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137A -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137A
KR20200045137A KR1020180125782A KR20180125782A KR20200045137A KR 20200045137 A KR20200045137 A KR 20200045137A KR 1020180125782 A KR1020180125782 A KR 1020180125782A KR 20180125782 A KR20180125782 A KR 20180125782A KR 20200045137 A KR20200045137 A KR 20200045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history
medical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674B1 (ko
Inventor
이상헌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674B1/ko
Priority to PCT/KR2018/016299 priority patent/WO2020085576A1/ko
Publication of KR2020004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관측 의료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포함하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피드백할 수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 식별정보 및 개인 건강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수신된 개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로부터 식별된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 결과를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포함하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 또는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의 주치의 단말에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관측 의료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포함하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피드백할 수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개인이 효율적이고 쉽게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웨어러블기기, 사물 인터넷(IoT) 기기,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상기한 기기들과 연동하거나 자체적으로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앱)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기기, IoT기기, 스마트폰 등에는 다양한 센서들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서 혈압, 체온, 심박, 혈당 등 기본적인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생체정보에 기초하는 방대한 양의 개인 건강정보가 획득되고 있으나, 사용자 단말은 자체 실행가능한 앱을 통해서 시각적인 분석 그래프, 건강관리정보, 건강 코칭가이드 등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즉, 획득된 개인 건강정보가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한편, 신뢰성 있는 건강관리를 위해서, 기존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의료기관측 의료정보(예: EMR. EHR, PHR 등)와 연동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표준화 문제 등으로 인하여 원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등록특허 10-1553908 등록특허 10-1891262 등록특허 10-1801767 등록특허 10-1284882 공개특허 10-2015-0025629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관측 의료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포함하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피드백할 수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 식별정보 및 개인 건강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수신된 개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로부터 식별된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 결과를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포함하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 또는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의 주치의 단말에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 건강정보는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을 포함한 신체정보와,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누적된 EHR/PHR 기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 식별정보는 지문, 홍채, 정맥, 음성 및 안면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한 질병은 수신된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 중에서 진료검사결과, 병력, 수술내역, 방사선 치료내역, 항암치료 내역, 예방접종 내역 및 진통제 처방내역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는 상기 진료검사결과, 병력, 수술내역, 방사선 치료내역, 항암치료 내역, 예방접종 내역 및 진통제 처방내역의 유형별로 표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한 질병은 두통, 당뇨, 간질환, 폐질환, 암질환 및 치아질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방대한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관측 의료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알 수 있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건강상태변화 등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내 환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생체정보 획득장치(112), 서비스 제공 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예를 들어, PC, 노트북 등과 같은 통신 가능한 단말, 스마트폰, 핸드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 등)로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며,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어플'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110)과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며, 이후에 상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 결과를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포함하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에 피드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건강관리 서비스에 관련한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개인 식별정보 및 개인 건강정보,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 등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식별정보는 지문, 홍채, 정맥, 음성, 안면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개인 건강정보는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을 포함한 신체정보와,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누적된 EHR/PHR 기록정보일 수 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사용자 단말(110)의 등록시 입력받은 사용자의 안면이미지 내의 특징점 즉, 안면이미지를 추출하여 획득된 안면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사용자가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즉,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앱)을 저장해 둘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130) 이외에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한 의료정보 빅데이터 등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는 전자의료기록(EMR) 시스템일 수 있다. 여기서, EMR은 기존의 종이차트로 관리되던 의료기록 관리 방식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의료정보를 일체의 수정없이 모두 전산화하는 의료 정보시스템일 지칭한다. EMR은 단순히 과거의 의료기록을 자동화한 형태가 아니라 다양한 정보매체의 형태로 건강에 대한 모든 정보를 함축하고 있다. EMR에는 개인의 병력, 현재의 투약상태, 검사결과 등의 건강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며, 사용자들이 이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처리하여 제공가능하다.
또한,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는 EHR 또는 PHR 시스템일 수도 있다. 여기서, EHR(Electronic Health Record)은 상호운영을 위한 국가 표준을 준수하여 여러 의료기관에서 활용가능한 의료정보이며, PHR(Personal Health Record)은 의료기관측 의료정보와 평소 개인의 건강기록을 합친 폭넓은 개념의 의료정보를 지칭한다.
네트워크(15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110)과 서비스 제공 서버(120) 사이의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120)와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 사이의 통신을 연결하여,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 결과를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포함하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에 피드백하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건강상태변화 등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으며, 생체정보에 기초하는 방대한 양의 개인 건강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도 1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정보 수신부(121), 정보 비교부(122), 이동경로 제공부(123), 예약정보 처리부(124), 단말 위치 검출부(125), 팝업창 제공부(126), 및 제어부(127)를 포함한다.
제1 정보 수신부(121)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개인 식별정보 및 개인 건강정보를 수신받는다.
정보 비교부(122)는 수신된 개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제2 정보 수신부(123)는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으로부터 식별된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수신받는다. 여기서, 개인 식별정보는 지문, 홍채, 정맥, 음성, 안면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분석부(124)는 제1 정보 수신부(121) 및 제2 정보 수신부(123)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한다. 여기서, 개인 건강정보는 기본적인 신체정보 및 개인 EHR/PHR 기록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신체정보에는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개인 EHR/PHR 기록정보는 생체정보 획득장치(112)로부터 획득된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누적된 개인 EHR/PHR 기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 획득장치(112)는 혈액 검사, 체중, 혈당, 혈압, 심박, 소변 검사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혈압측정센서, 혈중산소포화도측정센서, 심박변이도 측정센서, 체중 감지센서 등과 같은 공지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 획득장치(112)로부터 획득된 생체정보는 유무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되며, 사용자 단말(110)은 이러한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건강정보,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등에 관한 개인 EHR/PHR 기록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요약정보 제공부(125)는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 결과를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포함하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 또는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의 주치의 단말에 피드백해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한 질병은 수신된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 중에서 진료검사결과, 병력, 수술내역, 방사선 치료내역, 항암치료 내역, 예방접종 내역, 진통제 처방내역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상기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는 상기 진료검사결과, 병력, 수술내역, 방사선 치료내역, 항암치료 내역, 예방접종 내역, 진통제 처방내역의 유형별로 미리 표준화될 수 있다.
즉,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준화된 구조로 변환하여 서비스 제공서버(120)로 전달해 줌으로써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일례로,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CCD(Continuity of Care Document)와 CCR(Continuity of Care Record)과 같은 XML 기반의 표준들을 이용하여 표준화된 구조로 변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이 자신의 의료기록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요청한 의료기록 정보의 제공이 가능해질 수 있다.
팝업창 제공부(126)는 상기 요약정보를 팝업창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팝업창 제공부(126)는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관심 질병에 관련한 정보만을 취합하여 팝업창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팝업창은 진료시에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의 주치의 단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치의에게 질병관련 질의를 별도로 하지 않더라도, 주치의로부터 해당 질병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한 조치 또는 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제어부(127)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정보 수신부(121)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 식별정보 및 개인 건강정보를 수신받는다(S100).
다음에, 정보 비교부(122)가 수신된 개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S110).
다음에, 제2 정보 수신부(123)가,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으로부터 식별된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수신받는다(S120).
다음에, 분석부(124)가, 상기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한다(S130).
다음에, 요약정보 제공부(125)가,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 결과를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포함하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 또는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의 주치의 단말에 피드백한다(S140).
여기서,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은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록 정보에 기초한 질병 확률 계산을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신경망 기반의 질병 발생 예측 모델 및 통계학적 확률기반의 질병 발생 예측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질병이 발생할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같이, 사용자에게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알 수 있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상태 및 건강상태변화 등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특정한 질병은 수신된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 중에서 진료검사결과, 병력, 수술내역, 방사선 치료내역, 항암치료 내역, 예방접종 내역, 진통제 처방내역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는 상기 진료검사결과, 병력, 수술내역, 방사선 치료내역, 항암치료 내역, 예방접종 내역, 진통제 처방내역의 유형별로 표준화될 수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팝업창 제공부(126)가, 상기 요약정보를 팝업창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팝업창 제공부(126)는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관심 질병에 관련한 정보만을 취합하여 팝업창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팝업창은 진료시에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140)의 주치의 단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치의에게 질병관련 질의를 별도로 하지 않더라도, 주치의로부터 해당 질병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한 조치 또는 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0 : 사용자 단말
112 : 생체정보 획득장치
120 : 서비스 제공 서버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
150 : 네트워크

Claims (6)

  1.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 식별정보 및 개인 건강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수신된 개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로부터 식별된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 결과를 특정한 질병의 발생 확률을 포함하는 요약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 또는 의료기관 서버 시스템의 주치의 단말에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건강정보는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을 포함한 신체정보와,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누적된 EHR/PHR 기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정보는 지문, 홍채, 정맥, 음성 및 안면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질병은 수신된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 중에서 진료검사결과, 병력, 수술내역, 방사선 치료내역, 항암치료 내역, 예방접종 내역 및 진통제 처방내역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의료기록 정보는 상기 진료검사결과, 병력, 수술내역, 방사선 치료내역, 항암치료 내역, 예방접종 내역 및 진통제 처방내역의 유형별로 표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질병은 두통, 당뇨, 간질환, 폐질환, 암질환 및 치아질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25782A 2018-10-22 2018-10-22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18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782A KR102218674B1 (ko) 2018-10-22 2018-10-22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18/016299 WO2020085576A1 (ko) 2018-10-22 2018-12-20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782A KR102218674B1 (ko) 2018-10-22 2018-10-22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137A true KR20200045137A (ko) 2020-05-04
KR102218674B1 KR102218674B1 (ko) 2021-02-22

Family

ID=70331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782A KR102218674B1 (ko) 2018-10-22 2018-10-22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8674B1 (ko)
WO (1) WO202008557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390A1 (ko) * 2020-05-06 2021-11-11 주식회사 슈파스 인공지능을 이용한 환자의 쇼크 발생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410650B1 (ko) * 2021-10-09 2022-06-17 전상현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57321B1 (ko) * 2022-04-07 2022-10-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도를 고려한 멀티채널에서의 ccr문서 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2457320B1 (ko) * 2022-04-07 2022-10-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도를 고려한 멀티채널에서의 ccr문서 브로드캐스팅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82B1 (ko) 2011-11-28 2013-07-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연동을 통한 혈당 관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9362A (ko) * 2013-02-01 2014-08-12 남궁용주 바이오인식 기반의 전자건강기록(ehr)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5629A (ko) 2013-08-29 2015-03-11 서울대학교병원 환자맞춤형질환정보제공 단말기
KR101553908B1 (ko) 2014-01-24 2015-09-1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케이스를 이용한 건강상태 측정 및 관리 장치와 그 방법
KR101801767B1 (ko) 2016-08-26 2017-12-20 주식회사 임팩시스 모바일전용 건강관리 지원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KR101891262B1 (ko) 2016-11-29 2018-08-24 박병섭 휴대용 개인건강 관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049A (ko) * 2004-10-29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61177B1 (ko) * 2011-11-29 2013-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82B1 (ko) 2011-11-28 2013-07-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연동을 통한 혈당 관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9362A (ko) * 2013-02-01 2014-08-12 남궁용주 바이오인식 기반의 전자건강기록(ehr)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5629A (ko) 2013-08-29 2015-03-11 서울대학교병원 환자맞춤형질환정보제공 단말기
KR101553908B1 (ko) 2014-01-24 2015-09-1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케이스를 이용한 건강상태 측정 및 관리 장치와 그 방법
KR101801767B1 (ko) 2016-08-26 2017-12-20 주식회사 임팩시스 모바일전용 건강관리 지원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KR101891262B1 (ko) 2016-11-29 2018-08-24 박병섭 휴대용 개인건강 관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390A1 (ko) * 2020-05-06 2021-11-11 주식회사 슈파스 인공지능을 이용한 환자의 쇼크 발생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410650B1 (ko) * 2021-10-09 2022-06-17 전상현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57321B1 (ko) * 2022-04-07 2022-10-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도를 고려한 멀티채널에서의 ccr문서 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2457320B1 (ko) * 2022-04-07 2022-10-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도를 고려한 멀티채널에서의 ccr문서 브로드캐스팅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674B1 (ko) 2021-02-22
WO2020085576A1 (ko)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6920B2 (en) System for controlling medical devices
KR102218674B1 (ko)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EP1358745B1 (en) Medical device systems implemented network system for remote patient management
EP3255573A1 (en) Clinical decision supporting ensemble system and clinical decison support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70011195A1 (en) System And Method Of User Identity Validation in a Telemedicine System
Jeong et al. An integrated healthcare system for personalized chronic disease care in home–hospital environments
US20150213194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Multi-Format Data Aggregation
US20170161450A1 (en) Real-time veterinarian communication linkage for animal assessment and diagnosis
US201302041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s and data in a medical environment
US20120179478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al-Time and Individualized Prediction of Health and Economic Outcomes
CN107092799B (zh) 一种基于云计算的生命体征数据管理系统及方法
US202203387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n-face-to-face health status measurement through camera-based vital sign data extraction and electronic questionnaire
US11200967B1 (en) Medical patient synergistic treatment application
US20190148015A1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Ahmed et al. Intelligent healthcare services to support health monitoring of elderly
EP3619628A1 (en) Mobile interoperabl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exchange with biometrics data analytics
US201102763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rug prescription
KR20210135403A (ko) 인터넷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US82341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ronic illness care
Jalilian et al. Precision medicine in anesthesiology
US201803177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blood glucose monitoring and response
KR20220068858A (ko) 의료 ai 엔진을 활용한 건강검진 및 질병 예측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
KR20210135400A (ko) 건강 관리 상담 시스템
Indrakumari et al. IoT-Based Biomedical Sensors for Pervasive and Personalized Healthcare
US20220115099A1 (en)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