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251A -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251A
KR20220146251A KR1020210053285A KR20210053285A KR20220146251A KR 20220146251 A KR20220146251 A KR 20220146251A KR 1020210053285 A KR1020210053285 A KR 1020210053285A KR 20210053285 A KR20210053285 A KR 20210053285A KR 20220146251 A KR20220146251 A KR 20220146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data
user
measurement system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열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티비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비스톰 filed Critical (주)티비스톰
Priority to KR102021005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251A/ko
Priority to PCT/KR2022/003952 priority patent/WO2022225199A1/ko
Priority to US17/727,697 priority patent/US20220338757A1/en
Publication of KR2022014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44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3Measuring rate of metabolism by using breath test, e.g. measuring rate of oxygen consum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2Determining colou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6Recognition of 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61B5/1455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uzzy Systems (AREA)
  • Dent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bes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전자 문진의 결과를 통해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함으로써, 각종 감염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질병 및 감염병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NTACT HEALTH STATUS MEASUREMENT THROUGH CAMERA-BASED VITAL SIGN DATA EXTRACTION AND ELECTRONIC HEALTH QUESTIONNAIRE}
본 발명은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전자 문진의 결과를 통해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함으로써, 각종 감염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질병 및 감염병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등의 감염병이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감염병에 감염되었는지를 확인하거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감염병에 감염된 사람은 심장 박동, 호흡, 산소포화도 등의 생체 징후 데이터가 일반 사람들과 다른 특성이나 패턴을 가진다. 하지만, 어느 하나의 단일 생체 징후 데이터만으로는 전염병 감염 여부에 대한 확인은 물론, 접촉 환자 및 동선 등과 같은 추가적인 2차 감염에 대한 중요 사항을 체크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각종 감염병에 대한 조기 스크리닝과 2차 감염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사람의 질병 여부를 확인할 경우, 상기 심장 박동, 호흡, 산소포화도 등의 생체 징후 데이터 이외에, 의사나 간호사 등의 의료진이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항을 문진하여 질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존의 문진 방식은 의료진이 환자를 직접 대면하여 진행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며, 그 이외에 스마트폰 혹은 전용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준비된 질문을 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받아 처리하는 전자 문진 방식이 있다. 이때 의료진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각 환자의 과거 의료정보를 직접 열람하면서 문진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의료진이 환자와 직접 대면하면서 문진을 수행할 경우, 문진 과정에서 새로운 감염병 환자가 발생하거나 의료진의 추가 피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문진 방식을 이용한 진단은 의료 데이터와 연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 데이터를 확인하지 못하고 과거 이력만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의 생체 징후 데이터와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전자 문진의 결과를 통해서 별다른 의료장비 없이 스마트폰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만으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각종 감염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감염 확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측에서 각 사용자 단말로 다양하게 설정된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발명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발명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21-0025811호(2021.03.10.)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단말에 포함된 센서 뿐 아니라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얻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번거롭게 매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기록되도록 하는,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즉, 상기 선행발명은 맥박, 혈당, 혈압 등의 생체정보와 문진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건강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선행발명처럼 센서나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얻은 생체정보와 문진으로 건강습관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술과 달리,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전자 문진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하며, 각 사용자 단말로 다양하게 설정된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상기 선행발명과 본 발명은 현저한 구성상의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2141597호(2020.08.05.)는 반려견의 생체정보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려견과 접촉하지 않고도, 원거리 영상 촬영을 통해 반려견의 홍채 또는 비문과 같은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람에게 비협조적인 반려견으로부터도 반려견 인식 및 식별에 적합한 생체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는 반려견의 생체정보 인식장치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즉, 상기 선행발명은 얼굴방향 유도부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관심을 유발하고, 반려견이 생체정보 인식장치를 지속적으로 쳐다보도록 하므로, 반려견의 홍채 또는 비문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데 매우 효율적인 반려견의 생체정보 인식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상기 선행발명처럼 이미지로부터 직접 홍채 또는 비문에 대한 이미지를 얻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전자 문진의 결과를 통해서 별다른 의료장비 없이 스마트폰의 사용자 단말만으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하며, 각 사용자 단말로 다양하게 설정된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하여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상기 선행발명과 본 발명은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별다른 의료장비 없이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만으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사용자의 각종 감염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감염 확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의 생체 징후 데이터와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전자 문진의 결과를 통해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경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측에서 각 사용자 단말로 다양하게 설정된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전에 설정된 문진 항목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문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상기 수신한 답변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얼굴영상으로부터 눈, 코, 입 및 귀를 포함한 부위별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부위별 특징점으로부터 이마, 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얼굴영상 분석 엔진; 및 상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기 구축된 매핑테이블의 패턴 중 유사도가 가장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패턴 각각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 대한 각 생체 징후 데이터를 레이블링한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구축하는 학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은, 상기 얼굴영상 분석 엔진에서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상기 구축한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결과 중에서 가장 확률이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패턴 각각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 대한 각 생체 징후 데이터를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구분하여 매핑테이블로 구축하고, 상기 구축한 매핑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구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 기 설정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각각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은,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전에 설정된 문진 항목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문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상기 수신한 답변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단계는,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의 얼굴영상 분석 엔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얼굴영상으로부터 눈, 코, 입 및 귀를 포함한 부위별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부위별 특징점으로부터 이마, 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에서, 상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기 구축된 매핑테이블의 패턴 중 유사도가 가장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은,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에서, 복수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패턴 각각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 대한 각 생체 징후 데이터를 레이블링한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구축하는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에서, 상기 얼굴영상 분석 엔진을 통해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상기 구축한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결과 중에서 가장 확률이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은,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에서, 복수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패턴 각각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 대한 각 생체 징후 데이터를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구분하여 매핑테이블로 구축하고, 상기 구축한 매핑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구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단계는, 상기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 기 설정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각각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의 생체 징후 데이터와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전자 문진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각 사용자별 건강상태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각 사용자의 각종 감염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감염 확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별다른 의료장비 없이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만으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측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 각 사용자 단말로 다양하게 설정된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의 추출 정확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환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위별 특징점 추출과 관심영역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인공지능 학습모델 생성과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이용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진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에서의 감염병 복합 판단 과정의 예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환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데이터베이스(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각 사용자들이 의료진을 대면하거나, 각종 센서 및 의료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자신이 보유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200)만으로 현재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을 위하여,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얼굴영상으로부터 R, G 및 B의 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R, G 및 B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에는 사전에 구축해둔 매핑테이블 혹은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표준화된 문진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문진 항목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답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자 문진 분석결과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상기 분석한 전자 문진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각 사용자의 건강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서 각종 감염병에 대한 조기 스크리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건강 상태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의료기관에 즉시 방문하도록 안내함으로써 각 사용자가 질병이나 감염병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카메라가 구비되고, 유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통신기기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과 통신 접속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의 웹 서버에 직접 접속하거나, 사전에 설치해둔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위한 전용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촬영한 얼굴영상을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며,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문진 항목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답변 데이터를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으로부터 상기 얼굴영상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 전자 문진을 통해서 측정한 현재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텍스트, 그래픽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에서 수행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결과를 각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에서 사용자의 얼굴영상의 색정보로부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매핑테이블 혹은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때 상기 매핑테이블 혹은 인공지능 학습모델은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된다.
이러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에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의 얼굴영상을 요청함과 동시에, 사전에 마련해둔 소정의 문진 항목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답변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서 자신의 얼굴영상을 촬영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영상을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①). 이때 사용자는 상기 얼굴영상과 함께 자신의 성, 연령, 인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얼굴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것과 함께,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전자 문진을 위한 소정의 문진 항목을 확인한 사용자가 상기 문진 항목에 따라 입력하는 답변 데이터를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②). 이때 상기 문진 항목에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발열, 기침, 피로감, 근육통, 가래 두통,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내용, 해외에서 입국한 경우 감염병 병력이나 병원방문 이력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내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영역에 대한 R, G 및 B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한다(③).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얼굴영상의 색정보 분석을 통해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전자 문진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통해서 전자 문진 분석결과를 생성한다(④).
이어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추출한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상기 분석한 전자 문진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측정한다(⑤). 즉 얼굴영상 분석을 통해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온라인상의 전자 문진을 통해서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가 정상인지, 아니면 질병이나 감염병이 예측되어 의료기관을 방문할 필요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렇게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결과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건강상태에 대한 결과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의료기관을 방문하거나 의료진을 직접 만날 필요없이 비대면으로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를 간단한 얼굴영상 촬영과 온라인 전자 문진을 통해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 객관성있게 색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로 다양하게 설정된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다양한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 정보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 중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가장 적합한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색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각각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평균하고, 상기 평균한 색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생체 징후 데이터 구축부(110), 학습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사용자 정보 수신부(140),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150), 전자 문진부(160), 건강상태 측정부(170), 건강상태 결과 제공부(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드웨어적으로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이들을 연결하는 버스와 각종 인터페이스 카드 등을 포함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상기 메모리에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서 구동할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각종 동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업데이트 관리부, 데이터베이스 등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구축부(110)는 다양한 사람들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예: 1초, 1분, 10분 등의 시간 주기에 따른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패턴 각각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 대한 각 생체 징후 데이터를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구분하여 매핑테이블로 구축하고, 상기 구축한 매핑테이블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
상기 학습부(120)는 다양한 사람들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패턴 각각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 대한 각 생체 징후 데이터를 레이블링한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구축한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도 6 참조)
한편, 상기 매핑테이블로 구축되거나 혹은 인공지능 학습모델에 적용되는 생체 징후 데이터는 성, 연령, 인종 등이 서로 다른 다양한 사람들이 자신의 얼굴영상을 촬영한 시점에서 EIT(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인공호흡기, 각종 센서, 의료장비 등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측정한 심박수 관련 정보(예: 심장 박동, 스트레스 지수, 심장 박동 변이도 등), 호흡수(들숨, 날숨) 관련 정보, 산소포화도 등을 포함한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매핑테이블 혹은 인공지능 학습모델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여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핑테이블 혹은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성, 연령 및 인종별로 구분하여 각각 생성하게 되면, 실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정할 때 사용자가 제공하는 성, 연령, 인종 등의 정보를 통해서 연산에 사용될 매핑테이블 혹은 인공지능 학습모델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정하는 속도의 향상은 물론,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각 사용자별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구축부(110)와 학습부(120)는 본 발명에서의 적용방식에 따라 어느 하나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두 가지 방식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과 상기 사용자 단말(200)간에 이루어지는 얼굴영상, 전자 문진, 건강상태 결과 등에 관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수신부(14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성, 연령, 인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150)로 출력한다.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15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건강상태 측정부(170)로 출력한다.(도 4 및 도 5 참조)
즉 상기 사용자 정보 수신부(14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사용자의 성, 연령, 인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150)는 얼굴영상 분석 엔진(151)과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1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얼굴영상 분석 엔진(151)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눈, 코, 입 및 귀를 포함한 부위별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부위별 특징점으로부터 이마, 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관심영역을 추출한다.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152)은 상기 얼굴영상 분석 엔진(151)에서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을 구하고, 상기 구한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구축부(110)를 통해서 사전에 구축한 매핑테이블의 각 패턴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한 결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한다.
또한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152)은 상기 설명과 같이 사전에 구축해둔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 이외에,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152)은 상기 얼굴영상 분석 엔진(151)에서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상기 학습부(120)를 통해서 구축한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 인공지능 학습모델에 각각 입력하고, 상기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결과 중에서 가장 확률이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15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사전에 설정해둔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각각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문진부(16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사전에 설정된 문진 항목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건강상태 측정부(170)로 출력한다.
상기 건강상태 측정부(170)는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150)에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상기 전자 문진부(160)에서 수신한 답변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건강상태 결과 제공부(180)로 출력한다. 즉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얼굴영상과 전자 문진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비대면으로 측정함으로써, 정상인지 아니면 의료기관을 방문할 필요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도 7 참조)
상기 건강상태 결과 제공부(180)는 상기 건강상태 측정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텍스트, 그래픽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건강상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건강상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위별 특징점 추출과 관심영역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촬영영상(즉 얼굴영상)에서 이미지 프레임을 추출하고(①), 상기 추출한 프레임에서 얼굴을 인식한다(②).
이어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인식한 얼굴 영역에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 코, 입 및 귀를 포함한 부위별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부위별 특징점으로부터 이마 및 양쪽 볼의 제1 내지 제3 관심영역을 추출한다(③).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심영역을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마 부분의 제1 관심영역과, 양쪽 볼의 제2 및 제3 관심영역을 포함하여 3개로 설정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관심영역은 3개 이하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렇게 제1 내지 제3 관심영역이 추출되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제1 내지 제3 관심영역에 대한 R, G 및 B의 평균값을 확인하고(④), R-B 시계열 데이터 및 G 시계열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G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나타내는 제1 특징과 제2 특징, 상기 R-B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나타내는 제3 특징을 확인한다(⑤).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얼굴영상을 촬영한 사용자의 성, 연령, 인종 등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확인한 제1 내지 제3 특징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의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한다(⑥). 즉 사전에 구축해둔 매핑테이블 혹은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통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특징인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가장 유사하거나 혹은 가장 확률이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특징을 통해서는 심박수 관련 정보(예: 심장 박동, 스트레스 지수, 심장 박동 변이도 등)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제2 특징을 통해서는 호흡수(들숨, 날숨)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특징을 통해서는 산소포화도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인공지능 학습모델 생성과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이용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성, 연령, 인종 등이 서로 다른 사람들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학습하여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학습에 사용하는 학습데이터는 다양한 사람들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얼굴영상을 촬영한 시점에서 각각의 패턴에 따라 실제 의료장비나 센서로 측정한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를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레이블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은 단위 시간에 따라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상승 또는 하강하거나,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는 등 매우 다양한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얼굴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얼굴영상에서 눈, 코, 입 및 귀의 부위별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부위별 특징점으로부터 이마 및 양쪽 볼의 제1 내지 제3 관심영역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관심영역에 대한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생성하는 전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생성한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사전에 구축해둔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 인공지능 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결과 중에서 가장 확률이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얼굴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진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온라인 상에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전자 문진을 수행할 때 다음의 절차에 따라 진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요청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표준화된 문진 항목을 전송한다(①).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표준화된 문진 항목을 확인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다(②).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정해진 문진 시나리오에 따라 분석하여 정상인지, 아니면 질병이나 감염병의 발생이 예측되는지를 확인하며(③), 상기 확인한 문진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④).
이에 따라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전자 문진 결과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촬영영상(즉 얼굴영상)에서 프레임을 추출하고(S10), 상기 추출한 프레임을 전처리한다(S20). 예를 들어, 상기 얼굴영상으로부터 색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밝기, 명암, 해상도, 크기 등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전처리한 프레임에서 눈, 코, 입, 귀 등의 부위별 특징점을 추출하고(S30), 상기 추출한 부위별 특징점으로부터 이마, 볼 등의 관심영역을 추출한다(S40).
이어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추출한 관심영역별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확인하고(S50), 상기 확인한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사전에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구축된 매핑테이블의 패턴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도가 가장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한다(S60).
이때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S60 단계를 통해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 상기 설명과 같이 사전에 구축된 매핑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통해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S50 단계에서 확인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사전에 구축해둔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 인공지능 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결과 중에서 가장 확률이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한다.
한편, 상기 S1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한 이후,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온라인 전자 문진을 위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사전에 설정된 문진 항목을 전송한다(S70).
또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며(S80), 상기 수신한 답변 데이터를 문진 시나리오에 따라 분석하여 전자 문진 분석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S90).
이어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S60 단계에서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상기 S90 단계에서 생성한 전자 문진 분석결과를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하고(S100), 상기 비대면으로 측정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즉시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110).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 색정보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다양하게 설정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각각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음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에서의 감염병 복합 판단 과정의 예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로서, 해외에 일정 기간 체류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비대면으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토대로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온라인 전자 문진으로 감염병 여부를 측정하여 확인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토대로, 해외 체류시 감염병 확진자인지, 의료기관 방문이력이 있는지, 자가격리 이력이 있는지의 3가지 사항을 확인하고(S201), 상기 확인한 3가지 사항 중에서 1개 이상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S202).
상기 S20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1개 이상 해당되지 않으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천식 유병 여부를 확인하고(S203), 1개 이상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S204).
상기 S204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1개 이상 해당되지 않으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발열여부를 확인하고(S205), 발열 증상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206).
상기 S206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발열 증상이 없으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기침여부를 확인하고(S207), 기침 증상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208).
상기 S208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기침 증상이 없으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피로감, 근육통, 가래 및 숨참 여부를 확인하고(S209), 4가지 중에서 1개 이상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S210).
상기 S2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1개 이상 해당되지 않으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흉통, 오한, 두통 및 목따가움 여부를 확인하고(S211), 4가지 중에서 1개 이상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S212).
상기 S21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1개 이상 해당되지 않으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어지러움, 설사, 콧물, 피섞인 가래, 코막힘 여부를 확인하고(S213), 5가지 중에서 2개 이상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S214).
상기 S214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2개 이상 해당되지 않으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정상으로 측정하여 안내하고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종료한다(S215).
하지만, 상기 S202, S204, S210 및 S21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1개 이상 해당되거나, S206 및 S208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발열 혹은 기침 증상이 있거나, S214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2개 이상 해당되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진료소 이동을 안내하고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종료한다(S216).
한편,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토대로 추출한 호흡수, 심박수 및 산소포화도를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확인한다(S217).
이어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S217 단계에서 확인한 호흡수가 분당 12 미만, 25 이상인지를 판단하고(S218), 상기 판단한 결과 호흡수가 분당 12 미만, 25 이상이면 진료소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S216 단계를 수행하고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S218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호흡수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S217 단계에서 확인한 심박수가 60 미만인지, 100이상인지를 판단하고(S219), 상기 판단한 결과 호흡수가 심박수가 60 미만이거나 100이상이면 진료소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S216 단계를 수행하고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S219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심박수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S217 단계에서 확인한 산소포화도가 95% 이하인지를 판단하고(S220), 상기 판단한 결과 호흡수가 심박수가 60 미만이거나 100이상이면 진료소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S216 단계를 수행하고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S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산소포화도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100)은 정상으로 측정하여 안내하고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종료한다(S221).
이처럼, 본 발명은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전자 문진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측정하므로, 각 사용자별 건강상태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각 사용자의 각종 감염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감염 확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별다른 의료장비 없이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만으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측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이용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 각 사용자 단말로 다양하게 설정된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기 때문에,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의 추출 정확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110 : 생체 징후 데이터 구축부
120 : 학습부 13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0 : 사용자 정보 수신부 150 :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
151 : 얼굴영상 분석 엔진 152 :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
160 : 전자 문진부 170 : 건강상태 측정부
180 : 건강상태 결과 제공부 200 : 사용자 단말
3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전에 설정된 문진 항목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문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상기 수신한 답변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얼굴영상으로부터 눈, 코, 입 및 귀를 포함한 부위별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부위별 특징점으로부터 이마, 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얼굴영상 분석 엔진; 및
    상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기 구축된 매핑테이블의 패턴 중 유사도가 가장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패턴 각각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 대한 각 생체 징후 데이터를 레이블링한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구축하는 학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은,
    상기 얼굴영상 분석 엔진에서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상기 구축한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결과 중에서 가장 확률이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패턴 각각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 대한 각 생체 징후 데이터를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구분하여 매핑테이블로 구축하고, 상기 구축한 매핑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구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 기 설정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각각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6.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전에 설정된 문진 항목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문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한 생체 징후 데이터와 상기 수신한 답변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비대면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단계는,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의 얼굴영상 분석 엔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얼굴영상으로부터 눈, 코, 입 및 귀를 포함한 부위별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부위별 특징점으로부터 이마, 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에서, 상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기 구축된 매핑테이블의 패턴 중 유사도가 가장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은,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에서, 복수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패턴 각각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 대한 각 생체 징후 데이터를 레이블링한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구축하는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엔진에서, 상기 얼굴영상 분석 엔진을 통해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을 상기 구축한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각 인공지능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결과 중에서 가장 확률이 높은 패턴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생체 징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징후 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은,
    상기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에서, 복수의 얼굴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관심영역의 R, G 및 B 평균값의 시계열 변화에 대한 패턴과 상기 패턴 각각에 해당하는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 대한 각 생체 징후 데이터를 성별, 연령별 및 인종별로 구분하여 매핑테이블로 구축하고, 상기 구축한 매핑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구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 단계는,
    상기 얼굴영상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 기 설정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한 복수의 카메라 설정값에 따라 각각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영상으로부터 객관적인 색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생체 징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방법.
KR1020210053285A 2021-04-23 2021-04-23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46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285A KR20220146251A (ko) 2021-04-23 2021-04-23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22/003952 WO2022225199A1 (ko) 2021-04-23 2022-03-22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17/727,697 US20220338757A1 (en) 2021-04-23 2022-04-22 System and method for non-face-to-face health status measurement through camera-based vital sign data extraction and electronic questionna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285A KR20220146251A (ko) 2021-04-23 2021-04-23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251A true KR20220146251A (ko) 2022-11-01

Family

ID=8369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285A KR20220146251A (ko) 2021-04-23 2021-04-23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38757A1 (ko)
KR (1) KR20220146251A (ko)
WO (1) WO202222519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462B1 (ko) 2023-04-11 2023-09-22 주식회사 마크헬츠 감염병 대응 비대면 모니터링 및 원격상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88481B1 (ko) * 2023-03-23 2023-10-12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산소포화도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2606193B1 (ko) * 2023-06-02 2023-11-30 주식회사 인더스 카메라 기반의 원격 건강진단 및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25629A1 (en) * 2021-10-26 2023-04-27 Avaya Management L.P. Usage and health-triggered machine respon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8658B (zh) * 2016-10-05 2024-04-02 皇家飞利浦有限公司 患者监测系统和方法
KR101952804B1 (ko) * 2017-05-16 2019-02-2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인식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8853B1 (ko) * 2017-09-26 2019-09-05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접촉식 센싱 기반 심박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097246B1 (ko) * 2019-08-26 2020-05-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적 스트레스 지수에 기반한 스트레스 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481B1 (ko) * 2023-03-23 2023-10-12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산소포화도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2581462B1 (ko) 2023-04-11 2023-09-22 주식회사 마크헬츠 감염병 대응 비대면 모니터링 및 원격상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06193B1 (ko) * 2023-06-02 2023-11-30 주식회사 인더스 카메라 기반의 원격 건강진단 및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5199A1 (ko) 2022-10-27
US20220338757A1 (en)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6251A (ko) 카메라 기반 생체 징후 데이터 추출과 전자 문진을 통한 비대면 건강상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TWI747372B (zh) 偵測臨床表徵的方法以及影像系統
US10874340B2 (en) Real time biometric recording, information analytics and monitoring systems for behavioral health management
KR102020598B1 (ko) 생체신호 센서 기반 정신질환 진단 및 치유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US202300547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electroencephalogram signa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classification model, an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20323087A1 (en) Affective well-being supervision system and method
KR20200071647A (ko)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및 생체신호에 기반한 정신질환 진단 및 치유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방법
WO2023012818A1 (en) A non-invasive multimodal screening and assessment system for human health monitoring and a method thereof
KR20200045137A (ko)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001504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human behavior based on external body markers
JP4765531B2 (ja) データ検出装置及びデータ検出方法
US20240138780A1 (en) Digital kiosk for performing integrative analysis of health and disease condition and method thereof
CN115024725A (zh) 融合心理状态多参数检测的肿瘤治疗辅助决策系统
US10706967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diagnostic data on the basis of medical interview data and camera data
US11862341B2 (en) Server and method for classifying mental state
US20230018077A1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2037561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alculating comprehensive disease index
TWI748485B (zh) 一種資訊處理系統及其方法
KR102199397B1 (ko) 질병 진단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0093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n asthma attack or asthma of a subject
US202204155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diabetic retinopathy progression
KR102388339B1 (ko)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
US20220301160A1 (en)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contactless physiological measurement technology
WO2023178957A1 (zh) 生命体征监测方法、相关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10119998A (ko)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