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109A -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109A
KR20220146109A KR1020210052977A KR20210052977A KR20220146109A KR 20220146109 A KR20220146109 A KR 20220146109A KR 1020210052977 A KR1020210052977 A KR 1020210052977A KR 20210052977 A KR20210052977 A KR 20210052977A KR 20220146109 A KR20220146109 A KR 20220146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light
unit
light
control uni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성
전광옥
김대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109A/ko
Priority to US17/532,782 priority patent/US11796780B2/en
Priority to CN202111459505.0A priority patent/CN115230577A/zh
Publication of KR20220146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109A/ko
Priority to US18/369,649 priority patent/US2024000417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38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38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mbient light
    • G02B19/0042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mbient light for use with direct sola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08Sun roof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02B17/0864Catadioptric systems having non-imaging properties
    • G02B17/0876Catadioptric systems having non-imaging properties for light collecting, e.g. for use with a detector
    • G02B17/088Catadioptric systems having non-imaging properties for light collecting, e.g. for use with a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receive light from a 360° plane or hemisphe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04N5/2351
    • H04N5/235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9/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combinations of electric and non-electric light sources; Replacing or exchanging electric light sources with non-electric light sources or vice versa
    • F21S19/005Combining sunlight and electric light sources for indoor illu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는 차량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자연광이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자연광 집광부, 자연광 집광부의 끝단과 연결되고, 자연광 집광부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자연광 전달부, 자연광 전달부와 연결되고, 자연광 전달부로 이동된 자연광이 방출되는 위치에 인공광 발생부가 형성되는 스마트램프부, 스마트램프부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스마트램프부를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스마트램프 구동부 및 자연광 집광부, 자연광 전달부, 스마트램프부 및 스마트 램프 구동부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라 자연광과 인공광을 조합하여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Structure and method for utilizing indoor natural light in moving space}
본 발명은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를 통해 미래 다목적 실내공간활용에 적절한 조명상태로 제어함과 동시에 자연광 집광부 및 자연광 전달부를 적용하여 자연광을 최대한 이용하고 자연광이 충분하지 못할 때에는 인공광을 보충하여 조명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실내에는 차량 실내를 밝힐 수 있도록 조명장치가 설치된다. 차량 실내 조명장치는 통상 전면 실내등, 중앙 실내등 및 독서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차량의 실내 조명으로는 단색광을 방출하는 형광등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차량 실내 조명장치의 조명에서 방출되는 빛은 인공의 단색광이므로 탑승자의 눈이 금방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 실내에서도 보다 인간중심적인 자연조명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명 환경을 설정하고, 이러한 조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밝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조명장치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밍 기능을 이용하여 조명의 밝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밝기만을 조절할 뿐 자연광의 변화를 연출할 수 없으며, 다양한 실내 상황에 맞추어 조명이 조절될 수 없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최근 들어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주행차량(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삶의 공간을 연장하는 미래 모빌리티로써 '목적 기반 모빌리티(Purpose Built Vehicle, 이하 PBV)가 떠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신발가게·옷가게로 구성된 PBV가 허브에 도킹되면 허브는 쇼핑센터가 된다. PBV의 목적에 따른 기능과 디자인 확장 가능성은 상당히 크다. PBV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도 아니고 개인승용차도 아닌 새로운 형태의 모빌리티이며, 어떤 목적의 PBV가 허브에 도킹되느냐에 따라 허브 자체의 목적도 달라지는 유연한(flexible) 공간으로 쓰게 된다.
이러한 자율주행차량 또는 PBV의 보다 높은 활용도를 위해 개인적 사용 또는 서비스 산업에 이용시 상황에 맞는 효율적인 조명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휴식이나 일상생활, 실내 식물재배와 같은 상황에는 자연광을 최대한 활용하고, 취침이나 영화감상, 분위기 전환을 위해서는 인공광을 활용하여 조명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EV의 경우 차량 전체 시스템의 전력 소비량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써, 자연광 조명과 인공광 조명을 복합적으로 운용하여 필요로 하는 조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저감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조명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광의 집광 정도를 확인하여 인공광의 출력을 조절하는 동시에 목표로 하는 조도를 구현하기 위해 실내 공간의 상황을 확인하고 제어 가능한 조명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1240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 요청신호에 적절한 조명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자연광 집광부 및 자연광 전달부를 적용하여 자연광을 최대한 이용하고 자연광이 충분하지 못할 때에는 인공광을 보충할 수 있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량의 루프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자연광이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자연광 집광부; 상기 자연광 집광부의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자연광 집광부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자연광 전달부; 상기 자연광 전달부와 연결되고, 상기 자연광 전달부로 이동된 자연광이 방출되는 위치에 인공광 발생부가 형성되는 스마트램프부; 상기 스마트램프부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스마트램프부를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스마트램프 구동부; 및 상기 자연광 집광부, 상기 자연광 전달부, 상기 스마트램프부 및 상기 스마트 램프 구동부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라 자연광과 인공광을 조합하여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연광 집광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자연광이 입사되어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제 1 거울; 상기 제 1 거울과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 1 거울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제 2 거울; 및 상기 제 1 거울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거울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투과되도록 구성되는 렌즈;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램프부는, 상기 자연광 전달부에서 방출되는 자연광을 둘러싸는 인공광 발생부가 형성되는 스마트 산광부; 상기 스마트 산광부의 외측면이 노출되도록 둘러싸는 제 1 램프하우징; 및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램프하우징을 이격하여 둘러싸는 제 2 램프하우징;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램프 구동부는 상기 제 2 램프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램프하우징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연광 집광부 및 상기 자연광 전달부는 상기 제어부에 자연광 집광량 및 자연광 전달량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실내 이미지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에 파악된 이미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산광부에서 조사되는 자연광과 인공광 발생부광의 조사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램프 구동부가 상기 제 1 램프하우징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마트 산광부에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 제어신호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산광부에 입력되는 자연광량을 측정하여 목표 조도값에 따라 인공광 발생부의 전력 공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현재 실내정보 확인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확인 가능한 경우, 제어부가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램프부의 위치값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현재 실내정보 확인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카메라부가 실내정보 감지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감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가 실내정보를 감지 가능하도록 상기 스마트램프부의 인공광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감지 가능한 경우, 제어부가 현재 실내정보를 분석, 사용자 요청신호를 수신 및 현재 실내정보에 최적화된 조명환경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현재 실내정보를 분석한 결과값과 상기 사용자 요청신호 및 상기 현재 실내정보에 최적화된 조명환경이 일치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램프부에 입력되는 자연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목표밝기 구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자연광량으로 목표밝기 구현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자연광과 인공광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램프부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램프부의 위치값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도록 스마트 구동부 이동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 요청신호에 적절한 조명 상태로 제어할 수 있어 자율 주행차량, PBV 차량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광 집광부 및 자연광 전달부를 적용하여 자연광을 최대한 이용하고 자연광이 충분하지 못할 때에는 인공광을 보충하여 조명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의 자연광 집광부, 자연광 전달부 및 스마트램프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의 자연광 집광부에서 자연광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의 스마트램프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의 현재 실내정보 확인 가능여부 판단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의 자연광 및 인공광 조사량 제어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의 스마트램프부 위치값 조정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또는 "하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 1, 제 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의 자연광 집광부, 자연광 전달부 및 스마트램프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는 자연광 집광부(100), 자연광 전달부(200), 스마트램프부(300), 스마트램프 구동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연광 집광부(100)는 차량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자연광 집광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 양단 양측면에 위치하여 자연광을 집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자연광 집광부(100)는 자연광에 노출되는 경우 자연광이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연광 집광부(100)는 자연광이 반사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자연광이 집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연광 집광부(100)는 제어부(5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자연광 집광부(100)는 제어부(500)에 자연광 집광량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연광은 실외에서 차량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일 수 있다.
자연광 전달부(200)는 자연광 집광부(100)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자연광 전달부(200)는 자연광 집광부(100)와 연결되고 차량의 루프 양단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자연광 전달부(200)는 자연광 집광부(100)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자연광 전달부(200)는 광섬유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자연광 전달부(200)는 플렉시블 파이프가 될 수 있으며, 집광된 자연광을 스마트램프부(300)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자연광 전달부(200)의 일단은 자연광 집광부(100)의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마트램프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자연광 전달부(200)는 자연광 집광부(100)가 있는 위치에서 채광이 필요한 공간까지 이어지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자연광 전달부(200)는 제어부(5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자연광 전달부(200)는 제어부(500)에 자연광 전달량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램프부(300)는 자연광 전달부(200)와 연결되어 차량의 루프에 위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마트램프부(300)는 차량의 루프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램프부(300)는 자연광 전달부(200)에 연결되어 자연광 전달부(200)에 의해 전달된 자연광을 조명할 수 있다. 스마트램프부(300)는 자연광이 자연광 전달부(200)와 연결된 부분에서부터 퍼져서 진행되고 산란된 빛이 외부로 보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램프부(300)는 차량 내부에 빛이 조사될 필요가 있는 방향 또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램프부(300)는 조도범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램프부(300)는 자연광 전달부(200)로 이동된 자연광이 방출되는 위치에 인공광 발생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마트램프부(300)는 자연광과 인공광이 조합되어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램프부(300)는 자연광만을 이용하거나, 자연광이 없는 경우 인공광만을 이용하여 조명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공광 발생부(340)는 스마트램프부(300)의 자연광이 방출되는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마트램프부(300)를 통해 조명되는 자연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인공광 발생부(340)를 통해 조명되는 인공광으로 조명을 보충하여 특정 공간에서 필요로 하는 조도를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공광 발생부(340)는 일 실시 예로, LED칩이 될 수 있다. 인공광 발생부(340)는 자연광이 조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인공광을 발산하도록 설치되어 인공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인공광 발생부(340)는 다양한 파장의 인공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인공광 발생부(340)가 LED칩인 경우 적색광원, 청색광원, 백색광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색광원의 LED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인공광 발생부(34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500)는 인공광 발생부(340)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 즉, 전압이나 전류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공광 발생부(340)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에 따라 인공광 발생부(340)의 조도가 변경될 수 있다.
스마트램프 구동부(400)는 스마트램프부(300)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마트램프 구동부(400)는 스마트램프부(300)와 연결되어 스마트램프부(300)를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램프 구동부(400)는 일 실시 예로, 무빙볼과 모터가 될 수 있다.
스마트램프 구동부(400)는 제어부(5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마트램프 구동부(400)는 제어부(500)로부터 연산 결과값을 입력받아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빛이 조사되도록 스마트램프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광 집광부(100), 자연광 전달부(200) 및 스마트램프부(300) 및 스마트램프 구동부(400)는 차량의 루프 판넬과 헤드라이닝 사이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램프부(300)는 헤드라이닝에 형성된 홀에 일단이 노출되어 빛을 조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자연광 집광부(100), 자연광 전달부(200) 및 스마트램프부(300) 및 스마트램프 구동부(400)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500)는 자연광 집광부(100)로부터 자연광 집광량 정보를 수신하고, 자연광 전달부(200)로부터 자연광 전달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차량 실내의 조도를 분석하고 광원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인공광 발생부(340)의 제어관련 연산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스마트 디밍 제어 연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휴대폰, 태블릿 pc등의 개인 디바이스 또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음성인식부와 연결되어 사용자 요청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라 자연광과 인공광을 조합하여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요청신호는 조명모드선택, 광량조절 또는 위치값 조정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개인 디바이스나 음성인식부에 실내 공간 현황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는,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카메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600)는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카메라부(600)는 실내 이미지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제어부(500)에 파악된 이미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카메라부(600)에 인식된 실내 사물의 종류와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카메라부(600)에 인식된 실내 사용자의 특징이나 활동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600)는 차량의 외부로서, 루프 일단에 위치하여 차량 내부 전체의 이미지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의 자연광 집광부(100)에서 자연광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연광 집광부(100)는 제 1 거울(110), 제 2 거울(120) 및 렌즈(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에서 입사되는 자연광은 제 1 거울(110), 제 2 거울(120) 및 렌즈(130)로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 1 거울(110), 제 2 거울(120) 및 렌즈(130)는 비구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거울(110)은 반원 형상으로서 비구면 거울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거울(110)은 내측면에 자연광이 입사되어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거울(110)은 입사된 자연광이 반사되어 제 2 거울(120)에 집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거울(120)은 제 1 거울(110)과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2 거울(120)은 제 1 거울(110)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거울(120)은 제 1 거울(110)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거울(120)은 제 1 거울(110)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다시 렌즈(130)로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거울(110) 및 제 2 거울(120)은 자연광이 입사되어 투과되지 않고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130)는 제 1 거울(11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렌즈(130)는 제 1 거울(110)의 중심부에 제 2 거울(1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렌즈(130)는 제 2 거울(120)과 이격하여 제 2 거울(120)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모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130)는 자연광이 투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렌즈(130)는 제 2 거울(120)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투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130)는 볼록렌즈로 형성되어 자연광이 굴절되어 모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130)의 하단에는 자연광 전달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130)에 굴절된 자연광은 자연광 전달부(20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의 스마트램프부(30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램프부(300)는 스마트 산광부(310), 제 1 램프하우징(320) 및 제 2 램프하우징(3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마트 산광부(310)는 자연광 또는 인공광이 방출되고, 제 1 램프하우징(320) 및 제 2 램프하우징(330)은 스마트램프 구동부(400)와 연결되어 조명 위치값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산광부(310)에는 자연광 전달부(200)에서 방출되는 자연광을 둘러싸는 인공광 발생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자연광 전달부(200)로부터 전달된 자연광은 스마트 산광부(310)의 중앙부으로 이동하여 발산되고, 인공광 발생부(340)는 자연광 전달부(200)의 끝단을 둘러싸고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 산광부(310) 내에서 인공광은 자연광을 둘러싸고 발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산광부(310)는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은 인공광 발생부(340)와 이격되어 인공광이 발산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광판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유리나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산광부(310)의 도광판은 자연광 또는 인공광이 조명될 때 산란효과를 높여 광이 골고루 조명되도록 하기 위해 표면에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 표면에 형성되는 패턴은 격자무늬 패턴, 엠보싱무늬 패턴, 점무늬 패턴, 빗살무늬 패턴 등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스마트 산광부(310)에서 조사되는 자연광과 인공광 발생부(340)광의 조사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500)는 사용자 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스마트 산광부(310)에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 제어신호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스마트 산광부(310)에 입력되는 자연광량을 측정하여 목표 조도값에 따라 인공광 발생부(340)의 전력 공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500)는 자연광 전달부(200)에서 전달된 자연광량이 사용자 요청신호값을 충족시키는 경우 스마트 산광부(310)에서 자연광만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500)는 자연광 전달부(200)에서 전달된 자연광량이 사용자 요청신호값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스마트 산광부(310)에서 자연광과 함께 인공광이 조합되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램프하우징(320)은 스마트 산광부(310)를 둘러싸고 스마트 산광부(310)의 외측면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램프하우징(320)은 스마트 산광부(310)의 도광판이 노출되도록 원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램프하우징(330)은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2 램프하우징(330)은 차량 루프의 헤드라이닝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 2 램프하우징(330)은 제 1 램프하우징(320)과 대응하는 원형 형상으로 제 1 램프하우징(320)을 이격하여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램프 구동부(400)는 제 2 램프하우징(330)을 기준으로 제 1 램프하우징(320)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 1 램프하우징(320)과 제 2 램프하우징(330)의 이격 공간에 무빙볼이 형성되어 모터를 통해 제 1 램프하우징(320)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스마트램프 구동부(400)가 제 1 램프하우징(320)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500)는 사용자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도록 제 1 램프하우징(3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의 현재 실내정보 확인 가능여부 판단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은, 현재 실내정보 확인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확인 가능한 경우 제어부(500)가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500)가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제어부(500)가 스마트램프부(300)의 위치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실내정보 확인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카메라부(600)가 실내정보 감지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감지 불가능한 경우 카메라부(600)가 실내정보를 감지 가능하도록 스마트램프부(300)의 인공광 발생부(340)를 작동시키는 단계, 만일 감지 가능한 경우 제어부(500)가 현재 실내정보를 분석, 사용자 요청신호를 수신 및 현재 실내정보에 최적화된 조명환경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600)가 실내정보 감지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실내 밝기가 사물 또는 사용자의 종류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인지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만일 감지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500)는 실내정보를 감지 가능한 정도로 스마트램프부(300)의 인공광 발생부(3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만일 카메라부(600)가 실내정보 감지 가능한 상태인 경우, 제어부(500)는 카메라부(600)에 감지된 현재 실내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현재 실내 정보는 현재 차량의 실내 이용자나 사물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 제어부(500)는 사용자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사용자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차량에 설치된 음성인식부를 통해 사용자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500)는 현재 실내정보에 최적화된 조명환경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현재 차량의 GPS나 시간 정보에 최적화된 추천 조명환경을 분석할 수 있다.
현재 실내정보 확인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확인 가능한 경우, 제어부(500)가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500)가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어부(500)가 현재 실내정보를 분석한 결과값과 사용자 요청신호 및 현재 실내정보에 최적화된 조명환경이 일치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 요청신호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요청신호일 수 있고, 차량 내부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요청신호는 조명모드, 조명위치, 조명 범위, 조명량 관련 신호일 수 있다.
현재 실내정보에 최적화된 조명환경은 제어부(500)가 현재 차량의 위치값, 시간 정보에 따른 최적화된 추천 조명환경을 분석한 결과값일 수 있다.
제어부(500)가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일치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현재상태의 자연광량과 인공광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의 자연광 및 인공광 조사량 제어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500)가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일치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500)가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가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부(500)는 스마트램프부(300)에 입력되는 자연광량을 측정하여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목표밝기 구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측정된 자연광량으로 목표밝기 구현이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500)는 자연광과 인공광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스마트램프부(300)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가 스마트램프부(300)에 입력되는 자연광량을 측정하여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목표밝기 구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제어부(500)는 자연광 전달부(200)에서 전달된 자연광량이 목표밝기 구현에 충분한 경우 자연광만을 이용하여 조사되도록 연산할 수 있다. 만일 측정된 자연광량이 목표밝기 구현에 불충분한 경우, 제어부(500)는 목표밝기 구현에 자연광과 인공광을 더하여 조사되도록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연산 결과값에 따라 인공광 발생부(34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연광과 인공광을 조합하여 조사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스마트램프부(300)는 제어부(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램프부(300)는 자연광 전달부(200)로부터 유입되는 자연광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램프부(300)는 인공광 발생부(340)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의 스마트램프부(300) 위치값 조정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500)가 스마트램프부(300)의 위치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제어부(500)가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500)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도록 스마트 구동부 이동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가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카메라부(600)를 통해 감지되는 조명의 조사위치 또는 제 1 램프하우징(320)의 회전량 인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500)가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500)는 목표로 하는 위치를 구현하기 위해 제 1 램프하우징(320)의 이동량을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 1 램프하우징(320)의 이동 연산의 결과값을 스마트램프 구동부(4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스마트래프 구동부에 이동 연산 결과에 따르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제어부(500)를 통해 미래 다목적 실내공간활용에 적절한 조명상태로 제어함과 동시에 자연광 집광부(100) 및 자연광 전달부(200)를 적용하여 자연광을 최대한 이용하고 자연광이 충분하지 못할 때에는 인공광을 보충하여 조명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연광 집광부
110: 제 1 거울
120: 제 2 거울
130: 렌즈
200: 자연광 전달부
300: 스마트램프부
310: 스마트 산광부
320: 제 1 램프하우징
330: 제 2 램프하우징
340: 인공광 발생부
400: 스마트램프 구동부
500: 제어부
600: 카메라부

Claims (15)

  1. 차량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자연광이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자연광 집광부;
    상기 자연광 집광부의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자연광 집광부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자연광 전달부;
    상기 자연광 전달부와 연결되고, 상기 자연광 전달부로 이동된 자연광이 방출되는 위치에 인공광 발생부가 형성되는 스마트램프부;
    상기 스마트램프부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스마트램프부를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스마트램프 구동부; 및
    상기 자연광 집광부, 상기 자연광 전달부, 상기 스마트램프부 및 상기 스마트 램프 구동부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라 자연광과 인공광을 조합하여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광 집광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자연광이 입사되어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제 1 거울;
    상기 제 1 거울과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 1 거울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제 2 거울; 및
    상기 제 1 거울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거울에서 반사된 자연광이 투과되도록 구성되는 렌즈;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램프부는,
    상기 자연광 전달부에서 방출되는 자연광을 둘러싸는 인공광 발생부가 형성되는 스마트 산광부;
    상기 스마트 산광부의 외측면이 노출되도록 둘러싸는 제 1 램프하우징; 및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램프하우징을 이격하여 둘러싸는 제 2 램프하우징;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램프 구동부는 상기 제 2 램프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램프하우징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광 집광부 및 상기 자연광 전달부는
    상기 제어부에 자연광 집광량 및 자연광 전달량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실내 이미지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에 파악된 이미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산광부에서 조사되는 자연광과 인공광 발생부광의 조사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램프 구동부가 상기 제 1 램프하우징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마트 산광부에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 제어신호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산광부에 입력되는 자연광량을 측정하여 목표 조도값에 따라 인공광 발생부의 전력 공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11. 현재 실내정보 확인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확인 가능한 경우, 제어부가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램프부의 위치값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내정보 확인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카메라부가 실내정보 감지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감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가 실내정보를 감지 가능하도록 상기 스마트램프부의 인공광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감지 가능한 경우, 제어부가 현재 실내정보를 분석, 사용자 요청신호를 수신 및 현재 실내정보에 최적화된 조명환경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현재 실내정보와 사용자 요청신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현재 실내정보를 분석한 결과값과 상기 사용자 요청신호 및 상기 현재 실내정보에 최적화된 조명환경이 일치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램프부에 입력되는 자연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목표밝기 구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자연광량으로 목표밝기 구현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자연광과 인공광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램프부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사량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램프부의 위치값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른 위치값에 조명이 조사되도록 스마트 구동부 이동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방법.

KR1020210052977A 2021-04-23 2021-04-23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 KR20220146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977A KR20220146109A (ko) 2021-04-23 2021-04-23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
US17/532,782 US11796780B2 (en) 2021-04-23 2021-11-22 Structure and method for utilizing natural light in an interior of a moving space
CN202111459505.0A CN115230577A (zh) 2021-04-23 2021-12-02 在移动空间内部利用自然光的结构和方法
US18/369,649 US20240004174A1 (en) 2021-04-23 2023-09-18 Structure and method for utilizing natural light in an interior of a moving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977A KR20220146109A (ko) 2021-04-23 2021-04-23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109A true KR20220146109A (ko) 2022-11-01

Family

ID=8366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977A KR20220146109A (ko) 2021-04-23 2021-04-23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796780B2 (ko)
KR (1) KR20220146109A (ko)
CN (1) CN1152305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007A (ko) 2019-04-23 2020-11-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실내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3591B2 (ja) * 2003-10-22 2008-10-08 矢崎総業株式会社 室内照明灯
US7744259B2 (en) * 2006-09-30 2010-06-29 Ruud Lighting, Inc. Directionally-adjustable LED spotlight
US10030833B2 (en) * 2011-06-03 2018-07-24 Osram Sylvania Inc. Multimode color tunable light source and daylighting system
DE102013013106B4 (de) * 2013-08-06 2023-01-05 Diehl Aerospace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und Fahr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007A (ko) 2019-04-23 2020-11-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실내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96780B2 (en) 2023-10-24
US20220342192A1 (en) 2022-10-27
CN115230577A (zh) 2022-10-25
US20240004174A1 (en)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2483B2 (en) Brightness controlled light source
JP5745644B2 (ja) 周辺光スペクトルを取得して発光を変更するための光電子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87183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채광 장치 및 그 채광 방법
JP2011165577A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US10788186B2 (en) Illumination with blue UV light source and visible light source
US9668319B2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357366B1 (ja) 照明システム、及び補助装置
JP2011244141A (ja) 可視光通信led照明システム
KR101225745B1 (ko) 감성조명 시스템
CN205754956U (zh) 一种水下光谱可调照明装置
KR20220146109A (ko) 이동공간 실내 자연광 활용 구조 및 그 방법
CN106793291B (zh) 一种基于区域定位功能的分区矩阵照明系统及方法
KR101175923B1 (ko) 태양광 및 led 복합 조명 시스템과 그의 운용 방법
CN101674690A (zh) 可节省电能消耗的照明系统及其相关方法
CN106291947A (zh) 一种观片照明设备
JP2015087200A (ja) 照度検出器および照度検出器を備えたタスク照明装置
CN106339697A (zh) 一种设有指纹识别触控面板的开关
JP6093330B2 (ja) Led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情報通信システム
US20230058817A1 (en) Structure for utilizing indoor natural light in moving space and method therefore
NL1039900C2 (nl) Verlichtingsmodule voor een straatmeubel.
JP2019075331A (ja) 照明装置
TW200909722A (en) Hybrid lighting source
KR20110089681A (ko) 태양광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224795A (zh) 一种照明设备
CN106151951A (zh) 护眼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