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816A - System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s to strengthen response capabilities for fire fighting activity on-scene command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s to strengthen response capabilities for fire fighting activity on-scene comman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7816A KR20220147816A KR1020210054796A KR20210054796A KR20220147816A KR 20220147816 A KR20220147816 A KR 20220147816A KR 1020210054796 A KR1020210054796 A KR 1020210054796A KR 20210054796 A KR20210054796 A KR 20210054796A KR 20220147816 A KR20220147816 A KR 202201478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ining
- fire
- scenario
- training content
- simul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561 standard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00369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1836 Firesetting Behavio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80 den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23 metabolic r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방활동 현장지휘관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지휘관이 화재유형별로 소방활동을 지휘하는 훈련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행하여 소방활동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활동 현장지휘관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strengthening the response capability of a firefighting field commander, and more particularly, to strengthen the firefighting activity response capability by conducting a training through a simulation for a field commander to command firefighting activities by fire type It relates to a training content provision system for strengthening the response capability of field commanders for firefighting activities.
현대 사회에 들어 사회양상의 다변화 및 인구 과밀화, 건축물 밀집, 국제화 등 재난환경의 변화에 따라 단순 화재 사고가 대규모 복합화재로 확대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즉, 도시화에 따른 인구 밀집화, 시설물 대형화, 심층화, 복합화로 대형화재 및 연계사고 등 인적재난으로 인한 대형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In modern society, an environment in which a simple fire accident can be expanded into a large-scale complex fire is being created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disaster environment such as diversification of social aspects, overcrowding of population, density of buildings, and internationalization. In other words, large-scale damage due to human disasters such as large-scale fires and related accidents can occur due to population densification, facility enlargement, deepening, and compounding due to urbanization.
이러한 복합화재는 예측이 불가능하며, 피해대상과 범위를 확정하기 곤란하고, 피해규모가 광범위하여, 수습 및 복구에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의 축소는 화재대응을 위한 사회적 기반과 소방역량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화재피해의 감소는 화재예방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나 현실적으로 화재예방을 완벽하게 할 수 없는 실정이다. These compound fires are unpredictable, difficult to determine the target and scope of damage, and the scale of damage is extensive, requiring a lot of time to recover and recover. The reduction of damage caused by fire is absolutely dependent on the social basis for responding to fire and firefighting capabilities.
화재발생시 화재현장에 동원된 인력과 자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화재수습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지휘체계 수립이 필요한데, 현대 사회의 화재환경변화로 인해 화재환경이 대규모 복합재난으로 확대됨에 따라 소방활동 지휘체계 및 현장대응역량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소방대상물에 적합한 화재진압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소방역량 강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event of a fi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n-site command system so that the manpower and resources mobilized at the fire site can be most effectively put into fire fighting. And the problem of on-site response capability is emerging.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perform fire suppression suitable for changing firefighting objects, reinforcement of firefighting capabilities is required.
본 발명은 화재 상황에서 현장지휘관의 대응 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사고의 특성이 반영된 화재유형별 소방활동 현장지휘체계 훈련 콘텐츠를 통하여 현장지휘관의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방활동 현장지휘관의 대응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trengthen the response capability of the field commander in a fire situa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in the field commander through the field command system training content for each fire typ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 accident.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training content provision system that can strengthen the response capability of the field command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소방활동 현장지휘관의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현장지휘관이 개인 단말기를 통해 교육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화재유형별 화재상황의 훈련 시나리오를 편집하여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구현하는 시나리오 편집 서버와; 상기 시나리오 편집 서버에 의해 구현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통하여 개인 단말기로 훈련을 수행하는 현장지휘관의 훈련 결과를 평가 관리하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서버와; 상기 시나리오 편집 서버 및 LMS 서버를 통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한다. The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ystem that provides simulation training content to strengthen the response capability of firefighting field commanders. a scenario editing server that edits a training scenario of a situation to implement simulation training content; an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server for evaluating and managing the training results of the field commander who performs training with a personal terminal through the simulation training contents implemented by the scenario editing server; and a training evaluation database server for storing and managing data generated through the scenario editing server and the LMS server.
여기서, 상기 시나리오 편집 서버에는 화재를 유형별로 선정하고, 선정된 화재유형별로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기반으로 현장지휘관의 교육훈련을 위한 화재유형별 화재상황의 훈련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편집하며, 편집된 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구현하여 훈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이 구비된다. Here, in the scenario editing server, a fire is selected by type, and a training scenario of a fire situation by fire type is created and edited for training of field commanders based on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each selected fire type. A training content creation engine for implementing simulation training content according to a scenario and storing it in a training content database is provided.
상기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에는 화재 훈련을 하기 위한 대표적인 화재유형을 선정하는 화재유형 선정모듈과, 상기 화재유형 선정모듈을 통해 선정된 화재유형별로 SOP 기반 현장지휘훈련 최적 시나리오를 편집하는 화재유형별 시나리오 편집모듈과, 화재 진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재 진행 방향 변경, 플래시오버(Flash Oover), 백드래프트(Back Draft)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돌발요소를 구현하는 돌발요소 구현모듈과, 상기 화재유형별 시나리오 편집모듈을 통하여 편집된 시나리오에 돌발요소 구현모듈을 통하여 구현된 돌발요소를 포함시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 생성모듈이 구비된다. The training content production engine includes a fire type selection module for selecting a representative fire type for fire training, and a scenario editing module for each fire type that edits the optimal scenario for SOP-based on-site command training for each fire type selected through the fire type selection module. And, a sudden element implementation module that implements an unexpected element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fire, flash over, and back draft that occur in the course of a fire, and a scenario editing module for each fire type A simulation training content generation module is provided to produce simulation training content by including the unexpected element implemented through the sudden element realization module in the scenario edited through the .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 생성모듈은 화재유형별 화재상황을 모사하여 모델링하고, 화재 진압에 사용 가능한 재원과 현장 상황 정보를 구현하여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제작하며, 현장 지휘관은 개인 단말기를 통해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에 따라 상황실에서 전파되는 현장의 상황, 주변 지형, 건물 도면 정보를 전달받으며 현장지휘를 위한 준비 과정을 거치고, 자원 배치와 의사결정을 통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현장 지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imulation training content creation module simulates and models the fire situation by fire type, implements the resources available for fire suppression and on-site situation information to produce simulation training content, and the field commander uses a personal terminal to access the simulation training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is, it is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surrounding terrain, and building drawing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room, go through the preparation process for on-site command, and conduct on-site command to extinguish the fire through resource allocation and decision-making.
한편, 상기 화재유형별 시나리오 편집모듈은 시나리오의 시각화를 위해 Unity Timeline System을 사용하며, 상기 Unity Timeline System에는 시각화된 시나리오에 들어갈 대사들은 지정하는 ScnenarioSetter와, 각 시나리오마다 사용자에게 제시될 선택지를 지정하는 ChoiceSetter와, 상기 ScenarioSetter에 의해 구성된 대사들을 UI 화면상에 표시하는 TextMacher와, 상기 TextMacher를 통해 표시되는 대사들을 음성으로 재생하는 SoundPlayer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cenario editing module for each fire type uses the Unity Timeline System for scenario visualization, and the Unity Timeline System has a ScnenarioSetter that designates lines to be included in the visualized scenario, and a ChoiceSetter that designates options to be presented to the user for each scenario. and a TextMacher that displays the lines configured by the ScenarioSetter on a UI screen, and a SoundPlayer that reproduces the lines displayed through the TextMacher by voice.
여기서, 상기 ChoiceSetter는 특정 타이밍에 선택지와 관련된 프리팹(Prefab)이 생성되면, 각 결과에 대한 프리팹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황을 묘사하고, 그 선택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표시한 후, ScenarioSetter를 통해 분기를 적용시키게 된다. Here, in the ChoiceSetter, when a prefab related to a choice is created at a specific timing, a prefab for each result is cre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describe the user's selection situation, and to indicate whether the selection is positive or negative. After that, branch is applied through ScenarioSetter.
또한, 상기 ChoiceSetter로부터 선택지의 프리팹이 생성될 때, TimelineContoller에서 각 시나리오마다 주어지는 대사량이나 시간에 따라 타임라인(Timeline)의 수행여부를 컨트롤하여, 타임라인을 일시정지시키고 다시 재현시키게 된다. Also, when a prefab of a choice is created from the ChoiceSetter, the TimelineController controls whether or not the Timeline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etabolism or the time given for each scenario in the TimelineController to pause the timeline and reproduce it again.
본 발명에 따른 소방활동 현장지휘관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화재유형별 화재 상황을 모사하고, 화재 진압시 사용 가능한 재원, 현장 상황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훈련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통하여 현장지휘관의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현장지휘관의 화재 대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strengthening the firefighting field commander's response cap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ulates the fire situation by fire type, and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available financial resources and on-site situation information during fire suppression, and through this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ire response ability of the on-site commander by making the on-site commander's training take pl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활동 현장지휘관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편집 서버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유형별 현장지휘관 대응 시나리오의 일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드래프트 공간의 공기의 흐름 및 모델링 테스트의 일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의 지휘관 상황전파 모델링 일례,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의 자원배치와 의사결정의 모델링 일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을 통해 제작되는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의 사나리오 구조 일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의 복수 결말 시나리오의 분기 일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의 복수 결말 시나리오의 결말 케이스 수 일례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의 단독주택, 모텔 시나리오의 단일 결말 시나리오 및 복수 결말 시나리오의 구현 일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의 시나리오의 세부 모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Unity Timeline System의 ChoiceSetter 수행 절차 일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Unity Timeline System의 TimelineController 수행 절차 일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Unity Timeline System의 ScenarioSetter와 UnityScene의 매칭 일례,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현장지휘관이 시뮬레이션 훈련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n overall conceptual diagram of a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strengthening response capabilities of firefighting field comman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scenario edit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a scene commander response scenario by fir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the air flow and modeling test of the backdraft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commander situation propagation modeling of simulation trai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modeling example of resource allocation and decision-making of simulation trai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a scenario structure of simulation training content produced through a training content produc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 branching scenario of multiple ending scenarios of simulation trai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ample of the number of ending cases of a multiple ending scenario of simulation trai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single-ending scenario and a multiple-ending scenario of a single-family house, a motel scenario of simulation trai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etailed module of a scenario of simulation trai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ample of the ChoiceSetter execution procedure of the Unity Timel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ample of the TimelineController execution procedure of the Unity Timel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ample of matching ScenarioSetter and UnityScene of the Unity Timel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7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field commander performs simulation training through the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활동 현장지휘관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념도이다. 1 is an overall conceptual diagram of a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strengthening response capabilities of field commanders for firefighting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소방 현장에 출동하여 현장을 지휘하는 현장지휘관의 관점에서 시나리오에 따라 훈련이 진행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게 되는데, 현장지휘관은 PC나 개인 스마트폰 등의 개인 단말기를 통해 화재유형별 SOP 기반 현장지휘훈련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훈련 시뮬레이션을 통해 상시 훈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imulation training content so that training can proceed according to the scenario from the point of view of a field commander who is dispatched to the fire fighting scene and directs the scene. Through the terminal, regular training can be performed through training simulation based on SOP-based on-site command training scenarios for each fire typ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는 현장지휘관의 교육훈련을 위한 화재유형별 화재상황의 훈련 시나리오를 편집하여 훈련 콘텐츠를 구현하는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와,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에 따라 훈련을 수행하는 현장지휘관에 대한 훈련 평가 관리를 수행하는 LMS 서버(200)와,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 및 LMS 서버(200)를 통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가 구비된다. To this end, the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는 화재유형별 현장지휘 훈련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제작하는 서버 컴퓨터로서, 이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는 화재를 유형별로 선정하고, 선정된 화재유형별로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표준운영절차) 기반으로 현장지휘관의 교육 훈련을 위한 화재유형별 화재상황의 훈련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편집하며, 편집된 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는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구현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등록하여 훈련지휘관의 개인 단말기에 제공하게 된다. The
상기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서버(200)는 훈련생인 현장지휘관의 훈련 결과를 Web 기반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컴퓨터로서, 이 LMS 서버(200)는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훈련생의 훈련 평가 정보를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The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는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에 의해 편집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와 LMS 서버(200)의 훈련생 평가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는데, 이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교육 훈련의 리뷰 및 평가를 위해 사용자별로 훈련 과정을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도록 구현된다. The training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구축되는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는 현장지휘관이 소방활동 현장지휘체계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현장지휘관의 개인 단말기에 제공되는데, 이 현장지휘관 개인 단말기에는 화재유형별 SOP 기반 현장지휘훈련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소방활동 현장지휘 훈련을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이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표출되게 된다.The simulation training content built in the trainin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나리오 편집 서버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scenario edit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에는 데이터 입력 및 표시를 위한 입력부(120) 및 출력부(130)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외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40)와, 주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50)와, 현장 지휘관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생성하는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160)과, 상기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160)을 통해 제작되는 훈련 콘텐츠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훈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70)와, 상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2 , the
상기 중앙제어부(110)는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장치로서, 이 중앙제어부(110)에는 통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램(RAM), 롬(ROM) 등의 하드웨어 장치와 상기 하드웨어 장치를 인식하여 구동하는 소프트웨어가 구비되어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The
상기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160)은 화재유형별 SOP 기반 현장지휘훈련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시나리오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제작하는 프로그램으로써, 이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160)에는 화재유형 선정모듈(161)과, 화재유형별 시나리오 편집모듈(162), 돌발요소 구현모듈(163),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 생성모듈(164)이 구비된다. The training
상기 화재유형 선정모듈(161)은 화재 훈련을 하기 위한 대표적인 화재유형을 선정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이 화재유형 선정모듈(161)은 화재발생 빈도와 피해규모를 분석하여 방화 또는 실화에 따른 대표적인 화재사례를 선정하게 된다. 이러한 대표적인 화재유형으로는 단독주택 화재, 모텔 화재, 아파트 화재, 공장 화재, 산불 화재, 관공서 화재, 종교시설 화재 등이 될 수 있다. The fire
상기 화재유형별 시나리오 편집모듈(162)은 선정된 화재유형별로 SOP 기반 현장지휘훈련 최적 시나리오를 편집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이 화재유형별 시나리오 편집모듈(162)은 국내외 화재유형별 현장지휘활동 및 훈련실태, 현장지휘관 교육 프로그램 분석 등을 통하여 화재유형별 SOP 기반 현장지휘훈련 최적 시나리오를 정립하게 된다. 도 3은 이러한 화재유형별 현장지휘관 대응 시나리오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The
상기 돌발요소 구현모듈(163)은 화재 진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돌발요소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이 돌발요소 구현모듈(163)은 무각본 시나리오에 따라 현장에서 소방차와 같은 사용 가능한 장비를 배치함에 따라 변화하는 화재 진행방향, 플래시오버(Flash Oover), 백드래프트(Back Draft), 요구조자의 탈출 경로 등을 모델링하여 구현하게 된다. 도 4는 백드래프트 공간의 공기의 흐름 및 모델링 테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The sudden
상기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 생성모듈(164)은 화재유형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이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 생성모듈(164)은 화재유형별 시나리오 편집모듈(162)을 통하여 편집된 시나리오에 돌발요소 구현모듈(163)을 통하여 구현된 돌발요소를 포함시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제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 생성모듈(164)은 화재유형별 화재상황을 모사하여 모델링하고, 사용 가능한 재원, 현장 상황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구현하여 현장 지휘관의 화재대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 생성모듈(164)을 통하여 생성되는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는 현장에 출동하는 지휘관의 관점으로 진행이 되는데, 지휘관은 상황실에서 전파되는 현장의 상황, 주변 지형, 건물 도면 등의 정보를 전달받으며 현장지휘를 위한 준비 과정을 거치고, 자원 배치와 의사결정 등을 통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현장 지휘를 진행하게 된다. 도 5는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의 지휘관 상황전파 모델링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의 자원배치와 의사결정의 모델링 일례이다.The simulation training
상기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160)을 통하여 제작되는 훈련 콘텐츠 관련 데이터는 훈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되며, 통신부(140)를 통하여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제공되어 관리되게 된다.The training content-related data produced through the trainin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을 통해 제작되는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의 시나리오 구조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7 shows an example of a scenario structure of simulation training content produced through a training content crea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화재유형은 총 7개로 선정되었는데, 각 화재유형마다 단일 결말 시나리오, 복수 결말 시나리오, 무각본 시나리오가 지정되었다. 여기서, 단일 결말 시나리오는 1개의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복수 결말 시나리오는 16개의 긍정적인 결과와 32개의 부정적인 결과를 가지도록 하였다. 7,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seven fire types were selected, and a single ending scenario, a multiple ending scenario, and an unscripted scenario were designated for each fire type. Here, the single ending scenario had one positive outcome, and the multiple ending scenario had 16 positive outcomes and 32 negative outcomes.
여기서, 각 화재 유형별 시나리오는 화재 발생 시점에 의해 2개의 분기가 발생하는데, 이는 난수에 의해 결정된다. 화재 발생시점이 정의되고 나면 방화, 실화 여부에 의해 2개의 분기가 발생하고, 발화 요인에 의해 다시 2개의 분기가 발생하는데, 이 또한 난수에 의해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복수 결말 시나리오의 경우 훈련의 다양성을 구현하기 위해 화재유형별 8종의 시나리오가 난수에 의해 선택된다. 도 8은 이러한 복수 결말 시나리오의 분기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빠른 도착 여부, 초동 대응 성공 여부, 후착 대응 성공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기가 일어나게 된다. Here, in the scenario for each fire type, two branches occur depending on the time of fire, which is determined by a random number. After the time of fire is defined, two branches occur depending on whether arson or misfire occurs, and two branches occur again depending on the ignition factor, which is also determined by a random number. As a result, in the case of multiple ending scenarios, eight scenarios for each fire type are selected by random numbers to realize the diversity of training. FIG. 8 shows an example of branching in such a multiple ending scenario, and branching occurs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in whether early arrival, success in initial response, and success in late response.
따라서, 화재 유형별로 각각 48종의 결과가 발생하게 되고, 7종의 복수 결말 시나리오에서는 336종의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9는 이러한 복수 결말 시나리오의 결말 케이스(case) 수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단독주택, 모텔 시나리오의 단일 결말 시나리오 및 복수 결말 시나리오의 구현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Therefore, there are 48 outcomes for each fire type, and 336 outcomes in 7 multiple-end scenarios. 9 shows the number of ending cases of such a multiple ending scenario, and FIG. 10 shows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single ending scenario and a multiple ending scenario of a detached house and a motel scenario.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의 세부 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Unity Timeline System을 사용하여 시나리오의 기본적인 시각화를 수행하게 된다. 상시 Unity Timeline System에는 시각화된 시나리오에 들어갈 대사들은 지정하는 ScnenarioSetter와, 각 시나리오마다 사용자에게 제시될 선택지를 지정하는 ChoiceSetter와, 상기 ScenarioSetter에 의해 구성된 대사들을 UI 화면상에 표시하는 TextMacher와, 상기 TextMacher를 통해 표시되는 대사들을 음성으로 재생하는 SoundPlayer가 구비된다. 11 shows a detailed module of a scenar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ic visualization of the scenario is performed using the Unity Timeline System. The Unity Timeline System always has a ScenarioSetter that designates lines to be entered into a visualized scenario, a ChoiceSetter that designates options to be presented to the user for each scenario, a TextMacher that displays the lines configured by the ScenarioSetter on the UI screen, and the TextMacher. A SoundPlayer that plays the lines displayed through the voice is provided.
도 12는 Unity Timeline System의 ChoiceSetter 수행 절차를 나타낸 것으로, 이 ChoiceSetter는 중복될 수 있는 애니메이션의 재활용성을 위해 타임라인 상에 선택지가 개입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특정 타이밍에 선택지와 관련된 프리팹(Prefab)이 생성되면 각 결과에 대한 프리팹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황을 묘사하고, 그 선택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표시한다. 이후 다시 ScenarioSetter를 통해 분기를 적용시킨다.12 shows the procedure for performing ChoiceSetter of the Unity Timeline System. This ChoiceSetter uses a method in which choices intervene on the timeline for reusability of overlapping animations. That is, when a prefab related to a choice is created at a specific timing, a prefab for each result is cre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depicting the user's selection situation, and indicating whether the choice is positive or negative. After that, branch is applied again through ScenarioSetter.
도 13은 Unity Timeline System의 TimelineController 수행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타임라인의 재활용성을 위해서는 ChoiceSetter로부터 선택지의 프리팹이 생성될 때, 타임라인의 수행여부를 컨트롤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는 각 시나리오마다 주어지는 대사량이나 시간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TimelineContoller라는 모듈을 이용하는데, 이 TimelineContoller는 타임라인을 원하는 시점에 일시정지시키고 다시 재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거나 일반 포맷과 동떨어진 시나리오를 재현할 경우 활용된다.13 shows a TimelineController execution procedure of the Unity Timeline System. For the reusability of the timeline, when a prefab of a choice is created from the ChoiceSetter, a function to control whether the timeline is executed or not is required. This is because the metabolic rate or time given for each scenario is differen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odule called TimelineController. This TimelineController has a function to pause and reproduce the timeline at a desired point in time. It is mainly used when waiting for user input or reproducing a scenario tha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format. .
도 14는 ScenarioSetter와 UnityScene의 매칭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유니티 상에서 씬(Scene)이 비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결말 시나리오의 경우 _D, _N의 두 개의 씬만을 사용한다. 두 씬은 낮, 밤에 맞는 라이트 세팅을 하고 있으며, 씬 진입시 설정되는 storyNum의 값에 따라 시나리오 내용을 재현한다. 시나리오 케이스에 따라 달라지는 오브젝트 요소에 대해선 storyNum의 값에 따라 enable, disable 하게 된다.14 shows an example of matching between ScenarioSetter and UnityScene. In order to prevent a scene from being non-interactive in Unity, only two scenes _D and _N are used in the case of a multiple ending scenario. Both scenes have light settings for day and night, and the scenario content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storyNum value set when entering the scene. For object elements that vary depending on the scenario case, enable and disable according to the value of storyNum.
상기 구성 및 동작으로 이루어진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에 의해 생성되는 SOP 기반 현장지휘훈련 시나리오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는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연동되어 저장되어, 소방 훈련을 수행하는 현장지휘관의 요청에 의해 현장지휘관의 개인 단말기로 제공되어 현장지휘관이 소방활동 현장지휘체계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imulation training content based on the SOP-based field command training scenario generated by the
한편, 상기 LMS 서버(200)는 관리자가 Web을 통해 사용자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LMS 서버(200)는 사용자의 훈련 결과의 전달, 평가,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수행 결과를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 LMS 서버(200)는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화재유형별 소방 활동 현장지휘체계 훈련 콘텐츠와 연동이 가능하며, 훈련내용 및 사용자 정보를 관리자 페이지에서 조회 및 수정, 삭제가 가능하도록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현장지휘관이 시뮬레이션 훈련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15 to 17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field commander performs simulation training through the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생인 현장지휘관이 개인 단말기를 통하여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실행시, 회원가입과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 훈련하고자 하는 화재유형을 선택하여 화재 현장을 지휘하는 훈련을 수행하게 된다. 15 to 17 , when a field commander, a trainee, executes simulation training content through a personal terminal, after going through a membership registration and log-in process, a training to select a type of fire to be trained and command a fire scene will perform
상기의 구성 및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화재사고의 특성이 반영된 시나리오에 따라 구성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통하여 현장지휘관이 시뮬레이션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화재상황에서 현장을 신속하게 지휘하여 대응 시간을 단축하여 화재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The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nables the field commander to perform simulation training through the simulation training content configured according to the scenario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 accident, so that the site can be quickly commanded and responded to in an actual fire situation. By shortening the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fire damage.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와 LMS 서버(200) 및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가 서로 분리되어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네트워크 구축 환경에 따라 일체 또는 여러 개의 시스템으로 분산되어 구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And, of course,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 시나리오 편집 서버 110 : 중앙제어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통신부 150 : 인터페이스부
160 :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 161 : 화재유형 선정모듈
162 : 화재유형별 시나리오 편집모듈 163 : 돌발요소 구현모듈
164 :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 생성모듈 170 : 훈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200 : LMS 서버
300 :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100: scenario editing server 110: central control unit
120: input unit 130: output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interface unit
160: training content production engine 161: fire type selection module
162: Scenario editing module by fire type 163: Sudden element realization module
164: simulation training content generation module 170: training content database
200: LMS server
300: training evaluation database server
Claims (7)
현장지휘관이 개인 단말기를 통해 교육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화재유형별 화재상황의 훈련 시나리오를 편집하여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구현하는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와;
상기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에 의해 구현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통하여 개인 단말기로 훈련을 수행하는 현장지휘관의 훈련 결과를 평가 관리하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서버(200)와;
상기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 및 LMS 서버(200)를 통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훈련 평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As a system that provides simulation training contents to strengthen the response capability of field commanders of firefighting activities,
a scenario editing server 100 for implementing simulation training contents by editing a training scenario of a fire situation by fire type so that the on-site commander can conduct educational training through a personal terminal;
an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server 200 for evaluating and managing the training results of the field commander who performs training with a personal terminal through the simulation training content implemented by the scenario editing server 100;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a training evaluation database server (300) for storing and managing data generated through the scenario editing server (100) and the LMS server (200).
상기 시나리오 편집 서버(100)에는
화재를 유형별로 선정하고, 선정된 화재유형별로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기반으로 현장지휘관의 교육훈련을 위한 화재유형별 화재상황의 훈련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편집하며, 편집된 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구현하여 훈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하는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1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cenario editing server 100 has
Fires are selected by type, and training scenarios of fire situations by fire type are created and edited for on-site commander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each selected fire type, and simulation training contents are created according to the edited training scenarios.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training content production engine 160 to implement and store in the training content database (170).
상기 훈련 콘텐츠 제작 엔진(160)에는
화재 훈련을 하기 위한 대표적인 화재유형을 선정하는 화재유형 선정모듈(161)과,
상기 화재유형 선정모듈(161)을 통해 선정된 화재유형별로 SOP 기반 현장지휘훈련 최적 시나리오를 편집하는 화재유형별 시나리오 편집모듈(162)과,
화재 진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재 진행 방향 변경, 플래시오버(Flash Oover), 백드래프트(Back Draft)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돌발요소를 구현하는 돌발요소 구현모듈(163)과,
상기 화재유형별 시나리오 편집모듈(162)을 통하여 편집된 시나리오에 돌발요소 구현모듈(163)을 통하여 구현된 돌발요소를 포함시켜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 생성모듈(16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ining content production engine 160 has
A fire type selection module 161 for selecting a representative fire type for fire training;
a scenario editing module 162 for each fire type that edits the optimal scenario for SOP-based on-site command training for each fire type selected through the fire type selection module 161;
A sudden element implementation module 163 for implementing a sudden element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fire occurring in the course of a fire, a flash over, and a back draft;
A simulation training content generation module 164 for producing simulation training contents by including the unexpected element implemented through the sudden element implementation module 163 in the scenario edited through the scenario editing module 162 for each fire type is provided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상기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 생성모듈(164)은
화재유형별 화재상황을 모사하여 모델링하고, 화재 진압에 사용 가능한 재원과 현장 상황 정보를 구현하여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를 제작하며,
현장 지휘관은 개인 단말기를 통해 시뮬레이션 훈련 콘텐츠에 따라 상황실에서 전파되는 현장의 상황, 주변 지형, 건물 도면 정보를 전달받으며 현장지휘를 위한 준비 과정을 거치고, 자원 배치와 의사결정을 통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현장 지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imulation training content generation module 164 is
We simulate and model the fire situation by fire type, and create simulation training contents by implementing the financial resources available for fire suppression and on-site situation information.
The on-site command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on-site situation, surrounding terrain, and building drawing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room according to the simulation training content through a personal terminal, goes through the preparation process for on-site command,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field command to proceed.
상기 화재유형별 시나리오 편집모듈(162)은 시나리오의 시각화를 위해 Unity Timeline System을 사용하며,
상기 Unity Timeline System에는 시각화된 시나리오에 들어갈 대사들은 지정하는 ScnenarioSetter와, 각 시나리오마다 사용자에게 제시될 선택지를 지정하는 ChoiceSetter와, 상기 ScenarioSetter에 의해 구성된 대사들을 UI 화면상에 표시하는 TextMacher와, 상기 TextMacher를 통해 표시되는 대사들을 음성으로 재생하는 SoundPlayer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활동 현장지휘체계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cenario editing module 162 for each fire type uses the Unity Timeline System for scenario visualization,
The Unity Timeline System includes a ScenarioSetter that designates lines to be entered into a visualized scenario, a ChoiceSetter that designates options to be presented to the user for each scenario, a TextMacher that displays the lines configured by the ScenarioSetter on the UI screen, and the TextMacher. Firefighting field command system training sim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oundPlayer that reproduces the lines displayed through the voice.
상기 ChoiceSetter는 특정 타이밍에 선택지와 관련된 프리팹(Prefab)이 생성되면, 각 결과에 대한 프리팹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황을 묘사하고, 그 선택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표시한 후, ScenarioSetter를 통해 분기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ChoiceSetter, when a prefab related to a choice is created at a specific timing, a prefab for each result is cre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describes the user's selection situation, and indicates whether the selection is positive or negative. , a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by applying a branch through ScenarioSetter.
상기 ChoiceSetter로부터 선택지의 프리팹이 생성될 때,
TimelineContoller에서 각 시나리오마다 주어지는 대사량이나 시간에 따라 타임라인(Timeline)의 수행여부를 컨트롤하여, 타임라인을 일시정지시키고 다시 재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7. The method of claim 6,
When a prefab of a choice is created from the ChoiceSetter,
A training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timelin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etabolism or time given to each scenario in the TimelineController, the timeline is paused and reproduced aga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4796A KR102672179B1 (en) | 2021-04-28 | 2021-04-28 | System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s to strengthen response capabilities for fire fighting activity on-scene comman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4796A KR102672179B1 (en) | 2021-04-28 | 2021-04-28 | System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s to strengthen response capabilities for fire fighting activity on-scene comman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7816A true KR20220147816A (en) | 2022-11-04 |
KR102672179B1 KR102672179B1 (en) | 2024-06-04 |
Family
ID=8404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4796A KR102672179B1 (en) | 2021-04-28 | 2021-04-28 | System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s to strengthen response capabilities for fire fighting activity on-scene comman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217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776528A (en) * | 2023-04-03 | 2023-09-19 | 中国消防救援学院 | Emergency rescue method and system based on computer simulation exercis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9902A (en) * | 2008-08-11 | 2010-02-19 | 한국기계연구원 | Multi-system for fire simula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
KR20140117165A (en) | 2013-03-26 | 2014-10-07 | 맥스온소프트(주) | Virtual Fire Drill System and the Method |
KR20160110867A (en) * | 2015-03-13 | 2016-09-22 | 주식회사 세가온 |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of respose on disaster based on scenario |
KR20180081274A (en) * | 2017-01-06 | 2018-07-16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virtual reality |
KR101921579B1 (en) | 2017-06-22 | 2019-02-13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System and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 based on mobile augmented reality |
KR102073934B1 (en) | 2018-03-22 | 2020-02-05 |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 fire drill management system |
-
2021
- 2021-04-28 KR KR1020210054796A patent/KR1026721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9902A (en) * | 2008-08-11 | 2010-02-19 | 한국기계연구원 | Multi-system for fire simula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
KR20140117165A (en) | 2013-03-26 | 2014-10-07 | 맥스온소프트(주) | Virtual Fire Drill System and the Method |
KR20160110867A (en) * | 2015-03-13 | 2016-09-22 | 주식회사 세가온 |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of respose on disaster based on scenario |
KR20180081274A (en) * | 2017-01-06 | 2018-07-16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virtual reality |
KR101921579B1 (en) | 2017-06-22 | 2019-02-13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System and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 based on mobile augmented reality |
KR102073934B1 (en) | 2018-03-22 | 2020-02-05 |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 fire drill management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776528A (en) * | 2023-04-03 | 2023-09-19 | 中国消防救援学院 | Emergency rescue method and system based on computer simulation exercise |
CN116776528B (en) * | 2023-04-03 | 2024-04-19 | 中国消防救援学院 | Emergency rescue method and system based on computer simulation exerci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2179B1 (en) | 2024-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66163B2 (en) | System and method of interactive situation simulation | |
CN108230805B (en) | Electric power emergency drilling deduction system based on scene construction | |
CN113362671B (en) | Marine nuclear emergency drilling simulation system and drilling method | |
KR102116390B1 (en) | Disaster Countermeasures Training method capable to make training scene and system thereof | |
CA2749510C (en) | Virtual environment for critical incident response training | |
CN113990169A (en) | Distributed virtual simulation earthquake emergency drilling system | |
KR102589517B1 (en) | Simulation training and evaluation system for fire fighting activity on-scene command system | |
Limousin et al. | A new method and tools to scenarios design for crisis management exercises | |
KR20220147816A (en) | System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s to strengthen response capabilities for fire fighting activity on-scene commander | |
CN113836749B (en) | Earthquake rescue virtual exercise system | |
CN109003211A (en) | A kind of emergency drilling system and method | |
KR102169980B1 (en) | Method for disaster situation propagation and system thereof | |
US20150379170A1 (en) | Modelling and planning population movement scenarios | |
Tena-Chollet et al. | Design of a semi-virtual training environment (serious game) for decision-makers facing up a major crisis | |
CN112114860B (en) | Virtual reality content output and application integrated equipment | |
KR10211025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elated S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
Powell et al. | Fire play: ICCARUS—Intelligent command and control, acquisition and review using simulation | |
CN114037817A (en) | Three-dimensional simulation drill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Bharosa et al. | Extracting principles for information management adaptability during crisis response: A dynamic capability view | |
JP2913624B1 (en) | Disaster experience simulator | |
Ekyalimpa et al. | A prototype for project management game development using high level architecture | |
CN114882751B (en) | Voting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on questions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8230613B (en) | Virtual reality music teaching system based on contextual teaching method | |
Skogen et al. | Architecture of high fidelity simulation tool for crisis management training | |
Nuyens | Advanced collaboration techniques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