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170A -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170A
KR20220149170A KR1020210056448A KR20210056448A KR20220149170A KR 20220149170 A KR20220149170 A KR 20220149170A KR 1020210056448 A KR1020210056448 A KR 1020210056448A KR 20210056448 A KR20210056448 A KR 20210056448A KR 20220149170 A KR20220149170 A KR 20220149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frame
layer
glass substrate
packag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303B1 (ko
Inventor
노영호
김진철
Original Assignee
앱솔릭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솔릭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앱솔릭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1005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303B1/ko
Priority to US18/010,809 priority patent/US20230307304A1/en
Priority to JP2022572386A priority patent/JP2023536041A/ja
Priority to PCT/US2022/026847 priority patent/WO2022232467A1/en
Priority to EP22796777.5A priority patent/EP4298666A1/en
Priority to CN202280005087.4A priority patent/CN115917730A/zh
Priority to TW111116516A priority patent/TWI792999B/zh
Publication of KR20220149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9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the chips being integrally enclosed by the interconnect and suppor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5Ceramic or glass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3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1Internal lead connections, e.g. via connections, feedthroug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27Via connections through the substrates, e.g. pins going through the substrate,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3Multilayer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4Conductive vias through the substrate with or without pins, e.g. buried coaxia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94Filling or covering plated through-holes or blind plated vias, e.g. for masking or for mechanical reinforc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161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01L2224/171Disposition
    • H01L2224/1718Disposition being disposed on at least two different sides of the body, e.g. dual array
    • H01L2224/17181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2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and on each other, i.e. mixed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1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10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05K1/0204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 H05K1/0206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by printed thermal vi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06Inorganic insulating substrates, e.g. ceramic, g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5Components encapsulated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the printed circuit or incorporated in internal layers of a multilayer circuit
    • H05K1/186Components encapsulated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the printed circuit or incorporated in internal layers of a multilayer circuit manufactured by mounting on or connecting to patterned circuits before or during embed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36Recesses or grooves in insulating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Dicing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구현예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대향면인 제2면을 포함하는 유리기판; 상기 유리기판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캐비티부; 상기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캐비티프레임; 및 상기 캐비티부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는 캐비티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프레임은 상기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프레임관통홀들을 포함하는, 패키징 기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OF THE SAME}
구현예는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관통홀이 형성된 캐티비프레임 갖는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 반도체 웨이퍼에 회로를 구현하는 것을 전 공정(FE:Front-End)이라 하고, 웨이퍼를 실제 제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립하는 것을 후 공정(BE:Back-End) 이라 하며, 이 후 공정 중에 패키징 공정이 포함된다.
최근 전자제품의 급속한 발전을 가능하게 한 반도체 산업의 4가지 핵심기술로는 반도체 기술, 반도체 패키징 기술, 제조공정 기술, 소프트웨어 기술이 있다. 반도체 기술은 마이크로 이하 나노 단위의 선폭, 천만 개 이상의 셀(Cell), 고속 동작, 많은 열 방출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이를 완벽하게 패키징하는 기술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도체의 전기적 성능이 반도체 기술 자체의 성능보다는 패키징 기술과 이에 따른 전기적 접속에 의해 결정되기도 한다.
패키징 기판의 재료로는 세라믹 또는 수지가 적용된다. 세라믹 기판의 경우, 저항값이 높거나 유전율이 높아 고성능 고주파의 반도체 소자를 탑재하기에 쉽지 않다. 수지 기판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성능 고주파의 반도차체 소자를 탑재할 수는 있으나, 배선의 피치 축소에 한계가 있다.
최근, 하이엔드용 패키징 기판으로 실리콘이나 유리를 적용한 연구들이 진행중이다. 실리콘이나 유리 기판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도전성 물질을 이 관통구멍에 적용해서 소자와 메인보드 사이에 배선길이가 짧아지고 양호한 전기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유리 기판의 소형화 제조공정 시 원판의 휨 문제, 파손 또는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높고, 이러한 문제와 열 방출 효율을 개선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구현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83278 에 개시된 "다층기판 및 다층기판의 제조방법" 등이 있다.
구현예의 목적은 열 방출이 개선되고,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캐비티 구조를 포함하는 패키징 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현예에 따른 패키징 기판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대향면인 제2면을 포함하는 유리기판;
상기 유리기판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캐비티부;
상기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캐비티프레임; 및
상기 캐비티부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는 캐비티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프레임은 상기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관통된 프레임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직경은 30 ㎛ 내지 500 ㎛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직경 R 및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관통방향의 길이 Lh의 비율인 R/Lh가 1 내지 10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관통홀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관통홀들 간의 간격은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직경의 1배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프레임은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직경 대비 1.5배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관통홀은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제1재료로 충진되고,
상기 제1재료는 구리, 에폭시, 실리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은 제1두께를 갖는 제1구역과, 상기 제1구역과 이웃하며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두께인 제2두께를 갖는 제2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부는 상기 제2구역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프레임의 측면에 지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은 상기 캐비티프레임 이외의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 방향으로 관통된 코어비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비아와 연결되는 상기 제1면 및 제2면 상에 코어분배층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현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소자가 위치하는 반도체소자부;
상기 반도체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키징 기판; 및
상기 패키징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반도체소자와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연결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키징 기판은 상기에 따른 패키징 기판일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패키징 기판은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캐비티프레임을 포함하고, 캐비티프레임 내 프레임관통홀을 형성하여, 내부 소자의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하고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구현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2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패키징 기판의 내부에 캐비티소자가 배치된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의 (a)와 (b)는 각각 구현예에 따른 패키징 기판의 일부, 내부 공간을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4의 (a)와 (b)는 각각 구현예에 따른 패키징 기판의 일부, 내부 공간에 캐비티소자가 배치된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5는 구현예에 따른 유리기판에 형성된 코어비아의 형태를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6은 구현예에 따라 지지부를 적용한 캐비티부를 갖는 유리기판을 상부에서 본 모습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구현예에 따라 지지부를 적용한 캐비티부를 갖는 유리기판을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구현예에 따라 지지부를 적용한 캐비티부를 갖는 유리기판에 캐비티소자가 고정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9는 구현예에 따른 패키징 기판의 내부에 캐비티프레임 및 프레임관통홀이 배치된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10은 구현예에 따라 캐비티프레임 및 프레임관통홀을 갖는 유리기판을 상부에서 본 모습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11은 구현예에 따라 캐비티프레임 및 프레임관통홀을 갖는 유리기판을 상부에서 더욱 자세히 본 모습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이하,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상에 B가 위치한다는 의미는 A 상에 직접 맞닿게 B가 위치하거나 그 사이에 다른 층이 위치하면서 A 상에 B가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A의 표면에 맞닿게 B가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또는 “A”, “B”와 같은 용어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동일한 용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발명자들은 보다 집적화되고 얇은 두께로 고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소자 자체만이 아니라 패키징에 대한 부분, 캐비티와 관련한 부분이 성능 향상에서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연구하던 중, 기존의 인터포저와 유기기판과 같이 2층 이상의 코어를 패키징 기판으로 메인보드 상에 적용하던 것과 달리, 유리 코어를 단일 층으로 적용하고, 복수 개의 캐비티 영역을 구획하는 캐비티프레임, 캐비티프레임 내 관통홀 배치 등을 적용하였다. 이에 패키징 기판을 보다 얇게 설계하되 반도체 장치의 전기적 특성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패키징 기판(20)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현예에 따른 패키징 기판(20)은,
일면(214) 및 상기 일면의 대향면인 타면(213)을 포함하는 유리기판(21);
상기 유리기판의 내부에 공간(281)이 형성된 캐비티부(28);
상기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캐비티프레임(286); 및
상기 캐비티부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는 캐비티소자(40);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프레임은 상기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관통된 프레임관통홀(2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징 기판(20)은 코어층(22); 상기 코어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상부층(26); 및 상기 캐비티소자(40)가 위치할 수 있는 캐비티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징 기판(20)은 선택적으로 코어층 하에 위치하는 하부층(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층(22)은 유리기판(2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리기판은 제1두께(211)를 갖는 제1구역(221) 및 상기 제1구역과 이웃하며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두께인 제2두께(212)를 갖는 제2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기판(21)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코어비아(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기판 또는 코어비아의 표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유리기판의 제1면(213) 및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2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코어분배층(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층(22)의 제2구역(222)은 내부 공간(281)을 포함하는 캐비티 구조로 역할을 할 수 있다.
같은 구역 내에서 상기 유리기판(21)은 서로 마주보는 제1면(213)과 제2면(214)을 포함하고, 이 두 면은 대체로 평행하여 유리기판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리기판(21)은 상기 제1구역(221)의 두께인 제1두께(211)가 상기 제2구역(222)의 두께인 제2두께(212)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1구역과 제2구역이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유리기판에는 코어비아(23)가 아닌 곳에서 상기 제1구역의 두께방향과 수직한 면인 측벽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구역과 제2구역의 두께차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281)은 캐비티소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구역(221)의 측벽에서 캐비티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지지부(2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구역의 측벽과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다른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281)으로 돌출되어, 삽입되는 캐비티소자(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두께가 다른 제1구역과 제2구역이 이웃하게 위치하는 형태의 상기 유리기판(21)은, 서로 그 크기가 다른 유리기판을 적층하거나 결합시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유리기판(21)의 코어비아(23)는 상기 제1구역(221)에 제1코어비아(231), 제2구역(222)에 제2코어비아(232) 등으로 모두 형성될 수 있고, 의도하는 피치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의 패키징 기판으로는, 기존에 실리콘 기판과 유기기판이 적층된 형태로 적용되었다. 실리콘 기판의 경우에는 반도체라는 특성상 고속 회로 적용 시 기생소자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전력 손실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유기기판의 경우에는 보다 복잡해지는 분배 패턴을 형성하기에는 대면적화가 필요하나 이는 초소형화되는 전자기기의 제조흐름에 부합되지 않는다. 정해진 크기 내에서 복잡한 분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패턴 미세화가 필요하나, 유기기판에 적용하는 고분자 등 소재 특성상 패턴 미세화에 실질적인 한계가 있었다. 구현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유리기판(21)을 코어층(22)의 지지체로 적용한다. 또한, 유리기판과 함께 유리기판을 관통하며 형성된 코어비아(23), 유리기판의 내부 공간(281)을 분할하는 캐비티프레임(286), 캐비티프레임을 관통하며 형성된 프레임관통홀(287) 등을 적용하여, 열 방출효율 증가, 접자기 흡수 증가 등의 이점을 갖는 패키징 기판(2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리기판(21)의 내부 공간(281)을 분할하는 캐비티프레임(286)은 상기 제2구역(222)의 제2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고, 상기 제1구역(221)의 제1두께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281)이 상기 캐비티프레임(286)에 의해 분할된 분할 공간은 각각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고, 세로열 또는 가로열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캐비티프레임(286)은 제1면(213)에서 제2면(214)을 향하는 두께방향으로 일정한 단면을 가지며 연장된 것일 수 있고, 상기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프레임관통홀(2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프레임(286)은 상기 제1면을 상부에서 바라본 관점으로 상기 내부 공간(281)이 복수의 직사각형 공간으로 분할되도록 분할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소정의 폭(Wf)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프레임은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은 두께(높이)가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프레임(286)의 폭은 상기 프레임관통홀(287)의 직경 대비 1.5 배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고, 2 배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캐비티프레임의 폭은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직경 대비 5 배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고, 4 배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직경은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최대직경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폭을 갖는 캐비티프레임은 안정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281)을 분할하되 적절한 강도 및 내구성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프레임(286)은 상기 유리기판과 같은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관통홀(287)의 직경(R)은 30 ㎛ 내지 500 ㎛일 수 있고, 50 ㎛ 내지 450 ㎛ 일 수 있으며, 100 ㎛ 내지 400 ㎛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직경 R과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관통방향의 길이 Lh의 비율인 R/Lh가 1 내지 10일 수 있고, 2 내지 8일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관통홀 직경 및 길이 특징을 가질 경우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패키징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관통홀(287)은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제1재료로 충진될 수 있고, 상기 제1재료는 금속, 유기재료, 세라믹 등일 수 있고, 예시적으로 구리, 에폭시, 실리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 상기 프레임관통홀을 충진하여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하고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관통홀(287)은 또한 도금층 또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팅층의 재료는 상기 제1재료일 수 있으며, 도금층의 경우 코어분배층(24)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관통홀(287)은 복수 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캐비티프레임(286)의 폭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며 정렬되게 배치될 수 있고, 불규칙한 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관통홀들 간 일정한 간격을 가질 경우, 일 프레임관통홀과 이와 인접한 프레임관통홀 간의 간격(Dh)은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직경 대비 1배 이상일 수 있고, 1배 내지 10배 일 수 있고, 2배 내지 5배 일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을 가질 경우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패키징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관통홀(287)은 관통방향과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고, 예시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관통홀(287)은 관통방향과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관통방향 전역에서 동일할 수 있고, 중심에서 최소면적을 갖고 외부로 향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유리기판(21)은 예를 들어 보로실리케이트 유리기판, 무알카리 유리기판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리기판(21)은 상기 제1구역(221)에서 측정한 두께인 제1두께(211)가 1,500 ㎛ 이하일 수 있고 300 ㎛ 내지 1,200 ㎛ 일 수 있으며, 350 ㎛ 내지 900 ㎛일 수 있고, 350 ㎛ 내지 700 ㎛일 수 있다. 보다 얇은 패키징 기판을 형성하는 것이 전기적 신호 전달을 보다 효율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나, 지지체로써의 역할도 해야 하므로 상기 두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기판(21)의 상기 제2구역(222)의 두께인 제2두께(212)는 상기 제1두께의 80 % 이하일 수 있고, 20 % 내지 80 %일 수 있으며, 30 % 내지 7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두께가 1,000 ㎛ 이하일 수 있고, 700 ㎛ 이하일 수 있으며, 50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두께는 100 ㎛ 내지 500 ㎛ 일 수 있고, 100 ㎛ 내지 35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역(221)과 제2구역의 두께 차이는 캐비티소자(40)의 두께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두께로 제2부분의 유리기판을 적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캐비티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리기판(21)의 두께는 유리기판 상에 위치하는 전기전도성층 등의 두께를 제외한 유리기판 자체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내부 공간(281)의 높이는 50 ㎛ 내지 500 ㎛일 수 있고, 150 ㎛ 내지 450 ㎛일 수 있으며, 250 ㎛ 내지 400 ㎛ 일 수 있다.
상기 코어비아(23)는 상기 유리기판(21)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판형 유리를 식각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코어비아(23)는, 상기 제1면과 접하는 제1개구부(233); 상기 제2면과 접하는 제2개구부(234); 및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를 연결하는 전체 코어비아에서 그 내경이 가장 좁은 구역인 최소내경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의 직경인 제1개구부직경(CV1)과 상기 제2개구부의 직경인 제2개구부직경(CV2)은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고, 상기 제1개구부직경과 상기 제2개구부직경은 그 직경이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직경이 실질적으로 다른 전자의 경우, 상기 코어비아(23)를 단면에서 본 형태가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형태로,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의 코어비아이거나, 유리기판의 두께를 기준으로 중앙 부분에서 코어비아의 내경이 다소 좁아지는 전체적으로 배럴 형태의 코어비아일 수 있다. 직경이 실질적으로 같은 후자의 경우, 두 개의 개구부(CV1, CV2)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그 단면이 사다리꼴인 잘린원뿔형태의 코어비아일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직경(CV1)과 제2개구부직경(CV2)은 각각 150 ㎛ 이하일 수 있고, 40 ㎛ 내지 200 ㎛일 수 있고, 70 ㎛ 내지 120 ㎛일 수 있다.
상기 코어비아(23)가 비아의 적어도 일부에 좁아지는 구역이 있는 경우, 좁아진 최소내경부(CV3)의 크기가 제1개구부직경(CV1)과 제2개구부직경(CV2) 중에서 큰 것을 기준으로 50 % 내지 99 %의 크기일 수 있고, 70 % 내지 95 %의 크기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좁아진 내경의 크기를 갖는 경우 전기전도성층 형성 등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최소내경부(CV3)의 평균 직경은 구체적으로 50 ㎛ 내지 95 ㎛일 수 있고, 55 ㎛ 내지 85 ㎛일 수 있으며, 60 ㎛ 내지 70 ㎛일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직경(CV1)과 상기 제2개구부직경(CV2) 중에서 큰 것인 대상개구부는 그 평균 직경이 70 ㎛ 내지 120 ㎛일 수 있고, 80 ㎛ 내지 105 ㎛일 수 있다.
상기 최소내경부(CV3)가 위치하는 지점이 상기 코어비아(23) 길이 전체를 100 %로 보았을 때, 상기 제1개구부를 기준으로 40 % 내지 60 % 지점에 위치할 수 있고, 45 % 내지 55 %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렇게 코어비아 길이 전체를 기준으로 상기 최소내경부가 위에서 설명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패키징 기판의 전기전도성층 설계와 전기전도성층 형성 과정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직경(CV1)과 상기 제2개구부직경(CV2) 중 큰 것에서 측정한 전기전도성층의 두께는 코어비아 중에서 최소내경을 갖는 부분(CV3) 상에 형성된 전기전도성층의 두께와 같거나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코어비아(23)는 상기 유리기판(21)의 단위면적(1 cm×1 cm)을 기준으로 100 개 내지 3000 개가 위치할 수 있고, 100 개 내지 2500 개가 위치할 수 있으며, 225 개 내지 1024 개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피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기전도성층 등의 형성과 패키징 기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코어비아(23)는 상기 유리기판(21)에 1.2 mm 이하의 피치로 위치할 수 있고, 0.12 mm 내지 1.2 mm의 피치로 위치할 수 있으며, 0.3 mm 내지 0.9 mm의 피치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리기판의 기계적 물성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전기전도성층 등을 형성하기에 유리하다.
상기 코어분배층(24)은 상기 유리기판(21)의 제1면과 제2면을 코어비아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전도성층인 코어분배패턴(241)과 상기 코어분배패턴을 감싸는 코어절연층(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층(22)은 그 내부에 코어비아(23)를 통해 전기전도성층이 형성되어 유리기판(21)을 가로지르는 전기적 통로로써 역할 하며, 비교적 짧은 거리로 유리기판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여 보다 빠른 전기적 신호 전달과 저손실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분배패턴(241)은 상기 유리기판의 제1면(213)과 제2면(214)을 코어비아(2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턴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제1면(213)의 적어도 일부 상에 위치하는 전기전도성층인 제1면분배패턴(241a)과 상기 제2면(214)의 적어도 일부 상에 위치하는 전기전도성층인 제2면분배패턴(241c), 그리고 상기 제1면분배패턴과 상기 제2면분배패턴을 상기 코어비아(23)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전도성층인 코어비아분배패턴(24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전도성층들은 예를 들어 구리도금층이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리기판(21)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반도체소자(30)와 메인보드(10)를 연결하는 중간 역할, 중개 역할을 하고, 상기 코어비아(23)는 이들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로 역할하기에 원활한 신호전달을 한다.
상기 제1면(213) 상에는 상부층(26)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층은 상부분배층(25)과 상기 상부분배층 상에 위치하는 상면접속층(2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층(26)의 가장 윗면은 반도체소자부의 접속전극이 직접 맞닿을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층(6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상부분배층(25)은 상기 제1면 상에 위치하는 상부절연층(253); 미리 정해진 패턴을 가지며 상기 코어분배층(24)과 그 적어도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전도성층으로 상기 상부절연층에 내장되는 상부분배패턴(2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절연층(253)은 반도체 소자나 패키징 기판에 절연체층으로 적용하는 것이라면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어 필러가 포함된 에폭시계 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절연체층은 코팅층을 형성하고 경화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미경화 또는 반경화된 상태로 필름화된 절연체필름을 상기 코어층에 라미네이션 하고 경화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감압 라미네이션 방법 등을 적용하면 코어비아 내부의 공간까지 상기 절연체가 함입되어 효율적인 공정 진행이 가능하다. 또한, 복층의 절연체층을 적층하여 적용하더라도 절연체층 사이에 실질적인 구분이 어려울 수 있으며, 복수의 절연체층들을 통칭하여 상부절연층이라 칭한다. 또한, 코어절연층(223)과 상부절연층(253)은 동일한 절연재료가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그 경계가 실질적으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부분배패턴(251)은 미리 설정된 형태로 상기 상부절연층(253) 내에 위치하는 전기전도성층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빌드-업 레이어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체층을 형성하고, 절연체층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 후 구리도금 등의 방식으로 전기전도성층을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전기전도성층 중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 후, 이 전기전도성층 상에 다시 절연체층을 형성하고, 다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 후 도금 등의 방식으로 전기전도성층을 형성하는 방식을 반복하여, 의도하는 패턴으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전기전도성층이 형성된 상부분배패턴(25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분배패턴(251)은 상기 코어층(22)과 반도체소자부(30)의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반도체소자부와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의도하는 복잡한 패턴이 충분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적어도 그 일부에 미세패턴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미세패턴이라 함은, 폭과 간격이 각각 4 ㎛ 미만인 것일 수 있고, 3.5 ㎛ 이하인 것일 수 있으며, 3 ㎛ 이하인 것일 수 있고, 2.5 ㎛ 이하인 것일 수 있으며, 1 내지 2.3 ㎛인 것일 수 있다(이하, 미세패턴에 대한 설명은 동일함).
상부분배패턴(251)에 미세패턴이 포함되도록 형성하기 위해, 구현예에서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적용한다. 그 하나는, 패키징 기판으로 유리기판(21)을 적용한다. 상기 유리기판은 표면 조도(Ra)가 10 옹스트롬 이하로 상당히 평탄한 표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미세패턴 형성에 미치는 지지체기판 표면 모폴로지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상기 절연체의 특성에 있다. 상기 절연체의 경우 레진과 함께 필러 성분을 함께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필러는 실리카 입자와 같은 무기계 입자가 적용될 수 있다. 무기계 입자가 필러로 절연체에 적용되는 경우, 이 무기계 입자의 크기가 미세패턴 형성 가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구현예에서 적용하는 절연체는 그 평균직경이 150 nm 이하의 입자형 필러를 적용하고, 구체적으로 평균직경이 1 내지 100 nm인 입자형 필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은, 절연체에 필요한 물성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수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폭을 갖는 전기전도성층 형성에 절연체 자체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미세한 표면 모폴로지로 그 표면 상에 우수한 부착력을 갖는 미세패턴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상기 상면접속층(27)은 상기 상부분배패턴(251)과 그 적어도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절연층(253)에 위치하는 상면연결패턴(272)과 상기 반도체소자부(30)와 상기 상면연결패턴(27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면접속전극(271)을 포함한다. 상기 상면연결패턴(272)은 상부절연층(253)의 일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적어도 그 일부가 상부절연층 상으로 노출되며 박혀(embedded)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면연결패턴이 상기 상부절연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금 등의 방식으로 상기 상부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상면연결패턴이 그 일부가 상부절연층 상으로 노출되며 박혀있는 경우는 구리도금층 등을 형성한 후 표면연마, 표면식각 등의 방법으로 절연층 또는 전기전도성층의 일부가 제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면연결패턴(272)은 위에서 설명한 상부분배패턴(251)과 같이 미세패턴을 적어도 그 일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미세패턴을 포함하는 상면연결패턴(272)은 보다 다수개의 소자들을 좁은 면적 하에서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소자간 또는 외부와의 전기적 신호 연결을 보다 원활하게 하며, 보다 집적화된 패키징이 가능하다.
상기 상면접속전극(271)은 상기 반도체소자부(30)와 단자 등으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솔더볼과 같은 소자연결부(51)를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캐비티부(28)는 상기 제2구역(222)의 위 및/또는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코어분배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캐비티분배층(282)과 캐비티소자(40)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281)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부(28)는 상기 캐비티프레임(286)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281)이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구역(222)은 상기 제1구역(221)과 비교하여 유리기판의 두께가 더 얇고, 그 두께의 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281)에는 캐비티소자(4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기판(21)에 형성되는 코어비아와 코어분배층은 캐비티소자와 외부소자를 연결하는 전기적인 연결구조로 역할한다.
상기 캐비티부(28)는 실질적으로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십자가형 등 그 형태에는 한정이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캐비티부(28)의 일 옆면을 캐비티 제1옆면(281a)이라 칭하고, 상기 캐비티 제1옆면과 다른 면을 캐비티 제2옆면(281b)라고 칭하면, 상기 캐비티 제1옆면(281a)과 상기 캐비티 제2옆면(281b)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지지부(285)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캐비티 제1옆면(281a)과 캐비티 제2옆면(281b)에 각각 제1옆면지지부(285a)와 제2옆면지지부(285b)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옆면지지부(285a)와 상기 제2옆면지지부(285b)는 상기 캐비티소자(40)를 지지하며 그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를 1개만 적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상기 지지부를 서로 이웃하게 2 개 이상 적용하는 것이 캐비티소자의 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85)는 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료가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리기판(21)과 동일한 재료일 수 있으며, 상기 캐비티소자(40)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에 가해지는 힘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유리스프링 지지부일 수 있다.
상기 캐비티소자(40)는 그 형태가 대체로 원통형, 직육면체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캐비티 제1옆면(281a)과 캐비티 제2옆면(281b)이 서로 접하는 지점에서의 각도는 45 내지 135 도일 수 있고, 75 내지 105도 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90 도일 수 있다. 상기 캐비티 제1옆면(281a)과 캐비티 제2옆면(281b) 각각에 마련된 옆면지지부에 의해서, 캐비티 제1옆면(281a)과 캐비티 제1옆면(281a) 자체가 접하는 지점에서의 각도가 위와 같은 범위의 임의의 각도를 가지더라도 상기 캐비티소자(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호 형태를 갖는 상기 제1옆면지지부(285a)가 캐비티소자와 만나는 지점에서의 접선(제1접선)과 호 형태를 갖는 상기 제2옆면지지부(285b)가 캐비티소자와 만나는 지점에서의 접선(제2접선)이 서로 만나는 지점(제1접선과 제2접선의 접점)에서의 제1접선과 제2접선 사이의 각도는 45 내지 135 도일 수 있고, 75 내지 105도 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90 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캐비티소자의 외형이 각진 경우는 물론 각진 형태가 아니더라도 그 위치를 고정하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1옆면지지부(285a)의 최대 돌출부까지의 길이인 제1옆면지지부길이(CS1)는 상기 캐비티 제1옆면 길이(C1)를 100 %로 보았을 때, 15 % 이하일 수 있고, 1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옆면지지부길이(CS1)는 상기 캐비티 제1옆면 길이(C1)를 100 %로 보았을 때, 1 % 이상일 수 있고, 3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옆면지지부(285b)의 최대 돌출부까지의 길이인 제2옆면지지부길이(CS2)는 상기 캐비티 제1옆면 길이(C2)를 100 %로 보았을 때, 15 % 이하일 수 있고, 1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옆면지지부길이(CS2)는 상기 캐비티 제1옆면 길이(C2)를 100 %로 보았을 때, 1 % 이상일 수 있고, 3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285)는 상기 유리기판(21)과 직접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리기판의 식각을 통해 상기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기에, 보다 유리기판의 제조과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고, 탄성력을 갖는 지지부의 물리적 특성이 대체로 유리기판과 유사하여 패키징 기판의 물성 제어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85)는 상기 캐비티부의 옆면에서 도출되어 삽입되는 캐비티소자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으로 캐비티부의 옆면의 일 지점에서 타 지점을 연결하는 호(arc)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고, 옆면의 일 말단에서 타 말단을 연결하는 호(arc) 형태를 갖는 것이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호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지지부길이(CS1, CS2)는 상기 호 형태의 지지부의 중간 부분에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옆면지지부(285a)의 가장 돌출된 위치에서 마주보는 상기 캐비티부의 옆면까지의 길이와 상기 제2옆면지지부(285b)의 가장 돌출된 위치에서 마주보는 상기 캐비티부의 옆면까지의 길이는 각각 상기 캐비티부에 삽입되는 캐비티소자의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길이와 같거나 10 % 이내로 작은 것일 수 있고, 좋게는 0.1 % 내지 8 % 작은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캐비티소자를 상기 지지부가 안정적으로 고정하기에 보다 유리하다.
상기 캐비티부(28)는 상기 캐비티소자(40)와 상기 코어분배층(2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전도성층인 캐비티분배패턴(28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캐비티분배패턴(283)은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2구역의 경계에 유리기판(21)의 두께방향면 상에 위치하는 전기전도성층인 측벽면패턴(283a)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측벽면패턴은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옆면은 제외한 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측벽면패턴(283a)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캐비티소자 등에 의하여 캐비티부(28)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방열층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비티분배층(282)은 상기 내부공간 내에 그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캐비티소자(40)와 상기 코어분배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전도성층인 캐비티분배패턴(283) 및/또는 측벽면패턴(283a)를 감싸는 절연층인 캐비티절연층(2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분배패턴(283)은 상기 패키징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고, 캐비티소자(40)의 전극(42, 접속전극) 등 단자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캐비티소자(40)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소자(40)로 메인보드(10)와 반도체소자부(30) 사이의 전기적인 신호를 적절한 수준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소자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패키징 기판(20)의 길목에 트랜지스터 등이 적용되는 형태가 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빠른 속도를 갖는 반도체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소자(40)는 커패시터 등의 수동소자가 개별로 삽입되어 적용될 수 있고, 절연체층(캐비티소자 절연층, 46) 사이에 박혀(embedded) 있는 형태로 다수의 수동소자들이 포함된 소자그룹이 전극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후 캐비티소자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패키징 기판 제조의 작업성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고, 복잡한 소자들 사이 공간에 충분하고 신뢰도 높게 절연층이 위치하도록 하기에 보다 유리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소자의 전극과 접하는 제2구역의 제2코어비아(232)는 충진비아(283c)의 형태로 형성된 코어분배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역의 제1코어비아(231) 상에 형성되는 코어분배패턴인 코어비아분배패턴(241b)은 내부에 코어절연층이 채워지는 형태로 금속층과 같은 전기전도성층의 측면에서 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위의 캐비티소자와 연결되는 코어비아의 경우, 이와 달리, 그 내부에 전기전도성층으로 채워진 충진비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패시터 등이 배치되는 캐비티소자의 전력 전달이 보다 원활해지고 패키징 기판의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비티소자(40)는 그 하면에 형성된 접속전극(42)으로 직접 또는 하부층을 통해 메인보드(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소자는 그 상면에 형성된 접속전극을 통해 직접 또는 상부층을 통해 반도체소자부(3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캐비티부(28)가 상기 제2구역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 캐비티소자의 양측에 존재하는 접속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전극을 상기 유리기판의 상부층 또는 하부층과 직접 연결하거나 반도체소자(30) 또는 메인보드(10)와 직접 연결할 수 있어서 보다 간단한 구조의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10)는 상기 코어층(22)의 상기 제2면(214)의 적어도 일부에 상에 위치하는 코어분배층인 제2면분배패턴(241c)과 마더보드의 단자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솔더볼과 같은 보드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면분배패턴(241c)은 상기 코어층(22)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층(29)을 매개로 상기 메인보드(1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층(29)은, 하부분배층(291)과 하면접속층(292)을 포함한다.
하부분배층(291)은 i) 상기 제2면(214)과 그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하부절연층(291b); 그리고 ii) 상기 하부절연층에 내장(매설)되어 미리 정해진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코어분배층과 그 적어도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분배패턴(291a)을 포함한다.
하면접속층(292)은 i) 상기 하면연결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면접속전극(292a)을 포함하며, ii) 상기 하부분배패턴과 그 적어도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절연층의 일면 상에 적어도 그 일부가 노출되는 하면연결패턴(29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연결패턴(292b)은 마더보드(1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보다 효율적인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하여, 상기 상면연결패턴(272)과 달리 미세패턴보다 폭이 넓은 비미세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소자부(30)와 상기 메인보드(10) 사이에 위치하는 패키징 기판(20)에는 상기 유리기판(21) 외에 실질적으로 추가적인 다른 기판을 적용하지 않는 것을 발명의 특징 중 하나로 한다.
패키징 기판의 제조방법
구현예의 패키징 기판의 제조방법은,
유리기판의 제1면과 제2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결함을 형성하는 준비단계;
식각액을 상기 결함이 형성된 유리기판에 가하여 코어비아가 형성된 유리기판을 마련하는 식각단계;
상기 코어비아가 형성된 유리기판의 표면을 도금하여 전기전도성층인 코어분배층을 형성하여 코어층을 제조하는 코어층제조단계; 그리고
상기 코어층의 일면 상에 절연층에 감싸인 전기전도성층인 상부분배층을 형성하는 상부층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위에서 설명한 패키징 기판을 제조한다.
상기 코어층제조단계는 상기 코어비아가 형성된 유리기판의 표면에 아민기를 갖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여 전처리된 유리기판을 마련하는 전처리과정; 그리고 상기 전처리된 유리기판에 금속층을 도금하는 도금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층제조단계와 상기 상부층제조단계 사이에는 절연층형성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형성단계는 절연체필름을 상기 코어층 상에 위치시킨 후 감압라미네이션 하여 코어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하 패키징 기판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준비단계(유리결함 형성과정): 평탄한 제1면과 제2면을 갖는 유리기판을 준비하여, 코어비아 형성을 위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유리 표면에 결함(홈)을 형성한다. 상기 유리는 전자장치의 기판 등에 적용되는 유리기판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알카리 유리기판, 보로실리케이트 유리기판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판 제품으로 코닝사, 쇼트사, AGC 등의 제조사가 제조한 제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유리기판의 일부가 제거되는 방식으로 캐비티부가 형성된 유리기판이 적용될 수 있고, 평탄한 유리기판을 접합하여 캐비티부를 갖는 유리기판이 적용될 수 있으며, 평평한 유리기판에 캐비티부에도 이하 설명하는 결함을 형성하여 코어비아와 캐비티부를 동시에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부의 제조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캐비티프레임, 프레임관통홀 및 지지부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함(홈)의 형성에는 기계적인 식각, 레이저 조사 등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2-1) 식각단계(코어비아 형성단계): 결함(홈)이 형성된 유리기판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에칭 과정을 통해 코어비아를 형성한다. 에칭 과정에서 유리기판은 결함 부분에 비아 등을 형성하며 동시에 유리기판의 표면도 동시에 식각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 표면의 식각을 막기 위하여 마스킹 필름 등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마스킹 필름을 적용하고 제거하는 과정의 번거로움 등을 고려하여 결함이 있는 유리기판 자체를 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최초 유리기판의 두께보다 코어비아를 갖는 유리기판의 두께가 다소 얇아질 수 있다.
화학적인 에칭은 불산 및/또는 질산이 포함된 배스 내에 홈이 형성된 유리기판을 위치시키고, 초음파 처리 등을 가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불산 농도는 0.5 M 이상일 수 있고, 1.1 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불산 농도는 3 M 이하일 수 있고, 2 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질산 농도는 0.5 M 이상일 수 있고, 1 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질산 농도는 2 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는 40 Hz 내지 120 Hz의 주파수로 진행될 수 있고, 60 Hz 내지 100 Hz의 주파수로 진행될 수 있다.
2-2) 캐비티부, 캐비티프레임 및 프레임관통홀의 형성단계: 상기 에칭 과정과 동시에 또는 별도로 상기 유리기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캐비티부, 캐비티프레임 및 프레임관통홀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위에서 코어비아를 형성하기 위한 결함 외에 캐비티부, 프레임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한 결함을 별도로 형성한다. 이후 상기 코어비아 형성을 위한 에칭과 동시에 또는 별도로 에칭 과정을 통해 제1구역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2구역과, 캐비티프레임을 갖는 유리기판을 제조한다. 더욱이, 조사되는 레이저를 캐비티부 내부가 일부 제거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식각과정에서 코어비아와 캐비티부 형성과 동시에 지지부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3-1) 코어층제조단계: 유리기판 상에 전기전도성층을 형성한다. 상기 전기전도성층은 대표적으로 구리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의 표면(유리기판의 표면과 코어비아의 표면을 포함함)과 구리금속의 표면은 그 성질이 달라 부착력이 떨어지는 편이다. 구현예에서는 드라이 방식과 Ÿ‡ 방식의 두 가지 방법으로 유리 표면과 금속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켰다.
드라이 방식은, 스퍼터링을 적용하는 방식, 즉 금속 스퍼터링으로 유리 표면과 코어비아 내경에 시드층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상기 시드층의 형성에는 티타늄, 크롬, 니켈과 같은 이종 금속이 구리 등과 함께 스퍼터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유리의 표면 모폴로지와 금속 입자가 상호작용하는 앵커 효과 등에 의해 유리-금속 부착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Ÿ‡ 방식은 프라이머 처리를 하는 방식으로, 아민 등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질로 전처리를 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의도하는 부착력의 정도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로 전처리를 한 후 아민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입자로 프라이머 처리를 할 수 있다.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구현예의 지지체기판은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고성능일 것을 필요로 하고, 이는 프리이머 처리 후에도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프라이머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평균 직경이 150 nm 이하의 크기를 갖는 나노입자가 적용되는 것이 좋으며, 예를 들어 아민기를 갖는 입자는 나노입자가 적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예시적으로 MEC사의 CZ 시리즈 등에서 제조하는 접합력개선제가 적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드층/프라이머층은 전기전도성층 형성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 상태로 또는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선택적으로 전기전도성층이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드층/프라이머층(21c)는 전기전도성층의 형성이 필요한 부분 또는 불필요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금속 도금에 활성화된 상태로 또는 불활성화된 상태로 처리하여 이후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 처리는 일정한 파장의 레이저 등의 광조사 처리, 약품처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금속층의 형성에는 반도체 소자 제조에 적용되는 구리도금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도금 시에 도금액의 농도, 도금 시간, 적용하는 첨가제의 종류 등의 여러 변수들을 조절하여 형성되는 전기전도성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분배층의 일부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제거될 수 있으며, 시드층이 일부 제거되거나 불활성화 처리된 후에 금속도금을 진행하여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전기전도성층을 형성하여 코어분배층의 식각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코어분배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에는 별도의 전기전도성층이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소자의 전극과 연결되는 코어비아(제2구역 코어비아, 232)의 적어도 일부는 보다 효율적인 전력 전달 등을 위해 충진비아(283c)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도금층형성단계에서 함께 또는 별도의 충진비아 형성 단계를 통해 상기 제2구역 코어비아가 전기전도성층을 형성하는 구리 등의 금속으로 충진되어 보다 효율적인 신호 전달이 가능한 충진비아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캐비티소자는 이후 절연층형성단계 진행 이전에 삽입될 수 있다.
3-2) 절연층형성단계: 코어비아, 프레임관통홀은 상기 전기전도층인 코어분배층 형성 이후 절연층으로 빈 공간을 매꾸는 절연층형성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때, 적용되는 절연층은 필름 형태로 제조된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필름 형태의 절연층을 감압 라미네이션하는 방법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감압 라미네이션을 진행하면 절연층이 상기 코어비아, 프레임관통홀 내부의 빈 공간까지 충분하게 함입되어 보이드 형성 없는 코어절연층을 형성하 수 있다.
4) 상부층제조단계: 코어층 상에 상부절연층과 상부분배패턴을 포함하는 상부분배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부절연층은 절연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거나 절연필름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간편하게는 절연필름을 적층하는 방식의 적용이 좋다. 절연필름의 적층은 절연필름을 라미네이션하여 경화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이 때 감압 라미네이션 방법을 적용하면 코어비아 내부에 전기전도성층이 형성되지 않은 층 등까지도 절연수지가 충분히 함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절연층도 유리기판과 적어도 그 일부에서 직접 맞닿고, 따라서 충분한 부착력을 갖는 것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기판과 상기 상부절연층은 ASTM D3359에 따른 부착력 테스트 값이 4B 이상을 만족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좋다.
상부분배패턴은 상기 절연층의 형성과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전기전도성층을 형성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식각하여 전기전도성층의 식각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게 형성되는 전기전도성층의 경우에는 절연층에 블라인드비아를 형성한 후에 도금공정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라인드비아의 형성은 레이저 식각, 플라즈마 식각 등의 건식 식각방식, 마스킹층과 식각액을 이용한 습식식각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5) 상면접속층 및 커버층 형성단계: 상면연결패턴과 상면접속전극도 상부분배층 형성과 유사한 과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층에 절연층의 식각층을 형성하고 여기에 다시 전기전도성층을 형성한 후, 전기전도성층의 식각층을 형성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식각의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전기전도성층만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커버층은 상면접속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면접속전극이 노출되고, 소자연결부 또는 소자의 단자 등과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6) 하면접속층 및 커버층의 형성단계; 위에서 설명한 상면접속층 및 커버층 형성단계와 유사한 방식으로 하부분배층 및/또는 하면접속층, 그리고 선택적으로 커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반도체 장치 10: 메인보드
30: 반도체소자부 32: 제1반도체소자
34: 제2반도체소자 36: 제3반도체소자
20: 패키징 기판 22: 코어층
223: 코어절연층 21, 21a: 유리기판
213: 제1면 214: 제2면
23: 코어비아 233: 제1개구부
234: 제2개구부 235: 최소내경부
24: 코어분배층 241: 코어분배패턴
241a: 제1면분배패턴 241b: 코어비아분배패턴
241c: 제2면분배패턴 26: 상부층
25: 상부분배층 251: 상부분배패턴
252: 블라인드비아 253: 상부절연층
27: 상면접속층 271: 상면접속전극
272: 상면연결패턴
28: 캐비티부 281a: 캐비티 제1옆면
281b: 캐비티 제2옆면 282: 캐비티분배층
283: 캐비티분배패턴 283a: 측벽면패턴
282b: 코어캐비티연결패턴 or 캐비티소자접속전극
283c: 충진비아 284: 캐비티절연층
285: 지지부 286: 캐비티프레임
287: 프레임관통홀 29: 하부층
291: 하부분배층 291a: 하부분배패턴
291b: 하부절연층 292: 하면접속층
292a: 하면접속전극 292b: 하면연결패턴
40: 캐비티소자 42: 캐비티소자 전극
46: 캐비티소자 절연층 50: 연결부
51: 소자연결부 52: 보드연결부
60: 커버층

Claims (10)

  1.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대향면인 제2면을 포함하는 유리기판;
    상기 유리기판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캐비티부;
    상기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캐비티프레임; 및
    상기 캐비티부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는 캐비티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프레임은 상기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관통된 프레임관통홀을 포함하는, 패키징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직경은 30 ㎛ 내지 500 ㎛인, 패키징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직경 R 및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관통방향의 길이 Lh의 비율인 R/Lh가 1 내지 10인, 패키징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관통홀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관통홀들 간의 간격은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직경의 1배 이상인, 패키징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프레임은 상기 프레임관통홀의 직경 대비 1.5배 이상의 폭을 갖는, 패키징 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관통홀은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제1재료로 충진되고,
    상기 제1재료는 구리, 에폭시, 실리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패키징 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은 제1두께를 갖는 제1구역과, 상기 제1구역과 이웃하며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두께인 제2두께를 갖는 제2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부는 상기 제2구역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패키징 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프레임의 측면에 지지부가 배치되는, 패키징 기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은 상기 캐비티프레임 이외의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 방향으로 관통된 코어비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비아와 연결되는 상기 제1면 및 제2면 상에 코어분배층이 포함되는, 패키징 기판.
  10. 하나 이상의 반도체소자가 위치하는 반도체소자부;
    상기 반도체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키징 기판; 및
    상기 패키징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반도체소자와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서로 연결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키징 기판은 제1항에 따른 패키징 기판인, 반도체 장치.
KR1020210056448A 2021-04-30 2021-04-30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51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48A KR102515303B1 (ko) 2021-04-30 2021-04-30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18/010,809 US20230307304A1 (en) 2021-04-30 2022-04-28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22572386A JP2023536041A (ja) 2021-04-30 2022-04-28 パッケージング基板及びそれを備える半導体装置
PCT/US2022/026847 WO2022232467A1 (en) 2021-04-30 2022-04-28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22796777.5A EP4298666A1 (en) 2021-04-30 2022-04-28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202280005087.4A CN115917730A (zh) 2021-04-30 2022-04-28 封装基底及包括其的半导体装置
TW111116516A TWI792999B (zh) 2021-04-30 2022-04-29 封裝基板及包括其的半導體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48A KR102515303B1 (ko) 2021-04-30 2021-04-30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170A true KR20220149170A (ko) 2022-11-08
KR102515303B1 KR102515303B1 (ko) 2023-03-29

Family

ID=8384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448A KR102515303B1 (ko) 2021-04-30 2021-04-30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07304A1 (ko)
EP (1) EP4298666A1 (ko)
JP (1) JP2023536041A (ko)
KR (1) KR102515303B1 (ko)
CN (1) CN115917730A (ko)
TW (1) TWI792999B (ko)
WO (1) WO2022232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56756A (zh) * 2020-09-09 2023-05-02 美敦力公司 电子封装和包括该电子封装的植入式医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5026A (ja) * 2012-08-24 2014-03-13 Sony Corp 配線基板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17050315A (ja) * 2015-08-31 2017-03-09 イビデン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20200086319A (ko) * 2017-11-10 2020-07-16 엘피케이에프 레이저 앤드 일렉트로닉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반도체 웨이퍼의 집적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0185016A1 (ko) * 2019-03-12 2020-09-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0097902A1 (ja) * 2009-02-25 2012-08-3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研磨方法、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圧電振動子、発振器、電子機器並びに電波時計
US8578010B2 (en) * 2009-12-17 2013-11-0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 for tracking web page analytics
US9952110B2 (en) * 2016-03-29 2018-04-24 Infineon Technologies Ag Multi-die pressure sensor package
CN112189001A (zh) * 2018-04-03 2021-01-05 康宁股份有限公司 包含结构化玻璃制品的电子封装件及其制造方法
US11270920B2 (en) * 2018-08-14 2022-03-08 Medtronic, Inc. Integrated circuit package and method of form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5026A (ja) * 2012-08-24 2014-03-13 Sony Corp 配線基板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17050315A (ja) * 2015-08-31 2017-03-09 イビデン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20200086319A (ko) * 2017-11-10 2020-07-16 엘피케이에프 레이저 앤드 일렉트로닉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반도체 웨이퍼의 집적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0185016A1 (ko) * 2019-03-12 2020-09-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8666A1 (en) 2024-01-03
JP2023536041A (ja) 2023-08-23
TW202245157A (zh) 2022-11-16
WO2022232467A1 (en) 2022-11-03
US20230307304A1 (en) 2023-09-28
CN115917730A (zh) 2023-04-04
KR102515303B1 (ko) 2023-03-29
TWI792999B (zh) 202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6184B1 (ko)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515303B1 (ko)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20230207442A1 (en)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068581A (ko)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528166B1 (ko)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537004B1 (ko) 패키징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3117B1 (ko)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564761B1 (ko)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