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067A - 교반기 허브 - Google Patents

교반기 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067A
KR20220148067A KR1020210101688A KR20210101688A KR20220148067A KR 20220148067 A KR20220148067 A KR 20220148067A KR 1020210101688 A KR1020210101688 A KR 1020210101688A KR 20210101688 A KR20210101688 A KR 20210101688A KR 20220148067 A KR20220148067 A KR 20220148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head
circumferential surface
fastening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667B1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김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현 filed Critical 김수현
Publication of KR2022014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1Fixing of the stirrer to th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27/191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with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높이 조절이 용이한 교반기 허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반기 허브는, 중앙에 샤프트가 결합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바디와, 바디의 단부에 결합해서 바디를 샤프트에 위치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바디는, 블레이드가 결합하는 센터바디와, 센터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센터바디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갖는 헤드를 포함하고, 헤드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재는, 헤드의 둘레를 감싸는 호(arc) 형상의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호 결합하면서 헤드의 외주면을 내측으로 가압한다.

Description

교반기 허브{HUB FOR AGITATOR}
본 발명은 샤프트에 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 허브에 관한 것이다.
교반기는 교반조의 내부에서 유체 또는 슬러리를 혼합하기 위한 장치를 가리키며, 임펠러(impeller)로도 일컬어진다. 유체 또는 슬러리의 교반은 물질의 침전 방지, 플록(floc) 생성 억제, 재료의 균일한 혼합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하·폐수 처리, 퇴비 생산, 약품 제조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교반기는 샤프트에 교반기 허브가 용접되거나 또는 볼트 등에 의해서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교반기 허브가 일단 위치 고정되면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교반기 허브의 높이가 고정되어 변경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85272호에는 모터와 같은 구동부를 이용해서 교반기의 샤프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심조절 응집교반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응집교반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샤프트 길이 가변 폭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높이 조절이 용이한 교반기 허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반기 허브는, 중앙에 샤프트가 결합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바디와, 바디의 단부에 결합해서 바디를 샤프트에 위치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바디는, 블레이드가 결합하는 센터바디와, 센터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센터바디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갖는 헤드를 포함하고, 헤드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재는, 헤드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을 갖고 체결부재에 의해서 헤드의 외주면을 내측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허브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는 간격을 갖고 상부헤드 및 하부헤드의 둘레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는 상부헤드 및 하부헤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는 상부단턱 및 하부단턱을 구비하고, 고정부재는 상부단턱 및 하부단턱과 접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호 형상을 갖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체결부재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를 관통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하나의 간격을 구비하고, 체결부재는 고정부재에 체결되어 간격을 축소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 아래에 위치하고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헤드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와 상기 헤드 사이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간격이 형성된 내부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내부링의 내주면은 상기 헤드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내부링의 외주면은 소정 높이를 기준으로 상부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를 갖고 하부는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고 상기 체결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조일수록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내부링의 간격이 축소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은 제1 고정부재에 형성되고 체결홀은 제2 고정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높이 조절이 용이한 교반기 허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가 결합된 교반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교반기 허브에서 블레이드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의 바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의 고정부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고정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의 고정부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의 고정부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예시된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100)가 결합된 교반기(17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교반기 허브(100)에서 블레이드(162)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100)는 교반기(170)의 샤프트(160)에 결합하는 것으로 높이 조절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반기 허브(100)는 중앙에 샤프트(160)가 관통하고 샤프트(160)에 대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의 바디(110)와, 바디(1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해서 바디(110)를 샤프트(160)에 대해서 위치 고정하는 두 개의 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디(110)의 둘레면에는 암(120)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암(120)에는 블레이드(162)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170)는 샤프트(160)에 두 개 이상의 교반기 허브(1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교반기 허브(100)는 샤프트(16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의(100)의 바디(11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교반기 허브(100)의 바디(110)는 원통 형상을 갖고 그 중앙에는 샤프트(160)가 삽입되는 관통공(130)이 길이 방향 전체에 대해서 형성되어 있다. 바디(110)는 센터바디(118)와, 센터바디(118)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를 포함한다.
센터바디(118)는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에 비해서 더 큰 외경을 갖고 그 둘레면에는 다수 개의 암(12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110)는 센터바디(118)의 둘레면에 네 개의 암(1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암(120)의 개수, 배치 간격 및 형상 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암(12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센터바디(118)에 대해서 일정 각도를 갖고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암(120)에는 다수 개의 체결홀(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체결홀(122)에는 블레이드(162)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도면부호 없음)가 결합될 수 있다.
암(120)에 결합되는 블레이드(16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블레이드(162)의 형상 및 개수 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센터바디(118)의 상단에는 상부헤드(114)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하부헤드(126)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는 센터바디(118)에 비해서 작은 직경을 갖는 것으로, 각각 상부단턱(112) 및 하부단턱(124)에 의해서 센터바디(118)와 구분된다.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는 각각 일정한 직경을 갖는 중공(中孔)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는 샤프트(160)가 관통한다. 그리고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에는 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116)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16)은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의 길이 방향 전체에 대해서 형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110)는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에 각각 네 개의 슬릿(116)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슬릿(116)의 개수 및 배치 간격 그리고 길이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부재(140)의 가압에 의해서 슬릿(116)의 폭이 축소되고, 이로 인해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는 내측으로 약간 절곡될 수 있다.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가 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그 내주면이 샤프트(160)의 둘레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로 샤프트(16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바디(110)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110)는 그 양단에 각각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14)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는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에만 헤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헤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바디가 하나의 헤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고정부재(140)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100)의 고정부재(14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예시된 고정부재(140)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40)는 제1 고정부재(142) 및 제2 고정부재(146)가 결합되어 하나의 링(ring)을 형성하면서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를 내측(샤프트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100)는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140)를 구비한다. 한 쌍의 고정부재(140)는 그 형상 및 구조가 동일할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아크(arc) 형상을 갖는 제1 고정부재(142) 및 제2 고정부재(146)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재(142) 및 제2 고정부재(146)의 높이는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부재(142) 및 제2 고정부재(146)의 일면은 각각 상부단턱(112) 및 하부단턱(124)과 접한다.
제1 고정부재(142) 및 제2 고정부재(146)에는 각각 한 쌍의 체결홀(144)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홀(144)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52)가 삽입되어서 제1 고정부재(142) 및 제2 고정부재(146)가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의 둘레면을 내측 방향으로 압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체결홀(144)의 내주면에는 체결부재(152)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44)에 삽입된 체결부재(152)를 조이면, 제1 고정부재(142) 및 제2 고정부재(146) 사이의 간격(150)이 더욱 축소되고, 이로 인해 슬릿(116)의 간격도 축소되면서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가 샤프트(160)의 외주면 방향으로 압착된다.
제1 고정부재(142) 및 제2 고정부재(146)의 단부 사이에는 간격(150)이 형성되어 있다. 간격(150)의 크기는 가변적인 것으로, 제1 고정부재(142) 및 제2 고정부재(146)가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를 압착하는 정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42) 및 제2 고정부재(146)는 체결부재(152)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어 링(ring) 형상의 고정부재(140)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고정부재(140)의 중앙에는 샤프트(16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54)이 형성된다.
체결부재(152)는 제1 고정부재(142)에 형성된 체결홀(144)을 관통한 후 제2 고정부재(146)에 형성된 체결홀(144)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152)는 샤프트(160)와 접촉하지 않고 제1 고정부재(142) 및 제2 고정부재(146)를 관통한다. 샤프트(16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반기 허브(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체결부재(152)를 체결홀(144)에서 분리하면 되기 때문에, 교반기 허브(100)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다.
체결홀(144) 사이의 간격은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의 외경에 비해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체결홀(144)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부재(152)가 상부헤드(114) 및 하부헤드(126)에 의해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100)는 암(120)을 구비하고 암(120)에 블레이드(162)가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는 암을 구비하지 않고 블레이드(162)가 센터바디(118)의 둘레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의 고정부재(18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80)는 두 부분으로 분할되지 않고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80)의 일 측에는 간격(182)이 형성되어 있다. 간격(182)은 고정부재(180)를 상부 및/또는 헤드(114, 126)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180)의 일 측에는 체결부재(152)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홀(184)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재(152)는 체결홀(184)에 나사 결합되어 간격(182)을 관통하는데, 이로 인해 간격(182)이 축소된다. 고정부재(180)의 간격이 축소되면 고정부재(180)의 내주면이 상부 및/또는 하부 헤드(114, 126)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이로 인해 고정부재(180)가 바디(110)를 샤프트(160)에 대해 위치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는 세 개 이상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허브의 고정부재(19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예시된 고정부재(190)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고정부재(190)는 제1 고정부재(186), 제2 고정부재(188) 및 내부링(192)을 포함할 수 있고, 체결부재(152)는 제1 고정부재(186)에 형성된 관통홀(198)을 통과하여 제2 고정부재(188)에 형성된 체결홀(19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86)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부재(188)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재(186)와 제2 고정부재(188)는 각각의 내주면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88)는 제1 고정부재(186)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86)에는 관통홀(198)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고정부재(188)에는 동일한 개수의 체결홀(194)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98)은 체결부재(152)가 회전가능하게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체결홀(194)은 그 내주면에 체결부재(152)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체결부재(152)와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86)의 관통홀(198)들과 제2 고정부재(188)의 체결홀(194)들은 서로 정렬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부재(152)는 제1 고정부재(186)의 관통홀(198)을 통과하여 관통홀(198)과 정렬된 제2 고정부재(188)의 체결홀(19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1 고정부재(186)와 제2 고정부재(188)는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내부링(192) 역시 헤드(114, 126)의 둘레를 감싸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고정부재(186, 188)의 내측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고정부재(186, 188)와 헤드(114, 12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내부링(192)은 그 내주면은 헤드(114, 126)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외주면은 소정 높이를 기준으로 상부는 제1 고정부재(186)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를 갖고 하부는 제2 고정부재(188)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결국, 내부링(192)의 외주면은 상기 소정 높이에서 외경이 가장 크고, 이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를 향할수록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 높이는 내부링(192)의 중간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링(192)에는 하나 이상의 간격(19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에는 내부링(192)에 하나의 간격(196)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내부링(192)에 복수의 간격(196)이 형성된 경우 내부링(192)은 서로 분리되는 나뉘어질 수 있는데, 내부링(192)은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 고정부재(186, 188)와 헤드(114, 126) 사이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고정부재(186, 188)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한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더라도 내부링(192)이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관통홀(198)을 통과하여 체결홀(194)에 나사 결합된 체결부재(152)를 조이면, 체결부재(152)가 체결홀(194)에 삽입되는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1 고정부재(186)와 제2 고정부재(188)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부재(186, 188)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제1 및 제2 고정부재(186, 188)와 내부링(192)이 접촉하는 위치가 내부링(192)에서 외경이 가장 큰 부분에 점차 근접하게 되는데, 그 결과 내부링(192)의 간격(196)이 축소될 수 있다. 내부링(192)의 간격(196)이 축소됨에 따라 내부링(192)은 헤드(114, 126)를 조이게 되고, 헤드(114, 126)는 샤프트(160)의 외주면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90)에서 관통홀(198)을 제1 고정부재(186)에 형성하고 체결홀(194)을 제2 고정부재(188)에 형성하는 경우, 체결부재(152)를 위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교반기 허브(100)의 상부헤드(114)에만 고정부재(190)가 적용되는 경우, 교반기(170)를 교반조로부터 인출하지 않고도 허브(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교반조 내에 배치된 교반기(170)의 허브(100)를 와이어 등으로 고정시킨 후 길게 연장된 봉 등으로 체결부재(152)를 회전시켜 내부링(192)을 느슨하게 하고, 와이어를 올리거나 내려 허브(100)를 새로운 높이에 배치한 후, 다시 봉 등으로 체결부재(152)를 회전시켜 내부링(192)을 조임으로써 허브(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교반기 허브
110: 바디
114: 상부헤드
118: 센터바디
126: 하부헤드
140, 180, 190: 고정부재
160: 샤프트

Claims (10)

  1. 중앙에 샤프트가 결합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단부에 결합해서 상기 바디를 샤프트에 위치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블레이드가 결합하는 센터바디와, 상기 센터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센터바디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갖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헤드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을 갖고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헤드의 외주면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교반기 허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허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는 간격을 갖고 상기 헤드의 둘레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허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부헤드 및 하부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허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부단턱 및 하부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단턱 및 하부단턱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허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호 형상을 갖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허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하나의 간격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어서 상기 간격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허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 아래에 위치하고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헤드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와 상기 헤드 사이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간격이 형성된 내부링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링의 내주면은 상기 헤드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상기 내부링의 외주면은 소정 높이를 기준으로 상부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를 갖고 하부는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고 상기 체결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조일수록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내부링의 간격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허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제2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허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 허브를 구비하는 교반기.
KR1020210101688A 2021-04-28 2021-08-03 교반기 허브 KR102635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4812 2021-04-28
KR1020210054812 2021-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067A true KR20220148067A (ko) 2022-11-04
KR102635667B1 KR102635667B1 (ko) 2024-02-14

Family

ID=8410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688A KR102635667B1 (ko) 2021-04-28 2021-08-03 교반기 허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6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734A (ko) * 1991-11-20 1993-06-23 죤 디. 크래인 데이타 기억장치 시스템
KR20110087517A (ko) * 2010-01-26 2011-08-03 김경립 이산화탄소 용접기용 토치바디와 토치케이블 연결부재
KR20170019314A (ko) * 2015-08-11 2017-02-21 가부시키가이샤 츠바키이안도에무 샤프트 커플링
WO2020045749A1 (ko) * 2018-08-30 2020-03-05 주식회사 코리아조인트 체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734A (ko) * 1991-11-20 1993-06-23 죤 디. 크래인 데이타 기억장치 시스템
KR20110087517A (ko) * 2010-01-26 2011-08-03 김경립 이산화탄소 용접기용 토치바디와 토치케이블 연결부재
KR20170019314A (ko) * 2015-08-11 2017-02-21 가부시키가이샤 츠바키이안도에무 샤프트 커플링
WO2020045749A1 (ko) * 2018-08-30 2020-03-05 주식회사 코리아조인트 체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667B1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7324A1 (zh) 一种螺纹连接防松紧锁装置
US93794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gripping a cable
US10827830B2 (en) Method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a furniture leg and a mounting set
US5888015A (en) Wedge lock rod gripper
US4456382A (en) Agitator hub
KR20220148067A (ko) 교반기 허브
US3428244A (en) Bladed wheels
WO2016058707A2 (de) Montagevorrichtung für eine stativvorrichtung sowie montagesystem mit der montagevorrichtung
JP2637362B2 (ja) 寸法減縮機械
US11022159B2 (en) Attachment device
US3358521A (en) Adjustable tightener
US11578750B2 (en) Anti-loosening adjustment bolt assembly
US5899506A (en) Confining ring set suiting wider range of diameter of pipes
US5607062A (en) Screen module for preparing cosmetics nested screens of different mesh sizes
US6345794B1 (en) Adjustable pole holder adapted for form support
CN108730313A (zh) 可互锁的防松螺母
US4469014A (en) Cylinder spacer
JPS599786B2 (ja) ピン型容器連結器
JPH05253861A (ja) ねじ引張装置
JP3192016U (ja) アイボルト
US6032569A (en) Locking device for securing a piston to a piston rod
CN110280647A (zh) 一种内螺纹铜管旋压装置
CN202522245U (zh) 旋转编码器
US4872547A (en) Clamping means for attaching the ends of a conveyor coil spring to a journal pin
KR20200007546A (ko) 위성 안테나 lnb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