 장애물에 구비되는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이에 대한 정보를 종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타워(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기장(1)은 비행용 드론의 정밀한 운행을 측정하기 위한 정밀운행구간(11), 비행용 드론을 조종하는 조종자의 조종실력 및 대처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휴먼서비스구간(12) 및 비행용 드론의 운행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피드레이싱구간(13)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기장(1)에 적용되는 정밀운행구간(11), 휴먼서비스구간(12) 및 스피드레이싱구간(13) 중 단일종류의 구간을 단독으로 적용하여 배치하거나 각각 다른 종류의 구간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밀운행구간(11)은 박스타입으로 형성되어 게임의 시작점에 배치되며, 게임에 참여하기 위한 비행용 드론이 탑재되어 대기하는 호버링플레이트(111), 상기 호버링플레이트(111)의 다음에 배치되는 관통비행장애물(112)는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링 또는 박스형태의 장애물로서, 비행통과 고도가 다른 복수개의 장애물을 배치하여 구성하게 되는 관통비행장애물(112), 수직방향으로 통과구간을 연속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각각의 통과구간을 연속하여 통과하도록 하여 수직 사행비행의 능력을 측정하도록 하는 수직사행통과비행장애물(113),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통과구간을 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각각의 통과구간을 연속하여 통과함으로써, 수평 사행 비행의 능력을 측정하도록 하는 수평사행통과비행장애물(114), 장애물의 통과공간상에 유동형장애물을 적용하여 비행용 드론의 멈춤과 비행의 두가지 능력을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형통과비행장애물(115), 플레이트상에 각각 위치가 다른 곳에 통과구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통과구간상에 광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신호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여 광신호가 표시되는 통과구간으로 비행용 드론을 통과시키게 되는 신호반응비행통과장애물(116) 및 이착륙장애물(117)로 구성되어 배치되어 적용되거나, 상황에 따라 각각의 장애물을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휴먼서비스구간(12)은 비행용 드론의 리프팅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블형상의 장애물 일측에 리프팅을 위한 물건을 배치하고 비행용 드론으로 리프팅한 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하는 리프팅 장애물(121), 내측에 비행공간을 형성하는 터널형상의 장애물을 제공하게 되며, 장애물의 배치는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사행비행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터널장애물(122), 복수개의 벽체를 이용하여 미로형상으로 형성하고, 비행용 드론의 미로돌파 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미로장애물(123) 및 내측에 물이 담겨지는 수조형태로 형성되고, 사람모형을 수조속에 위치하도록 하여, 비행용 드론을 이용하여 사람모형을 수조밖으로 구조하거나, 또는 주변에 배치되는 구명환 등의 구명부재를 사람모형과 인접하게 낙하시키는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비행용 드론의 인명구조 능력을 테스트하는 인명구조장애물(124)로 구성되고 배치되어 적용되거나 각각의 장애물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배치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스피드레이싱구간(13)은 복수개의 폴대를 연속배치하고 각각의 폴대를 회피하여 연속으로 비행하도록 하여 비행용 드론의 대회전 능력을 테스트하는 대회전장애물(131), 비행용 드론이 저고도로 장애물을 연속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구간이 위치하는 복수개의 장애물을 연속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저공으로 장애물을 통과하는 능력을 테스트하는 저공통과장애물(132), 통과구간이 저고도에서 고고도로 상승하는 형태로 장애물을 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저고에서 고고도로 연속하여 장애물을 통과하며 비행할 수 있는 능력을 테스트하는 상승통과장애물(133), 장애물의 통과구간의 넓이가 각각 다른 장애물을 연속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의 장애물 통과 능력을 측정하게 되는 복합통과장애물(134), 비행용 드론이 모든 장애물을 통과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골게이트(135) 및 비행이 종료된 비행용 드론이 착지할 수 있는 착지플레이트(136)로 구성배치하여 적용하거나, 각각의 장애물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기장(1)의 정밀운행구간(11), 휴먼서비스구간(12) 및 스피드레이싱구간(13)에 적용되는 각각의 장애물에는 센서와 같은 감지수단이 구비되도록 하여, 비행용 드론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감지수단은 컨트롤타워(2)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보를 컨트롤 타워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감지수단과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룹별로 통제할 수 있는 중계기(3)가 더 구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정밀하게 비행용 드론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비행용 드론을 이용하는 다양한 복합경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게임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기장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드론용 복합경기장 관리시스템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기장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드론용 복합경기장 관리시스템은 비행용 드론이 비행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장(1)과 상기 경기장(1)에 배치되는 다양한 복합장애물의 동작 및 각각의 장애물에 구비되는 감지수단으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이에 대한 정보를 종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타워(2)로 구성된다.
상기 드론용 복합경기장은 다양한 경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복합형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론용 복합경기용 경기장(1)은 비행용 드론의 정밀한 운행을 측정하기 위한 정밀운행구간(11), 비행용 드론을 조종하는 조종자의 조종실력 및 대처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휴먼서비스구간(12) 및 비행용 드론의 운행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피드레이싱구간(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정밀운행구간(11), 휴먼서비스구간(12) 및 스피드레이싱구간(13) 중 단일종류의 운행구간을 단독으로 적용하여 배치하거나 각각 다른 종류의 운행구간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기장(1)의 정밀운행구간(11), 휴먼서비스구간(12) 및 스피드레이싱구간(13)에 적용되는 각각의 장애물에는 센서와 같은 감지수단이 구비되도록 하여, 비행용 드론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감지수단은 컨트롤타워(2)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보를 컨트롤 타워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밀운행구간(11)은 다양한 장애물을 적용하여 드론의 정밀운행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 드론의 호버링 후 비행을 위한 준비에서 복수개의 장애물의 정해진 위치를 통과하거나, 지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계류장에 착지 후 다시 호버링 하는 기술을 테스트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밀운행구간(11)은 호버링플레이트(111), 관통비행장애물(112), 수직사행통과비행장애물(113), 수평사행통과비행장애물(114), 유동형통과비행장애물(115), 신호반응비행통과장애물(116) 및 이착륙장애물(117)로
구성되어 배치되어 적용되거나, 상황에 따라 각각의 장애물을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호버링플레이트(111)는 박스타입으로 형성되어 게임의 시작점에 배치되며, 게임에 참여하기 위한 비행용 드론이 탑재되어 대기하는 것이다.
상기 호버링플레이트(111)의 다음에 배치되는 관통비행장애물(112)는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링 또는 박스형태의 장애물로서, 비행통과 고도가 다른 복수개의 장애물을 배치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낮은 고도에서 높은 고도로 상승했다가 낮아지는 형태로 배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비행 통과고도의 차이 뿐만 아니라 통과 위치를 다르게 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비행시 신속한 방향전환 능력을 테스트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관통비행장애물(112)의 다음에 배치되는 수직사행통과비행장애물(113)은 수직방향으로 통과구간을 연속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각각의 통과구간을 연속하여 통과하도록 하여 수직 사행비행의 능력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직사행통과비행장애물(113)의 다음에 배치되는 수평사행통과비행장애물(114)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통과구간을 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각각의 통과구간을 연속하여 통과함으로써, 수평 사행비행의 능력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사행통과비행장애물(114)의 다음에 배치되는 유동형통과비행장애물(115)은 장애물의 통과공간상에 유동형장애물을 적용하여 비행용 드론의 멈춤과 비행의 두가지 능력을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애물의 통과공간상에 진자운동 또는 좌우로 연속동작되는 유동형장애물을 구비하도록 하여 유동형장애물의 동작간에 형성되는 빈공간을 통하여 장애물을 통과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진자운동을 하는 유동형장애물의 경우 연속된 진자운동시 장애물이 이동된 후 발생된 빈공간을 통하여 비행용 드론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좌우로 연속 동작하는 유동장애물의 경우 장애물이 좌측으로 이동될 경우 반대측인 우측에 발생되는 빈 공간을 통하여 비행용 드론을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동형통과비행장애물(115)은 장애물이 통과전 비행용 드론을 정지비행시켜 대기한 후 장애물이 이동되어 공간이 형성되게 되면, 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비행용 드론의 정지와 순간 이동 동작을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동형통과비행장애물(115)의 다음에 배치되는 신호반응비행통과장애물(116)은 플레이트상에 각각 위치가 다른 곳에 통과구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통과구간상에 광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신호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여 광신호가 표시되는 통과구간으로 비행용 드론을 통과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경합을 위한 한대 이상의 비행용 드론이 동시에 게임을 진행할 때 각각의 통과구간을 상이하게 광신호장치를 동작시켜 각각 다른 구간으로 진행하도록 안내하거나, 단일 비행용 드론이 게임을 진행할 때, 각각의 비행구간을 교차로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신호반응비행통과장애물(116)의 다음에 배치되는 이착륙장애물(117)은 복수개의 착륙플레이트를 연속하여 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일개의 착률플레이트상에 착륙한 후 다시 이륙한 후 또다른 착륙플레이트상에 착륙하는 동작을 연속해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밀운행구간(11)의 다음에 배치되는 휴먼서비스구간(12)은 리프팅장애물(121), 터널장애물(122), 미로장애물(123) 및 인명구조장애물(124)로 구성되고 배치되어 적용되거나 각각의 장애물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배치하기도 한다.
이를 통하여 비행용 드론의 리프팅, 터널돌파, 미로극복 및 인명구조 등의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리프팅장애물(121)은 비행용 드론의 리프팅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블형상의 장애물 일측에 리프팅을 위한 물건을 배치하고 비행용 드론으로 리프팅한 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테이블형상의 장애물의 상측면에 각각 홈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홈의 내측에 리프팅을 위한 물건을 배치한 후 비행용 드론을 이용하여 물건을 정해진 높이만큼 리프팅 시킨 후 다시 원래의 위치에 착지시키는 능력을 테스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팅장애물(121)의 다음에 배치되는 터널장애물(122)은 내측에 비행공간을 형성하는 터널형상의 장애물을 제공하게 되며, 장애물의 배치는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사행비행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상기 터널장애물(122)의 다음에 배치되는 미로장애물(123)은 복수개의 벽체를 이용하여 미로형상으로 형성하고, 비행용 드론의 미로돌파 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미로장애물(123)의 다음에 배치되는 인명구조장애물(124)은 내측에 물이 담겨지는 수조형태로 형성되고, 사람모형을 수조속에 위치하도록 하여, 비행용 드론을 이용하여 사람모형을 수조밖으로 구조하거나, 또는 주변에 배치되는 구명환 등의 구명부재를 사람모형과 인접하게 낙하시키는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비행용 드론의 인명구조 능력을 테스트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먼서비스구간(12)의 다음에 배치되는 스피드레이싱구간(13)은 비행용 드론의 비행속도 즉, 스피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장애물을 연속배치하고 이를 통과하는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회전장애물(131), 저공통과장애물(132), 상승통과장애물(133), 복합통과장애물(134), 골게이트(135) 및 착지플레이트(136)으로 구성되고 배치하여 적용하거나, 각각의 장애물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장애물구간은 직선구간에 대한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동일한 형태의 장애물을 연속하여 배치하거나, 드론의 회전 및 사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사행장애물 등을 배치하게 된다.
상기 대회전장애물(131)은 복수개의 폴대를 연속배치하고 각각의 폴대를 회피하여 연속으로 비행하도록 하여 비행용 드론의 대회전 능력을 테스트하게 된다.
상기 대회전장애물(131)의 다음에 배치되는 저공통과장애물(132)은 비행용 드론이 저고도로 장애물을 연속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구간이 위치하는 복수개의 장애물을 연속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저공으로 장애물을 통과하는 능력을 테스트하게 된다.
상기 저공통과장애물(132)의 다음에 배치되는 상승통과장애물(133)은 통과구간이 저고도에서 고고도로 상승하는 형태로 장애물을 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저고에서 고고도로 연속하여 장애물을 통과하며 비행할 수 있는 능력을 테스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승통과장애물(133)의 다음에 배치되는 복합통과장애물(134)은 장애물의 통과구간의 넓이가 각각 다른 장애물을 연속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의 장애물 통과능력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복합통과장애물(134)의 다음에 배치되는 골게이트(135)는 비행용 드론이 모든 장애물을 통과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골게이트(135)와 함께 비행용 드론이 착지할 수 있는 착지플레이트(136)가 구비되어 비행이 종료된 드론이 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각의 장애물에는 비행용 드론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비행용 드론이 각각의 장애물 구간을 통과하거나, 착지 또는 리프팅하는 동작 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감지수단을 통하여 드론의 이동 및 드론의 착지여부 및 호버링 등에 대한 정보가 감지되면, 컨트롤타워(2)로 전송되어 이를 종합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과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룹별로 통제할 수 있는 중계기(3)가 더 구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정밀하게 비행용 드론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 : 경기장 2 : 컨트롤타워
3 : 중계기 11 : 정밀운행구간
12 : 휴먼서비스구간 13 : 스피드레이싱구간
111 : 호버링플레이트 112 : 관통비행장애물
113 : 수직사행통과비행장애물 114: 수평사행통과비행장애물
115 : 유동형통과비행장애물 116 : 신호반응비행통과장애물
117 : 이착륙장애물 121 : 리프팅장애물
122 : 터널장애물 123 : 미로장애물
124 : 인명구조장애물 131 : 대회전장애물
132 : 저공통과장애물 133 : 상승통과장애물
134 : 복합통과장애물 135 : 골게이트
136 : 착지플레이트

Claims (6)

  1. 비행용 드론의 복합경기를 위한 드론용 복합경기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비행용 드론의 정밀한 운행을 측정하기 위해 박스타입으로 형성되어 게임의 시작점에 배치되며, 게임에 참여하기 위한 비행용 드론이 탑재되어 대기하는 호버링플레이트(111), 상기 호버링플레이트(111)의 다음에 배치되는 관통비행장애물(112)는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링 또는 박스형태의 장애물로서, 비행통과 고도가 다른 복수개의 장애물을 배치하여 구성하게 되는 관통비행장애물(112), 수직방향으로 통과구간을 연속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각각의 통과구간을 연속하여 통과하도록 하여 수직 사행비행의 능력을 측정하도록 하는 수직사행통과비행장애물(113),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통과구간을 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각각의 통과구간을 연속하여 통과함으로써, 수평 사행비행의 능력을 측정하도록 하는 수평사행통과비행장애물(114), 장애물의 통과공간상에 유동형장애물을 적용하여 비행용 드론의 멈춤과 비행의 두가지 능력을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형통과비행장애물(115), 플레이트상에 각각 위치가 다른 곳에 통과구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통과구간상에 광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신호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여 광신호가 표시되는 통과구간으로 비행용 드론을 통과시키게 되는 신호반응비행통과장애물(116) 및 이착륙장애물(117)로 구성되어 배치되어 적용되거나, 상황에 따라 각각의 장애물을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위한 정밀운행구간(11), 비행용 드론을 조종하는 조종자의 조종실력 및 대처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휴먼서비스구간(12) 및 비행용 드론의 운행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피드레이싱구간(13)으로 구성되어 비행용 드론이 비행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장(1);과
    상기 경기장(1)에 배치되는 다양한 복합장애물의 동작 및 각각의 장애물에 구비되는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이에 대한 정보를 종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타워(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장(1)에 적용되는 정밀운행구간(11), 휴먼서비스구간(12) 및 스피드레이싱구간(13) 중 단일종류의 구간을 단독으로 적용하여 배치하거나 각각 다른 종류의 구간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먼서비스구간(12)은 비행용 드론의 리프팅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블형상의 장애물 일측에 리프팅을 위한 물건을 배치하고 비행용 드론으로 리프팅한 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하는 리프팅장애물(121), 내측에 비행공간을 형성하는 터널형상의 장애물을 제공하게 되며, 장애물의 배치는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사행비행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터널장애물(122), 복수개의 벽체를 이용하여 미로형상으로 형성하고, 비행용 드론의 미로돌파 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미로장애물(123) 및 내측에 물이 담겨지는 수조형태로 형성되고, 사람모형을 수조속에 위치하도록 하여, 비행용 드론을 이용하여 사람모형을 수조밖으로 구조하거나,
    또는 주변에 배치되는 구명환 등의 구명부재를 사람모형과 인접하게 낙하시키는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비행용 드론의 인명구조 능력을 테스트하는 인명구조장애물(124)로 구성되고 배치되어 적용되거나 각각의 장애물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배치하기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드레이싱구간(13)은 복수개의 폴대를 연속배치하고 각각의 폴대를 회피하여 연속으로 비행하도록 하여 비행용 드론의 대회전 능력을 테스트하는 대회전장애물(131), 비행용 드론이 저고도로 장애물을 연속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구간이 위치하는 복수개의 장애물을 연속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저공으로 장애물을 통과하는 능력을 테스트하는 저공통과장애물(132), 통과구간이 저고도에서 고고도로 상승하는 형태로 장애물을 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이 저고에서 고고도로 연속하여 장애물을 통과하며 비행할 수 있는 능력을 테스트하는 상승통과장애물(133), 장애물의 통과구간의 넓이가 각각 다른 장애물을 연속배치하여 비행용 드론의 장애물 통과능력을 측정하게 되는 복합통과장애물(134), 비행용 드론이 모든 장애물을 통과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골게이트(135) 및 비행이 종료된 비행용 드론이 착지할 수 있는 착지플레이트(136)로 구성배치하여 적용하거나,
    각각의 장애물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5. 제 1항, 제 2항, 제 3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장(1)의 정밀운행구간(11), 휴먼서비스구간(12) 및 스피드레이싱구간(13)에 적용되는 각각의 장애물에는 센서와 같은 감지수단이 구비되도록 하여, 비행용 드론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감지수단은 컨트롤타워(2)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보를 컨트롤 타워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과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룹별로 통제할 수 있는 중계기(3)가 더 구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정밀하게 비행용 드론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KR1020210058904A 2021-05-07 2021-05-07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KR20220151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04A KR20220151734A (ko) 2021-05-07 2021-05-07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04A KR20220151734A (ko) 2021-05-07 2021-05-07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734A true KR20220151734A (ko) 2022-11-15

Family

ID=8404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904A KR20220151734A (ko) 2021-05-07 2021-05-07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17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265B1 (ko) 드론용 복합 경기장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게임방법
KR101750698B1 (ko) 드론용 복합 경기장 관리시스템
KR101796698B1 (ko) 소형 무인비행체 비행 연습 및 경기 시스템
US9586138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rojectile hits on a surface
CN108045596B (zh) 一种固定翼无人机的飞行性能检验检测系统及方法
US6929480B2 (en) Skydiving simulator and skydiving training process using the same
US11868144B2 (en) Drone system, drone, plan management apparatus, plan management method for drone system, and plan management program for drone system
RU2605801C2 (ru) Интерпретатор полета для демонстрации беспилотных авиационных систем с внешней подвеской
CN106218900A (zh) 一种基于真实地形模拟的跳伞着陆训练系统及方法
KR20180025792A (ko)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WO2017117291A1 (en) Tethered unmanned aerial system
CN106461396A (zh) 适于限飞区域的飞行控制
WO2020179983A1 (ko) 드론 통과 다중 감지 센서 게이트 및 이를 이용한 드론 게임 시스템
WO2019156523A1 (ko) 구기스포츠를 위한 3차원 타겟 시스템
Barin et al. Understanding dangerous play: A grounded theory analysis of high-performance drone racing crashes
JP7242077B2 (ja) ドローンシステム、ドロー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ドローン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管制装置
KR20220151734A (ko) 효율적인 드론 경기장 관리 시스템
JP2004511748A (ja) 戦争ゲーム施設およびそのゲーム方法
CN106800094A (zh) 一种飞机着陆监视引导方法
JP6711537B2 (ja) 方法、システム、および車両
KR102200784B1 (ko) 드론 비행 테스트 시스템
Dawkins et al. Deployment and flight operations of a large scale UAS combat swarm: Results from DARPA service academies swarm challenge
RU2709562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роном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131786B1 (ko) 실내 소형 드론 체험장치
Bartholomew et al. Development of a 4th-8th grade curriculum for flying and programming mini dr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