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939A -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939A
KR20220147939A KR1020210055087A KR20210055087A KR20220147939A KR 20220147939 A KR20220147939 A KR 20220147939A KR 1020210055087 A KR1020210055087 A KR 1020210055087A KR 20210055087 A KR20210055087 A KR 20210055087A KR 20220147939 A KR20220147939 A KR 20220147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structure
floating dock
unit
dismantling
t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394B1 (ko
Inventor
조정훈
송재왕
장병수
박영술
안삼영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39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2Towing or pushing equipment characterised by moving of more than on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owing underwater objects or vessels, e.g. fairings for tow-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수중 구조물이 선적되는 선적부; 수중 구조물이 선적부에 선적되기 위해 선적부의 근처로 예인하는 예인부; 예인부에 의해 예인된 수중 구조물이 선적부로 진입되도록 유도하는 선적유도부; 및 수중 구조물이 선적된 선적부를 해상에서 육상으로 이동하는 운반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Transportation systems for underwater structures, transportation and dismantling methods for underwater structures}
이하 실시 예들은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시스템 및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및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중 구조물은 해변이나 댐에서 파도를 부수거나 반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파랑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물 속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슨, 소파블럭 등이 이에 해당하며, 고정식 수중 구조물과 부유식 수중 구조물로 분류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28845 (2013.11.27 공개)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대수심 또는 시야가 제한된 해상지역 등에서 수중 구조물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 수중 구조물을 육상으로 안전하게 운반하는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시스템 및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및 해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대형 수중 구조물을 장시간동안 부양상태로 유지할 필요 없이 플로팅 독에 실어 운반함으로써 원활한 공정관리가 가능한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시스템 및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및 해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은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되는 선적부; 상기 수중 구조물이 상기 선적부에 선적되기 위해 상기 선적부의 근처로 예인하는 예인부; 상기 예인부에 의해 예인된 상기 수중 구조물이 상기 선적부로 진입되도록 유도하는 선적유도부; 및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된 상기 선적부를 해상에서 육상으로 이동하는 운반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인부는, 상기 수중 구조물의 외벽에 배치되는 예인고리; 상기 예인고리에 결착되는 예인로프; 및 상기 예인로프가 고정되는 수중 구조물 예인선;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적부는 플로팅 독을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독에 상기 수중 구조물이 진입되기 전에는 상기 플로팅 독의 하판 수심이 상기 수중 구조물의 흘수보다 크고, 상기 수중 구조물이 상기 플로팅 독으로 완전히 진입한 후에 부양될 수 있다.
상기 수중 구조물이 해상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계류시키는 세팅 바지선; 및 상기 수중 구조물이 상기 선적부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세팅 바지선과 탈락되는 경우에도 상기 수중 구조물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선적 유도선;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중 구조물은 복수의 격실을 포함하는 케이슨이고, 상기 선적유도부는, 상기 케이슨에 고정되는 선적유도고리; 및 상기 선적유도고리에 연결되는 선적유도로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독은 상기 선적유도로프에 연결되는 선적고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슨의 제 1 단부, 제 2 단부 각각에 선적유도고리가 고정되고, 상기 플로팅 독의 내측벽의 제 1 측단부, 제 2 측단부 각각에 선적고리가 고정되며, 상기 케이슨의 제 1 단부와 먼 상기 플로팅 독의 제 2 측단부 및 상기 케이슨의 제 2 단부와 먼 상기 플로팅 독의 제 1 측단부가 각각 상기 선적유도로프로 교차되어 연결되고, 상기 선적유도로프의 길이 조정을 통해 상기 케이슨이 상기 플로팅 독으로 진입될 수 있다.
상기 운반부는, 플로팅 독 운반선; 을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독 운반선은 상기 플로팅 독과 연결되어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된 상기 플로팅 독을 해안으로 운반할 수 있다.
육상으로 운반된 상기 수중 구조물을 해체하는 해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체부는 가설도로 및 철거용 중장비를 포함하며, 해안으로 운반된 상기 플로팅 독 상에 상기 가설도로를 연결하여 상기 철거용 중장비를 이용해 상기 수중 구조물의 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로팅 독의 하부에 복수 개의 보강재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보강재는 H-빔 형태로 구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보강재의 간격이 일정할 수 있다.
상기 플로팅 독의 측벽에 그물 망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중 구조물이 부양되는 부양단계;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부에 선적되기 위해 예인되는 예인단계;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부에 선적되는 선적단계; 플로팅 독 운반선을 이용하여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된 상기 플로팅 독이 육상으로 운반되는 운반단계; 및 육상에서 상기 수중 구조물이 해체되는 해체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적단계는, 상기 수중 구조물의 선미측 단부에 로프가 고정되어 예인 유도선과 연결되는 단계;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세팅 바지선에 계류되는 단계; 상기 수중 구조물과 상기 플로팅 독에 예인용 윈치 와이어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수중 구조물의 흘수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플로팅 독에 진입되는 단계; 상기 세팅 바지선과 상기 수중 구조물의 계류가 해체되는 단계; 및 상기 플로팅 독이 부양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체단계는, 육상으로 운반된 플로팅 독 상에서 상기 수중 구조물이 해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에 의하면, 대수심 또는 시야가 제한된 해상지역 등에서 수중 구조물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 수중 구조물을 육상으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에 의하면, 대형 수중 구조물을 장시간동안 부양상태로 유지할 필요 없이 플로팅 독에 실어 운반함으로써 원활한 공정관리가 가능케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부에서 수중 구조물 예인선이 수중 구조물을 선적부 근처로 예인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적유도부 및 선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해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적부에서 보강재 및 그물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및 해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및 해체 방법의 선적단계의 상세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시스템(10)은 예인부(100), 선적유도부(200), 선적부(300), 운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중 구조물은 복수 개의 격실을 포함하는 케이슨(C)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중 구조물이 케이슨(C)일 경우를 가정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시스템(10)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해저에 설치되어 있던 케이슨(C) 등의 수중 구조물이 육상으로 운반되기 위해서는, 케이슨(C) 등의 수중 구조물을 수면으로 부양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케이슨(C) 등의 수중 구조물이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 부분에 보강판을 덧대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손상 부분에 대한 보수 및 보강을 진행한 후에 부양함으로써 안정적인 부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슨(C) 등의 수중 구조물의 부양은 다음의 2 단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제 1 단계는 수중구조물의 전체가 물에 잠겨 있는 경우에 해당하며, 이 경우 수중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된 인양고리에 인양 로프를 걸어 수중구조물을 끌어올림으로써 부양될 수 있다.
제 2 단계는 수중구조물이 수면으로 모습을 드러낸 경우에 해당하며, 이 경우 펌프를 이용하여 손상된 수중구조물 내부의 물을 배수함으로써 부력에 의해 수중구조물이 부양될 수 있다.
이 때, 펌프를 이용하여 케이슨(C)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경우, 케이슨(C)이 기울어지거나 전복되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며 부양되기 위해서는, 케이슨(C)의 인접한 격실 간 충수의 높이 차이 또는 충수의 높이와 콘크리트가 타설된 격실에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높이 및 잔수의 높이의 합의 차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케이슨(C) 등의 수중 구조물이 부양된 후에 비로소 수중 구조물은 후술하는 시스템에 의해 해상에서 육상으로 운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예인부(100)는 수중 구조물이 선적부(300)에 선적되기 위해 선적부(300)의 근처로 예인할 수 있다.
이 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중 구조물의 외벽에 예인고리(110) 및 예인로프(1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수중 구조물이 원활하게 예인되기 위하여 수중 구조물 예인선(130 a, b)이 이용될 수 있다.
수중 구조물이 케이슨(C)인 경우, 예인고리(110)는 케이슨(C)의 4개의 측방 모서리 외벽에 구멍을 뚫어 강봉과 너트의 형태로 시공되며, 예인로프(120)는 4 개의 예인고리(110) 중 인접한 2 개의 예인고리(110)를 연결하여 케이슨(C)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총 2 쌍의 예인로프(120)가 형성된다.
수중 구조물 예인선(130 a, b)은 주 예인선(130 a)과 부 예인선(130 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 예인선(130 a)은 수중 구조물의 예인 경로를 기준으로 전방에서 예인 방향을 조정하고, 부 예인선(130 b)은 고하중의 수중 구조물이 예인 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예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적유도부(200)는 예인부(100)에 의해 예인된 수중 구조물이 선적부(300)로 진입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도 4를 참조하면, 선적유도부(200)는 케이슨(C)이 해상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계류시키는 세팅 바지선(210) 및 케이슨(C)이 선적부(300)로 진입함에 따라 세팅 바지선(210)과 탈락되는 경우에도 케이슨(C)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선적유도선(220)을 포함할 수 있다.
세팅 바지선(210)은 넓적하고 평평한 선체와 낮은 흘수선을 지니어, 수상에서 유동이 적고 안정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을 기초로, 세팅 바지선(210)은 본 발명에서 케이슨(C) 등의 수중 구조물을 수상에서 안정적으로 계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선적유도선(220)은 케이슨(C) 등의 수중 구조물이 플로팅 독(310)에 진입됨에 따라 세팅 바지선(210)과의 계류가 탈락되는 경우에도 플로팅 독(310) 상에서 케이슨(C) 등의 수중 구조물이 틀어지거나 넘어지지 않고 반듯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 및 케이슨(C) 등의 수중 구조물의 플로팅 독으로의 진입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선적유도선(220)은 수중 구조물 예인선(130 a, b)과 동일한 것일 수 있고, 케이슨(C) 등의 수중 구조물과 선적유도선(220)을 연결하는 끈은 80mm의 PP 로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선적부(300)는 수중 구조물이 선적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선적부(300)는 플로팅 독(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플로팅 독(310)은 길이가 선적되는 수중 구조물의 1.5배 이상이고, 하판의 폭이 선적되는 수중 구조물의 최대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플로팅 독(310)에 케이슨(C)이 진입되기 전에는 플로팅 독(310)의 하판 수심이 케이슨(C)의 흘수보다 크고, 케이슨(C)이 플로팅 독(310)으로 완전히 진입한 후에 비로소 부양될 수 있다.
이 때, 도 4를 참조하면, 선적유도부(200)는 선적유도고리(230) 및 선적유도로프(2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플로팅 독(310)은 선적고리(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선적유도고리(230)는 케이슨(C)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각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케이슨(C)의 선수 측 즉, 케이슨(C)이 세팅 바지선(210)과 맞닿는 면의 반대 면 측방 모서리 외벽에 위치할 수 있다. 선적유도고리(230)는 강봉 및 너트의 형태로 시공될 수 있다.
이 때, 선적고리(311)는 플로팅 독(310)의 제 1 측단부, 제 2 측단부 각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 1 측단부 및 제 2 측단부는 플로팅 독(310)의 세팅 바지선(210)과 멀리 떨어진 쪽의 내측벽에 위치한다. 선적고리(311) 역시 강봉 및 너트의 형태로 시공될 수 있다.
이 때, 케이슨(C)의 제 1 단부와 플로팅 독(310)의 제 1 측단부, 케이슨(C)의 제 2 단부와 플로팅 독(310)의 제 2 측단부는 세팅 바지선(210)을 등지고 바라보았을 때 각각 같은 방향에 위치한다.
케이슨(C)의 제 1 단부와 먼 상기 플로팅 독의 제 2 측단부가 선적유도로프(240)로 연결될 수 있고, 케이슨(C)의 제 2 단부와 먼 상기 플로팅 독의 제 1 측단부가 선적유도로프(240)로 연결될 수 있어, 2개의 선적유도로프(240)는 서로 교차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선적유도로프(240)의 길이 조정을 통해 상기 케이슨(C)이 상기 플로팅 독(310)으로 진입될 수 있다.
이 때, 선적유도로프(240)의 길이 조정은 윈치 와이어를 이용하여 선적유도로프를 감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슨(C)이 플로팅 독(310)에 진입이 완료되어 세팅 바지선(210)과 탈락되면, 케이슨(C)의 선미측 즉, 세팅 바지선(210)과 가까운 쪽의 측방 모서리 외벽에도 동일하게 선적유도고리(230)가 시공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플로팅 독(310)의 내측벽의 세팅 바지선과 가까운 곳에 선적고리(311)가 시공될 수 있으며, 선적유도로프(240)가 교차되어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슨(C)의 선미측에 연결된 선적유도로프(240)는, 선수 측에 연결된 선적유도로프(240)가 윈치 와이어에 의해 감겨 들어감에 따라 케이슨(C)이 플로팅 독(310)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케이슨(C)이 회전하지 않고 올곧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슨(C)이 플로팅 독(310)의 정위치에 진입하면 케이슨(C)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용 로프(2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고정용 로프(250)는 60mm PP 로프일 수 있다.
케이슨(C)이 플로팅 독(310)의 정위치에 진입하면 플로팅 독 내부의 물을 배수하여 부양함으로써 케이슨(C)을 플로팅 독(310)에 착저시킬 수 있다.
케이슨(C)이 플로팅 독(310)에 착저가 되면, 선적유도선(220)의 연결을 해체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운반부(400)는 플로팅 독 운반선(410 a, b)을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 독 운반선(410 a, b)은 플로팅 독(310)과 연결되어 케이슨(C)이 선적된 플로팅 독(310)을 해안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 때, 플로팅 독 운반선(410 a, b)은 수중 구조물 예인선(130 a, b)과 마찬가지로, 주 운반선(410 a)과 부 운반선(410 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 운반선(410 a)은 플로팅 독(310)의 예인 경로를 기준으로 전방에서 운반 방향을 조정하고, 부 운반선(410 b)은 고하중의 수중 구조물이 선적된 플로팅 독(310)이 예인 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시스템(10)은 해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6을 참조하여, 해체부(500)는 가설도로(510) 및 철거용 중장비(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설도로(510)는 육상과 플로팅 독(310)을 연결함으로써 철거용 중장비(520)가 플로팅 독(310)으로 진입하여 플로팅 독(310) 상에서 케이슨(C)의 철거가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철거용 중장비(520)는 롱 붐 장치(Long Boom), 엑스카베이터(excavator), 와이어 쏘우(Wire Saw),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우(Diamond Wire Saw)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7를 참조하면, 플로팅 독(310)의 하부에 복수 개의 보강재(312)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보강재(312)는 특히 H-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보강재(312)의 간격이 일정할 수 있다.
플로팅 독(310)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보강재(312)는, 해체부(500)에 의해 케이슨(C)의 해체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플로팅 독(310)의 하판의 손상을 막기 위함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플로팅 독(310)의 측벽에 그물망(313)이 배치될 수 있다.
플로팅 독(310)의 측벽에 배치된 그물망(313)은 해체부(500)에 의해 케이슨(C)의 해체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플로팅 독(310)의 측벽의 손상을 막기 위함이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및 해체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및 해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의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운반 및 해체 방법은 부양단계(S1), 예인단계(S2), 선적단계(S3), 운반단계(S4), 해체단계(S5)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양단계(S1)에서, 수중 구조물이 해상에서 육상으로 운반되기 위해 수중에서 배수작업이 진행됨으로써 수중 구조물이 수면으로 부양될 수 있다.
예인단계(S2)에서, 수중 구조물의 외벽에 예인고리(110) 및 예인로프(1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수중 구조물이 원활하게 예인되기 위하여 수중 구조물 예인선(130 a, b)이 이용될 수 있다.
수중 구조물이 케이슨(C)인 경우, 예인고리(110)는 케이슨(C)의 4측방 모서리 외벽에 구멍을 뚫어 강봉과 너트의 형태로 시공되며, 예인로프(120)는 4 개의 예인고리(110) 중 인접한 2 개의 예인고리(110)를 연결하여 케이슨(C)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총 2 쌍의 예인로프(120)가 형성된다.
수중 구조물 예인선(130 a, b)은 주 예인선(130 a)과 부 예인선(130 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 예인선(130 a)은 수중 구조물의 예인 경로를 기준으로 전방에서 예인 방향을 조정하고, 부 예인선(130 b)은 고하중의 수중 구조물이 예인 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예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선적단계(S3)에서, 수중 구조물이 선적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논한다.
운반단계(S4)에서, 플로팅 독 운반선(410 a, b)은 플로팅 독(310)과 연결되어 케이슨(C)이 선적된 플로팅 독(310)을 해안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 때, 플로팅 독 운반선(410 a, b)은 수중 구조물 예인선(130 a, b)과 마찬가지로, 주 운반선(410 a)과 부 운반선(410 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 운반선(410 a)은 플로팅 독(310)의 예인 경로를 기준으로 전방에서 운반 방향을 조정하고, 부 운반선(410 b)은 고하중의 수중 구조물이 선적된 플로팅 독(310)이 예인 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해체단계(S5)에서, 육상으로 운반된 케이슨(C)이 해체될 수 있다.
이 때, 해체부(500)는 가설도로(510) 및 철거용 중장비(520)를 포함할 수 있고, 가설도로(510)는 육상과 플로팅 독(310)을 연결함으로써 철거용 중장비(520)가 플로팅 독(310)으로 진입하여 플로팅 독(310) 상에서 케이슨(C)의 철거가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철거용 중장비(520)는 롱 붐 장치(Long Boom), 엑스카베이터(excavator), 와이어 쏘우(Wire Saw),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우(Diamond Wire Saw)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선적단계(S3)는 수중 구조물의 선미측 단부에 로프가 고정되어 선적유도선(220)과 연결되는 단계(T1), 수중 구조물이 세팅 바지선(210)에 계류되는 단계(T2), 수중 구조물과 플로팅 독(310)에 예인용 윈치 와이어를 연결하는 단계(T3), 수중 구조물의 흘수 상태를 기반으로 플로팅 독(310)에 진입되는 단계(T4), 세팅 바지선(210)과 수중 구조물의 계류가 해체되는 단계(T5) 및 플로팅 독(310)이 부양되는 단계(T6)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수중 구조물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되는 선적부;
    상기 수중 구조물이 상기 선적부에 선적되기 위해 상기 선적부의 근처로 예인하는 예인부;
    상기 예인부에 의해 예인된 상기 수중 구조물이 상기 선적부로 진입되도록 유도하는 선적유도부; 및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된 상기 선적부를 해상에서 육상으로 이동하는 운반부;
    를 포함하는,
    수중 구조물 운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부는,
    상기 수중 구조물의 외벽에 배치되는 예인고리;
    상기 예인고리에 결착되는 예인로프; 및
    상기 예인로프가 고정되는 수중 구조물 예인선;
    을 포함하는,
    수중 구조물 운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적부는 플로팅 독을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독에 상기 수중 구조물이 진입되기 전에는 상기 플로팅 독의 하판 수심이 상기 수중 구조물의 흘수보다 크고, 상기 수중 구조물이 상기 플로팅 독으로 완전히 진입한 후에 부양되는,
    수중 구조물 운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적유도부는,
    상기 수중 구조물이 해상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계류시키는 세팅 바지선; 및
    상기 수중 구조물이 상기 플로팅 독으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수중 구조물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선적 유도선;
    을 포함하는,
    수중 구조물 운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구조물은 복수의 격실을 포함하는 케이슨이고,
    상기 선적유도부는,
    상기 케이슨에 고정되는 선적유도고리; 및
    상기 선적유도고리에 연결되는 선적유도로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독은, 상기 선적유도로프와 연결되는 선적고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슨의 제 1 단부, 제 2 단부 각각에 선적유도고리가 고정되고,
    상기 플로팅 독의 내측벽의 제 1 측단부, 제 2 측단부 각각에 선적고리가 고정되며,
    상기 케이슨의 제 1 단부와 먼 상기 플로팅 독의 제 2 측단부 및 상기 케이슨의 제 2 단부와 먼 상기 플로팅 독의 제 1 측단부가 각각 상기 선적유도로프로 교차되어 연결되고, 상기 선적유도로프의 길이 조정을 통해 상기 케이슨이 상기 플로팅 독으로 진입되는,
    수중 구조물 운반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는,
    플로팅 독 운반선;
    을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독 운반선은 상기 플로팅 독과 연결되어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된 상기 플로팅 독을 해안으로 운반하는,
    수중 구조물 운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육상으로 운반된 상기 수중 구조물을 해체하는 해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체부는 가설도로 및 철거용 중장비를 포함하며,
    해안으로 운반된 상기 선적부 상에 상기 가설도로를 연결하여 상기 철거용 중장비를 이용해 상기 수중 구조물의 해체가 이루어지는,
    수중 구조물 운반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독의 하부에 복수 개의 보강재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보강재는 H-빔 형태로 구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보강재의 간격이 일정한,
    수중 구조물 운반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독의 측벽에 그물 망이 배치되는,
    수중 구조물 운반 시스템.
  10.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중 구조물이 부양되는 부양단계;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부에 선적되기 위해 예인되는 예인단계;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부에 선적되는 선적단계;
    플로팅 독 운반선을 이용하여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선적된 상기 플로팅 독이 육상으로 운반되는 운반단계; 및
    육상에서 상기 수중 구조물이 해체되는 해체단계;
    를 포함하는,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적단계는,
    상기 수중 구조물의 선미측 단부에 로프가 고정되어 선적 유도선과 연결되는 단계;
    상기 수중 구조물이 세팅 바지선에 계류되는 단계;
    상기 수중 구조물과 상기 플로팅 독에 예인용 윈치 와이어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수중 구조물의 흘수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플로팅 독에 진입되는 단계;
    상기 세팅 바지선과 상기 수중 구조물의 계류가 해체되는 단계; 및
    상기 플로팅 독이 부양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단계는,
    육상으로 운반된 플로팅 독 상에서 상기 수중 구조물이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
KR1020210055087A 2021-04-28 2021-04-28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 KR10247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87A KR102474394B1 (ko) 2021-04-28 2021-04-28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87A KR102474394B1 (ko) 2021-04-28 2021-04-28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939A true KR20220147939A (ko) 2022-11-04
KR102474394B1 KR102474394B1 (ko) 2022-12-06

Family

ID=8404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087A KR102474394B1 (ko) 2021-04-28 2021-04-28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3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226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제작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의 전도방법
KR20120095145A (ko) * 2011-02-18 2012-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폐선박 해체용 구조물
KR20130128845A (ko) 2012-05-18 2013-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및 그 예인방법
KR20160104156A (ko) * 2015-02-25 2016-09-05 현대건설주식회사 레일 장착형 갠트리 크레인을 구비한 h형 바지선
KR20200001828A (ko) * 2018-06-28 2020-01-07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예인용 예인삭 안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예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226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제작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의 전도방법
KR20120095145A (ko) * 2011-02-18 2012-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폐선박 해체용 구조물
KR20130128845A (ko) 2012-05-18 2013-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및 그 예인방법
KR20160104156A (ko) * 2015-02-25 2016-09-05 현대건설주식회사 레일 장착형 갠트리 크레인을 구비한 h형 바지선
KR20200001828A (ko) * 2018-06-28 2020-01-07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예인용 예인삭 안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예인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https://hyht.tistory.com/32"(2008.02.15.) 1부.* *
인터넷, "https://m.news.zum.com/articles/2594061"(2012.05.26.) 1부.* *
인터넷, "https://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1168"(2013.05.31.) 1부.* *
인터넷, "https://www.yna.co.kr/view/AKR20140423129300063?section=popup/print"(2014.04.23.)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394B1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4306B (fi)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EP1189804B1 (en) Device for positioning and lifting a marine structure, particularly a platform deck
KR101037222B1 (ko) 이송바지선을 이용한 해안 부두의 야적물 선적시스템
KR20020081378A (ko) 잠수형 중화물용 쌍동선
AU2014412083B2 (en) A submersible vessel for dry docking a vessel
CA2762157C (en) Spar hull load out method
KR102041922B1 (ko) 공기압 조절이 가능한 에어튜브 구조의 선박 평형장치
KR101078391B1 (ko) 2개의 스퍼드를 이용한 밸런스 바지선
KR100642343B1 (ko) 항만공사용 대형 케이슨 진수대
KR102474394B1 (ko)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
KR102309460B1 (ko) 항만 플랜트 및 항만 플랜트에 플로팅 바디를 계류시키기 위한 방법
KR101606693B1 (ko) 바지선의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
US11795647B2 (en) Installation arrangement with jack-up rig and a barge and a method for setting up the installation arrangement
KR101584571B1 (ko)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JPS58218521A (ja) ケ−ソンの製作、進水および据付方法
KR101508028B1 (ko) 반잠수식 유닛 건조 방법, 반잠수식 유닛 건조용 키트 및 반잠수식 유닛
KR102493444B1 (ko) 부유체 안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로드아웃 방법
KR20110063984A (ko) 메가블록 슬라이딩 진수를 통한 선박건조공법
KR20150049808A (ko)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구조물 진수공법
EP0135393A2 (en) Sea-going self-propelled vessels for transport of prefabricated offshore structures
JP2014117980A (ja) 浮標の設置方法
JP7300218B1 (ja) 係留設備
EP0137625A1 (en) Transport of prefabricated offshore structures
NO20191360A1 (en) Floating construction with mooring system and mooring method
JP2001003332A (ja) ケーソン沈設方法とケーソン沈設用フロ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