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254A -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254A
KR20220147254A KR1020210054147A KR20210054147A KR20220147254A KR 20220147254 A KR20220147254 A KR 20220147254A KR 1020210054147 A KR1020210054147 A KR 1020210054147A KR 20210054147 A KR20210054147 A KR 20210054147A KR 20220147254 A KR20220147254 A KR 20220147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notification
behavi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202B1 (ko
Inventor
안순현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riority to KR102021005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2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은, 영상을 통해 분석된 객체의 행위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통행 정보 획득부,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주행 정보 획득부, 상기 행위 정보와 상기 주행 정보에 각각 포함되는 위치 및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부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정보 분석부, 및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을 상기 검출된 네비게이션부로 제공하도록 설정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교통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은 특정 구역에 설치된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도로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속도 센서를 통해 규정 속도를 위반한 차량이 검출되면, 경찰청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출된 차량의 번호 및 차량의 소유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소유자에게 속도 위반 사실을 나타내는 통지서를 발송할 수 있다.
교통 법규를 위반한 차량의 차량번호와 소유자 정보가 확인되고 통지서가 발송되어 소유자에게 도달할 때까지는 약 2주에서 3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차량의 소유자(또는 운전자)로서는 당시의 상황을 기억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동일한 장소에 가더라도 교통 법규 위반 행위가 반복될 수 있으므로, 통지서가 발송되더라도 운전자에 대한 계도 효과는 경미할 수 있다. 또한, 적재불량이나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 위반과 같은 행위는 차량 운행이 지속되는 동안 불특정 다수에게 지속적으로 피해를 주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행정구역이 상이하면 운전자는 중복적으로 단속에 걸릴 수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이러한 행위를 즉각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은, 영상을 통해 분석된 객체의 행위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통행 정보 획득부,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주행 정보 획득부, 상기 행위 정보와 상기 주행 정보에 각각 포함되는 위치 및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부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정보 분석부, 및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을 상기 검출된 네비게이션부로 제공하도록 설정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는,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의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행위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각각의 위치 및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는, 객체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고,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영상을 통해 분석된 상기 객체의 행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행위 정보와 상기 주행 정보에 각각 포함되는 위치 및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부를 검출하고, 및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을 상기 검출된 네비게이션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서버에서 객체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를 통해 주행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공공기관 서버에서 영상을 통해 분석된 상기 객체의 행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행위 정보와 상기 주행 정보에 각각 포함되는 위치 및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부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을 상기 검출된 네비게이션부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의 위반 또는 계도 사항을 차량의 운전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려 계도 효과를 높이고 불특정 다수에 대한 지속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위반 차량을 보다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알림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차량 운전자의 개인 정보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 정보, 교통 법규 위반 정보, 및 방범 정보 등을 수집함으로써 다양한 교통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의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행 정보 획득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네비게이션부의 식별자(identifier)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1)의 환경을 도시하고, 도 2는 통행 정보 획득부(2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1)은 객체(10)의 영상을 촬영 및 분석하는 통행 정보 획득부(20), 통행 정보 획득부(20)로부터 획득된 영상 및 영상 분석 결과를 통해 도로 상황을 분석하는 공공기관 서버(30), 객체(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네비게이션부(50), 및 네비게이션부(50)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10)는 차량 또는 보행자를 의미할 수 있다.
통행 정보 획득부(20) 및 공공기관 서버(30)는 교통 정보 분석 시스템(5)을 구성하며, 지방자치단체, 도로공사, 시설공단, 또는 경찰청과 같은 공공기관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다. 이 경우, 교통 정보 분석 시스템(5)은 운영 장치(60)(예: 관제 센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행 정보 획득부(20)는 특정 지역(예: 교차로, 골목, 또는 고속도로) 단위로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 및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통행 정보 획득부(20)는 촬영부(121), 객체 검출 센서부(122), 및 데이터 처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21)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통행 정보 획득부(20)는 촬영부(12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차량(예: 51, 52) 또는 보행자(예: 61)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다. 객체 검출 센서부(122)는 예를 들어, 차량 또는 사람과 같은 객체를 검출하고, 객체의 이동을 추적함으로써 객체의 위치 또는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예: 레이더(radio detection and ranging, RADAR),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및 레이다(laser detection and ranging, LADA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통행 정보 획득부(20)는 촬영부(121) 및 객체 검출 센서부(122)를 상호 협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행 정보 획득부(20)는 객체의 이동 위치, 거리, 방향, 또는 속도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객체 검출 센서부(122)를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객체의 형태를 식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촬영부(121)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부(121) 및 객체 검출 센서부(122)는 하나의 통합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30)는 촬영부(121) 또는 객체 검출 센서부(12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행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 영상, 차량의 수, 주행 속도, 주행 방향, 주행 차로, 이동 거리, 통행량, 대기 길이, 또는 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보행자 영상, 보행자의 수, 보행 속도, 또는 보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행 정보는 차량의 종류, 색상, 크기, 주행 차로, 차량번호, 또는 보행자의 외형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30)는 촬영부(121)를 통해 방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방범 정보'는 생활 방범 정보 또는 교통 방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처리부(130)는 딥 러닝(deep learning) 또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과 같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반 영상 분석/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통행 정보 또는 방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행 정보 획득부(20)는 통행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10)의 행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행위 정보'는 알림이 필요한 행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알림이 필요한 행위란 예를 들어, 속도 위반, 신호 위반, 역주행, 주행 차로 위반, 끼어들기, 차선 위반, 정지선 위반,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 위반, 중량통행제한, 안전벨트 미착용, 불법주정차, 보행자의 신호 위반, 또는 무단 횡단과 같은 교통 법규 위반 행위나, 적재불량 또는 화물차 휴식시간 위반과 같이 운전자의 계도가 요구되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행위 정보는 위와 같은 행위가 검출된 객체를 촬영한 영상의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행위 정보는 위와 같은 행위가 검출된 객체의 이동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행위 정보는 위와 같은 행위가 검출된 객체의 주행 방향 및 주행 차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행 정보 획득부(20)는 분석 결과 정보(예: 통행 정보, 방범 정보, 및 행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공공기관 서버(30) 또는 운영 장치(60)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구역에 대한 교통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공공기관 서버(30)(예: 경찰청 서버)의 사용자는 통행 정보 획득부(20)로부터 수신된 행위 정보에 기반하여 객체(10)의 행위(예: 과속 행위)를 확인할 수 있다. 공공기관 서버(30)는 확인된 행위를 객체(10)의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서버(40)에게 알림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부(50)와 서비스 서버(40)는 객체(10)의 사용자(예: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네비게이션 또는 위치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며, 민간 기업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는 공공기관 서버(30)가 제공하는 정보와 서비스 서버(40)가 관리하는 정보를 매칭하여 객체(10)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50)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를 통해 네비게이션부(50)로 객체(10)의 위반 행위를 알려줄 수 있다.
네비게이션부(50)는 객체(10)에 대응되며, 여기서, '대응된다'는 것은 네비게이션부(50)가 객체(10)와 함께 이동하여 서비스 서버(40)에 객체(10)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부(50)는 객체(10)에 물리적으로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이거나, 단말(예: 스마트폰)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예: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객체(10)가 가축 차량이나 방역 차량과 같이 위치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경우, 네비게이션부(50)는 객체(10)의 위치 정보(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운영 장치(60)는 통행 정보 획득부(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고,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운영 장치(60)의 사용자(예: 관제 요원)가 실시간으로 도로 상황을 관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장치(60)는 데이터 처리부(130)의 부족한 하드웨어 성능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 장치(60)의 데이터 처리부는 데이터 처리부(130) 보다 고성능의 영상 처리를 구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장치(60)의 데이터 처리부는 도로 상황(예: 통행 정보, 위반 정보, 또는 방범 정보) 분석을 포함하여 데이터 처리부(130)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행 정보 획득부(20)에 포함된 데이터 처리부(130)는 제거 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운영 장치(60)는 분석된 도로 상황에 기반하여 신호를 제어하거나 차량에게 다른 경로를 제공하도록 데이터 처리부(130)에게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통행 정보 획득부(20) 및 공공기관 서버(30)를 운영하는 주체(예: 공공기관)와 서비스 서버(40) 및 네비게이션부(50)을 운영하는 주체(예: 민간기업)가 상이하므로, 각 운영 주체가 획득한 정보 간 시간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통행 정보 획득부(20), 공공기관 서버(30), 서비스 서버(40), 및 네비게이션부(50)는 지정된 주기 마다 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다.
도 1 및 이하의 설명들은 공공기관 서버(30)와 서비스 서버(40)가 분리되어 운영되는 실시예를 서술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행 정보 획득부(2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객체(10)의 행위를 확인하고 확인된 행위에 해당하는 알림 정보를 객체(10)의 네비게이션부(50)로 제공하는 일련의 동작들이 공공기관 서버(30) 또는 서비스 서버(40) 중 하나의 개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공기관 서버(30) 및 서비스 서버(40) 대신에 행위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해당하는 알림 정보를 네비게이션부(50)로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미도시)가 존재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서버나 프로세서(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물리적인 하드웨어 장치일 수도 있고,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또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의 집합과 같은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통행 정보 획득부(210)는 도 1의 통행 정보 획득부(20)에 대응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행 정보 획득부(210)는 공공기관 서버(30)에 포함된 장치 또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통행 정보 획득부(210)는 통행 정보의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10)의 행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행 정보 획득부(210)는 통행 정보의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행 정보 획득부(220)는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에 포함될 수 있다. 주행 정보 획득부(220)는 다수의 네비게이션부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네비게이션부들의 주행 정보를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주행 정보는 네비게이션부들 각각의 위치, 시간, 이동 방향(또는 주행 방향), 주행 차선(또는 주행 차로), 정차여부, 휴게소 진입여부,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주행 정보 획득부(220)는 네비게이션부들의 식별자 별로 주행 정보를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주행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과 행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행 정보 획득부(220)는 지정된 주기 마다 통행 정보 획득부(210)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30)는 서비스 서버(40)에 포함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30)는 행위 정보와 주행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통행 정보 획득부(210)가 검출한 객체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250)의 식별자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분석부(230)는 행위 정보에 포함되는 위치 및 시간과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위치 및 시간을 매칭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정보 분석부(230)는 행위 정보에 포함되는 속도와 주행 정보데 포함되는 속도를 매칭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정보 분석부(230)는 행위 정보에 포함되는 주행 차로 및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와 주행 정보에 포함되는 주행 차로 및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할 수 있다.
시간 또는 공간의 오차로 인하여, 행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 및 위치에 매칭되는 식별자가 복수 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분석부(230)는 검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서비스 서버(4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 정보(예: 종류, 색상, 크기, 모델, 또는 차량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네비게이션부(25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분석부(230)는 통행 정보 획득부(210)에 의해 획득된 차량번호나 차량의 종류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 정보와 매칭되는 차량을 특정하고, 특정된 차량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250)의 식별자를 검출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240)는 서비스 서버(40)에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제공부(240)는 통행 정보 획득부(210)에 의해 분석된 행위를 객체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정보 분석부(230)에 의하여 검출된 식별자로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알림 정보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부(250)를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정보 제공부(240)는 알림 정보에 객체의 영상을 포함시킬 수 있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하여, 정보 제공부(240)는 알림 정보의 일부(예: 차량번호 중 뒤의 두 자리, 또는 영상의 일부)에 마스킹(masking)을 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부(250)는 도 1의 네비게이션부(50)와 같이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행 정보 획득부(220)로 전송하고, 정보 제공부(24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공공기관 서버(30)는 정부기관에 의하여 운영되고 서비스 서버(40)는 민간 기업에 의하여 운영되므로 이들이 사용하는 통신망은 호환되지 않을 수 있으며, 공공기관 서버(30)에서 서비스 서버(40)로 제공되는 정보 중 일부(예: 차량번호)는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은 공공기관 서버(30)와 서비스 서버(40)를 연계할 수 있는 운영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영부(260)는 운영 장치(6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부(260)는 통행 정보 획득부(210) 또는 주행 정보 획득부(220)가 획득한 정보를 암호화하거나, 정보의 일부를 마스킹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운영부(260)는 통행 정보 획득부(210)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을 분석 또는 가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행 정보 획득부(210)는 고성능의 영상 처리를 구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예: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식별자를 검출하는 동작을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행 정보 획득부(20)는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 분석을 통해 차량번호(식별 정보)가 'xx가1234'인 차량이 '3월23일 13시15분24초'(시간)에 'xx교차로'(위치)에서 과속 행위를 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행 정보 획득부(20)는 객체의 위치 또는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해당 차량에는 식별자가 '#1234'인 네비게이션부(50)가 설치됨을 전제한다. 네비게이션부(50)는 서비스 서버(40)에게 실시간으로 GPS 좌표와 같은 위치 정보(예: 055974, 4282182)를 전송할 수 있다.
통행 정보 획득부(20)는 검출 결과를 공공기관 서버(30)로 제공할 수 있다. 검출 결과는 영상 및 행위 정보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공기관 서버(30)는 통행 정보 획득부(20)로부터 수신된 정보의 에러 유무 및 정상적인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 서버(40)에게 수신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예: 영상 및 행위 정보)를 전달하면서 알림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공공기관 서버(30)는 알림을 요청하기 이전에 국토교통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확인된 차량 번호(xx가1234)에 대응하는 소유자 정보, 주소지, 또는 해당 차량의 다른 등록 정보(예: 종류, 색상, 크기, 또는 모델)를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는 공공기관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서비스 서버(4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도 5와 같이 네비게이션부(50)의 ID(#1234)를 검출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의 데이터베이스에 차량번호가 등록된 상태면 서비스 서버(40)는 공공기관 서버(30)가 획득한 차량번호(xx가1234)와 동일한 차량번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함으로써 네비게이션 ID(#1234)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지만, 차량번호는 개인 정보이므로 사용자에 따라서 서비스 서버(40)에 등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40)는 행위가 검출된 위치(xx교차로) 및 시간(3월23일 13시15분24초)을 고려하여 ID를 검출할 수 있다. 해당 시간에 해당 위치를 통행한 차량이 여러 대이면 서비스 서버(40)에서 복수의 네비게이션 ID(#1234, #2356, 및 #1235)가 검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40)는 차량의 종류(중형 승용차)를 비교할 수 있다. 종류가 동일한 차량이 2 대이면, 서비스 서버(40)는 주행 방향, 주행 차로, 또는 모델과 같은 다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네비게이션부(50)의 ID(#1234)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40)는 검출된 ID(#1234)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50)로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부(50)는 과속 행위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xx교차로에서 제한속도 50km/h를 초과하였습니다)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서비스 서버(40)는 객체(10)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50)의 주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부(50)가 복수인 경우, 주행 정보는 복수의 네비게이션부(50)의 식별자 별로 저장 및 갱신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서비스 서버(40)는 공공기관 서버(30)로부터 영상을 통해 분석된 객체(10)의 행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서비스 서버(40)는 행위 정보와 주행 정보에 각각 포함되는 위치 및 시간을 이용하여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부(50)를 검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서버(40)는 행위 정보와 주행 정보에 각각 포함되는 주행 방향, 주행 차로,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부(50)를 검출할 수 있다.
동작 640에서, 서비스 서버(40)는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을 검출된 네비게이션부(50)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영상을 통해 분석된 객체의 행위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통행 정보 획득부;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주행 정보 획득부;
    상기 행위 정보와 상기 주행 정보에 각각 포함되는 위치 및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부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정보 분석부; 및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을 상기 검출된 네비게이션부로 제공하도록 설정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행위 정보와 상기 주행 정보에 각각 포함되는 주행 방향 및 주행 차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부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행위 정보와 상기 주행 정보에 각각 포함되는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부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영상을 통해 분석된 상기 객체의 식별 정보와 상기 네비게이션부를 통해 등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부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알림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부에 마스킹(masking)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행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주행 정보 획득부는 지정된 주기 마다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행 정보 획득부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객체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행 정보, 상기 행위 정보, 또는 방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도록 설정된,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통행 정보 획득부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를 통해 도로 상황을 관제하도록 설정된 운영 장치;를 더 포함하는,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운영 장치는,
    상기 행위 정보 또는 상기 주행 정보를 암호화하거나, 상기 영상을 분석 또는 가공하도록 설정된,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촬영하도록 설정된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11. 청구항 1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이동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객체의 위치 또는 이동 거리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객체 검출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12. 객체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의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행위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각각의 위치 및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검출되는, 네비게이션부.
  13. 객체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고,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영상을 통해 분석된 상기 객체의 행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행위 정보와 상기 주행 정보에 각각 포함되는 위치 및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부를 검출하고, 및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을 상기 검출된 네비게이션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서버.
  14.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서 객체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부를 통해 주행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공공기관 서버에서 영상을 통해 분석된 상기 객체의 행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행위 정보와 상기 주행 정보에 각각 포함되는 위치 및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부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행위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을 상기 검출된 네비게이션부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10054147A 2021-04-27 2021-04-27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9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147A KR102539202B1 (ko) 2021-04-27 2021-04-27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147A KR102539202B1 (ko) 2021-04-27 2021-04-27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54A true KR20220147254A (ko) 2022-11-03
KR102539202B1 KR102539202B1 (ko) 2023-06-02

Family

ID=8404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147A KR102539202B1 (ko) 2021-04-27 2021-04-27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2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6598A (ja) * 2000-03-08 2001-09-21 Honda Motor Co Ltd 危険箇所報知システム
JP2009059039A (ja) * 2007-08-30 2009-03-19 Denso Corp 車載用交差点内停止予防装置、交差点内停止予防システム、車載用交差点内停止予防装置用のプログラム、車載用踏切内停止予防装置、踏切内停止予防システム、および車載用踏切内停止予防装置用のプログラム
KR20110082870A (ko) * 2010-01-12 2011-07-20 (주)기술과가치 실시간 교통정보 측정·도로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KR20180083611A (ko) *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단속위반 알림 방법
KR20210009992A (ko) * 2019-07-18 2021-01-27 강희훈 진출입로 교통상황정보 사전안내 시스템을 포함한 끼어들기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6598A (ja) * 2000-03-08 2001-09-21 Honda Motor Co Ltd 危険箇所報知システム
JP2009059039A (ja) * 2007-08-30 2009-03-19 Denso Corp 車載用交差点内停止予防装置、交差点内停止予防システム、車載用交差点内停止予防装置用のプログラム、車載用踏切内停止予防装置、踏切内停止予防システム、および車載用踏切内停止予防装置用のプログラム
KR20110082870A (ko) * 2010-01-12 2011-07-20 (주)기술과가치 실시간 교통정보 측정·도로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KR20180083611A (ko) *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단속위반 알림 방법
KR20210009992A (ko) * 2019-07-18 2021-01-27 강희훈 진출입로 교통상황정보 사전안내 시스템을 포함한 끼어들기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202B1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53500A1 (en) Travel data collection and publication
US10728708B2 (en) Verifying sensor data using embeddings
US11042619B2 (en) Vehicle occupant tracking and trust
KR102166512B1 (ko) 주변 환경에서 자동차를 정밀 위치 추적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맵 관리 장치 및 시스템
US20160307445A1 (en) Map data update device
US201900428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4446056B (zh) 车辆信息码的生成以及车辆通行控制方法、装置及设备
US20190066490A1 (en) Smart city data analytics for improved accident reconstruction and solutions
CN101743576A (zh) 客运交通工具乘客量的申报/验证
CN114945802A (zh) 用于识别和更新自动驾驶车辆的设计适用域的系统、设备和方法
CN106898149A (zh) 车辆的控制
KR102279754B1 (ko) 충돌 사고 방지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217388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車載端末
US20210323565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utomated driving vehicle development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40085848A (ko) 차량 위치 기반 교통 신호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신호 검출 방법
Hardjono et al. Virtual Detection Zone in smart phone, with CCTV, and Twitter as part of an Integrated ITS
JP71925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147254A (ko)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Thevendran et al. Deep Learning & Computer Vision for IoT based Intelligent Driver Assistant System
Choi et al. State Machine and Downhill Simplex Approach for Vision‐Based Nighttime Vehicle Detection
JP6979005B2 (ja) 道路側面に並ぶ店舗の訪問者数を推定する訪問者数推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2363760B1 (ko) 실시간으로 노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와 그의 동작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JP7232727B2 (ja) 地図データ管理装置及び地図データ管理方法
KR102376422B1 (ko)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0821B1 (ko) 해상도 변환을 이용한 영상 분석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