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275A -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275A
KR20220149275A KR1020210056707A KR20210056707A KR20220149275A KR 20220149275 A KR20220149275 A KR 20220149275A KR 1020210056707 A KR1020210056707 A KR 1020210056707A KR 20210056707 A KR20210056707 A KR 20210056707A KR 20220149275 A KR20220149275 A KR 20220149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upport
physically disabled
physicall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2652B1 (ko
Inventor
황란희
김주하
Original Assignee
황란희
김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란희, 김주하 filed Critical 황란희
Priority to KR102021005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6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47C7/0213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detachably secured to seats, e.g. by ties or hook and loop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1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신체장애인의 뒷목에서 양 대퇴부 상부까지의 길이를 가지며 상부는 신체장애인의 뒷목을 감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신체장애인의 상체에서 양 대퇴부 상부까지 지지하는 지지부가 상호 연이어지게 형성된 'U'자형의 베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베개부의 본체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는 양 대퇴부의 상부를 안쪽으로 밀어 다리를 모아주도록 안쪽으로 휘어진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베개부의 하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부를 안쪽으로 당겨 신체장애인의 다리를 모아 주도록 유도하는 당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본체부에는 의자 또는 휠체어나 유모차의 등받이를 감싸며 등받이의 후방에서 결속되는 각각의 결속부재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Pillow for posture maintenance for handicapped person}
본 발명은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몸을 스스로 가누지 못하는 신체장애인이 의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에 앉았을 때, 앉은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신체장애인의 몸에 맞춰 바른 자세로 견인시켜줄 수 있는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손상 등 기타 뇌병변 장애가 있어 본인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신체장애인(이하 "신체장애인"이라 통칭함)의 경우 의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에 앉더라도 그 앉은 자세에서 몸을 스스로 의지 지탱하지 못하고 목과 상체 및 하체가 일 측으로 기울어져(치우침) 정상적인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체장애인은 자신의 신체가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움직이는 것을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동식 휠체어에 바르게 앉거나, 앉은 상태에서 등 부위를 시트백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 머리를 바른 자세로 유지하는 동작, 팔을 암레스트에 가지런한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 히프를 시트쿠션에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 다리와 발을 움직이지 않으면서 바르게 유지하는 동작과 같이 일반인이 보편적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동작들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신체장애인은 지속적으로 척추 및 상·하지의 변형이 가속화되며, 그에 따른 결과로 휠체어 위에서 팔과 머리의 기능적인 사용을 위한 자세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94170호 "자세 보조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시트백 구조" 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의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에 앉아 본인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신체장애인이 의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에 앉았을 때 그 앉은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보조기구를 의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으로부터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여 신체장애인의 장애 체형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기구를 의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에 적용 후에는 압박감을 최소화하면서 편안한 착용감으로 장시간 착용 사용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서 취급 및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는, 신체장애인의 뒷목에서 양 대퇴부 상부까지의 길이를 가지며 상부는 신체장애인의 뒷목을 감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신체장애인의 상체에서 양 대퇴부 상부까지 지지하는 지지부가 상호 연이어지게 형성된 'U'자형의 베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베개부의 본체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는 양 대퇴부의 상부를 안쪽으로 밀어 다리를 모아주도록 안쪽으로 휘어진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베개부의 하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부를 안쪽으로 당겨 신체장애인의 다리를 모아 주도록 유도하는 당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본체부에는 의자 또는 휠체어나 유모차의 등받이를 감싸며 등받이의 후방에서 결속되는 각각의 결속부재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개부는, 결속 끈을 이용하여 이동수단의 등받이에 견고하게 고정 시키고, 신체장애인의 몸을 견인하여 척추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일측에 형성되어, 신체장애인의 머리가 일 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받쳐주는 보조받침구 및 상기 보조받침구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양 끝단에 접착부재가 형성되어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신체장애인의 가슴 부분을 잡아주는 가슴지지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슴지지밴드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위치 조절되는 보호부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의 하단 또는 당김부재는 하부로 당겨주는 당김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당김밴드를 통해 상기 베개부를 의자 밑이나 휠체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가 이동할 수 있는 고리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이동부는,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 상기 베개부와 상기 이동부재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 및 상기 고리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리와 결합되어 형성된 고리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부재는, 상호 결속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후면에 제1홈이 형성된 제1결합부; 전면에 제2전면돌기가 형성되어 제1결합부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며, 후면에 제2삽입돌기 및 제2고정돌기가 형성된 제2결합부 및 전면에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3삽입홀 및 제3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삽입돌기를 상기 제3삽입홀에 삽입시킨 후 회전하여 상기 제2고정돌기와 상기 제3고정홈을 결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는 의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에 앉아 본인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신체장애인이 의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에 앉았을 때 그 앉은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신체장애인의 장애 체형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여 기울어진 몸을 중앙으로 견인할 수 있으며, 이에 신체장애인이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으로부터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의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에 적용 후에는 압박감을 최소화하면서 편안한 착용감으로 장시간 착용 사용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서 취급 및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결속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고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보조받침구가 삽입되어 있는 탈착패드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4의 탈착패드가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가슴지지밴드 및 보호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당김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고리이동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의 고리이동부 및 고리에 고리결합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1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의 고리이동부에 고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의 당김부재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의 (a), (b)는 도 12의 결합부를 도시한 분해도.
도 14는 도 12의 결합부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를 착용한 신체장애인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결속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고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보조받침구가 삽입되어 있는 탈착패드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4의 탈착패드가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가슴지지밴드 및 보호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당김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에 고리이동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의 고리이동부 및 고리에 고리결합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1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의 고리이동부에 고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의 당김부재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의 (a), (b)는 도 12의 결합부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결합부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를 착용한 신체장애인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는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신체장애인을 위해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신체장애인의 뒷목부터 양 대퇴부 상부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보조기구는 신체장애인이 의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에 앉았을 때, 그 앉은 자세에서 신체장애인의 뒷목부터 대퇴부 상부에 이르기까지 위치하여 신체장애인의 상체를 포함하는 대퇴부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보조기구는, 베개부(10), 당김부재(300) 및 결속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개부(10)는 신체장애인의 뒷목부터 양 대퇴부 상부까지의 길이를 가지며 U'자형의 베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본체부(100) 및 지지부(200)를 포함하고, 본체부(100)와 지지부(200)가 연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베개부(10)는 섬유(방수, 메쉬 등) 비닐 및 고무 튜브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쿠션력을 발휘하도록 솜, 볼솜, 스폰지, 공기, 발포비즈 중 어느 하나를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베개부(10)는 일정 정도의 변형이 가능하여 신체장애인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며 세척 및 세탁이 간편하여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체부(100)는 내측으로 신체장애인의 목이 수용되는 부분으로, 신체장애인의 뒷목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열선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보온 기능도 부가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본체부(100)의 양단부로부터 신체장애인의 양 대퇴부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는 지지부(2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부(200)는 신체장애인의 양 대퇴부의 상부를 안쪽으로 밀어 양다리의 벌어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다리를 모아줄 수 있도록 하단부가 안쪽으로 휘어진 절곡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당김부재(300)는 지지부(200)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결속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지지부(200)의 하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곡부(210)를 안쪽으로 당겨 신체장애인의 다리를 모아주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당김부재(300)는 밴드의 일측 단부가 지지부(200)에 고정 설치되고, 그 고정 설치된 밴드의 타측 단부에는 결합부재가 설치되어, 결합부재의 상호 결속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는, 버클, 단추, 고리, 벨크로테이프, 매직테이프, 지퍼 및 후크단추 등 다양한 종류로 형성되어 양단을 결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버클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당김부재(300)는 신체장애인의 배꼽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속부재(400)는 의자 또는 휠체어나 유모차 등의 등받이를 감싸며 등받이의 후방에서 결속함으로써 보조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지지부(200)와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부재(400)는 지지부(200)의 중앙 및 신체장애인의 옆구리 부분인 지지부(20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결속부재(400)는 밴드의 일측 단부가 본체부(100)와 지지부(200)에 고정설치되고 그 고정 설치된 밴드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설치되어, 결합부재의 상호 결속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보조기구는, 본체부(100)가 신체장애인의 뒷목을 감싸고, 지지부(200)의 상부가 신체장애인의 어깨를 지나며, 절곡부(210)가 양 대퇴부에 위치함으로써 신체장애인의 상체를 포함하는 대퇴부 상부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결속부재(400)를 통해 이동수단의 후방에서 당기며 고정하고, 당김부재(300)를 통해 전방으로 당기도록 하여 결속부재(400)와 당김부재(300)의 상호 작용으로 신체장애인이 이동수단에 앉았을 때, 앉은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는 이동수단의 등받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신체장애인의 몸에 맞춰 설치함으로써 고정 및 압박을 통해 몸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리(500)는 신체장애인의 베개부(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결속끈을 이용하여 이동수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리(500)는 어깨가 위치하는 양측면, 하단 양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고리(500)는 어깨가 위치하는 양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신체장애인의 특성상 어깨가 앞으로 움츠려지는 자세로 인해 형성되는 둥근어깨를 후측으로 펴줌으로써, 자세를 바르게 교정시켜줄 뿐만 아니라 바른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리(500)는 하단 측면에 형성되어 보조기구의 하단을 의자 또는 휠체어나 유모차 등에 연결함으로써 보조기구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리(500)는 베개부(10)에 한쌍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고리(500)는 암버클, 수버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리(500)에 사용되는 결속끈은 길이를 가진 벨트의 양 끝단에 상기 고리(5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수버클, 암버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끈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고리(500)와 버클 결합 후 신체장애인의 몸에 맞춰 결속끈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고리(500)와 결속끈이 버클로 결합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신체장애인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속끈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길이를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힘을 가하여도 끊어지지 않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고리(500)는 신체장애인의 몸에 맞춰 다양한 위치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리(500)는 신체장애인의 몸이 치우치는 쪽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앞으로 치우치는 쪽에 위치하는 고리(500)에 결속끈을 이용하여 당겨줌으로써 신체장애인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신체장애인의 몸을 유지시킴으로써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도 볼 수 있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의 본체부(100)는 보조받침구(110) 및 탈착패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받침구(11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머리가 일측으로 기울어져 중심유지가 어려운 신체장애인의 기울어진 머리를 받쳐주며 지지해줄 수 있다.
이러한 보조받침구(110)는 신체장애인의 신체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탈착패드(130)는 보조받침구(110)가 삽입된 상태로 본체부(100)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양끝단에 접착부재가 형성되어 본체부(100)로부터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접착부재는 벨크로테이프, 매직테이프, 지퍼 및 후크단추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벨크로테이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조받침구(110)는 착탈패드(130) 없이 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체부(100)의 일측에 보조받침구(110)를 수용하는 포켓(120)이 형성되어, 그 포켓(120)에 보조받침구(110)가 수용되도록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받침구(110)는 신체장애인이 목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 및 고정할 뿐만 아니라, 강직으로 인한 목 틀어짐을 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는 신체장애인의 가슴 부분을 잡아주는 가슴지지밴드(20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슴지지밴드(205)는 지지부(20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고 위치 조절되는 보호부재(206)에 설치하고, 그 보호부재(206)에 가슴지지밴드(205)의 단부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슴지지밴드(205)는 신체장애인의 체형에 맞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버클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보호부재(206)는 상기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부(20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며, 이에 가슴지지밴드(205)가 신체장애인의 신장에 맞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호부재(206)는 외면에 한 개 이상의 고리(5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500)와 같이 결속끈을 이용하여 신체장애인의 몸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는 절곡부(210)의 하단 또는 당김부재(300) 중 어느 한 곳에 베개를 하부로 당겨주는 당김밴드(220)가 설치될 수 있다.
당김밴드(2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하부로 당겨 고정함으로써 보조기구 끝단이 신체장애인의 몸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수단에 앉은 신체장애인을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는 고리(5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이동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리이동부(600)는 신체장애인의 몸에 맞춰 고리(5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고리(500)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리이동부(600)는 이동부재(620), 연결부재(610) 및 고리결합부(5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620)는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형성되되, 단면이 양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된'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고리(500)가 이동부재(6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부재(620)는 연결홀(621) 및 고리홀(62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홀(621)은 베개와 이동부재(6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홀이며, 고리홀(622)은 고리(5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홀이다.
연결부재(610)는 베개와 이동부재(620)을 연결해주는 것으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홀(621)을 관통하고 양 끝단이 베개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고리결합부(501)는 이동부재(6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이 돌출된'ㅗ'자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된 부분에 고리(5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리결합부(501)는 양 측면에 고리돌기(502)가 형성되어 고리돌기(502)가 고리홀(622)에 삽입될 수 있으며, 고리돌기(502) 내측에는 스프링(503)이 형성되어 있어 고리돌기(502)가 고리결합부(501)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고리이동부(600)의 작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동부재(620)는 연결부재(610)를 통해 베개에 고정된 상태이며, 고리(500)는 고리결합부(501)에 결합된 상태로, 고리결합부(501)가 이동부재(6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고리결합부(501)는 고리돌기(502)를 가압하여 고리결합부(501)에 고리돌기(502)가 인입된 상태로 이동부재(6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고리결합부(501)를 이동부재(6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고리(500)가 위치하고 싶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인입된 고리돌기(502)를 인출시켜 고리홀(622)에 관통하여 고리결합부(501)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고리(5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고리(500)를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리(500)의 위치를 조정하여 신체장애인의 틀어진 몸에 맞춰 고정 및 압박을 통해 신체장애인의 몸을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장애인의 중심 축이 흔들리지 않게끔 힘의 압박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내지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의 당김부재(300)는 상호 결속되는 결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0)는 당김부재(300)의 결합부재를 대체한 것으로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당김부재(300)를 결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310)는 당김부재(300)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결합부재가 모두 대체될 수 있다.
결합부(310)는 제1결합부(311), 제2결합부(312) 및 제3결합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31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후면에 제1홈(3110)이 형성된 것으로 결합부(310)의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결합부(312)는 제1결합부(311)와 동일하게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도 13의 (a)와 같이 전면에 제2전면돌기(3120)가 형성되고, 도 13의 (b)와 같이 후면에 제2삽입돌기(3121), 제2고정돌기(3122) 및 제2자석부(31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3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부(312)는 제2전면돌기(3120)가 제1홈(31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제2결합부(312)는 제1결합부(311)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312)는 제2고정돌기(3122) 내측에 제2스프링(3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부(313)는 제1결합부(311)와 동일하게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에 제3삽입홀(3130) 및 제3고정홈(3131)이 형성되어 결합부(310)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3삽입홀(3130)은 제2삽입돌기(3121)가 삽입되는 것으로 도 15의 (a)와 같이 제2삽입돌기(3121)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결합부(312)가 회전함에 따라 제2삽입돌기(3121)가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3삽입홀(3130)은 제3결합부(313)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를 가진 장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고정홈(3131)은 제2고정돌기(3122)가 삽입되는 것으로, 제3삽입홀(3130)에 제2삽입돌기(3121)가 삽입되어 회전 후 고정되면, 제2고정돌기(3122)가 제3고정홈(31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고정돌기(3122)는 제3고정홈(3131)에 삽입되기 전에는 제2스프링(3123)으로 인해 제2결합부(312) 내부에 인입 되어있는 상태이며, 제3고정홈(3131)에 위치하게 되면 제2결합부(312)로부터 인출되면서 제3고정홈(313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3결합부(313)는 전면 중앙에 제3자석부(3132)가 형성되어 제2자석부(3124)와 자석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결합부(310)의 작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1결합부(311)와 제2결합부(312)는 제1홈(3110)과 제2전면돌기(3120)가 결합되고, 제2결합부(312)는 제1결합부(311)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결합부(310)는 제1결합부(311)와 제2결합부(3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결합부(312)와 제3결합부(313)가 탈착함으로써 결속 및 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2결합부(312)와 제3결합부(313)는 제2자석부(3124)와 제3자석부(3132)를 통해 1차 결합을 한다. 이후 제2삽입돌기(3121)가 제3삽입홀(3130)에 삽입된 다음 제2결합부(312)를 회전시켜 제2결합부(312) 내에 인입 되어있던 제2고정돌기(3122)가 인출되어 제3고정홈(3131)에 삽입되도록 하여 2차 결합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310)는 제2자석부(3124)와 제3자석부(3132)의 결합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삽입돌기(3121), 제2고정돌기(3122)와 제3삽입홀(3130), 제3고정홈(3131)의 결합을 통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베개부
100: 본체부
110: 보조받침구
120: 포켓
130: 탈착패드
200: 지지부
205: 가슴지지밴드
206: 보호부재
210: 절곡부
220: 당김밴드
300: 당김부재
310: 결합부
311: 제1결합부
3110: 제1홈
312: 제2결합부
3120: 제2전면돌기
3121: 제2삽입돌기
3122: 제2고정돌기
3123: 제2스프링
3124: 제2자석부
313: 제3결합부
3130: 제3삽입홀
3131: 제3고정홈
3132: 제3자석부
400: 결속부재
500: 고리
501: 고리결합부
502: 고리돌기
503: 스프링
600: 고리이동부
610: 연결부재
620: 이동부재
621: 연결홀
622: 고리홀

Claims (7)

  1. 신체장애인의 뒷목에서 양 대퇴부 상부까지의 길이를 가지며 상부는 신체장애인의 뒷목을 감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신체장애인의 상체에서 양 대퇴부 상부까지 지지하는 지지부가 상호 연이어지게 형성된 'U'자형의 베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베개부의 본체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는 양 대퇴부의 상부를 안쪽으로 밀어 다리를 모아주도록 안쪽으로 휘어진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베개부의 하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부를 안쪽으로 당겨 신체장애인의 다리를 모아 주도록 유도하는 당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본체부에는 의자 또는 휠체어나 유모차의 등받이를 감싸며 등받이의 후방에서 결속되는 각각의 결속부재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부는,
    결속 끈을 이용하여 이동수단의 등받이에 견고하게 고정 시키고, 신체장애인의 몸을 견인하여 척추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일측에 형성되어, 신체장애인의 머리가 일 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받쳐주는 보조받침구 및
    상기 보조받침구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양 끝단에 접착부재가 형성되어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패드를 포함하는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신체장애인의 가슴 부분을 잡아주는 가슴지지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슴지지밴드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위치 조절되는 보호부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하단 또는 당김부재는,
    하부로 당겨주는 당김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당김밴드를 통해 상기 베개부를 의자 밑이나 휠체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가 이동할 수 있는 고리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이동부는,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
    상기 베개부와 상기 이동부재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 및
    상기 고리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리와 결합되어 형성된 고리결합부를 포함하는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재는,
    상호 결속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후면에 제1홈이 형성된 제1결합부;
    전면에 제2전면돌기가 형성되어 제1결합부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며, 후면에 제2삽입돌기 및 제2고정돌기가 형성된 제2결합부 및
    전면에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3삽입홀 및 제3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삽입돌기를 상기 제3삽입홀에 삽입시킨 후 회전하여 상기 제2고정돌기와 상기 제3고정홈을 결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KR1020210056707A 2021-04-30 2021-04-30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KR10252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07A KR102522652B1 (ko) 2021-04-30 2021-04-30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07A KR102522652B1 (ko) 2021-04-30 2021-04-30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275A true KR20220149275A (ko) 2022-11-08
KR102522652B1 KR102522652B1 (ko) 2023-04-18

Family

ID=8404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707A KR102522652B1 (ko) 2021-04-30 2021-04-30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65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533A (en) * 1990-10-17 1991-10-15 Toni Solano Support cushion
KR100547406B1 (ko) * 2004-09-30 2006-01-31 백남일 배낭용 가슴멜방의 승강장치
JP2007099201A (ja) * 2005-10-07 2007-04-19 Combi Corp 幼児用姿勢保持クッション及び該クッションを用いた幼児支持構造
KR20090093731A (ko) * 2008-02-28 2009-09-02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장애 유아용 휠체어
JP2015033562A (ja) * 2013-08-09 2015-02-19 勝也 藤川 福祉用座位保持補装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70993A (ja) * 2013-10-04 2015-04-16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KR101594170B1 (ko) * 2014-12-18 2016-02-16 주식회사 포트 자세 보조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시트백 구조
KR20200144225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버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533A (en) * 1990-10-17 1991-10-15 Toni Solano Support cushion
KR100547406B1 (ko) * 2004-09-30 2006-01-31 백남일 배낭용 가슴멜방의 승강장치
JP2007099201A (ja) * 2005-10-07 2007-04-19 Combi Corp 幼児用姿勢保持クッション及び該クッションを用いた幼児支持構造
KR20090093731A (ko) * 2008-02-28 2009-09-02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장애 유아용 휠체어
JP2015033562A (ja) * 2013-08-09 2015-02-19 勝也 藤川 福祉用座位保持補装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70993A (ja) * 2013-10-04 2015-04-16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KR101594170B1 (ko) * 2014-12-18 2016-02-16 주식회사 포트 자세 보조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시트백 구조
KR20200144225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652B1 (ko)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5463B2 (en) Portable reflexology chair
US5256135A (en) Thoracic-lumbar-sacral corrective orthosis ("TLSO") corrective back supporting brace and chair side support buttress
US2719568A (en) Invalid walking and exercising apparatus
US6715167B2 (en) Patient lift and transfer apparatus
JPH01201505A (ja) 上体衣服
US9278665B2 (en) Slouch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US5375279A (en) Combination stretching and back support device
US6063012A (en) Portable multi-use exercise device
HU229901B1 (en) Massage table
US20130031697A1 (en) Ortho-sweatband head restraint for adjustable headrests
KR102522652B1 (ko)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KR20130141827A (ko) 의자에 탈착되는 보조 등받이
KR101594170B1 (ko) 자세 보조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시트백 구조
US5235714A (en) Combination stretching and back support device
CN210096166U (zh) 一种可调节的俯卧位通气枕
KR20120027744A (ko) 휠체어용 보조지지구
JP2014509898A (ja) ベッドに横になった姿勢から座った姿勢に及びその逆の姿勢変化も同様に行うような介助器具を用いて障害者を移動する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のための介助器具
KR101055014B1 (ko) 배받이가 구비된 기능성의자
KR200496638Y1 (ko) 휴대용 자세 교정백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JP2002119526A (ja) 顎支持具及び座具
KR101810157B1 (ko) 업무와 동시에 요가 수행이 가능한 멀티발걸이 장치
KR101875270B1 (ko) 멀티발걸이 장치
KR20190101225A (ko) 허벅지 고정유닛, 종아리 고정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CN111434282A (zh) 一种多用途的网脱眼枕及平趴睡的休息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