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339B1 -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339B1
KR102388339B1 KR1020200164960A KR20200164960A KR102388339B1 KR 102388339 B1 KR102388339 B1 KR 102388339B1 KR 1020200164960 A KR1020200164960 A KR 1020200164960A KR 20200164960 A KR20200164960 A KR 20200164960A KR 102388339 B1 KR102388339 B1 KR 102388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examination
color
face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5815A (ko
Inventor
안치범
안치영
Original Assignee
안치범
안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치범, 안치영 filed Critical 안치범
Priority to PCT/KR2020/01747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55037A1/ko
Publication of KR2022003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이 개시된다. 설진 키트는, 시트(sheet), 사용자가 혀를 위치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혀의 형상 및 크기에 상응하는 시트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혀 가이드부, 혀 가이드부의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혀가 접촉되어 혀의 산성도(PH)를 측정하여 색상으로 나타내는 산성도 측정부, 혀 및 산성도 측정부가 촬영되는 경우, 생성된 혀 이미지 및 산성도 측정부 이미지의 색상을 보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색상 패치를 포함하는 색상 참조부 및 사용자의 정보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Tongue diagnosis kit for color correction and saliva test and non-face-to-face tongue diagnosis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장조사기업 IBIS월드에 따르면, 미국의 원격의료 서비스 시장은 지난 5년간 연평균 34.7%의 폭발적 성장을 지속해 2019년 시장 규모가 24억 달러(한화 약 2조 9364억원)에 달했다. 이는, 통신 및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웨어러블 모니터링 장치, 디지털화된 의료용 이미지 등의 개발과 함께, 막대한 의료비용 증가와 의료 서비스 인력 부족, 만성질환을 겪는 고령인구의 증가 등의 미국 헬스케어 시스템의 문제에서 기인한다.
현재, 미국에서는 화상회의를 통해 원격으로 환자와 의사 간 실시간 상담이 이뤄지는 것은 물론, 주치의가 전문의에게 엑스레이, CT 촬영 등과 같은 대용량의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하거나 전자장치를 통한 건강정보 전송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covid-19) 이후 더욱 폭발적인 성장 양상을 띄고 있다. 실제로, 미국 내 첫 코로나(covid-19) 사망자 발생 이후, 원격 의료 서비스 기업인 American Well의 서비스 수요는 11% 증가했다.
이와 같이 원격 의료 시장이 발전하고 있는 미국의 상황에서는, 의료보험이 없는 미국인과 건강에 관심이 많은 중산층까지의 미국인을 타겟으로, 간편하고 저렴한 원격 진단 서비스가 필요하다.
한편, 혀의 형태나 색상을 통해 진단하는 설진 기법은 수천 년 이상 전해져 내려온 한의학의 진단방법으로, 국내 뿐만 아니라 동양과 서양에서도 그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설진 기법은, 검진자가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으면 원격에서도 진단이 가능하므로, 간편하고 저렴한 원격 진단 서비스로 이용될 수 있다.
미국인들은 과도한 의료 비용과 의사를 만나기 까지의 오랜 시간이 걸리는 점때문에, 평소에 건강을 지키기 위한 많은 건강 보조 식품의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다(2019년 70조 시장). 일반인들은 개인의 건강 상태와 상관없이 제품 하나 하나의 일반화된 장점을 기준으로 한 구매가 상당히 많으며, 이에 따라 과도한 영양제의 사용이 암이나 새로운 병의 원인이 된다는 논문까지 발표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설진을 이용한 초기 건강분석 및 질병 예측 서비스를 통하여 본인 몸에 맞는 건강 보조 식품의 맞춤형 AI(Artificial Intelligence) 추천은, 미국 비대면 의료 시장의 새로운 분야가 될 것이다. 그와 함께, 설진 결과를 이용한 건강을 지키기 위한 체질 개선 식단에 대한 추천도 의료 데이터 시장의 새로운 분야로 기대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60148호(2014.11.04)
본 발명은 설진을 위한 혀 이미지의 획득이 용이하고, 획득된 혀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액검사가 가능하며, 혀 이미지의 컬러보정을 통해 혀 이미지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진 키트는, 시트(sheet), 사용자가 혀를 위치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혀의 형상 및 크기에 상응하는 상기 시트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혀 가이드부, 상기 혀 가이드부의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혀가 접촉되어 상기 혀의 산성도(PH)를 측정하여 색상으로 나타내는 산성도 측정부, 상기 혀 및 상기 산성도 측정부가 촬영되는 경우, 생성된 혀 이미지 및 산성도 측정부 이미지의 색상을 보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색상 패치를 포함하는 색상 참조부 및 상기 사용자의 정보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설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설진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설진 키트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설진 키트 이미지가 시트(Sheet; 미리 설정된 초기 설진키트 구성이 인쇄됨)에 인쇄된 설진 키트와 상기 사용자의 혀가 함께 촬영된 조합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조합 이미지를 분석하여 건강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설진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설진 키트는, 시트(sheet), 사용자가 혀를 위치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혀의 형상 및 크기에 상응하는 상기 시트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혀 가이드부, 상기 혀 가이드부의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혀가 접촉되어 상기 혀의 산성도(PH)를 측정하여 색상으로 나타내는 산성도 측정부, 상기 혀 및 상기 산성도 측정부가 촬영되는 경우, 생성된 혀 이미지 및 산성도 측정부 이미지의 색상을 보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색상 패치를 포함하는 색상 참조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부를 포함한다.
상기 초기 설진키트 구성은 상기 혀 가이드부, 상기 산성도 측정부 및 상기 색상 참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진 키트 이미지에는 상기 정보 기록부가 포함된다.
상기 설진 서버는 상기 색상 참조부를 이용하여 상기 조합 이미지의 색상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색상 보정된 조합 이미지에서 상기 산성도 측정부의 색상과 상기 혀의 색상 및 형상을 판별한다.
상기 설진 서버는, 상기 산성도 측정부의 색상과 상기 혀의 색상 및 형상에 따라 생성된 설진 건강 분석 정보가 저정된 설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산성도 측정부에 대하여 판별된 색상과 상기 혀에 대하여 판별된 색상 및 형상에 대응하는 설진 건강 분석 정보를 상기 설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은, 설진을 위한 혀 이미지의 획득이 용이하고, 획득된 혀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액검사가 가능하며, 혀 이미지의 컬러보정을 통해 혀 이미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100)는, 시트(sheet)(110), 혀 가이드부(120), 산성도 측정부(130), 색상 참조부(140) 및 정보 기록부(150, 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트(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진 키트(100)의 본체로서,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두께 및 크기를 갖는 종이일 수 있다.
혀 가이드부(120)는 사용자의 혀(10) 촬영을 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혓바닥 전체가 드러나도록 시트(110) 상에서 혀(10)를 대는 영역이다.
즉, 혀 가이드부(120)는 사용자의 혀(10) 촬영을 위한 적합한 위치 및 자세로 사용자가 혀(10)를 위치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10)의 형상 및 크기에 상응하는 시트(110)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빈 영역일 수 있다.
산성도 측정부(130)는 혀(10)가 접촉되어 혀(10)의 산성도(PH)를 측정하여 색상으로 나타내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시트(110) 상에서 혀 가이드부(120)의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다.
즉, 산성도 측정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 가이드부(120)에서 혀(10)의 끝부분이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혀(10)와 접촉을 통해 혀(10)에 존재하는 타액을 흡수하여 혀(10)의 산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성도 측정부(130)는 혀 가이드부(120)에서 혀(10)의 끝부분이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거나 부착된 산성도 측정 소재일 수 있으며, 산성도 측정 소재는 흡수된 액체의 산성도를 색상으로 나타내는 리트머스지(Litmus Paper)일 수 있다.
색상 참조부(140)는 시트(110) 상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에 형성되며, 촬영을 통해 생성된 산성도 측정부(130)의 이미지 및 혀 이미지의 색상을 보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색상 패치(Patch)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색상 참조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10) 상에 24개의 기준 색상 패치가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24개의 기준 색상 패치는 엑스-라이트 컬러 체커(X-rite color checker)가 사용될 수 있다.
촬영을 통해 생성되는 산성도 측정부(130)의 이미지 및 혀 이미지의 색상은, 실제 산성도 측정부(130) 및 혀(10)의 색상과는 차이가 있고, 촬영 중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를 통해 산성도 측정부(130) 및 혀(10)의 색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색상 보정이 필요하다. 그래서, 색상 참조부(140)는 산성도 측정부(130) 및 혀(10)의 이미지의 색상 보정을 위하여, 산성도 측정부(130) 및 혀(10)와 함께 촬영됨으로써, 하나의 설진 키트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정보 기록부(150, 160)는 사용자 정보가 코드 형태로 기록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정보 기록부(150, 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10) 상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에 인쇄된 바코드 및 QR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 및 QR 코드는 간단한 사용자 정보, 자세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의 링크정보, 사용자 식별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나이, 체중, 인종, 성장 및 활동 단계, 병력, 임신 여부, 알레르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100)는 인쇄기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혀 가이드부(120) 및 산성도 측정부(130)가 형성된 시트(110)에 색상 참조부(140) 및 정보 기록부(150, 160)가 인쇄기에 의하여 인쇄되어 설진 키트(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색상 참조부(140)는 컬러 인쇄가 가능한 인쇄기에 의하여 인쇄될 수 있으나, 사전 제작되어 시트(1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200),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연결된 인쇄기(210), 제2 사용자 단말(300) 및 설진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설진을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로 구현되어 비대면 설진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구현되어 비대면 설진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설진 서버(500)와 인터넷을 통해 통신연결 가능하며, 주변기기로서 인쇄기(210)를 구비한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과 같은 PC일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스마트폰과 같이 촬영 기능 및 인터넷 통신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기기일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설진 서버(50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설진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설진 서버(500)로부터 설진 요청에 따라 생성된 정보 기록부(150, 160)가 포함된 설진 키트 이미지(105)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인쇄기(210)를 통해 초기 설진키트 구성이 형성된 시트(110)에 수신된 설진 키트 이미지(105)를 인쇄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10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설진키트 구성은 혀 가이드부(120), 산성도 측정부(130) 및 색상 참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110)에 혀 가이드부(120)를 형성하고, 리트머스지 및 24개의 기준 색상 패치를 부착하여 초기 설진 키트가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초기 설진 키트에 인쇄기(210)에 의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및 QR 코드가 인쇄됨으로써, 설진 키트(100)가 생성될 수 있다.
물론, 구현하기에 따라 색상 참조부(140)는 초기 설진키트 구성에서 제외되어, 컬러 인쇄가 가능한 인쇄기(210)에 의하여 정보 기록부(150, 160)와 함께, 인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설진 키트(100)는 사용자의 혀(10)와 조합되고, 조합된 설진 키트(100)와 혀(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의하여 촬영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설진 키트(100)의 혀 가이드부(120)에 자신의 혀(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설진 키트(100)와 혀(10)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설진 키트(100)와 혀(10)의 촬영에 따라 생성된 설진 키트(100) 및 혀(10)의 조합 이미지(310)를 설진 서버(500)가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진단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진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설진 서버(500)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설진 키트(100) 및 혀(10)의 조합 이미지(310)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설진을 수행한다.
즉, 설진 서버(500)는 색상 참조부(140)를 이용하여 수신된 설진 키트(100) 및 혀(10)의 조합 이미지(310)의 색상 보정을 수행하고, 색상 보정된 조합 이미지(310)에서 산성도 측정부(130)의 색상과 혀(10)의 색상 및 형상을 판별한다.
예를 들어, 설진 서버(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24개의 색상을 기준 색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준 색상에 대하여 sRGB 값, CIE Lab 값 및 먼셀(Munsell) 값이 설정된 기준 색상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조합 이미지(310)의 색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설진 서버(500)는 조합 이미지(310)에서 측정된 24개의 기준 색상 패치의 색상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색상 데이터의 차이에 따른 변환함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변환함수를 이용하여 조합 이미지(310)의 색상을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설진 서버(500)는 설진 데이터베이스에서, 산성도 측정부(130)에 대하여 판별된 색상과 혀(10)에 대하여 판별된 색상 및 형상에 대응하는 설진 건강 분석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 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설진 건강 분석 정보는 산성도 측정부(130)의 색상(즉, 타액의 산성도)과 혀(10)의 색상 및 형상에 따라 생성되어 설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부분 별로 혀(10)의 진단 영역이 정의될 수 있으며, 설진 서버(500)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학습 모델과 같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진단 영역 별로 색상 및 형상에 따라 분석할 수 있다. 즉, 진단 영역 별로 혀의 색상, 변형, 갈라짐, 돌기 발생, 돌기의 돌출정도 등에 따라 진단이 수행되어 설진 건강 분석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S710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설진 서버(500)로 전송하여 설진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설진 서버(500)는 설진 요청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기록된 정보 기록부(150, 160)가 포함된 설진 키트 이미지(105)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S720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인쇄기(210)를 통해 초기 설진키트 구성이 형성된 시트(110)에 수신된 설진 키트 이미지(105)를 인쇄하여 설진 키트(100)를 생성한다.
S730 단계에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설진 키트(100)와 혀(10)를 촬영하여 설진 키트(100) 및 혀(10)의 조합 이미지(310)를 생성하여 설진 서버(500)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는 설진 키트(100)의 혀 가이드부(120)에 자신의 혀(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설진 키트(100)와 혀(10)를 촬영할 수 있다.
S740 단계에서, 설진 서버(500)는 색상 참조부(140)를 이용하여 수신된 설진 키트(100) 및 혀(10)의 조합 이미지(310)의 색상 보정을 수행하고, 색상 보정된 조합 이미지(310)에서 혀(10) 및 산성도 측정부(130)의 색상을 판별한다.
S750 단계에서, 설진 서버(500)는 설진 데이터베이스에서, 산성도 측정부(130)에 대하여 판별된 색상과 혀(10)에 대하여 판별된 색상 및 형상에 대응하는 설진 건강 분석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 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혀
100: 설진 키트
110: 시트(sheet)
120: 혀 가이드부
130: 산성도 측정부
140: 색상 참조부
150, 160: 정보 기록부

Claims (6)

  1.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에 있어서,
    시트(sheet);
    사용자가 혀를 위치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혀의 형상 및 크기에 상응하는 상기 시트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혀 가이드부;
    상기 혀 가이드부의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혀가 접촉되어 상기 혀의 산성도(PH)를 측정하여 색상으로 나타내는 산성도 측정부;
    상기 혀 및 상기 산성도 측정부가 촬영되는 경우, 생성된 혀 이미지 및 산성도 측정부 이미지의 색상을 보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색상 패치를 포함하는 색상 참조부; 및
    상기 사용자의 정보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부를 포함하는 설진 키트.
  2.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설진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설진 키트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설진 키트 이미지가 시트(Sheet; 미리 설정된 초기 설진키트 구성이 인쇄됨)에 인쇄된 설진 키트와 상기 사용자의 혀가 함께 촬영된 조합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조합 이미지를 분석하여 건강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설진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설진 키트는,
    시트(sheet);
    사용자가 혀를 위치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혀의 형상 및 크기에 상응하는 상기 시트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혀 가이드부;
    상기 혀 가이드부의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혀가 접촉되어 상기 혀의 산성도(PH)를 측정하여 색상으로 나타내는 산성도 측정부;
    상기 혀 및 상기 산성도 측정부가 촬영되는 경우, 생성된 혀 이미지 및 산성도 측정부 이미지의 색상을 보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색상 패치를 포함하는 색상 참조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설진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설진키트 구성은 상기 혀 가이드부, 상기 산성도 측정부 및 상기 색상 참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진 키트 이미지에는 상기 정보 기록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설진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진 서버는 상기 색상 참조부를 이용하여 상기 조합 이미지의 색상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색상 보정된 조합 이미지에서 상기 산성도 측정부의 색상과 상기 혀의 색상 및 형상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설진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진 서버는,
    상기 산성도 측정부의 색상과 상기 혀의 색상 및 형상에 따라 생성된 설진 건강 분석 정보가 저정된 설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산성도 측정부에 대하여 판별된 색상과 상기 혀에 대하여 판별된 색상 및 형상에 대응하는 설진 건강 분석 정보를 상기 설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설진 시스템.
KR1020200164960A 2020-09-14 2020-11-30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 KR102388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7478 WO2022055037A1 (ko) 2020-09-14 2020-12-02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7493 2020-09-14
KR1020200117493 2020-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815A KR20220035815A (ko) 2022-03-22
KR102388339B1 true KR102388339B1 (ko) 2022-04-20

Family

ID=8098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960A KR102388339B1 (ko) 2020-09-14 2020-11-30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3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8992A (ja) * 2005-04-28 2008-11-13 ケアストリーム ヘルス インク 舌画像からの疾病診断のため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148B1 (ko) 2013-02-19 2014-11-1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설진 모델 시스템 및 방법
KR102199462B1 (ko) * 2014-11-04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8992A (ja) * 2005-04-28 2008-11-13 ケアストリーム ヘルス インク 舌画像からの疾病診断のため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815A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6747B2 (en) ECG interpretation system
US116331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health care
US9414780B2 (en) Dermoscopic data acquisition employing display illumination
US200302332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biological data and providing data interpretation tools
Hu Evaluating telemedicine systems success: a revised model
US20040019259A1 (en) Remote monitoring and data management platform
US201102159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preting medical image data
US20140313303A1 (en) Longitudinal dermoscopic study employing smartphone-based image registration
US20180060518A1 (en) Electronic community medical marijuana network
US202203387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n-face-to-face health status measurement through camera-based vital sign data extraction and electronic questionnaire
Pham et al. Effectiveness of consumer-grade contactless vital signs monit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US11200967B1 (en) Medical patient synergistic treatment application
US20180301211A1 (en) Electronic community medical marijuana network
US20120130739A1 (en) Unsupervised Telemedical Office for Remote &/or Autonomous & Automated Medical Care of Patients
US20190148015A1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20170357770A1 (en) Health risk cloud analysis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gene information and acquired lifestyle
US20240138780A1 (en) Digital kiosk for performing integrative analysis of health and disease condition and method thereof
US20220013235A1 (en) Fully autonomous medical solution (mydoctor)
WO2022055037A1 (ko)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
KR102388339B1 (ko) 컬러보정 및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설진 시스템
KR20220086329A (ko) 컬러보정과 타액검사를 위한 설진 키트 및 iot로 측정한 바이털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검사 맞춤 영양제 추천 시스템
US2022025450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 non-contact monitoring of health racterstic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rih et al. Mining audiograms to improve the interpretability of automated audiometry measurements
Kumar et al. ISSK-an integrated self service kiosk for health monitoring and management
JP2023012304A (ja) 医用情報処理システム、医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