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665A -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 - Google Patents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665A
KR20220147665A KR1020227033853A KR20227033853A KR20220147665A KR 20220147665 A KR20220147665 A KR 20220147665A KR 1020227033853 A KR1020227033853 A KR 1020227033853A KR 20227033853 A KR20227033853 A KR 20227033853A KR 20220147665 A KR20220147665 A KR 20220147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mass
type composite
composite fib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마츠오
가즈히사 나카야마
나오아키 모리타니
도루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구라레 구라후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라레 구라후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레 구라후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7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Abstract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 (10) 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13),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및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4) 를 함유하는 부직포로서, 상기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이며, 및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는, 서로 교차하는 교점에 있어서 결합하고 있는 접착부를 갖고, 상기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는, 시스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다.

Description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
관련 출원
본원은 일본에서 2020년 3월 24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20-53332 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를 참조에 의해서 본 출원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인용한다.
기술 분야
이 발명은 부직포,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부직포에 액체를 함침시킨 액체 함침 시트 (liquid-containing sheet) 가 이용되고, 이것들은 액체 함침 시트로서 페이스 마스크, 도포 시트, 와이핑 시트 등에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61067호) 에는, 30 ∼ 60 ㎜ 의 섬유 길이를 갖는 용제 방사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가, 서로 교락 하여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로서, 상기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는 시스부와 코어부로 이루어지고, 그 시스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임과 함께 그 코어부가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직경이 5 ㎛ ∼ 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는, 상기 용제 방사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상기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수류 낙합법에 의해서 부직포화함으로써, 부드러우며 또한 벌크한 섬유 교락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제2015/046301호) 에는, 영률 30 cN/T 이상의 고탄성 섬유를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부직포로 형성된 보액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는, 미용액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을 함침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눌러도, 액상 성분의 시트에의 복귀가 빠른 보액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61067호 국제 공개 제2015/046301호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서는, 부직포를 사용할 때의 형태 안정성이 열등하기 때문에, 개량의 여지가 존재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부직포, 그리고 이것을 사용한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태 안정성이 우수함과 함께, 양호한 보수율 및 방액률을 갖는 부직포, 그리고 이것을 사용한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어서 사용할 때에 부직포끼리가 잘 미끄러지지 않아 취급성이 우수하면서도, 부직포와 피부의 마찰은 작아 피부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부직포, 그리고 이것을 사용한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소정의 비율로 사용하여,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간이 접하는 교점 부분에 접착부를 형성하면, 유사 네트 상태를 형성할 수 있어, 부직포 전체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 한편으로,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 의한 형태 안정성의 향상은, 부직포를 피부에 대해서 적용할 때에 가해지는 정도의 압축시에는, 충분한 방액성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것, 또한 부직포가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이 감소함으로써, 보수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는 점에서, 다른 섬유에 대한 개량을 필요로 하는 것을 새로운 과제로서 알아내었다. 그리고, 이 새로운 과제에 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유사 네트 상태가 형성된 경우, 방액률 및 보수율은, 부직포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제 3 성분으로서, 시스부에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 축약 기호 EVOH) 를 구비하는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시킴과 함께,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비율을 특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로 구성될 수 있다.
〔양태 1〕
셀룰로오스계 섬유,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및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로서,
상기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17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 이고,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88 질량% 이하, 특히 65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 이며, 및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는, 서로 교차하는 교점에 있어서 결합하고 있는 접착부를 갖고,
상기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는, 시스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부직포.
〔양태 2〕
양태 1 에 기재된 부직포로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량 (T) 과,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함유량 (N) 의 질량비가, T/N = 99/1 ∼ 51/49 (바람직하게는 95/5 ∼ 55/45, 보다 바람직하게는 95/5 ∼ 65/35, 더욱 바람직하게는 95/5 ∼ 75/25) 인, 부직포.
〔양태 3〕
양태 1 또는 2 에 기재된 부직포로서, 포화 수분량을 흡수했을 때의 신장률이, 4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 이하) 인, 부직포.
〔양태 4〕
양태 1 ∼ 3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부직포로서, 증류수와 글리세린의 혼합액 (증류수/글리세린의 질량비 = 5/4) 을 부직포의 질량에 대해서 500 질량% 함침시켜 24 시간 방치했을 때의, 30 % 압축 변형시의 압축 경도가 0.750 ∼ 1.500 N/㎜ (바람직하게는 0.800 ∼ 1.400 N/㎜,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0 ∼ 1.300 N/㎜) 인, 부직포.
〔양태 5〕
양태 1 ∼ 4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부직포로서, 증류수와 글리세린의 혼합액 (증류수/글리세린의 질량비 = 5/4) 을 부직포의 질량에 대해서 500 질량% 함침시켜 24 시간 방치했을 때의, 30 % 압축 변형시에 방출되는 10 초간의 방액률이 7 ∼ 14 % (바람직하게는 8 ∼ 12 %) 인, 부직포.
〔양태 6〕
양태 1 ∼ 5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부직포로서, 보수율이 114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180 % 이상이어도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 % 이상) 인, 부직포.
〔양태 7〕
양태 1 ∼ 6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부직포로서, 증류수를 400 질량% 함유하는 상태의 부직포끼리의 정지 마찰 계수 (A) 와, 증류수를 400 질량% 함유하는 상태의 부직포와 바이오 스킨 (인공 피부) 의 정지 마찰 계수 (C) 의 차 (A - C) 가 0.0170 ∼ 0.1000 (바람직하게는 0.0200 ∼ 0.0900 이어도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0 ∼ 0.0800) 인, 부직포.
〔양태 8〕
양태 1 ∼ 7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부직포로서, 증류수를 400 질량% 함유하는 상태의 부직포끼리의 정지 마찰 계수 (A) 가 0.0550 ∼ 0.0900 (바람직하게는 0.0600 ∼ 0.09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50 ∼ 0.0880) 인, 부직포.
〔양태 9〕
양태 1 ∼ 8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부직포로서, 증류수를 400 질량% 함유하는 상태의 부직포와 바이오 스킨 (인공 피부) 의 정지 마찰 계수 (C) 가 0.0450 이하 (바람직하게는 0.0430 이하) 인, 부직포.
〔양태 10〕
양태 1 ∼ 9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부직포로서, 부직포의 두께 (1 배) 당 보풀 길이가 10 배 이하 (바람직하게는 8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배 이하) 인, 부직포.
〔양태 11〕
양태 1 ∼ 10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함침 시트.
〔양태 12〕
양태 1 ∼ 10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와이핑 시트.
〔양태 13〕
양태 1 ∼ 10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셀룰로오스계 섬유,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및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웨브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며,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웨브에 대해서 교락 처리를 행하여, 교락 구조를 갖는 웨브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교락 구조를 갖는 웨브에 있어서, 상기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간에는 접착부를 형성시키지 않고,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간에는 접착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적어도 구비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양태 14〕
양태 13 에 기재된 부직포로서, 상기 교락 처리가 수류 교락인, 부직포의 제조 방법.
〔양태 15〕
양태 13 또는 14 에 기재된 부직포로서, 상기 접착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시스부의 융점보다 낮고,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시스부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가 행해지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또한, 청구범위 및/또는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개시된 적어도 2 개의 구성 요소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2 개 이상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형태 안정성, 보수성, 및 방액성 등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접어서 사용할 때에 부직포끼리가 잘 미끄러지지 않아 취급성이 우수하면서도, 부직포와 피부의 마찰은 작아 피부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 및 도면은 간단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 이용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이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진다.
도 1 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직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동 부직포의 일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확대 평면도이다.
도 3a 는, 도 2 의 III 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개략 확대도이다.
도 3b 는, 도 3a 의 접착부를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부분 개략 확대도이다.
도 4 는, 방액률의 시험에 있어서, 샘플로부터 방출되는 액체가 탈지면에 흡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5 는, 액체 함침 부직포간의 정지 마찰 계수를 측정할 때에 사용되는, 부직포로부터 잘라내어진 샘플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 은, 액체 함침 부직포간의 정지 마찰 계수를 측정할 때에 사용되는, 부직포로부터 잘라내어진 피마찰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7 은, 액체 함침 부직포간의 정지 마찰 계수를 측정할 때에 사용되는 샘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8 은, 액체 함침 부직포간의 정지 마찰 계수를 측정할 때에 사용되는 시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9 는, 액체 함침 부직포와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 사이의 정지 마찰 계수를 측정할 때에 사용되는, 부직포로부터 잘라내어진 샘플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 은, 마찰에 의해서 부직포로부터 발생되는 보풀 길이를 측정할 때에 사용되는, 부직포로부터 잘라내어진 샘플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 은, 부직포의 신장률을 측정할 때에 사용되는 샘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접착부를 갖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와, 시스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구비한다.
(셀룰로오스계 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로는, 면화, 삼, 펄프 등의 식물성 섬유, 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리오셀 (텐셀) 등의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 중, 입수의 용이성, 취급의 용이성에서 레이온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일부 피브릴화되어 있어도 되지만, 미세한 섬유가 안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실질적으로 피브릴화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이다.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45 질량% 미만이면, 보수성이 낮아진다. 한편, 본 발명의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90 질량% 이상이면, 시트가 고밀도로 되어 방액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은, 50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이어도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88 질량% 이하, 특히, 65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여도 된다.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도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2 ∼ 2.2 dtex 여도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1.9 dtex 여도 된다.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조 작업성, 부직포의 기계적 특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10 ∼ 100 ㎜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20 ∼ 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60 ㎜ 여도 된다.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본 발명의 부직포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함유하고 있고,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는, 서로 교차하는 교점에 있어서 결합하고 있는 접착부를 갖고 있다. 접착부에서는, 서로의 섬유의 시스부를 상용하여 일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형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소정의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접착부를 바람직한 범위에서 형성할 수 있어, 부직포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착부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시스부끼리가 상용함으로써, 접착 코어 시스형 섬유를 일체화한 유사 네트 상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직포가 마찰된 경우에 있어서, 보풀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17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여도 된다.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는, 코어부를 형성하는 수지 성분과, 시스부를 형성하는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고, 시스 부분이 접착성을 갖고 있다. 시스 부분은, 접착부를 형성 가능한 한 각종 수지 성분을 사용할 수 있지만, 작업성의 관점에서 시스 부분은, 열융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시스부로는, 열융착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이것들의 변성 폴리머, 블렌드,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변성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에 의해서 변성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의 변성 폴리머, 블렌드, 공중합체,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다.
예를 들어, 시스부로서 열융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은, 예를 들어, 80 ∼ 150 ℃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00 ∼ 140 ℃ 여도 된다.
한편, 코어부로는, 접착부를 형성하는 시스부와 섬유화 가능함과 함께, 시스부가 접착부를 형성한 경우여도 섬유로서의 이용을 유지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스부에 따라서 적절한 수지 성분이 선택된다. 바람직한 코어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시스부로서 열융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코어부의 수지 성분의 융점은, 시스부 수지 성분의 융점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10 ℃ 이상 높은 온도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높은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높은 온도여도 된다.
예를 들어, 코어부/시스부의 조합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변성 폴리프로필렌 등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저렴하고, 부직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강고한 접착부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 시스부가 되는 저융점 성분이 적어도 코어부의 주위를 40 % 이상, 특히 60 % 이상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어부와 시스부의 구성 비율은, 질량비로, 예를 들어, 90/10 ∼ 10/90 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80/20 ∼ 2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30 ∼ 30/70 이어도 된다.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환형 (丸型) 코어 시스, 편심형 코어 시스, 이형 단면형 코어 시스 등 어떠한 형태여도 된다.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섬도는,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0.5 ∼ 10.0 dtex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0 ∼ 5.0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 2.2 dtex 여도 된다.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제조 작업성, 부직포의 기계적 특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10 ㎜ ∼ 80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7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 60 ㎜ 이다.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 이와 같은 단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교락 처리에 의한 섬유의 이동성 및 교락도를 높이면서, 부직포의 강도 및 신도 등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 이외에, 시스부로서 친수·친유성을 겸비하는 수지를 구비한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즉, 상기 친수·친유성을 겸비하는 수지로서, 시스부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 축약 기호 EVOH) 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와 달리,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서는, 시스부인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가 서로 상용하지 않고 부직포 중에 존재하고 있고, 이와 같은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존재에 의해서, 부직포는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시스부에 사용하는 EVOH 는,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EVOH 성분은 에틸렌 함유량이 25 ∼ 70 몰 %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과 친유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는, 에틸렌 함유량이 30 ∼ 65 몰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시스부로서 EVOH 를 사용한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부직포가 액체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의 보액성 (보수성) 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부직포가 30 % 정도 압축된 경우의 방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 코어부는, EVOH 와 섬유화 가능한 수지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친수성을 갖는 EVOH 에 대해서 강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소수성의 수지 성분이어도 된다.
소수성의 수지 성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EVOH 보다 강성이 높은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보다 탄성률이 높으며, 부직포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부직포 중에 액체가 유지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방액성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접착인 점에서 유래하여 부직포와 피부의 마찰이 작아 피부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30 % 정도 압축된 경우여도, 지나치게 딱딱하지 않고, 지나치게 부드럽지 않은 바람직한 압축 경도를 부직포에 대해서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섬유 표면에 친수성 및 친유성의 쌍방을 부여하고, 방액성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 시스부가 되는 EVOH 가 적어도 코어부의 주위를 50 % 이상, 특히 70 % 이상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어부와 시스부의 구성 비율은, 질량비로, 예를 들어, 90/10 ∼ 10/90 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80/20 ∼ 2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30 ∼ 30/70 이어도 된다.
상기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환형 코어 시스, 편심형 코어 시스, 이형 단면형 코어 시스 등 어떠한 형태여도 된다.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섬도는, 공정 통과성 및 촉감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0.5 ∼ 10.0 dtex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0 ∼ 5.0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 2.2 dtex 여도 된다.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제조 작업성, 부직포의 기계적 특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10 ㎜ ∼ 80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7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 60 ㎜ 이다.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 이와 같은 단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교락 처리에 의한 섬유의 이동성 및 교락도를 높이면서, 부직포의 강도 및 신도 등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함유율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량 (T) 과,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함유량 (N) 의 질량비로서, 예를 들어, T/N = 99/1 ∼ 51/49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95/5 ∼ 55/45, 보다 바람직하게는 95/5 ∼ 65/35, 더욱 바람직하게는 95/5 ∼ 75/25 이어도 된다.
도 1 은, 이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직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 개념도이고, 도 2 는, 이 부직포의 일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평면 개념도이다. 도 3a 는, 도 2 의 III 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개략 확대도이고, 도 3b 는, 도 3a 의 접착부를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부분 개략 확대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직포 (10) 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13),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및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4) 를 함유하고 있다. 이들 섬유 (11, 13, 14) 는, 부직포에 있어서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어도 되고, 어느 일 방향 (예를 들어, MD 방향) 을 주로 하여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부직포 (10) 에서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끼리가 서로 교차하는 교점에 있어서 접착하여, 부직포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일부를 개념적으로 확대하는 확대 평면도로서,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및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4) 의 부직포 중의 존재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 2 에서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및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4) 를 개념적으로 선상물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섬유 (13) 도 부직포에 있어서 선상물로서 분포되어 있지만, 도면에서는 선상물로서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간편성을 위해서 직선상물로 나타내고 있지만, 어느 섬유나 곡선상물이어도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는, 다른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와의 교점에 있어서 서로 접착하고 있는 접착부 (12) 를 갖고 있다. 한편,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4) 끼리는, 다른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4) 와의 교점에 있어서 서로 접착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와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4) 의 교점에 있어서,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외관에 의해서 양자는 접착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교점에는 서로 상용하는 접착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와 셀룰로오스계 섬유 (13) 의 교점에 있어서도, 통상적으로 교점에는 서로 상용하는 접착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부 (12) 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11) 끼리가 서로 교차하는 교점에 있어서 섬유간 결합한 것으로서, 웨브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복수 존재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복수의 접착부 (12) 는, 웨브 전체에 걸쳐서 거의 균일하게 분포한다. 각 접착부 (12) 에서는, 서로 교차하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의 시스부 (11a) 의 일부 (서로 접촉하는 교점의 부분) 끼리가 융착 또는 용착됨으로써, 섬유간 결합이 형성된다.
따라서, 접착부 (12) 에서는, 단순한 물리적인 낙합과는 달리, 부직포에 있어서 고정되는 정점 (定點) 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부직포가 잡아 당겨지는 경우여도, 접착부 (12) 를 파지부로 하여, 부직포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서로 근접하는 접착부 (12) 에 의해서, 유사 네트 상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의 과도한 신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는, 시스부 (11a) 와, 이 시스부 (11a) 에 덮이는 코어부 (11b) 를 구비하는 복합 섬유로서, 하나의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의 시스부 (11a) 와, 다른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의 시스부 (11a) 의 교점 부분에 상기 접착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시스 부분은, 접착성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열융착성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경우,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는, 시스부 (11a) 로서 저융점 성분이 적용되고, 코어부 (11b) 로서 고융점 성분이 적용된다.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는, 이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 를 길이 방향과 수직인 평면에서 절단해서 본 단면 형상이, 환원 형상의 코어부 (11b) 의 외주면을, 원주 방향의 두꺼운 부분이 대략 균일한 원통 형상의 시스부 (11a) 로 덮은 환형 코어 시스의 형태이다. 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단면 형상은, 환형 코어 시스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편심형 코어 시스, 이형 단면형 코어 시스 등 어떠한 형태여도 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상기 서술한 셀룰로오스계 섬유,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및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이외의 섬유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섬유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부직포의 제조 방법]
부직포는, 섬유의 혼합 및 액체를 함침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상기 서술한 각종 섬유를 사용하여 건식법에 의해서 웨브를 형성하고, 이어서, 웨브 중의 섬유를 교락 처리에 의해서 얽히게 하고, 다시 접착 처리에 의해서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 접착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와, 상기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혼면하고, 이어서 카드기에 의한 카딩으로 해섬하여 웨브를 제작한다. 이러한 웨브는 카드기의 진행 방향으로 섬유가 배열된 페럴렐 웨브, 페럴렐 웨브가 크로스레이드된 크로스 웨브, 랜덤하게 배열된 랜덤 웨브, 혹은 양자의 중간 정도로 배열된 세미 랜덤 웨브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시트 사용시에 모든 방향에 대한 따름성이 높아지는 것을 고려하면, 랜덤 웨브가 바람직하고, 생산성의 높이를 고려하면 세미 랜덤 웨브가 바람직하다.
교락 처리는, 섬유간이 서로 얽힐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섬유 상호의 치밀한 낙합이 가능한 관점에서, 얻어진 웨브에 수류 교락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류 교락 처리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다공성 지지 부재 상에 재치 (載置) 한 웨브에 대해서, 고압에서 주상으로 분사되는 수류를 충돌시킴으로써, 웨브의 구성 섬유 상호를 치밀하게 삼차원 교락시켜 일체화시킨다.
웨브에 삼차원 교락을 실시할 때에 있어서는, 이동하는 다공성 지지 부재 상에 웨브를 재치하여, 수압 0.5 ∼ 15 ㎫ 의 수류로 1 회 또는 복수 회 처리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분사공은 웨브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노즐 플레이트를 열상 (列狀) 으로 배열하고, 웨브에 대해서 수류를 균일하게 충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브의 두께의 균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압은 특히 1.5 ∼ 12 ㎫ 의 범위인 것, 추가로 수류 교락 처리를 웨브의 양면에 대해서, 적어도 각각 2 회 이상이며, 또한 합계 5 회 이상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브에 대한 교락을 균일하게 하는 관점에서, 분사공과 웨브의 거리는 1 ∼ 1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류는, 예를 들어, 공경이 0.05 ∼ 0.10 ㎜, 간격 0.30 ∼ 1.50 ㎜ 의 분사공을 1 ∼ 2 열로 배열한 노즐 플레이트로부터 분사되어도 된다.
웨브를 재치하는 다공성 지지 부재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수지 등의 메시 스크린이나 유공판 등이 사용된다. 부직포 표면의 평탄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수류 교락 처리의 적어도 마지막 처리에 있어서, 가는 섬유의 방직 구조체 (예를 들어 평직 구조체) 상에서 수류 교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브의 표면 평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다공성 지지 부재 상에서의 수류 교락 처리에 있어서 사용하는 노즐 플레이트 중, 최종단에 사용하는 노즐 플레이트는, 공경이 0.05 ∼ 0.10 ㎜, 간격 0.30 ∼ 1.00 ㎜ 의 분사공을 1 ∼ 2 열로 배열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공정>
접착 공정에서는, 웨브 중의 교락된 구조를 유지하고,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간에 있어서 접착부를 형성시킨다.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간의 접착부에서 사용되는 수지 성분에 따라서 접착 공정은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시스부만이 연화되는 용제 하에서 접착부를 형성해도 되고, 열융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사용하여, 열처리에 의해서 시스부를 융해하여 접착부를 형성해도 된다. 간편성의 관점에서는, 열처리에 의한 접착 공정이 바람직하다.
열처리를 행하는 경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 대해서 접착부를 형성하면서,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는 접착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온도 등을 제어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풍 건조기, 실린더 건조기 등의 각종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처리 공정에서는, 웨브의 온도가 웨브 중에 함유되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시스부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가 되도록 열량을 조정하면 된다. 접착부가 형성된 웨브를, 본 발명의 부직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융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경우, 추가로 냉각 공정을 행하여, 접착부를 고정시켜도 된다. 냉각 공정은, 열처리 공정 후의 권취까지의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웨브로부터 열을 방출함으로써 냉각을 행해도 되고, 냉각 수단을 사용하여 냉각을 행해도 된다. 접착부를 고정시켜, 웨브의 형태 안정성 및 보풀 방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웨브의 온도가 상기 열융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시스부의 융점 온도 이하로 되고 나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본 발명의 부직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및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로서,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는, 서로 교차하는 교점에 있어서 결합하고 있는 접착부를 갖고, 상기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이며, 및 상기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는, 시스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부직포이다.
부직포의 보액성 등의 관점에서, 부직포의 외관 밀도는, 예를 들어, 0.04 ∼ 0.20 g/㎤ 의 범위 내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06 ∼ 0.15 g/㎤ 의 범위 내여도 된다. 여기에서, 외관 밀도는,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을 두께로 나눈 값이다. 부직포의 외관 밀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는, 형태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또, 부직포의 외관 밀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보액량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외관 밀도는, 겉보기 중량 (g/㎡) 과 두께 (㎜) 로부터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부직포의 외관 밀도 (g/㎤) = 겉보기 중량 (g/㎡)/두께 (㎜)/1000). 또한, 부직포의 두께는, JIS L 1913「일반 부직포 시험 방법」의 6.2 에 준하여 측정한다.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은, 예를 들어, 10 ∼ 100 g/㎡ 의 범위 내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20 ∼ 100 g/㎡ 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50 g/㎡ 의 범위 내여도 된다.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는, 형태 안정성이 저하되어, 액체 함침 시트로서 사용할 때의 둥글어짐 등이 발생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또,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이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시트 1 장당 사용하는 섬유량, 함침액의 양이 많아져 비용면에서 불리해지는 경향이 있다.
부직포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5 ∼ 10 ㎜ 의 범위 내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10 ∼ 8 ㎜ 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 5 ㎜ 의 범위 내여도 된다. 두께가 지나치게 얇을 경우에는, 부직포의 형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에는, 시트상의 섬유 집합체가 지나치게 두꺼워져, 섬유간의 낙합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일 양태의 부직포는, 소정의 범위의 함유율로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함과 함께,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가 서로 교차하는 교점에 있어서 결합하고 있는 접착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부직포의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부직포는, 신장률이, 예를 들어, 40 % 이하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 이하여도 된다. 신장률은 0 % 여도 되지만, 부직포에 신장성을 구하는 용도에 있어서는, 신장률이 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신장률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일 양태의 부직포는, 소정의 범위의 함유율로,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시스부에 EVOH 를 구비하는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30 % 의 두께를 압축하는 경우의 방액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증류수와 글리세린의 혼합액 (증류수/글리세린의 질량비 = 5/4) 을 부직포의 질량에 대해서 500 질량% 함침시켜 24 시간 방치한 후, 30 % 압축 변형시에 방출되는 10 초간의 방액률은, 예를 들어, 7 ∼ 14 %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8 ∼ 12 % 여도 된다. 방액률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액체의 방출성이 나쁘고, 방액률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액체의 방출에 의해서 액 흘림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방액률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일 양태의 부직포는, 소정의 범위의 함유율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함유함과 함께,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서는 실질적으로 서로 접착하는 접착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부직포 중에 있어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부직포의 보수율은, 예를 들어, 1145 % 이상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180 % 이상이어도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 % 이상이어도 된다. 보수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500 % 정도여도 된다. 또한, 보수율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일 양태의 부직포는, 소정의 범위의 함유율로,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시스부에 EVOH 를 구비하는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압축 경도가 0.750 ∼ 1.500 N/㎜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800 ∼ 1.400 N/㎜,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0 ∼ 1.300 N/㎜ 여도 된다. 또한, 압축 경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압축 경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사용시에 과도한 방액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고, 예를 들어, 시트를 패키지로부터 집어내는 행위나, 접거나 하는 행위에 의해서, 사용 전에 액이 방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한편, 압축 경도가 지나치게 크면 방액률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일 양태의 부직포는, 유사 네트 상태를 형성하여 보풀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직포에 발생되는 보풀의 길이는, 예를 들어, 7.0 ㎜ 이하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보풀의 길이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또, 부직포의 두께가 얇은 경우여도, 발생되는 보풀의 길이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직포에 발생되는 보풀의 길이는, 부직포 1 장의 두께에 대해서, 예를 들어, 10 배 이하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8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배 이하여도 된다.
일 양태의 부직포는, 접어서 사용할 때에 부직포간에서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부직포끼리의 정지 마찰 계수 (A) 가, 예를 들어, 0.0550 ∼ 0.0900 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0600 ∼ 0.09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50 ∼ 0.0880 이어도 된다. 또한 부직포끼리의 정지 마찰 계수 (A) 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으로서, 부직포는 증류수를 400 질량% 함유하는 상태에서 사용된다.
일 양태의 부직포는, 피부에 대해서 적용할 때의 매끄러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부직포와 바이오 스킨 (인공 피부) 의 정지 마찰 계수 (C) 가, 예를 들어, 0.0450 이하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043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부직포와 바이오 스킨 (인공 피부) 의 정지 마찰 계수 (C) 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으로서, 측정시에 있어서 부직포는 증류수를 400 질량% 함유하는 상태에서 사용된다.
일 양태의 부직포는, 접어서 피부에 적용할 때에, 부직포끼리는 미끄러지지 않고, 그 일방에서 피부에 대해서는 매끄러움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부직포끼리의 정지 마찰 계수 (A) 와 부직포와 바이오 스킨 (인공 피부) 의 정지 마찰 계수 (C) 의 차 (A - C) 가, 예를 들어, 0.0170 ∼ 0.1000 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0200 ∼ 0.0900 이어도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0 ∼ 0.0800 이어도 된다.
[액체 함침 시트]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함침 시트를 포함한다. 액체 함침 시트는, 상기 부직포와, 후술하는 액체를 적어도 포함하고, 청정 용도, 미용 용도, 의료 용도, 가정 용도, 공업 용도 등에 있어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용도에 따라서 사용되는 액체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공지 또는 관용의 유효 성분을 갖는 용액, 분산액, 에멀션 등이면 된다. 액체는, 물, 수용액, 수성 에멀션 등의 수성 액체여도 되고, 유기 용제나 이것들을 매체로 하는 유성 액체여도 되며, 이것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사용하는 액체의 함침량으로는, 소정의 효과가 얻어지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액체의 함침량은, 상기 부직포 100 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어, 100 ∼ 1000 질량부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50 ∼ 800 질량부여도 된다.
유효 성분으로는, 용도에 따라서, 각종 미용 성분, 청정 성분, 세정 성분, 소독 성분, 약효 성분, 청량 성분, 방충 성분, 코팅제, 도료, 마무리제 (예를 들어, 바니시 등)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것들의 유효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유효 성분으로는, 공지 또는 관용의 유효 성분을 사용할 수 있고, 유효 성분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서, 적당한 용매 (물, 에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 보조제 (유화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중화제, 증점제, 윤활제, 결정화 속도 지연제 등), 첨가제 (자외선 흡수제, 분체, 산화 방지제, 방부제, 향료, 형광 증백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소취제, 가소제, 착색제 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미용 성분 (신체나 용모를 정돈하기 위한 성분) 으로는, 미백 성분, 항노화 (항산화, 항주름, 항늘어짐) 성분, 항염증 (자극 완화, 항알레르기) 성분, 세포 부활 (턴 오버 촉진, DNA 손상 수복) 성분, 보습 성분, 에몰리언트 성분, 수렴 성분, 필링 성분, 혈행 촉진 성분, 항산화 성분, 온감 성분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미용 성분으로는, 알부틴, 코지산,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아스타잔틴, 루시놀, 아세틸글루코사민, 엘라그산, 트라넥삼산, 리놀레산, 옥시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토코페롤 및 이것들의 유도체,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EGF 등의 펩티드류, 당알코올류, 당류, 무코 다당류, 각종 식물 엑스트랙트, 플라센타 엑스트랙트, 캡사이신 등을 들 수 있다.
청정 성분으로는, 피부의 청정을 목적으로 하는 논이온계 계면 활성제, 알코올류 (에탄올, 다가 알코올 등), 글리콜에테르류, 유제 (광물 유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납 (蠟), 실리콘계 오일, 천연 오일 등) 등을 들 수 있다.
세정 성분으로는, 상기 청정 성분에 더하여, 양성 계면 활성제,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용제, 알칼리제 등을 들 수 있다.
소독 성분으로는, 염소계 소독제 (아염소산나트륨 등의 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의 차아염소산염, 염소산나트륨 등의 염소산염, 과염소산나트륨 등의 과염소산염, 및 디클로로이소프로필메틸페놀시아누르산나트륨 등의 염소화시아누르산염 등), 알코올류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양성 계면 활성제, 제 4 급 암모늄염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 클로로헥시딘 등을 들 수 있다.
약효 성분으로는, 용도에 따라서 각종 약효 성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습포 등에 사용되는 약효 성분으로는, 항염증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진통소염제, 국소 마취제 등을 들 수 있다.
청량 성분으로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멘톨, 박하유, 페퍼민트유, 캠퍼 (장뇌), 티몰, 스필란톨, 살리실산메틸 등의 청량화제를 들 수 있다.
방충 성분으로는, 유칼리 엑스트랙트, 멘톨, 박하유, 디에틸톨루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용용 페이스 마스크는, 미용 성분 및 용매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유효 성분, 보조제, 첨가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클렌징 시트는, 청정 성분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유효 성분 (예를 들어, 미용 성분 등), 용매, 보조제, 첨가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소제 와이퍼는, 세정 성분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유효 성분 (코팅제, 마무리제, 도료 등), 용매, 보조제, 첨가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제균·바이러스 와이퍼는, 소독 성분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유효 성분 (보습 성분 등), 용매, 보조제, 첨가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가려움 억제 시트는, 약효 성분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유효 성분 (청량 성분, 보습 성분 등), 용매, 보조제, 첨가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제한 (制汗) 시트는, 청량 성분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유효 성분 (수렴 성분, 보습 성분 등), 용매, 보조제, 첨가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방충 시트는, 방충 성분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유효 성분 (보습 성분 등), 용매, 보조제, 첨가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부직포는, 목적으로 하는 액체를 충분히 함침함과 함께 사용시의 방액성이 우수하며, 또한 형상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포용 시트 (특별히 와이핑 시트) 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포용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접힌 부직포끼리가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상보다 큰 사이즈여도 접힌 상태에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와 같은 경우, 시트의 1 장의 크기는, 예를 들어, 200 ㎠ 이상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250 ㎠ 이상이어도 된다. 시트의 1 장의 크기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킨 케어 용도의 경우, 시트의 1 장의 크기의 상한은, 예를 들어, 1000 ㎠ 정도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액체 함침 시트는, 보수성, 방액률이나 촉감의 양호함을 이용하여, 상기 서술한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피부에 대해서 이용하는 스킨 케어 시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스킨 케어 시트로는, 피부를 문지르는, 이른바 러빙 (rubbing) 용도의 시트여도 되고, 피부를 문지르지 않는, 이른바 비러빙 (non-rubbing) 용도의 시트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액체 함침 시트는, 비러빙 (non-rubbing) 용도의 시트로서, 미용 성분을 함침시킨 미용 시트 (예를 들어, 미용 마스크, 네일 케어 시트, 두피 케어 시트, 등, 흉부, 복부 등의 보디 케어 시트, 위생 시트 등), 약용 또는 치료용 시트 (가려움 억제 시트, 습포 등) 등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적당한 압축 경도나 방액률을 갖는 부직포 (특히 마찰에 의해서 보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부직포) 를 기재로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액체 함침 시트는, 러빙 (rubbing) 용도의 시트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러빙 (rubbing) 용도의 시트로는, 와이핑 청정 성분을 함침시킨 메이크 제거 시트 또는 클렌징 시트, 신체 세정용 시트 (스위트 시트, 제한 (制汗) 시트, 모발, 두피 닦아냄, 둔부 닦아냄, 위생 시트 등), 방충용 시트, 냉감 시트, 약용 또는 치료용 시트 (가려움 억제 시트 등)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아이 메이크를 제거하는 경우, 눈꺼풀 부근이라는 매우 섬세한 피부 부위임에도 불구하고, 진한 아이 메이크에서 유래하여 제거해야 할 화장 성분의 양이 많아지지만, 본 발명의 액체 함침 시트는, 피부에 대한 부담을 초래하지 않아, 충분한 방액이 가능함과 함께,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에 의해서 친유성 및 친수성의 쌍방을 양립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이크 제거 시트로서 특히 유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는, 하기 방법에 의해서 각종 물성을 측정하였다.
〔겉보기 중량 및 외관 밀도〕
JIS L 1913「일반 부직포 시험 방법」의 6.2 에 준하여, 겉보기 중량 (g/㎡) 을 측정하였다. 또, 외관 밀도 (g/㎤) 는, 겉보기 중량을 두께로 나눔으로써 산출하였다.
〔두께〕
JIS L 1913 을 참고로, 직경 25.4 ㎜ 의 원형 수평판의 두께 측정기로 12 g/㎠ 의 하중을 가했을 때의 두께를 측정하고, 부직포의 두께로 하였다.
〔보수량〕
JIS L 1913 6.9.2 (보수율) 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편을 가로세로 10 ㎝ 로 잘라내어 질량 X (g) 를 측정한다. 그 시험편을 15 분간 수중에 침지하였다. 그 후 시험편의 한 변을 잡고 수중으로부터 꺼내어 1 분 후의 질량 Y (g) 을 측정하였다. 그 값들로부터 보수량 (g) 을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보수량 (g) = Y - X
〔보수율〕
상기 보수량으로부터 물에 침지하기 전의 시험편의 질량을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보수율 (%) 로 하여,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보수율 (%) = (Y - X)/X × 100
〔압축 경도〕
30 % 압축 변형시의 압축 경도는, 다음의 순서로 측정하였다.
(1) 측정 시료를 가로세로 5 ㎝ 로 8 장 재단하고, 8 장분의 질량을 계측한다.
(2) 시료를 8 장 중첩하고, 증류수 (후지 필름 와코 제약 (주) 제조 품번 042-16973) 와 글리세린 (켄에이 제약 (주) 제조 글리세린 P「켄에이」) 을 증류수 5 글리세린 4 의 비율 (질량비) 로 조정한 혼합액을 0.3 ㏄ 씩 시료로부터 높이 2 ㎝ 의 위치에서 적하하고, 전체로 500 질량% 를 적하 후 시트 표면 전체에 함침시킨다.
(3) 혼합액이 증발하지 않는 밀폐된 환경 하에 정치 (靜置) 하고, 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8 장 전체에 골고루 퍼질 때까지 24 시간 방치한다.
(4) 24 시간 후에 시료를 꺼내어, JIS L 1913 을 참고로, 8 장 중첩한 상태 그대로 직경 25.4 ㎜ 의 원형 수평판의 두께 측정기로 16 g/㎠ 의 하중을 가했을 때의 두께 E (㎜) 를 계측한다.
(5) 계속해서 시료를 (주) 테크 기한사 제조 YAWASA 계측기 Type MSES-0512-1-SL 을 사용하여, 압자 직경 20.0 ㎜, 압입 속도 1.0 ㎜/s, 최대 하중 5.0 N 의 조건에서 시트의 중앙부를 계측하고, 반발 응력을 구한다.
(6)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시트의 두께 E (㎜) × 30 % 의 변형 F (㎜) 를 중심으로 하고, 그곳으로부터 상하로 0.25 ㎜ 변형이 변화했을 때에 가해지는 응력 (N) 을 각각 판독하여, 그 차를 0.5 ㎜ 로 나눈 값을 30 % 압축 변형시의 압축 경도 (N/㎜) 로 하였다.
〔방액률〕
30 % 압축 변형시의 방액률은, 다음의 순서로 측정하였다.
(1) 측정 시료를 가로세로 5 ㎝ 로 8 장 재단하고, 8 장분의 질량 G (g) 를 계측한다.
(2) 시료를 8 장 중첩하고, 증류수 (후지 필름 와코 제약 (주) 제조 품번 042-16973) 와 글리세린 (켄에이 제약 (주) 제조 글리세린 P「켄에이」) 을 증류수 5 글리세린 4 의 비율 (질량비) 로 조정한 혼합액을 0.3 ㏄ 씩 시료로부터 높이 2 ㎝ 의 위치에서 500 질량% 적하하고, 시트 표면 전체에 함침시킨다.
(3) 혼합액이 증발하지 않는 밀폐된 환경 하에 정치하고, 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8 장 전체에 골고루 스며들 때까지 24 시간 방치한다.
(4) 24 시간 후에 시료를 꺼내어, JIS L 1913 을 참고로, 8 장 중첩한 상태 그대로 직경 25.4 ㎜ 의 원형 수평판의 두께 측정기로 16 g/㎠ 의 하중을 가했을 때의 두께 E (㎜) 를 계측한다.
(5) 측정대에 샘플을 정치하고, 사전에 질량을 측정한 탈지면 H (g) 를 샘플로부터 2 ㎝ 떨어진 위치에 두고, 샘플의 두께 E (㎜) 까지 누름판을 천천히 슬라이드시켜 샘플과 탈지면을 사이에 끼운다.
(6)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대를 90 도 회전시켜, 샘플을 수직으로 한다. 도 4 는, 방액률의 시험에 있어서, 샘플로부터 방출되는 액체가 탈지면에 흡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회전 후의 측정대 (24) 는, 샘플 (20) 및 탈지면 (22) 을 수직 방향에 있어서, 각각 상하로 나란히 유지되어 있다. 샘플 (20) 은, 탈지면 (22) 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판 (23) 의 이동에 의해서 샘플 (20) 이 압축되면, 샘플 (20) 로부터 방출되는 혼합액이 탈지면 (22) 에 있어서 흡수된다.
(7) 구체적으로는, 샘플이 두께 E 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30 % 압축되는 위치까지 누름판 (23) 을 0.2 ㎜/sec 의 속도로 이동시켜 샘플 (20) 을 합계로 10 초간 압축하고, 샘플 (20) 로부터 방출되는 혼합액을 탈지면 (22) 에서 흡수한다.
(8) 혼합액을 흡수한 탈지면 (22) 의 질량 I (g) 를 계측한다.
이로써 샘플로부터의 방액률 J (%) 를 하기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방액률 J (%) = (I - H)/(G × 5) × 100
〔액체 함침 부직포간의 정지 마찰 계수〕
정밀 만능 시험기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오토그래프 AGS-D 형」) 를 사용하여, ASTM-D1894 를 참고로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먼저, 도 5 과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부직포로부터, MD 방향 4.0 ㎝ × CD 방향 6.0 ㎝ 로 잘라낸 샘플 (30) 과, MD 방향 6.0 ㎝ × CD 방향 12.0 ㎝ 로 잘라낸 피마찰 부재 (35) 를 준비하였다. 도 5 의 샘플 (30) 에서는, CD 방향에 있어서, 단 (端) 으로부터 1 ㎝ 폭을 파지 부분 (31a) 으로 하고, 나머지 5 ㎝ 폭을 접지 부분 (31b) 으로 하였다. 도 6 의 피마찰 부재 (35) 에서는, CD 방향에 있어서, 단으로부터 1 ㎝ 폭을 파지 부분 (35c) 으로 하고, 나머지 11 ㎝ 폭을 접지 부분 (35d) 으로 하였다. 또한, 클렌징 시트를 상정하여, 샘플 (30) 및 피마찰 부재 (35) 의 쌍방에 증류수 (후지 필름 와코 제약 (주) 제조 품번 042-16973) 를 400 질량% 로 함침하였다.
이어서, 도 7 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마찰 부재 (35) 상에 샘플 (30) 을 재치하고, 샘플 (30) 의 파지 부분 (31a) 을 클립 (36) 으로 파지하여, 아크릴판 (37) 을 개재하여 추 (38) 로부터 소정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샘플 (30) 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시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로드 셀 (32) 을 구비한 정밀 만능 시험기에 있어서, 테이블 (39) 상에 피마찰 부재 (35) 를 재치하고, 피마찰 부재 (35) 상에 샘플 (30) 을 재치하였다. 샘플 (30) 과 피마찰 부재 (35) 는, 각각 역방향으로 파지 부분 (31a 및 35c) 을 배치 형성하고, 이들 파지 부분 (31a 및 35c) 은 클립 (36) 으로 파지되어 있다.
이어서, 샘플 (30) 의 MD 4.0 ㎝ × CD 5.0 ㎝ 의 범위 (접지 부분) 에 동 사이즈의 아크릴판 (37) 을 재치시키고, 아크릴판 (37) 과 추 (38) 의 합계로 3.75 g/㎠ 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풀리 (33) 를 개재하여 폴리아미드사(絲) (34) 를 수평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100 ㎜/min 의 속도로 CD 방향으로 샘플 (30) 을 수평으로 잡아 당겨 얻어지는 시험력으로부터 정지 마찰 계수를 산출하였다.
〔액체 함침 부직포와 바이오 스킨 사이의 정지 마찰 계수〕
정밀 만능 시험기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오토그래프 AGS-D 형」) 를 사용하여, ASTM-D1894 를 참고로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먼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부직포로부터, MD 방향 4.0 ㎝ × CD 방향 11.0 ㎝ 로 잘라낸 샘플 (30) 을 준비하였다. 도 9 의 샘플 (30) 에서는, CD 방향에 있어서, 단으로부터 1 ㎝ 폭을 파지 부분 (31a) 으로 하고, 나머지 10 ㎝ 폭을 접지 부분 (31b) 으로 하였다. 또한, 클렌징 시트를 상정하여, 이 샘플에 증류수 (후지 필름 와코 제약 (주) 제조 품번 042-16973) 를 400 질량% 로 함침하였다.
이어서, 도 7 및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마찰 부재 (35) 상에 샘플 (30) 을 재치하고, 샘플 (30) 의 파지 부분 (31a) 을 클립 (36) 으로 파지하여, 아크릴판 (37) 을 개재하여 추 (38) 로부터 소정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샘플 (30) 을 화살표 방향 (CD 방향) 으로 잡아 당기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 있어서는, (i) 피마찰 부재 (35) 로서 (주) 뷰렉스 제조 인공 피부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 품번 P001-001 을 사용하는 것, (ii) 샘플 (30) 의 접지 부분을 MD 4.0 ㎝ × CD 10.0 ㎝ 의 범위로 하는 것, 및 (iii) 접지 부분 상에 배치 형성된 동 사이즈의 아크릴판 (37) 과 추 (38) 의 합계 하중을 5 g/㎠ 로 하는 것 이외에는, 부직포간의 정지 마찰 계수와 동일하게 시험을 행하여, 정지 마찰 계수를 산출하였다.
〔보풀 길이〕
정밀 만능 시험기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오토그래프 AGS-D 형」) 를 사용하여, ASTM-D1894 를 참고로 보풀 길이를 측정하였다.
먼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부직포로부터, MD 방향 7.0 ㎝ × CD 방향 4.0 ㎝ 로 잘라낸 샘플 (30) 을 준비하였다. 도 10 의 샘플 (30) 에서는, MD 방향에 있어서, 단으로부터 1 ㎝ 폭을 파지 부분 (31a) 으로 하고, 나머지 6 ㎝ 폭을 접지 부분 (31b) 으로 하였다.
이어서, 도 7 및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마찰 부재 (35) 상에 샘플 (30) 을 재치하고, 샘플 (30) 의 파지 부분 (31a) 을 클립 (36) 으로 파지하여, 아크릴판 (37) 을 개재하여 추 (38) 로부터 소정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샘플 (30) 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 있어서는, (i) 피마찰 부재 (35) 로서 산쿄 이화학 (주) 내수 줄 #1000 을 사용하는 것, 및 (ii) 샘플 (30) 의 접지 부분을 MD 6.0 ㎝ × CD 4.0 ㎝ 의 범위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시트와 시트의 정지 마찰 계수와 동일하게 시험을 행하고, 수평 방향으로 100 ㎜/min 의 속도로 샘플을 MD 방향으로 10 ㎝ 잡아 당겼다.
그 후 샘플을 시험기로부터 제거하고, 파지 부분 (31a) 을 상측으로 하여 샘플 (30) 을 수직 방향으로 매단 상태에서 고정시키고, 샘플의 접지 부분 (31b) 의 MD 방향 단부로부터 튀어나온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보풀 중, 긴 순서로 5 개의 보풀에 대해서 길이를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샘플의 보풀 길이 (㎜) 로 하였다. 또한, 부직포의 두께로 상기 보풀 길이를 나눔으로써, 부직포의 두께 (1 배) 당 보풀 길이로 하였다. 또한, 부직포의 두께는, JIS L 1913 을 참고로, 직경 25.4 ㎜ 의 원형 수평판의 두께 측정기로 12 g/㎠ 의 하중을 가했을 때의 부직포의 두께이다.
〔신장률〕
정밀 만능 시험기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오토그래프 AGS-D 형」) 를 사용하여, JIS L 1913 (일반 단섬유 부직포) 6.3.2 (습윤시의 인장 강도 및 신장률 시험) 에 준하여 신장률을 측정하였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 간격을 100 ㎜ 로 하고, 샘플 (40) 을 MD 방향 2.5 ㎝ × CD 방향 12.0 ㎝ 로 잘라내고, 일방의 CD 방향의 단으로부터 15 ㎜ 의 위치에 유성 사인펜으로 선을 1 개 긋고, 90 ㎜ 의 간격을 두어 다시 1 개 선을 그었다. 샘플 (40) 을 20 ℃ ± 2 ℃ 의 수중에 자중으로 침강할 때까지 두거나, 또는 1 시간 이상 수중에 침지시켜, 포화 수분량을 흡수한 샘플 (40) 을, 침지액으로부터 꺼내어 신속하게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40) 의 양단에 형성된 파지 부분 (41a, 41a) 을 파지하고, 200 ㎜/min 의 속도로 2 N 의 인장 응력을 순간적으로 부여하였다.
그 후 샘플을 시험기로부터 제거하고, 일방의 파지 부분 (41a) 을 상측으로 하여 샘플 (40) 을 수직 방향으로 매단 상태에서 고정시키고, 선과 선의 간격 K (㎜) 를 계측하였다. 신장률 L (%) 은 하기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신장률 L (%) = K/90 × 100 - 100
[사용감에 관한 시험]
(시료)
가로세로 15 ㎝ 의 사이즈로 재단한 시트를 십자 접기하고, 증류수 (후지 필름 와코 제약 (주) 제조 품번 042-16973) 와 글리세린 (켄에이 제약 (주) 제조 글리세린 P「켄에이」) 을 증류수 5 글리세린 4 의 비율 (질량비) 로 조정한 혼합액을 0.3 ㏄ 씩 시료로부터 높이 2 ㎝ 의 위치에서 450 질량% 적하하고, 시트 전체에 함침시킨 샘플을 준비하였다.
(패널에 의한 시험)
피검사자 9 명 (20 대, 30 대, 40 대 여성) 은, 립스틱「(주) 시세이도 마키아쥬 드라마틱 루즈 N RD633」을 입술에 바르고, 상기 시료의 CD 방향이 손가락에 대해서 수직 방향이 되도록, 일방의 단을 검지와 중지, 반대의 단을 약지와 소지 사이에 각각 사이에 끼우고, 중지와 약지의 내측에서 가볍게 누르면서 면을 바꾸지 않고 횡 방향으로 2 회 와이핑하였다.
시료마다 와이핑성, 피부에의 자극, 형태 안정성, 보풀성, 시트끼리가 잘 미끄러지지 않음의 5 항목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와이핑성〕
상기한 방법으로 관능 시험을 행하고, 와이핑성에 대해서 하기의 3 단계에서 판정하였다.
○ : 립스틱의 지워진 상태를 만족할 수 있는 정도이다
△ : 립스틱의 지워진 상태가 약간 불만이다.
× : 립스틱의 지워진 상태가 불만이다.
〔피부에의 자극〕
상기한 방법으로 관능 시험을 행하고, 피부에의 자극에 대해서 하기의 3 단계에서 판정하였다.
○ : 자극이 적다
△ : 약간 자극이 많다
× : 자극이 많다
〔형태 안정성〕
상기한 방법으로 관능 시험을 행하고, 아래의 기준에 의해서 하기의 3 단계에서 판정하였다.
시험 후에 4 회 접은 시트를 펼치고, CD 방향의 치수를 재어, 사용 전의 15 ㎝ 로부터 확대된 폭을 산출.
○ : 확대 폭이 5 ㎜ 이내
△ : 확대 폭이 5 ㎜ 를 초과하여 10 ㎜ 이내
× : 확대 폭이 10 ㎜ 를 초과한다
〔보풀성〕
상기한 방법으로 관능 시험을 행하고, 아래의 기준에 의해서 하기의 3 단계에서 판정하였다.
시험 후에 사용면을 수평으로 하고, 표면으로부터 3 ㎜ 이상 튀어나와 있는 섬유 개수를 계수하였다.
○ : 0 개
△ : 1 개 이상 5 개 미만
× : 5 개 이상
〔시트끼리가 잘 미끄러지지 않음〕
상기한 방법으로 관능 시험을 행하고, 아래의 기준에 의해서 하기의 3 단계에서 판정하였다. 와이핑 중에 시트가 표면에서 미끄러지고, 입술과 접촉하고 있는 최표면의 시트가 미끄러지지 않은 횟수를 계수하였다.
○ : 0 회
△ : 1 회
× : 2 회 이상
상기 5 항목을 평가하고, 각 항목에서 ○ 를 평가한 인원수를 관능 평가 결과로 하였다.
A : ○ 가 7 명 이상
B : ○ 가 4 명 이상 6 명 이하
C : ○ 가 3 명 이하
또한, 이미 액체 등의 성분이 함침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기의 순서를 따라서 함침된 성분을 일단 제거한 후에, 상기 물성의 측정이나 평가를 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액체 등의 성분이 함침된 부직포를 세정액에 2 시간 침지하고, 입수된 부직포에 미리 함침된 성분을 부직포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부직포의 세정을 행한다. 당해 세정액의 양으로는, 부직포의 면적 100 ㎠ 당 2 L 로 한다. 또, 함침 성분을 제거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세정액으로는, 이온 교환수/중성 세제 = 95/5 (체적비) 를 사용해도 된다. 중성 세제로는, 예를 들어, 카오 (주) 큐큐트 (cucute) (상표) 를 사용하여, 부직포를 액체 중에 정치한다. 이어서, 동량의 이온 교환수에 2 시간 침지하고, 세정액을 떨어뜨린 후에, 부직포의 형상을 가능한 한 변화시키지 않도록, 부직포를 풍건 (조건 : 10 ℃, 65 %RH, 24 시간) 시켜 측정 시료로 할 수 있다.
(실시예 1)
셀룰로오스계 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오미켄시 (주) 제조「호프」, 섬도 1.7 dtex, 섬유 길이 40 ㎜) 를 80 질량부,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코어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고, 시스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EVOH) 로 구성된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쿠라레 (주) 제조「소피스타」, 섬도 1.7 dtex, 섬유 길이 51 ㎜, 코어 시스 질량비 (코어 50 % 시스 50 %)) 를 10 질량부,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코어부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고, 시스부가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우베 엑시모 (주) 제조, 섬도 1.7 dtex, 섬유 길이 51 ㎜, 코어 시스 질량비 (코어 39 % 시스 61 %)) 를 10 질량부의 비율로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면한 후, 겉보기 중량 50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웨브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서 제작하고, 이 카드 웨브를 개구율 25 %, 공경 0.3 ㎜ 의 펀칭 드럼 지지체 상에 재치하여 속도 50 m/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방으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하여 교락 처리를 행하여, 교락된 섬유 웨브 (부직포) 를 제조하였다. 이 교락 처리에 있어서는, 공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웨브의 폭 방향을 따라서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거리 10 ㎝), 1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한 고압 수류의 수압을 3.0 ㎫, 2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한 고압 수류의 수압을 4.0 ㎫ 로 하여 행하였다. 또한 미세한 망목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지체에 재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함께 고압 수류를 분사하여 교락 처리를 행하였다. 이 교락 처리는 공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웨브의 폭 방향을 따라서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모두 고압 수류의 수압 4.0 ㎫ 의 조건 하에서 행하였다. 또한, 130 ℃ 에서 건조시켜, 겉보기 중량이 50.2 g/㎡ 인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2·3)
표 1 에 나타내는 섬유 구성 비율로 변경한 세미 랜덤 카드 웨브를 제작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1 ∼ 4)
표 1 에 나타내는 섬유 구성 비율로 변경한 세미 랜덤 카드 웨브를 제작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5·6)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대신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토레이 (주) 제조「테토론」T-471, 섬도 1.6 dtex, 섬유 길이 51 ㎜) 를 사용한 세미 랜덤 카드 웨브를 제작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7)
건조 온도를 110 ℃ 로 내리는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8)
건조 온도를 160 ℃ 로 올리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에서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가 접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신장률은 제어할 수 있기는 하지만,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비율이 낮기 때문에 보수량이 낮다. 액체 함침시의 압축 경도에 대해서는, 압축시에 지나치게 부드러워서 적당한 경도 (탄력) 를 갖고 있지 않다. 관능 평가에서는, 와이핑시에 시트끼리가 미끄러져 버리고, 그 결과, 충분한 와이핑성을 발휘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에서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가 접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신장률은 제어할 수 있기는 하지만,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비율이 높은 상태에서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직이 지나치게 치밀해져, 보수율 및 방액률의 쌍방이 낮아져 버린다. 또한, EVOH 를 시스부에 갖는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액체 함침시의 압축 경도도 제어할 수 없어, 압축시에 지나치게 딱딱해진다. 또, 바이오 스킨과 액체 함침 부직포 사이의 마찰이 높게 되어 있다. 관능 평가에서는, 피부에의 자극이 강해져, 적은 방액률에서 유래하여 와이핑성도 악화되어 있다.
비교예 3 에서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신장률을 제어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관능 시험에 있어서도, 형태 안정성에 대해서 낮은 평가를 얻었다. 단, 비교예 3 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에 의한 부직포의 치밀화에 의해서, 신장률의 저하를 약간 완화시킴과 함께, 비교예 2 와 비교해서 방액률의 악화나 보수율의 저하를 완화시키고 있지만, 여전히, 얻어진 부직포는 보수율 및 방액률의 쌍방이 낮게 되어 있다. 관능 평가에서는, 접착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형태 안정성이 나쁘고, 방액성의 저하에 의해서 피부에의 자극이 강해져, 와이핑성도 악화되어 있다.
비교예 4 에서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신장률이 높아져, 형태 안정성을 완전히 제어할 수 없다. 또한, 액체 함침시의 압축 경도에 대해서도, 압축시에 지나치게 부드러워서 적당한 경도 (탄력) 를 갖고 있지 않다. 관능 평가에서는, 접착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특히 형태 안정성이 나쁘다고 평가되고 있다.
비교예 5 및 6 에서는, EVOH 를 시스부에 갖는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대신에, 단순한 PET 섬유를 사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비교예 5 에서는, 압축 경도 (탄력성) 가 낮아지고, 그 결과, 보수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방액성이 악화되어 있다. 또, 비교예 6 에서는, 비교예 5 와 비교해서 PET 섬유의 비율이 높고,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비율이 낮기 때문에, 부직포를 치밀화할 수 없고, 압축 경도가 매우 낮고, 방액률도 지나치게 높으며, 추가로 보풀까지 발생되어 있다.
관능 평가에서는, 비교예 5 에서는, 방액량이 적어 와이핑성에 문제가 있다고 평가되고, 비교예 6 에서는, 방액량이 많아 액 흘림을 일으키기 쉬울 뿐만 아니라, 와이핑시에 시트끼리가 미끄러져 버리고, 그 결과, 충분한 와이핑성을 발휘할 수 없었다. 또한, 보풀성도 낮은 평가를 얻고 있다.
비교예 7 에서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있기는 하지만, 접착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신장률이 높아져, 형태 안정성을 완전히 제어할 수 없다. 또한, 보풀도 많이 발생되고, 액체 함침시의 압축 경도에 대해서도, 압축시에 지나치게 부드러워서 적당한 경도 (탄력) 를 갖고 있지 않다. 관능 평가에서는, 접착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특히 형태 안정성이 나쁘다고 평가될 뿐만 아니라, 보풀성도 낮은 평가를 얻고 있다.
비교예 8 에서는,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뿐만 아니라,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에 대해서도 접착부를 갖고 있음으로써, 접착부가 지나치게 많기 때문에 보수율 및 방액률의 쌍방이 낮아져 버린다. 또한, 액체 함침시의 압축 경도도 제어할 수 없어, 압축시에 지나치게 딱딱해져 있다. 또, 바이오 스킨과 액체 함침 부직포 사이의 마찰이 높게 되어 있다. 관능 평가에서는, 피부에의 자극이 강해져, 적은 방액률에서 유래하여, 와이핑성도 악화되어 있다.
한편, 실시예 1 ∼ 3 은, 접착부가 제어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직포의 신장률을 제어하여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형태 안정성을 가지면서, 보수율 및 방액률에 대해서도 바람직한 범위로 할 수 있다. 또, 시트끼리는 소정의 마찰력을 유지하여 시트간의 미끄럼을 억제할 수 있고, 그 일방의 바이오 스킨에 대해서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접어서 와이핑하는 경우여도, 양호한 와이핑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관능 시험에 있어서도, 형태 안정성, 피부에의 자극, 와이핑성, 시트끼리가 잘 미끄러지지 않음이나 보풀성에 대해서도, 호의적인 평가를 얻고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형태 안정성, 보수성, 방액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액체 함침 시트로서 페이스 마스크, 도포 시트, 와이핑 시트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접어서 사용할 때에 부직포끼리가 잘 미끄러지지 않아 취급성이 우수하면서도, 부직포와 피부의 마찰은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어서 시트를 사용해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가 가능하고, 그와 같은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10 : 부직포
11 :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11a :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시스부
11b :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코어부
12 : 접착부
13 : 셀룰로오스계 섬유
14 :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20, 30, 40 : 샘플
22 : 탈지면
23 : 누름판
24 : 측정대
35 : 피마찰 부재
31a, 41a : 샘플의 파지 부분
31b : 샘플의 접지 부분
32 : 로드 셀
33 : 풀리
34 : 폴리아미드사
35c : 피마찰 부재의 파지 부분
35d : 피마찰 부재의 접지 부분
36 : 클립
37 : 아크릴판
38 : 추
39 : 테이블

Claims (15)

  1. 셀룰로오스계 섬유,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및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로서,
    상기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이며, 및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는, 서로 교차하는 교점에 있어서 결합하고 있는 접착부를 갖고,
    상기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는, 시스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부직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량 (T) 과,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함유량 (N) 의 질량비가, T/N = 99/1 ∼ 51/49 인, 부직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포화 수분량을 흡수했을 때의 신장률이 40 % 이하인, 부직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류수와 글리세린의 혼합액 (증류수/글리세린의 질량비 = 5/4) 을 부직포의 질량에 대해서 500 질량% 함침시켜 24 시간 방치했을 때의, 30 % 압축 변형시의 압축 경도가 0.750 ∼ 1.500 N/㎜ 인, 부직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류수와 글리세린의 혼합액 (증류수/글리세린의 질량비 = 5/4) 을 부직포의 질량에 대해서 500 질량% 함침시켜 24 시간 방치했을 때의, 30 % 압축 변형시에 방출되는 10 초간의 방액률이 7 ∼ 14 % 인, 부직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수율이 1145 % 이상인, 부직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류수를 400 질량% 함유하는 상태의 부직포끼리의 정지 마찰 계수 (A) 와, 증류수를 400 질량% 함유하는 상태의 부직포와 바이오 스킨 (인공 피부) 의 정지 마찰 계수 (C) 의 차 (A - C) 가 0.0170 ∼ 0.1000 인, 부직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류수를 400 질량% 함유하는 상태의 부직포끼리의 정지 마찰 계수 (A) 가 0.0550 ∼ 0.0900 인, 부직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류수를 400 질량% 함유하는 상태의 부직포와 바이오 스킨 (인공 피부) 의 정지 마찰 계수 (C) 가 0.0450 이하인, 부직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포의 두께 (1 배) 당 보풀 길이가 10 배 이하인, 부직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함침 시트.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와이핑 시트.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셀룰로오스계 섬유,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및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웨브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함유율이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며,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웨브에 대해서 교락 처리를 행하여, 교락 구조를 갖는 웨브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교락 구조를 갖는 웨브에 있어서, 상기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간에는 접착부를 형성시키지 않고, 상기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간에는 접착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적어도 구비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락 처리가 수류 교락인, 부직포의 제조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비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시스부의 융점보다 낮고, 접착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의 시스부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가 행해지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20227033853A 2020-03-24 2021-03-09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 KR202201476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53332 2020-03-24
JPJP-P-2020-053332 2020-03-24
PCT/JP2021/009123 WO2021192985A1 (ja) 2020-03-24 2021-03-09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体含浸シートおよび拭き取り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665A true KR20220147665A (ko) 2022-11-03

Family

ID=7789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853A KR20220147665A (ko) 2020-03-24 2021-03-09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192985A1 (ko)
KR (1) KR20220147665A (ko)
CN (1) CN115335562A (ko)
TW (1) TW202203809A (ko)
WO (1) WO202119298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1067A (ja) 2007-04-11 2008-10-30 Kuraray Kuraflex Co Ltd 不織布シートならびに、これを含む含水シートおよび化粧料
WO2015046301A1 (ja) 2013-09-27 2015-04-02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保液シート及びフェイス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6104B2 (ja) * 2008-10-02 2013-10-30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ワイパー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38943A (ko) * 2012-03-29 2014-12-04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부직 섬유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터
JP6158178B2 (ja) * 2012-06-12 2017-07-05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保液シート及びフェイスマスク
CN105593421A (zh) * 2013-09-27 2016-05-18 可乐丽股份有限公司 抗菌性无纺布片、含液片及面膜
WO2016052527A1 (ja) * 2014-09-30 2016-04-07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拭き取り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1067A (ja) 2007-04-11 2008-10-30 Kuraray Kuraflex Co Ltd 不織布シートならびに、これを含む含水シートおよび化粧料
WO2015046301A1 (ja) 2013-09-27 2015-04-02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保液シート及びフェイス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2985A1 (ja) 2021-09-30
JPWO2021192985A1 (ko) 2021-09-30
CN115335562A (zh) 2022-11-11
TW202203809A (zh)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3047B1 (en) Laminated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5599544B2 (ja) 少なくとも1つの吸収シートを含む美容用及び/または皮膚科用のパーソナルケア及び/またはクレンジング吸収製品
ES2271883T3 (es) Productos en hojas con dibujos.
TWI642451B (zh) 保液片料及面膜
KR102213970B1 (ko) 보액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JP6285737B2 (ja) ウェットシート用不織布、ウェットワイピングシート、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JP2007007062A (ja) 液体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KR20220042434A (ko) 메이크업 제거용 무수 조성물 및 물품
JP6110668B2 (ja)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9170756A (ja) 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JP2017128107A (ja) 清拭シート
KR20220147665A (ko)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
US20150272836A1 (en) Total body baby wipe
PL239664B1 (pl) Włókienniczy wyrób czyszczący przeznaczony zwłaszcza do oczyszczania skóry ludzkiej z makijażu
JP2012197539A (ja) 多層繊維構造物
RU2521302C2 (ru) Изделие для чистки кожи
WO2021251213A1 (ja) 不織布、液体含浸シートおよび拭き取りシート
JP6456688B2 (ja) 絡合不織布、これを用いた清拭シートおよび湿潤性シート
JP7374405B2 (ja) 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JP2021195625A (ja) 不織布、積層体、液体含浸シートおよび拭き取りシート
JP2020168226A (ja) 対人用化粧料含浸シート、対人用化粧料含浸シート用積層不織布
JP2023051889A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ならびにフェイスマスク
TH75415B (th) ผลิตภัณฑ์ดูดซึมที่ดูแล และ/หรือ ทำความสะอาดส่วนบุคคลสำหรับการประยุกต์ใช้ทางเครื่องสำอาง และ/หรือ เกี่ยวกับผิวหนัง และโรคผิวหนังซึ่งประกอบรวมด้วยอย่างน้อยหนึ่งแผ่นดูดซึม
TH76148A (th) ผลิตภัณฑ์ดูดซึมที่ดูแล และ/หรือ ทำความสะอาดส่วนบุคคลสำหรับการประยุกต์ใช้ทางเครื่องสำอาง และ/หรือ เกี่ยวกับผิวหนัง และโรคผิวหนังซึ่งประกอบรวมด้วยอย่างน้อยหนึ่งแผ่นดูดซึ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