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12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121A
KR20220151121A KR1020220055030A KR20220055030A KR20220151121A KR 20220151121 A KR20220151121 A KR 20220151121A KR 1020220055030 A KR1020220055030 A KR 1020220055030A KR 20220055030 A KR20220055030 A KR 20220055030A KR 20220151121 A KR20220151121 A KR 20220151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pdu
sta
originally scheduled
inserted packe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쇼크 랑가니스
김명진
루첸 두안
스리니바스 칸다라
이욱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에서 지연(latency)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non-AP(access point) STA(station)이 제1 삽입된 패킷(inserted packet)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non-AP STA이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을 위한 ACK(acknowledgement)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은 원래 예정된(originally scheduled) 제1 A-PPDU(aggregated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의 시작 이후에 시작되고,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일 부분을 대체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at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양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지연(latency)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2021년 5월 5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Provisional Application) 제63/184,686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전문이 참조로 통합된다. 미국 가출원 제63/184,686호의 발명의 명칭은 "INSERTED PPDU/2D A-PPDU" 이다.
지연(latency)에 민감한 애플리케이션은 일부 상황에서 Wi-Fi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때 성능 저하를 경험한다. 예를 들어, 새로 수신된 지연에 민감한 패킷의(latency-sensitive packet) 전송이 시작되기 전에 완료되어야 하는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기다려야 할 필요성의 결과로서, 상당한 가변적 지연이 유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이 관련된 것은 이러한 일반적인 기술 환경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된 문제들 및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지연(latency)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 따른 방법은, non-AP(access point) STA(station)이 제1 삽입된 패킷(inserted packet)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non-AP STA이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을 위한 ACK(acknowledgement)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은 원래 예정된(originally scheduled) 제1 A-PPDU(aggregated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의 시작 이후에 시작되고,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일 부분을 대체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의 시작 인디케이션(start indication)를 감지(detect)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작 인디케이션은 LTF(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작 인디케이션은 SIG(signal field)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A-PPDU는 HE PPDU(High Efficiency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하고, 상기 HE PPDU는 160 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진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은 최대 80 MHz의 대역폭(bandwidth)를 점유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프리앰블에서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의 후보 시작 시간(candidate start time)의 인디케이션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후보 시작 시간은 심볼들의 수로 표시(indicate)되고, 상기 심볼들의 수는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상기 시작과 상기 후보 시작 시간 사이의 시간 구간(time interval)을 명시(specify)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non-AP STA가 제2 A-PPDU의 제1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non-AP STA가 제2 삽입된 패킷의 시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삽입된 패킷의 시작 이후에 상기 non-AP STA의 라디오(radio)를 끄는(turn off)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상기 일 부분은 상기 원래 예정된 A-PPDU의 PPDU의 데이터의 일 부분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상기 일 부분은 RU(resource unit)의 데이터의 일 부분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상기 일 부분은 두 개의 RUs(resource units) 각각의 데이터의 일 부분이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라, non-AP(Access Point) STA(station)에 있어서, 라디오(radio) 및 프로세싱 회로(processing circuit)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제1 삽입된 패킷(inserted packet)을 수신하도록 설정(configure)되고,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은 원래 예정된(originally scheduled) 제1 A-PPDU(aggregated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의 시작 이후에 시작되고,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일 부분을 대체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의 시작 인디케이션(start indication)을 감지(detect)하도록 더 설정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작 인디케이션은 LTF(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작 인디케이션은 SIG(signal field)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을 위한 ACK(acknowledgement)를 전송하도록 더 설정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A-PPDU는 HE PPDU(High Efficiency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하고, 상기 HE PPDU는 160 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진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non-AP(Access Point) STA(station)에 있어서, 라디오(radio) 및 프로세싱(processing)을 위한 수단(means)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을 위한 수단은 제1 삽입된 패킷을 수신하도록 설정(configure)되고,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은 원래 예정된(originally scheduled) 제1 A-PPDU(aggregated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의 시작 이후에 시작되고,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일 부분을 대체한다.
다음과 같은 명세서, 청구항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특징들과 이점들(advantages)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FD(frequency-domain) A-PPDU(Aggregated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에 대한 자원 다이어그램(resource diagram)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삽입된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하는 A-PPDU에 대한 자원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RUs(Resource Units)를 도시하는 자원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삽입된 PPDU를 포함하는 3개의 RUs를 도시하는 자원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삽입된 PPDU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삽입된 PPDU를 포함하는 A-PPDU의 자원 다이어그램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순서도(flow chart)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무선 시스템의 일 부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레이턴시(latency)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개시가 구성되거나 이용되는 유일한 형태를 나타내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본 개시 내용의 특징을 설명한다. 그러나,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능 및 구조가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 상이한 실시 양태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유사한 요소 번호는 유사한 요소 또는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와이파이(Wi-Fi) 시스템이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에 사용될 때, 시스템이 낮고 일관된 지연을 나타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연에 민감한 패킷(latency-sensitive packet)들에 대해 시스템이 낮고 일관된 지연을 나타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frequency-domain, FD) A-PPDUs(Aggregated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s)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문서 802.11-20/674r3 (제목:"Forward Compatible OFDMA")에서 논의된 것처럼, 순방향 호환(forward compatible)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스케줄링 유연성과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주파수 도메인에서 서로 다른 802.11 PPDUs 세대 간의 다중화(multiplexing)를 수반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11-20/693r1("Aggregated PPDU for Large BW")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큰 대역폭(BW)을 위한 Aggregated PPDUs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주파수 영역에서 PPDU의 서로 다른 BW 가능(capable) 스테이션들(stations, STAs) 사이의 다중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모드들(operating modes)은 레거시(legacy) STAs에게 투명(transparen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 계층(physical layer, PHY layer)에서, 심볼 구간(symbol duration)을 포함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뉴머롤로지(numerology)는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HT(Extremely High Throughput) MU(Multi-User) PPDUs는 HE(High Efficiency) MU PPDUs와 정렬될 수 있고, EHT TB(Trigger-Based) PPDUs는 HE TB PPDUs와 정렬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STA(AP STA, 또는 간단하게 AP)는 "EHT-SIG 심볼들의 수"(여기서, SIG는 시그널 필드(signal field)), "EHT-LTF 심볼들의 수"(여기서, LTF는 롱 트레이닝 필드(long training field)), 또는 "GI+LTF 사이즈"(여기서, GI는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와 같은 명시적인 신호를 사용하여 이들을 정렬할 수 있다. 또한, SIG는 서로 다른 PPDUs의 주파수 도메인 멀티플렉싱을 지원하기 위해 디자인될 수 있다(예를 들어, 80 MHz 마다 Universal SIG(U-SIG) 및 EHT-SIG). 각각의 HE PPDU는 160 MHz가 되도록 요구될 수 있다. 그렇지 않는 경우, HE STA가 잘못된 L-길이(length)를 디코딩(decoding)할 수 있다. 그러나, EHT 및 EHT+ PPDU 다중화의 경우 80MHz 단위(granularity)인 한 이러한 제한이 없습니다.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에서,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들은 서로 다른 PPDUs의 주파수 도메인 멀티플렉싱(예를 들어, R1 트리거 프레임 설계) 및 TWT(Transmit Wait Time)와 함께 SST(Subchannel Selective Transmission)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디자인 될 수 있다.
드래프트(draft) P802.11ay_D5.0 스펙(specification)의 섹션(section) 28.3.2.2에서, EDMG(Enhanced Directional Multi-Gigabit) A-PPDU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DMGS A-PPDU는 복수의 사용자들(multiple users)에게 전송되지 않으며, 오직 하나의 사용자(single user)에게만 전송된다. 각각의 후속하는(subsequent) PPDU는 EDMG 헤더(header) A 및 데이터 필드만을 포함한다. 실제 A-PPDU 지속 시간(duration)은 L-Header 전송 시점에서 알 수 없다. 각 EDMG-Header-A는 PSDU(PLCP Service Data Unit)(여기서, PLCP는 물리 계층 수렴 절차(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의 길이 및 추가 EDMG PPDU 하위 필드(Additional EDMG PPDU subfield)를 포함한다. 후속 PPDU에 대한 EDMG 채널 추정 필드(EDMG-CEF)가 없기 때문에 A-PPDU는 동일한 사용자에게 있을 수 있다. 후속하는 PPDUs를 위한 EDMG 채널 추정 필드(EDMG Channel Estimation Field, EDMG-CEF)가 없기 때문에, A-PPDU는 동일한 사용자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서, PPDU는 부분적으로 전송된 A-PPDU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은 802.11be R1 STAs를 포함하는 레거시 STAs에 투명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연에 민감한 패킷은 지연을 줄이기 위해 진행 중인 PPDU(예를 들어, FD A-PPDU)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필수적인 서브채널 또는 서브채널들은 320 MHz PPDU 전체가 지연에 민감한 패킷을 수용하기 위해 종료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낭비를 피하기 위해 종료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A-PPDU"는 하나 이상의 PPDUs를 포함한다. A-PPDU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PPDUs 또는 하나 이상의 RUs(Resource Units)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RUs는 하나 이상의 RU는 A-PPDU 내의 PPDU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최상위 서브채널(uppermost subchannel)에서 A-PPDU를 통해 부분적으로 지연에 민감한 패킷이 삽입된 2D(two dimensional) A-PPDU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 예에서, 지연에 민감한 패킷은 원래의 PPDU 수신기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래의 PPDU 또는 RU 수신 절차의 변경 없이 삽입된다. 전체 PPDU는 L-Length에 의해 표시된 대로 종료될 수 있다.
지연에 민감한 패킷이 삽입될 때, ACK(Acknowledgment) 또는BA(Block Acknowledgment) 및 다른 PPDU에 뒤따르는 절차들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래의 PPDU 수신기는 ACK/BA를 지시에 따라 전송할 수 있다. 원래 예정된(originally scheduled) A-PPDU(도 2의 PPDU-3)의 일 부분(데이터 부분) 지연에 민감한 패킷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원래 예정된 A-PPDU의 일 부분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OBSS(Overlapping Basic Service Set) 간섭의 결과로 어떤 경우에도 유사한 수신 실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수신 실패의 영향은 수용할 수 있습니다. 원래 예정된 A-PPDU를 수신하는 STA가 논-레거시(non-legacy) STA(예를 들어, 11be R2 또는 이후(later) STA)인 경우, 이것은 삽입된(inserted) PPDU(또는 삽입된 패킷)의 시작을 감지(detect)하고, 무선을 끄고, 디코딩을 중지하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원래 예정된 A-PPDU의 MU-BAR(Multi-user BlockAck Request)에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이 있는 경우, 지연에 민감한 PPDU에 대한 ACK/BA는 삽입된 PPDU에 별도로 포함된 MU-BAR을 사용하여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지연에 민감한 PPDU에 대한 ACK/BA는 지연된(delayed) ACK로 설정될 수 있다.
A-PPDU는 삽입된 PPDU가 삽입된 지점에 삽입된 시작 인디케이션(inserted start ind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잠재적 서브채널(potential subchannel)이 처리되지 않는 한, 시간 도메인 자기상관(autocorrelation) 또는 상호 상관(cross correlation) 방법의 사용은 실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작 인디케이션은 두 개의 반복되는 LTFs 및 SIG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와 같은 주파수 도메인 방법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수신기(receiver)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미리 결정된 후보 시작 시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슬롯 기반 시작 시간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슬롯은 자원의 모든 고정된 시간 영역 크기이며, 예를 들어 슬롯은 고정된 심볼들의 개수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미리 결정된 후보 시작 시간"은 지연에 민감한 패킷이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을 수 있는 시점이다. 후보 시작 시간은 은 발생하기 전에 지정된다는 의미에서 "미리 결정"된다(예를 들어, 원래 예정된 A-PPDU의 프리앰블(preamble)에 표시되거나 표준에 명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후보 시작 시간은 원래 예정된 A-PPDU의 시작 이후 고정된 수의 OFDM 심볼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지연에 민감한 패킷의 잠재적 삽입(potential insertion) 및 후보 시작 시간은 원래 예정된 A-PPDU의 SIG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지연에 민감한 패킷은 HE(high efficiency) PPDU, VHT(Very High Throughput) PPDU, HT(High Throughput) PPDU 또는 non-HT PPDU에 삽입된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삽입된 PPDU의 구조를 나타낸다. 삽입된 PPDU는 LTF(505), SIG(510) 및 데이터(515)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된 PPDU의 최대 대역폭(bandwidth)는 80 MHz로 제한될 수 있다. 잠재적 대역폭(potential bandwidth)은 20 MHz, 40 MHz, 60 MHz 또는 80 MHz일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수신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삽입된 PPDU는 미리 결정된 20 MHz 서브채널(예를 들어, 프라이머리(primary) 20 MHz 서브채널)을 포함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OFDMA는 삽입된 PPDU 내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서, 삽입된 PPDU는 80 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진다. 3 개의 RUs를 나타내며, 그러므로 3 명의 사용자들의 OFDMA를 나타내는 도 3처럼, 삽입된 PPDU는 복수의 RU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OFDMA의 자원 크기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크기는 242-tone RU, a 484-tone RU, a 484+242-tone MRU, 또는 a 996-tone RU로 제한될 수 있다. EHT LTF 및 SIG는 지연에 민감한 패킷이 삽입되었음을 시그널링하고, 삽입된 PPDU의 시작을 표시하는 시작 인디케이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EHT LTF에 대한 심볼들의 개수는 고정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2개의 심볼들), SIG에 대한 심볼들의 개수도 고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1개의 심볼). EHT LTF 및 SIG에 대한 뉴머롤로지는 원래의 데이터 심볼 뉴머롤로지와 동일할 수 있다.
지연에 민감한 패킷 수신을 기대하는 STA(예를 들어, non-AP STA)는 미리 결정된 후보 시작 시간에서 EHT LTF의 존재(existence)를 체크(check)할 수 있다. 빔포밍(beamforming)은 사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LTF는 싱글 스트림(single stream) LTF일 수 있다. 반복되는 싱글 스트림 EHT LTF는 CFO(Carrier Frequency Offset) 및 CPE(Common Phase Error) 정정(correction)뿐만 아니라 쉬운 LTF 감지(detection)에 이용될 수 있다.
지연에 민감한 패킷 수신을 기대하는 STA(예를 들어, non-AP STA)는 미리 결정된 후보 시작 시간에서 SIG의 CRC를 사용하여 삽입된 PPDU의 존재를 체크할 수 있다. SIG는 삽입된 PPDU의 20 MHz 대역폭 내에서 부호화될(encoded) 수 있으며, 삽입된 PPDU의 다른 20 MHz 주파수 범위에 대해 복제될 수 있다. SIG MCS 0(Modulation Coding Scheme 0)을 사용하여 부호화될 수 있으며, 총 117 비트(bits)를 포함할 수 있다. SIG는 (i) PHY 버전(version) 식별자(identifier)(3 비트), (ii) LDPC(Low-Density Parity-Check) 엑스트라 심볼 세그먼트(Extra Symbol Segment) (1 비트), (iii) Pre-FEC(Pre-Forward Error Correction) 패딩 팩터(padding factor) (2 비트), (iv) PE(Packet Extension) 명확성(Disambiguity) (1 비트), (v) TD(Time Domain) RU 할당 서브필드(Allocaiton subfield)(예: 5비트, 5비트 중 일부만 사용하도록 숫자 제한 가능) (vi)예약 비트(Reserved Bits), (vii) 4개의 사용자 필드(NSS(Number of Spatial Streams) 및 빔포밍(Beamformed)이 없는 non-MU-MIMO(non-multi-user-multiple-input-multiple-output) 할당 및 3개의 추가 예약 비트)(4x20비트) ) 및 (viii) 2개의 (CRC + Tail) 필드(20 비트).
TD RU 할당 서브필드는 TD PPDU의 대역폭(Bandwidth, BW) 및 펑처링(puncturing)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각 20MHz 주파수 범위 내에서 할당이 없거나 242 tones가 한 번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대역폭 80MHz에 대해 2 x 2 x 2 x 2 = 16개의 경우가 있다. 40 MHz 484-tone RU 및 두 개의 20 MHz RUs에 대해, 2 x 2 x 2 = 8 경우가 있다. 4개의 서로 다른 484-tone RUs 및 하나의 242-tone RU에 대해, 2 x 2 = 4 경우가 있다. 80 MHz 996-tone RU에 대해 하나의 경우가 있다. 따라서, 총 가능한 경우의 수는 29이다. 사용 중인 경우(29가지 가능한 경우 중에서)는 5비트 필드를 사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삽입된 PPDU를 포함하는 A-PPDU를 나타낸다. A-PPDU는 각각 프리앰블을 가지는 제1 PPDU(PPDU-1), 제2 PPDU(PPDU-2) 및 제3 PPDU(PPDU-3)을 포함한다. 제3 PPDU는 자신의 프리앰블에서 미리 결정된 후보 시작 시간의 인디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PPDU는 미리 결정된 후보 시작 시간에서 시작된다(LTF 필드 및 SI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는 헤더와 함께). PPDUs의 디코딩이 완료된 후에, BAs(block acknowledgements)는 610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디코딩의 성공 또는 실패를 지시할 수 있다.
도 7A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705 단계에서, AP STA는 제1 삽입된 패킷을 수신한다. 제1 삽입된 패킷은 제1 원래 예정된 A-PPDU의 시작 후에 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원래 예정된 A-PPDU의 데이터의 일 부분을 대체할 수 있다. 도 7B는 서로 통신하는 AP STA(730) 및 non-AP STA(735)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AP STA 및 non-AP STA 각각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각각의 라디오(radio)(740) 및 각각의 프로세싱 회로(processing circuit)(또는 프로세싱을 위한 수단)(74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on-AP STA(735)의 프로세싱 회로(745)는 도 7A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non-AP STA(735)의 라디오(740)를 사용하여). 또 다른 예로, non-AP STA(735)의 프로세싱 회로(745)는 non-AP STA(735)의 라디오(740)를 통해 AP STA(730)으로부터의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non-AP STA(735)의 프로세싱 회로(745)는 non-AP STA(735)의 라디오(740)를 통해 AP STA(730)에게 시그널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의 일부"는 "최소한의 일부"를 의미하며, 따라서 그 전체 또는 전체보다 적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물의 "부분"은 특별한 경우로서 사물의 전체를 포함한다. 즉, 사물의 전체는 사물의 일부의 예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및/또는"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프로세싱 회로" 및 "프로세싱을 위한 수단"이라는 용어는 데이터 또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process)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모든 조합을 의미하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 하드웨어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일반적인 목적 또는 특별한 목적의 CPUs(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entral processing un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GPUs(graphics processing units) 및 FPGAs(programmable logic devices such 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프로세싱 회로에서, 각 기능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즉 하드 와이어드(hard-wired)에 의해 수행되거나, 비과도적 기억 매체(non-transitory storage medium)에 저장된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CPU와 같은 보다 범용적인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된다. 프로세싱 회로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에서 제작되거나 상호 연결된 여러 개의 PCBs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다른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는 PCB 상에서 상호 연결된 2개의 처리 회로, FPGA 및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방법(예를 들어, 조정) 또는 제1 수량(예를 들어, 제1 변수)이 제2 수량(예를 들어, 제2 변수)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제2 수량은 방법에 대한 입력이거나 제1 수량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제2 수량은 제1 수량을 계산하는 함수에 대한 입력(예를 들어, 유일한 입력 또는 여러 입력 중 하나)이거나, 제1 수량은 제2 수량과 동일(equal)하거나, 제1 수량은 제2 수량과 동일(same)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동일한 위치에 저장되거나 메모리에서의 동일한 위치).
본 개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요소, 구성요소, 영역, 계층 및/또는 섹션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 구성 요소, 영역, 계층 및/또는 섹션을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는 한 요소, 구성 요소, 영역, 계층 또는 섹션을 다른 요소, 구성 요소, 영역, 계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개시에서 논의되는 제1 요소, 구성 요소, 영역, 계층 또는 섹션은 발명 개념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2 요소, 구성 요소, 영역, 계층 또는 섹션으로 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 개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에 대하여(about)" 및 이와 유사한 용어들은 근사치 용어로 사용되며, 정도 용어가 아닌,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자들이 인식할 수 있는 측정값 또는 계산 값의 고유한 편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단수 형식은 문맥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식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본 개시에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 정수, 단계, 작동, 요소 및/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작동, 요소, 구성 요소 및/또는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된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적어도 다음 중 하나"와 같은 표현이 요소 목록 앞에 올 때 요소의 전체 목록을 수정하고 목록의 개별 요소를 수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할 때 "~할 수 있다"의 사용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를 의미한다. 또한, "예시(exemplary)"라는 용어는 예나 도해를 참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용어 "사용하다(use)", "사용하는(using)" 및 "사용된(used)"은 각각 용어 "활용하다(utilize)", "활용하는(utilizing)" 및 "활용된(utilized)"와 동의어로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지연(latency)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당업자에게 많은 변형 및 변형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지연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여기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는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도 정의될 수 있다.

Claims (20)

  1. non-AP(access point) STA(station)이 제1 삽입된 패킷(inserted packet)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non-AP STA이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을 위한 ACK(acknowledgement)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은 원래 예정된(originally scheduled) 제1 A-PPDU(aggregated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의 시작 이후에 시작되고,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일 부분을 대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의 시작 인디케이션(start indication)를 감지(detect)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인디케이션은 LTF(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인디케이션은 SIG(signal field)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PDU는 HE PPDU(High Efficiency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하고, 상기 HE PPDU는 160 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은 최대 80 MHz의 대역폭(bandwidth)를 점유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프리앰블에서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의 후보 시작 시간(candidate start time)의 인디케이션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시작 시간은 심볼들의 수로 표시(indicate)되고, 상기 심볼들의 수는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상기 시작과 상기 후보 시작 시간 사이의 시간 구간(time interval)을 명시(specify)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on-AP STA가 제2 A-PPDU의 제1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non-AP STA가 제2 삽입된 패킷의 시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된 패킷의 시작 이후에 상기 non-AP STA의 라디오(radio)를 끄는(turn off)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상기 일 부분은 상기 원래 예정된 A-PPDU의 PPDU의 데이터의 일 부분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상기 일 부분은 RU(resource unit)의 데이터의 일 부분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상기 일 부분은 두 개의 RUs(resource units) 각각의 데이터의 일 부분인, 방법.
  14. non-AP(Access Point) STA(station)에 있어서,
    라디오(radio); 및
    프로세싱 회로(processing circuit);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제1 삽입된 패킷(inserted packet)을 수신하도록 설정(configure)되고,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은 원래 예정된(originally scheduled) 제1 A-PPDU(aggregated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의 시작 이후에 시작되고,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일 부분을 대체하는, non-AP STA.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의 시작 인디케이션(start indication)를 감지(detect)하도록 더 설정되는, non-AP STA.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인디케이션은 LTF(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하는, non-AP STA.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인디케이션은 SIG(signal field)를 포함하는, non-AP STA.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을 위한 ACK(acknowledgement)를 전송하도록 더 설정되는, non-AP STA.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PPDU는 HE PPDU(High Efficiency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하고, 상기 HE PPDU는 160 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non-AP STA.
  20. non-AP(Access Point) STA(station)에 있어서,
    라디오(radio); 및
    프로세싱(processing)을 위한 수단(means);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을 위한 수단은 제1 삽입된 패킷을 수신하도록 설정(configure)되고,
    상기 제1 삽입된 패킷은 원래 예정된(originally scheduled) 제1 A-PPDU(aggregated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의 시작 이후에 시작되고, 상기 원래 예정된 제1 A-PPDU의 데이터의 일 부분을 대체하는, non-AP STA.
KR1020220055030A 2021-05-05 2022-05-0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51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84686P 2021-05-05 2021-05-05
US63/184,686 2021-05-05
US17/722,209 US20220361190A1 (en) 2021-05-05 2022-04-15 Inserted ppdu
US17/722,209 2022-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121A true KR20220151121A (ko) 2022-11-14

Family

ID=8369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030A KR20220151121A (ko) 2021-05-05 2022-05-0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61190A1 (ko)
KR (1) KR20220151121A (ko)
DE (1) DE102022110848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61190A1 (en) 2022-11-10
DE102022110848A1 (de)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2375B (zh) Wlan中用於ofdma傳輸的增強資源單元分配方案
US10405351B2 (en) Transmission method for multi user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200280351A1 (en) Operation method of st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0020919B2 (en) Protection methods for wireless transmissions
US11457097B2 (en) Doppler mode in a wireless network
US11457068B2 (en) Communication format for a wireless network
EP228135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ppdu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052653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数据信道和控制信道的方法、装置和系统
RU2769717C2 (ru)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EP3266158B1 (en) Support for additional decoding processing time in wireless lan systems
US11398886B2 (en) Midamble oper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998951B2 (en) Training sequence gene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P3286969A1 (en) Legacy compatible signaling for channel bonding
KR20160019381A (ko) 고효율 무선랜의 물리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위한 인터리버
KR2012008104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복적 심볼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4070535A (zh) 上行链路控制信道的发送和接收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20220053371A1 (en) Padding method for aggregated ppdu in enhancement of ieee 802.11ax
WO2010073987A1 (ja) 信号配置方法及び通信装置
US838526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tting CID mask length of a HARQ-MAP/SUB-MAP pointer IE in WiMAX systems
CN115208509A (zh) 无线通信系统中以重复模式发送ppdu的方法和设备
US11128409B2 (e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13824532B (zh) 发送数据帧的方法、接收数据帧的方法及通信装置
KR2022015112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3517603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関連機器
US20240048304A1 (en) Ppdu with adjustable subcarrier spa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