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18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182A
KR20220148182A KR1020227029907A KR20227029907A KR20220148182A KR 20220148182 A KR20220148182 A KR 20220148182A KR 1020227029907 A KR1020227029907 A KR 1020227029907A KR 20227029907 A KR20227029907 A KR 20227029907A KR 20220148182 A KR20220148182 A KR 20220148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frigerator
front panel
plan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으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4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는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냉장고 도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패널 및상기 보강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 도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의 도어는 냉장고의 전면을 구성한다. 사용자는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여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을 취출하며, 상기 도어를 폐쇄하여 냉장고에 식품을 냉각 보관한다.
이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는 사용자가 주로 조작하는 부품으로서 개방 또는 폐쇄가 용이하게 구성되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
상기 냉장고의 도어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제공되는 패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부재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 도어의 디자인, 즉 형상, 재질 또는 색상은 소비자가 냉장고를 구매하는 데 있어 중요한 판단기준이 될 수 있다. 소비자마다 원하는 도어의 형상, 재질 또는 색상이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 제조된 도어의 디자인은 사용자의 구매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냉장고를 사용하다가 도어의 디자인을 변경하고 싶더라도 디자인의 변경이 제한되고, 다른 모델의 냉장고를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냉장고 도어는 상기 패널부재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조회사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패널부재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냉장고 사용자들의 관점이 냉장고가 식음료의 보관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의 일종으로 변경되고 있다. 또한 냉장고의 색상 및 재질을 통해 개개인의 인테리어 특색을 나타내고자 한다. 이에 냉장고 도어 역시, 사용자의 인테리어 취향에 맞춰 색상 및 재질 변경이 쉽게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착탈 가능한 패널부재를 가지는 냉장고의 도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이 개시된다.
[선행문헌 1]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6460832호 (등록일자 : 2019년 1월 11일)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냉각 실용문은 지지부의 전방에 유리 패널이 제공되고, 유리 패널을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부착부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는 접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판의 전면은 접착제에 의해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에 접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행문헌 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접착제를 통하여 유리 패널과 접착판의 접착이 이루어지므로, 유리 패널을 한번 조립하고 나면, 상기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유리 패널의 탈거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 및 부착부가 도어의 하부에만 구비되고 스크류를 통하여 서로 체결되는 경우, 유리 패널에 대한 지지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전면에 다수의 함몰부를 형성하고, 부착부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함몰부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지지부의 함몰부와 부착부를 정렬하고 유리 패널을 후방으로 이동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1의 경우, 냉장고의 폐기 시, 재활용을 위해서 유리 패널을 다른 부품으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냉장고 사용 시, 외부 패널을 교체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선행문헌 2]
중국 실용신안 공보 제 207299701U (공고일 : 2018년 5월 1일)
선행문헌 2에 개시된 착탈 가능한 패널을 가지는 냉장고는 자석 스트립을 이용하여 패널을 탈부착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선행문헌 3]
일본 실용신안공보 S59-13990U (공개일 : 1984년 1월 27일)
선행문헌 3에 개시된 문장치는 자석을 이용하여 패널을 탈부착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선행문헌 2,3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자석부재를 이용하여 패널을 탈부착 하게 되면, 패널의 탈부착 공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자력의 약화에 따른 패널 탈거에 관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도어의 개폐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패널이 탈거될 수도 있다.
그리고, 패널을 정위치에 배치하지 않더라도 자력에 의하여 패널이 부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실수에 따라 패널이 잘못된 위치에 조립될 가능성도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냉장고가 가구장에 수납될 경우, 제로 클리어런스(Zero Clearance)의 구현을 위해서, 냉장고 도어가 얇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냉장고 도어의 변형이 발생한다.
즉, 냉장고 도어가 얇아지면, 냉장고 도어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냉장고 도어가 얇아질 경우, 냉장고 도어의 도어 라이너(door liner)가 수축되면서, 냉장고 도어의 휘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의 두께가 얇아지면, 냉장고의 기동조건에서, 휨량이 증가되는 문제도 있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공간의 제약 없이 전면 패널의 교체가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기호에 맞게 선택하거나 제작해서 부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저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의 재질 및 색상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전면 패널의 분리 시에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된 전면 패널을 별도의 도구 없이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프론트 패널을 교체하는 데 필요한 추가 부품을 최소화하여, 제품단가가 절감되고, 부품 관리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하나의 부품의 부착 방향을 전환하여,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패널을 번갈아 가며 냉장고 도어에 부착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하나의 부품을 활용하여, 이종 재질의 프론트 패널을 번갈아가며, 냉장고 도어에 부착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 예는, 하나의 부품을 활용하여, 필요 부품의 종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 단가가 낮아지고, 재고 관리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냉장고 도어의 외부에서, 프론트 패널을 냉장고 도어의 상부에서 하부로 거는 방식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외부에서, 프론트 패널을 냉장고 도어의 하부에서 상부로 드는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프론트 패널의 양측 단부를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시켜, 프론트 패널의 변형을 방지하고, 프론트 패널의 가장자리에서의 들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는 내부에 보강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냉장고 도어는,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패널은,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보강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는 단열층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 패널은, 수평방향으로 요철(凹凸)이 형성된 파형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패널은, 상기 레어 패널측으로 볼록한 마루와, 상기 프론트 패널 측으로 볼록한 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골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론트 패널과 나란하게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과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패널은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일측면의 상단, 하단, 좌측단부, 우측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평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전면에 후방으로 오목한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 패널의 양측 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의 하단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하면을 형성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후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하부 수납홈이 형성되며,상기 보강 패널의 하단에는 후방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하부 굽힙부가 형성되고, 상기 굽힘부는 상기 수납홈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전면의 상단에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벽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벽은 상기 보강패널의 하측에 형성된 평면부와 대면하면서,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의 하단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캡 데코가 배치되고, 상기 캡 데코에는 후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상부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 패널의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상부 굽힙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굽힘부는 상기 하부홈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캡데코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벽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벽은 상기 보강패널의 상측에 형성된 평면부와 대면하면서,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보강 패널 또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과 프레임 어셈블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프론트 패널과 프레임 어셈블리는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일측에, 상기 중공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기 결합홀은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홀을 통과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홀에 걸림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프론트 패널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의 양측 단부가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되면서, 프론트 패널의 변형이 방지되고, 프론트 패널의 가장자리에서의 들뜸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상기 결합홀을 통과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와 제1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는 외측을 향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고정부와 제1고정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고정부와 제1고정부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중간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또는 제1고정부는, 내측을 향하면 면에, 내측을 향해 돌출된 접촉돌기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는, 상호 이격해서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의 두께와 상기 제1고정부의 두께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높이는 상기 제2고정부 및 제1고정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 및 제1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상부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상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하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홈의 간격은 상기 상부홈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핫멜트(hot-melt)방식 도는 접착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스틸(steel) 재질을 비롯한 금속 재질 또는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 사이에는 보강 패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널은, 수평방향으로 요철(凹凸)이 형성된 파형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 사이에는 우레탄을 발포하여 형성된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도록 형성된 제1평면과, 상기 제1평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평면에 상기 결합홀이 형성된 외측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제1평면과 대면하는 제3평면과, 상기 제3평면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4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에는 타측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 사이에는 배치된 보강 패널의 일측 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는, 상기 제1평면의 타측 단부와 면접촉하도록 형성된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평면은 상기 제1평면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3평면을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평면은 내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평면의 일측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평면은, 후단부에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선단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평면은, 상기 제1평면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하는 캡데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데코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 캡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캡데코에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을 형성하며,상기 체결홈은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의 상단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절곡된 형태의 체결돌기가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의 상단에는 평판형상의 체결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부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제1연장부가 수용되는 제1홈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수용되게 상기 제1홈부보다 더 깊게 형성된 제2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에 상기 체결돌기가 수용되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1홈부의 바닥면은 적어도 일부가 면 접촉하고,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1홈부의 바닥면을 순서대로 관통하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로 클리어런스(Zero Clearance) 구현을 위해, 냉장고 도어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냉장고의 기동조건에서 증가되는 냉장고 도어의 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도어라이너의 수축에 의한 도어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유로운 도어 외관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의 제약 없이 전면 패널의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의 재질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수단 없이, 자중에 의해 프론트 패널이 프레임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기호에 맞게 선택하거나 제작해서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저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의 재질 및 색상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 패널의 분리 시에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된 전면 패널을 별도의 도구 없이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프론트 패널을 교체하는 데 필요한 추가 부품을 최소화하여, 제품단가가 절감되고, 부품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부품의 부착 방향을 전환하여,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패널을 번갈아 가며 냉장고 도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부품을 활용하여, 이종 재질의 프론트 패널을 번갈아가며, 냉장고 도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부품을 활용하여, 필요 부품의 종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 단가가 낮아지고, 재고 관리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외부에서, 프론트 패널을 냉장고 도어의 상부에서 하부로 거는 방식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외부에서, 프론트 패널을 냉장고 도어의 하부에서 상부로 드는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 패널의 양측 단부를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시켜, 프론트 패널의 변형을 방지하고, 프론트 패널의 가장자리에서의 들뜸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가구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홀에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틸 재질의 프론트 패널이 냉장고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재질의 프론트 패널이 냉장고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패널이 횡방향으로 절단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패널의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측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측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일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측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하측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상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상측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패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일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데코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가구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냉장고(5)와 함께 주방이나 거실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5)는 단독으로, 주방이나 거실 등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가구 또는 가전 등과 함께 하나의 모듈로 주방이나 거실 등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주방이나 거실 등에는 냉장고(5,1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가구장(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구장(1) 내부의 수용 공간의 높이는 상기 냉장고(5,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5,10)의 상면과 상기 가구장(1)의 상측벽 사이 갭이 크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5, 10)의 상면과 상기 가구장(1)의 상측벽 사이의 갭이 크지 않으면, 외부에서 상기 냉장고(5, 10)의 상측 구조물이 보이지 않게 되며, 상기 가구장(1)과 냉장고(5, 10)의 일체감이 증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냉장고(5, 10)의 측면과 상기 가구장(1)의 내측벽 사이의 갭 역시 크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냉장고(5, 10)의 측면과 상기 가구장(1)의 내측벽 사이의 갭이 크지 않으면, 외부에서 상기 가구장(1)과 냉장고(5, 10)의 일체감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20)는 힌지(16)를 통해, 캐비닛(11)과 연결되어, 회동하면서,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구장(1)에 수용된 다른 냉장고의 냉장고 도어(6)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도어(7,8,9)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7,8,9)의 일부 또는 전부는 슬라이딩 방식 또는 회전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캐비닛(11)의 내측에는 냉장실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내측에는 냉동실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내측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 도어(20)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는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전면 외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전면 외관은 실질적으로 상기 냉장고(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0)의 앞쪽에서 사용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볼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의 전면은 상기 냉장고(10)가 설치된 장소에서 장식 패널로서 역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를 교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패널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쉽게 분리할 수 있고, 기호에 맞는 디자인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독으로 배치된 냉장고에서 패널 어셈블리(200)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냉장고(10)가 상기 가구장(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공간 제약 없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의 교체가 가능한 상기 냉장고 도어(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20)는, 냉장고 도어(2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210), 냉장고 도어(20)의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220), 프론트 패널(21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패널(240)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프레임(110)과 내측 프레임(120)으로 구성되고, 냉장고 도어(20)의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결합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230)는 상기 외측 프레임(110)의 결합홀(102)에 끼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고, 프레임 어셈블리(100) 및 패널 어셈블리(200)에 결합되는 캡 데코(300)와, 하부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은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그리고, 도 6은 도 5의 'B'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 도어(20)는,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패널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중공부(101)가 형성된다. 여기서 길이방향은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중공부(101)는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210)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대면하는 일측에, 상기 중공부(101)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결합홀(102)이 형성되고, 상기 상기 결합홀(102)은 상하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홀(102)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홀(102)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홀(102)을 통과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의 중공부(101)에 수용되는 결합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돌기(231)는 후크(hook) 또는 클립(clip)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에서, 상기 리어 패널(220)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직교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가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중공부(101)에 수용되고,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결합홀(102)을 통과하면서, 결합홀(102)의 하단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돌기(231)가 결합홀(102) 및 중공부(101)를 통해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지지되면, 결과적으로 결합돌기(231)가 고정된 프론트 패널(210)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210)의 자중에 의해, 결합돌기(231)가 결합홀(102) 및 중공부(10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결합홀(102)에 쉽게 삽입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홀(102)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결합돌기(231)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31)가 결합홀(102)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홀(102)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결합돌기(231)의 상하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패널(240)과 리어패널(220) 사이에는 단열재질의 단열층(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해서, '결합 부재'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홀에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저면도이다.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결합부재(2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30)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재(230)가 프론트 패널(210)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게 부착되면, 프론트 패널(210)의 양측 단부가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론트 패널(21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프론트 패널(210)의 가장자리에서의 들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230)는 프론트 패널(210)의 상단과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재(230)는 프론트 패널(210)의 상단의 양측 단부와 하단의 양측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에는 상기 결합부재(230)의 위치에 맞춰 결합홀(102)이 형성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재(230)는 프론트 패널(210)의 상단과 하단에 부착되면, 프론트 패널(210)의 상단과 하단 역시,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론트 패널(210)의 변형이 보다 확실히 방지될 수 있고, 프론트 패널(210)의 상단과 하단에서의 들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230)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 배면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부재(230)는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핫멜트(hot-melt)방식 또는 접착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부재(230)는 프론트 패널(210)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재(230)는 별도의 나사,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3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230)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232), 상기 제2고정부(232)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102)에 삽입 및 고정되는 결합돌기(231,2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31,233)는 상기 결합홀(102)을 통과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중공부(101)에 수용되는 제1고정부(231), 상기 제2고정부(232)와 제1고정부(231)를 연결하는 연결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232)와 상기 제1고정부(231)는 외측을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고정부(232)와 상기 제1고정부(231)는 외측을 향하는 면의 전체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232)와 제1고정부(231)의 경우, 외측을 향하는 면이 프론트 패널(210) 배면에 접착, 열융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접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232)와 상기 제1고정부(231)는 외측을 향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232)와 상기 제1고정부(231)는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3)는, 상기 제2고정부(232)와 제1고정부(231)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233)의 상측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홈(234)은 상기 제2고정부(232)와 제1고정부(231) 및 연결부(233)의 상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33)는, 상기 제2고정부(232)와 제1고정부(23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233)의 하측에는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홈(235)은 상기 제2고정부(232)와 제1고정부(231) 및 연결부(233)의 하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33)의 높이는 상기 제2고정부(232) 및 제1고정부(23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233)의 높이가 상기 제2고정부(232) 및 제1고정부(23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면, 상기 제2고정부(232)와 제1고정부(231)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233)의 하측에 상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하부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33)는 상기 제2고정부(232) 및 제1고정부(23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233)는 상기 제2고정부(232)의 상단과 제1고정부(231)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230)는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전반적으로 ‘ㄷ’자의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233)는 상기 제2고정부(232) 및 제1고정부(231)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233)는 상기 제2고정부(232)의 중심부와 제1고정부(231)의 중심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230)는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전반적으로 ‘H’자의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232)와 제1고정부(231)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233)의 하측에 상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하부홈(235)과, 상기 연결부(233)의 상측에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상부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33)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중간홈(23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홈(236)은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홈(236)은 상기 상부홈(234) 또는 상기 하부홈(235)의 연장방향(도 6기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홈(236)은 상기 제2고정부(232)와 제1고정부(231)의 배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홈(236)은 모서리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예로, 상기 연결부(233)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간홀(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중간홀(미도시)은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홀(미도시)는 상기 상부홈(234) 또는 상기 하부홈(235)의 연장방향(도 6기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홀(미도시)은 상기 제2고정부(232)와 제1고정부(231)의 배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232) 또는 제1고정부(231)는, 내측을 향하면 면에, 내측을 향해 돌출된 접촉돌기(237)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237)는, 상호 이격해서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접촉돌기(237) 사이에는 오목한 형태의 이격홈(2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237) 또는 이격홈(238)은 상부홈(234) 또는 상기 하부홈(235)의 연장방향(도 6기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237) 또는 이격홈(238)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237)는 내측을 향하는 일측면(237a)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237) 또는 이격홈(238)은 모서리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부(232)의 두께(T2)와 상기 제1고정부(231)의 두께(T1)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고정부(232)의 두께(T2)는 상기 제1고정부(231)의 두께(T1)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고정부(232)의 두께(T2)는 상기 제1고정부(231)의 두께(T1)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고정부(232)에 접촉돌기(237)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제2고정부(232)의 두께(T2)는 상기 접촉돌기(237)를 포함한 두께를 의미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제2고정부(232)의 두께(T2)와 상기 제1고정부(231)의 두께(T1)가 상이하게 형성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210)은 스틸(steel)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한 변형도가 낮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프론트 패널(210)은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프론트 패널(210)은 나무 재질을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해서,‘프론트 패널’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틸 재질의 프론트 패널이 냉장고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재질의 프론트 패널이 냉장고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패널(210)이 스틸(steel) 재질로 형성된 경우,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두께(T3)는 비교적 얇게 형성된다.
반대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패널(210’)이 유리 재질로 형성된 경우,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두께(T4)는 비교적 두껍게 형성된다.
즉, 스틸(steel) 재질로 형성된 프론트 패널(210)의 두께(T3)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 프론트 패널(210’)의 두께(T4) 보다 얇게 형성된다.(T3<T4)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210, 210’)의 두께(T3, T4)에 대응하여, 결합부재(230)의 두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패널(210, 210’)의 두께(T3, T4)가 달라지면, 상기 프론트 패널(210, 210’)의 내측면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전면(도13 기준 하면)의 간격이 달라진다.
먼저, 프론트 패널(210)이 스틸(steel) 재질로 형성된 경우,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두께(T3)는 비교적 얇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내측면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전면(도13 기준 하면)의 간격(G1)은 상대적으로 넓어진다.
반면, 프론트 패널(210’)이 유리 재질로 형성된 경우,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두께(T4)는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내측면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전면(도14 기준 하면)의 간격(G2)은 상대적으로 좁아진다.
따라서, 프론트 패널(210,210’)을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프론트 패널(210,210’)의 내측면과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전면(도13 기준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부재(230)의 제2고정부(232)의 두께는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232)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된 결합부재(230)를 복수 구비하여, 프론트 패널(210,210’)의 두께 또는 재질에 따라 그에 맞는 결합부재(230)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결합부재(230)의 제2고정부(232)와 제1고정부(231)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된 경우, 프론트 패널(210,210’)의 두께 또는 재질에 따라 결합부재(230)의 방향을 바꿔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고정부(232)는 제1고정부(231) 보다 두껍게 형성된 상태이다.
먼저, 도 13과 같이, 프론트 패널(210)이 두께가 얇은 스틸(steel) 재질로 형성된 경우, 비교적 두께가 얇은 제1고정부(231)는 결합홀(102)을 통해서,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중공부(101)에 수용된다. 그리고,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제2고정부(232)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반면, 도 14와 같이, 프론트 패널(210’)이 두께가 두꺼운 유리 재질로 형성된 경우,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제2고정부(232)는 결합홀(102)을 통해서,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중공부(101)에 수용된다. 그리고, 비교적 두께가 얇은 제1고정부(231)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 패널(210,210’)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하나의 결합부재(230)의 방향을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해서,‘보강 패널’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패널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패널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패널이 횡방향으로 절단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패널의 횡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는 보강 패널(24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널(240)은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240)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240)은 표면에 요철(凹凸)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240)은 적어도 일부가 타공되어 복수의 구멍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패널(240)은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 배치되어, 패널 어셈블리(200)의 휨 현상을 방지하고, 패널 어셈블리(200)가 평판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패널 어셈블리(20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보강패널(240)은, 수평방향(도 18 기준 좌우 방향)으로 요철(凹凸)이 형성된 파형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240)은 수평방향(도 18 기준 좌우 방향)으로 마루(241)와 골(242)이 반복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골(242) 부분은 상기 프론트 패널(210)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골(242)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강패널(240)의 전면(도 5기준 하면)은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도 5기준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패널(240)의 골(242) 부분은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과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패널(240)의 골(242)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면, 상기 보강패널(240)과 프론트 패널(21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240)의 상단과 하단 그리고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는 요철, 주름, 구멍 등이 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240)의 적어도 일부에는 휨 개선을 위해, 자석(미도시)이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평면부(243)의 적어도 일부에는 보강패널(240)의 휨 개선을 위해, 자석(미도시)이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적어도 일부에는 휨 개선을 위해, 자석(미도시)이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는 단열층(250, 도 5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열층(250, 도 5참조)는 프론트 패널(21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 우레탄을 발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단열층(250, 도 5참조)는 보강패널(24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 우레탄을 발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는 중심부 또는 주변부에 단열성 재질의 단열 패드(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패널(240)과 리어 패널(220) 사이 또는 보강패널(240)과 프론트 패널(210) 사이에는 중심부 또는 주변부에 단열성 재질의 단열 패드(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해서,‘프레임 어셈블리’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측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측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도 20의 일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도 21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측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도 23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냉장고 도어(20)의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냉장고 도어(20)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수직 프레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대면하도록 형성된 제1평면(111)과, 상기 제1평면(11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111)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평면(1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평면(111)에 상기 결합홀(102)이 형성된 외측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프레임(110)은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상기 제1평면(111)과 대면하는 제3평면(121)과, 상기 제3평면(121)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4평면(122)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프레임(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프레임(110)과 함께 중공부(101)를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120) 역시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4평면(122)은 상기 제2평면(112)과 적어도 일부가 면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110) 및/또는 내측 프레임(120)은 압출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냉장고 도어의 최외각에 위치하여, 냉장고 도어의 들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111)에는 타측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는 배치된 보강 패널(240)의 일측 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연장부(244, 도 6 참조)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244, 도 6 참조)는 상기 홈부(113)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홀(102)은 상기 홈부(113)와 제2평면(112)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내측 프레임(120)은, 상기 제1평면(111) 타측단부(도 22를 기준 좌측단부)와 면접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접촉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123)는 상기 제1평면(111) 타측단부(도 22를 기준 좌측단부)에 형성된 제2연장부(116)와 면접촉하면서, 서로 지지될 수 있다.
내측 프레임(120)의 전면은 상기 홈부(113)를 기준으로, 일측은 제1평면(111)이고, 타측은 제2연장부(116)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평면(121)은 상기 제1평면(111)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101)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평면(111)과 제3평면(121)은 전후방향(도 22기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중공부(101)를 정의한다. 즉, 상기 제1평면(111)의 배면과 상기 제3평면(121)의 전면은 중공부(101)를 정의한다.
또한, 상기 내측 프레임(120)은, 전후방향(도 23기준 상하방향)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123)와 상기 제3평면(121)을 연결하는 중간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23)는 상기 제3평면(121) 대비 전방(도 23기준 하측)에 배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124)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비교적 전방에 배치된 평면 형태의 접촉부(123)와 비교적 후방에 배치된 제3평면(121)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중간부(124)는 전술한 홈부(113)의 측면(113a)과 면접촉하면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110)에는, 상기 제2평면(112)에서, 내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부(115)를 형성하고, 상기 제3평면(121)의 일측은 상기 안착부(115)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110)은, 제2평면(112)의 후단부(도 22기준 상부)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선단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납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14)에 의해 상기 수납부(114)와 제2평면(112)에 의해 수용홈(114a)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프레임(120)의 제4평면(122)의 후단부(도 24기준 상부)는 상기 수용홈(114a)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평면(112)은, 선단부(도 22기준 하단)에 상기 제1평면(11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측면부(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평면(111)은, 상기 제2평면(112)과 연결되는 일측 단부(도 22기준 우측)에 후방으로 오목한 요홈(118)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홈(118)에 의해 상기 제1평면(111)과 상기 제2평면(112) 사이에 상기 프론트 패널(210)이 일측 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이 스틸 재질로 형성된 경우,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양측 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절곡부(211, 도 6참조)와, 상기 제1절곡부(211, 도 6참조)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절곡부(212, 도 6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부(211, 도 6참조)는 상기 측면부(117)와 접촉하면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절곡부(212, 도 6참조)는 상기 요홈(118)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테두리 부분인 제1절곡부(211, 도 6참조)와 제2절곡부(212, 도 6참조)가 보이지 않게 되고,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프레임(120)은 상기 결합부재(230)가 끼워지는 외측 프레임(110) 측으로 발포액 등이 주입되지 않게 차단해주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내측프레임(120)에 의해, 보강패널(240)과 리어패널(220) 사이에 발포액을 충전해서, 단열층(250)을 형성할 때, 발포액이 외측 프레임(110) 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중공부(101)는 중공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해서,‘하부 프레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하측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 도어(20)는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400)의 하단은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하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프레임(400)의 하단은 전방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410)를 형성한다, 상기 제1돌출부(41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400)에는 제1돌출부(410)의 상단에 단턱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420)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하단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하단에는 후방을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절곡부(213)는 상기 단턱부(420)와 면접촉하면서, 프론트 패널(210)은 하부프레임(4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400)은 상기 단턱부(420)의 상측에 후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하부 수납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패널(240)의 하단에는 후방을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하부 굽힘부(2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굽힘부(245)는 상기 하부 수납홈(430)의 바닥면과 면접촉하면서, 보강 패널(240)은 하부프레임(4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40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벽(4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벽(440)은 상기 보강 패널(240)의 하측에 형성된 평면부(243)와 대면하면서, 상기 보강 패널(240)의 평면부(243)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400)은 하단에 휠 또는 높낮이 조절부재(450) 등의 부품이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해서, 캡데코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캡데코와 프론트 패널의 결합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상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상측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패널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0은 도 29의 일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데코의 사시도이다.
도 27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 도어(20)는 냉장고 도어(20)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캡데코(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데코(300)는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상단에 장착되기 때문에, ‘상부 캡데코’로 칭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데코(300)에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310)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홈(310)은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의 상단에는, 상기 체결홈(310)에 삽입되게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의 체결돌기(261)가 복수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체결돌기(261)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체결돌기(261)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 상단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체결돌기(261)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261)가 체결홈(31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홈(310)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체결돌기(261)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의 상단에는 평판형상의 체결부재(260)가 고정되고, 상기 체결돌기(261)는 상기 체결부재(26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261)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62)와, 상기 제1연장부(262)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262)와 제2연장부(263)는 호(arc) 형상의 곡면부(26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60)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대면하는 전면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홈(2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홈(265)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상단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제4절곡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절곡부(214)는 상기 상부홈(265)에 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캡데코(300)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대면하는 전면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 수납홈(3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납홈(320)은 상기 상부홈(265) 보다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홈(265)보다 후방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 수납홈(320)에는 상기 보강 패널(240)의 상단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패널(240)의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 굽힘부(24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굽힘부(246)는 상기 상부 수납홈(320)에 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캡데코(300)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벽(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330)은 상기 보강 패널(240)의 상측에 형성된 평면부(243)와 대면하면서, 상기 보강 패널(240)의 평면부(243)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홈(310)은, 상기 제1연장부(262)가 수용되는 제1홈부(311)와, 상기 제2연장부(263)가 수용되게 상기 제1홈부(311)보다 더 깊게 형성된 제2홈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부 캡데코(300)의 상단을 기준으로, 제1홈부(311)는 그 깊이가 제1값 만큼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홈부(312)는 그 깊이가 상기 제1값보가 큰 제2값 만큼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홈부(311)는 제2홈부(312)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1홈부(311)와 제2홈부(312)는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홈부(31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곡면부(264)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체결홈(310)에 상기 체결돌기(261)가 수용되면, 상기 제1연장부(262)와 상기 제1홈부(311)의 바닥면은 적어도 일부가 면 접촉하고, 상기 제1연장부(262)와 상기 제1홈부(311)의 바닥면을 순서대로 관통하는 별도의 체결수단(270)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연장부(262) 또는 상기 제1홈부(311)의 바닥면(311a)에는 상기 체결수단(270)이 체결되는 체결구(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 도어의 조립 과정 및 프론트 패널의 탈착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외측 프레임(110)과 내측 프레임(120)을 연결해서,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제작한다.
이후,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캡 데코(300)와 하부 프레임(400)을 연결해서, 상하좌우가 막힌 전체적으로 'ㅁ'자의 틀을 제작한다.
이후, 리어 패널(220)과 보강 패널(240)을 상기 'ㅁ'자의 틀에 연결한다.
여기서, 리어 패널(220)과 보강 패널(240)에 의해 전면과 후면이 막히고,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의해 양측 단부가 막히고, 캡 데코(300)와 하부 프레임(400)에 의해 상부와 하부가 막힌 상태이다.
이후, 내측에 발포액을 주입하여, 단열층(25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패널(240)의 외측에서, 프론트 패널(210)을 부착한다.
이때, 상기 외측 프레임(110)에는 결합홀(102)이 형성된 상태이고,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는 체결부재(230)가 부착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프론트 패널(210)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면서, 결합홀(102)에 체결부재(230)를 끼운다. 이후, 프론트 패널(210)을 하강시키면, 결합홀(102)의 하단에 체결부재(230)의 연결부(233)가 접촉하고, 제2고정부(232)는 상기 결합홀(102)을 통과해서, 중공부(101)에 수용된다.
그리고, 제2고정부(232)는 상기 외측 프레임(110)의 배면에 접촉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프론트 패널(210)에서 손을 떼면, 프론트 패널(210)의 자중에 의해서 체결부재(230)는 결합홀(102) 및 중공부(10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프론트 패널(210)은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론트 패널(210)을 교체 등의 이유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프론트 패널(210)을 들어서, 체결부재(230)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210)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당기면, 체결부재(230)가 결합홀(102) 및 중공부(101)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프론트 패널(210)은 프레임 어셈블리(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Claims (20)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는: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패널; 및
    상기 보강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층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널은, 수평방향으로 요철(凹凸)이 형성된 파형 강판으로 구비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널은, 상기 레어 패널측으로 볼록한 마루와, 상기 프론트 패널 측으로 볼록한 골을 형성하고,
    상기 골은 상기 프론트 패널과 면접촉하는 냉장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널은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일측면의 상단, 하단, 좌측단부, 우측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평면부를 형성하는 냉장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전면에 후방으로 오목한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 패널의 양측 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냉장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하단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하면을 형성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후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하부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 패널의 하단에는 후방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하부 굽힙부가 형성되고,
    상기 굽힘부는 상기 수납홈에 삽입 및 고정되는 냉장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전면의 상단에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벽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벽은 상기 보강패널의 하측에 형성된 평면부와 대면하면서, 접촉 지지되는 냉장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하단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캡 데코가 배치되고,
    상기 캡 데코에는 후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상부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 패널의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상부 굽힙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굽힘부는 상기 하부홈에 삽입 및 고정되는 냉장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데코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벽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벽은 상기 보강패널의 상측에 형성된 평면부와 대면하면서, 접촉 지지되는 냉장고.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상기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 사이에는 우레탄을 발포하여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보강 패널 또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일측에, 상기 중공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결합홀을 형성하되, 상기 상기 결합홀은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홀을 통과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냉장고.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에 형성된 냉장고.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상기 결합홀을 통과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와 제1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고정부와 제1고정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와 제1고정부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냉장고.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의 두께와 상기 제1고정부의 두께는 상이하게 형성되는 냉장고.
  17. 제 1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스틸(steel) 재질을 비롯한 금속 재질 또는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냉장고.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도록 형성된 제1평면과, 상기 제1평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평면에 상기 결합홀이 형성된 외측 프레임;
    상기 제1평면과 대면하는 제3평면과, 상기 제3평면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4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는,
    상기 제1평면의 타측 단부와 면접촉하도록 형성된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평면은 상기 제1평면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3평면을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평면은 내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평면의 일측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냉장고.
KR1020227029907A 2020-03-10 2020-03-10 냉장고 KR20220148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3308 WO2021182652A1 (ko) 2020-03-10 2020-03-10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182A true KR20220148182A (ko) 2022-11-04

Family

ID=7767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907A KR20220148182A (ko) 2020-03-10 2020-03-10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90722A1 (ko)
KR (1) KR20220148182A (ko)
WO (1) WO2021182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9149B (zh) * 2021-11-08 2023-01-2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嵌入式冷冻冷藏装置及其门体连接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6331A (en) * 1953-10-09 1957-12-17 Amana Refrigeration Inc Freezer cabinet door construction
JPH0755328A (ja) * 1993-08-23 1995-03-0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扉
CA2252299C (en) * 1998-10-30 2006-06-13 Camco Inc. Refrigerator door construction
WO2006112633A1 (en) * 2005-04-20 2006-10-26 Lg Electronics Inc. Door for refrigerator
KR20060120802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US7770985B2 (en) * 2006-02-15 2010-08-10 Maytag Corporation Kitchen appliance having floating glass panel
US7516531B2 (en) * 2006-09-15 2009-04-1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assembling universal trim piece system for a refrigerator
US8104853B2 (en) * 2006-12-19 2012-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thereof
KR20090115647A (ko) * 2008-11-05 2009-11-05 신국수 냉장고 도어용 측면프레임
US8302280B2 (en) * 2010-01-12 2012-11-06 Basf Se Appliance comprising polyurethane foam
IT1399435B1 (it) * 2010-04-13 2013-04-19 Gatto S P A Anta per mobili con pannello amovibile - intercambiabile.
US9339993B2 (en) * 2010-09-14 2016-05-17 Corning Incorporated Appliance fascia and mounting therefore
US8789998B2 (en) * 2011-08-31 2014-07-29 Corning Incorporated Edge illumination of an ion-exchanged glass sheet
KR20150095407A (ko) * 2014-02-13 2015-08-2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 도어 패널 조립구조 및 냉장고 도어 패널 조립방법
JP6460832B2 (ja) * 2015-02-24 2019-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却室用扉
US10165860B2 (en) * 2016-05-09 2019-01-01 Whirlpool Corporation Cosmetic door panel suspension and adjustment system for a built-in appliance
US10470641B2 (en) * 2017-08-21 2019-11-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having a decorative panel
CN209574617U (zh) * 2018-11-06 2019-11-0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内门、洗碗机
WO2020213861A1 (en) * 2019-04-15 2020-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312667B1 (ko) * 2019-04-15 2021-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L3904796T3 (pl) * 2019-08-20 2023-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dówka
CN115244349B (zh) * 2020-02-26 2023-12-29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20230012438A1 (en) * 2020-02-26 2023-01-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90722A1 (en) 2023-03-23
WO2021182652A1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3710B2 (en) Refrigerator
US810485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thereof
JP4229914B2 (ja) 冷蔵庫扉
AU2021204021B2 (en) Refrigerator
CA2270237C (en) Refrigerator cabinet incorporating a plastic kickface
US20230012438A1 (en) Refrigerator
US20230087904A1 (en) Refrigerator
US11821676B2 (en) Refrigerator
KR20220148182A (ko) 냉장고
KR20210108195A (ko) 냉장고
AU2023214380A1 (en) Refrigerator
KR100610204B1 (ko) 냉장고도어의 핸들조립구조
JP4179904B2 (ja) 自動販売機の扉密封構造
CN215126570U (zh) 一种展示柜
KR101189875B1 (ko) 냉장고 도어
KR100432214B1 (ko) 김치저장고의 캐비넷
US11976875B2 (en) Refrigerator
JPH0544704Y2 (ko)
KR20210112770A (ko) 냉장고
KR200300283Y1 (ko) 김치냉장고
JP4270325B1 (ja) 冷蔵庫
KR101252907B1 (ko) 냉장고용 트레이
KR100624110B1 (ko) 김치저장고의 전면커버 체결구조
KR101013644B1 (ko) 김치냉장고
KR20220027414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