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641A - 벽면 부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면 부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641A
KR20220145641A KR1020210052461A KR20210052461A KR20220145641A KR 20220145641 A KR20220145641 A KR 20220145641A KR 1020210052461 A KR1020210052461 A KR 1020210052461A KR 20210052461 A KR20210052461 A KR 20210052461A KR 20220145641 A KR20220145641 A KR 20220145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unit
attachment
photocatalyst
attach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소메이
겐지 하타자와
도요히로 하라조노
히로히코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칼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칼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005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5641A/ko
Publication of KR2022014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alys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과제]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광촉매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대상물(100)과, 대상물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유닛(260)을 구비하는 벽면 부착 시스템(1)이 제공된다. 대상물은, 그 배면에 부착되는 금속(208)을 포함한다. 부착용 유닛은, 그 정면에 부착되는 자석(267)을 포함한다. 대상물을 부착용 유닛에 부착하는 위치에 맞추었을 때에, 금속과 자석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벽면 부착 시스템{WALL MOUNTING SYSTEM}
본 발명은, 탈취 장치 등의 대상물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전으로부터, 공기의 탈취나 제균을 행하기 위한 광촉매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14-219130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광촉매를 이용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4-219130호 공보(특허 문헌 1)에 의하면, 냉기 통로를 구성하는 배면 패널의 저장실측에 광촉매가 노출되도록 광촉매를 담지한 촉매 기대(基台)를 부착하고, 촉매 기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냉기 통로를 구성하는 내상(內箱) 내면에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했다. 배면 패널의 일부에 촉매 기대를 설치하고, 내상에 설치한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광촉매를 여기하도록 했으므로, 촉매 기대의 크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충분한 촉매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적이 큰 저장실의 악취 성분을 효과적으로 탈취하거나, 제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는, 광촉매의 촉매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저장실의 산소 농도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야채류의 호흡 작용을 억제하여 야채류를 신선한 상태로 길게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도 나타나게 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4-219130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탈취 장치 등의 대상물을 벽면에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대상물과, 대상물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유닛을 구비하는 벽면 부착 시스템이 제공된다. 대상물은, 그 배면에 부착되는 금속을 포함한다. 부착용 유닛은, 그 정면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한다. 대상물을 부착용 유닛에 부착하는 위치에 맞추었을 때에, 금속과 자석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탈취 장치 등의 대상물을 벽면에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한 기술이 제공된다.
도 1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즉 도 1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의 내측, 즉 정면 패널이나 하우징의 전부(前部)나 LED 라이트를 떼어낸 상태의 광촉매 장치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의 내측, 즉 하우징의 후부(後部)나 광촉매 유닛을 떼어낸 상태의 광촉매 장치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하우징으로부터 광촉매 유닛을 조금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하우징으로부터 광촉매 유닛을 조금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하우징으로부터 광촉매 유닛을 완전히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하우징으로부터 광촉매 유닛을 완전히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하우징으로부터 광촉매 유닛을 완전히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유닛의 측면 단면도, 즉 도 10의 B-B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유닛의 평면 단면도, 즉 도 10의 C-C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에 부착한 상태의 광촉매 장치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면 패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에 부착한 상태의 광촉매 장치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에 부착한 상태의 광촉매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9는,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에 부착한 상태의 광촉매 장치의 측면 단면도, 즉 도 18의 D-D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에 부착한 상태의 광촉매 장치의 평면 단면도, 즉 도 18의 E-E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의 측면 단면도, 즉 도 23에 있어서의 F-F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7은,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의 측면 단면도, 즉 도 26에 있어서의 G-G 단면도이다.
도 28은, 제4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를 부착용 유닛에 부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광촉매 장치와 부착용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5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자석(267)의 슬라이드 구성의 이미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그들의 명칭 및 기능도 같다. 따라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 이하에서는, 광촉매 장치(100)의 설명에 있어서도, 광촉매 장치(100)에 포함되는 광촉매 유닛(110) 등의 설명에 있어서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촉매 장치(100)가 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방향, 즉 전방·후방·좌방·우방·상방·하방 등을 이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제1의 실시의 형태]
<광촉매 장치(100)의 외부 구성>
우선,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100)의 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고,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100)는, 벽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촉매 장치(100) 및 하우징(101)은, 전후 방향으로 박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촉매 장치(100) 및 하우징(101)은,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정사각형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1)의 하부에는 흡입구(102)가 형성된다. 하우징(101)의 상부에는 취출구(103)가 형성된다. 하우징(101)의 정면에는, 정면 패널(109)이 부착된다.
하우징(101)의 배면에는, 오목부(106)가 형성된다. 오목부(106)의 상단의 좌단과 우단에는, 후술하는 부착용 유닛에 걸기 위한 부착편(108, 108)이 형성된다. 부착편(108, 108)과 오목부(106) 상단에 의해, 부착용 유닛에 걸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1)의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부착용 유닛의 하부의 부착 리브가 나사 고정되기 위한 나사 구멍(107, 107)이 형성된다.
<광촉매 장치(100)의 내부 구성>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도 5를 참조하고,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100)는, 주된 구성 부품으로서, 광촉매 유닛(110)과, 팬(120)과, LED 라이트(140)를 포함하고, 그들이 하우징(101)에 내포되어 있다.
팬(120)은, 하우징(101)의 하부의 흡입구(102)의 근방에 배치된다. 팬(120)과 흡입구(102) 사이에는, 필터(129)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에 의해, 팬(120)에 먼지 등이 빨려 들어갈 가능성을 저감하고 있다.
팬(120)은, 필터(129)를 통해, 전하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후상방으로부터 분출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필터(129)의 후상방에는, 차광판(1021)이 설치된다. 이에 의해, 팬(120)으로부터의 공기를 원활하게 광촉매 시트(112)에 보내면서, LED 라이트(140)로부터의 광이 흡입구(102)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팬(120)은, 크로스 플로 팬이며, 모터(121)와 회전축(122)과 복수의 날개(123, 123…)를 구비한다.
팬(120)의 상방, 환언하면, 하우징(101)의 상하 대략 중앙 부분에는, 광촉매 유닛(110)과, LED 라이트(14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팬(120)으로부터 보내지는 공기는, 광촉매 유닛(110)과 LED 라이트(140) 사이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흘러 간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촉매 유닛(110)은, 케이스(111)와, 광촉매 시트(112)와, 복수의 세로 프레임(113, 113…)과, 가로 프레임(114, 114…)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촉매 시트(112)는, 표면에 흡착한 공기 중의 산소와 수분을 광반응에 의해 분해하고, 반응성이 높은 수퍼옥사이드아니온(O2-)과 OH라디칼(·OH)을 생성한다. 그리고, 수퍼옥사이드아니온(O2-)과 OH라디칼(·OH)은, 악취 성분을 분해하거나, 잡균을 제거하거나, 에틸렌 가스를 분해하여 식품 등의 선도 저하를 억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시트(112)로서는, 예로서, 산화아연(ZnO), 황화카드뮴(CdS), 삼산화텅스텐(WO3), 이산화티타늄(TiO2)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도 6~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촉매 유닛(110)은, 왼쪽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하우징(101)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11)는, 좌측을 구성하는 좌측 프레임(111A)과, 배면 전체를 구성하는 배면 프레임(111B)과, 우측을 구성하는 우측 프레임(111C)으로 구성된다. 좌측 프레임(111A)에, 손잡이부(111D)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당해 손잡이부(111D)를 잡아 광촉매 유닛(110)을 하우징(101)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광촉매 유닛(110)의 광촉매 시트(11)의 표면을 물로 세정할 수 있다.
또, 케이스(111)는, 하우징(101)의 가장 안쪽까지 끼워 넣으면, 그 위치에서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고정이란, 사용자가, 손잡이부(111D)를 잡아 광촉매 유닛(110)을 하우징(101)으로부터 빼낼 때에 저항이 발생하는 정도의 것이며, 힘이 약한 사용자이어도 꺼낼 수 있는 것이다. 즉, 광촉매 유닛(110)을 하우징(101)으로부터 빼낼 때에 강한 힘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특히,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유닛(110)에 관해서는, 광촉매 시트(112)의 표면측에 세로 프레임(113, 113…)이나 가로 프레임(114, 11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광촉매 유닛(110)을 세정할 때에, 광촉매 시트(112)에 닿아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유닛(110)에 관해서는, 광촉매 시트(112)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세로 프레임(113, 113…)이나 가로 프레임(114, 11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광촉매 시트(112)에 닿아 버릴 우려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로 프레임(113, 113…)의 각각은, 케이스(111)의 하부 및 상부로부터 상승하는 상승부(113A)와, 광촉매 유닛(110)의 상하 중앙부를 향하여 꺾이는 꺾임부(113B)와, 광촉매 시트(112)와 평행하게 마주보는 중앙부(113C)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로 프레임(114, 114…)의 각각은, 광촉매 시트(11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광촉매 시트(112)와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세로 프레임(113, 113…)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광촉매 유닛(110)이 하우징(101)에 내포된 상태에 있어서, 팬(120)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과 평행한 세로 프레임(113, 113…)의 개수보다, 팬(120)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과 직각인 가로 프레임(114, 114…)의 개수가 적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팬(120)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의 저항을 줄이면서, 광촉매 시트(112)를 보호할 수 있다.
도 3~도 5로 돌아와, LED 라이트(140)는, 광촉매 유닛(110)의 광촉매 시트(112)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기판(141)과, 기판(141)의 표면에 분산하여 배치된 복수의 라이트 본체(142, 142…)를 포함한다.
광촉매 유닛(110)과 LED 라이트(140)의 상방에는, 하우징(101)의 취출구(103)가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취출구(103)에는, 복수의 차광판(1031, 1031…)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광판(1031)은, 측면 단면에서 봤을 때, 「く」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LED 라이트(140)로부터의 직접광이나 반사에 의한 미광(迷光)이 취출구(103)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광촉매 장치(100)의 기능 구성>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100)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촉매 장치(100)는, 주로, 하우징(101)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제어부(130)와, 하우징(101)의 어느 하나의 외벽에 배치되는 조작부(170)와, 접촉 센서(171)와, LED 라이트(140)와, 팬(120)과, 전력부(150)를 포함한다. 전력부(15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취득하기 위한 커넥터나 어댑터이어도 되고, 하우징(101)에 수용되는 배터리이어도 된다.
제어부(130)는, 조작부(170)를 통해 전원이 ON되면, 전력부(150)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팬(120)을 구동함과 더불어, LED 라이트(140)를 점등시킨다. 이에 의해, 팬(120)에 의해 흡입구(102)로부터 빨려 들어간 공기가, 광촉매 유닛(110)에서 제균 및 탈취되어, 제균 및 탈취 후의 공기가 취출구(103)로부터 분출된다.
특히,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하우징(101) 내부의, 광촉매 유닛(110)이 하우징(101)의 가장 오른쪽 안쪽까지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광촉매 유닛(110)의 우단 근방에, 접촉 센서(171)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촉매 유닛(110)이 하우징(101)의 가장 오른쪽 안쪽까지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접촉 센서(171)가 ON된다. 제어부(130)는, 접촉 센서(171)가 ON되어 있을 때만, 팬(120)을 구동함과 더불어, LED 라이트(140)를 점등시킨다. 반대로 말하면, 제어부(130)는, 접촉 센서(171)가 OFF되어 있을 때, 또는 광촉매 유닛(110)이 하우징(101)으로부터 떼어내져 있을 때는, 팬(120)을 구동하지 않고, LED 라이트(140)도 점등시키지 않는다. 이에 의해, 광촉매 유닛(110)이 하우징(101)으로부터 떼어내졌을 때에, 광촉매 유닛(110)의 구멍(105)으로부터 LED 라이트(140)의 광이 누설되거나, 광촉매 유닛(110)의 구멍(105)으로부터 공기가 분출하거나 해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촉매 장치(100)의 벽면 등으로의 부착 구성>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100)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부착용 유닛(160)을 통해, 벽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을 위해, 벽면에 부착하는 대상물로서, 광촉매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하고 있는데, 그러한 탈취 장치에 한정하지 않으며, 그 외의 장치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리고, 탈취 장치와, 부착용 유닛을 아울러, 탈취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160)은, 철 등의 견고한 판금(161)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금(161)의 우상부와 좌상부와 우하부와 좌하부에는 구멍(163, 163, 163, 163)이 형성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당해 구멍(163, 163, 163, 163)의 각각에 석고못(165, 165, 165, 165)을 박음으로써, 부착용 유닛(160)을 벽 등에 고정 설치한다.
부착용 유닛(160)의 판금(161)에 관해서는, 좌우 대략 중앙부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으로부터 보아 I자형의 볼록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으로부터 보아 I자형의 오목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착용 유닛(160)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그리고, 도 14 및 15를 참조하고, 오목부(162)의 좌우 상하 대략 중앙부에, 수준기(169)가 부착된다. 오목부(162) 내에 수준기(169)가 배치되기 때문에, 부착용 유닛(160)의 정면에 광촉매 장치(100)의 하우징(101)이 부착되어도, 수준기(169)와 하우징(101)의 배면이 부딪히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도 15를 참조하고, 오목부(162) 내에 볼록부(168)가 형성되고, 당해 볼록부(168)에 수준기(169)가 매입(埋入)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강도를 높이면서, 수준기(169)가 하우징(101)의 배면의 오목부(106)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160)은,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촉매 장치(100)를 벽에 부착할 때에, 이하와 같이 작업한다.
우선, 사용자는, 부착용 유닛(160)을, 광촉매 장치(100)를 설치하고 싶은 벽면에 배치한다. 사용자는, 수준기(169)를 보면서, 부착용 유닛(160)의 자세를 수평으로 맞춘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석고못(165, 165, 165, 165)을 구멍(163, 163, 163, 163)에 박는다. 이에 의해, 부착용 유닛(160)이 벽면에 고정된다.
다음에, 하우징(101)의 배면의 부착편(108, 108) 즉 오목부를, 부착용 유닛(160)의 상단의 좌단과 우단의 볼록 형상(164, 164)에 거는 것에 의해, 광촉매 장치(100)를 벽에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용 유닛(160)의 정면의 하단부의 좌단과 우단에는 부착 리브(167, 167)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부착 리브(167, 167)와 하우징(101)의 배면의 하단부의 나사 구멍(107, 107)을 나사 등에 의해 고정한다. 이에 의해, 광촉매 장치(100)가, 보다 강고하게 고정되게 되어, 충격에 의한 탈락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벽으로부터 떼어내져 도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광촉매 장치(100)는, 정면에서 봤을 때, 정면 패널(109)이 하우징(101)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정면 패널(109)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하우징(101)의 배면의 오목부(106)의 상단의 좌우 양단을 부착용 유닛(160)의 상단의 좌우 상단에 걸고 나서, 부착 리브(167, 167)에 나사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정면 패널(109)을 하우징(101)의 정면에 부착한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하우징(101)을 부착용 유닛(16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 패널(109)의 배면의 상부의 부착편(109A, 109A)을 하우징(101)에 상단에 걸거나, 정면 패널(109)의 배면의 하부의 부착편(109B, 109B)을 하우징(101)에 하부에 끼워 넣거나 함으로써, 정면 패널(109)을 하우징(101)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유닛(160)은 전부가 판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수지와 부분적인 판금의 조합으로 구성해도 된다.
[제2의 실시의 형태]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광촉매 유닛(110)이 세로 프레임(113, 113…)과 가로 프레임(114, 114…)을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세로 프레임(113, 113…)만에 의해 광촉매 시트(112)를 보호함으로써, 즉 가로 프레임(114, 114…)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팬(120)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의 저항을 더욱 줄이면서, 광촉매 시트(112)의 표면을 보호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제3의 실시의 형태]
또,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차광판(1031)이, 측면 단면에서 봤을 때 「く」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었는데, LED 라이트(140)의 광을 취출구(103)로부터 누설되지 않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차광판(1031)은, 「く」자형에 한정하지 않으며, 측면에서 봤을 때 원호 형상이거나 직선이거나 해도 된다.
또, 차광판(1031, 1031, 1031)은, 3개에 한정하지 않으며, 1개나 2개이어도 되고, 4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차광판(1021)을 설치하는 대신에, 팬(120)의 날개의 수나 배치나 형상을 조정하여, LED 라이트(140)의 광이 흡입구(102)로부터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동일하게, 차광판(1031, 1031, 1031)을 설치하는 대신에, 취출구(103)에도 팬을 배치하거나, 당해 팬의 날개의 수나 배치나 형상을 조정하여, LED 라이트(140)의 광이 취출구(103)로부터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하거나 해도 된다.
또, 취출구(103)는 거무스름한 재료를 사용하거나 거무스름한 색으로 도장하거나 함으로써, 광의 반사가 억제되어 보다 반사광이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제4의 실시의 형태]
또, 광촉매 장치(100)의 벽면으로의 부착 구성도 상기의 실시의 형태의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100)는, 벽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얇고, 벽면과 평행한 방향, 즉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촉매 장치(100)를 부착용 유닛에 부착할 때에, 광촉매 장치(100)의 이면이 보이기 어렵다. 예를 들면, 광촉매 장치(100)는, 벽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0~20cm 정도로 구성되고, 수평 방향으로는 30cm~100cm 정도로 구성되며, 수직 방향으로는 30cm~100cm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광촉매 장치(100) 및 부착용 유닛(260)에 관해서는, 광촉매 장치(100)를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탑재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사용자는, 부착용 유닛(260)을 벽면에 부착하고 나서, 광촉매 장치(100)를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하는 것이다.
광촉매 장치(100)와 부착용 유닛(260)을 아울러, 벽면 부착 시스템(1)이라고도 한다.
도 17~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260)은, 전체적으로 수지제의 플레이트(261)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보강용 리브(26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부착용 유닛(260)의 상단부에 광촉매 장치(100)의 이면의 부착편(108, 108)이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용 유닛(260)의 상부에는, 보강용 금속 플레이트(263)가 부착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260)에 관해서는, 그 상부에 수준기(269)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부착용 유닛(260)의 정면측의 상부에는, 자석(267)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광촉매 장치(100)의 이면의,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당해 자석(267)에 대향하는 위치에, 금속판(208)이 부착된다. 금속판(208)은, 일단이, 부착 부재(207, 207)에 의해 광촉매 장치(100)의 이면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기 위한 올바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당해 자석(267)의 자력에 의해 금속판(208)이 자석(267)의 방향, 즉 후방으로 휘어져, 자석(267)에 접촉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자석(267)의 강도와 크기와, 금속판(208)의 두께나 부착 부재로부터의 길이 등을 조절함으로써,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기 위한 올바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당해 자석(267)의 자력에 의해 금속판(208)이 자석(267)에 부딪혀, 사용자에게 들리는 레벨의 소리를 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판(208)의 두께는 1mm 정도가 바람직하고, 금속판의 길이는, 광촉매 장치(100)의 좌우 방향으로 5~1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우선 부착용 유닛(260)의 상부의 우측과 좌측과 하부의 우측과 좌측을, 나사(265, 265, 265, 265)에 의해 벽면에 고정한다.
다음에,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광촉매 장치(100)를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부착용 유닛(260)의 정면에 접근해 간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광촉매 장치(100)의 하부보다 상부가 부착용 유닛(260)에 가까워진 상태에서, 기울이면서, 광촉매 장치(100)의 부착편(108, 108)이 부착용 유닛(260)의 부착부(264, 264)에 걸리도록, 광촉매 장치(100)의 위치나 자세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기 위한 올바른 위치로 이동하면, 당해 자석(267)의 자력에 의해 금속판(208)이 자석(267)에 이끌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광촉매 장치(100)를 부착용 유닛(260)에 대해 올바른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또,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기 위한 올바른 위치로 이동하면, 당해 자석(267)의 자력에 의해 금속판(208)이 자석(267)을 향하여 이동해 부딪혀 소리를 내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대해 올바른 위치에 도달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장치(100)의 부착편(108, 108)이, 완전하게, 부착용 유닛(260)의 부착부(264, 264)에 걸렸을 때에, 자석(267)의 자력에 의해 금속판(208)이 자석(267)에 부딪혀 소리를 내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광촉매 장치(100)의 부착편(108, 108)의 일부만이, 부착용 유닛(260)의 부착부(264, 264)의 일부에 걸렸을 때에, 자석(267)의 자력에 의해 금속판(208)이 자석(267)에 부딪혀 소리를 내는 구성으로 해도 되며, 광촉매 장치(100)의 부착편(108, 108)이, 부착용 유닛(260)의 부착부(264, 264)의 바로 위쪽에 위치했을 때에, 자석(267)의 자력에 의해 금속판(208)이 자석(267)에 부딪혀 소리를 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5의 실시의 형태]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광촉매 장치(100)의 이면에, 탄성을 갖는 금속판(208)이 부착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기 위한 올바른 위치로 이동하기 쉽게 하기 위한 구성이나,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기 위한 올바른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소리를 낸다는 구성은, 이러한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촉매 장치(100)의 이면의 상부에, 금속판(208)을 대신하여, 자석이 부착되어도 된다.
그리고, 부착용 유닛(260)의 정면의,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당해 자석에 대향하는 위치에, 금속판이 부착되어도 된다. 금속판은, 일단이, 부착 부재에 의해 부착용 유닛(260)의 정면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기 위한 올바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당해 자석의 자력에 의해 금속판이 자석의 방향, 즉 전방으로 휘어져, 자석에 접촉하거나, 접촉음을 내거나 한다.
혹은, 부착용 유닛(260)의 정면과 광촉매 장치(100)의 이면 양쪽 모두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자석이 부착되어도 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자석, 또는, 양쪽 모두의 자석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기 위한 올바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당해 자석의 자력에 의해 자석끼리가 이동하여 접촉하거나, 접촉음을 내거나 한다.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석(273)이, 슬라이드 부재(272)를 통해 부착용 유닛(260)이나 광촉매 장치(100)의 배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광촉매 장치(100)의 배면이나, 부착용 유닛(260)의 정면에 있어서의 자석(273)에 대항하는 위치에 금속 부재가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272)는, 스프링(271) 등에 의해 금속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기 위한 올바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당해 자석(273)의 자력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272)가 금속 부재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자석이 금속에 접촉하거나, 접촉음을 내거나 한다.
당연하게, 금속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거나, 금속판과 자석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거나 해도 되고, 자석끼리가 슬라이드하거나 해도 된다.
혹은, 광촉매 장치(100)가, 부착용 유닛(260)에 부착되기 위한 올바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자석이 회전하거나, 금속 부재가 회전하거나 하여, 금속 부재와 자석이나 자석끼리가 접촉하거나, 접촉음을 내거나 해도 된다.
[정리]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광촉매를 포함하는 광촉매 유닛과, 광촉매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라이트와, 광촉매의 표면에 공기를 흐르게 하기 위한 팬을 구비하는 광촉매 장치가 제공된다. 광촉매 유닛이 하우징으로부터 떼어냄 가능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촉매 유닛은, 광촉매와 평행한 방향이며, 팬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과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하우징으로부터 떼어냄 가능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촉매 유닛은, 광촉매의 표면측에, 광촉매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부재는, 팬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과 평행한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부재는, 팬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과 평행한 복수의 프레임과, 팬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과 수직인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한다. 팬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과 평행한 복수의 프레임이, 팬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과 수직인 복수의 프레임보다 조밀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부재의 양단부는 광촉매 유닛의 단부로부터 상승하고, 보호 부재의 중앙부는, 광촉매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광촉매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대해 떼어냄 가능한 광촉매 유닛이 제공된다. 광촉매 유닛은, 광촉매와, 광촉매의 표면측에, 광촉매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보호 틀을 구비한다.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흡입구와 취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광촉매를 포함하는 광촉매 유닛과, 광촉매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라이트와, 광촉매의 표면에 공기를 흐르게 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팬과, 라이트의 광이 흡입구 및 취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 하우징의 외부에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차광 부재를 구비하는, 광촉매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개의 차광 부재는, 복수의 차광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개의 차광 부재는, 단면에서 봤을 때 「く」자 형상의 차광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취출구 또는 흡입구 중 한쪽에, 적어도 1개의 팬이 배치된다. 취출구 또는 흡입구 중 다른 쪽에, 적어도 1개의 차광 부재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개의 팬은, 흡입구에 배치되는 제1의 팬이다. 적어도 1개의 팬은, 취출구에 배치되는 제2의 팬이다. 적어도 1개의 차광 부재로서, 제1의 팬에 의해, 라이트의 광이 흡입구로부터 하우징의 외부에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되면서, 제2의 팬에 의해, 라이트의 광이 취출구로부터 하우징의 외부에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대상물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유닛이 제공된다. 부착용 유닛은, 부착용 유닛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와,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수준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용 유닛에는, 보강을 위해 요철이 형성된다. 수준기는, 오목부 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용 유닛에는, 고정부로서, 석고못용 복수의 구멍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구멍부의 주위가 오목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부착용 유닛과, 대상물로서의 탈취 장치를 구비하는 탈취 시스템이 제공된다. 탈취 장치의 배면의 상부를, 지지부로서의 부착용 유닛의 상단의 양단에 거는 것에 의해, 탈취 장치를 벽면에 부착한다.
바람직하게는, 탈취 장치의 하단부가, 부착용 유닛의 하단부에 나사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탈취 장치는, 탈취 장치가 부착용 유닛에 부착된 후에, 정면으로부터 부착되는 정면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대상물과, 대상물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유닛을 구비하는 벽면 부착 시스템이 제공된다. 대상물은, 그 배면에 부착되는 금속을 포함한다. 부착용 유닛은, 그 정면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한다. 대상물을 부착용 유닛에 부착하는 위치에 맞추었을 때에, 금속과 자석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대상물과, 대상물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유닛을 구비하는 벽면 부착 시스템이 제공된다. 대상물은, 그 배면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한다. 부착용 유닛은, 그 정면에 부착되는 금속을 포함한다. 대상물을 부착용 유닛에 부착하는 위치에 맞추었을 때에, 금속과 자석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석의 자력에 이끌려 휘어짐으로써 자석과 접촉함과 더불어, 접촉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자석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금속과 자석이 자력으로 이끌려 접촉함과 더불어, 접촉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대상물과, 대상물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유닛을 구비하는 벽면 부착 시스템이 제공된다. 대상물은, 그 배면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한다. 부착용 유닛은, 그 정면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한다. 대상물을 부착용 유닛에 부착하는 위치에 맞추었을 때에, 대상물의 자석과 부착용 유닛의 자석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상물의 자석 또는 부착용 유닛의 자석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자석과 자석이 자력으로 이끌려 접촉함과 더불어, 접촉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용 유닛은 수지제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착용 유닛은 그 상부에 보강용 금속 프레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석 또는 금속은 대상물의 상부에 부착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닌,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벽면 부착 시스템
100 :광촉매 장치
101 :하우징
102 :흡입구
1021 :차광판
103 :취출구
1031 :차광판
105 :구멍
106 :오목부
107 :나사 구멍
108 :부착편
109 :정면 패널
109A :부착편
109B :부착편
110 :광촉매 유닛
111 :케이스
111A :좌측 프레임
111B :배면 프레임
111C :우측 프레임
111D :손잡이부
112 :광촉매 시트
113 :세로 프레임
113A :상승부
113B :꺾임부
113C :중앙부
114 :가로 프레임
120 :팬
121 :모터
122 :회전축
123 :날개
129 :필터
130 :제어부
140 :LED 라이트
141 :기판
142 :라이트 본체
150 :전력부
160 :부착용 유닛
161 :판금
162 :오목부
163 :구멍
165 :석고못
167 :부착 리브
169 :수준기
170 :조작부
171 :접촉 센서
207 :부착 부재
208 :금속판
260 :부착용 유닛
261 :플레이트
262 :보강용 리브
263 :금속 플레이트
264 :부착부
265 :나사
267 :자석
269 :수준기
271 :스프링
272 :슬라이드 부재
273 :자석

Claims (9)

  1. 대상물과,
    상기 대상물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유닛을 구비하는 벽면 부착 시스템으로서,
    상기 대상물은, 그 배면에 부착되는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용 유닛은, 그 정면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을 상기 부착용 유닛에 부착하는 위치에 맞추었을 때에, 상기 금속과 상기 자석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벽면 부착 시스템.
  2. 대상물과,
    상기 대상물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유닛을 구비하는 벽면 부착 시스템으로서,
    상기 대상물은, 그 배면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용 유닛은, 그 정면에 부착되는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을 상기 부착용 유닛에 부착하는 위치에 맞추었을 때에, 상기 금속과 상기 자석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벽면 부착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이끌려 휘어짐으로써 상기 자석과 접촉함과 더불어, 접촉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벽면 부착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상기 자석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금속과 자석이 자력으로 이끌려 접촉함과 더불어, 접촉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벽면 부착 시스템.
  5. 대상물과,
    상기 대상물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유닛을 구비하는 벽면 부착 시스템으로서,
    상기 대상물은, 그 배면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용 유닛은, 그 정면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을 상기 부착용 유닛에 부착하는 위치에 맞추었을 때에, 상기 대상물의 자석과 상기 부착용 유닛의 자석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벽면 부착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자석 또는 상기 부착용 유닛의 자석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자석과 자석이 자력으로 이끌려 접촉함과 더불어, 접촉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벽면 부착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유닛은 수지제인, 벽면 부착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유닛은 그 상부에 보강용 금속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면 부착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또는 상기 금속은 상기 대상물의 상부에 부착되는, 벽면 부착 시스템.

KR1020210052461A 2021-04-22 2021-04-22 벽면 부착 시스템 KR20220145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61A KR20220145641A (ko) 2021-04-22 2021-04-22 벽면 부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61A KR20220145641A (ko) 2021-04-22 2021-04-22 벽면 부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41A true KR20220145641A (ko) 2022-10-31

Family

ID=8380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461A KR20220145641A (ko) 2021-04-22 2021-04-22 벽면 부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56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9130A (ja) 2013-05-07 2014-11-2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9130A (ja) 2013-05-07 2014-11-2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68542B (zh) 壁面設置系統
JP7228267B2 (ja) 光触媒装置および光触媒ユニット
JPWO2017183538A1 (ja) 空気清浄機
JP2020044506A (ja) 光触媒装置
JP2020071017A (ja) 空気清浄機
KR20220145641A (ko) 벽면 부착 시스템
JP2011226717A (ja) 空気調和機
JP7345537B2 (ja) 空気清浄器
JP2020171406A (ja) 光触媒装置
JP2020171405A (ja) 脱臭装置
KR102600644B1 (ko) 원통형 필터 자동회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20160045337A (ko) 에어워셔
WO2022118551A1 (ja) 光触媒装置
US11160896B1 (en) Light blocking apparatus and air purifier
JP2023142872A (ja) 空気処理装置および空気処理システム
JP2023142873A (ja) 空気処理装置
KR100621252B1 (ko) 공기청정기의 오염도표시장치
KR101158575B1 (ko) 공기청정기
KR20220161590A (ko) 다목적 살균장치
KR100564495B1 (ko) 공기청정기
JP2023132087A (ja) 遮光装置および空気処理装置
KR100621245B1 (ko) 공기청정기
JP2022078583A (ja) 光触媒装置
JP5760187B2 (ja) 脱臭装置
JP2022051137A (ja) 循環送風機器