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19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195A
KR20210108195A KR1020200023102A KR20200023102A KR20210108195A KR 20210108195 A KR20210108195 A KR 20210108195A KR 1020200023102 A KR1020200023102 A KR 1020200023102A KR 20200023102 A KR20200023102 A KR 20200023102A KR 20210108195 A KR20210108195 A KR 20210108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frigerator
lever
front panel
refriger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195A/ko
Priority to PCT/KR2021/002397 priority patent/WO2021172904A1/ko
Priority to US17/802,221 priority patent/US20230081091A1/en
Publication of KR2021010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의 외장패널을 교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는,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프레임 어셈블리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 또는 상기 보강패널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일측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홈은 양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수납되면서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의 외장패널을 교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의 도어는 냉장고의 전면을 구성한다. 사용자는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여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을 취출하며, 상기 도어를 폐쇄하여 냉장고에 식품을 냉각 보관한다.
이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는 사용자가 주로 조작하는 부품으로서 개방 또는 폐쇄가 용이하게 구성되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
상기 냉장고의 도어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제공되는 패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부재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 도어의 디자인, 즉 형상, 재질 또는 색상은 소비자가 냉장고를 구매하는 데 있어 중요한 판단기준이 될 수 있다. 소비자마다 원하는 도어의 형상, 재질 또는 색상이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 제조된 도어의 디자인은 사용자의 구매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냉장고를 사용하다가 도어의 디자인을 변경하고 싶더라도 디자인의 변경이 제한되고, 다른 모델의 냉장고를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냉장고 도어는 상기 패널부재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조회사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패널부재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냉장고 사용자들의 관점이 냉장고가 식음료의 보관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의 일종으로 변경되고 있다. 또한 냉장고의 색상 및 재질을 통해 개개인의 인테리어 특색을 나타내고자 한다. 이에 냉장고 도어 역시, 사용자의 인테리어 취향에 맞춰 색상 및 재질 변경이 쉽게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착탈 가능한 패널부재를 가지는 냉장고의 도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이 개시된다.
[선행문헌 1]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6460832호 (등록일자 : 2019년 1월 11일)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냉각 실용문은 지지부의 전방에 유리 패널이 제공되고, 유리 패널을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부착부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는 접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판의 전면은 접착제에 의해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에 접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행문헌 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접착제를 통하여 유리 패널과 접착판의 접착이 이루어지므로, 유리 패널을 한번 조립하고 나면, 상기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유리 패널의 탈거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 및 부착부가 도어의 하부에만 구비되고 스크류를 통하여 서로 체결되는 경우, 유리 패널에 대한 지지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전면에 다수의 함몰부를 형성하고, 부착부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함몰부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지지부의 함몰부와 부착부를 정렬하고 유리 패널을 후방으로 이동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1의 경우, 냉장고의 폐기 시, 재활용을 위해서 유리 패널을 다른 부품으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냉장고 사용 시, 외부 패널을 교체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선행문헌 2]
중국 실용신안 공보 제 207299701U (공고일 : 2018년 5월 1일)
선행문헌 2에 개시된 착탈 가능한 패널을 가지는 냉장고는 자석 스트립을 이용하여 패널을 탈부착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선행문헌 3]
일본 실용신안공보 S59-13990U (공개일 : 1984년 1월 27일)
선행문헌 3에 개시된 문장치는 자석을 이용하여 패널을 탈부착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선행문헌 2,3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자석부재를 이용하여 패널을 탈부착 하게 되면, 패널의 탈부착 공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자력의 약화에 따른 패널 탈거에 관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도어의 개폐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패널이 탈거될 수도 있다.
그리고, 패널을 정위치에 배치하지 않더라도 자력에 의하여 패널이 부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실수에 따라 패널이 잘못된 위치에 조립될 가능성도 나타나게 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공간의 제약 없이 전면 패널의 교체가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기호에 맞게 선택하거나 제작해서 부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의 재질 및 색상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상단에서 레버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 만으로, 프론트 패널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상단에서 레버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 만으로, 프론트 패널을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는,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프레임 어셈블리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 또는 상기 보강패널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일측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홈은 양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수납되면서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는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연결된 일측 단부의 두께 보다, 타측 단부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걸림 구속되게, 상기 고정부재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회전축의 상단에는 회전축의 조작을 위한 레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버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프론트 패널은 잠금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레버를 전방으로 회전 시키면, 상기 프론트 패널은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캡데코의 상단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캡데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상부 캡데코를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의 상단 및 상기 레버는 상기 상부 캡데코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데코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레버 홈을 형성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널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패널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개구와 상기 홈부재의 내부 공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널은, 수평방향으로 요철(凹凸)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전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널과 상기 리어패널 사이에는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유로운 도어 외관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의 제약 없이 전면 패널의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의 재질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기호에 맞게 선택하거나 제작해서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저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의 재질 및 색상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상단에서 레버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 만으로, 프론트 패널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상단에서 레버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 만으로, 프론트 패널을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가구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프론트 패널이 분리된 냉장고 도어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프론트 패널이 분리된 냉장고 도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잠금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잠금 상태에서, 결합돌기가 고정부재에 걸림 구속된 모습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잠금 해제 시, 결합돌기가 고정부재에서 걸림 해제된 모습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가구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냉장고(5)와 함께 주방이나 거실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5)는 단독으로, 주방이나 거실 등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가구 또는 가전 등과 함께 하나의 모듈로 주방이나 거실 등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주방이나 거실 등에는 냉장고(5,1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가구장(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구장(1) 내부의 수용 공간의 높이는 상기 냉장고(5,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5,10)의 상면과 상기 가구장(1)의 상측벽 사이 갭이 크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5, 10)의 상면과 상기 가구장(1)의 상측벽 사이의 갭이 크지 않으면, 외부에서 상기 냉장고(5, 10)의 상측 구조물이 보이지 않게 되며, 상기 가구장(1)과 냉장고(5, 10)의 일체감이 증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냉장고(5, 10)의 측면과 상기 가구장(1)의 내측벽 사이의 갭 역시 크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냉장고(5, 10)의 측면과 상기 가구장(1)의 내측벽 사이의 갭이 크지 않으면, 외부에서 상기 가구장(1)과 냉장고(5, 10)의 일체감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20)는 힌지(16)를 통해, 캐비닛(11)과 연결되어, 회동하면서,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구장(1)에 수용된 다른 냉장고의 냉장고 도어(6)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도어(7,8,9)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7,8,9)의 일부 또는 전부는 슬라이딩 방식 또는 회전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캐비닛(11)의 내측에는 냉장실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내측에는 냉동실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내측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 도어(20)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는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전면 외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전면 외관은 실질적으로 상기 냉장고(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0)의 앞쪽에서 사용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볼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의 전면은 상기 냉장고(10)가 설치된 장소에서 장식 패널로서 역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를 교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패널 어셈블리(200)의 전면을 쉽게 분리할 수 있고, 기호에 맞는 디자인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독으로 배치된 냉장고에서 패널 어셈블리(200)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냉장고(10)가 상기 가구장(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공간 제약 없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200)의 교체가 가능한 상기 냉장고 도어(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20)는, 냉장고 도어(2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210), 냉장고 도어(20)의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220), 프론트 패널(21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패널(240)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는 결합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310)는 상기 보강패널(240)의 결합홈(241)에 끼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고, 프레임 어셈블리(100) 및 패널 어셈블리(200)에 결합되는 상부 캡 데코(410)와, 하부 캡데코(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패널(210)은 상기 보강 패널(240) 또는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 또는 상기 보강패널(240)은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대면하는 일측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241)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홈(241)은 양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241)에 수납되면서 고정되는 결합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돌기(310)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돌기(310)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3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핫멜트(hot-melt)방식 도는 접착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210)은 스틸(steel) 재질을 비롯한 금속 재질 또는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은 원목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결합돌기(310)가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부착되고, 보강패널(240)에 결합홈(241)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돌기(310)가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결합홈(241)은 상기 보강패널(24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241)은 복수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홈(241)와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도 결합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10)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310)는 복수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추후 설명되는 회전축(320) 또한 상기 결합홈(241)와 대응하여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홈(241)에는 고정부재(3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30)는 상기 회전축(32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332, 도 8참조)와, 상기 고정부(332, 도 8참조)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가압부(331, 도 8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버(340) 역시, 상부 캡데코(410)의 양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홈(241)은 상기 보강패널(240)의 상하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20), 고정부재(330), 레버(340) 또한, 상기 보강패널(240)의 상하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310) 역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상하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돌기(310)가 결합홈(241)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결합돌기(310)를 고정시키는 다양한 방식의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프론트 패널이 분리된 냉장고 도어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프론트 패널이 분리된 냉장고 도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패널(240)과 상기 리어패널(220) 사이에는 상기 결합홈(241)을 관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320)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20)에는, 상기 결합홈(241)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320)으로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돌기(310)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부재(330)가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이라는 표현은, 결합돌기(310)가 결함홈(24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해제'라는 표현은 결합돌기(310)가 결함홈(24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을 해제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도 7은 잠금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잠금 상태에서, 결합돌기가 고정부재에 걸림 구속된 모습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잠금 해제 시, 결합돌기가 고정부재에서 걸림 해제된 모습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돌기(310)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311)와, 상기 제1 연장부(311)에서, 상기 회전축(320)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장부(312)는 상기 제1 연장부(31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312)는 중심측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311)와 제2연장부(312)는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상기 제1연장부(311)는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부(312)는 상기 제1연장부(311)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연장부(312)는 후방을 향하도록 우측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장부(312)는, 상기 제1연장부(311)와 연결된 일측 단부의 두께 보다, 상기 회전축(320)과 인접한 타측 단부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장부(312)는, 상기 고정부재(330)에 걸림 구속되게, 상기 고정부재(330)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31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상기 제1연장부(311)는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부(312)는 후방을 향하도록 우측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313)는 제2연장부(312)의 우측 단부에서, 전방(도면 기준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돌기부(313)가 형성되면, 고정부재(330)에 상기 돌기부(313)가접촉하면서, 고정부재(330)에 의해 결합돌기(310)가 걸림 구속되거나, 걸림 해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320)의 상단에는 회전축(320)의 회전 조작을 위한 레버(3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20)은 상기 레버(340)의 일측(도면 기준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20)의 상단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34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320)의 상단에 삽입되게 사각형의 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20)의 상단이 상기 레버(340)의 홀(341)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340)를 회전 조작하면, 상기 회전축(320)이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레버(340)에는 양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파지홈(34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34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프론트 패널(210)은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잠금 상태'라는 표현은, 결합돌기(310)가 결합홈(24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킨 상태를 의미한다.
반면,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340)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전 시키면, 상기 프론트 패널(210)은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잠금해제 상태'라는 표현은 결합돌기(310)가 결합홈(24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을 해제시킨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34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캡데코(410)의 상단에 별도의 체결부재(500, 도 6 참조)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레버(340)에는 체결부재(50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34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34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별도의 구속수단(미도시)을 통해서, 걸림 구속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20)은 냉장고 도어(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캡데코(410)를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320)의 상단 및 상기 레버(340)는 상기 상부 캡데코(4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캡데코(410)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레버 홈(411)을 형성하고, 상기 레버(340)는 상기 레버 홈(411)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될 수 있다.
다시,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 홈(411)은 일측에 제1 반경을 갖는 제1 곡면부(411a)를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제1 반경보다 큰 제2 반경을 갖는 제2 곡면부(411b)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곡면부(411a)와 제2 곡면부(411b)를 연결하는 측면부(411c, 411d)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320)은 상기 제1 곡면부(411a)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340)는 상기와 같은 부채꼴 모양의 레버 홈(411)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하다.
다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패널(240)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241a)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패널(24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오목하개 내부홈(242a)이 형성된 홈부재(242)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241)은 상기 개구(241a)와 상기 홈부재(242)의 내부홈(242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241)은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 또는 경사면(24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홈(241)은 후방으로 연장된 제1측벽(241c)와, 상기 제1측벽(241c)과 둔각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경사면(241b)과, 상기 경사면(241b)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측벽(241d)과, 상기 제2측벽(241d)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3측벽(241e)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패널(240)은, 수평방향으로 요철(凹凸)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전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널(240)에는 후방으로 오목한 보강홈(2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홈(246)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홈(246)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홈(246) 사이에는 평면부(245)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강패널(240)의 전면은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패널(240)의 전면에 형성된 평면부(245)는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240)의 상단과 하단 그리고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도, 평면부(24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240)의 적어도 일부에는 휨 개선을 위해, 자석(미도시)이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평면부(245)의 적어도 일부에는 보강패널(240)의 휨 개선을 위해, 자석(미도시)이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10)의 적어도 일부에는 휨 개선을 위해, 자석(미도시)이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는 단열층(250, 도 8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열층(250, 도 8참조)는 프론트 패널(21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 우레탄을 발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단열층(250, 도 8참조)는 보강패널(24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 우레탄을 발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10)과 리어 패널(220) 사이에는 중심부 또는 주변부에 단열성 재질의 단열 패드(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패널(240)과 리어 패널(220) 사이 또는 보강패널(240)과 프론트 패널(210) 사이에는 중심부 또는 주변부에 단열성 재질의 단열 패드(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 도어의 조립 과정 및 프론트 패널의 탈착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양측에 배치한다.
이후,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 캡 데코(410)와 하부 캡데코(420)를 연결해서, 상하좌우가 막힌 전체적으로 'ㅁ'자의 틀을 제작한다.
이후, 리어 패널(220)과 보강 패널(240)을 상기 'ㅁ'자의 틀에 연결한다.
여기서, 리어 패널(220)과 보강 패널(240)에 의해 전면과 후면이 막히고,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의해 양측 단부가 막히고, 캡 데코(300)와 하부 프레임(400)에 의해 상부와 하부가 막힌 상태이다.
이후, 리어 패널(220)과 보강 패널(240) 사이에 발포액을 주입하여, 단열층(25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패널(240)의 외측에서, 프론트 패널(210)을 부착한다.
이때, 상기 보강패널(240)에는 결합홈(241)이 형성된 상태이고, 프론트 패널(210)의 배면에는 결합돌기(310)가 형성된 상태이다. 그리고, 레버(340)는 전방측으로 회전되어, 고정부재(330)의 고정판(331)은 도 10과 같이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프론트 패널(210)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면서, 결합홈(241)에 결합돌기(310)를 끼운다. 상세히, 고정판(331)과 제1측벽(241c) 사이 공간으로 결합돌기(310)를 끼운다. 그리고, 레버(340)를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레버(34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부재(330)의 고정판(331)은 도 8과 같이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고정판(331)은 결합돌기(310)를 후방으로 밀면서, 결합돌기(310)의 제2연장부(312)를 경사면(241b)에 밀착시킨다
참고로, 상기 제2연장부(312)와 경사면(241b)는 나란하게 형성되어 고정판(331)은 결합돌기(310)를 후방으로 밀면 상기 제2연장부(312)와 경사면(241b)는 면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340)가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해서, 레버(340)를 상부 캡데코(410)에 체결한다.
그리고, 레버(340) 및 회전축(320)은 전방으로의 회전이 구속되어, 고정판(331)은 결합돌기(310)를 후방으로 지속해서 밀게되고, 결과적으로 프론트 패널(210)은 보강패널(24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241)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일부에, 쿠션재질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실링부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미도시)는 상기 제2연장부(312)와 경사면(241b) 사이에 삽입되어, 제2연장부(312)와 경사면(241b)의 유격을 잡아주고,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론트 패널(210)을 교체 등의 이유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 캡데코(410)에서 레버(340)의 체결을 해제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레버(34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320)이 회전하면서, 도 10과 같이 고정부재(330) 역시 전방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결합돌기(310)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프론트 패널(210)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당기면, 결합돌기(310)가 결합홈(241)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프론트 패널(210)은 보강패널(240)에서 분리될 수 있다.

Claims (15)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는: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 또는 상기 보강패널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일측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홈은 양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수납되면서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과 상기 리어패널 사이에는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이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으로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돌기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부재가 연결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는 둔각을 형성하는 냉장고.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연결된 일측 단부의 두께 보다, 타측 단부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걸림 구속되게, 상기 고정부재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하는 냉장고.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회전축의 상단에는 회전축의 조작을 위한 레버가 결합되는 냉장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프론트 패널은 잠금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레버를 전방으로 회전 시키면, 상기 프론트 패널은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냉장고,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캡데코의 상단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는 냉장고.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캡데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상부 캡데코를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의 상단 및 상기 레버는 상기 상부 캡데코의 외부로 노출되는 냉장고.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데코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레버 홈을 형성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홈에 수용되는 냉장고.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패널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개구와 상기 홈부재의 내부 공간에 의해 정의되는 냉장고.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은, 수평방향으로 요철(凹凸)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과 대면하는 전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과 상기 리어패널 사이에는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단열층이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200023102A 2020-02-25 2020-02-25 냉장고 KR20210108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02A KR20210108195A (ko) 2020-02-25 2020-02-25 냉장고
PCT/KR2021/002397 WO2021172904A1 (ko) 2020-02-25 2021-02-25 냉장고
US17/802,221 US20230081091A1 (en) 2020-02-25 2021-02-25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02A KR20210108195A (ko) 2020-02-25 2020-02-25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195A true KR20210108195A (ko) 2021-09-02

Family

ID=7779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102A KR20210108195A (ko) 2020-02-25 2020-02-2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81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5974A (zh) * 2021-11-25 2022-03-11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用门体
CN114234540A (zh) * 2021-11-08 2022-03-25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门体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4540A (zh) * 2021-11-08 2022-03-25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门体装置
CN114234540B (zh) * 2021-11-08 2024-02-06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门体装置
CN114165974A (zh) * 2021-11-25 2022-03-11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用门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0007B2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102585503B1 (ko) 냉장고
US8366221B2 (en) Doo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1079169B2 (en) Refrigerator
KR20210108195A (ko) 냉장고
JP2002213866A (ja) 冷却貯蔵庫
US11796243B2 (en) Refrigerator
US11821676B2 (en) Refrigerator
US20230087904A1 (en) Refrigerator
CN211147058U (zh) 一种家电显示屏安装结构、冰箱门、冰箱
JP2002213865A (ja) 冷却貯蔵庫
US20230090722A1 (en) Refrigerator
KR20210112770A (ko) 냉장고
US20230081091A1 (en) Refrigerator
EP2333464B1 (en) Refrigerator door
KR101668707B1 (ko) 냉장고 도어
JPH08233442A (ja) 冷蔵庫のドア構造
US20230243575A1 (en) Refrigerator
KR20220068118A (ko) 냉장고
KR200300283Y1 (ko) 김치냉장고
JP2023501470A (ja) 冷蔵庫
CN112648789A (zh) 一种家电显示屏安装结构、冰箱门、冰箱
KR20220068116A (ko) 냉장고
KR20030010199A (ko) 김치저장고의 캐비넷
JP2004239457A (ja) 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