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950A - A transformable chair - Google Patents

A transformable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950A
KR20220148950A KR1020210053661A KR20210053661A KR20220148950A KR 20220148950 A KR20220148950 A KR 20220148950A KR 1020210053661 A KR1020210053661 A KR 1020210053661A KR 20210053661 A KR20210053661 A KR 20210053661A KR 20220148950 A KR20220148950 A KR 20220148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eat plate
rail
chair
support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5741B1 (en
Inventor
조성주
사공현우
신수은
이민아
전은주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3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741B1/en
Publication of KR2022014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9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ormable chair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More specifically, the transformable chair comprises: a first seat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fram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first leg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a first rail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 second seat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rame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s,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frames having one end hin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s to rotate, a plurality of second leg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s, and a second rail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rames, wherein the second rail is coupled to the first rail to slide; and a fixing means fixing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s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s to prevent rotation of the third support frames.

Description

변형이 가능한 의자{A transformable chair}A transformable chair {A transformable chair}

본 발명은 변형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좌판을 기준으로 제2좌판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3좌판을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안락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자의 변형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변형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ormable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he second seat plate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first seat plate, and the third seat plate is rotated up and down to transform it into a shape desired by the user. It relates to a chair that can provide relaxation and can be deformed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chair.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사무실이나 서재와 같은 개인업무공간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사무의자와,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 대규모 공간에서 사용되는 공용 사무의자가 있으며, 상기 개인용 사무의자는 대부분 장시간의 업무에도 피로감을 덜 느끼도록 등을 등받이에 기댈 때 뒤로 젖혀지는 틸트기능을 구비한 의자가 널리 사용되고, 상기 공용 사무의자는 경제성 및 견고성을 고려하여 단순한 착석기능만을 구비하도록 프레임에 등판과 좌판이 견고히 결합되는 프레임 의자 또는 좌판이 폴딩되는 접이식 의자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In general, office chairs include personal office chairs used in personal work spaces such as offices or study rooms, and shared office chairs used in large spaces such as conference rooms and lecture halls, and the personal office chairs are mostly used for long hours of work and feel less fatigue. A chair with a tilt function that reclines when the back is leaned on the backrest is widely used, and the common office chair is a frame chair or seat in which the back and seat are firmly coupled to the frame so as to have only a simple seating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efficiency and robustness. This foldable folding chair is widely used.

상기 접이식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받치기 위한 등판부와 사용자의 둔부를 받치기 위한 좌판부 및, 등판부와 좌판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다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접이식 의자는 좌판부를 수평으로 펼쳐 사용하고, 의자의 사용후 정리 및 보관시에는 좌판부를 폴딩시켜 접어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olding chair is composed of a back plate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 seat plate for supporting the buttocks of the user, and a support frame (legs) for supporting the back plate and the seat plate. It is configured to be folded and stored by folding the seat plate when organizing and storing the chair after use.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접이식 의자는, 좌판부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등판부 방향으로 폴딩만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어, 장시간 착석하게 될 경우, 사용자의 허리에 부담이 유발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ly used folding chair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so that only folding is made in the direction of the back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seat plate is fixed. This phenomenon is occurring, and due to th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has been generated.

간혹 좌판에 움직임을 줄 수 있는 의자가 개발되고 있지만 이러한 의자들은 좌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등을 기대였을 때 좌판이 움직이도록 하여 등판 틸팅기능을 대체하는 것일 뿐, 사용자에 따라 좌판의 위치 자체가 조절되는 구성은 아니다.Occasionally, chairs that can give movement to the seat are being developed, but these chairs do not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at, but instead move the seat when the user leans on their back to replace the tilting function of the seat. It is no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on itself is adjusted.

특히, 접이식 의자는 그 용도상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등판과 좌판의 위치가 고정된 의자에 오래 앉아 있을 경우 체형에 따라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사용자의 충분한 휴식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피로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particular, the folding chair is generally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for its purpose, and for this reason, when the user sits for a long time in a chair in which the back and seat positions are fixed, he/she feels considerable discomfort depending on the body type, and the user has sufficient rest. This was not done, and there was a problem of increased fatigu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383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2383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좌판을 기준으로 제2좌판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3좌판을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안락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자의 변형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변형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ape desired by the user by sliding the second seat pl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first seat plate and rotating the third seat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ransforming 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rest to the user, and to provide a deformable chair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chai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동프레임의 일측단과 제2지지프레임의 타측단을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함으로서 고정된 의자의 변형을 방지하여 미연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변형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formable chair for preventing an accident 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fixed chair by fixing one end of the rotating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through a fixing mea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양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발판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외측면 길이방향에 제1레일이 구비되는 제1좌판;According to the features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frames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irst scaffold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a first seat plate provided with a first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과, 일측단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타측단과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복수의 제3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발판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내측면 길이방향에 구비되는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상기 제1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제2좌판;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rame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s, one end of which is hin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rotated by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frames A frame, a plurality of second scaffold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 second rail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rail include the first a second seat plate coupled to the rail and sliding;

을 포함하되,including,

상기 제3지지프레임의 일측단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타측단을 고정하여 상기 제3지지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수단;fixing means for fixing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to prevent rotation of the third support frame;

을 더 포함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A deformable chair further comprising a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제1발판의 일측이 연장되는 위치의 폭방향에 제1스토퍼가 형성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deformable chair in which a first stopper is formed in a width direction of a position at which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one side of the first footrest extend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제2발판의 일측이 연장되는 위치의 폭방향에 제1단차부가 형성되되,In addition, a first step portion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a position i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one side of the second scaffold extend,

상기 제1단차부는 상기 제2좌판이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제1스토퍼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 간의 일체감을 형성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step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deformable chair that is inserted inside the first stopper when the second seat plate slides to form a sense of unity between the first seat plate and the second seat plate.

또한, 상기 제3지지프레임의 타측 폭방향에 제2스토퍼가 형성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deformable chair in which a second stopper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upport fram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제1발판의 타측이 연장되는 위치의 폭방향에 제2단차부가 형성되되,In addition, a second step portion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caffold extend,

상기 제2단차부는 상기 제3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타측 상부로 회동할 경우 상기 제2스토퍼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 간의 일체감을 형성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step portion is a deformable chair that is inserted inside the second stopper to form a sense of unity between the first seat plate and the second seat plate when the third support frame rotates to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1발판의 타측 상부 폭방향에 상기 제3지지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3스토퍼가 형성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deformable chair in which a third stopper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third support frame is formed in the upper width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ootrest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1발판과 상기 제2발판의 하부면에는 보호캡이 설치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deformable chair in which a protective cap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caffolds.

본 발명인 변형이 가능한 의자에 따르면, 제1좌판을 기준으로 제2좌판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3좌판을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안락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자의 변형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or's deformable chair, the second seat plate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first seat plate, and the third seat plate rotates up and down to transform it into a shape desired by the user,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rest to the user. ,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chair.

또한, 회동프레임의 일측단과 제2지지프레임의 타측단을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함으로서 고정된 의자의 변형을 방지하여 미연의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ixing one end of the rotating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through a fixing mean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fixed chair and preventing an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의자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의자의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브라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ormab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ormable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ormable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hair that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of a deformab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fix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The following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explai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enough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의자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의자의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브라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ormab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ormable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oth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ormable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deformab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ormab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of a deformable chair, FIG. 6 is a view showing a fix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a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의자는 크게, 제1좌판(100)과, 제2좌판(200) 및 고정수단(3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1 to 7 , a deformab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seat plate 100 , a second seat plate 200 , and a fixing means 300 . .

먼저, 상기 제1좌판(100)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제1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양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발판(120)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측면 길이방향에 제1레일(13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First, the first seat plat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frames 110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first footrest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 (120) and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irst rail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은, 복수개 구비되어 의자(10)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는 삽입홈(H)이 형성되어 이하 설명될 제2지지프레임(210)을 수용하게 된다. The first support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ir 10, and an insertion groove 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s 1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is accommodated.

이때, 상기 삽입홈(H)의 폭은, 이하 설명될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슬라이딩을 위하여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삽입홈(H)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insertion groove (H)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for sliding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and It is preferabl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insertion grooves (H).

상기 제1발판(120)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양 끝단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구성이다.The first footrest 12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configur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to support the ground.

즉, 상기 제1발판(120)의 상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양 끝단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제1발판(120)의 하부는 지면을 지지하게 되는데 복수개 구비됨으로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caffold 120 supports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caffold 120 supports the ground. The load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distributed and supported.

아울러, 상기 제1발판(120)의 하부면에는 보호캡(미도시)이 설치되는데, 사기 보호캡(미도시)은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상기 의자(10)가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바닥이 긁혀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protective cap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ootboard 120 , and the fraud protection cap (not show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to relieve the impact and at the same time the chair 10 is moved from the floor. It can prevent slipping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loor from being scratched and scratched.

상기 제1레일(130)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외측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다.The first rail 130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

이러한, 상기 제1레일(130)은 이하 설명될 제2레일(240)과 상호 결합되어 이하 설명될 상기 제2좌판(200)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손쉽운 슬라이딩이 가능하다.The first rail 130 is mutually coupled with a second rail 240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second seat plate 200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easily slid from one side to the other.

또한, 상기 제1레일(130)은 암 레일 또는 숫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1레일(130)이 암 레일로 구비되면, 이하 설명될 상기 제2레일(240)은 숫 레일로 구비되어 상호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슬라이딩이 가능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first rail 130 may be provided as either a female rail or a male rail. For example, if the first rail 130 is provided as an female rail, the second rail to be described below. The rail 240 is provided as a male rail and is slidable by mutual sliding coupling.

상기 제2좌판(200)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210)과, 일측단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타측단과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복수의 제3지지프레임(220)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일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발판(230)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측면 길이방향에 구비되는 제2레일(240)과, 상기 제2레일(240)은 상기 제1레일(13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seat plat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rames 210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s 110 , and one end of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frames 220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to rotate, and a plurality of second footrest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 230), a second rail 240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and the second rail 240 are coupled to the first rail 130 and slide.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의자(10)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사이에는 삽입홈(H)이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을 수용하게 된다.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ir 10 , and an insertion groove H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frames 210 to form a plurality of the second support frames 210 . The first support frame 110 is accommodated.

이때, 상기 삽입홈(H)의 폭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이 삽입되고 슬라이딩을 위하여 각각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설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삽입홈(H)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insertion groove (H)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stallation width of each of the first support frames 110 in order to slide the first support frame 1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frame 110. ) and it is preferabl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insertion groove (H).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의자(10)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일측단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타측단과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구성이다.The third support frame 22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ir 10 , and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 220 is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 It is configured to rotate by being hinged with the other end.

이러한,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사이에는 삽입홈(H)이 형성되어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회동시, 복수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H)에 삽입되어 수용하게 된다. An insertion groove (H) is formed between the third support frame (220), and an insertion groove (H)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frames (110) when the third support frame (220) is rotated. H)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이때, 상기 삽입홈(H)의 폭은, 복수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 삽입을 위하여 각각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설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과 상기 삽입홈(H)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insertion groove (H)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stallation width of each of the first support frames 110 to be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frames 110, the third support fram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220 and the insertion groove (H).

상기 제2발판(230)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일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footrest 23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extends vertically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to support the ground.

즉, 상기 제2발판(230)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일측단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제2발판(230)의 하부는 지면을 지지하게 되는데 복수개 구비됨으로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caffold 230 supports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caffold 230 supports the ground. 210) can be firmly supported by dispers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upper part.

또한, 상기 제2발판(230)의 길이는 상기 제1발판(12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좌판(200)의 슬라이딩 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제2발판(230)은 상기 제1발판(120)의 보조적인 지지수단으로 활용되어 상기 의자(10)를 지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second scaffolding 23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caffolding 120,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from occurring during sliding of the second scaffolding 200, so that the second scaffolding ( 230 may be used as an auxiliary support means of the first footrest 120 to support the chair 10 .

아울러, 상기 제2발판(230)의 하부면에는 보호캡(미도시)이 설치되는데, 사기 보호캡(미도시)은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상기 의자(10)가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좌판(200)의 슬라이딩을 통해 바닥이 긁혀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protection cap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ootrest 230, and the fraud protection cap (not show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to relieve shock and at the same time, the chair 10 is moved from the fl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loor from being scratched and scratching through sliding of the second seat plate 200 .

상기 제2레일(240)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내측면 길이방향에 구비되는 구성이다.The second rail 240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

이러한, 상기 제2레일(240)은 상기 제1레일(130)에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2좌판(200)을 상기 제1좌판(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손쉬운 슬라이딩이 가능하다.The second rail 240 is coupled to the first rail 130 to enable easy sliding of the second seat plate 200 from one side to the other with referenc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eat plate 100 . do.

또한, 상기 제2레일(240)은 암 레일 또는 숫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2레일(240)이 암 레일로 구비되면, 상기 제1레일(130)은 숫 레일로 구비되어 상호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슬라이딩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rail 240 may be provided as either a female rail or a male rail. For example, when the second rail 240 is provided as an female rail, the first rail 130 ) is provided as a male rail, and sliding is possible by mutual sliding coupling.

여기서, 상기 제2레일(240)은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상기 롤러는 상기 제1레일(1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며 슬라이딩이 가능하다.Here, the second rail 240 may be made of a roller that performs rolling motion, and the roll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moved along the first rail 130 and thus have a length of the first rail 130 . It is possible to slide while rolling along the direction.

이처럼, 상기 제1레일(130)과 상기 제2레일(240)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선택하여 상기 제2좌판(200)이 상기 제1좌판(100)을 기준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As such, the first rail 130 and the second rail 240 can be slidable based on the first seat plate 100 by selecting various sliding coupling method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ke it cle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측과 상기 제1발판(120)의 일측이 연장되는 위치의 폭방향으로 제1스토퍼(140)가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opper 140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a position where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one side of the first scaffold 120 extend.

이러한, 상기 제1스토퍼(140)는 일정각도 곡률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스토퍼(140)는 상기 제2좌판(200)의 일측이 상기 제1좌판(10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이하 설명될 제1단차부(250)의 외주면을 감싸며 수용할 수 있다. The first stopper 140 may be formed to be curved at a certain angle. When one side of the second seat plate 200 slides to one side of the first seat plate 100 , the first stopper 140 is , can be accommodated by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tep 250 to be described below.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일측과 상기 제2발판(230)의 일측이 연장되는 위치의 폭방향에 제1단차부(250)가 형성되되, 상기 제1단차부(250)는 상기 제2좌판(200)이 상기 제1좌판(10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제1스토퍼(14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 first step part 250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a position where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scaffold 230 extend, and the first step part ( 25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topper 140 when the second seat plate 200 slides to one side of the first seat plate 100 .

즉, 상기 제1단차부(250)가 상기 제1스토퍼(140)를 지지함으로서 상기 제2좌판(200)이 상기 제1좌판(100)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좌판(100)과 상기 제2좌판(200) 간에 일체감을 형성시킴으로서 조형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step part 250 supports the first stopper 14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seat plate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eat plate 100 , and the first seat plate By forming a sense of unity between the 100 and the second seat plate 200,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esthetic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타측 폭방향에 제2스토퍼(260)가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opper 26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upport frame 220 in the width direction.

이러한, 상기 제2스토퍼(260)는 일정각도 곡률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스토퍼(260)는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타측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이하 설명될 제2단차부(150)의 외주면을 감싸며 수용할 수 있다.The second stopper 260 may be formed to be curv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second stopper 26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third support frame 220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 In this case, it can be accommodated whil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step 150 to be described below.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타측과 상기 제1발판(120)의 타측이 연장되는 위치의 폭방향에 제2단차부(150)가 형성되되, 상기 제2단차부(150)는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타측방향의 상부로 회동할 경우, 상기 제2스토퍼(26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좌판(100)과 상기 제2좌판(200) 간의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second step portion 150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a position wher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caffold 120 extend, the second step portion ( 1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stopper 260 when the third support frame 220 rotates upwar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to form the first seat plate 100 and A sense of unity between the second seat plates 200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제1발판(120)의 타측 상부 폭방향에 제3스토퍼(160)가 형성되어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이 회동할 경우, 상기 제3스토퍼(160)에 의해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Here, when the third stopper 160 is formed in the upper width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caffold 120 and the third support frame 220 rotates, the rotation is restricted by the third stopper 160 . can

즉, 상기 제2단차부(150)가 상기 제2스토퍼(260)를 지지함으로서 상기 제2좌판(200)이 상기 제1좌판(100)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좌판(100)과 상기 제2좌판(200) 간에 일체감을 형성시킴으로서 조형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since the second step portion 150 supports the second stopper 26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seat plate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eat plate 100 , and the first seat plate By forming a sense of unity between the 100 and the second seat plate 200,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esthetics.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일측단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타측단을 고정하여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회동을 방지하는 구성이다.The fixing means 300 is configur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third support frame 220 by fixing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조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다.Afte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third support frame 220 , the fixing means 300 may be fixed to maintain the adjusted angle.

예컨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300)은 일측은 손잡이(310)가 형성되고, 타측은 나사(320)가 형성되어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일측단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타측단 사이에 상기 나사(320)를 삽입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외측면에 상기 나사(320)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나사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fixing means 300 is provided with a handle 310 on one side and a screw 320 on the other side, so that one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 220 are formed. Inserting the screw 320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210,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3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to correspond to the screw 320. have.

여기서, 상기 나사홈(330)은 상기 제1레일(13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w grooves 330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ail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in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

즉, 상기 나사홈(330)에 상기 나사(320)를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310)를 회전시켜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일측단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타측단의 사이를 맞물리도록 회전시켜 가압하며 고정할 수도 있다.That is, by inserting the screw 320 into the screw groove 330 and rotating the handle 310 , a gap between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is inserted. It can also be pressed and fixed by rotating it to engage.

이외에도, 상기 고정수단(300)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일측단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이 일정각도 이상 회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30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10 in various ways so that the third support frame 22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Note that you can limit what can be d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사이에 "∩"형상의 안착브라켓(270)이 설치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a mounting bracket 270 having a “∩” shap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ird support frames 220 .

상기 안착브라켓(270)은 복수의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스토퍼(160)와 더불어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의 일정각도 회동을 보조적으로 제한할 수 있고, 사용자의 등을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에 지지할 경우, 지지면적이 넓어 보다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The mounting bracket 27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ird support frames 220 to auxiliary limit rotation of the third support frame 220 together with the third stopper 160 at a certain angle. , when the user's back is supported by the third support frame 220, the support area is wide, so that you can take a more comfortable res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변형이 가능한 의자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a chair capable of being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좌판(100)와 상기 제2좌판(200)이 겹쳐져 등받이가 없는 벤치형태로 변형시켜 사용자가 앉아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in normal times, the first seat plate 100 and the second seat plate 200 overlap and transform into a bench shape without a backrest, so that the user can sit and take a comfortable rest.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을 상부로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300)을 통해 고정시킴으로서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이 기립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자가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에 등을 기대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도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2 , the third support frame 220 is lifted upward and rotated to a desired angle by the user, and then fixed through the fixing means 300 , so that the third support frame 220 is By transforming it into a standing shape, the user may rest comfortably by leaning on the third support frame 220 .

이와 더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300)을 해제시키고, 상기 제2좌판(200)을 상기 제1좌판(100)의 타측으로 슬라이딩 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300)을 통해 고정시키는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자의 등을 상기 제3지지프레임(220)에 기댈 수 있고, 사용자의 다리를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측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10)의 일측방향으로 올려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fixing means 300 is released, the second seat plate 200 is sli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at plate 100 , and then the fixing means 300 is removed. The user's back can be leaned against the third support frame 220 by deforming it into a fixed form through the You can also lift it up and take a comfortable rest.

이처럼, 본 발명인 변형이 가능한 의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의자를 변형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변형시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or's deformable chair can transform the chair into various shapes desired by the user, and can be deformed to fit the user's body type to take a comfortable rest.

따라서, 본 발명인 변형이 가능한 의자에 따르면, 제1좌판을 기준으로 제2좌판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3좌판을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안락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자의 변형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or's deformable chair, the second seat plate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first seat plate, and the third seat plate is rotated up and down to transform it into a shape desired by the user,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rest to the user.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chair.

또한, 회동프레임의 일측단과 제2지지프레임의 타측단을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함으로서 고정된 의자의 변형을 방지하여 미연의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ixing one end of the rotating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through a fixing mean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fixed chair and preventing an acciden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and examples.

10 : 의자 100 : 제1좌판
110 : 제1지지프레임 120 : 제1발판
130 : 제1레일 140 : 제1스토퍼
150 : 제2단차부 160 : 제3스토퍼
200 : 제2좌판 210 : 제2지지프레임
220 : 제3지지프레임 230 : 제2발판
240 : 제2레일 250 : 제1단차부
260 : 제2스토퍼 300 : 고정수단
H : 삽입홈
10: chair 100: first seat plate
110: first support frame 120: first scaffold
130: first rail 140: first stopper
150: second step 160: third stopper
200: second seat plate 210: second support frame
220: third support frame 230: second footrest
240: second rail 250: first step part
260: second stopper 300: fixing means
H : insertion groove

Claims (7)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양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발판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외측면 길이방향에 제1레일이 구비되는 제1좌판;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과, 일측단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타측단과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복수의 제3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발판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내측면 길이방향에 구비되는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상기 제1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제2좌판;
을 포함하되,
상기 제3지지프레임의 일측단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타측단을 고정하여 상기 제3지지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frames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first scaffold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a first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 first seat plate provide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rame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s, one end of which is hin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rotated by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frames A frame, a plurality of second scaffold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 second rail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rail include the first a second seat plate coupled to the rail and sliding;
including,
fixing means for fixing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to prevent rotation of the third support frame;
Deformabl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제1발판의 일측이 연장되는 위치의 폭방향에 제1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eformabl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stopper is formed in a width direction of a position where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one side of the first footrest exten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제2발판의 일측이 연장되는 위치의 폭방향에 제1단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단차부는 상기 제2좌판이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제1스토퍼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 간의 일체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step portion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a position where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one side of the second scaffold extend,
The deformabl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ep portion is inserted inside the first stopper when the second seat plate slides to form a sense of unity between the first seat plate and the second seat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프레임의 타측 폭방향에 제2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eformabl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topper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upport fram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제1발판의 타측이 연장되는 위치의 폭방향에 제2단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단차부는 상기 제3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타측 상부로 회동할 경우 상기 제2스토퍼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 간의 일체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second step portion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caffold extend,
The second step portion is inserted inside the second stopper when the third support frame rotates to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to form a sense of unity between the first seat plate and the second seat plate. deformable chai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발판의 타측 상부 폭방향에 상기 제3지지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3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eformabl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third support frame is formed in the upper width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ootres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발판과 상기 제2발판의 하부면에는 보호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이 가능한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eformabl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a protective cap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ootrests.








KR1020210053661A 2021-04-26 2021-04-26 A transformable chair KR102515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61A KR102515741B1 (en) 2021-04-26 2021-04-26 A transformable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61A KR102515741B1 (en) 2021-04-26 2021-04-26 A transformable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950A true KR20220148950A (en) 2022-11-07
KR102515741B1 KR102515741B1 (en) 2023-03-29

Family

ID=8404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661A KR102515741B1 (en) 2021-04-26 2021-04-26 A transformable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74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928A (en) * 2008-10-09 2010-04-19 이병열 The chair that the center is moved
KR101500100B1 (en) * 2013-07-10 2015-03-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djustable length chair
KR20180001241U (en) * 2016-10-24 2018-05-03 송 최 a protective caps for chair legs
KR20190123838A (en) 2018-04-25 2019-11-04 (주)흙침대돌침대공장 Flat bench with folding chair
KR200493165Y1 (en) * 2020-07-24 2021-02-08 김은중 chair with tab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928A (en) * 2008-10-09 2010-04-19 이병열 The chair that the center is moved
KR101500100B1 (en) * 2013-07-10 2015-03-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djustable length chair
KR20180001241U (en) * 2016-10-24 2018-05-03 송 최 a protective caps for chair legs
KR20190123838A (en) 2018-04-25 2019-11-04 (주)흙침대돌침대공장 Flat bench with folding chair
KR200493165Y1 (en) * 2020-07-24 2021-02-08 김은중 chair with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741B1 (en)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110B2 (en) Resilient leaning position-restoring device for height-adjustable chair back of office chair
US10383445B2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KR101348803B1 (en) The chair for protect a backbone and a waist
US11684160B1 (en) Low envelope chair with high back pitch
US20180055231A1 (en) Foldable chair
KR102515741B1 (en) A transformable chair
KR20200110966A (en) Structure of chair lumbar supporter
JP2011110304A (en) Link spring device and chair for motion aid including the same
WO2023061066A1 (en) Seat
CN111728408A (en) Self-adaptive backrest seat
KR101222355B1 (en) Foldable chair with armrests for an elevator
KR102375375B1 (en) Foot supporting apparatus
KR20200032948A (en) Sofa with an adjustable sub-backrest
KR101495603B1 (en)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CN212630350U (en) Office chair with adjustable headrest and chair back
CA3152523A1 (en) Stackable chair
JP6777281B2 (en) Chair
KR200390001Y1 (en) Foldable settee for church service
KR102421552B1 (en) Folding chair with cushion feeling
JP3241342U (en) convertible sofa
CN214631147U (en) Chair for preventing myopia
KR102375087B1 (en) Height auxiliary footrest for kitchen
CN215423719U (en) Adjustable hotel office chair
CN219556749U (en) Conference room seat with adjustable foot supports
JP3130289U (en) Chair leg structure with human body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