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940A - 반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반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940A
KR20220149940A KR1020210056978A KR20210056978A KR20220149940A KR 20220149940 A KR20220149940 A KR 20220149940A KR 1020210056978 A KR1020210056978 A KR 1020210056978A KR 20210056978 A KR20210056978 A KR 20210056978A KR 20220149940 A KR20220149940 A KR 20220149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mi
automatic opening
driving unit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설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진경 filed Critical 설진경
Priority to KR102021005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9940A/ko
Publication of KR2022014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6Piston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도어가 결합되어 개폐하며, 상기 도어가 열리면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를 상부레일의 내부 상면에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써, 문틀의 상부레일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요인으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C'자 형태의 결합부에 몸체를 끼운 상태로 상부레일 내부에 결합하므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자동 개폐장치{Semi-Automatic Apparatus for Closing and Opening Door}
본 발명은 반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레일 내부에 설치 가능한 반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거실이나 발코니, 회사, 학교 또는 병원 등에 설치된 창문이나 현관 중문 등은 횡방향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미닫이 형태로 설치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미닫이형 도어는 실내 온도 조절이나 환기를 위해 개별도어를 손으로 열고 닫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미닫이 형태의 도어는 크게 수동식, 반자동식, 자동식으로 구분된다.
그중 수동식 슬라이딩 도어는 오로지 사람의 힘으로 도어를 밀어서 열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이며, 자동식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한편, 반자동식 도어는 도어를 여는 힘을 제거하면 모든 구간에 걸쳐서 도어가 닫히게 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종래 반자동식 도어에 사용되는 반자동 개폐장치의 경우 문틀 또는 레일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사람이 매달리는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0755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외부 요인으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장치는 도어가 결합되어 개폐하며, 상기 도어가 열리면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를 상부레일의 내부 상면에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장치는 문틀의 상부레일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요인으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C'자 형태의 결합부에 구동부를 끼운 상태로 상부레일 내부에 결합하므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열린 상태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각 도면에 걸쳐 표시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열린 상태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장치는 구동부(100) 및 결합부(2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00)는 도어(10)가 결합되어 개폐하며, 도어(10)가 열리면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00)는 상부레일(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100)는 몸체(110), 탄성부재(120), 공기압축링(130) 및 공기압조절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1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파이프가 텔레스코프식 방식으로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파이프(111), 상기 제1파이프(111)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파이프(1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2파이프(112) 및 제2파이프(112)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파이프(1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3파이프(11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파이프(111)는 결합부(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제3파이프(113)의 끝단에는 도어(10)가 도어브라켓(1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파이프(111)를 기준으로 제2파이프(112)와 제3파이프(113)가 이동함으로써, 제3파이프(113)에 결합된 도어(10)가 이동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120)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길어진 상기 몸체(110)가 짧아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120)의 일단이 상기 제1파이프(111)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파이프(113)의 내부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힘에 의해 도어(10)가 개방될 시 탄성부재(120)는 인장되고, 외부의 힘이 제거될 시 탄성부재(120)가 수축되어 도어(10)는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20)는 수축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을 가진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압축링(130)은 몸체(110)의 파이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압축링(130)은 제2파이프(112)와 제3파이프(113)의 일단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파이프(111)와 제2파이프(112) 사이 및 제2파이프(112)와 제3파이프(113) 사이를 밀폐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압조절기(140)는 몸체(1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 내부와 외부의 공기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압조절기(140)는 제1파이프(111)의 일단에 형성된 공기유동공(도면 미도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공기 유동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도어(10)가 개방될 시 공기압조절기(140)를 통해 몸체(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외부의 힘이 제거되어 도어(10)가 닫힐 시 몸체(110) 내부의 공기가 공기압조절기(140)에 의해 조절된 양 만큼 서서히 배출되게 되는데, 공기가 배출되는데 걸리는 시간만큼 도어(10)가 서서히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방된 도어(10)가 닫히는 경우 급격히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에 끼이는 것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100)는 상기 도어(10)가 열리거나 닫힐 시 상기 몸체(110)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재(150)는 몸체(11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파이프 중 일단부에 구비되는 파이프의 내부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부재(150)는 제1파이프(111)의 내부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파이프(112)의 단부에 형성된 마감부재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도어(10)가 개방될 시 이동하는 제2파이프(112)가 제1파이프(111)에 도어(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가할 수 있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도어(10)가 닫힐 시 이동하는 제2파이프가 도어(10)가 제1파이프(111)에 도어(10)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할 수 있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150)는 도어(10)가 열리거나 닫힐 시 상기 몸체(110)에 완충력을 제공하여 몸체(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150)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완충력을 가진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개폐장치는 도어고정부(160) 및 도어스토퍼(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고정부(160)는 몸체(11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파이프 중 타단부에 구비되는 파이프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고정부(160)는 제3파이프(113)의 타측 끝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성 부재 또는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금속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스토퍼(170)는 도어(10)의 개방 시 도어고정부(160)와 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도어(10)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스토퍼(170)는 도어(10)의 개방 시 도어고정부(160)와 접하는 수직프레임(도면 미도시)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성 부재 또는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금속부재로 구성되어 도어(10)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할 경우 도어고정부(160)와의 접착력에 의해 제3파이프(113)를 고정함으로써, 도어(10)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고정부(160)와 도어스토퍼(170)는 자성 부재 또는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금속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접촉될 시 접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200)는 구동부(100)가 끼움 결합되고, 구동부(100)를 상부레일(20)의 내부 상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끼움결합부(210) 및 브라켓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결합부(210)는 일측이 개방된 'C'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구동부(100)를 억지 끼움 형태로 끼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100)를 유지보수 하는 경우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부(220)는 구동부(100)를 상부레일(20)의 내부 상면에 결합하는 것으로, 끼움결합부(2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 또는 볼트 등의 결합수단이 삽입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구동부
110 : 몸체
120 : 탄성부재
130 : 공기압축링
140 : 공기압조절기
150 : 완충부재
160 : 도어고정부
170 : 도어스토퍼
200 : 결합부
210 : 끼움결합부
220 : 브라켓부

Claims (5)

  1. 도어가 결합되어 개폐하며, 상기 도어가 열리면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를 상부레일의 내부 상면에 고정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반자동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파이프가 텔레스코프식 방식으로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길어진 상기 몸체가 짧아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몸체의 파이프 사이에 구비된 공기압축링; 및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 내부와 외부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는 공기압조절기;
    를 포함하는 반자동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몸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파이프 중 일단부에 구비되는 파이프의 내부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시 상기 몸체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반자동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파이프 중 타단부에 구비되는 파이프의 끝단에 구비되는 도어고정부; 및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도어고정부와 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도어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반자동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C'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를 끼움 결합하는 끼움결합부; 및
    상기 구동부를 상기 상부레일의 내부 상면에 결합하는 브라켓부;
    를 포함하는 반자동 개폐장치.
KR1020210056978A 2021-05-03 2021-05-03 반자동 개폐장치 KR20220149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978A KR20220149940A (ko) 2021-05-03 2021-05-03 반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978A KR20220149940A (ko) 2021-05-03 2021-05-03 반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940A true KR20220149940A (ko) 2022-11-10

Family

ID=8404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978A KR20220149940A (ko) 2021-05-03 2021-05-03 반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99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555B1 (ko) 2014-10-13 2016-03-30 전기순 미닫이 도어의 댐퍼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555B1 (ko) 2014-10-13 2016-03-30 전기순 미닫이 도어의 댐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066B1 (ko)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KR101718659B1 (ko) 슬라이딩도어의 자동닫힘장치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CN106536847B (zh) 用于翼,门,大门,上翻门,窗,气窗的防坠落安全系统
KR20220149940A (ko) 반자동 개폐장치
JP2006524760A (ja) 仕切り壁
KR200450976Y1 (ko)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창문
US8065779B2 (en) Automatic door closure for breakout sliding doors and patio doors
US20120167511A1 (en) Pet door
US20150191958A1 (en) Ball-and-socket joint as engagement point for a driving element of a locking system
KR100904761B1 (ko) 안전부재가 장착된 미닫이문
KR101602660B1 (ko)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KR101086886B1 (ko)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KR20150089161A (ko) 슬라이딩 도어
KR102341813B1 (ko) 단열 미서기창
KR102027837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용 도어
JP4573764B2 (ja) 建具
JP2007270535A (ja) リニア駆動サッシ及びサッシの改装方法
IL281029B2 (en) Improved steps for roller shutter system
JP3184933U (ja) ドアの簡易自動閉成装置
KR200359154Y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2269583B1 (ko)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창호용 환기장치
JP7131851B2 (ja) 床下通気制御装置
KR20190067420A (ko) 무동력 자동문
KR100920009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