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313A -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313A
KR20220146313A KR1020220015023A KR20220015023A KR20220146313A KR 20220146313 A KR20220146313 A KR 20220146313A KR 1020220015023 A KR1020220015023 A KR 1020220015023A KR 20220015023 A KR20220015023 A KR 20220015023A KR 20220146313 A KR20220146313 A KR 2022014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cause
disposal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522B1 (ko
Inventor
웨이 웨이
종한 우
핑 인
최수경
티모시 볼프강 슈엔할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5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52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1Dynamic search techniques; Heuristics; Dynamic trees; Branch-and-bou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물류 센터에서 폐기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code life),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포함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ITEM SCRAP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아이템 별로 또는 아이템 단위 유닛 별로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분석하고, 폐기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상거래는 쇼핑의 한 분야로 자리잡았다. 고객은 직접 쇼핑몰이나 시장에 가지 않고도 온라인 상에서 물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물품은 고객이 요청한 배송지로 배송된다.
위와 같은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위한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은,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복수의 물류 센터들을 운용할 수 있으며 각 물류 센터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물품에 대한 발주 요청이 발생하면,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은 해당 발주의 특성(예: 배송지, 물류 센터의 재고 등)을 고려하여 주문을 처리할 물류 센터을 결정하고 결정된 물류 센터에 대한 주문을 배정(할당)할 수 있다.
관련하여, KR100932262B1 건 등의 선행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추후 아이템의 폐기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물류 센터에서 폐기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code life),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포함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은 아이템의 최소 발주 수량과 관련된 제1폐기 원인, 물류 센터와 관련된 제2폐기 원인, 아이템의 판매 상태와 관련된 제3폐기 원인, 아이템의 출고 상태와 관련된 제4폐기 원인, 아이템의 판매량의 예측 오차에 기초한 제5폐기 원인 및 아이템의 과대 발주에 기초한 제6폐기 원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1폐기 원인 내지 제6폐기 원인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결정된 폐기 원인 순서로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최소 발주 수량(minimum order quantity)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는 최소 발주 수량이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 및 코드 라이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의 곱보다 큰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제1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제1폐기 원인인 경우 정보 제공 방법은,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에 기초하여 제1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제1평균 판매량 및 제1기간 이후인 제2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2평균 판매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2평균 판매량이 제1평균 판매량 이하인 경우, 제1평균 판매량 및 제2평균 판매량에 기초하여 아이템에 대응하는 적정 최소 발주 수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정보 제공 방법은 제2평균 판매량이 제1평균 판매량보다 큰 경우, 아이템의 노출 우선순위를 증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제2평균 판매량이 제1평균 판매량보다 큰 경우, 아이템을 메인 페이지(main page)에 노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폐기 원인은 아이템의 하차 지연과 관련된 제1서브 폐기 원인, 아이템의 진열 지연과 관련된 제2서브 폐기 원인, 아이템의 분실과 관련된 제3서브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물류센터 내의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각, 아이템의 하차량 및 아이템의 확인(confirmed) 수량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제공 방법은 아이템의 하차량이 확인 수량의 특정 비율 이상이고,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 및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제2폐기 원인의 제1서브 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물류센터 내의 아이템의 하차량 및 아이템의 진열량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제공 방법은 아이템의 하차량이 아이템의 진열량보다 많고,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제2서브 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아이템이 폐기된 시각 및 폐기된 아이템의 입고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제3서브 폐기 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제1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일별 판매량 중 최대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1최대 판매량, 제1기간 이후인 제2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일별 판매량 중 최대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2최대 판매량, 제1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1평균 판매량 및 제2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2평균 판매량을 포함할 수 있고, 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제2최대 판매량이 제1최대 판매량의 특정 비율 이하이고, 제2평균 판매량이 제1평균 판매량의 특정 비율 이하인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제5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아이템의 발주 수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발주 수량이 코드 라이프 및 코드 라이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의 곱보다 큰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제6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주 수량은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예상 입고량 및 아이템에 대한 안전 재고량을 합한 값에,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예상 폐기량 및 아이템에 대한 최소 비용 중 최댓값을 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제6폐기 원인인 경우, 정보 제공 방법은, 코드 라이프 및 평균 판매량에 기초하여 아이템에 대한 안전 재고량을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폐기 원인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트리(decision tree)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보고하는 단계는 확인된 아이템의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주체로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폐기된 물품의 정보를 분석하여 폐기에 영향을 끼친 가장 큰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폐기 사유를 분석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분석된 폐기 사유 중 우선순위에 따라 대표 폐기 사유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이 하차 및 진열하기까지의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불필요한 아이템의 폐기 및 폐기로 인한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적정 최소 발주 수량 또는 판매량 등을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아이템의 폐기를 예방 또는 조치할 수 있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발주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물류 센터의 발주 물품 재고량과 발주 물품에 대한 소모량 및 수요량을 판단하여 산정한 발주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발주 물품에 대한 발주량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폐기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특정 순서 또는 기 설정된 순서로 조합하여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이용하고, 폐기 원인을 우선순위에 따라 확인함으로써 폐기 원인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추후 아이템의 폐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최소 발주 수량에 기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아이템의 안돈(andon) 또는 디베지(debadge)에 기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2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현재 시점에서 특정의 기준 날짜로부터 시작되는 기준 기간을 위한 발주 수량을 산정하는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3은 아이템의 과대 발주에 기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4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도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는 도시된 구성요소들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트랜시버(120), 및 메모리(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들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상품은 특정 아이템을 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와 관련된 서비스에서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상품에 대한 제1페이지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1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상품이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메모리(130)를 통해 확인한 경우,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상품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속성 리스트는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트랜시버(1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제1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페이지는 제1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제공되는 제1부분, 속성 리스트에 대응하는 제1상품의 제1속성 정보가 제공되는 제2부분, 및 속성 리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상품의 제2속성 정보가 제공되는 제3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20)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 또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다른 장치로 송신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소정의 저장 공간에 구현된 데이터 구조로서,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이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잇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필드 또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가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데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의 실행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130)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장치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 아이콘, 위젯, 버튼, 슬라이드 바, 프로그래스 바, 터치 영역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의 전자 장치(100)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2에 나타난 200 단계 내지 203 단계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아이템은 예를 들어, 공급 업체로 발주하여 공급 업체로부터 전달받은 상품 또는 제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의 물류 센터(fulfillment center)에 보관될 수 있다. 공급 업체로부터 아이템을 공급받으면, 물류 센터는 아이템을 하차 및 물류센터 내 특정 위치에 진열할 수 있다. 물류 센터는 아이템을 특정 기간 또는 그 이상 보관할 수 있다. 구매자가 해당 아이템을 구매할 경우, 아이템은 특정 물류 센터로부터 출고되어 구매자에게 배송될 수 있다.
한편, 아이템이 물류 센터에 장기간 보관되거나, 아이템에 하차 또는 진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아이템에 파손 등에 따라 출고 또는 판매될 수 없는 상태에 놓이게 될 경우, 해당 아이템은 폐기될 수 있다. 하지만 아이템마다 폐기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할 경우, 아이템의 수급 조절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고 불필요한 아이템의 폐기를 지속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할 경우, 불필요한 지출 낭비 및 물류센터의 부담을 가증 시킬 우려가 있다. 나아가, 아이템이 지속적으로 폐기가 발생할 경우, 폐기량을 줄여 불필요한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폐기 사유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할 경우 아이템의 폐기 발생 사유를 분석할 수 있고, 폐기 사유에 대응하여 가능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2에 나타난 200 단계 내지 203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의 200 단계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를 확인할 수 있다. 아이템의 폐기의 사유는 다양할 수 있다. 아이템의 폐기 사유들의 예시는 도 3 내지 도 4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200단계는 아이템의 단위 유닛 별로 폐기를 확인할 수 있고,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 단위 유닛 별로 폐기 사유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폐기를 확인할 수 있고,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폐기 사유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폐기 사유(예를 들어, 대표적인 폐기 사유)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폐기된 물품의 정보를 분석하여 폐기에 영향을 끼친 가장 큰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폐기 사유를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된 폐기 사유 중 우선순위에 따라 대표 폐기 사유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의 201 단계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물류 센터에서 폐기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분석하기 위해 아이템에 대한 정보 및 아이템의 발주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아이템에 대한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아이템의 명칭, 아이템의 가격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판매량(예를 들어, 일별 판매량, 주간 판매량 등),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평균 판매량, 아이템의 최대 판매량, 아이템의 선호도(예를 들어, 아이템의 별점 점수 등), 아이템의 현재 재고량, 각 물류 센터 내의 아이템의 재고량, 아이템의 판매 가능 기간 즉, 코드 라이프(code life)(예를 들어, 유통기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 라이프는 또한 유통 기한을 기반으로 결정된 정보일 수 있으며, 유통기한을 기준으로 특정 기간 이상 남은 기간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코드 라이프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아이템의 주기별 판매량은 기존의 판매 히스토리를 통해 결정될 수 있으며, 예상되는 판매량 역시 아이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아이템의 발주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발주 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의 발주와 관련된 정보는 아이템의 발주를 위한 공급 업체(들)을 나타내는 리스트, 아이템의 발주 수량, 특정 공급 업체의 최소 발주 수량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202 단계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203 단계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림 또는 이메일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포함하는 폐기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복수의 폐기 원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확인된 아이템의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주체로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최소 발주 수량에 기인한 폐기 (301)에 해당하는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아이템의 발주를 관리하는 부서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 (302)에 해당하는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아이템을 보관하는 물류 센터 또는 이와 유관한 부서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아이템의 안돈에 기한 폐기 (303)에 해당하는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아이템의 품질 관리를 담당하는 부서 또는 아이템의 배송 관리를 담당하는 부서 등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디베지에 기인한 폐기 (304) 에 해당하는 경우, 아이템을 보관하는 물류 센터 또는 이와 유관한 부서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 (305) 에 해당하는 경우, 아이템의 판매량을 예측하는 부서(예를 들어, 마케팅을 담당하는 부서 등)로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과대 발주에 기인한 폐기 (306) 에 해당하는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아이템의 발주를 관리하는 부서에 보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주체로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고할 때,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 등) 및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판단한 과정을 아이템의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주체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와 발주와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확인하여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들은 도 2에서 설명한 아이템의 폐기 사유(들)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은 예를 들어, 최소 발주 수량에 기인한 폐기(301),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302), 아이템의 안돈(andon)에 기한 폐기(303), 아이템의 디베지(debadge)에 기인한 폐기(304),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305) 및 아이템의 과대 발주에 기인한 폐기(30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최소 발주 수량에 기인한 폐기(301)는 예를 들어, 공급 업체로 발주하는 과정에서 공급 업체에서 요구하는 최소 발주 수량(minimum order quantity, MOQ)이 과다하여 발생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의 특정 공급 업체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발주 수량이, 특정 기간 내(예를 들어, 공급 아이템의 판매 가능 기간을 나타내는 코드 라이프(code life) 등)에 판매되지 못할 경우 해당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공급 업체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발주 수량이 과다하여 아이템에 불가피하게 폐기될 수밖에 없는 경우, 해당 아이템은 최소 발주 수량에 기인한 폐기(301)로 폐기 사유를 결정할 수 있다.
최소 발주 수량에 기인한 폐기(301) 사유는, 예를 들어 아이템에 대한 정보 및 발주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해당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 및 해당 아이템의 특정 기간(예를 들어, 코드 라이프) 동안의 평균 판매량을 포함할 수 있고, 발주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공급 업체에서 요구하는 최소 발주 수량(MOQ)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최소 발주 수량(MOQ)이 코드 라이프 및 특정 기간 동안의 평균 판매량의 곱으로 계산된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최소 발주 수량(MOQ)이 특정 기간 동안의 평균 판매량의 곱보다 큰 경우,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최소 발주 수량에 기인한 폐기(301) 사유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코드 라이프는, 아이템의 유통기한일 수도 있고 법령 등에 의해 공급 또는 생산된 날짜로부터 판매가 가능한 기간일 수도 있고, 법령 등에 의해 판매가 제한되는 경우 판매가 가능한 기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302)는 예를 들어, 물류 센터 내에서 아이템을 하차(unload), 입고(receive) 또는 진열(stow)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폐기 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302)는 예를 들어, 물류 센터 내에서 아이템에 늦게 하차되어 폐기할 수밖에 없어 폐기된 사유, 아이템에 늦게 진열되어 폐기할 수밖에 없어 폐기된 사유, 아이템이 물류 센터 내에서 분실되어 폐기된 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302) 사유는 아이템의 하차 지연과 관련된 제1서브 폐기 원인, 아이템의 진열 지연과 관련된 제2서브 폐기 원인, 아이템의 분실과 관련된 제3서브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302)는 예를 들어, 아이템에 크로스 닥(cross dock)으로 물류 센터에 입고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크로스 닥은 예를 들어, 특정 아이템에 공급 업체로부터 제1물류 센터로 이동하게 되면, 특정 아이템을 제2물류 센터에 보관하기 위해 제1물류 센터에서 제2물류 센터로 이동하여 제2물류 센터로 입고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이 공급 업체로부터 제1물류 센터에 하차되고, 다시 제1물류 센터에서 상차 되어 제2물류 센터로 이동 후 하차 및 입고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이템이 크로스 닥 형태로 물류 센터에 입고되는 경우에는, 제1물류 센터에서 수령한 시간을 기준으로 하차(unload), 입고(receive) 또는 진열(stow)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폐기 사유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류 센터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의 동작에 따른 폐기가 발생하면, 각 단계 별 폐기 수량, 폐기 시기를 기반으로 각 단계에 대응하는 업무 프로세스, 투입 인원을 조절할 수 있다.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302)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발주와 관련된 정보 및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물류센터 내의 아이템의 하차 시작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 하차 완료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의 하차량을 나타내는 정보 및 아이템이 입고가 완료된 확인(confirmed) 수량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이 폐기된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의 진열량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이 진열된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이 입고되는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이 공급 업체로부터 직접 전달받은 직납 형태로 입고되었는지 또는 다른 물류 센터를 경유하여 전달받은 크로스 닥 형태로 입고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폐기량,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결품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의 발주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 공급 업체로부터 공급받기로 한 아이템의 수량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의 안돈(andon)에 기한 폐기(303)는 예를 들어, 특정 아이템에 문제가 발생(예를 들어, 고객으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불평이 제기될 경우 또는 고객에게 아이템을 배송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할 경우 해당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아이템을 판매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아이템을 판매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폐기 사유일 수 있다. 안돈(andon)은 예를 들어, 특정 아이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아이템을 판매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아이템에 발생한 문제는 예를 들어, 아이템에 대하여 고객의 불만 사유가 접수되어 해결이 필요한 경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아이템의 안전 문제 또는 법령상 문제가 발생하여 판매에 제약이 따르는 경우로 해결이 필요한 경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이템의 안돈(andon)에 기한 폐기(303)는 아이템의 발주와 관련된 정보 및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이템의 발주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발주 상태(Purchase Order Statu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의 발주 상태가 아이템이 안돈 상태인 경우(즉, 아이템의 발주 상태 정보의 값이 안돈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아이템은 물류 센터 내에 재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매자들에게 판매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특정 기간 내의 아이템의 발주 상태 정보가 안돈 상태인 경우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아이템의 안돈(andon)에 기한 폐기(303) 사유로 결정할 수 있다.
아이템의 디베지(debadge)에 기인한 폐기(304)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판매량이 많아서 아이템의 출고 가능량을 초과하는 경우, 물류 센터 내의 재고가 있어도 판매되지 못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유로 아이템이 판매되지 못하고 물류 센터 내에 잔류하여 폐기되는 사유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디베지는 판매 서버에서 특정 이유를 기반으로 판매가 정지되는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판매량 및 물류 센터 내의 아이템의 최대 출고 가능량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디베지에 기인한 폐기(303)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의 특정 기간(예를 들어, 1일, 1주일 또는 1시간 단위로 확인할 수도 있다) 내에 판매량이 과다하여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최대 출고 가능량을 초과하면, 전자 장치는 해당 아이템의 출고 상태를 활성화 상태에서 디베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아이템의 기간 별 출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및 기간 별 아이템의 판매 내역을 나타내는 판매 패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기간 별 출고 상태를 확인하여 아이템의 출고 상태가 디베지 상태인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베지 상태인 기간에 대한 아이템 판매량 및 디베지 상태의 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최대 출고 가능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확인된 최대 출고 가능량과 아이템 판매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차이가 전체 아이템의 폐기량의 특정 비율(예를 들어, 30%) 이상인 경우, 해당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아이템의 디베지에 기인한 폐기(303)로 결정할 수 있다.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305)는, 아이템의 판매량을 예측(forecast)하여,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발주량을 결정하여 공급 업체에 발주하였으나 예측에 차이가 생겨 폐기가 발생한 사유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공급 업체에 발주하기 전 아이템의 판매량을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결과에 기초하여 발주 수량을 결정한 후 발주 주문을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급변한 판매량의 변화나 사회적 문제 등을 이유로 판매량의 예측이 빗나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예측한 판매량과 예측 판매량의 차이가 특정 정도 이상인 경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305)로 결정할 수 있다.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305)는 아이템의 판매 감소(sales drop)로 인해 판매량 예측에 오차가 발생하여 폐기가 발생하는 사유인 제4서프 폐기 원인, 아이템의 실제 판매량에 비해 예측한 판매량이 과다하여 폐기가 발생하는 사유인 제5서브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해당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305)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11에 자세히 설명한다.
아이템의 과대 발주에 기인한 폐기(306)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판매 가능 기간(예를 들어, 코드 라이프) 및 특정 기간 내의 평균 판매량에 비해 실제로 공급 업체에 발주한 양이 과다하여 폐기가 발생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아이템의 특정 기간(예를 들어, 발주하여 입고된 아이템에 판매될 수 있는 기간 또는 코드 라이프 등) 동안 판매한 총 판매량이 실제 발주한 아이템의 수량보다 특정 비율 이상일 경우, 해당 아이템은 폐기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는 과대 발주에 기인한 폐기(306)일 수 있다.
과대 발주에 기인한 폐기(306)는, 아이템의 발주 수량과 아이템의 실제 판매 수량을 비교하여 아이템이 공급 업체로 과다하게 발주되어서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과대 발주에 기인한 폐기(306)는 도 13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실시 예에서 이와 특정 이유가 아이템의 폐기에 미친 영향이 큰 경우, 해당 이유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설정한 담당자에게 폐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폐기에 영향을 미친 원인을 기반으로 다음에 해당 원인에 대응하는 파라메터를 설정할 때 해당 원인에 대응하여 폐기된 물품의 수량 및 폐기 시기를 고려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표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레벨(level) 단위로 분류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표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계층적(hierarchical)으로 도시한 계층적 결정 트리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4에 나타난 계층적 결정 트리를 포함할 수 있고, 계층적 결정 트리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레벨(level)은 예를 들어 분류의 상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 1의 열(column)에 표시된 아이템의 폐기 원인들은 대분류를 나타낼 수 있고, 레벨 2의 열에 표시된 아이템의 원인들은 특정 대분류의 하위 분류의 폐기 원인(서브 폐기 원인)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4에 나타난 바에 따라 특정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레벨 1에 나타난 폐기 사유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고, 더 자세하게 분석하여 레벨 2에 나타난 폐기 사유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4에 나타난 표의 상단에 나타난 폐기 원인부터 분석하여 하단으로 내려가는 순서로 폐기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먼저 디자인드 스크랩(designed scrap)에 해당하는 폐기 원인 여부를 확인하고, 물류 센터(fulfillment center)에 해당하는 폐기 원인 여부를 확인하고, 비정상적 사유 (Abnormal)에 해당하는 폐기 원인 여부를 분석하고, 예측 (Forecast)에 해당하는 폐기 원인 여부를 분석한 후, 기타 사유(Others)에 해당하는 폐기 원인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은 디자인드 스크랩(Designed Scrap)의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드 스크랩의 폐기 원인은 특정 아이템이 불가피한 사유로 폐기가 발생한 경우의 폐기를 나타낼 수 있다. 디자인드 스크랩(Designed Scrap)의 폐기 원인은 도 3의 제1폐기 원인(30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드 스크랩(Designed Scrap)의 폐기 원인은 과대 최소 발주 수량(Large Minimum Order Quantity, Large MOQ)에 기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은 물류 센터의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물류 센터(Fulfillment Center)의 폐기 원인은 물류 센터의 하자 또는 물류 센터의 문제로 인해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물류 센터의 폐기 원인은 도 3의 제2폐기 원인(3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은 비정상적(Abnormal) 사유의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정상적(Abnormal) 사유의 폐기 원인은 특정 아이템에 대하여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였고,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폐기가 발생한 경우의 폐기를 나타낼 수 있다. 비정상적 사유의 폐기 원인은 도 3의 제3폐기 원인(303) 및 제4폐기 원인(304)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정상적 사유의 폐기 원인은 예를 들어, 아이템의 안돈(Andon)에 의한 폐기 사유, 아이템의 디베지(Debadge)에 의한 폐기 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은 예측(Forecast)으로 인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측으로 인한 폐기 원인은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에 오차가 발생하여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예측으로 인한 폐기 원인은 도 3의 제5폐기 원인(30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폐기 원인은 기타 사유(Others)로 인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사유로 인한 폐기 원인은 도 3의 제6폐기 원인(3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최소 발주 수량에 기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5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5의 500 단계 내지 506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먼저 아이템의 폐기를 확인할 수 있다 (500).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 및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평균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501). 실시예들에 따른 코드 라이프 및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평균 판매량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로부터 해당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 및 해당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평균 판매량을 확인한다. 특정 기간은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에 해당하는 기간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코드 라이프 및 특정 기간 내의 평균 판매량을 곱한 값을 해당 아이템의 최소 발주 수량(MOQ)과 비교할 수 있다 (502). 코드 라이프 및 특정 기간 내의 평균 판매량을 곱한 값은 예를 들어, 코드 라이프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아이템에 총 판매된 수량을 의미할 수 있다.
최소 발주 수량은 예를 들어, 특정 기간(예를 들어, 코드 라이프)을 주기로 아이템을 발주할 때, 아이템의 최소 발주 수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아이템이 발주하여 물류 센터로 입고되는 주기가 해당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의 기간이라고 한다면, 아이템의 최소 발주 수량과 아이템이 해당 기간 동안 판매되는 판매 수량이 일치해야 이상적이다. 하지만,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판매되는 판매량이 아이템의 최소 발주 수량보다 적다면, 남은 아이템의 수량만큼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코드 라이프 및 특정 기간 내의 평균 판매량을 곱한 값이 해당 아이템의 최소 발주 수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다른 폐기 사유를 확인할 수 있다 (503).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코드 라이프 및 특정 기간 내의 평균 판매량을 곱한 값이 해당 아이템의 최소 발주 수량보다 적은 경우,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과대 MOQ를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로 결정할 수 있다 (504).
이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과대 MOQ를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로 결정한 경우, 아이템의 적정 최소 발주 수량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적정 MOQ를 알릴 수 있다 (505).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판매량을 분석하여 아이템이 공급 업체와 협상을 위한 적정 최소 발주 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적정 최소 발주 수량은 예를 들어, 아이템에 관한 정보로부터 복수의 기간들(예를 들어, 제1기간 및 제1기간 이후인 제2기간)에 대한 판매량 등을 확인하고, 복수의 기간들에 대한 판매량으로부터 해당 아이템의 판매 추이를 확인한 후, 그 추이에 맞게 적정 최소 발주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정 최소 발주 수량을 계산하기 위해 제1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1 평균 판매량 및 제1기간 이후인 제2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2평균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2평균 판매량이 제1평균 판매량 이하인 경우, 제1평균 판매량 및 제2평균 판매량에 기초하여 아이템에 대응하는 적정 최소 발주 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과대 MOQ를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로 결정한 경우, 아이템의 노출의 정도를 확대할 수 있다 (506).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정 최소 발주 수량을 계산하기 위해 제1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1 평균 판매량 및 제1기간 이후인 제2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2평균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평균 판매량이 제1평균 판매량보다 큰 경우, 아이템의 노출 우선순위를 증가할 수 있다. 노출 우선순위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검색 시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위치 또는 사용자들에게 노출되는 아이템의 우선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 우선순위가 높은 아이템은, 메인 페이지(main page)에 눈에 잘 띄는 곳에 배치될 확률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노출 우선순위가 낮은 아이템은, 해당 아이템의 명칭을 그대로 검색해야만 검색 결과에서 노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술한 바에 따라 계산하여 제2평균 판매량이 제1평균 판매량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아이템의 판매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적정 최소 발주 수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2평균 판매량이 제1평균 판매량보다 큰 경우 아이템을 메인 페이지에 노출시킴으로써 판매량을 높여 폐기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방문하는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 페이지에는 특정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노출하는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영역들에 해당 아이템(들)을 노출하여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적정 최소 발주 수량 또는 판매량 등을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아이템의 폐기를 예방 또는 조치할 수 있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6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6의 600 단계 내지 605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먼저 아이템의 폐기를 확인할 수 있다 (600).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로부터 물류센터 내의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간, 아이템의 하차량 및 아이템의 확인 수량을 확인을 확인할 수 있다 (601).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은 예를 들어, 공급 업체로부터 해당 물류 센터에 도착하여 하차(unload)하는 경우, 하차가 완료된 시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은 공급 업체로부터 해당 물류 센터에 특정 발주 요청에 의해 특정 수량만큼 공급받아 하차하는 경우, 해당 특정 수량의 아이템들이 모두 하차된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각은, 특정 수량의 아이템들이 하차한 후 물류 센터 내에 모두 진입한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아이템의 하차량은 공급 업체로부터 해당 물류 센터에 특정 발주 요청에 의해 수신 및 하차 받은 특정 수량을 의미할 수 있다. 아이템의 확인 수량(confirmed quantity)은 하차 받은 특정 수량 중 아이템을 실제로 입고한 아이템의 수량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아이템의 확인 수량은 아이템이 실제로 물류 센터에 문제없이 도착하였는지 확인된 후, 확인된 아이템의 수량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아이템의 하차량이 해당 아이템의 확인 수량의 특정 비율 이상인지 여부(제1조건)를 확인할 수 있다 (602). 특정 비율은 예를 들어, 80%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아이템의 하차량이 해당 아이템의 확인 수량의 특정 비율보다 적은 경우(즉, 제1조건이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른 폐기 사유를 확인(603)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아이템의 하차량이 해당 아이템의 확인 수량의 특정 비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즉, 제1조건이 만족할 경우),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간 및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간의 차이가 특정 시간(하차 지연 차이 시간) 이상인지 여부(제2조건)를 확인할 수 있다 (604).
예를 들어, 해당 아이템에 공급 업체로부터 수신하여 입고 예정하는 시각(즉, 입고 예정 시각)이 D일이지만, 아이템의 하차가 D+1일의 특정 시각(예를 들어, 오전 1시 30분)에 완료되었을 경우,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하차 지연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하차 지연 차이 시간을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이 새벽 배송 상품일 경우 해당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각이 D일이지만, 아이템의 하차가 D+1일의 특정 시각(예를 들어, 오전 6시 30분)에 완료되었을 경우,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하차 지연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간 및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간의 차이가 특정 시간보다 작으면(즉, 제2조건이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른 폐기 사유를 확인(603)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간 및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간의 차이가 특정 시간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즉, 제2조건이 만족할 경우),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하차 지연에 의한 폐기로 결정할 수 있다 (605).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조건 및 제2조건의 순서를 바꾸어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7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7의 700 단계 내지 705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먼저 아이템의 폐기를 확인할 수 있다 (700).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로부터 물류센터 내의 아이템의 하차량, 아이템의 하차 시각,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아이템의 진열량을 확인을 확인할 수 있다 (701).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아이템의 하차량이 아이템의 진열량보다 많은지 여부(제3조건)를 확인할 수 있다 (702).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를 확인하면,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날, 해당 아이템을 하차한 시각에 아이템의 하차량을 확인하고, 하차한 아이템들 중 얼마나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아이템의 하차량이 아이템의 진열량보다 크지 않은 경우(즉, 제3조건이 부합하지 않는 경우), 다른 폐기 사유를 확인할 수 있다 (703). 즉, 해당 아이템을 하차한 시각에, 하차한 아이템들이 모두 진열되었다면, 현재 폐기가 발생한 아이템들은 하차 지연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아이템의 하차가 이루어졌는데 하차한 아이템들이 모두 진열되지 않은 상황에서, 진열되지 않은 이유가 진열의 지연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진열 과정에서 다른 사유(예를 들어, 분실 등)가 있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아이템의 하차량이 아이템의 진열량보다 큰 경우(즉, 제3조건이 부합하는 경우),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아이템의 하차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지 여부(제4조건)를 더 확인할 수도 있다 (704).
한편, 아이템은 공급 업체로부터 직접 물류 센터로 배송받는 직납 형태로 입고될 수도 있지만, 공급 업체에서 하나 이상의 물류 센터들을 경유하여 목적하는 물류 센터로 입고되는 크로스 닥(cross dock) 형태로 입고될 수도 있다. 즉, 직납은 예를 들어 아이템이 공급 업체로부터 특정 물류 센터까지 다른 물류 센터(들)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입고되는 입고 형태를 의미한다. 크로스 닥은 예를 들어 아이템이 공급 업체로부터 바로 특정 물류센터로 입고되는 것이 아닌 다른 물류 센터를 경유하여 입고되는 입고 형태를 의미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에 크로스 닥 형태로 특정 물류 센터로 입고되는 경우, 아이템의 하차 시각은 아이템이 최초로 도달하는 물류 센터에 하차되는 시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아이템이 공급 업체로부터 제1물류 센터에 하차된 후, 제1물류 센터로부터 제2물류 센터로 다시 배송되어 제2물류 센터에 입고되었다면, 제1물류 센터에 하차된 시각이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하차 시각일 수 있다. 또 이 경우,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은 제2물류 센터에 실제로 입고되어 진열되었을 때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템이 크로스 닥 형태로 특정 물류 센터에 입고되는 경우에는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아이템의 하차 시각의 차이는, 아이템이 직납 형태로 특정 물류 센터에 입고되는 경우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704 단계에서 비교하는 특정 시간은, 아이템의 발주 형태 즉 아이템이 직납 형태로 입고되는지, 아이템이 크로스 닥 형태로 입고되는지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 아이템이 크로스 닥 형태로 입고되는 경우에도, 경유하는 물류 센터의 수, 경유하는 물류 센터들의 수용 용량, 경유하는 물류 센터들 간의 거리, 경유 거리, 발주하는 아이템의 발주량, 아이템의 배송 비용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이 직납 형태로 입고되는지, 아이템이 크로스 닥 형태로 입고되는지, 아이템이 크로스 닥 형태로 입고되는 경우 경유하는 물류 센터의 수, 경유하는 물류 센터들의 수용 용량, 경유하는 물류 센터들 간의 거리, 경유 거리, 발주하는 아이템의 발주량, 아이템의 배송 비용은 아이템의 발주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아이템의 하차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보다 적은 경우, 다른 폐기 사유(예를 들어, 분실 등)를 확인할 수 있다 (703).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아이템의 하차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진열 지연을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로 결정할 수 있다 (705).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8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8의 800 단계 내지 805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를 확인(800)할 수 있다. 도 8의 800 단계는 도 5 내지 도 7의 아이템 폐기를 확인하는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사유가 진열 지연에 의한 것인지 확인 (801) 할 수 있다. 도 8의 801 단계는 도 7에 나타난 700 단계 내지 705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사유가 진열 지연이 아닌 경우 다른 폐기 사유 확인(802)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사유가 상술한 진열 지연인 경우, 아이템에 관한 정보로부터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발주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발주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도 7에서 설명한 발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발주에 관한 정보는 해당 아이템이 현재 공급 업체로 발주가 진행되고 있거나 활성화(active)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발주 상태 정보, 해당 아이템의 발주 내역(예를 들어, 발주 날짜, 발주량, 발주한 공급 업체에 대한 정보 등)을 나타내는 정보, 해당 아이템을 발주하여 입고되는 물류 센터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주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아이템이 직납 형태로 입고되는지 또는 크로스 닥(cross dock) 형태로 특정 물류 센터에 입고되는지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한 후(800),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물류 센터 내의 아이템의 진열 지연임을 확인한 경우(801), 아이템의 발주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여 아이템이 하차 및 진열하는 과정을 간소화하거나 시간을 단축하도록 절차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이 크로스 닥 형태로 입고되는 경우이고 아이템이 진열 지연을 원인으로 폐기가 발생하였다면, 아이템을 경유하는 물류 센터의 수를 줄이거나 경유 경로를 짧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발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입고가 크로스 닥 형태인지 여부를 확인(804)할 수 있다. 아이템의 입고가 크로스 닥 형태인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입고 절차에 관한 정보를 보고 (805) 할 수 있다.
아이템의 입고 절차는 예를 들어, 아이템이 현재까지 입고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지난 입고 절차 정보 및 개선된 아이템의 입고 과정을 나타내는 변경 입고 절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난 입고 절차 정보는 예를 들어, 아이템이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류 센터에 대한 정보, 아이템이 경유하여 최종 물류 센터로 도착하기까지 총 경유 거리, 각 물류 센터 간의 이동 거리, 각 물류 센터에서의 아이템의 입고 및 이동 수량, 아이템의 이동 시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아이템의 입고가 크로스 닥 형태로 입고되고, 아이템이 폐기가 발생하였으며, 해당 폐기 원인이 진열 지연인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이 입고되는 과정에서 경유하는 물류 센터(들)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아이템이 하차 및 진열하기까지의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불필요한 아이템의 폐기 및 폐기로 인한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9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8의 900 단계 내지 907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를 확인(800)할 수 있다. 도 9의 900 단계는 도 5 내지 도 8의 아이템 폐기를 확인하는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경우 특정 조건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아이템의 폐기 발생 원인이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 원인인지, 구체적으로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진열 과정에서의 분실인지 또는 진열 지연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물류센터 내의 아이템의 하차량 및 아이템의 진열량을 확인 (901) 할 수 있다. 아이템의 하차량은, 특정 발주에 기초하여 공급 업체로부터 전달받은 아이템들을 물류 센터가 수신하여 하차한 아이템의 수량을 의미할 수 있다. 아이템의 진열량은, 해당 발주에 의해 하차하여 수령한 아이템들 중 해당 물류 센터에 진열된 아이템들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아이템의 하차량 및 진열량은 특정 발주에 기초하여 수령한 아이템들에 대하여 확인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하차량과 아이템의 진열량을 비교 (902)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아이템의 하차 시각(하차 완료 시각)을 확인하고,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아이템의 하차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 (904)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하차량이 아이템의 진열량과 동일하거나 적은 경우, 또는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아이템의 하차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아직 해당 발주에 기초하여 수령한 아이템들이 하차 및 진열 과정에서 분실된 경우이거나 진열에 지연이 발생한 경우가 아니므로 다른 폐기 사유를 확인 (903)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하차량이 아이템의 진열량보다 많고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아이템의 하차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발주에 기초하여 수령한 아이템들이 하차 및 진열 과정에서 분실된 경우가 있을 수도 있고, 아직 하차가 완료된 아이템들 중 일부가 물류 센터 내에 진열되지 않았을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진열 과정에서의 분실이 아이템의 폐기 사유일 수도 있고, 하차 또는 진열 지연이 아이템의 폐기 사유일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시각 및 폐기된 아이템의 입고 예상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더 확인(905)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시각 및 폐기된 아이템의 입고 예상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아이템은 입고가 예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열이 지연되었으며, 폐기가 발생된 것으로 보아 아이템이 진열 과정에서 분실하였고 이로 인해 아이템이 폐기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시각 및 폐기된 아이템의 입고 예상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진열 과정에서의 분실로 결정 (906)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시각 및 폐기된 아이템의 입고 예상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보다 적은 경우에는 다른 폐기 원인을 확인 (903) 할 수 있다.
도 10은 아이템의 안돈(andon) 또는 디베지(debadge)에 기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0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0의 1000 단계 내지 1006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를 확인(1000)할 수 있다. 도 10의 1000 단계는 도 5 내지 도 9의 아이템 폐기를 확인하는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경우 특정 조건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아이템의 폐기 발생 원인이 안돈(andon) 또는 디베지(debadge)에 기한 폐기 원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판매 상태 정보를 확인 (1001) 할 수 있다. 판매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기간 별 아이템의 판매량, 기간 별 아이템의 출고 상태, 기간 별 아이템의 판매 상태, 특정 기간 (예를 들어, 1일, 1주일 등) 동안 물류 센터가 아이템을 출고할 수 있는 최대 출고 가능량을 포함할 수 있다.
기간 별 아이템의 판매 상태는 예를 들어, 해당 아이템이 특정 기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판매될 수 없는 사정이 생겨 아이템이 판매가 될 수 없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간 별 아이템의 판매 상태를 이용하여 아이템의 폐기 발생 원인이 안돈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간 별 아이템의 출고 상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물류 센터가 특정 기간 내 해당 아이템을 출고할 수 있는 최대 출고 가능량에 기초하여, 현재 아이템이 물류 센터로부터 출고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간 별 아이템의 출고 상태 및 하나 이상의 물류 센터의 최대 출고 가능량, 아이템의 기간 별 판매량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폐기 발생 원인이 디베지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판매 상태 정보가 안돈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 (1002)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경우 특정 구간의 기간 내의 아이템의 판매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특정 구간의 기간 내의 아이템의 판매 상태가 안돈 상태임을 확인한 경우 아이템의 안돈에 기한 폐기 사유를 확인 (1003)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특정 구간의 기간 내에 아이템의 판매 상태가 안돈 상태가 없을 경우, 아이템의 안돈에 기한 폐기 사유 외 다른 폐기 사유를 확인할 수 있다. (1004 내지 1006)
예를 들어, 특정 구간 내에 아이템의 판매 상태가 안돈 상태이고, 안돈 상태가 연속하여 특정 기간 동안 지속되어 왔거나 안돈 상태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안돈에 기한 폐기 사유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간 내에 아이템의 판매 상태가 안돈 상태이고, 안돈 상태가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보다 길게 지속되어 있거나, 안돈 상태가 최초로 발생한 날짜로부터 현재 날짜까지의 기간이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보다 긴 경우에는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안돈에 기한 폐기 사유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출고 상태 정보가 디베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 (1004)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경우 특정 구간의 기간 내의 아이템의 출고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특정 구간의 기간 내의 아이템의 출고 상태가 디베지 상태임을 확인한 경우 아이템의 디베지에 기한 폐기 사유를 확인 (1005) 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특정 구간의 기간 내에 아이템의 디베지 상태가 없을 경우, 다른 폐기 사유를 확인할 수 있다. (1006)
예를 들어, 특정 구간 내에 아이템의 판매 상태가 디베지 상태이고, 디베지 상태가 연속하여 특정 기간 동안 지속되어 왔거나 디베지 상태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안돈에 기한 폐기 사유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간 내에 아이템의 판매 상태가 안돈 상태이고, 안돈 상태가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보다 길게 지속되어 있거나, 안돈 상태가 최초로 발생한 날짜로부터 현재 날짜까지의 기간이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보다 긴 경우에는 해당 아이템의 폐기 사유를 안돈에 기한 폐기 사유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판매량 및 물류 센터 내의 아이템의 최대 출고 가능량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디베지에 기인한 폐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의 특정 기간(예를 들어, 1일, 1주일 또는 1시간 단위로 확인할 수도 있다) 내에 판매량이 과다하여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최대 출고 가능량을 초과하면, 전자 장치는 해당 아이템의 출고 상태를 활성화 상태에서 디베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아이템의 기간 별 출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및 기간 별 아이템의 판매 내역을 나타내는 판매 패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기간 별 출고 상태를 확인하여 아이템의 출고 상태가 디베지 상태인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베지 상태인 기간에 대한 아이템 판매량 및 디베지 상태의 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최대 출고 가능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확인된 최대 출고 가능량과 아이템 판매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차이가 전체 아이템의 폐기량의 특정 비율(예를 들어, 30%) 이상인 경우, 해당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아이템의 디베지에 기인한 폐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1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1의 1100 단계 내지 1105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를 확인(1100)할 수 있다. 도 11의 1100 단계는 도 5 내지 도 10의 아이템 폐기를 확인하는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경우 특정 조건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아이템의 폐기 발생 원인이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 원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판매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인지 또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아이템의 판매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면,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 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아이템 판매량 감소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일별 판매량 중 최대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1최대 판매량, 제1기간 이후인 제2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일별 판매량 중 최대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2최대 판매량, 제1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1평균 판매량 및 제2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2평균 판매량을 각각 확인 (1101)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기간 또는 제2기간은 30일 간격, 15일 간격, 1주일 간격, 3일 간격 등으로 다양한 간격의 기간일 수 있다. 제1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일별 판매량 중 최대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1최대 판매량, 제1기간 이후인 제2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일별 판매량 중 최대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2최대 판매량, 제1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1평균 판매량 및 제2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제2평균 판매량은 예를 들어, 아이템에 대한 정보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2최대 판매량이 제1최대 판매량의 특정 비율 이하이고, 제2평균 판매량이 제1평균 판매량의 특정 비율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 (1102) 할 수 있다. 만약 제2평균 판매량이 제1평균 판매량의 특정 비율보다 큰 경우에는 판매량 감소로 판단되지 않으므로, 전자 장치는 판매량 감소 외 다른 폐기 원인을 확인 (1103) 할 수 있다. 만약 제2평균 판매량이 제1평균 판매량의 특정 비율 이하인 경우, 전자 장치는 판매량 감소를 해당 아이템의 폐기 원인으로 결정 (1104)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판매량 감소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이와 같이 아이템의 판매량의 추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두 기간을 산정하고, 두 기간의 평균 판매량 및 일별 최고 판매량을 확인하여 감소 비율을 확인함으로써 아이템의 판매량 감소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복수 개의 기간에 대하여 각각 평균 판매량 또는 최고 판매량을 확인하여 판매량 감소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3개의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기간에 대한 평균 판매량 또는 최고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특정 기간과 바로 후속하는 기간의 평균 판매량 또는 최고 판매량을 비교하여, 후속하는 기간의 평균 판매량 또는 최고 판매량이 특정 기간의 평균 판매량 또는 최고 판매량의 특정 비율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모든 기간에 대하여 두 기간씩 나누어 감소 여부를 확인하면 아이템의 판매량 감소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3개의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기간에 대한 평균 판매량 또는 최고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특정 기간과 바로 후속하는 기간의 평균 판매량 또는 최고 판매량을 비교하여, 후속하는 기간의 평균 판매량 또는 최고 판매량이 특정 기간의 평균 판매량 또는 최고 판매량보다 특정 수량만큼 적은지 각 기간 별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모든 기간에 대하여 두 기간씩 나누어 감소 여부를 확인하면 아이템의 판매량 감소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 원인으로 확인한 경우, 특정 기간이 아이템의 행사(promotion) 기간이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판매량 예측에서 확인한 특정 기간이 아이템의 행사 기간이었다면,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 원인 내 제5서브 폐기 원인인 프로모션으로 인한 폐기 원인(over-estimated promotion)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 원인으로 확인한 경우,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 원인으로 인해 폐기된 아이템의 폐기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확인된 아이템의 폐기량의 특정 비율만큼 기존 아이템의 판매 예측량에 가산하거나 감산함으로써 미래의 아이템의 판매량을 예측할 수 있고, 계산된 미래의 아이템의 판매량을 이용하여 아이템의 공급 업체에 발주할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판매량 감소에 기초한 아이템의 폐기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판매량 감소를 특정 기간 별로 분할하여 계산하고, 폐기원인과 폐기량을 분석하여 아이템의 발주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12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현재 시점에서 특정의 기준 날짜로부터 시작되는 기준 기간을 위한 발주 수량을 산정하는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발주량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여러 정보들(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에 대한 정보 등)을 획득하거나 판단한 것에 기반하여 도 12에 제시된 흐름도와 같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현재 시점에서 발주량 산정과 관련된 기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발주량 산정을 위한 기준 날짜 및 기준 날짜로부터 시작하는 기준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발주량 산정을 위해 기준 기간 동안 예상되는 소비자의 수요량에 대한 정보(A), 기준 기간을 위한 안전 재고 수요량에 대한 정보(B), 현재 시점의 재고량에 대한 정보(C), 기존 발주에 따라 현재 시점부터 기준 날짜까지 입고 예정된 수량에 대한 정보(D), 현재 시점부터 기준 날짜까지 예상되는 판매량에 대한 정보(E) 및 현재 시점부터 기준 날짜까지 예상되는 폐기량(F)에 대한 정보를 획득, 확인 또는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준 날짜까지의 발주 물품에 대한 소모량을 판단하기 위해 예상되는 판매량(E) 또는 예상되는 폐기량(F) 중 큰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예상되는 판매량과 예상되는 폐기량 중 더 큰 값을 이용하는 것은 발주 물품이 특정한 보관 유형에 대응되는 물품인 점을 반영하기 위함일 수 있다. 즉, 발주 물품이 특정한 보관 유형에 대응되는 물품이라면, 물류 센터가 보유한 물품의 판매를 위한 출고는 판매 가능 기한 또는 유통 기한이 빠른 순서가 될 것이므로, 예상되는 판매량과 예상되는 폐기량 중 큰 값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준 날짜까지의 발주 물품에 대한 소모량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기준 날짜에서의 물류 센터의 발주 물품에 대한 재고량을 판단하기 위해 현재 재고량(C)과 기존 발주에 따른 입고 예정 수량(D)를 합한 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기준 기간 동안의 수요량을 판단하기 위해 예상되는 소비자의 수요량(A)과 안전 재고 수요량(B)을 합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기준 날짜에서의 발주 물품에 대한 예상 보유 재고량을 판단하기 위해 현재 재고량(C)과 기존 발주에 따른 입고 예정 수량(D)를 합한 값에서 예상되는 판매량(E) 또는 예상되는 폐기량(F) 중 큰 값을 감산한 값과 0 중 큰 값(K1)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감산한 값과 0 중 큰 값을 이용하는 것은, 기준 날짜에서 예상되는 보유 재고량이 음수가 될 수 없는 점을 반영하기 위함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기준 기간을 위한 발주량을 산정하기 위해 소비자의 수요량(A)과 안전 재고 수요량(B)를 합한 값에서 예상 보유 재고량을 감산한 값과 0 중 큰 값(K2)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감산한 값과 0 중 큰 값을 이용하는 것은, 기준 기간을 위해 산정되는 발주량이 음수가 될 수 없는 점을 반영하기 위함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특정의 기준 날짜로부터 시작되는 기준 기간을 위한 발주량을 현재 시점에서 산정하기 위한 수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수학식 1]
발주량 = Max([기준 기간 동안 예상되는 소비자의 수요량 + 기준 기간을 위한 안전 재고 수요량 - Max({현재 시점의 재고량 + 기존 발주에 따라 현재 시점부터 기준 날짜까지 입고 예정된 수량 - Max(현재 시점부터 기준 날짜까지 예상되는 판매량, 현재 시점부터 기준 날짜까지 예상되는 폐기량)}, 0)], 0)
다시 말해,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발주 수량은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예상 입고량 및 아이템에 대한 안전 재고량을 합한 값에, 아이템의 특정 기간 내의 예상 폐기량 및 아이템에 대한 최소 비용 중 최댓값을 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발주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물류 센터의 발주 물품 재고량과 발주 물품에 대한 소모량 및 수요량을 판단하여 산정한 발주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발주 물품에 대한 발주량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도 13은 아이템의 과대 발주에 기인한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폐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3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3의 1300 단계 내지 1306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를 확인(1300)할 수 있다. 도 13의 1300 단계는 도 5 내지 도 11의 아이템 폐기를 확인하는 단계에 대응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경우 특정 조건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아이템의 폐기 발생 원인이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 원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를 나타내는 정보 및 아이템의 특정 기간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1301)할 수 있다.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를 나타내는 정보, 및 아이템의 특정 기간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정보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에 대한 정보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발주 수량을 확인 (1303)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특정 발주에 의해 물류 센터로 수령한 아이템에 있어서, 특정 발주의 발주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발주 수량과 아이템의 실제 판매 수량을 비교하여 아이템이 공급 업체로 과다하게 발주되어서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술한 발주 수량이 코드 라이프 및 상기 평균 판매량의 곱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 (1303)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아이템이 실제로 판매될 수 있는 기간 동안 아이템이 얼마나 판매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판매 수량이 실제로 발주 수량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발주 수량이 코드 라이프 및 상기 평균 판매량의 곱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과다 발주로 인해 해당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것이 아니므로 다른 폐기 원인을 확인 (1304)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발주 수량이 코드 라이프 및 상기 평균 판매량의 곱보다 큰 경우, 과대 발주를 해당 아이템의 폐기 원인으로 결정 (1305)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과대 발주를 해당 아이템의 폐기 원인으로 결정한 경우, 아이템의 과대 발주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템의 발주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 재고 수요량을 재조정 (1306)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 또는 아이템이 공급 업체로부터 아이템이 입고되는 주기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코드 라이프 또는 아이템의 입고 주기에 비례하여 아이템의 안전 재고 수요량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장치는, 과대 발주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폐기가 발생한 경우(1305), 실제 아이템의 특정 기간 동안 (예를 들어, 코드 라이프 또는 아이템의 입고 주기)의 판매량과 아이템의 발주 수량의 차이를 확인하고, 확인한 차이와 아이템의 발주량의 비율을 계산한 후, 계산된 비율만큼 안전 재고 수요량을 감산함으로써, 안전 재고 수요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4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도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폐기 원인 확인부(1300a), 제2폐기 원인 확인부(1300b), 제3폐기 원인 확인부(1300c), 제4폐기 원인 확인부(1300d), 제5폐기 원인 확인부(1300e), 제6폐기 원인 확인부(1300f)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폐기 원인 확인부 내지 제6폐기 원인 확인부(1300f)는, 아이템의 폐기를 확인함에 대응하여 해당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각각의 로직에 기초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제1폐기 원인 내지 제6폐기 원인 중 하나 이상의 폐기 원인을 결정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폐기 원인은 도 3의 최소 발주 수량에 기인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의 디자인드 스크랩에 해당하는 폐기 원인, 과대 MOQ에 해당하는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폐기 원인 확인부(1300a)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실시예들에 따른 제1폐기 원인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도 5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폐기 원인은 도 3의 물류 센터의 하자에 인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의 물류 센터에 해당하는 폐기 원인, 하차 지연, 크로스 닥 하차 지연, 진열 지연, 크로스 닥 진열 지연, 진열 과정에서의 분실, 또는 크로스 닥 진열 과정에서의 분실에 의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폐기 원인 확인부(1300b)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실시예들에 따른 제2폐기 원인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의 조합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3폐기 원인은 도 3의 아이템의 안돈(andon)에 기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의 비정상적 사유에 해당하는 폐기 원인 중 안돈에 기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3폐기 원인 확인부(1300c)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실시예들에 따른 제3폐기 원인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도 10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4폐기 원인은 도 3의 아이템의 아이템의 디베지(debadge)에 기인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의 비정상적 사유에 해당하는 폐기 원인 중 디베지에 기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4폐기 원인 확인부(1300d)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실시예들에 따른 제4폐기 원인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도 10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5폐기 원인은 도 3의 아이템의 판매량 예측과 관련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의 예측에 해당하는 폐기 원인, 판매량 감소에 의한 폐기 원인, 프로모션으로 인한 과대 예측에 의한 폐기 원인, 과대 예측에 의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5폐기 원인 확인부(1300e)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실시예들에 따른 제5폐기 원인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도 11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6폐기 원인은 도 3의 아이템의 과대 발주에 기인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의 과대 발주에 의한 폐기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6폐기 원인 확인부(1300f)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실시예들에 따른 제6폐기 원인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도 12 내지 도 13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1폐기 원인 내지 제6폐기 원인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결정된 폐기 원인 확인 순서대로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폐기 원인 확인 순서대로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에 따른 제1폐기 원인 확인부 내지 제6폐기 원인 확인부(1300a 내지 1300f)를 특정 순서로 조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폐기 원인 확인부 내지 제6폐기 원인 확인부(1300a 내지 1300f)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아이템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코드 라이프(code life), 상기 아이템의 기간 별 평균 판매량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에 관한 정보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최소 발주 수량(minimum order quantity), 물류센터 내의 상기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 상기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각, 상기 아이템의 하차량 및 상기 아이템의 확인(confirmed) 수량, 상기 물류센터 내의 상기 아이템의 하차량 및 상기 아이템의 진열량, 특정 기간에 대한 상기 아이템의 일별 판매량 중 최대 판매량 특정 기간에 대한 아이템의 평균 판매량을 나타내는 평균 판매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1폐기 원인 내지 상기 제6폐기 원인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결정된 폐기 원인 확인 순서로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폐기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특정 순서 또는 기 설정된 순서로 조합하여, 폐기 원인을 우선순위에 따라 확인함으로써 폐기 원인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추후 아이템의 폐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2)

  1. 전자 장치의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물류 센터에서 폐기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센터 내의 상기 아이템의 하차량 및 상기 아이템의 진열량을 포함함;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하차량이 상기 아이템의 진열량보다 많고, 상기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상기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상기 아이템의 진열 지연과 관련된 제1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센터 내의 상기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 상기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각, 상기 아이템의 확인(confirmed) 수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아이템의 하차량이 상기 확인 수량의 특정 비율 이상이고, 상기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 및 상기 아이템의 입고 예정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하차 지연과 관련된 제2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이 폐기된 시각 및 상기 폐기된 아이템의 입고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상기 아이템의 분실과 관련된 제3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상기 제1폐기 원인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아이템이 상기 물류 센터와 다른 하나 이상의 물류 센터들을 경유하여 입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이 상기 물류 센터와 다른 하나 이상의 물류 센터들을 경유하여 입고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물류 센터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입고 경로를 보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이 상기 제1폐기 원인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입고 경로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물류 센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은 상기 아이템의 최소 발주 수량과 관련된 제4폐기 원인, 상기 아이템의 판매 상태와 관련된 제5폐기 원인, 상기 아이템의 출고 상태와 관련된 제6폐기 원인, 상기 아이템의 판매량의 예측 오차에 기초한 제7폐기 원인 및 상기 아이템의 과대 발주에 기초한 제8폐기 원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폐기 원인 내지 상기 제8폐기 원인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결정된 폐기 원인 확인 순서로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폐기 원인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트리(decision tree)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포함하는 폐기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아이템의 폐기 원인에 대응하는 주체로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고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물류 센터에서 폐기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센터 내의 상기 아이템의 하차량 및 상기 아이템의 진열량을 포함함;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하차량이 상기 아이템의 진열량보다 많고, 상기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상기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상기 아이템의 진열 지연과 관련된 제1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물류 센터에서 폐기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센터 내의 상기 아이템의 하차량 및 상기 아이템의 진열량을 포함함;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폐기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하차량이 상기 아이템의 진열량보다 많고, 상기 아이템의 진열 완료 시각 및 상기 아이템의 하차 완료 시각의 차이가 특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폐기 원인을 상기 아이템의 진열 지연과 관련된 제1폐기 원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20015023A 2021-04-23 2022-02-04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54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023A KR102541522B1 (ko) 2021-04-23 2022-02-04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835A KR102360948B1 (ko) 2021-04-23 2021-04-23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20015023A KR102541522B1 (ko) 2021-04-23 2022-02-04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835A Division KR102360948B1 (ko) 2021-04-23 2021-04-23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313A true KR20220146313A (ko) 2022-11-01
KR102541522B1 KR102541522B1 (ko) 2023-06-13

Family

ID=802659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835A KR102360948B1 (ko) 2021-04-23 2021-04-23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20015023A KR102541522B1 (ko) 2021-04-23 2022-02-04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835A KR102360948B1 (ko) 2021-04-23 2021-04-23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43237A1 (ko)
JP (1) JP2022167721A (ko)
KR (2) KR102360948B1 (ko)
TW (1) TW202242737A (ko)
WO (1) WO20222250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360B1 (ko) * 2023-01-19 2023-05-26 주식회사 워커스하이 컨테이너의 센서 정보를 기초로 일상 소비 상품의 개인화된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0770A (ja) * 2000-11-06 2002-05-17 Hitachi Ltd 商品在庫管理システム
KR20030043676A (ko) * 2001-11-27 2003-06-02 가부시끼가이샤 와루도 발주 관리 시스템
KR20130082774A (ko) * 2011-12-19 2013-07-22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화주중심의 물류거점 최적화시스템
JP2013196207A (ja) * 2012-03-16 2013-09-30 Fujitsu Ltd 指標提供方法、指標提供装置及び指標提供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5791A1 (en) * 1999-01-26 2003-10-16 Waller Matthew A.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to determine and communicate redistributed product demand
US20060155595A1 (en) * 2005-01-13 2006-07-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managing supply chain exceptions
US20080313009A1 (en) * 2007-06-13 2008-12-18 Holger Janssen Method for extrapolating end-of-life return rate from sales and return data
KR20090103457A (ko) * 2008-03-28 2009-10-01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쇼핑 트렌드를 이용한 광고 수행 시스템 및 방법
US9805330B2 (en) * 2008-11-19 2017-10-31 Jda Software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root cause analysis and early warning of inventory problems
WO2015187875A1 (en) * 2014-06-03 2015-12-10 Intelleflex Corporation Intelligent routing code for improved product distribution
JP2017161960A (ja) * 2016-03-07 2017-09-14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東日本 安全在庫水準決定装置および安全在庫水準決定方法
US20180189834A1 (en) * 2017-01-03 2018-07-05 Wipro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 optimal promotion-type for products
US10657548B2 (en) * 2017-03-08 2020-05-19 Architecture Technology Corporation Product obsolescence forecast system and method
WO2019053821A1 (ja) * 2017-09-13 2019-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注支援システム、発注支援プログラム及び発注支援方法
US11704611B2 (en) * 2021-04-15 2023-07-1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Inventory allocation and pricing optimization system for distribution from fulfillment centers to customer group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0770A (ja) * 2000-11-06 2002-05-17 Hitachi Ltd 商品在庫管理システム
KR20030043676A (ko) * 2001-11-27 2003-06-02 가부시끼가이샤 와루도 발주 관리 시스템
KR20130082774A (ko) * 2011-12-19 2013-07-22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화주중심의 물류거점 최적화시스템
JP2013196207A (ja) * 2012-03-16 2013-09-30 Fujitsu Ltd 指標提供方法、指標提供装置及び指標提供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360B1 (ko) * 2023-01-19 2023-05-26 주식회사 워커스하이 컨테이너의 센서 정보를 기초로 일상 소비 상품의 개인화된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522B1 (ko) 2023-06-13
TW202242737A (zh) 2022-11-01
US20220343237A1 (en) 2022-10-27
WO2022225088A1 (ko) 2022-10-27
JP2022167721A (ja) 2022-11-04
KR102360948B1 (ko)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7084B2 (en) Tracking business performance impact of optimized sourcing algorithms
US11928647B2 (en) System and method to predict service level failure in supply chains
US784045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calculation of safety stock quantity
Nnamdi Strategies for managing excess and dead inventories: A case study of spare parts inventories in the elevator equipment industry
JP2021163485A (ja) スマートサプライチェーンシステム
KR102360948B1 (ko) 아이템 폐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0301100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turning goods and tracking reasons for return of goods
Achetoui et al. A review of spare parts supply chain management
Hsieh et al. Critical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logistics operation planning considering interdependency: A case study in automotive aftermarket
US110806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 chain management
CN115511137A (zh) 商品入库的管理方法、预约方法、服务器及供应商终端
CN113469596A (zh) 智慧供应链系统及服务器平台
US10810548B1 (en) Part chain management in an aftermarket services industry
US112106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management of inventory data
KR102357384B1 (ko) 아이템 결품과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Nova et al. Integrative conceptual framework to support decisions on warehousing operations in forward and reverse flow
Sarafi et al. Inventory Policy Control Using a Continuous Review Model Based on Information Systems: A Case Study in a Restaurant Industry
JP2007018023A (ja) 受注分析システム、受注分析方法及び受注分析プログラム
Foo et al. Strategic Planning of Reverse Logistics System Among Omnichannel Companies: A Qualitative Study
KR101617689B1 (ko) 계획 검색 및 수정 기법을 이용한 고속 자원 할당 계획 방법 및 시스템
JP5227920B2 (ja) 部品備蓄管理システムおよび部品備蓄管理方法
Harlan et al. Analysis the Causes of Delays in Receiving Goods Services Using the Failure Modes and Effect Analysis Method (Case Study of PT Schneider Electric Manufacturing Batam)
JP2007219941A (ja) 経営指標に基づく発注優先順位算出装置、経営指標に基づく発注優先順位算出方法、経営指標に基づく発注優先順位算出プログラム
US20210118040A1 (en) Prediction of Order-Fulfillment Abeyance
JP2006318254A (ja) 自動在庫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