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259B1 -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elated S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elated SStandard Operating Proced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259B1
KR102110259B1 KR1020190050108A KR20190050108A KR102110259B1 KR 102110259 B1 KR102110259 B1 KR 102110259B1 KR 1020190050108 A KR1020190050108 A KR 1020190050108A KR 20190050108 A KR20190050108 A KR 20190050108A KR 102110259 B1 KR102110259 B1 KR 102110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p
linkage
unit
task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남희
여욱현
김영
Original Assignee
㈜유엔이
박남희
여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엔이, 박남희, 여욱현 filed Critical ㈜유엔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for generating a linke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OP), and a system thereof. The method for generating a linked SOP comprises the steps of: allowing the system for generating a linked SOP to display a plurality of SOP flow charts including a first SOP and a second SOP; allowing the system for generating a linked SOP to generate and add a connection object, which is to be connected to an object to be connected, wherein the object is at least one of objects on the second SOP, on the first SOP; and allowing the system for generating a linked SOP to generate a link between the connection object and the object to be connected, wherein a precedence relation between a first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bject of a first ag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OP and a second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object to be connected of a second agenc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OP is 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link. The method for generating a linked SOP and the system thereof enable task performers to train an electronic SOP scenario as necessary.

Description

연계 SOP 생성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elated SStandard Operating Procedure}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elated SStandard Operating Procedure}

본 발명은 전자화된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이용하여 재난대응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disaster response training using an electronic standardized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특히 플로우 차트화된 SOP를 이용하여 서로 개별적인 SOP 간에 연계성을 부여함으로써 개별적인 SOP에 따라 개별적인 훈련들을 수행하던 복수 기관들이 하나의 통합된 SOP를 통해 긴밀하게 상호작용을 갖는 통합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by using flow charted SOPs, linkage between individual SOPs is provided, so that multiple organizations that have been performing individual trainings according to individual SOPs can perform integrated training with close interaction through one integrated SOP. It relates to a method and its system.

SOP라 함은 넓게는 일의 순서나 과정 등으로 어떤 프로세스 혹은 작업을 처리하는데 품질을 보증할 수 있도록 단계 및 각 단계별로 하여야 할 행동을 정리 혹은 규정해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좁게는 재난현장에서 재난관련 기관 간 일사불란한 대응활동을 위해 사전에 미리 정한 업무절차, 재난신고 단계부터 현장출동, 대응활동 및 긴급복구에 걸쳐 재난대응기관 간의 대응절차를 규정한 것을 SOP라고 할 수 있다.The term SOP broadly means that the steps and actions to be performed for each step are arranged or defined so as to guarantee the quality in processing a process or task in a work order or process. More specifically, SOP is a provision that defines the response procedure between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from the stage of pre-determined business procedures and disaster reporting to on-site action, response activities, and emergency recovery for disaster-responsive response activities between disaster-related organizations at the disaster site. Can be.

본 명세서에서의 SOP는 재난뿐만 아니라, 복수의 인력들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직 또는 기관이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기 위해 규정한 일련의 대응절차를 의미한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재난일 수도 있고, 긴급상황, 위급상황 등 또는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소정의 상황 등 다양한 예가 존재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P means not only a disaster, but a series of response procedures prescribed by at least one organization or organization having a plurality of people to respond to a specific event. The specific event may be a disaster, and there may be various examples such as an emergency situation, an emergency situation, or a predetermined situation artificially occurring.

이러한 SOP를 관리하기 위해 종래에는 주로 종이문서로 일일이 각각의 대응단계 또는 단계별 행동절차 등을 규정하여 왔다. 하지만, 이처럼 종이문서로 SOP를 관리하는 경우, 방대한 양의 SOP 정보를 일일이 종이문서로 프린트 아웃(예컨대, 임무수첩 등)한 후 이를 소지하고 있도록, 각 요원들이 방대한 양의 SOP 또는 자신에 해당하는 SOP를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manage such SOP, conventionally, each response step or step-by-step action procedure has been stipulated by paper documents. However, in the case of managing the SOP with a paper document like this, each agent prints out a large amount of the SOP information as a paper document (for example, a mission notebook, etc.) and holds it, so that each agent has a large amount of the SOP or corresponds to himself. There was a problem to be familiar with SOP.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OP를 전자문서화 또는 DB화하여 자동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시도가 존재하였고, 그러한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10-2011-0099905)가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한국공개특허는 SOP를 전자문서화하고, 이를 통해 재난의 발생시에 재난 유형에 따라 유관기관에 효율적으로 상황전파를 하는데 그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ve been attempts to automatically manage the SOP by electronically documenting or DB, and as an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1-0099905) has been known. However, the above-mentioned Korean published patent is only to electronically document the SOP, thereby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situation to the relevant agencie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또한, 재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매우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하지만, 재난 상황에서는 수 많은 돌발 요인이 존재하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대응절차를 수행해야 하므로 재난 상황에 대한 대응절차는 매우 복잡하고 방대할 수 밖에 없어 종래와 같이 단순히 SOP를 전자문서화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도 일일이 각종 돌발 요인이나 상황에 따른 대응 절차를 신속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very quick response is required to minimize damage in the event of a disaster. However, in a disaster situation, there are a number of unexpected factors, and different response procedures must be performed accordingly, so the response procedure for a disaster situation is very complex and inevitab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grasp the response procedures according to various unexpected factors or situations.

따라서, 재난 상황에 대한 일련의 대응절차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513983호, "SOP 시나리오 구동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이하 '이전특허')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ystem and method to easily grasp and quickly perform a series of response procedures for a disaster situ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disclosed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1513983, "SOP scenario driv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hereinafter 'previous patent').

한편, 이전 특허 또는 종래의 SOP관련 선행기술에는 SOP에 따른 대응절차가 어느 하나의 개별기관이 수행하는 것을 고려하여 기술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patent or the prior art related to SOP is described in consideration that the correspond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SOP is performed by any one individual institution.

하지만 재난대응에는 통상 복수의 기관들(예컨대, 재난이 발생한 기관 및 재난 구조 기관 등)이 참여를 하게 되는데, 이들 기관들은 각각 서로 개별적인 SOP에 따라 대응을 하거나 또는 기관들 중 어느 하나는 SOP가 존재하지도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재난대응에 참여하는 기관들별로 서로 유기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response to disasters, a plurality of organizations (eg, disaster-causing agencies and disaster relief agencies) usually participate, and these agencies respon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OPs, or any one of them has an SOP. There are cases that do not.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rganically respond to each institution participating in the disaster response.

따라서 복수의 기관들이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대응절차 또는 SOP를 서로 연계하여 기관들간에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재난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응절차/SOP를 용이하게 연계하여 정의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cal idea that can be defined by easily linking response procedures / SOPs so that multiple organizations can perform disaster response while organicall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by linking response procedures or SOPs performed individually. .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제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난과 같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수행하여야 할 대응 절차를 플로우차트 형태로 가시화하고, 이러한 가시화된 플로우 차트와 훈련을 연계하여 효율적인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isualize a response procedure to be performed when a specific event such as a disaster occurs in the form of a flowchart.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efficient training by linking training with a flow chart.

또한 가시화된 플로우 차트에 기반하여 서로 개별적인 SOP를 연계시킬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to provide a method and a system for linking individual SOPs to each other based on a visualized flow char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연계 SOP 생성시스템이 제1기관에 상응하는 제1SOP 및 제2기관에 상응하는 제2SOP 각각에 포함된 오브젝트들별 임무내용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연계 SOP 생성시스템이 상기 오브젝트별 임무내용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SOP 및 상기 제2SOP 각각으로부터 서로 연계될 수 있는 오브젝트인 제1연계 오브젝트 및 제2연계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연계 SOP 생성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 및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 간의 연계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계 SOP 생성시스템이 생성한 상기 연계 링크상에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와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 각각의 임무내용들에 상응하는 링크 오브젝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오브젝트는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와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 각각의 임무내용에 상응하는 시간경과에 대한 내용을 오브젝트의 내용으로 포함하는 시간경과 오브젝트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ed SOP generation system analyzes the task content for each object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SOP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ganization and the second SOP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rganization, the linked SOP The generation system identifies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which are objects that can be linked to each other from each of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task contents for each object, and the linked SOP generation system Generating a link link between the specific first link object and the second link object, and task contents of each of the first link object and the second link object on the link link generated by the link SOP generation system And setting a link object corresponding to the link object, wherein the link object is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The information about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assignment information of each object and a time object that contains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표준대응절차에 따라 SOP 시나리오가 구동되는 상황뿐만 아니라,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임무 수행자들 또는 장비들이 훈련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전자화된 SOP 시나리오를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situation in which the SOP scenario is driven according to the actual standard response procedure, the SOP scenario that is digitized as necessary by allowing the mission performers or equipment to simulate the training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situation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you to train.

또한, 개별적인 기관들이 수행하도록 정의된 개별적인 SPO들 간을 플로우 차트 기반으로 용이하게 연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난대응에 참여하는 기관들간에 유기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enabling easy linkage between individual SPOs defined to be performed by individual organizations based on a flow chart,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an organic response between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disaster response.

또한 훈련의 효율과 직관적인 관제를 위해, SOP 플로우차트를 훈련의 선택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SOP 시나리오 중에서 훈련을 위한 SOP를 항상 상기 SOP 시나리오의 최초로부터 시작하지 않아도 임의의 시점에서 훈련을 시작하더라도 효율적인 훈련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for the efficiency and intuitive control of train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OP flowchart can be linked to the selection of training. In particular, among SOP scenarios, even if SOP for training is not always star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OP scenario, effective training is possible even if training is started at any time.

또한 SOP 시나리오 상에서 관리자가 원하는 임무 수행자 및/또는 장비를 선택적이고 효과적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t also has the effect of allowing managers to selectively and effectively train desired performers and / or equipment in SOP scenario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각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하는 SOP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플로우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이벤트에 대한 대응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플로우차트에 포함된 각 오브젝트의 형태가 변경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조직간의 대응 절차를 연결하는 링크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SOP 시나리오 간의 대응 절차를 연결하는 전환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SOP가 그룹으로 묶인 경우에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훈련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OP 시나리오의 구체적인 일 예 및 각각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임무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재난대응 훈련이 제어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상 시나리오가 생성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을 위한 센서 데이터가 시뮬레이션 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훈련모드 또는 일반모드 중 하나로 동작될 수 있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계 SOP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계 SOP를 생성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unit SOP displayed by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lowchart corresponding to an SOP scenario displayed by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to 4 (c)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shape of each object included in a flowchart is changed as a procedure for responding to an event progresses.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nk object connec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organizations.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witching object that connects the corresponding procedures between SOP scenarios.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a unit SOP included in a SOP scenario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ystem supporting a training mod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an SOP scenar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ask of a unit SOP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disaster response training is controlled through an SOP flow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virtual scenario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sensor data for training is simul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either a training mode or a normal mod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inked S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cept for generating a linked S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ransform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or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to the other component, or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th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other components. Conversely, when one component 'directly transmits' data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component to the other componen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other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denote the same memb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 SOP 생성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linked SOP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 SOP 생성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연계 SOP 생성시스템(이하, '시스템', 100)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n order to implement a method for generating a linked S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nked SOP generation system (hereinafter, 'system', 100) may be provided.

상기 시스템(100)은 SOP를 규정하고 수행하는 소정의 기관(또는 조직)이 운영하는 시스템(예컨대, 상황실 또는 관제실 서버 등)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The system 100 may be installed in a system (for example, a situation room or a control room server) operated by a predetermined institution (or organization) that defines and performs SOP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시스템(100)은 화재나 오염물질 유출과 같은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SOP 시나리오를 구동할 수 있다.The system 100 may drive a SOP scenario corresponding to the event when a predetermined event such as fire or pollutant leakage occurs.

상기 SOP 시나리오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에 수행되어야 할 SOP에 규정된 각각의 대응 단계 및 대응단계별 행동 및/또는 절차(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단위 SOP'라고 정의하기로 함)에 관한 정보 및 각 단위 SOP간의 선후관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P scenario is information on each response step and action and / or procedure for each response step defined in the SOP to be performed when the event occu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it SOP' in this specification). And information on seq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SOPs of each unit.

각 단위 SOP는 선후관계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선행 단위 SOP가 완료된 후에 후행 단위 SOP가 수행됨을 의미할 수 있다.Each unit SOP may have a precedence relationship, which may mean that the succeeding unit SOP is performed after the preceding unit SOP is completed.

한편, 상기 SOP 시나리오는 파일의 형태로 소정의 DB(Database;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SOP 시나리오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의 파일일 수 있다. SOP 시나리오가 저장되는 파일의 형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어떠한 형식이든 상기 SOP 시나리오는 전자화될 수 있다.Meanwhile, the SOP scenario may be stored in advance in a predetermined DB (Database) in the form of a file. In one embodiment, the SOP scenario may be a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format file. The format of the file in which the SOP scenario is stored may vary, and the SOP scenario may be digitized in any format.

상기 시스템(100)이 SOP 시나리오를 구동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SOP 시나리오 파일을 해석하고, 상기 SOP 시나리오에서 정의한 소정의 절차 혹은 기능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ystem 100 drives the SOP scenario, the system 100 may interpret the SOP scenario file and perform a predetermined procedure or function defined in the SOP scenario as described below.

상기 시스템(100)은 담당자의 구동 명령에 의해 소정의 SOP 시나리오를 구동할 수도 있지만, 화재 탐지 센서나 오염물 탐지 센서와 같은 소정의 탐지 장치(미도시)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별도의 명령이 없이도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SOP 시나리오를 자동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The system 100 may drive a predetermined SOP scenario by a driving command of a person in charge, but when receiving an event occurrence signal from a predetermined detection device (not shown) such as a fire detection sensor or a pollutant detection sensor, the user The SOP scenario corresponding to the event may be automatically driven without a separate command.

상기 시스템(100)은 SOP 시나리오를 진행하는 중에, 이벤트 발생 구역(200)에서 단위 SOP를 수행하여야 할 임무요원들의 단말(예를 들면, 210)과 통신하여, 임무요원들이 수행하여야 할 임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임무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필요한 경우, 상기 SOP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구역(200) 혹은 상기 이벤트에 대응해야 할 기관 내에 설치된 소정의 내부방송설비(150)를 통해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필요한 경우, 상기 이벤트의 대응에 협조하여야 하는 외부 기관(300; 예를 들면, 재난의 종류에 따라, 소방방재청, 경찰청, 시청 등)의 미리 정해진 장치(예컨대, 신고를 수신하는 장치 등) 및/또는 담당자의 단말(310)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During the SOP scenario, the system 100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for example, 210) of mission personnel to perform a unit SOP in the event generation zone 200, and transmits a mission message to be performed by the mission personnel. It is possible to transmit or receive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confirm that the mission has been completed.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system 100 may transmit a message through an area 200 in which an event corresponding to the SOP scenario has occurred or a predetermined internal broadcasting facility 150 installed in an organization that should respond to the event. . In addition, the system 100, if necessary, a predetermined device (e.g., report of the fire department,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city hall, etc.) to cooperate with the response of the event (300;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ster) ) And / or the terminal 310 of the person in charge.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SOP를 운영하는 기관의 소정의 서버에 설치되거나, 상기 서버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시스템(100)을 위한 물리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100 may be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server of the institution operating the SOP, or may be implemented as a physical device for the system 100 independently of the server.

한편, 상기 시스템(100)은 일반(관제)모드와 훈련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ystem 100 may provide a general (control) mode and a training mode.

일반(관제)모드는 실제로 소정의 기관 또는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센서 및 기타 관제 설비(CCTV, 마이크 등)를 통해 실질적으로 관제 및/또는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실제로 재난의 발생을 대비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general (control) mode may mean a mode that actually prepares for a disaster by actually performing control and / or monitoring through sensors and other control facilities (CCTV, microphone, etc.)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nstitution or monitoring area. have.

이에 반해 훈련모드는 가상의 이벤트(재난상황)을 가정하여 해당 이벤트에 부합하는 SOP 시나리오를 모의로 수행해볼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ining mode may mean a mode in which a SOP scenario matching the event can be simulated by assuming a virtual event (a disaster situation).

그리고 상기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훈련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은 SOP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SOP 플로우 차트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And the training mode provided by the system 10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OP flow chart showing the SOP scenario as described above.

SOP 플로우 차트에 기반하여 훈련이 수행된다고 함은, SOP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훈련의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SOP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훈련의 시작시점(시작할 단위 SOP) 및/또는 종료시점(종료할 단위 SOP), 훈련의 대상자, 및/는 훈련에 참여할 장비를 특정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rain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SOP flow chart, not only can the progress of the training be checked using the SOP flow chart, but also the start time (unit SOP to start) and / or end of the training using the SOP flow chart The time point (unit SOP to end), the subject of the training, and / or may mean that the equipment to participate in the training can be specified.

이를 통해 관리자는 단순히 어느 하나의 SOP 시나리오를 처음부터 끝까지 훈련으로써 수행하는 것 이외에도, 집중적인 훈련이 필요한 임무, 임무 수행자, 또는 장비 등을 용이하게 특정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in addition to simply performing any one SOP scenario from start to finish, the manager has an effect of easily specifying and training a mission, mission performer, or equipment requiring intensive training.

상기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모듈(110), 제어모듈(120), SOP DB(140), 및 훈련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권한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10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10, a control module 120, a SOP DB 140, and a training module 150. Th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n authorization module 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components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ystem 100 is more than this Of course, it may include many components.

상기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제어모듈(120), 권한모듈(130), 훈련모듈(150), 및/또는 SOP DB(14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제어모듈(120), 권한모듈(130), 훈련모듈(150), 및/또는 SOP DB(140) 등 각각의 모듈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The system 100 may include hardware resources and / or software necessary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one physical component or one device. That is, the system 100 may mean a logical combination of hardware and / or software provid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necessary, are installed in devi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erform respective functions.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t of logical component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system 100 may refer to a set of components that are separately implemented for each function or rol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110, the control module 120, the authorization module 130, the training module 150, and / or the SOP DB 140 may be located in different physical devices, and the same physical It may be located on the devic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xample, each module such as the display module 110, the control module 120, the authorization module 130, the training module 150, and / or the SOP DB 140 is also connected to different physical devices. It is also possible to realize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respective modules by organically combining configurations located in different physical devices.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perform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module may mean a logical unit of a predetermined code and a hardware resource for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a type of hardware. It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모듈(1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모듈(110), 권한모듈(130), 훈련모듈(150), 및/또는 SOP DB(14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20 includes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110, the authorization module 130, the training module 150, and / or) included in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functions and / or resources of the SOP DB 140 may be controlled.

상기 SOP DB(140)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표준적인 대응절차를 정의한 SOP 시나리오를 저장할 수 있다.The SOP DB 140 may store SOP scenarios defining standard response procedures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B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table, or may be used in a sense further including a separate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searching,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linked-list, a tree, and a relational DB, and includes all data storage media and data structures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DB. Can be used.

SOP 시나리오는 복수의 단위 SOP에 관한 정보 및 각 단위 SOP 간의 선후관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P scenario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unit SOPs and information about seq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each unit SOP.

한편, 각 단위 SOP는 타입(속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단위 SOP의 타입은 임무 타입, 판단 타입, 내부상황전파 타입, 외부상황전파 타입, 내외부상황전파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each unit SOP may have a type (attribute), and the type of the unit SOP may be any one of a mission type, a judgment type, an internal context propagation type, an external context propagation type, and an internal and external context propagation type.

임무 타입의 단위 SOP는 소정의 임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임무라 함은, 상기 임무를 수행할 대응요원 또는 대응팀(임무 수행자라고도 함)이 실행해야 할 행동 혹은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임무에 관한 정보는 임무의 개요, 적어도 하나의 세부 임무정보 및 각 세부 임무를 수행하기로 지정된 대응요원 혹은 대응팀에 관한 정보, 해당 임무를 총괄하는 담당자 혹은 팀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행동, 절차뿐만 아니라, 상기 행동, 절차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부가정보(예를 들면, 최단 경로, 소지품 등)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task type unit SOP may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a given task. Here, the term mission may mean an action or procedure to be performed by a response agent or a response team (also referred to as a mission performer) to perform the task. The miss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overview of the mission, at least one detailed mission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a response agent or response team designated to perform each detailed mission, information about a person in charge or team overseeing the miss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actions and procedures, additional information (eg, the shortest path, belongings, etc.) for efficiently performing the actions and procedures may be further included.

판단 타입의 단위 SOP는 소정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조건에 관한 정보는 예/아니오의 판단이 필요한 상황에 관한 정보, 판단 기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단 시 참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한 부가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조건에 관한 정보는 소정의 수치(예컨대, 센서 데이터)에 따라 진행할 SOP가 다를 경우, 상기 수치별로 진행할 후행 SO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type unit SOP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situation in which the determination of yes / no is required, information on a judgment criterion, and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on matters to be considered for reference when determining. Alternatively, if the SOP to proce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alue (eg, sensor data) is different, the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subsequent SOP to proceed for each value.

내부상황전파 타입, 외부상황전파 타입, 내외부상황전파 타입의 단위 SOP는 전파할 메시지의 내용, 전파할 대상에 관한 정보, 전파 수단(예를 들면, 사내방송을 통한 전파, SMS 메시지로 전파, FAX를 통한 전파, 전용 프로그램으로 메시지 송신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Unit SOP of internal situation propagation type, external situation propagation typ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propagation type, the content of the message to be propagated,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be propagated, and propagation means (for example, propagation through in-house broadcasting, SMS message propagation, FAX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radio waves through, transmission of messages to dedicated programs, etc.).

상기 SOP 시나리오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성되어 상기 SOP DB(140)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전용 SOP 시나리오 작성 소프트웨어를 통해 작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텍스트 편집기와 같은 범용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성/수정될 수도 있다.The SOP scenario may be prepared in various ways and stored in the SOP DB 140. In particular, it may be created through dedicated SOP scenario creation softwa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reated / modified through a general-purpose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such as a text editor.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각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및 각 단위 SOP간의 선후관계를 소정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상기 SOP를 통합 지휘하는 자의 단말)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SOP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각 단위 SOP를 플로우차트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odule 110 is to display the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unit SOP included in the SOP scenario and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each unit SOP to a predetermined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of the person who conducts the SOP) Can be. That is, the display module 110 may display each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OP scenario in the form of a flowchart.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오브젝트의 형태는 그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타입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데, 그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각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shape of the object displayed by the display module 110 may be determined by a type of a unit SOP corresponding thereto, an example of which is illustrated in FIG. 2.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unit SOP displayed by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임무타입의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는 외각이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1
(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판단 타입인 경우에는 외각이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2
(마름모) 형태, 내부상황전파 타입인 경우에는 외곽이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3
(제1방향이 제2방향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 외부상황전파 타입인 경우에는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4
(상기 제2방향이 상기 제1방향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 내외부상황전파 타입인 경우에는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5
형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nit SOP of the mission type has an outer shell.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1
(Square) It can be in the form, and in case of judgment type, the outer shell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2
(Rhombus) In the case of the type, internal situation propagation type, the outer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3
(Trapezoid with the first direction longer than the second direction)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4
(The second direction is a trapezoid longer than the first direction) In the case of a type, inside and outside situation propagation type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5
It can be older brother.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각 단위 SOP의 타입에 상응하는 오브젝트의 모양은 도 2와 상이할 수 있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Of cours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xample, the shap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each unit SOP may be different from FIG. 2,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SOP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플로우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예시는 각 오브젝트가 도 2에서 정의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상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임무 1(2), 메시지 1 전파(3)에 상응하는 단위 SOP는 완료되었으며, 임무 2(4)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진행 중인 경우를 도시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lowchart corresponding to an SOP scenario displayed by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ample of FIG. 3 represents a case where each object is assumed to have a shape defined in FIG. 2. In addition, FIG. 3 shows a case in which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mission 1 (2) and the message 1 propagation 3 is completed, and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mission 2 (4) is in progress.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이 반드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SOP 시나리오의 시작 및 끝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 14)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링크 오브젝트, 전환 오브젝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module 110 does not necessarily display only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unit SOP, and may display objects 1 and 14 indicating the start and end of the SOP scenario shown in FIG. 3, and links as described below. Objects and transition objects may be further displayed.

물론 각각의 단위 SOP에 상응하는 임무에 대한 정보(임무 수행자, 임무의 내용, 전파 대상 등)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에 의해 소정의 단말기(예컨대, 관리자의 단말기, 관제실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현재 실전 또는 훈련에서 수행되고 있는 단위 SOP가 타 단위 SOP에 비해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Of course, information about the task corresponding to each unit SOP (mission performer, task content, propagation target, etc.) is transmitted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eg, the terminal of the administrator, the display device of the control room, etc.) by the display module 110. Of course it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unit SOP currently being performed in practice or training may be displayed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unit SOPs.

도 3을 참조하면, 일련의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가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series of unit SOPs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각 오브젝트마다 그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개요, 제목, 혹은 대표되는 세부임무를 디스플레이하여, 지휘자가 해당 오브젝트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임무 타입의 경우에는 해당 임무를 수행할 요원 혹은 팀에 관한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임무 2(4)는 임무명 이외에도 임무를 수행할 팀(팀 2)를 더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10 may display the outline, title, or representative detailed task of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so that the conductor can grasp the content of the objec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mission type, it is possible to further display information about an agent or team to perform the mission. For example, it can be confirmed that task 2 (4) of FIG. 3 further includes a team (team 2) to perform the task in addition to the task nam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각 오브젝트를 상기 SOP 시나리오에 정의된 선후관계에 따라 지시자(예를 들면, 화살표)로 연결하여, 단위 SOP간의 선후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단위 SOP 간의 선후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행하는 단위 SOP가 완료된 후에 후행하는 단위 SOP가 수행되는 관계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10 may connect each object with an indicator (for example, an arrow) according to the sequential relationship defined in the SOP scenario to easily grasp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unit SOPs. As described above,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unit SOPs may mean a relationship in which a subsequent unit SOP is performed after the preceding unit SOP is completed.

한편, 선후관계는 반드시 1:1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1:다수 혹은 다수:1의 관계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무 2(4)의 후행 단위 SOP는 임무3(5) 및 메시지2의 내부전파(6)이며, 임무 7(13)의 선행 단위 SOP는 조건 1(10) 및/또는 임무 6(12)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quential relationship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1: 1, and in some cases, it may be a 1: many or a majority: 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trailing unit SOP of task 2 (4) is the internal propagation 6 of task 3 (5) and message 2, and the preceding unit SOP of task 7 (13) is condition 1 (10) and / or mission 6 (12).

1:다수의 관계를 가지는 단위 SOP들의 경우, 선행 단위 SOP가 완료되면 다수의 후행 단위가 모두 수행될 수도 있으며, 구현 예 또는 소정의 실행 설정에 따라, 다수의 후행 단위 SOP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의 단위 SOP만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1의 관계를 가지는 단위 SOP들의 경우, 모든 선행 단위 SOP가 완료된 후에 후행 단위 SOP가 수행될 수도 있지만, 구현 예 또는 소정의 실행 설정에 따라, 다수의 선행 단위 SOP 중 일부만 완료되는 경우에 후행 단위 SOP가 수행될 수도 있다.1: In the case of unit SOPs having multiple relationships, when the preceding unit SOP is completed, all of the plurality of trailing units may be performed, an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or a predetermined execution setting, some of the plurality of trailing unit SOPs selected by the user Only unit SOP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unit SOPs having a relationship of multiple: 1, the succeeding unit SOP may be performed after all the preceding unit SOPs are completed, but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or a predetermined execution setting, when only some of the plurality of preceding unit SOPs are completed The trailing unit SOP may be performed.

한편,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복수의 단위SOP 중 수행될 차례가 된 단위SOP에 설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은 상기 SOP 시나리오가 작성될 때 각 단위 SOP 별로 설정되며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20)이 수행하는 작업 또는 상기 제어모듈(120)이 수행하는 작업 및 임무 수행자가 수행하는 작업이 해당 단위 SOP에 상응하는 임무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120 may perform a task set in the unit SOP that is the turn to be performed among the plurality of unit SOPs. Here, the work may be set for each unit SOP when the SOP scenario is prepared, and may mean a func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module 120. The task performed by the control module 120 or the task performed by the control module 120 and the task performed by the task performer may be a task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unit SOP.

임무 타입의 단위 SOP에는 소정의 임무수행주체의 단말로 임무 메시지를 전송하는 작업 또는 소정의 내부방송설비로 상기 임무 메시지를 전파하는 작업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20)은 임무 타입의 단위 SOP에 설정된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임무 타입의 단위 SOP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완료신호를 입력받거나 혹은 상기 임무 수행자의 단말로부터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대기 중인 임무 타입의 단위 SOP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후행 단위 SOP에 설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3의 임무 5(5)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완료된 경우 임무 5(9)의 테두리에 있는 원을 선택하여 해당 단위 SOP의 완료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A task type unit SOP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task message to a terminal of a given task execution subject or to transmit the task message to a predetermined internal broadcasting facility.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120 may perform a task set in the task type unit SOP and wait until the task type unit SOP is completed. Thereafter, when a comple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or when a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task performer, it is determined that the unit SOP of the waiting task type is completed, and the operation set in the subsequent unit SOP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task 5 (5) of FIG. 3 is completed, the user may select a circle on the border of the task 5 (9) and input the complet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unit SOP.

판단 타입의 단위 SOP에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판단 타입의 단위 SOP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SOP 시나리오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에 상기 조건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해당 조건을 판단할 담당자의 단말로 상기 조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입력 또는 상기 담당자 단말로부터의 반환신호를 기다릴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예 혹은 아니오에 해당하는 입력을 수신하거나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예 혹은 아니오에 해당하는 반환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조건이 만족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3의 조건 1(10)의 테두리에 있는 두 개의 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예 혹은 아니오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type unit SOP may be set to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In on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module 120 performs the unit SOP of the judgment type, the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displaying the SOP scenario or the terminal of the person in charge to determine the condition You can send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 and wait for the user's input or the return signal from the person in charge, and receive the input for yes or no from the user, or the return signal for yes or no from the person in charge. , It can be judged wheth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two circles on the border of condition 1 (10) in FIG. 3 and input a signal corresponding to yes or no.

내부상황전파 타입의 단위SOP는 상기 내부방송설비로 내부전파메시지를 출력하는 작업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내부방송설비로 해당 단위 SOP에 설정된 내부전파메시지를 송출한 직후, 또는 송출하고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해당 단위 SOP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outputting an internal propagation message to the internal broadcasting facility may be set for the unit SOP of the internal situation propagation type.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20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unit SOP is completed immediately after transmitting the internal radio message set in the corresponding unit SOP to the internal broadcasting facility, or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has elapsed after the transmission.

외부상황전파 타입의 단위 SOP는 소정의 외부단말로 외부전파메시지를 출력하는 작업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외부단말로 외부전파메시지를 출력한 직후, 또는 출력하고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해당 단위 SOP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unit SOP of the external situation propagation type may be set to output an external propagation message to a predetermined external terminal.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20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unit SOP is completed immediately after outputting the external radio message to the external terminal, or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내외부상황전파 타입의 단위 SOP는 소정의 내부방송설비로 내부전파메시지를 송출하고, 소정의 외부단말로 외부전파메시지를 출력하는 작업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외부단말로 외부전파메시지를 출력하고 내부 전파메시지를 송출한 직후, 또는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해당 단위 SOP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Unit SOP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ext propagation type may be set to transmit an internal propagation message to a predetermined internal broadcasting facility and output the external propagation message to a predetermined external terminal.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20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unit SOP is completed immediately after outputting an external radio message to an external terminal and sending an internal radio message, or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has elapsed.

한편, 상기 제어모듈(120)은 작업이 수행된 상기 단위SOP가 완료되는 경우 각 단위SOP 간의 선후관계에 기초하여 다음에 수행될 단위SOP를 결정하고, 이를 수행하는 과정을 SOP 시나리오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nit SOP in which the work is performed is completed, the control module 120 determines the next unit SOP to be performed based on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each unit SOP, and when the SOP scenario ends,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unit SOP is performed. You can repeat until

한편, 각 오브젝트는 그에 상응하는 각 단위 SOP의 수행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행 상태는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수행되기 이전 상태인 '수행 전' 상태,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수행되었으나 아직 그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완료되기 전인 '진행 중' 상태 또는 '완료된'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더 많은 종류의 수행 상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되지 않고 다음 단위 SOP로 '건너 뛴' 상태 등이 있을 수 있다.Meanwhile, each object may display information regarding the execution state of each unit SOP corresponding thereto. In one embodiment, the execution state is the 'before execution' state, which is the state prior to being performed by the control module 120, and is still in progress' before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unit module SOP is completed. It may be either a 'state' or a 'completed' state,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re may be more types of execution states. For example, there may be a state that is not executed and is 'skip' to the next unit SOP.

각 단위 SOP의 상태는 상기 SOP 시나리오가 진행됨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각 단위 SOP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오브젝트의 모양을 변경하거나 오브젝트에 해당 상태에 상응하는 특수한 시각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SOP가 실행되기 전에는 도 3의 임무 4(7)나 메시지 3 외부전파(8)와 같이 오브젝트의 바탕을 투명/하얀색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단위 SOP가 실행 중인 경우에는 도 3의 임무 2(4)와 같이 테두리가 두꺼운 시각적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 도 3의 메시지 1전파(3)와 같이 이미 완료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는 배경이 소정의 색깔(혹은 패턴)로 채워진 시각적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The status of each unit SOP may change as the SOP scenario progresses, and the display module 110 changes the shape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of each unit SOP or a special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object. You can add visual effects. For example, before the unit SOP is executed, the background of the object may be displayed in a transparent / white color, such as the mission 4 (7) of FIG. 3 or the message 3 external propagation (8), and when the unit SOP is executed, FIG. 3 As in Mission 2 (4), a thick visual effect may be added.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lready completed unit SOP, such as message 1 propagation 3 in FIG. 3, may be added with a visual effect in which the background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color (or pattern).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상기 SOP 시나리오가 진행됨에 따라 각 오브젝트를 연결하는 화살표의 형태도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as the SOP scenario progresses, the display module 110 may change the shape of an arrow connecting each object.

도 4(a) 내지 도 4(c)는 이벤트에 대한 대응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이 플로우차트에 포함된 각 오브젝트의 형태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a) to 4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10 changes the shape of each object included in a flowchart as a procedure for responding to an event progresses.

도 4(a)는 도 3의 메시지1 전파(3)부터 임무4(7)까지의 오브젝트 부분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4(a)는 메시지1 전파(3)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완료된 후에 임무 2(4)에 설정된 작업이 수행되고, 임무2(4)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완료를 기다리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a)와 같은 상황에서, 임무 2(4)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20)은 후행 단위 SOP인 임무 3(5)에 상응하는 단위 SOP 및 메시지2 전파(6)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수행할 수 있다.Figure 4 (a) is a diagram showing only the part of the object from the message 1 propagation (3) to mission 4 (7) of FIG. That is, FIG. 4 (a) shows a case in which the operation set in the task 2 (4) is performed after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1 propagation 3 is completed, and is waiting for the completion of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task 2 (4). Shows. In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4 (a), when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task 2 (4) is completed, the control module 120 propagates the unit SOP and message 2 corresponding to the task 3 (5), which is the succeeding unit SOP.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6) can be performed.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수행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의 모양을 제1변형모양으로 변경하거나 소정의 제1시각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는데, 그 예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무3(5-1) 및 메시지2전파(6-1)의 테두리를 두꺼운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수행된 단위 SOP가 완료되면, 완료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의 모양을 제2 변형모양으로 변경하거나 소정의 제2시각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무2(4-1)의 배경을 소정의 색깔(혹은 패턴)로 채운 시각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Then, the display module 110 may change the shap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performed unit SOP to a first deformation shape or add a predetermined first visual effect, an example of which is illustrated in FIG. 4 (b). . As shown in FIG. 4 (b), the display module 110 may deform the borders of the mission 3 (5-1) and the message 2 propagation (6-1) into a thick form.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rformed unit SOP is completed, the display module 110 may change the shap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d unit SOP to a second deformation shape or add a predetermined second visual effect. As shown in FIG. 4 (b), a visual effect of filling the background of task 2 (4-1) with a predetermined color (or pattern) may be added.

이후, 도 4(b)의 임무3(5-1)에 상응하는 단위 SOP 및 메시지2전파(6-1)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후행 단위 SOP인 임무 4(7)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임무 3(5-2) 및 메시지2전파(6-2)의 배경을 변경하고, 수행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임무4(7-1)의 테두리를 두꺼운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task 3 (5-1) of FIG. 4 (b) and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2 propagation 6-1 are completed, the control module 120 is a task that is a trailing unit SOP. A unit SOP corresponding to 4 (7) may be performed, and the display module 110 may transmit task 3 (5-2) and message 2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d unit SOP as shown in FIG. 4 (c). The background of (6-2) can be changed, and the border of task 4 (7-1) corresponding to the performed unit SOP can be changed to a thick form.

상술한 예에서는 오브젝트의 테두리를 변경하거나, 배경을 변경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경 전의 오브젝트와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변형도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example, the example of changing the border of the object or changing the background has been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kind of modification that can be visually distinguished from the object before the change is possibl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adily understan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100)은 SOP 절차를 플로우차트의 형태로 가시화하며, 추후 수행되어야 할 임무나 현재 진행 중인 임무를 시각적으로 달리 표현하므로 임무를 총괄하는 담당자나 임무수행자들이 복잡한 SOP 절차를 용이하게 이해하고, 신속하게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100 visualizes the SOP procedure in the form of a flowchart, and visually expresses a task to be performed later or a task currently in progress differently. B.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for mission performers to easily understand complicated SOP procedures and to quickly track progress.

한편, 급박한 돌발 상황이 발생하거나 혹은 다른 요인에 의해 순서상으로 아직 수행될 차례가 되지 않은 단위 SOP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SOP 시나리오에서 정의된 순서에 따라 실행될 차례가 된 단위 SOP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선택한 단위 SOP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20)은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단위 SOP 각각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위 SOP에 설정된 작업을 수행하고, 선택된 상기 단위 SOP가 완료되는 경우 각 단위 SOP 간의 선후관계에 기초하여 다음에 수행될 단위 SOP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2차 대응(9)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20)은 2차대응(9)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행되는 모든 단위 SOP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어 시작(1)부터 소방서지원요청(8)까지의 모든 오브젝트의 배경이 변경되고, 2차 대응(9)의 테두리가 두껍게 시각적 효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반면, 구현 예에 따라 복수의 단위 SOP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도 3의 상태에서 2차 대응(9)에 테두리가 두껍게 되는 시각적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necessary to perform a unit SOP that is not yet in order to be performed in order due to an emergency situation or other factors. To this end, the control module 120 may perform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unit SOP selected by the user as well as the unit SOP that is in turn to be executed in the order defined in the SOP scenario. That is, when any one of the objec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ed unit SOP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module 120 performs a task set in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and the selected unit SOP When is completed, a unit SOP to be performed next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each unit SOP. For example, in a situation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ary response 9, the control module 120 may perform a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econdary response 9 . In this case, it is considered that all preceding unit SOPs are completed, and the background of all objects from the start (1) to the fire department support request (8) is changed, and the border of the secondary response (9) can be displayed with a thick visual effect. have. 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xample, a plurality of unit SOPs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in this case, a visual effect of thickening the border to the secondary counter 9 in the state of FIG. 3 may be added.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하면, 긴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지휘자가 적합한 단위 SOP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the situation by allowing the conductor to select and perform a suitable unit SOP.

한편, 하나의 SOP 시나리오 상의 절차는 여러 개의 조직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OP 시나리오의 절차 중 일부는 제1조직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며, 나머지 일부는 제2조직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SOP 시나리오에는 서로 다른 조직간의 대응절차를 연결하기 위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 procedure in one SOP scenario may be performed by multiple organizations. For example,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some of the procedures of the SOP scenario should be performed by the first organization and the other part by the second organization. In this case, the SOP scenario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for connecting a response procedure between different organizations.

이러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조직간의 대응절차의 연결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조직간의 대응절차의 연결을 표현하는 위한 링크 오브젝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의 예시에서와 같이 링크 오브젝트는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6
(원형)의 형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module 110 may further display a link object for expressing the connection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organizations to visualize the connection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organizations,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do. As in the example of Figure 5, the link object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6
It may be in the form of (circul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 one of various forms.

도 5는 제1조직에서 진행할 제1SOP절차(412-1), 제2조직에서 진행할 제2SOP절차(412-2)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SOP절차(412-1) 및 제2SOP절차에 포함된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는 생략되어 있다.5 illustrates a first SOP procedure 412-1 to be performed by the first organization and a second SOP procedure 412-2 to be performed by the second organiz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unit SOP included in the first SOP procedure 412-1 and the second SOP procedure are omitted.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제1SOP절차(412-1)에 포함된 소정의 선행 단위 SOP와 제2SOP절차(412-2)에 포함된 소정의 후행 단위SOP간의 연결관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링크 오브젝트(413, 414)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제1SOP 절차에 포함된 선행 단위 SOP와 링크 오브젝트(413)을 연결하는 지시선, 링크 오브젝트(413), 링크 오브젝트(414)를 연결하는 지시선 및 링크 오브젝트(414)와 후행 단위 SOP를 연결하는 지시선을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서로 다른 조직에서 수행될 선행 단위 SOP와 후행 단위 SOP간의 연결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20)은 제1SOP절차(412-1)에 포함된 상기 선행 단위SOP에 설정된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제2SOP절차(412-2)에 포함된 상기 후행 단위SOP를 다음에 수행될 단위SOP로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odule 110 is a link to expres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redetermined preceding unit SOP included in the first SOP procedure 412-1 and a predetermined succeeding unit SOP included in the second SOP procedure 412-2. The objects 413 and 414 may be further displayed. 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10 includes a leader line connecting the preceding unit SOP and the link object 413 included in the first SOP procedure, a link object 413, a leader line connecting the link object 414, and a link object 414. By further displaying a leader line connecting the trailing unit SOP,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ing unit SOP and the trailing unit SOP to be performed in different organizations.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set in the preceding unit SOP included in the first SOP procedure 412-1 is completed, the control module 120 follows the succeeding unit SOP included in the second SOP procedure 412-2. It can be determined by the unit SOP to be performed.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현재 진행 중인 단위 SOP에 상응하는 SOP 절차 및 상기 현재 진행 중인SOP절차와 연결된 링크 오브젝트(413)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상기 제1SOP절차(412-1)가 진행 중인 경우, 제1SOP절차(412-1) 및 링크 오브젝트(413)만을 디스플레이하고, 링크 오브젝트(414), 제2SOP절차(412-2)는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unlike in FIG. 5, the display module 110 may display only the SOP procedur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unit SOP and the link object 413 connected to the current ongoing SOP procedure. For example, when the first SOP procedure 412-1 is in progress, the display module 110 displays only the first SOP procedure 412-1 and the link object 413, and the link object 414 and the first The 2SOP procedure 412-2 may not be displayed.

이후 절차가 계속 진행되어 링크 오브젝트(413)과 연결된 상기 제1SOP절차(412-1) 내의 단위 SOP가 완료되어, 링크 오브젝트(414)와 연결된 상기 제2SOP절차(412-2) 내의 단위SOP가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현재 진행 중인 SOP절차인 제2SOP절차(412-2) 및 이와 연결된 링크 오브젝트(41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procedure continues to complete the unit SOP in the first SOP procedure 412-1 connected to the link object 413, and the unit SOP in the second SOP procedure 412-2 connected to the link object 414 is recalled. When performed by the control module 120, the display module 110 may display a second SOP procedure 412-2, which is an ongoing SOP procedure, and a link object 414 connected thereto.

한편,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염 등으로 인해 2차 피해, 예를 들면, 오염물 유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SOP 시나리오는 다른 SOP 시나리오와 연동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특정 SOP 시나리오에는 타 SOP 시나리오와의 연결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vent of a fire, there may be a case where secondary damage occurs due to a flame, for example, an event such as pollutant leakage. Therefore, a specific SOP scenario needs to be linked with other SOP scenarios. To this end, specific SOP scenarios may further include connection information with other SOP scenarios.

이러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SOP 시나리오 간의 대응절차의 연결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SOP 시나리오 간의 대응절차의 연결을 표현하는 전환 오브젝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예에서와 같이 전환 오브젝트는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7
형태의 외곽을 가지는 도형으로 표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module 110 may further display a switching object representing the connection of the corresponding procedure between the SOP scenarios to visualize the connection of the corresponding procedure between the SOP scenarios,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Shall be As in the example of Figure 6, the transition object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7
It may be expressed as a figure having an outline of a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ne of various shapes.

도 6은 제1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SOP시나리오(410) 및 제2이벤트에 상응하는 제2SOP시나리오(420)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SOP시나리오(410) 및 제2SOP시나리오(420)에 포함된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는 생략되고, 간략히 박스형태(412, 422)로 표현된다.6 shows a first SOP scenario 410 corresponding to a first event and a second SOP scenario 420 corresponding to a second ev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unit SOP included in the first SOP scenario 410 and the second SOP scenario 420 are omitted, and are briefly expressed in box shapes 412 and 422.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제1SOP시나리오(410)에 포함된 소정의 선행 단위 SOP와 제2SOP시나리오(420)에 포함된 소정의 후행 단위SOP간의 연결관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전환 오브젝트(417)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제1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선행 단위 SOP와 전환 오브젝트(417)을 연결하는 지시선, 전환 오브젝트(417), 전환 오브젝트(421)를 연결하는 지시선 및 전환 오브젝트(421)와 후행 단위 SOP를 연결하는 지시선을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서로 다른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선행 단위 SOP와 후행 단위 SOP간의 연결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20)은 제1SOP시나리오(410)에 포함된 상기 선행 단위SOP에 설정된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제2SOP시나리오(420)에 포함된 상기 후행 단위SOP를 다음에 수행될 단위SOP로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odule 110 is a conversion object 417 to expres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redetermined preceding unit SOP included in the first SOP scenario 410 and a predetermined succeeding unit SOP included in the second SOP scenario 420. Can be further displayed. 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10 includes a leader line connecting the preceding unit SOP and the conversion object 417 included in the first SOP scenario, a conversion object 417, a leader line connecting the conversion object 421, and a conversion object 421. By further displaying a leader line connecting the trailing unit SOP,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ing unit SOP and the trailing unit SOP included in different SOP scenarios.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set in the preceding unit SOP included in the first SOP scenario 410 is completed, the control module 120 performs the next unit SOP to be performed next in the second SOP scenario 420. You can decide.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6과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현재 진행 중인 단위 SOP에 상응하는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및 상기 현재 진행 중인SOP시나리오와 연결된 전환 오브젝트(417)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상기 제1SOP시나리오(410)가 진행 중인 경우, 제1SOP시나리오(410)에 포함된 단위SOP 및 전환 오브젝트(417)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전환 오브젝트(421) 및 제2SOP시나리오(420)에 포함된 단위 SOP는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unlike in FIG. 6, the display module 110 include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nit SOP included in the SOP scenario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unit SOP and a conversion object 417 connected to the current SOP scenario. Only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SOP scenario 410 is in progress, the display module 110 displays only the unit SOP and the conversion object 417 included in the first SOP scenario 410, and the conversion object 421 and The unit SOP included in the second SOP scenario 420 may not be displayed.

이후 절차가 계속 진행되어 전환 오브젝트(417)와 연결된 상기 제1SOP시나리오(420) 내의 선행 단위 SOP가 완료되어, 전환 오브젝트(421)와 연결된 상기 제2SOP시나리오(420) 내의 후행 단위SOP가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현재 진행 중인 SOP시나리오인 제2SOP시나리오(420)에 포함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및 이와 연결된 전환 오브젝트(42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ubsequently, as the procedure continues, the preceding unit SOP in the first SOP scenario 420 connected to the switching object 417 is completed, and the succeeding unit SOP in the second SOP scenario 420 connected to the switching object 421 is the control module. When performed by (120), the display module 110 may display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nit SOP included in the second SOP scenario 420, which is a currently in progress SOP scenario, and a switching object 421 connected thereto. .

한편, SOP 시나리오가 매우 많은 수의 단위SOP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또는 여러 조직에서 해당 SOP 시나리오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SOP 시나리오가 매우 복잡하고 방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화재에 대응되는 SOP 시나리오가 유류화재, 전기화재, 일반화재와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재에 대한 절차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이처럼 하나의 SOP 시나리오에 많은 수의 단위 SOP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SOP를 한꺼번에 디스플레이 하게 되면 해당 SOP 시나리오를 파악하고 추적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OP scenario includes a very large number of unit SOPs, or if multiple organizations need to perform the SOP scenario, the SOP scenario can be very complex and massive. Also, for exampl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SOP scenario corresponding to a fire includes procedures for different types of fire, such as oil fires, electric fires, and general fires. As such, if a single SOP scenario includes a large number of unit SOPs, if the unit SOPs included in the SOP scenario are displayed at once, it may be very difficult to identify and track the SOP scenario.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상기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 SOP 중 일부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인 그룹SOP의 경우, 상기 그룹 SOP에 포함된 각각의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전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이를 간략화하여 하나의 그룹 오브젝트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group SOP in which a part of the unit SOPs included in the SOP scenario is grouped into one group,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unit SOP included in the group SOP. Although all of them can be displayed, it can be simplified and displayed as one group object,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SOP가 그룹으로 묶인 경우에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에서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예에서는 단위SOP들이 3 개의 그룹(510 내지 530)으로 묶여 있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the unit SOP included in the SOP scenario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example of FIG. 7, unit SOPs are grouped into three groups (510 to 530).

상기 SOP 시나리오가 구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모든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When the SOP scenario is driven, the display module 110 may display an object corresponding to all unit SOPs included in the SOP scenario, as shown in FIG. 7 (a).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SOP 시나리오가 구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그룹(510)에 속하는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나머지 그룹(520, 530)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디스플레이하는 대신 상기 나머지 그룹에 상응하는 그룹 오브젝트(521, 52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룹 오브젝트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8
와 같은 모양을 가질 수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다른 모양도 가능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OP scenario is driven, the display module 110 may display only objects corresponding to a unit SOP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510, as shown in FIG. 7 (b). In addition, instead of displaying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groups 520 and 530, the group objects 521 and 522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groups may be displayed. The group object is as shown in Figure 7 (b)
Figure 112019044205122-pat00008
Although it may have the same shape, other shapes may be possibl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xample.

이하에서는, 특정 그룹에 포함된 모든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펼침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호칭하고, 특정 그룹의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대신 그룹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접힘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호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display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ll unit SOPs included in a specific group is referred to as an unfolded display, and displaying a group object instead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unit SOP of a specific group as a folded display. Let's call it title.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사용자로부터 접힘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펼침형태로 디스플레이된 단위 SOP의 그룹을 접힘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펼침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접힘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그룹 오브젝트를 펼침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folding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he display module 110 may display the group of unit SOPs displayed in the expanded form in the folded form, and when the expanded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display the group object displayed in the folded form. It can be displayed in an unfolded form.

한편, SOP 시나리오가 다수의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현재 수행 중인 단위 SOP가 포함된 그룹만을 펼침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그룹은 접힘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명시적인 펼침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그룹을 펼침형태로 디스플레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OP scenario includes a plurality of groups, the display module 110 may display only the group including the currently performing unit SOP in an expanded form, and the remaining groups may be displayed in a folded form. Of course, even in this case, if there is an explicit expansion command of the user, the corresponding group can be displayed in the expansion form.

한편, 동일한 SOP 시나리오를 동시에 두 단말이 수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재난 상황에 지휘를 총괄하는 담당자가 부재중인 경우, 후순위 담당자 혹은 임시 담당자가 상기 재난 상황을 임시로 지휘하기 위하여, 상기 SOP 시나리오를 구동할 수 있으며, 이후 총괄 담당자가 복귀하여 동일한 SOP 시나리오를 구동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단말에서 동일한 SOP 시나리오를 구동하는 경우, 모든 단말에서 임무 지시가 내려지게 되면, 임무수행자는 혼란을 겪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re may be a case where two terminals simultaneously execute the same SOP scenario. For example, when a person in charge of command is absent in a predetermined disaster situation, the SOP scenario may be driven by a subordinate or temporary person to temporarily command the disaster situation, and then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returns to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same SOP scenario is drive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ame SOP scenario is driven by two or more terminals, if a mission instruction is issued from all terminals, the mission performer may experience confusion, s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technical idea to prevent this.

이를 위하여, 상기 권한모듈(130)은 상기 SOP 시나리오에 대한 제어권한을 획득하거나 반환할 수 있다. 상기 권한모듈(130)은 상기 SOP 시나리오를 구동하고 있는 다른 단말에 제어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단말로 제어권한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단말에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제어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모듈은 다른 단말이 제어권한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승인함으로써 가지고 있던 제어권한을 반환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authority module 130 may obtain or return control authority for the SOP scenario. The authority module 130 may request control authority to the other terminal when there is control authority to another terminal driving the SOP scenario, and obtain control authority when approving the request to the other terminal. . In addition, the authorization module may return the control authority possessed by approving it when another terminal requests control authority.

한편, 상기 권한모듈(130)은 상기 SOP 시나리오에 대한 제어권한을 획득한 경우에, 상기 제어모듈(120)이 단위SOP에 설정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권한모듈(130)이 제어권한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20)은 단위 SOP에 설정된 작업의 수행을 수행할 수 없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제어권한이 없는 경우라도 상술한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어권한이 없는 단말에서도 SOP 시나리오의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ontrol authority for the SOP scenario is obtained, the authority module 130 may control the control module 120 to perform a task set in the unit SOP. If the authority module 130 does not acquire control authority, the control module 120 cannot perform the operation set in the unit SOP, but the display module 110 i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no control authority. Since all operations can be performed, the progress of the SOP scenario can be monitored even in a terminal without control authorit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시스템(100)이 수행하는 기능들은 실제로 특정 시설이나 설비를 관제하고 재난에 대응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재난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system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when actually controlling a specific facility or facility and responding to a disaster, but may be used to train response to such a disaster as described above. It might be.

즉, 상기 시스템(100)은 재난에 따른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훈련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스템(100)은 훈련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system 100 may provide a training mode for training a response to a disaster. To this end, th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training module 150.

상기 훈련모듈(150)은 임무 프로세스의 대응훈련이 수행되도록 상기 임무 프로세스에 상응하는 현장 기기(예컨대, 현장에 구비된 기기, 임무 수행자의 단말기 등) 또는 관제 기기(관제실에 구비된 서버, 컴퓨터, 센서, 기타 관제를 위해 필요한 설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즉, 상기 훈련모듈(150)은 훈련모드에서 소정의 단위 SOP 하나 또는 복수의 단위 SOP들 각각에 상응하는 임무가 수행되도록 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장기기를 시뮬레이션한다고 함은, 실제 상황에서 현장 기기에 전송되는 정보 또는 수신될 정보를 훈련모드에서도 전송 또는 수신함을 의미할 수 있다. 관제기기를 시뮬레이션 한다고 함은 실제 상황에서 관제기기가 수행하여야 할 동작을 훈련모드에서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raining module 150 is a field device (for example, a device provided in the field, a terminal of a task performer, etc.) or a control device (a server, a computer provided in the control room, etc.) corresponding to the task process so that the corresponding process of the task process is performed. Sensors, other equipment required for control, etc.) can be simulated. That is, the training module 150 may perform a series of tasks such that a task corresponding to each of a predetermined unit SOP or a plurality of unit SOPs is performed in the training mode. For example, simulating a field device may mean transmitting or receiv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field device or information to be received in the training mode in the actual situation. The simulation of the control device may mean that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in the actual situation is also performed in the training mode.

훈련모듈(150)은 임무 프로세스 즉, 적어도 하나의 단위 SOP들에 대응되는 일련의 임무를 훈련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임무 프로세스는 특정 SOP 시나리오의 전체일 수도 있지만, 그 중 선택된 일부일 수도 있다. 이러한 임무 프로세스는 제어모듈(120)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The training module 150 may perform a task necessary to train a task process, that is, a series of task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unit SOP. The mission process may be the entirety of a particular SOP scenario, but it may also be a selected part of it. This mission process can be specified by the control module 120.

제어모듈(120)은 임무 프로세스를 특정하기 위해 소정의 SOP 플로우 차트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20 may specify any one of object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SOP flow chart to specify the mission process.

예컨대, 도 9a에 도시된 SOP 플로우 차트에 포함된 제3단위 SOP에 상응하는 제3오브젝트(O3)가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된 오브젝트를 선택 오브젝트로 정의하기로 한다.For example, the third object O3 corresponding to the third unit SOP included in the SOP flow chart shown in FIG. 9A may be specified by the control module 120. In this case, the specified object will be defined as a selection object.

선택 오브젝트는 관리장에 의해 선택받을 수도 있고, 소정의 규칙에 의해 디폴트로 선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20)은 관리자의 단말기 SOP 플로우 차트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SOP 플로우 차트에 포함된 오브젝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The selection object may be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or may be selected as a default by predetermined rules.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0 may display a terminal SOP flow chart of the administrator, and receive any one of objects included in the displayed SOP flow chart.

그러면 선택받은 오브젝트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도 있다.Then, the selected object may be specified as a selection object.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선택 오브젝트는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20)은 SOP 시나리오의 처음 단위 SOP를 자동으로 선택 오브젝트로 선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임무 프로세스가 선택 오브젝트부터 최후 단위 SOP까지에 포함된 단위 SOP들을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20)이 특정 SOP 시나리오 전체를 훈련하고자 할 때는 처음 단위 SOP를 자동으로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황(예컨대, 기온, 습도 등의 환경상황, 또는 시스템(1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는 소정의 정보 등의 컨텍스트)에 따라 소정의 기준을 통해 선택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룰이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룰을 통해 컨텍스트에 적응적으로 선택 오브젝트를 특정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selection object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control module 120.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0 may automatically select the first unit SOP of the SOP scenario as a selection object. For example, when the mission process is defined to include unit SOPs included from the selection object to the last unit SOP, when the control module 120 wants to train the entire specific SOP scenario, the first unit SOP is automatically specified as the selection object. You may.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20 specifies a selection object through a predetermined criterion according to a situation (eg, an environmental situ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or the context of predetermined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ystem 100 through a network). The rule may be predefined, and the selection object may be specified adaptively to the context through the rule.

선택 오브젝트가 특정되면, 임무 프로세스는 상기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SOP에 상응하는 임무들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 하나만이 상기 임무 프로세스로 정의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부터 해당 SOP 시나리오의 최종 단위 SOP까지가 임무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SOP들로 정의될 수 있다.When a selection object is specified, the task process may be defined as task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unit SOP including a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bject. According to an example, only on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bject may be defined as the mission proces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xample,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bject to the final unit SOP of the corresponding SOP scenario may be defined as SOPs corresponding to the mission process.

이처럼 임무 프로세스가 특정되면, 임무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SOP의 임무가 훈련모듈(150)에 의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When the task process is specified as described above, the task of the SOP corresponding to the task process may be simulated by the training module 150.

결국, 훈련모드에서는 실제 재난이 발생한 경우에 발생되는 특정 이벤트(예컨대, 오염물질의 유출이 감지, 특정 물질의 농도가 기준값이상 센싱, 화재 발견 등)의 발생을 가정하고, 가정되는 상기 특정 이벤트의 발생시에 수행될 SOP 시나리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시스템(100) 및 단위 SOP들 각각의 임무수행자가 실제로 수행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After all, in the training mode, it is assumed that an event occurs when a real disaster occurs (e.g., the detection of a pollutant leak,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material exceeds a reference value, fire detection, etc.) A series of processes may be performed to allow all or part of the SOP scenario to be performed at the time of occurrence, to be actually performed by the task performer of each of the system 100 and unit SOPs.

이러한 훈련모드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is training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3.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훈련모드를 지원하는 재난대응 시스템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aster response system supporting a training mod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시스템(1000)은 훈련모드 또는 일반(관제)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일반(관제)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아니라 재난대응 시스템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훈련모드 뿐만 아니라 일반(관제)모드로도 동작하는 상기 시스템(1000)을 시스템(100)으로 명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in either a training mode or a general (control) mode. When operating in the general (control) mode, the function can be performed as a disaster response system rather than a disaster response training system, but the system 1000 operates in a general (control) mode as well as a training mod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 Will be referred to as the system 100.

상기 시스템(100)은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훈련모드로 동작하거나 일반(관제)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100)은 현재 자신이 훈련모드인지 일반(관제)모드인지를 소정의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The system 100 may operate in a training mode or a general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administrator's selection. In addition, the system 100 may display whether it is currently in the training mode or the normal (control) mode in a predetermined manner. An example of this may be as shown in FIG. 13.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이 훈련모드 또는 일반모드 중 하나로 동작될 수 있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100)은 소정의 UI를 통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의 모드(예컨대, 훈련모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one of a training mode or a normal mode. As shown in FIG. 13, the system 100 is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select a mode through a predetermined UI,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mode (eg, training mode) may be displayed.

도 13에서는 우측에 SOP 시나리오가 플로우 차트 형태가 아니라 설명형태로 도시되고 있으며, 좌측에는 재난 또는 훈련과 관련된 시설물의 이미지 정보가 도시되고 있다. 또한 붉은색으로 표시된 단위 SOP(예컨대, 1. 단위 SOP)가 현재 훈련이 진행되고 있는 단위 SOP일 수 있다. 하지만 훈련모드에 상응하는 SOP 시나리오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달리 SOP 플로우 차트 형태로 도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해당 SOP 플로우 차트 중에서 현재 진행중인 단위 SOP가 타 단위 SOP와는 차별되게 표시될 수도 있다.In FIG. 13, the SOP scenario is shown on the right side in an explanatory form, not in a flow chart form, and on the left side, image information of facilities related to disaster or training is shown. In addition, the unit SOP indicated in red (eg, 1. unit SOP) may be a unit SOP currently undergoing training. However, the SOP scenario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mode may be shown in the form of an SOP flow chart unlike that shown in FIG. 13. In addition, a current SOP in the SOP flow chart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from other SOP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대응 훈련은 SOP 플로우 차트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SOP 플로우 차트에 기반하여 재난대응 훈련이 수행된다고 함은, 수행될 훈련이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특정되거나 훈련할 임무 수행자 또는 장비가 상기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특정됨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disaster response train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OP flow chart. When disaster response training is performed based on an SOP flow chart, it may mean that training to be performed is specified through an SOP flow chart or a task performer or equipment to be trained is specified through the SOP flow chart.

이처럼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수행될 임무, 임무수행자, 장비가 특정되도록 하는 경우 매우 효과적으로 관리자가 훈련할 내용이나, 훈련할 사람, 장비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왜냐하면 SOP 플로우 차트는 전체 SOP 시나리오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툴이며, 실제로 재난대응을 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되거나 취약하기 쉬울 것으로 예측되는 단위 SOP를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way, when a task, a task performer, and a device to be performed are specified through the SOP flow chart, the manager can effectively determine the content to be trained, or the person to be trained, and the equipment. This is because the SOP flow chart is a useful tool for intuitively grasping the entire SOP scenario, and it is relatively easy to identify unit SOPs that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or susceptible to vulnerability when dealing with disasters.

이러한 일 예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n example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OP 시나리오의 구체적인 일 예 및 각각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임무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재난대응 훈련이 제어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an SOP scenar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ask of a unit SOP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In addition,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disaster response training is controlled through an SOP flow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SOP 시나리오(예컨대, 화재발생시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SOP 플로우 차트가 관리자의 단말기(또는 관제장비 등)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SOP 플로우 차트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오브젝트들(예컨대, O1 내지 O10)이 포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9A, an SOP flow chart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OP scenario (eg, a fire event scenario) may be displayed on the manager's terminal (or control equipment, etc.). As described above, the SOP flow chart may include a series of objects (eg, O1 to O10) as shown.

또한 디스플레이모듈(110)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오브젝트들(예컨대, O1 내지 O10) 각각에 상응하는 임무에 대한 정보(에컨대, SOP1 내지 SOP10)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so, as shown in FIG. 9B, the display module 110 may further display information (eg, SOP1 to SOP10) for a task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bjects (eg, O1 to O10). .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소정의 선택 오브젝트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OP 플로우 차트의 세 번째 오브젝트인 제3단위 SOP에 해당하는 오브젝트(예컨대, O3)를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 module 120 may specify a predetermined selection object.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control module 120 may specify an object (eg, O3) corresponding to the third unit SOP, which is the third object of the SOP flow chart, as a selection object.

상기 제어모듈(120)이 선택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받거나 또는 디폴트(예컨대, SOP 시나리오의 최초 단위 SOP)로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컨텍스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The method in which the control module 120 specifies the selection object may be select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as described above or set as a default (eg, the first unit SOP of the SOP scenario) or adaptively specified according to context. have.

예컨대, 컨텍스트는 어떤 단위 SOP를 훈련할지를 결정하는데 적합한 다양한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온, 습도 등 외부의 자연환경 상황이 제1기준에 해당하면 특정 SOP 시나리오의 처음 단위 SOP부터 훈련을 수행하고, 제2기준에 해당하면 상기 특정 SOP 시나리오 또는 타 SOP 시나리오의 3번째 단위 SOP부터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ext may include various situations suitable for determining which unit SOP to train. For example, if the external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meets the first criterion, training is performed from the first unit SOP of a specific SOP scenario, and if the second criterion is met, the third unit SOP of the specific SOP scenario or other SOP scenario You can perform training.

또는 자연환경이 제1기준에 해당하면 소정의 SOP 시나리오에서 소정의 제1임무 수행자들(예컨대, 특정 설비의 근무자들, 특정 직급 또는 직책을 맡고 있는 임무 수행자들)에게 임무가 부여된 단위 SOP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 있고, 제2기준에 해당하면 제2임무 수행자들에게 임무가 부여된 단위 SOP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 있다. 물론, 특정되는 선택 오브젝트가 복수일 경우, 그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최종적으로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도 있다. Or, if the natural environment meets the first standard, the unit SOP assigned a task to a certain first mission performer (e.g., a worker at a specific facility, a specific rank or a position manager) in a given SOP scenario It may be specified as a selection object, and if the second criterion is met, a unit SOP assigned a task to the second mission performers may be specified as a selection object. Of cour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lection objects to be specified, any one or a plurality of them may be finally specified as a selection object.

또는 특정 상황이 제1기준에 해당하면, 소정의 제1설비 또는 훈련장비(현장기기, 센서, 또는 관제설비 등과 같이 훈련에 사용되는 장비)가 운영되는 단위 SOP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 있고, 제2기준에 해당하면, 소정의 제2설비가 운영되는 단위 SOP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if a specific situa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criterion, a unit SOP in which a predetermined first facility or training equipment (equipment used for training such as field equipment, sensors, or control equipment) is operated may be specified as a selection object, If the second criterion is satisfied, a unit SOP in which a predetermined second facility is operated may be specified as a selection object.

또는 상기 제어모듈(120)은 명시적으로 소정의 임무수행자(예컨대, 제1임무 수행자) 또는 설비(예컨대, 제1설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module 120 may explicitly receive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mission performer (eg, a first mission performer) or a facility (eg, a first facility).

어떠한 경우든 임무수행자 또는 설비가 특정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SOP DB(140)에 저장된 SOP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임무 수행자 또는 설비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추출할 수 있다. In any case, if a task performer or facility is specified, the control module 120 may extract a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task performer or facility based on information on the SOP stored in the SOP DB 140.

복수의 단위 SOP들이 추출된 경우에는,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또는 일정 기준에 의해 추출된 단위 SOP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 오브젝트로 결정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unit SOPs are extracted, at least one of the unit SOPs extracted by the administrator's selection or by a certain criterion may be determined as a selection object.

선택 오브젝트가 특정되면, 임무 프로세스가 특정될 수 있다. 임무 프로세스는 선택 오브젝트에 따라 특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 만이 임무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단위 SOP일 수도 있다. 또는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가 임무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최선행 단위 SOP이고, 최후 단위 SOP는 해당 SOP 시나리오의 마지막 단위 SOP(또는 미리 정해진 단위 SOP)로 자동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Once the selection object is specified, a mission process can be specified. The mission process may be specifi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bject, for example, only a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bject may be a unit SOP included in the mission process. Alternatively,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bject is the best row unit SOP included in the mission process, and the last unit SOP may be automatically specified as the last unit SOP (or predetermined unit SOP) of the corresponding SOP scenario.

그러면 임무 프로세스에 포함된 단위 SOP 각각에 대응되는 훈련이 상기 훈련모듈(150)에 의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Then, training corresponding to each unit SOP included in the mission process may be simulated by the training module 150.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훈련에 있어서도 특정 SOP 시나리오의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 임무가 훈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무, 임무 수행자, 및 장비가 효율적으로 선택되어 집중적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fter all,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entire task be train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a specific SOP scenario, but also the task, the task performer, and the equipment can be efficiently selected and intensive training can be achieved. .

예컨대, 도 10에서와 같이 제3오브젝트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되면, 상기 선택 오브젝트(O3)의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가 존재하는 경우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hird object is specified as the selection object as shown in FIG. 10, it may be a case that the preceding unit SOP (eg, O1 to O2) of the selection object O3 exists.

이러한 경우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를 제외한 상기 선택 오브젝트(O3) 및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하위 SOP(예컨대, O4 내지 O10)에 대응되는 임무를 상기 임무 프로세스로 특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0 is a task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bject O3 and the lower SOP (eg, O4 to O10) of the selection object excluding the preceding unit SOP (eg, O1 to O2). Can be specified as the mission process.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반드시 특정 SOP 시나리오의 처음부터 훈련을 할 필요가 없이, 임의의 위치(SOP 단계)에서부터 훈련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performing training from an arbitrary position (SOP step) without necessarily training from the beginning of a specific SOP scenario.

이를 위해 상기 훈련모듈(150)은 임무 프로세스(예컨대, O3 내지 O10)에 해당하는 임무를 시뮬레이션하는 것 뿐만 아니라, 훈련에서 제외된 상기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의 임무 수행자 또는 상기 선택 오브젝트(O3)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임무 수행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 오브젝트(O3)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임무 수행자에게 선행 단위 SOP의 임무는 어떤 것이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통보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임무들은 수행된 것으로 가정한다는 내용이 통보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선택 오브젝트(O3)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임무 수행자가 실제로는 훈련되지 않았더라도 훈련이 되었다고 취급되는 단위 SOP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훈련이 차질없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임무는 대개 연속성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전에 수행되었어야할 임무들에 대한 정보를 숙지시키는 것이 중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To this end, the training module 150 not only simulates a task corresponding to a task process (eg, O3 to O10), but also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receding unit SOP (eg, O1 to O2) excluded from training. The task performer of the unit SOP (eg, O1 to O2) or the task performer of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bject O3 may be notified. That i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ask of the preceding unit SOP may be notified to the task performer of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bject O3. And, it may be informed that these tasks are assumed to have been performed. Through this, the mission performer of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bject O3 can clearly recognize information on the unit SOP treated as being trained even if it is not actually trained, so that the training can be performed without a hitch. . This is because it is common for missions to have continuity, so it may be important to become familiar with information about missions that should have been performed previously.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선행 단위 SOP들(예컨대, O1 내지 O2)의 임무 수행자들에게도 해당 임무에 대한 정보 및/또는 해당 임무가 수행된 것으로 가정한다는 내용이 통보될 수 있다. 왜냐하면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의 임무 수행자가 후행 단위 SOP의 임무 수행자로 다시 등장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 훈련의 진행상황을 미리 인지시켜야 실제 훈련이 특정 SOP 시나리오에서 임의의 위치에서 시작되더라도 차질 없는 훈련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Of course, if necessary, the task performers of the preceding unit SOPs (eg, O1 to O2) may be notified of information on the task and / or that the task is assumed to have been performed. Because the task performer of the preceding unit SOP (eg, O1 to O2) may reappear as the task performer of the following unit SOP, in this case, the progress of the training must be recognized in advance so that the actual training can be performed at any position in the specific SOP scenario. Even if it starts, it may be because training without a hitch is possible.

한편,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 또는 선택 오브젝트(O3)의 임무 수행자에게 통보하여야 할 정보 중에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훈련이 가정하고 있는 가정 상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할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예컨대, 선행 단위 SOP들 중 판단 타입의 단위 SOP가 있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information to be notified to the task performer of the preceding unit SOP (for example, O1 to O2) or the selection object O3, there may be a case where information on the assumption situation that the current training is supposed to include should be included. . This may be useful, for example, when there is a unit SOP of a judgment type among the preceding unit SOPs.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상 시나리오가 생성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virtual scenario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모듈(120)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SOP 플로우 차트에 포함된 오브젝트들 중 빗금친 오브젝트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hatched object may be specified as a selection object among objects included in the SOP flow chart shown in FIG. 11 by the control module 120.

이러한 경우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선행 단위 SOP들 중에는 예컨대, 판단 타입(마름모 형태)의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among the preceding unit SOPs of the selection object, for example, an object of a judgment type (rhombus type) is included.

이러한 경우 상기 판단 타입의 오브젝트는 특정 조건에 따라 SOP 시나리오가 상기 선택 오브젝트 또는 타 오브젝트로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판단 타입의 오브젝트는 소정의 센서의 수치가 10이하이면 왼쪽 후행 단위 SOP로 시나리오를 진행시키고, 센서의 수치가 10 초과이면 오른쪽 후행 단위 SOP 즉, 상기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로 시나리오를 진행시킨다고 가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bject of the judgment type may have a SOP scenario proceed to the selection object or another object according to a specific condition. For example, the object of the judgment type advances the scenario to the left trailing unit SOP when the value of the predetermined sensor is 10 or less, and if the value of the sensor exceeds 10, the scenario follows the right trailing unit SOP, that is,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It can be assumed to proceed.

이러한 경우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임무 수행자는 현재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훈련이 상기 판단 타입의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에서 어떠한 상황을 가정하고 진행된 것인지를 명확하게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예컨대, 센서의 수치가 10 초과라는 상황이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임무 수행자가 알아야 할 상황일 수 있고, 또는 구체적으로 10 초과 중에서 상황(예컨대, 12 내지 13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한 것이 가정된 상황일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임무 수행자는 현재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임무가 어떤 가정 상황에 따른 것인지 알고 있어야 보다 명확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훈련모듈(150)은 가정 상황을 소정의 방식으로 특정하여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임무 수행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ask performer of the selected object needs to clearly recognize what kind of situation is assumed and progressed in the unit SOP corresponding to the object of the judgment type. For example, a situation in which the numerical value of the sensor is greater than 10 may be a situation that a task performer of the selected object needs to know, or specifically, a situation in which it is assumed that the situation (eg, 12 to 13, etc.) is more specifically specified among 10 or more. Can be. In any case, there may be a case where a task performer of the selected object can perform a clearer task only by knowing which assumption situation the task he is currently performing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training module 150 assumes The situation may be specified in a predetermined manner to notify the task performer of the selected object.

이를 통해 특정 SOP 시나리오의 처음부터 훈련을 하지 않더라도 차질없고 실전과 같은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even if you do not train from the beginning of a specific SOP scenario, there is an effect that training can be performed without any hitch.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훈련을 특정할 수도 있지만, 소정의 센서의 센서 데이터를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훈련을 개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raining may be specified through the SOP flow chart as described above, training may be started by simulating sensor data of a predetermined sensor.

이러한 일 예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n example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을 위한 센서 데이터가 시뮬레이션 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sensor data for training is simul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의 대상 즉, 상기 시스템(100)에 의해 관제되고 있고 재난이 발생한 경우 SOP 시나리오에 따라 재난대응이 수행될 대상 설비에는 다양한 센서(예컨대, 화학물질 감지센서, 열 감지센서 등)가 다수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as shown in FIG. 12, various sensors (eg, chemicals) are installed in a target facility to be controlled by the system 100, that is, a target facility to be subjected to disaster response according to the SOP scenario when a disaster occurs. Material detection sensor, heat detection sensor, etc.) may be installed in a number.

상기 시스템(100)에는 상기 설비의 공간정보 및 센서들이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 센서의 종류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the system 100 may store spatial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where sensors are installed, and information about a type of sensor.

그러면 상기 시스템(100)이 훈련모드로 동작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SOP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훈련을 특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센서를 원하는 상황으로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훈련을 개시할 수도 있다. Then, when the system 100 operates in the training mode, training may be started by simulating such a sensor in a desired situation rather than specifying training using the SOP flow chart as described above.

예컨대, 상기 훈련모듈(150)은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예컨대, 화재센서들) 중 하나 이상을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의 특정은 관리자가 직접 센서를 선택할 수도 있고,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장치를 특정하면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장치의 화재를 센신할 수 있는 센서들이 자동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training module 150 may specify one or more of sensors (eg, fire sensors) installed in the facility. The sensor may be directly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or when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device is specified, sensors capable of sensing a fire in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device may be automatically specified.

그러면 상기 훈련모듈(150)은 특정된 센서를 통해 소정의 SOP 시나리오(예컨대, 화재발생시 SOP 시나리오)를 개시하는 센싱 이벤트(화재발생을 센싱한 이벤트)의 발생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즉, 센서를 시뮬레이션하여 훈련을 원하는 재난을 특정할 수 있다. Then, the training module 150 may simulate the occurrence of a sensing event (an event that senses fire) that initiates a predetermined SOP scenario (eg, SOP scenario in case of fire) through a specified sensor. In other words, you can simulate a sensor to identify the disaster you want to train.

그러면 상기 훈련모듈(150)은 실제로 특정된 센서가 센싱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수행되어야 할 SOP 시나리오가 자동으로 SOP DB(140)를 통해 특정되고, 특정된 SOP 시나리오에 따른 대응훈련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Then, the training module 150 can automatically simulate the corresponding SOP scenario according to the specified SOP scenario, the SOP scenario to be performed when the specified sensor is generated is automatically identified through the SOP DB 140. .

물론, 필요에 따라 대응훈련의 과정을 관리자가 확인하기 위해 관리자의 단말기에는 상기 SOP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SOP 플로우 차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현재 진행중인 단위 SOP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는 타 오브젝트와 차별화되어 표시됨으로써 관리자가 훈련 상황을 용이하게 관찰 및/또는 통제할 수 있다.Of course, in order to confirm the course of response training as necessary, the administrator's terminal may display a SOP flow chart corresponding to the SOP scenario, and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in progress SOP is displayed differently from other objects. The manager can easily observe and / or control the training situa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황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기관들 간에 연계된 임무수행 또는 체계적이고 협력적인 임무수행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관들 각각의 임무를 정의하고 있는 개별 SOP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개별 SOP 만으로는 서로 다른 기관들 간의 체계적인 임무수행이 어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may be necessary to perform linked tasks or systematic and cooperative tasks between different agencies. In this case, even if there are individual SOPs defining the duties of each of the above organizations, it may be difficult to systematically perform the missions between different organizations with these SOPs alon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기관들간의 개별 SOP들을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개시된다.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cal idea is disclosed in which individual SOPs between different institutions can be organically linked to each other.

이러한 개념은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is concep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6.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계 SOP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inked S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서로 다른 개별 SOP 즉, 제1SOP와 제2SOP를 이용하여 연계 SOP를 생성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4,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linked SOPs using different individual SOPs, that is, first and second SOPs.

연계 SOP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SOP와 제2SOP 간에 서로 연계된 링크가 적어도 하나 정의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The associated SOP may be generated by defining at least one link associated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as illustrated in FIG. 14.

즉, 도 5 또는 도 6에서 단순히 선후행 관계를 갖는 두 SOP 간의 선후관계를 정의하는 링크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전혀 다른 임무 수행절차를 가지는 두 기관들 간에 임무상의 유기적인 연결관계를 생성하고 이를 SOP 차트상에 정의함으로써 연계 SOP가 생성될 수 있다. That is, in FIG. 5 or FIG. 6, rather than simply creating a link defining a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wo SOPs having a sequential trailing relationship, an organic linkage between missions is created between two organizations having completely different task performance procedures. Linked SOPs can be created by defining on the SOP chart.

예컨대, 제1SOP는 제1기관에서 소정의 상황에서 수행할 임무를 단계적으로 정의한 SOP일 수 있고, 제2SOP는 제2기관에서 상기 상황에서 수행할 임무를 단계적으로 정의한 SOP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OP may be an SOP in which a task to be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situation is firstly defined by the first organization, and the second SOP may be an SOP in which a second organization is defined in a stage to be performed in the above situation.

그리고 동일한 상황에서 제1기관의 임무수행에는 제2기관의 임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단위임무가 존재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기관의 임무수행에는 제1기관의 임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단위임무가 존재할 수 있다.And in the same situation, the mission of the first organ may have a unit mission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organ, and similarly, the mission of the second organ may have a unit mission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organ. Can be.

하지만 종래에는 복수의 기관들의 개별 SOP는 각각의 해당 기관의 임무만을 고려하여 정의되어 있고, 이러한 이유로 복수의 기관들이 동시에 특정 상황에서 통합적인 임무를 수행하는 경우에 절차가 유기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관들 간에 공통적 요소(예컨대, 임무수행자, 임무수행 내용, 또는 임무수행장비 등)가 존재할 경우에, 서로 다른 기관들의 임무간에 절차나 순서가 매끄럽지 못하여 해당 상황에 효과적인 대처가 어려운 경우가 존재하였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individual SOPs of a plurality of institution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duties of each corresponding institution, and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dure is not organic when a plurality of institutions simultaneously perform an integrated mission in a specific situation. In addition, when there are common elements (eg, mission performers, mission performance contents, or mission performance equipment) among institutions, there are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deal with the situation due to the lack of smooth procedures or order between the missions of different organizations. .

따라서 서로 개별적이으로 정의된 서로 다른 기관들 간의 개별 SOP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기술적 사상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cal idea to organically link individual SOPs between different institutions defined individually.

이를 위해 상기 시스템(1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 기관들의 개별 SOP 인 제1SOP 및 제2SOP를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system 100 provides a technical idea to organically link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which are separate SOPs of two different organizations, as shown in FIG. 14.

상기 시스템(100)은 제1SOP 및 제2SOP를 연계하기 위해 두 SOP 간을 연계하는 연계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ystem 100 may generate a link link linking the two SOPs to link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이러한 연계 링크는 제1SOP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또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와 제2SOP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또는 복수의 오브젝트들)간의 연결관계를 정의하는 링크일 수 있다.The link may be a link that defines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y one object (or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first SOP and any one object (or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second SOP.

이처럼 연계 링크에 의해 연계되며 서로 다른 개별 SOP(즉, 제1SOP 및 제2SOP)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쌍을 연계 오브젝트들로 정의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a pair of objects linked by linkage links and included in different individual SOPs (that is, first and second SOPs) will be defined as linked objects.

예컨대, 도 14에서 제1연계 링크(21)에 의해 연결되는 연계 오브젝트들은 제1연계 오브젝트(20) 및 제2연계 오브젝트(20-1)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계 오브젝트(20)는 제1SOP에 포함된 단위 오브젝트일 수 있고, 제2연계 오브젝트(20-1)는 제2SOP에 포함된 단위 오브젝트일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14, linked objects connected by the first linkage link 21 may be the first linkage object 20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20-1. In addition, the first association object 20 may be a unit object included in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association object 20-1 may be a unit object included in the second SOP.

또한, 제2연계 링크(31)에 의해 연결되는 연계 오브젝트들은 제3연계 오브젝트(30) 및 제4연계 오브젝트(30-1)일 수 있다. 그리고 제3연계 오브젝트(30)는 제1SOP에 포함된 단위 오브젝트일 수 있고, 제4연계 오브젝트(30-1)는 제2SOP에 포함된 단위 오브젝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ed objects connected by the second linkage link 31 may be the third linkage object 30 and the fourth linkage object 30-1. In addition, the third linkage object 30 may be a unit object included in the first SOP, and the fourth linkage object 30-1 may be a unit object included in the second SOP.

그리고 연계 링크(21, 31)는 방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기관들의 임무들 간에 선후행 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21 and 31 may have a directionality, and accordingly, a trailing relationship between missions of different agencies may be defined.

이처럼 연계 오브젝트들 및 연계 링크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제어모듈(120)은 각각의 개별 SOP 즉, 제1SOP 및 제2SOP에서 각각의 단위 오브젝트들에 정의된 임무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임무내용은 단위 오브젝트들에 대응되는 임무가 정의된 정보들일 수 있다. In order to define the linkage objects and linkages, the control module 120 may analyze the task content defined for each unit object in each individual SOP, that is,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The task content may be information in which tasks corresponding to unit objects are defined.

그리고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연계 오브젝트들이 될 수 있는 후보 연계 오브젝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candidate association objects that can be association objects may be extrac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이러한 후보 연계 오브젝트들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제어모듈(120)은 각각의 오브젝트들에 정의된 임무내용을 파싱할 수 있다. In order to extract these candidate association objects, the control module 120 may parse the task contents defined in each object.

일 예에 의하면, 임무내용 중 서로 다른 기관의 SOP에 포함된 오브젝트인데도 상응하는 임무수행자(임무수행기관이 포함됨)가 임무내용에 포함된 경우 또는 상응하는 임무장비가 임무내용에 포함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a corresponding mission performer (including a mission performing organization) is included in the mission content or a corresponding mission equipment is included in the mission content even though the object is included in the SOP of different organizations among the mission contents. Can be.

이러한 일 예는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n example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6.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계 SOP를 생성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5 to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cept for generating a linked S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예컨대, 제1SOP는 학교를 위한 SOP이고, 제2SOP는 소방서를 위한 SOP일 수 있다. 15, for example, the first SOP may be a SOP for schools, and the second SOP may be a SOP for fire departments.

이때 예컨대, 제1SOP에는 '소방서 또는 소방관에게 화재발생을 신고한다'는 임무내용이 정의된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SOP에는 '학교로부터 화재신고를 접수한다' 또는 '학교(선생님 또는 학생)로부터 화재신고를 접수하면 특정 임무수행팀에 전파한다'라는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for example, the first SOP may include an object in which the mission content of 'reporting a fire to a fire department or a firefighter' is defined. In addition, the 2SOP may include an object of 'receiving a fire report from a school' or 'receiving a fire report from a school (teacher or student) to propagate to a specific mission team'.

이처럼 서로 상대방 임무수행자(상대방 기관)이 임무내용에 포함된 오브젝트들의 쌍을 연계 오브젝트로 추출할 수 있다. In this way, each other's mission performer (an opponent organization) can extract a pair of objects included in the mission content as a linked object.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SOP에는 '소방차가 도착하는 즉시 특정 임무를 수행한다'라는 임무내용의 오브젝트가 존재할 수 있고, 제2SOP에는 '소방차를 신고 접수 후 10분내에 출동시킨다'라는 임무내용의 오브젝트가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the first SOP may have an object with a task description of 'performing a specific task as soon as the fire truck arrives', and the second SOP may receive an' report of the fire truck within 10 minutes after receiving it. There may be an object with the contents of the mission 'Make it dispatch'.

이처럼 상응하는 임무장비(여기서는 소방차)가 서로 다른 기관의 오브젝트의 임무내용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모듈(120)은 연계 오브젝트로 두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corresponding mission equipment (here, the fire truck) is included in the mission contents of the objects of different engines, the control module 120 may extract two objects as linked objects.

임무장비를 기준으로 연계 오브젝트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동일한 임무장비가 임무내용에 포함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두 장비가 임무내용에 포함된 서로 다른 SOP상의 각각의 오브젝트를 상응하는 임무장비로 미리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소방호스와 소화전(또는 수전)등이 서로 다른 SOP 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경우, 두 오브젝트에 정의된 임무내용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연계 오브젝트가 될 수도 있다. In order to extract linked objects based on mission equipment, the same mission equipment does not have to be included in the mission content. For example, two objects having close relations with each other may previously define each object on different SOPs included in the mission content as a corresponding mission equipment. For example, when fire hoses and fire hydrants (or water faucets) are included in objects included on different SOPs, the mission contents defined in the two objects may b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in this case, they may be linked objects. have.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상응하는 임무장비라 함은 동일한 임무장비 뿐만 아니라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정의된 임무장비를 이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mission equipment in this specification may already refer to the same mission equipment as well as mission equipment defined to b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이처럼 서로 상응하는 임무 수행자(기관)가 임무내용에 정의된 서로 다른 SOP 상의 오브젝트를 연계 오브젝트로 추출하거나, 또는 상응하는 임무장비가 임무내용에 정의된 서로 다른 SOP 상의 오브젝트들은 두 기관간에 서로 긴밀한 협력이 필요한 임무들 간일 확률이 높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mission performers (orga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extract objects on different SOPs defined in the mission contents as linkage objects, or objects on different SOPs whose corresponding mission equipment is defined in the mission contents closely cooperate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There may be a high probability of being among these required missions.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이렇게 특정되는 연계 오브젝트들을 자동으로 연계 링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의 방향성은 연계 오브젝트들 간의 임무수행의 선후관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서는 화재발생신고 후에 화재발생접수가 되므로 도 15와 같은 방향성을 가지는 연계 링크를 생성할 수 있고, 도 16에서는 소방차가 출동해야 소방차가 도착할 수 있으므로 도 16에서와 같은 방향성을 가지는 연계 링크가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module 120 may automatically connect the connection objects specified in this way through the connection link. In addition, the directionality at this tim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cestor relationship of mission performance between the linked objects. For example, in FIG. 15, since a fire is received after the fire is reported, a link having the same directionality as in FIG. 15 may be generated, and in FIG. 16, the fire engine may arrive only when the fire engine is dispatched, so the connection with the directionality as in FIG. Links may be created by the control module 120.

상기 제어모듈(120)은 연계 오브젝트들 간의 선후행관계를 판단하기 위해, 연계 오브젝트가 추출되면 선후행관계를 알 수 있는 단어들(예컨대, 신고, 접수, 출동, 도착 등)을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에 기반하여 선후행 관계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을 통해 자연어 표현들 간의 선후행 관계를 판단할 수 있는 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관련된 두 임무간의 선후행관계가 판단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trol module 120 extracts and extracts words (eg, report, acceptance, dispatch, arrival, etc.) for knowing the preceding and following relationships when the associated objects are extracted to determine the preceding and follow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related objects. Based on the word, it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leading and trailing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learning capable of determining a preceding / 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language expressions through 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infer that the preceding and following relationship between two missions related to each other can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임무내용의 분석을 통해서 추출되는 오브젝트 쌍들이 반드시 연계 오브젝트로 특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bject pairs extracted through analysis of the task contents as described above may not necessarily be specified as a linked object.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임무내용의 분석을 통해 연계 오브젝트들의 가능성이 있는 오브젝트 쌍들을 후보 연계 오브젝트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후보 연계 오브젝트 쌍들이 실제로 연계 오브젝트로 정의될 필요가 있는지는 사용자(예컨대, 시스템(100) 관리자 등)의 선택에 의해 최종적으로 연계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module 120 may extract a pair of possible objects of linked objects as candidate linked objects through analysis of the task contents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whether each pair of candidate association objects needs to be actually defined as an association object may be finally specified as an association object by selection of a user (eg, the system 100 administrator).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20)이 연계 오브젝트를 특정한다고 함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결정에 의해 최종적으로 후보 연계 오브젝트 쌍 중의 전부 또는 일부가 연계 오브젝트로 특정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fact that the control module 120 specifies the association object may mean a case in which all or part of the candidate association object pairs are finally specified as the association object by the user's selection or determination.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 링크 상에는 소정의 링크 오브젝트가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링크 오브젝트는 시간경과를 나타내는 시간경과 오브젝트일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6, a predetermined link object may be defined on the link link. For example, the link object may be a time-lapse object representing a time-lapse.

즉, 서로 다른 두 기관간에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 두 임무들 간의 시간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 연계된 SOP 상에는 이러한 시간 차이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제 임무수행에서도 바람직한 시간 간격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 특히 중요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re may be a number of cases in which a time difference occurs between two mission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wo different agencies, and in such a case, the time difference can be visually confirmed on the associated SOP. It can be particularly important to be able to predict the desired time interval.

예컨대, 도 15에서와 같이 연계 오브젝트들간의 임수수행 시작시간이 동일한 시간 또는 거의 시간차이가 없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start time of the execution of the linked objects is the same or there is almost no time difference.

하지만 도 16에서와 같이 어느 한 기관의 단위 임무가 수행되어야 비로소 다른 기관의 임무가 시작될 수 있는 연계 오브젝트들도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선행 임무 또는 후행 임무 상에 예상되는 또는 추천되는 시간간격이 정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SOP에 포함된 제4연계 오브젝트(예컨대, 소방차 출동)와 제1SOP에 포함된 제3연계 오브젝트(예컨대, 소방차 도착시 특정임무 수행) 간에 상기 제어모듈(120)이 연계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연계 링크 상에 링크 오브젝트로써 시간경과 오브젝트를 정의하면서 예상되는 또는 추천되는 시간경과정보를 미리 정의하는 경우, 제1SOP에 상응하는 기관(예컨대, 학교)에서는 제3연계 오브젝트의 임무수행시간을 예측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제2SOP에 상응하는 기관(예컨대, 소방서)에서도 임무수행의 목표시간을 정의할 수 있어서 서로 다른 두 기관의 연계된 임무수행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16, there may exist linkage objects that can start a mission of another institution only when a unit mission of one institution is performed. In this case, it may be very desirable to define the expected or recommended time intervals on the preceding or following miss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the control module 120 between a fourth linking object (eg, fire truck dispatch) included in the second SOP and a third linking object (eg, performing a specific mission when the fire truck arrives) included in the first SOP ) When establishing a linkage link and defining a time-lapse object as a link object on the linkage link, predefining the expected or recommended time-path information, the institu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OP (for example, a school) is third Not only can the task execution time of the linked object be predicted, but also the target time of task execution can be defined by an organiz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OP (for example, a fire department), so it can be very effective for linked task execution of two different organizations.

상기 시간경과 오브젝트에 정의될 시간경과 정보(예컨대, 10분)은 두 기관의 의사 또는 상황(예컨대, 거리)에 따라 상기 시스템(100)의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제어모듈(12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연계 링크 상에 시간경과 오브젝트를 설정할 수 있다.The time-lapse information (eg, 10 minutes) to be defined in the time-lapse object may be defined by a user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 doctor or situation (eg, distance) of two institutions, and the control module 120 The time-lapse object can be set on the link link using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라 연계 링크 상에 설정되는 링크 오브젝트를 시간경과 오브젝트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연계 링크는 서로 다른 개별기관간의 임무를 가상 또는 실질적으로 연계하는 링크이므로 두 기관간의 임무들 간의 연계에 적합한 어떠한 정보 또는 요구사항 등이 상기 링크 오브젝트로 정의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case where the link object set on the link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time-lapse object is exemplarily described, the link link is a link that virtually or substantially links the tasks between different individual agencies, so that the link objects are between the tasks between the two agencies. Any information or requirements suitable for association may be defined as the link object.

예컨대, 도 16에서 도시된 시간경과 오브젝트 대신 제1SOP에 상응하는 특정 학교의 특성을 설명하는 정보(예컨대, 상기 특정학교는 정문의 크기로 인해 특정 크기 이하의 소방차만이 출입할 수 있다는 정보 또는 후문으로 진입이 더 용이하다는 정보 등)과 같이 상대기관의 특성을 참조할 수 있는 참조정보 등이 임무들의 연계를 정의하는 링크 오브젝트가 연계 링크상에 정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nstead of the time-lapse object shown in FIG. 16, information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schoo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OP (for example, the specific school has information that only a fire truck having a specific size or less can enter or exit due to the size of the front door) A link object that defines the linkage of missions, such as reference information that can refer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erpart organization, such as information that entry is easier) may be defined on the linkage link.

이처럼 연계 링크들이 정의되고, 필요에 따라 링크 오브젝트가 각가의 연계 링크 상에 설정된 결과는 도 14와 같을 수 있다.As such, linkage links are defined, and the result of setting the link object on each linkage link as necessary may be as illustrated in FIG. 14.

상기 시스템(100)에 의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계 SOP가 생성되면, 이러한 연계 SOP는 제1기관 및 제2기관에게 제1SOP 및 제2SOP가 수행되어야 할 상황에 모두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linked SOP as shown in FIG. 14 is generated by the system 100, the linked SOP can be provided to both the first and second agencies in situa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SOPs should be performed.

그러면 각각의 개별기관은 자신들의 임무수행 단계의 어떤 시점에 다른 기관에서 어떠한 유관된 임무들이 수행되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다른 기관이 연계된 임무들이 어떤 시점에 수행될 수 있을지를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Each individual agency can then easily identify which related tasks are being performed by other agencies at some point in their performance stages, and can easily predict at what point other organizations will be able to perform their associated tasks. It has the effect.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the system 100 may include a processor and a memory storing a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processor may include a single-core CPU or a multi-core CPU. The memory may include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nd may also include non-volatile memory, such as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flash memory devices, or other non-volatile solid-state memory devices. Access to memory by the processor and other components can be controlled by a memory controller. Here,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by a processor, th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metho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t can be stored in a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are stored.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software art.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are included.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device that processes information electronically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for example, a computer.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10)

연계 SOP 생성시스템이 제1기관에 상응하는 제1SOP 및 제2기관에 상응하는 제2SOP -상기 제1SOP 및 상기 제2SOP는 각각 서로 다른 기관에 상응하도록 개별적으로 정의된 개별적 SOP임-각각에 포함된 오브젝트들별 임무내용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연계 SOP 생성시스템이 상기 오브젝트별 임무내용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SOP 및 상기 제2SOP 각각으로부터 서로 연계될 수 있는 오브젝트인 제1연계 오브젝트 및 제2연계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연계 SOP 생성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 및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 간의 연계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계 SOP 생성시스템이 생성한 상기 연계 링크상에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와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 각각의 임무내용들에 상응하는 링크 오브젝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오브젝트는,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와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 각각의 임무내용에 상응하는 시간경과에 대한 내용을 오브젝트의 내용으로 포함하는 시간경과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 및 제2연계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SOP 및 상기 제2SOP 각각에 포함된 오브젝트들의 임무내용에 서로 상응하는 임무수행자 또는 서로 상응하는 임무 장비가 포함된 오브젝트 쌍을 후보 제1연계 오브젝트 및 후보 제2연계 오브젝트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추출한 후보 제1연계 오브젝트 및 후보 제2연계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 및 제2연계 오브젝트가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 SOP 생성방법.
The linked SOP generation system corresponds to the first SOP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titution and the second SOP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titution, wherein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are individually defined SOP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different institutions-included in each Analyzing task contents for each object;
Specifying, by the linked SOP generation system, a first linking object and a second linking object, which are objects that can be linked to each other from each of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based on an analysis result of the task contents for each object;
Generating, by the linkage SOP generation system, a link link between the specific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And
And setting a link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mission contents of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on the linkage link generated by the linkage SOP generation system,
The link object,
It includes a time-lapse object that includes the content of the time-lapse corresponding to the mission content of each of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as the content of the object,
The step of specifying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may include:
Further extracting a pair of an object that includes a task performer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r a task equipmen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task contents of the object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as candidate first linking objects and candidate second linking objects. Includes,
A method of generating linked SOPs, wherein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are specified among the extracted candidate first linkage objects and candidate second linkage objec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SOP 생성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 및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 간의 연계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의 임무내용과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의 임무내용의 선후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연계링크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결정한 방향성에 상응하도록 상기 연계 링크를 생성하는 연계 SOP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linkage link between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specified by the linkage SOP generation system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link link based on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mission content of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mission content of the second linkage object,
A linked SOP generating method for generating the linked link to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directionality.
삭제delete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in a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제1기관에 상응하는 제1SOP 및 제2기관에 상응하는 제2SOP -상기 제1SOP 및 상기 제2SOP는 각각 서로 다른 기관에 상응하도록 개별적으로 정의된 개별적 SOP임-를 포함하는 복수의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가 저장된 SOP DB;
상기 복수의 SOP 각각의 플로우 차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제1SOP 및 상기 제2SOP 각각에 포함된 오브젝트들별 임무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오브젝트별 임무내용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SOP 및 상기 제2SOP 각각으로부터 서로 연계될 수 있는 오브젝트인 제1연계 오브젝트 및 제2연계 오브젝트를 특정하며, 특정한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 및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 간의 연계 링크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연계 링크상에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와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 각각의 임무내용들에 상응하는 링크 오브젝트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오브젝트는,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와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 각각의 임무내용에 상응하는 시간경과에 대한 내용을 오브젝트의 내용으로 포함하는 시간경과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SOP 및 상기 제2SOP 각각에 포함된 오브젝트들의 임무내용에 서로 상응하는 임무수행자 또는 서로 상응하는 임무 장비가 포함된 오브젝트 쌍을 후보 제1연계 오브젝트 및 후보 제2연계 오브젝트로 추출하고,
추출한 후보 제1연계 오브젝트 및 후보 제2연계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 및 제2연계 오브젝트가 특정되는 연계 SOP 생성시스템.
A plurality of SOPs (Standard Operating) including a first SOP corresponding to a first institution and a second SOP corresponding to a second institution, wherein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are individually defined SOP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different institutions Procedure) SOP DB is stored;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 flow char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OPs;
Analyzing mission information for each object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and based on an analysis result of the task contents for each object, a first linkage that is an object that can be linked to each other from each of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An object and a second linkage object are specified, and a linkage link between the specific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is generated, and the task of each of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is generated on the generated linkage link.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setting the link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The link object,
It includes a time-lapse object that includes the content of the time-lapse corresponding to the mission content of each of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as the content of the object,
The control module,
The task pair corresponding to the task content of the object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SOP and the second SOP, or a pair of objects including task equipmen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extracted as a candidate first linking object and a candidate second linking object,
A linked SOP generation system in which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second linkage object are specified among the extracted candidate first linkage objects and candidate second linkage objects.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연계 오브젝트의 임무내용과 상기 제2연계 오브젝트의 임무내용의 선후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연계링크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결정한 방향성에 상응하도록 상기 연계 링크를 생성하는 연계 SOP 생성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module,
A linkage SOP generation system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ality of the linkage based on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mission content of the first linkage object and the mission content of the second linkage object, and generates the linkage to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directionality.
삭제delete 연계 SOP 생성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연계 SOP 생성시스템.
As a linked SOP generation system,
Processor; And
And a memory for storing computer programs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associated SOP generation system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3.
KR1020190050108A 2018-11-13 2019-04-29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elated SStandard Operating Procedure KR10211025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38881 2018-11-13
KR1020180138881 2018-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259B1 true KR102110259B1 (en) 2020-05-15

Family

ID=7067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108A KR102110259B1 (en) 2018-11-13 2019-04-29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elated SStandard Operating Proced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2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4923A (en) * 2021-12-22 2022-03-29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PLC control flow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OPCU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05A (en) * 2010-03-03 2011-09-09 (주)위니텍 System for managing emergency based on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cenario and method of managing emergency
KR101276672B1 (en) * 2012-11-23 2013-06-19 (주)유엔이 Intelligent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ystem based on locat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50030014A (en) * 2013-09-11 2015-03-19 (주)유엔이 SOP scenario executing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60110867A (en) *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 세가온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of respose on disaster based on scenari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05A (en) * 2010-03-03 2011-09-09 (주)위니텍 System for managing emergency based on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cenario and method of managing emergency
KR101276672B1 (en) * 2012-11-23 2013-06-19 (주)유엔이 Intelligent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ystem based on locat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50030014A (en) * 2013-09-11 2015-03-19 (주)유엔이 SOP scenario executing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60110867A (en) *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 세가온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of respose on disaster based on scenari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4923A (en) * 2021-12-22 2022-03-29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PLC control flow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OPCU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390B1 (en) Disaster Countermeasures Training method capable to make training scene and system thereof
Ekanem et al. Phoenix–a model-based human reliability analysis methodology: 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
Sutcliffe A technique combination approach to requirements engineering
Carvalho et al. Nuclear power plant shift supervisor's decision making during microincidents
Calabrese et al. A knowledge-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hipboard damage control
CN106780116A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power emergency drilling method, device and its scenario models, device
Khanal et al.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n the disaster management technology: a literature review of the past 11 years
KR102020063B1 (en) Intelligent Disaster Countermeasures Train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Malakis et al. Refresher training for air traffic controllers: is it adequate to meet the challenges of emergencies and abnormal situations?
Comes et al. Efficient scenario updating in emergency management.
Eilola et al. 3D visualisations for communicative urban and landscape planning: What systematic mapping of academic literature can tell us of their potential?
Tate et al. Using AI Planning Technology for Army Small Unit Operations.
KR10211025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elated SStandard Operating Procedure
KR101513983B1 (en) SOP scenario executing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JP2014174476A (en) Plant operation training simulation device and simulation program therefor
Grimaz et al. Multi-hazard visual inspection for defining safety upgrading strategies of learning facilities at territorial level: VISUS methodology
KR102169980B1 (en) Method for disaster situation propagation and system thereof
KR20220147817A (en) Simulation training and evaluation system for fire fighting activity on-scene command system
CN116128696A (en) Emergency flow detection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6307658A (en) Emergency flow management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 Blanc et al. Requirements for Computer Based-Procedures for Nuclear Power Plant Field Operators. Results from a Qualitative Study
KR20220147816A (en) System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s to strengthen response capabilities for fire fighting activity on-scene commander
KR102059579B1 (en)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report of disaster occurrence
Tena-Chollet et al. Design of a semi-virtual training environment (serious game) for decision-makers facing up a major crisis
Lin The STG-framework: a pattern-based algorithmic framework for developing generative models of parametric architectural design at the conceptual design s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